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2199B1 - 통신 단말기용 거치대 - Google Patents
통신 단말기용 거치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62199B1 KR101162199B1 KR1020110020596A KR20110020596A KR101162199B1 KR 101162199 B1 KR101162199 B1 KR 101162199B1 KR 1020110020596 A KR1020110020596 A KR 1020110020596A KR 20110020596 A KR20110020596 A KR 20110020596A KR 101162199 B1 KR101162199 B1 KR 10116219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mmunication terminal
- rack
- block
- shaft
- crad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33—Rear-view mirr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9—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clips, clamps, straps or the lik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4—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linear movement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5—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rotation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통신 단말기용 거치대(1)는, 차량의 내측 백밀러(R)의 고정축(S)에 탈착되도록 구성된 헤드(100)와, 상기 헤드(100)의 하부에 회동하도록 힌지 연결되는 랙(200)과, 상기 랙(200)이 삽입되어 장착되고 상기 랙(200)의 하방으로 연장되어 통신 단말기(K)를 잡는 아암(400)을 포함하고, 상기 헤드(100)는 상기 고정축(S)에 걸려서 고정축(S)의 양쪽으로 내려오는 밴드(110)와, 상기 밴드(110)가 삽입되는 슬로트(123)가 상면(121)의 양쪽에 형성되고 상기 밴드(110)의 높낮이가 조정되는 블록(120)을 포함하고, 상기 블록(120)은 상기 슬로트(123) 사이의 상면(121)에서 하방으로 관통되는 탭홀(125)과, 상기 탭홀(125)의 하방에서 체결되어 상방으로 튀어나오는 세트스크류(140)를 포함하고, 상기 아암(400)은 상기 랙(200)이 상방에서 삽입되는 관 형상의 바디(410)와, 상기 바디(410)의 하부에서 전방으로 휘어지고 통신 단말기(K)를 집어서 압박하는 핑거(500)를 포함하므로써, 차량에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통신 단말기용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차량의 내측 백밀러의 고정축에 본 발명을 고정함으로써, 통신 단말기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통신 단말기용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요즘은 아이티(IT) 산업의 발전으로 스마트폰, 네비게이션, 아이 패드 등의 통신 단말기의 사용이 빈번하고, 차량 사용의 증가로 말미암아. 차량 내부에 상기 통신 단말기를 운전석 전방에 거치할 필요성이 많아졌다.
이에 부응하기 위해서 차량의 앞유리에 탈착되고 통신 단말기를 탈착할 수 있는 통신 단말기용 거치대가 다양하게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상기 통신 단말기용 거치대는 일반적으로 차량의 앞유리에 부착하는 흡착판과, 상기 흡착판에 고정되어 상기 통신 단말기를 탈착하도록 구성된 지지장치로 구성된다.
따라서, 차량의 앞유리에서 적당한 곳을 선정하여 상기 흡착판을 부착한 후, 상기 지지장치에 상기 통신 단말기를 장착하게 되면, 운전하면서도 상기 통신 단말기를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앞유리에서 부착 장소를 옮길 때에는 상기 흡착판을 이탈시킨 후, 다른 곳에 부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종래기술에 의한 통신 단말기용 거치대에 의하면, 차량의 앞유리에 부착되는 흡착판에 의해서만 지지되는 구성이다. 따라서, 통신 단말기의 무게를 장시간 지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비일비재한 실정이다. 일례로 아침에 출근하기 위해 차량의 도어를 열면 상기 통신 단말기용 거치대가 차량의 바닥에 떨어져 있는 경우가 비일비재한 실정이다.
또한, 차량 주행 시, 차량의 진동으로 말미암아, 상기 흡착판의 흡착력이 감소하게 되어 통신 단말기용 거치대가 앞유리에서 이탈되어 바닥으로 떨어지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차량을 운전하다가 상기 통신 단말기용 거치대가 갑자기 낙하하면서 운전에 큰 불편을 초래하고, 교통사고를 유발하는 경우도 비일비재한 실정이다.
