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2376B1 - 고정도의 배관자재 제조 공정에서 부품의 가공위치추적방법 - Google Patents

고정도의 배관자재 제조 공정에서 부품의 가공위치추적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2376B1
KR101162376B1 KR1020050129941A KR20050129941A KR101162376B1 KR 101162376 B1 KR101162376 B1 KR 101162376B1 KR 1020050129941 A KR1020050129941 A KR 1020050129941A KR 20050129941 A KR20050129941 A KR 20050129941A KR 101162376 B1 KR101162376 B1 KR 1011623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processing
parts
input device
docu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9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68155A (ko
Inventor
이관희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0501299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2376B1/ko
Publication of KR200700681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81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23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23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1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 G06K19/0602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using bar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Toxic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수 바코드가 부착된 트레이를 활용하여 발행 전표에 명시된 부품이 현재 가공중인 단계 및 개수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으며, 종이 전표가 부품의 가공공정과 함께 이동하지 않더라도 현재의 부품 가공 관련 정보를 실시간으로 조회할 수 있으며, 큰 생산단위가 아닌 작은 트레이 단위로 생산 관리가 가능하여 생산 효율을 증대시키는 고정도의 배관자재 제조 공정에서 부품의 가공위치 추적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부품가공, 추적방법, 배관자재, 바코드, 스캐너, 입력장치

Description

고정도의 배관자재 제조 공정에서 부품의 가공위치 추적방법{POSITION TRACKING METHOD OF MANUFACTURING PROCESS OF PIPE COMPONENTS}
도 1a 및 1b 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도의 배관자재 제조 공정에서 부품에 바코드가 부착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도의 배관자재 제조 공정에서 부품을 입력하는 입력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도의 배관자재 제조 공정에서 부품의 가공위치 추적방법에 의한 부품의 가공위치 추적을 위한 처리 공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공정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부품 트레이(Tray) 2 : 가공부품
3 : 트레이용 바코드 4 : 가공전표용 바코드
5 : 가공전표 21 : 터치스크린
22 : 바코드 스캐너
본 발명은 고정도의 배관자재 제조 공정에서 부품의 가공위치 추적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에 따르면 특수 바코드가 부착된 트레이를 활용하면 발행 전표에 명시된 부품이 현재 가공중인 단계 및 개수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으며, 종이 전표가 부품의 가공공정과 함께 이동하지 않더라도 현재의 부품 가공 관련 정보를 실시간으로 조회할 수 있으며, 큰 생산단위가 아닌 작은 트레이 단위로 생산 관리가 가능하여 생산 효율을 증대시키는 고정도의 배관자재 제조 공정에서 부품의 가공위치 추적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제조 공정의 배관자재로 사용되는 자재는 정밀한 가공을 요구하며 세척 상태 또한 높은 정도의 세척 상태를 요한다. 고정도 배관자재 제조 공정은 원자재를 가공하는 공정, 세정 공정, 전자연마, 조립, 검사 및 포장의 단계를 거친다. 종래에는 부품의 가공을 위해서 먼저 가공상황을 기록할 수 있는 전표를 발행하였다. 이 전표에는 작업중 진행되는 작업진행 상황을 수작업으로 기록하였다.
