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0626B1 - 요동조립체 - Google Patents

요동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0626B1
KR101160626B1 KR1020100096794A KR20100096794A KR101160626B1 KR 101160626 B1 KR101160626 B1 KR 101160626B1 KR 1020100096794 A KR1020100096794 A KR 1020100096794A KR 20100096794 A KR20100096794 A KR 20100096794A KR 101160626 B1 KR101160626 B1 KR 1011606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urnal
rocking
lug
drive hub
swash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67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35338A (ko
Inventor
김경태
홍준혁
권상현
양승원
Original Assignee
한국델파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델파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델파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967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0626B1/ko
Publication of KR201200353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53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06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0626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요동사판식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요동메커니즘의 단순화 및 원가절감효과를 도모할 수 있는 요동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요동조립체는 상기 샤프트에 요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일측에는 2 이상의 연결부가 돌출하는 저널; 상기 저널측에 요동이 자유롭게 지지되는 요동사판; 및 상기 저널측에 연결핀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저널을 향행 돌출하는 2 이상의 러그를 가진 드라이브 허브;를 포함하고, 상기 저널의 연결부와 드라이브 허브의 러그는 서로 교대로 중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저널의 연결부와 상기 드라이브 허브의 러그 사이에는 연결핀이 가로질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요동조립체{WOBBLE ASSEMBLY}
본 발명은 요동사판식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요동메커니즘의 단순화 및 원가절감효과를 도모할 수 있는 요동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널리 주지된 바와 같이, 요동사판식 압축기는 샤프트의 회전운동을 요동사판의 요동으로 변환하는 요동조립체를 포함하고, 이 요동사판의 요동운동이 피스톤의 왕복운동으로 변환되어 냉매가스의 흡입, 압축, 배출 등을 행하도록 구성된다.
복수의 피스톤이 요동사판에 연결되고, 복수의 피스톤은 실린더블록 내에서 이동한다. 실린더블록은 그 내부에 복수의 피스톤을 개별적으로 수용하는 복수의 실린더보어를 가진다. 그리고, 요동사판은 차 실내의 냉방부하의 변화에 대응하여 그 요동경사각을 변화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즉, 차 실내의 냉방부하가 큰 상태에서는 요동사판의 요동경사각을 크게 함으로써 큰 압축용량을 얻을 수 있고, 차 실내의 냉방부하가 작은 상태에서는 요동사판의 요동경사각을 작게함으로써 작은 압축용량을 얻을 수 있다.
한편, 종래의 요동조립체는 사판측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한 모멘트를 러그가 전체적으로 지지하지 못하여 슬리브에서 일부 모멘트를 지지하고, 이로 인해 슬리브의 구조가 복잡해질 뿐만 아니라 스트로크의 제어가 용이하지 못한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요동조립체는 슬리브 및 러그가 하중 및 모멘트를 효과적으로 분산시키지 못함에 따라 그 마모가 심하게 발생하여 그 가변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여 성능 손실이 크게 발생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사판 측에 가해지는 하중 및 모멘트를 효과적으로 분산함으로써 슬리브 구조를 단순화 또는 삭제가 가능하고, 이를 통해 원가 절감 및 조립이 간편해지는 요동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샤프트의 회전운동을 요동사판의 요동운동으로 변환하는 요동조립체로서,
상기 요동조립체는,
상기 샤프트에 요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일측에는 2 이상의 연결부가 돌출하는 저널;
상기 저널측에 요동이 자유롭게 지지되는 요동사판; 및
상기 저널측에 연결핀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저널을 향해 돌출하는 2 이상의 러그를 가진 드라이브 허브;를 포함하고,