본 발명에 의한 통신 단말기용 거치대는, 차량의 내측 백밀러의 고정축에 탈착되도록 구성된 헤드와, 상기 헤드의 하부에 회동하도록 힌지 연결되는 랙과, 상기 랙이 삽입되어 장착되고 상기 랙의 하방으로 연장되어 통신 단말기를 잡는 아암을 포함하고, 상기 헤드는 상기 고정축에 걸려서 고정축의 양쪽으로 내려오는 밴드와, 상기 밴드가 삽입되는 슬로트가 상면의 양쪽에 형성되고 상기 밴드의 높낮이가 조정되는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블록은 상기 슬로트 사이의 상면에서 하방으로 관통되는 탭홀과, 상기 탭홀의 하방에서 체결되어 상방으로 튀어나오는 세트스크류를 포함하고, 상기 아암은 상기 랙이 상방에서 삽입되는 관 형상의 바디와, 상기 바디의 하부에서 전방으로 휘어지고 통신 단말기를 집어서 압박하는 핑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블록에서 상기 탭홀의 양쪽으로 상기 슬로트에 연결되도록 형성된 공간과, 상기 공간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블록의 상면과 하면에 수직으로 지지되어 회전하는 나선축과, 상기 나선축의 하방에 나선축과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된 웜기어와, 상기 웜기어에 맞물리도록 상기 공간을 측방으로 관통하여 상기 블록의 일측면에서 상대측면에 지지되어 회전하는 웜과, 상기 밴드에 상기 나선축이 맞물리도록 홀이 관통하고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용 거치대.
또한, 상기 바디의 측면에서 안쪽으로 관통되어 상기 랙의 이빨에 걸리고 상기 바디에 연결되어 힘을 가하면 바깥으로 휘어지도록 구성된 클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핑거는 상기 바디의 하방에서 전방으로 휘어져서 연장되고 양쪽으로 벌어진 후크와, 상기 후크의 전방 종단은 안쪽으로 굽어져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핑거는 상기 바디의 하방에 회동하도록 장착된 브래킷과, 상기 브래킷에 회동하도록 장착된 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바이스는 상기 브래킷의 회동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상기 브래킷에 힌지연결된 회동바와, 상기 회동바의 종단에 측방으로 길게 형성되고 양측방으로 개방된 삽입관과, 상기 삽입관의 양측으로 삽입되는 랙과, 상기 랙의 종단부에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통신 단말기를 압박하도록 구성된 가압바와, 상기 삽입관에서 상기 랙의 이빨에 대응되는 측면에서 안쪽으로 관통되어 상기 이빨에 걸리고 상기 삽입관에 연결되어 힘을 가하면 바깥으로 휘어지도록 구성된 클로와, 상기 삽입관의 하방으로 연장되고 하부의 종단이 전방의 상방으로 굽어서 형성된 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헤드와 블록 사이에 끼워져서 고정되는 보조축이 구성되고, 상기 보조축은 차량의 내측 백밀러와 고정축 사이에 개재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통신 단말기용 거치대는, 차량에 고정되어 전방으로 내측 백밀러를 지지하는 고정축에 헤드가 고정됨으로써, 견고하게 장착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차량의 진동에 의해 이탈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축이 짧거나 휘어져 있을 때에는 보조축을 상기 고정축과 내측 백밀러 사이에 개재시켜서 상기 보조축에 헤드를 장착할 수 있으므로, 모든 차량에 장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통신 단말기용 거치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통신 단말기용 거치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B-B'선을 따라 취한 국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통신 단말기용 거치대에 구성되는 랙의 후방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F-F'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통신 단말기용 거치대에 구성되는 핑거가 통신 단말기를 잡고 있는 예를 도시한 국부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단말기용 거치대의 헤드가 백밀러에 연결된 보조축에 장착되고 핑거가 통신 단말기를 잡고 있는 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통신 단말기용 거치대의 다른 실시예로서 핑거만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통신 단말기용 거치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E-E'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통신 단말기용 거치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B-B'선을 따라 취한 국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통신 단말기용 거치대에 구성되는 랙의 후방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F-F'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통신 단말기용 거치대에 구성되는 핑거가 통신 단말기를 잡고 있는 예를 도시한 국부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단말기용 거치대의 헤드가 백밀러에 연결된 보조축에 장착되고 핑거가 통신 단말기를 잡고 있는 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통신 단말기용 거치대의 다른 실시예로서 핑거만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통신 단말기용 거치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E-E'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와 작동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통신 단말기용 거치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통신 단말기용 거치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B-B'선을 따라 취한 국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통신 단말기용 거치대에 구성되는 랙의 후방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F-F'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통신 단말기용 거치대에 구성되는 핑거가 통신 단말기를 잡고 있는 예를 도시한 국부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통신 단말기용 거치대의 헤드가 백밀러에 연결된 보조축에 장착되고 핑거가 통신 단말기를 잡고 있는 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통신 단말기용 거치대의 다른 실시예로서 핑거만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통신 단말기용 거치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E-E'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본 발명은 차량의 내측면에 고정되어 내측 백밀러(R)를 지지하는 고정축(S)에 장착되도록 함으로써, 견고하게 통신 단말기(K)를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다음과 같이 구성한다.
