KR101162418B1 - 조절레버 고정장치를 구비한 틸트 및 텔레스코프 장치 및그 조절레버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조절레버 고정장치를 구비한 틸트 및 텔레스코프 장치 및그 조절레버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2418B1
KR101162418B1 KR1020080034890A KR20080034890A KR101162418B1 KR 101162418 B1 KR101162418 B1 KR 101162418B1 KR 1020080034890 A KR1020080034890 A KR 1020080034890A KR 20080034890 A KR20080034890 A KR 20080034890A KR 101162418 B1 KR101162418 B1 KR 1011624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lever
tilt
lever
fixing device
telesco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48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9440A (ko
Inventor
박상현
박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0800348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2418B1/ko
Publication of KR200901094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94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24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24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5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adjustable by axial displacement, e.g. telescop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2Hand levers
    • B62D1/14Tillers, i.e. hand levers operating on steering colum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7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with tilt adjustment; with tilt and axial adjus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60Control of electric machines, e.g. problems related to electric motors or generators
    • B60Y2300/62Mechanical lock-up, e.g. using brake to immobilise the ro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절레버 고정장치를 구비한 틸트 및 텔레스코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장공이 형성된 지지부가 하측으로 연장되는 마운팅 브라켓; 상기 장공을 관통하는 조절볼트에 결합되고, 일면에 홀이 형성되어 있는 조절레버; 상기 홀에 대응하여 상기 조절레버와 대향하는 면에 경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조절레버가 회전하면 상기 홀과 상기 경사부 간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조절볼트의 축방향으로 변위를 일으키는 캠; 및 상기 조절레버가 잠금 해제되는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조절레버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홈이 절개 형성된 조절레버 고정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레버 고정장치를 구비한 틸트 및 텔레스코프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조절레버가 잠금 해제되더라도 조절레버의 축방향으로 흔들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틸트, 텔레스코프, 레버, 캠

Description

조절레버 고정장치를 구비한 틸트 및 텔레스코프 장치 및 그 조절레버 고정장치{Tilt And Telescope Apparatus Having Apparatus for fixing Adjusting Lever And The Apparatus for fixing Adjusting Lever}
본 발명은 조절레버 고정장치를 구비한 틸트 및 텔레스코프 장치 및 그 조절레버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조절레버의 잠금 상태가 해제(릴리즈, Release)될 때, 조절레버의 흔들림(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장치를 구비한 틸트 및 텔레스코프 장치 및 그 조절레버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조향컬럼은 운전자의 조향휠 조작에 의해 발생한 회전력을 팩-피니언 기구부로 전달하는 조향축을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조향축의 회전을 지지하는 한편 브라켓을 통해 차체에 결합됨으로써 조향축의 위치를 고정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조향컬럼에는 조향휠의 돌출 정도나 기울임 각도를 운전자의 체형에 적합하도록 조절할 수 있는 텔레스코프(Telescope) 장치 및 틸트(Tilt) 장치가 결합되어 있다.
텔레스코프 장치 및 틸트 장치는 캠과 조절레버의 결합 구조에 의해, 조향컬럼을 압박하거나 압박을 해제하여 텔레스코프 및 틸트 작동을 하게 된다.
도 1은 캠과 조절레버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캠(130)과 조절레버(140)는 조향컬럼을 차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마운팅 브라켓(미도시)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지지부(110)의 장공(112)을 관통하는 조절볼트(120)에 결합되어 있다.
조절레버(140)와 접촉되는 캠(130)의 일측면에는 캠(130)의 원주방향을 따라 4개의 경사부(13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조절레버(140)에는 캠(130)의 경사부(132)에 대응하여 홀(142)이 형성되어 있다.
조절레버(14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잠금 상태로 되면, 캠(130)의 경사부(132)에 인해 조절레버(140)가 캠(130)을 지지부(110)쪽으로 변위시켜 지지부(110)를 압박함으로써, 조향컬럼의 텔레스코프 및 틸트 작동이 규제된다.
반대로, 조절레버(14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잠금 상태를 해제하면, 캠(130)이 지지부(110)의 반대쪽으로 변위를 일으켜 지지부(110)의 압박을 해제함으로써, 조향컬럼의 텔레스코프 및 틸트 작동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조절레버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경우, 경사부의 높이만큼의 유격거리가 생기므로, 조절레버가 조절볼트의 축방향으로 흔들리게 된다.