하지만, 작업 공정의 흐름에 따라 큰 단위의 부품 트레이(tray)가 작은 단위로 나누어지거나, 작은 단위가 큰 단위로 합쳐지는 과정에서 하나의 전표를 분리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세정이나 전자 연마 공정의 경우 산성용액과 초음파 등의 특수 처리 과정을 포함하기 때문에 부품전표가 부품 트레이와 동시에 이동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하여, 전표가 분실되거나 전표의 내용과 부품 트레이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오류가 발생 되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해 가공부품의 가공위치뿐만 아니라 정확한 가공 정보를 파악할 수 있는 방법의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수 바코드가 부착된 트레이를 활용하여 발행 전표에 명시된 부품이 현재 가공중인 단계 및 개수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으며, 종이 전표가 부품의 가공공정과 함께 이동하지 않더라도 현재의 부품 가공 관련 정보를 실시간으로 조회할 수 있으며, 큰 생산단위가 아닌 작은 트레이 단위로 생산 관리가 가능하여 생산 효율을 증대시키는 고정도의 배관자재 제조 공정에서 부품의 가공위치 추적방법을 제공하여 해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고정도의 배관자재 제조 공정에서 부품의 가공위치 추적방법은,
가공할 부품 수량의 확정 후 전표를 출력할 때 전표에 고유 일련 번호를 바코드 형태로 인쇄하는 단계;
산성용액 및 초음파 세정 공정 등에서 견딜 수 있는 스테인레스 계열의 금속을 사용하여 부품 트레이를 제작하는 단계;
산성용액 및 초음파 세정 공정에서 견딜 수 있는 스테인레스 계열의 금속을 사용하여 부품 트레이에 부착할 바코드의 밑판을 제작하고, 밑판에 세라믹 재질의 바코드를 일련 번호를 부여하여 인쇄한 후 부품 트레이 옆면에 부착하는 단계;
작업장에 양품 개수, 불량 개수, 불량 내역 그리고 전표 및 트레이의 바코드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장치를 설치하는 단계;
입력장치에 전표 및 트레이의 바코드를 입력하는 단계;
바코드의 입력 후 입력장치에서 공정시작명령을 내리는 단계;
가공공정에 투입되어 부품이 가공되는 단계;
부품의 가공이 완료되면 입력장치에 트레이를 인식시키고 입력장치에서 공정완료명령을 내리는 단계;
공정완료 후 양품개수, 불량개수, 불량내역 등을 입력하는 단계;
불량이 발생된 부품은 트레이에서 제거하고, 공 트레이가 생기면 해당 트레이를 회수등록하는 단계;
등이 반복적으로 실행되어 현재의 부품가공 정보를 실시간으로 조회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입력장치는 터치 스크린과 바코드 스캐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정도의 배관자재 제조 공정에서 부품의 가공위치 추적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 및 1b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도의 배관자재 제조 공정에서 부품에 바코드가 부착된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도의 배관자재 제조 공정에서 부품을 입력하는 입력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트레이용 바코드(3)는 가공부품(2)이 적재되어 이동되는 부품트레이 외측면에 부착한다.
가공전표용 바코드(4)는 가공전표(5)의 일측면에 부착한다.
부품 전표를 출력할 때 전표의 고유 일련 번호를 인쇄한다.
작업장에는 양품 개수, 불량 개수, 불량 내역, 전표 및 트레이의 바코드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장치를 설치한다. 이 경우 입력장치는 터치스크린(21)과 바코드 스캐너(22)로 구성될 수 있다.
산성용액 및 초음파 세정 공정에서 견딜 수 있는 스테인레스 계열의 금속을 사용하여 부품 트레이(1)에 부착할 바코드의 밑판을 제작한다. 밑판에 일련 번호가 부여된 세라믹 재질의 바코드를 인쇄한다. 인쇄된 바코드를 부품 트레이(1) 옆면에 부착한다.
부품의 가공 과정을 기록하는 가공전표(5)는 종이에 출력되어 있기 때문에 부품과 항상 같이 이동하지 못한다. 따라서 여러 개로 나누어진 부품 트레이(1)가 어느 전표의 것인지 전자적인 메커니즘에 의해 자동 인식된다. 세정 공정이나 초음파를 사용하는 전자 연마 공정은 전표는 함께 투입할 수 없고 단지 부품을 담은 트레이만 공정을 처리하는 장치 안에 투입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공정에 투입되는 트레이의 고유 번호를 인식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또한 전표의 고유 번호와 트레이의 고유 번호를 함께 인식함으로써 현재 처리되고 있는 부품 관련 정보를 전표에서 얻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도의 배관자재 제조 공정에서 부품의 가공위치 추적방법에 의한 부품의 가공위치 추적을 위한 처리 공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공정도이다.