차량의 내측 백밀러(R)의 고정축(S)에 탈착되도록 헤드(100)가 구성되고, 상기 헤드(100)의 하부에 회동하도록 힌지 연결되는 랙(200, rack)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랙(200)이 삽입되어 장착되고 하방으로 연장된 후 전방으로 만곡되어 통신 단말기(K)를 잡도록 구성된 아암(400, arm)을 포함한다.
상기 헤드(100)는 상기 고정축(S)에 걸려서 고정축(S)의 양쪽으로 내려오는 밴드(110)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밴드(110)가 삽입되는 슬로트(123)가 상면(121)의 양쪽에 형성되고 상기 밴드(110)의 높낮이가 조정되는 블록(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블록(120)은 상기 슬로트(123) 사이의 상면(121)에서 하방으로 관통되는 탭홀(125)과, 상기 탭홀(125)의 하방에서 체결되어 상방으로 튀어나오는 세트스크류(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탭홀(125)이 상기 고정축(S)의 하방에 위치하게 됨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탭홀(125)의 상방에서 세트스크류(140)에 의해 상기 고정축(S)을 가압하는 판 형상의 커버(160)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밴드(110)의 높낮이가 조정되는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블록(120)에서 탭홀(125)의 양쪽으로 상기 슬로트(123)에 연결되는 공간(127)이 형성된다. 상기 공간(127)은 개방되지 않도록 블록(120)의 내부에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각 공간(127)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블록(120)의 상면(121)과 하면(122)에 수직으로 지지되어 회전하는 나선축(173)이 구성된다. 상기 나선축(173)은 축의 둘레에 나사산(174)이 형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나선축(173)의 하방에는 나선축(173)과 함께 회전하도록 웜기어(175)가 구성된다. 이때, 상기 나선축(173)은 상기 슬로트(123)로 관통한 밴드(110)를 탭홀(125) 쪽의 내측면(128)으로 밀착시키도록 위치가 조정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공간(127)을 측방으로 관통하여 상기 웜기어(175)에 체결되도록 상기 블록(120)의 일측면에서 상대측면에 지지되어 회전하는 웜(179)이 구성된다. 상기 웜(179)은 블록(120)에 지지되어 회전하는 회전축(177)에 웜(179)이 구성됨으로써 상기 블록(120)에 지지되어 회전이 가능하다. 상기 회전축(177)은 손으로 돌릴 수 있도록 외부로 돌출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밴드(110)에는 상기 나선축(173)의 나사산(174)이 삽입되는 홀(115)이 밴드(110)를 관통하고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어 구성된다. 상기 홀(115)은 나사산의 기울어진 각도를 따라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회전축(177)에서 외부로 돌출된 부분을 정역방향으로 돌리게 되면, 상기 웜(179)이 정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웜(179)에 맞물린 웜기어(175)를 정역방향으로 돌리게 된다. 따라서, 상기 나선축(173)이 정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상기 나사산(174)이 상기 홀(115)에 맞물린 상태에서 밴드(110)를 상하방으로 이송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랙(200)이 상기 블록(120)의 하부에 힌지연결되기 위한 일례를 살펴보면, 도 1 내지 도 3에서처럼, 상기 블록(120)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고 양쪽 측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판 형상의 플랜지(150)가 형성되고, 일측 플랜지(150)에는 볼트홀(154)이 천공되고, 상대측 플랜지(150)에는 상기 볼트홀(154)에 대응되는 탭홀(156)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랙(200)의 상부 종단부(205)에는 측방으로 상기 볼트홀(154)에 대응되는 다른 볼트홀(220)이 관통되어 형성되고, 상기 각 볼트홀(154, 220)을 관통하여 상기 탭홀(156)에 체결되는 볼트(250)가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볼트(250)를 돌리게 되면 양측 플랜지(150)가 랙(200)의 상부 종단부(205)를 압박하게 되어 랙(200)의 회동 각도가 조정된다. 또한, 상기 랙(200)의 회동 각도가 보다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상기 랙(200)의 상부 종단부(205)와 플랜지(150)의 대응하는 접촉면(157, 208)에는 상호 맞물리는 요철면(130)이 볼트((250) 둘레를 따라 원주방향으로 배열되어 형성된다. 상기 요철면(130)은 상부 종단부(205)의 양쪽 또는 한 쪽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암(400)은 상기 랙(200)이 상방에서 삽입되는 관 형상의 바디(410)가 하방으로 연장되어 구성되고, 상기 바디(410)의 하부에서 전방으로 휘어지고 벌어지도록 형성되어 통신 단말기(K)를 집어서 압박하는 핑거(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바디(410)의 높이 조정을 위한 일례로서, 상기 바디(410)에서 상기 랙(200)의 이빨(210)에 대응되는 측면(411)에서 안쪽으로 관통되어 상기 이빨(210)에 걸리고 상기 바디(410)에 연결되어 바깥으로 당기면 외부로 휘어지도록 구성된 클로(413)가 구성된다.