본 발명은 조절레버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어도 조절레버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는 틸트 및 텔레스코프 장치 및 조절레버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장공이 형성된 지지부가 하측으로 연장되는 마운팅 브라켓; 상기 장공을 관통하는 조절볼트에 결합되고, 일면에 홀이 형성되어 있는 조절레버; 상기 홀에 대응하여 상기 조절레버와 대향하는 면에 경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조절레버가 회전하면 상기 홀과 상기 경사부 간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조절볼트의 축방향으로 변위를 일으키는 캠; 및 상기 조절레버가 잠금 해제되는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조절레버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홈이 절개 형성된 조절레버 고정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레버 고정장치를 구비한 틸트 및 텔레스코프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조향컬럼에 장착되는 틸트 및 텔레스코프 장치의 조절레버를 고정시키기 위한 조절레버 고정장치로서,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상단에 절개 형성된 홈을 포함하되, 상기 홈은, 일측면이 내측에서 개방단측으로 확장 절개되어 형성된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의 내측 시작부분에서 안쪽으로 연장 형성되며 일정한 폭으로 절개되어 상기 조절레버를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레버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당업자에게 자명하거나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향컬럼에 장착되는 틸트 및 텔레스코프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틸트 및 텔레스코프 장치는 상대적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내측 튜브(204)와 외측튜브(206)로 구성되어 있는 조향컬럼을 차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마운팅 브라켓(210) 및 조절볼트(216)와 캠(218)을 통해 마운팅 브라켓에 결합되는 조절레버(2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조향축(202)은 상단이 조향휠(201)에 연결되어 있으며 운전자가 조향휠(201)을 조작함으로써 발생하는 회전력을 하단의 랙-피니언 기구부(미도시)로 전달한다.
내측튜브(204)는 직경이 일정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조향축(202)의 하단을 둘러싼다. 내측튜브(204)의 하단 외주면에는 하부 브라켓(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는데, 하부 브라켓을 자동차의 차체에 고정시킴으르써 내측튜브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외측튜브(206)는 내측튜브(204)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져서 외측튜브(206)가 내측튜브(204)의 외주면을 따라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되어 텔레스코프 작동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외측튜브(206)는 조향축의 중간부를 둘러싼다. 또한, 외측튜브(206)의 하측에는 하부 지지 부재(208)가 형성되어 있어서 외측튜브(206)를 하측에서 지지하며, 하부 지지 부재(208)의 측면에는 텔레스코프 조절용 장공(미도시)이 형성되어 있어서 외측튜브(206)의 텔레스코프 작동이 가능하게 된다.
마운팅 브라켓(210)은 외측튜브(206)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측은 자동차의 차체에 고정되고 하측으로는 외측튜브(206)의 양쪽 외주면에 결합되는 지지부(212)가 연장 형성된다. 또한, 지지부(212)의 측면에는 틸트 조절용 장공(214)이 형성되어 있어서 외측튜브(206)의 틸트 작동이 가능하게 된다.
조절레버(222)는 틸트 조절용 장공(214) 및 텔레스코프 조절용 장공(미도시)을 모두 관통하는 조절볼트(216)에 결합되며, 캠(218)의 경사부(220)에 대응하여 홀(224)이 형성되어 있다. 조절레버(222)가 조절볼트(216)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 조절레버(222)와 지지부(212) 사이의 캠(218)이 구동되면서 틸트 및 텔레스코프 장치의 잠금 및 잠금 해제 상태를 설정한다.
즉, 조절레버가 회전하면 캠의 경사부와 조절레버의 홀 사이의 상호 작용에 의해 캠이 축방향으로 변위를 일으키게 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조절레버(222)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조절레버(222)가 캠(218)에 형성된 경사부(220)를 따라 회전하면서 캠(218)을 지지부(212)쪽으로 변위시키고, 이에 따라 지지부(212)가 외측튜브(206)를 압박하여 틸트 및 텔레스코프 작동이 규제된다.
반대로, 조절레버(222)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캠(218)이 지지부(212)의 반대쪽으로 변위를 일으켜 지지부(212)의 압박이 해제됨으로써 틸트 및 텔레스코프이 가능하게 된다.