부품을 가공하기 위한 수량이 확정되면(31) 가공을 위한 전표를 발행한다(32). 이 전표에는 도 1에서 보인 바와 같이 전표의 고유 번호가 바코드 형태로 출력(4)되어 있다.
전표를 발행 후 전표의 수량에 해당하는 부품을 수량에 따라 여러 개의 트레이에 나누어 담는다(33). 분리된 트레이(34)는 발행된 전표와 관련 정보를 일치 시키기 위해 도 2의 바코드 스캐너(22)에서 트레이 번호를 등록(35)한다.
발행된 전표에서 분리된 모든 트레이의 등록이 완료되면 다음 공정부터는 발행 전표 없이 트레이만으로 관련 정보의 입력이 가능해 진다.
다음 가공공정에 투입할 준비가 완료된 트레이는 다음 공정에 투입하기 위해 먼저 바코드 스캐너(22)에서 관련 정보를 읽고 터치스크린(21)에서 공정 시작 명령을 내린다.
공정(36)을 시작하면 시작시간이 기록되고 현재의 해당 트레이에 있는 부품은 이 공정의 진행 중에 있음을 의미한다.
현재의 가공 공정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현재 트레이를 바코드 스캐너(22)에 인식시키고 터치스크린(21)에서 공정 완료 명령을 내린다. 이 명령으로 인하여 현재의 공정의 종료시간이 입력된다. 공정 완료 명령을 내린 후, 양품 개수 입력(37), 불량 개수 입력 및 불량 내역을 입력(38)한다. 이때 불량이 발생한 부품은 트레이에서 제거하며 만약 공 트레이(39)가 생기면 해당 트레이를 재사용하기 위해 회수 등록(41)을 한다.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여 가공이 완료(40)되면 공 트레이는 다시 재사용하기 위해 회수 등록(41)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특수 바코드가 부착된 트레이를 활용하면 발행 전표에 명시된 부품이 현재 가공중인 단계 및 개수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종이 전표가 부품의 가공공정과 함께 이동하지 않더라도 현재의 부품 가공 관련 정보를 실시간으로 조회할 수 있으며, 큰 생산단위가 아닌 작은 트레이 단위로 생산 관리가 가능하여 생산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시간으로 양품 개수와 불량품의 개수를 파악할 수 있어, 납기를 맞추기 위해 추가 가공되어야 하는 부품의 개수를 예측할 수 있다. 그리고 전 단계의 가공이 완료되어야만 다음 단계를 처리할 수 있으므로 조업자의 공정 처리 오류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가공할 부품 수량의 확정 후 전표를 출력할 때 전표에 고유 일련 번호를 바코드 형태로 인쇄하는 단계;
    산성용액 및 초음파 세정 공정에서 견딜 수 있는 스테인레스 계열의 금속을 사용하여 부품 트레이를 제작하는 단계;
    산성용액 및 초음파 세정 공정에서 견딜 수 있는 스테인레스 계열의 금속을 사용하여 부품 트레이에 부착할 바코드의 밑판을 제작하고, 밑판에 세라믹 재질의 바코드를 일련 번호를 부여하여 인쇄한 후 부품 트레이 옆면에 부착하는 단계;
    작업장에 양품 개수, 불량 개수, 불량 내역 그리고 전표 및 트레이의 바코드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장치를 설치하는 단계;
    입력장치에 전표 및 트레이의 바코드를 입력하는 단계;
    입력장치에서 공정시작명령을 내리는 단계;
    가공공정에 투입되어 부품이 가공되는 단계;
    부품의 가공이 완료되면 입력장치에 트레이를 인식시키고 공정완료명령을 내리는 단계;
    공정완료 후 양품개수, 불량개수, 불량내역을 입력하는 단계;
    불량이 발생된 부품은 트레이에서 제거하고, 공 트레이가 생기면 해당 트레이를 회수등록하는 단계;
    가 반복적으로 실행되어 현재의 부품가공 정보를 실시간으로 조회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의 가공위치 추적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장치는 터치스크린과 바코드 스캐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의 가공위치 추적 방법.