상기 클로(413)가 상기 바디(410)에 장착되는 일례를 살펴보면, 상기 측면(411)에서 이빨(210) 쪽으로 천공되고 슬로트 형상인 관통구(415)가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관통구(415)로 삽입되어 상기 이빨(210)에 걸리는 클로(413)가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클로(413)는 측방으로 탄성축(417)이 연장되어 상기 관통구(415)의 내측면에 연결되어 구성되는데 두께가 얇고 길이가 길수록 바깥으로 잘 휘어짐은 물론이다. 따라서, 상기 관통구(415)는 탄성축(417)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클로(413)와 탄성축(417)은 상기 바디(410)와 같은 재질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클로(413)를 용이하게 바깥으로 당길 수 있도록, 상기 클로(413)에서 관통구(415)의 바깥으로 돌출되는 돌기(419)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클로(413)가 상기 이빨(210)에 걸린 상태가 되면, 바디(410)의 하강이 정지되면서 높이가 정해진다. 또한, 상기 이빨(210)은 사각형 등 다양한 형상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핑거(500)는 상기 바디(410)의 하방에서 전방으로 휘어져서 연장되고 양쪽 측방으로 갈라진 후크(510)가 구성된다. 상기 후크(510)는 볼트(520)에 의해 안쪽으로 오므라지도록 구성되는데, 일례로서 일측 후크(510)를 관통하는 볼트홀(513)을 구성하고, 상대측 후크(510)에 상기 볼트홀(513)에 대응되는 탭홀(511)을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볼트홀(513)을 통해서 상기 탭홀(511)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후크(510)가 안쪽으로 오므라지거나 바깥으로 벌어지도록 하는 볼트(520)가 구성된다. 상기 양쪽 후크(510)는 전방 종단(530)이 안쪽으로 굽어져서 형성된 것으로서, 판 형상으로서 측방으로 납작하게 형성된 것이다.
상기 핑거(500)의 다른 실시예를 도 8 내지 도 10을 통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핑거(500)는 상기 바디(410)의 하방에 회동하도록 장착된 브래킷(510)이 구성되고, 상기 브래킷(510)에 회동하도록 장착된 바이스(5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바이스(520)는 상기 브래킷(510)의 회동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상기 브래킷(510)에 힌지연결된 회동바(521)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회동바(521)의 종단에 측방으로 길게 형성되고 양측방으로 개방된 삽입관(523)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삽입관(523)의 양측으로 삽입되는 랙(527)과, 상기 랙(527)의 종단부에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통신 단말기(K)를 압박하는 가압바(529)가 구성된다. 상기 가압바(529)의 전방 종단부(F)는 안쪽으로 굽어짐으로써 통신 단말기(K)가 전방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삽입관(523)에서 상기 랙(527)의 이빨(528)에 대응되는 측면(525)에서 안쪽으로 관통되어 상기 이빨(528)에 걸리고 상기 삽입관(523)에 연결되어 바깥으로 당기면 외부로 휘어지도록 구성된 클로(533)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삽입관(523)의 하방으로 판 형상으로 연장되고 하부의 종단(535)이 전방의 상방으로 굽어서 형성된 걸림부(5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클로(522)가 상기 삽입관(523)에 장착되는 일례를 살펴보면, 상기 측면(525)에서 이빨(528) 쪽으로 천공되고 슬로트 형상의 관통구(535)가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관통구(535)로 삽입되어 상기 이빨(528)에 걸리는 클로(533)가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클로(533)는 측방으로 탄성축(537)이 연장되어 상기 관통구(535)의 내측면에 연결되어 구성되는데 두께가 얇고 길이가 길수록 바깥으로 잘 휘어짐은 물론이다. 따라서, 상기 관통구(535)는 탄성축(537)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클로(533)와 탄성축(537)은 상기 삽입관(523)과 같은 재질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클로(533)를 용이하게 바깥으로 당길 수 있도록, 상기 클로(533)에서 관통구(535)의 바깥으로 돌출되는 돌기(539)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클로(533)가 상기 이빨(528)에 걸린 상태가 되면, 양쪽 랙(527)은 안쪽으로 오므라진 상태가 되어 가압바(529)가 통신 단말기(K)를 압박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돌기(539)를 잡고서 관통구(535)의 바깥 방향으로 당기게 되면, 상기 랙(527)은 자유롭게 좌우측방으로 이송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브래킷(510)이 상기 바디(410)의 하방에 회동하도록 장착되는 일례와 상기 회동바(521)가 상기 브래킷(510)에 회동하도록 장착되는 일례를 살펴보면, 상기 바디(410)의 하부 종단부에서 전방 또는 하방으로 연장되고 양쪽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플랜지(423)가 구성된다. 