고정너트(228)는 조절볼트(216)에 끼워져 조절레버(222)의 이탈을 방지하고, 고정너트(228)와 조절레버(222) 사이에는 조절레버(222)의 원활한 회전을 위해 베어링(226)이 구비된다.
조절레버 고정장치(230)는 조절레버(22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잠금 해제될 때 조절레버(222)가 조절레버 고정장치(230)에 형성된 홈으로 삽입되도록 함 으로써 조절레버(222)를 고정시킨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틸트 및 텔레스코프 장치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절레버 고정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틸트 및 텔레스코프 장치의 지지부(212)에는 조절레버 고정장치(230)가 형성되어 있다. 조절레버 고정장치(230)는 지지부(212)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또는 볼트 등의 결합 부재를 이용하여 지지부(212)에 결합시킬 수도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조절레버 고정장치(230)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조절레버 고정장치(230)는 지지부의 일측에서 연장형성되는 본체부(410) 및 본체부(410)의 상단이 개방된 형태로 절개 형성된 홈(420)으로 이루어진다. 본체부(410)의 형상은 측면에서 보았을 때 "ㄷ"자 형상이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상 등 홈이 형성되어 조절레버를 삽입할 수 있는 한 어떠한 형상도 가능하다. 홈(420)은 조절레버(222)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약간 큰 폭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조절레버(222)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잠금 해제시킬 때, 조절레버(222)가 본체부(410)에 형성된 홈(420)으로 삽입됨으로써 조절볼트(216)의 축방향 흔들림이 방지된다.
나아가 홈(420)은, 일측면이 내측에서 개방단측으로 확장 절개된 가이드부(422)와 가이드부(422)의 내측 시작부분에서 안쪽으로 연장되어 일정한 폭으로 절개 형성되는 고정부(426)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422)는 조절레버(222)가 캠(218)의 경사면(220)을 따라 회전할 때 조절레버(222)가 가이드부(422)의 일측면에 형성된 경사면(424)을 따라 고정부(426)로 삽입되거나 고정부(426)로부터 이탈되도록 유도한다. 고정부(426)는 조절레버(222)가 최종적으로 삽입/고정되는 곳이다. 고정부(426)의 폭은 조절레버(222)가 고정될 수 있도록 조절레버(222)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약간 큰 폭으로 형성된다.
또한, 가이드부(422)에 형성된 경사면(424)의 경사각은 캠(218)에 형성된 경사부(220)의 경사각과 동일하게 형성함으로써, 조절레버(222)가 캠(218)의 경사부(220)를 따라 회전할 때 자연스럽게 가이드부(422)의 경사면(424)을 따라 이동하도록 하여 조절레버(222)가 고정부(426)로 매끄럽게 유도되거나 고정부(426)로부터 매끄럽게 이탈되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조절레버(222)가 잠금 해제되는 방향으로 회전할 때, 조절레버(222)가 조절레버 고정장치(230)에 형성된 홈(420)으로 유격 없이 삽입됨으로써 조절레버(222)의 축방향 흔들림이 방지된다. 나아가, 조절레버 고정장치(420)의 홈(420)에 가이드부(422)와 고정부(426)를 형성함으로써, 조절레버가 회전할 때 가이드부(422)를 따라 고정부(426)로 부드럽게 삽입되거나 고정부(426)로부터 부드럽게 이탈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 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캠과 조절레버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향컬럼에 장착되는 틸트 및 텔레스코프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틸트 및 텔레스코프 장치의 결합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절레버 장치의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10: 마운팅 브라켓 212: 지지부
214: 틸트 조절용 장공 216: 조절볼트
218: 캠 220: 경사부
222: 조절레버 224: 홀
230: 조절레버 고정장치 410: 본체부
420: 홈 422: 가이드부
424: 경사면 426: 고정부

Claims (6)

  1. 조향컬럼에 장착되는 틸트 및 텔레스코프 장치에 있어서,
    장공이 형성된 지지부가 하측으로 연장되는 마운팅 브라켓;
    상기 장공을 관통하는 조절볼트에 결합되고, 일면에 홀이 형성되어 있는 조절레버;
    상기 홀에 대응하여 상기 조절레버와 대향하는 면에 경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조절레버가 회전하면 상기 홀과 상기 경사부 간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조절볼트의 축방향으로 변위를 일으키는 캠; 및
    상기 조절레버가 잠금 해제되는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조절레버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홈이 절개 형성된 조절레버 고정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조절레버 고정장치에 형성된 상기 홈은, 일측면이 내측에서 개방단측으로 확장 절개되어 형성된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의 내측 시작부분에서 안쪽으로 연장 형성되며 일정한 폭으로 절개되어 상기 조절레버가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레버 고정장치를 구비한 틸트 및 텔레스코프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경사면은 상기 캠에 형성된 상기 경사부의 경사각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레버 고정장치를 구비한 틸트 및 텔레스코프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폭은 상기 조절레버의 두께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레버 고정장치를 구비한 틸트 및 텔레스코프 장치.