KR1020050129941A 2005-12-26 2005-12-26 고정도의 배관자재 제조 공정에서 부품의 가공위치추적방법 KR1011623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9941A KR101162376B1 (ko) 2005-12-26 2005-12-26 고정도의 배관자재 제조 공정에서 부품의 가공위치추적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9941A KR101162376B1 (ko) 2005-12-26 2005-12-26 고정도의 배관자재 제조 공정에서 부품의 가공위치추적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8155A KR20070068155A (ko) 2007-06-29
KR101162376B1 true KR101162376B1 (ko) 2012-07-04

Family

ID=38366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9941A KR101162376B1 (ko) 2005-12-26 2005-12-26 고정도의 배관자재 제조 공정에서 부품의 가공위치추적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237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5623B1 (ko) 2019-03-04 2020-03-06 (주)투비시스템 실내위치추적 기반의 공정관리시스템
KR102163975B1 (ko) 2020-02-28 2020-10-12 (주)투비시스템 실내위치추적 기반의 스마트팩토리 관리시스템
KR102163970B1 (ko) 2020-02-28 2020-10-12 (주)투비시스템 스마트팩토리의 공정관리시스템
KR20220034423A (ko) 2020-09-11 2022-03-18 (주)투비시스템 위치인식 장갑을 이용하는 스마트팩토리의 공정관리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9361B1 (ko) 2002-02-12 2006-07-12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품질 관리 시스템, 품질 관리 방법, 및 품질 관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9361B1 (ko) 2002-02-12 2006-07-12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품질 관리 시스템, 품질 관리 방법, 및 품질 관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5623B1 (ko) 2019-03-04 2020-03-06 (주)투비시스템 실내위치추적 기반의 공정관리시스템
KR102163975B1 (ko) 2020-02-28 2020-10-12 (주)투비시스템 실내위치추적 기반의 스마트팩토리 관리시스템
KR102163970B1 (ko) 2020-02-28 2020-10-12 (주)투비시스템 스마트팩토리의 공정관리시스템
KR20220034423A (ko) 2020-09-11 2022-03-18 (주)투비시스템 위치인식 장갑을 이용하는 스마트팩토리의 공정관리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8155A (ko) 2007-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2376B1 (ko) 고정도의 배관자재 제조 공정에서 부품의 가공위치추적방법
CN1426546A (zh) 自动制造控制系统
JP2011185638A (ja) はんだ印刷状態の分析作業の支援方法およびはんだ印刷検査機
US20060020361A1 (en) Component and material traceability control apparatus, control method, control program, and control program memory medium
JP6677701B2 (ja) 工具収納庫
JP2007241413A (ja) ページ誤り検査装置およびページ誤り検査方法
WO2014068664A1 (ja) 部品実装ラインの生産監視システム
JP2002094300A (ja) ロット管理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ならびに記録媒体
TW201723974A (zh) 品質資料管理系統
JP2007265361A (ja) 製造工程に使用されるツール情報を管理,運用する方法
JP7300593B2 (ja) 部品実装装置およびトレースデータの取得方法
JP2018054464A (ja) 電子部品搬送装置及び電子部品検査装置
JP6900484B2 (ja) 対基板作業システム
JP6844985B2 (ja) 目立てボードの使用方法
JP2007115038A (ja) プリント基板品質情報管理システム
CN108154316A (zh) 一种纸类烟用材料的批次管理系统及追溯方法
JP2019129167A (ja) 部品実装装置および部品実装方法
JP2007194251A (ja) 実装システム
JP2007316733A (ja) 修理支援システム、修理支援方法、修理支援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5277758B2 (ja) 製造情報収集管理方法および該方法を用いた製造情報収集管理装置
JP2006227950A (ja) コード表記物を利用した情報収集装置と情報収集方法
US4641250A (en) Inspection workstation data entry method
JP2006130853A (ja) Icカードを用いた木材の管理方法
JP7198971B2 (ja) 部品実装装置およびトレースデータの取得方法
US20230419734A1 (en) Work management apparatus and program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