상기 플랜지(423) 중 일측에는 볼트홀(425)이 관통되어 형성되고, 상대측에는 탭홀(427)이 관통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브래킷(510)은 상기 플랜지(423) 사이에 개재되는 블록(511)과 상기 블록(511)에 상기 볼트홀(425)에 부합되는 또 다른 볼트홀(512)이 관통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블록(511)에서 전방 상부에는 상부블록(514), 전방 하부에는 하부블록(516)이 수평하게 구성된다. 상기 상부블록(514), 하부블록(516) 중 일측에는 볼트홀(515)이 관통되어 형성되고, 상대측에는 상기 볼트홀(515)에 대응되는 탭홀(517)이 관통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회동바(512)는 일측 종단부가 상기 상부블록(514) 및 하부블록(516)에 개재되도록 두께가 조정되어 구성되고, 상기 볼트홀(515)에 부합되는 볼트홀(522)이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볼트홀(425, 512)을 통과하여 상기 탭홀(427)에 체결되는 볼트(429)에 의해, 상기 플랜지(423)는 오므라지면서 상기 블록(511)을 압박하기도 하고, 벌어지면서 압박상태를 해제하기도 한다.
그리고, 상기 볼트홀(515, 522)을 통과하여 상기 탭홀(517)에 체결되는 볼트(519)에 의해, 상기 상부블록(514)과 하부블록(516)이 오므라지면서 상기 회동바(521)를 압박하게 되어 측방으로의 회동 각도를 고정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플랜지(423)의 내측면(M)과 상기 내측면(M)에 접하는 상기 블록(511)의 측면(L)에는 상호 부합하는 요철면(513)이 상기 볼트(429) 둘레를 따라 형성된다. 또한, 상부블록(514) 및 하부블록(516)에서 한쪽 또는 양쪽의 내측면(C)과 상기 내측면(C)에 접하는 상기 회동바(521)의 측면(G)에는 상호 부합하는 요철면(518)이 상기 볼트(519) 둘레를 따라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브래킷(510)과 회동바(521)의 회동이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각 요철면(513, 518)은 양쪽 또는 한쪽에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구성을 포함하는 본 발명은 도 7에서처럼, 상기 밴드(110)와 블록(120) 사이에 끼워지는 보조축(D)을 더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보조축(D)은 고정축(S)과 내측 백밀러(R) 사이에 개재되어 연결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사용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헤드(100)에서 밴드(110)를 블록(120)에서 분리 한 후, 상기 밴드(110)를 차량의 내측 백밀러(R)를 지지하는 고정축(S)에 걸쳐지게 한다. 그리고, 상기 밴드(110)의 양측 종단부가 상기 슬로트(123)에 삽입되도록 한 후, 상기 회전축(177)을 돌려서 상기 밴드(110)가 하강하도록 한다. 그러면, 밴드(110)와 상기 블록(120) 사이에 고정축(S)이 조여지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세트스크류(140)를 돌려서 상방으로 상승하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커버(160)가 상승하면서, 상기 고정축(S)을 압박하게 되면서 헤드(100)의 장착이 완료된다. 상기 세트스크류(140)에 의해서 헤드(100)가 고정축(S)에 완전 밀착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세트스크류(140)를 체결할 때에는 상기 랙(200)이 헤드(100)에서 분리된 상태에서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커버(160) 없이도 세트스크류(140) 만으로도 고정축(S)을 가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나, 상기 커버(160)를 구성하는 이유는 세트스크류(140)가 고정축(S)을 가압할 경우, 고정축(S)에 흠집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만약, 도 7에서처럼 상기 고정축(S)이 너무 짧거나 굽은 경우에는 상기 보조축(D)을 고정축(S)과 내측 백밀러(R) 사이에 연결하도록 한 후, 상기 보조축(D)에 상기 헤드(100)를 장착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상기 볼트(250)를 풀어서 랙(200)의 회동 각도를 조정한다. 그리고, 상기 볼트(250)를 죄게 되면, 상기 블록(120)의 하방에 돌출된 플랜지(150)가 랙(200)의 상부 종단부(205)를 압박하면서 랙(200)의 회동 각도가 고정된다. 이때, 상기 요철면(130)이 상호 부합되면서 랙(200)의 회동을 부차적으로 저지함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상기 바디(410)에 구성된 클로(413)를 바깥으로 회동시켜서 자유롭게 바디(410)를 상하 이송하도록 한다. 그리고, 적합한 높이가 되도록 한 후, 상기 클로(413)를 놓아서 상기 랙(200)의 이빨(210)에 걸리도록 하여 높이가 고정되도록 한다.