  5. 조향컬럼에 장착되는 틸트 및 텔레스코프 장치의 조절레버를 고정시키기 위한 조절레버 고정장치로서,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상단에 절개 형성된 홈을 포함하되, 상기 홈은,
    일측면이 내측에서 개방단측으로 확장 절개되어 형성된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의 내측 시작부분에서 안쪽으로 연장 형성되며 일정한 폭으로 절개되어 상기 조절레버를 고정시키는 고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레버 고정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경사면은 상기 틸트 및 텔레스코프 장치의 캠에 형성된 경사부의 경사각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레버 고정장치.
KR1020080034890A 2008-04-15 2008-04-15 조절레버 고정장치를 구비한 틸트 및 텔레스코프 장치 및그 조절레버 고정장치 KR1011624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4890A KR101162418B1 (ko) 2008-04-15 2008-04-15 조절레버 고정장치를 구비한 틸트 및 텔레스코프 장치 및그 조절레버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4890A KR101162418B1 (ko) 2008-04-15 2008-04-15 조절레버 고정장치를 구비한 틸트 및 텔레스코프 장치 및그 조절레버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9440A KR20090109440A (ko) 2009-10-20
KR101162418B1 true KR101162418B1 (ko) 2012-07-03

Family

ID=41552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4890A KR101162418B1 (ko) 2008-04-15 2008-04-15 조절레버 고정장치를 구비한 틸트 및 텔레스코프 장치 및그 조절레버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241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3999B1 (ko) 2003-12-29 2006-02-22 한국델파이주식회사 나사 및 캠 복합 틸트 고정 기구를 구비하는 조향 장치
JP2007276588A (ja) 2006-04-05 2007-10-25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ステアリング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3999B1 (ko) 2003-12-29 2006-02-22 한국델파이주식회사 나사 및 캠 복합 틸트 고정 기구를 구비하는 조향 장치
JP2007276588A (ja) 2006-04-05 2007-10-25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ステアリング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9440A (ko) 2009-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83717B2 (en) Steering column telescope lock
US8037782B2 (en) Steering column assembly
KR101204541B1 (ko) 차량용 조향칼럼의 텔레스코픽장치 및 틸트장치
US20180111639A1 (en) Steering column assembly having a locking assembly
US7503234B2 (en) One lever tilt and telescope mechanism
JP5193828B2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EP3546318B1 (en) Steering column device
JP2011520685A (ja) 自動車のステアリングコラムの位置を調整する装置
JP2007168708A (ja) 車両用ステアリング装置
KR20140037448A (ko) 자동차의 조향 컬럼
KR20120139898A (ko) 조향컬럼의 틸트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자동차 조향장치
CN110871834A (zh) 转向装置
JP5086724B2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US7281448B2 (en) One-touch manual telescope and tilt steering column
KR101162418B1 (ko) 조절레버 고정장치를 구비한 틸트 및 텔레스코프 장치 및그 조절레버 고정장치
US8376404B2 (en) Integrated tooth rake lock for steering column
CN112278064B (zh) 转向柱装置
KR20190120939A (ko) 스티어링 칼럼 어셈블리
KR101476304B1 (ko) 틸트 레버
KR101245039B1 (ko) 스티어링 칼럼의 틸트레버
JP2007223549A (ja) 車両用ステアリング装置
KR100764192B1 (ko) 조향장치의 틸트칼럼 샤프트의 잠금장치
US11597426B2 (en) Steering device
KR100655712B1 (ko) 스티어링 컬럼 브라켓 링케이지 구조
JP2007261439A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