그리고, 도 6에서처럼, 상기 핑거(500)의 양쪽 후크(510)의 전방종단(530)이 통신 단말기(K)의 후면에 돌출된 부분(E)을 집게처럼 집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볼트(520)를 돌려서 양쪽 후크(510)가 돌출된 부분(E)을 압박하도록 한다.
따라서, 차량 내부에 견고하게 통신 단말기(K)를 고정할 수 있다.
상기 핑거(500)의 다른 실시예를 도 8 내지 도 10을 통해서 살펴보면, 상기 아암(400)의 하부에 구성된 플랜지(423)에 체결된 볼트(429)를 풀어서 상기 브래킷(510)의 회동이 자유롭도록 한 후, 적당한 회동 각도가 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볼트(429)를 죄어서 양쪽 플랜지(423)가 브래킷(510)의 블록(511)을 죄어서 압박함으로써 회동 각도가 유지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요철면(513)이 상호 부합됨으로써 부차적으로 상기 브래킷(510)이 회동하는 현상이 저지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블록(514)과 하부블록(516)에 체결된 볼트(519)를 풀어서 상기 회동바(521)의 회동 각도가 자유롭게 조정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볼트(519)를 돌려서 상부블록(514)과 하부블록(516)이 회동바(521)를 압박하여 회동 각도가 유지되도록 한다. 역시 요철면(518)의 부합으로 인해서 회동바(521)가 회동하는 현상을 부차적으로 저지한다.
이 상태에서 걸림부(530)의 하부종단(536)에 통신 단말기(K)의 하부를 걸친다. 그리고 상기 클로(533)를 당긴 후, 양쪽의 랙(527)을 안쪽으로 밀어 넣어서 가압바(529)가 통신 단말기(K)의 양측방을 압박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클로(533)가 삽입관(523)을 관통하여 상기 랙(527)의 이빨(528)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랙(527)의 이동이 저지된다. 그리고 가압바(529)의 하부 종단부(F)가 안쪽으로 굽어져 있으므로 통신 단말기(K)가 전방으로 이탈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상기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핑거(500)의 상하 좌우 회동이 자유롭게 가변이 가능함으로써 통신 단말기(K)를 다양한 각도로 조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00: 헤드 110: 밴드
115: 홀 120: 블록
125: 탭홀 127: 공간
130: 요철면 140: 세트스크류 150: 플랜지 154: 볼트홀 156: 탭홀 157: 접촉면 173: 나선축 175: 웜기어 177: 회전축 179: 웜 200: 랙 205: 상부 종단부 220: 볼트홀 210: 이빨
250: 볼트 400: 아암
410: 바디 411: 측면
413: 클로 415: 관통구
417: 탄성축 419: 돌기
423: 플랜지 425: 볼트홀
427: 탭홀 429: 볼트
500: 핑거 510: 브래킷
511: 블록 512: 볼트홀
513: 요철면 514: 상부블록
516: 하부블록 517: 탭홀
518: 요철면 520: 바이스
521: 회동바 522: 볼트홀
523: 삽입관 525: 측면
527: 랙 528: 이빨
529: 가압바 530: 걸림부
533: 클로 535: 관통구
536: 하부종단
115: 홀 120: 블록
125: 탭홀 127: 공간
130: 요철면 140: 세트스크류 150: 플랜지 154: 볼트홀 156: 탭홀 157: 접촉면 173: 나선축 175: 웜기어 177: 회전축 179: 웜 200: 랙 205: 상부 종단부 220: 볼트홀 210: 이빨
250: 볼트 400: 아암
410: 바디 411: 측면
413: 클로 415: 관통구
417: 탄성축 419: 돌기
423: 플랜지 425: 볼트홀
427: 탭홀 429: 볼트
500: 핑거 510: 브래킷
511: 블록 512: 볼트홀
513: 요철면 514: 상부블록
516: 하부블록 517: 탭홀
518: 요철면 520: 바이스
521: 회동바 522: 볼트홀
523: 삽입관 525: 측면
527: 랙 528: 이빨
529: 가압바 530: 걸림부
533: 클로 535: 관통구
536: 하부종단
Claims (6)
- 차량의 내측 백밀러(R)의 고정축(S)에 탈착되도록 구성된 헤드(100)와,
상기 헤드(100)의 하부에 회동하도록 힌지 연결되는 랙(200)과,
상기 랙(200)이 삽입되어 장착되고 상기 랙(200)의 하방으로 연장되어 통신 단말기(K)를 잡는 아암(400)을 포함하고,
상기 헤드(100)는 상기 고정축(S)에 걸려서 고정축(S)의 양쪽으로 내려오는 밴드(110)와,
상기 밴드(110)가 삽입되는 슬로트(123)가 상면(121)의 양쪽에 형성되고 상기 밴드(110)의 높낮이가 조정되는 블록(120)을 포함하고,
상기 블록(120)은 상기 슬로트(123) 사이의 상면(121)에서 하방으로 관통되는 탭홀(125)과,
상기 탭홀(125)의 하방에서 체결되어 상방으로 튀어나오는 세트스크류(140)를 포함하고,
상기 아암(400)은 상기 랙(200)이 상방에서 삽입되는 관 형상의 바디(410)와,
상기 바디(410)의 하부에서 전방으로 휘어지고 통신 단말기(K)를 집어서 압박하는 핑거(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용 거치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120)에서 상기 탭홀(125)의 양쪽으로 상기 슬로트(123)에 연결되도록 형성된 공간(127)과,
상기 공간(127)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블록(120)의 상면(121)과 하면(122)에 수직으로 지지되어 회전하는 나선축(173)과,
상기 나선축(173)의 하방에 나선축(173)과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된 웜기어(175)와,
상기 웜기어(175)에 맞물리도록 상기 공간(127)을 측방으로 관통하여 상기 블록(120)의 일측면에서 상대측면에 지지되어 회전하는 웜(179)과,
상기 밴드(110)에 상기 나선축(173)이 맞물리도록 홀(115)이 관통하고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용 거치대.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410)의 측면(411)에서 안쪽으로 관통되어 상기 랙(200)의 이빨(210)에 걸리고 상기 바디(410)에 연결되어 힘을 가하면 바깥으로 휘어지도록 구성된 클로(4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용 거치대.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500)는 상기 바디(410)의 하방에서 전방으로 휘어져서 연장되고 양쪽으로 벌어진 후크(510)와,
상기 후크(510)의 전방 종단(530)은 안쪽으로 굽어져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용 거치대.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500)는 상기 바디(410)의 하방에 회동하도록 장착된 브래킷(510)과,
상기 브래킷(510)에 회동하도록 장착된 바이스(520)를 포함하고,
상기 바이스(520)는 상기 브래킷(510)의 회동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상기 브래킷(510)에 힌지연결된 회동바(521)와,
상기 회동바(521)의 종단에 측방으로 길게 형성되고 양측방으로 개방된 삽입관(523)과,
상기 삽입관(523)의 양측으로 삽입되는 랙(527)과,
상기 랙(527)의 종단부에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통신 단말기(K)를 압박하도록 구성된 가압바(529)와,
상기 삽입관(523)에서 상기 랙(527)의 이빨(528)에 대응되는 측면(525)에서 안쪽으로 관통되어 상기 이빨(528)에 걸리고 상기 삽입관(523)에 연결되어 힘을 가하면 바깥으로 휘어지도록 구성된 클로(533)와,
상기 삽입관(523)의 하방으로 연장되고 하부의 종단(535)이 전방의 상방으로 굽어서 형성된 걸림부(5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용 거치대.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100)와 블록(120) 사이에 끼워져서 고정되는 보조축(D)이 구성되고,
상기 보조축(D)은 차량의 내측 백밀러(R)와 고정축(S) 사이에 개재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용 거치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20596A KR101162199B1 (ko) | 2011-03-08 | 2011-03-08 | 통신 단말기용 거치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20596A KR101162199B1 (ko) | 2011-03-08 | 2011-03-08 | 통신 단말기용 거치대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162199B1 true KR101162199B1 (ko) | 2012-07-05 |
Family
ID=46716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20596A KR101162199B1 (ko) | 2011-03-08 | 2011-03-08 | 통신 단말기용 거치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62199B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48095B1 (ko) * | 2015-01-16 | 2015-08-27 | 조형호 | 룸미러용 블랙박스 거치대 |
WO2016114483A1 (ko) * | 2015-01-16 | 2016-07-21 | 조민수 | 블랙박스 거치대 |
WO2018230802A1 (ko) * | 2017-06-13 | 2018-12-20 | (주)훠링 | 차량용 거치대 |
WO2018230801A1 (ko) * | 2017-06-13 | 2018-12-20 | (주)훠링 | 차량용 거치대 |
KR20210009615A (ko) * | 2019-07-17 | 2021-01-27 | 주식회사 뉴빛 | 룸미러용 전자기기 거치대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94757Y1 (ko) | 2005-06-25 | 2005-09-05 | 정영준 | 진공흡착판에 의한 거치장치 |
US20080296334A1 (en) | 2007-05-31 | 2008-12-04 | Carnevali Jeffrey D | Portable aviation clamp |
-
2011
- 2011-03-08 KR KR1020110020596A patent/KR101162199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94757Y1 (ko) | 2005-06-25 | 2005-09-05 | 정영준 | 진공흡착판에 의한 거치장치 |
US20080296334A1 (en) | 2007-05-31 | 2008-12-04 | Carnevali Jeffrey D | Portable aviation clamp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48095B1 (ko) * | 2015-01-16 | 2015-08-27 | 조형호 | 룸미러용 블랙박스 거치대 |
WO2016114483A1 (ko) * | 2015-01-16 | 2016-07-21 | 조민수 | 블랙박스 거치대 |
WO2018230802A1 (ko) * | 2017-06-13 | 2018-12-20 | (주)훠링 | 차량용 거치대 |
WO2018230801A1 (ko) * | 2017-06-13 | 2018-12-20 | (주)훠링 | 차량용 거치대 |
KR20210009615A (ko) * | 2019-07-17 | 2021-01-27 | 주식회사 뉴빛 | 룸미러용 전자기기 거치대 |
KR102443234B1 (ko) * | 2019-07-17 | 2022-09-23 | 주식회사 뉴빛 | 룸미러용 전자기기 거치대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62199B1 (ko) | 통신 단말기용 거치대 | |
US7731142B2 (en) | Tool-less mounting slide bracket | |
US8973992B2 (en) | Child safety seat | |
CA2493006A1 (en) | Gutter hanger | |
WO2006127826A3 (en) | Display mounting apparatus | |
US20050194498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mounting a flat panel display | |
JPH08192691A (ja) | 車輛用荷台の固定装置 | |
EP2369219A3 (fr) | Dispositif de fixation pour ecran plat | |
US7059734B1 (en) | Auxiliary rearview mirror mounting structure | |
US10710650B2 (en) | Spare tire holder | |
JP2006209043A (ja) | 薄型テレビ装置 | |
US797076A (en) | Picture-hanger. | |
US1504767A (en) | Mounting for windshield wings, etc. | |
EP1640526A2 (en) | Device for fixing awnings and the like | |
JPH09109956A (ja) | ドアキープスタンド | |
EP1767404B1 (en) | Auxiliary rearview mirror mounting arrangement | |
CN209562606U (zh) | 一种重力手机支架 | |
JP2000255346A (ja) | バッテリー保持装置 | |
CN220147250U (zh) | 一种车载挂架 | |
US6125514A (en) | Safety clamp | |
CN220096273U (zh) | 一种便于收线的车载挂架 | |
US7717386B2 (en) | Support arm with clamps for adjustably fastening a visual display | |
KR20080035713A (ko) | 차량용 거치대 | |
CN108413358A (zh) | 多功能警示灯 | |
CN109466462A (zh) | 驾驶室用壁挂式托架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