상기 저널의 연결부와 드라이브 허브의 러그는 서로 교대로 중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저널의 연결부와 상기 드라이브 허브의 러그 사이에는 연결핀이 가로질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부는 제1 및 제2 연결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연결부들 사이는 이격되며, 상기 러그는 제1 및 제2 러그로 구성되며, 상기 제1러그는 상기 제1 및 제2 연결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러그는 제2연결부의 측면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드라이브 허브에는 제1러그에서 이격되어 돌출된 모멘트지지부를 가지고, 상기 모멘트지지부는 상기 저널의 제1연결부의 측면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드라이브 허브 및 저널이 제1 및 제2 러그, 제1 및 제2 연결부가 연결핀에 의해 2중으로 연결됨에 따라 사판측에 가해지는 하중 및 모멘트가 효과적으로 분산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모멘트지지부에 의해 드라이브 허브 및 저널의 연결구조(러그 및 연결부) 상에 모멘트를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슬리브 구조의 단순화 내지는 슬리브의 생략이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동조립체가 설치된 요동사판식 압축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요동조립체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동사판식 압축기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동사판식 압축기(10)는 실린더블록(11)을 포함하고, 실린더블록(11)은 그 내부에 복수의 실린더보어(11a)를 가진다. 실린더블록(11)의 전방에는 전방하우징(12)이 설치되고, 전방하우징(12)의 내부에는 크랭크실(14)이 형성되며, 크랭크실(14)은 복수의 실린더보어(11a)와 소통가능하다. 실린더블록(11)의 후방에는 후방하우징(13)이 설치되고, 실린더블록(11)과 후방하우징(13) 사이에는 흡입챔버(17a) 및 배출챔버(17b)가 형성되며, 흡입챔버(17a)와 배출챔버(17b)는 환형격벽(17c)에 의해 동심원구조 형성된다. 또한, 후방하우징(13)의 내부 일측에는 밸브제어기구(30)가 설치되고, 이 밸브제어기구(30)는 흡입챔버(17a) 내의 압력 변화에 따라 크랭크실(14)과 흡입챔버(17a) 사이를 연통시키거나 차단함으로써 크랭크실(14) 내의 압력을 조절한다. 이러한 밸브제어기구(30)에 의한 크랭크실(14)의 압력 조절을 통해 후술하는 요동사판(28)의 경사각이 변화되어 압축기의 작동용량이 가변될 수 있다.
실린더블록(11)의 중심부에는 샤프트(21)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샤프트(21)는 실린더블록(11)의 크랭크실(14) 및 전방하우징(12)을 관통하여 설치된다. 샤프트(21)는 전방하우징(12)의 단부에 설치된 전자클러치(미도시)에 의해 회전구동한다.
크랭크실(14) 내에 본 발명에 의한 요동조립체(20)가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동조립체(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21)에 요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저널(22), 저널(22)측에 요동이 자유롭게 지지되는 요동사판(28, wobble plate), 저널(22)측에 연결핀(26)을 통해 연결되는 드라이브 허브(23)를 포함한다.
저널(22)의 일측에는 제1 및 제2 연결부(22a, 22b)가 각각 돌출하고, 제1 및 제2 연결부(22a, 22b)들 사이는 이격되어 있다.
드라이브 허브(23)의 일측에는 제1 및 제2 러그(23a, 23b)가 저널(22)을 향해 돌출하고, 드라이브 허브(23)의 러그(23a, 23b)들과 저널(22)의 연결부(22a, 22b)는 교대로 중첩되게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제1러그(23a)는 제1 및 제2 연결부(22a, 22b) 사이에 배치되고, 제2러그(23b)는 제2연결부(22b)의 측면과 접촉한다.
그리고, 저널(22)의 연결부(22a, 22b)들과 드라이브 허브(23)의 러그(23a, 23b)들을 가로질러 연결핀(26)이 강제압입 방식으로 삽입됨으로써 저널(22)과 드라이브 허브(23)가 연결된다.
또한, 드라이브 허브(23)는 제1러그(23a)에서 원주방향으로 이격되어 돌출된 모멘트지지부(23c)를 가지고, 모멘트지지부(23c)는 저널(22)의 제1연결부(22a)의 측면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드라이브 허브(23) 및 저널(22)이 제1 및 제2 러그(23a, 23b), 제1 및 제2 연결부(22a, 22b)가 연결핀(26)에 의해 2중으로 연결됨에 따라 사판(28)측에 가해지는 하중 및 모멘트가 효과적으로 분산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모멘트지지부(23c)에 의해 드라이브 허브(23) 및 저널(22)의 연결구조(러그 및 연결부) 상에 모멘트를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슬리브 구조의 단순화 내지는 슬리브의 생략이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10: 요동사판식 압축기 11: 실린더블록
12: 전방하우징 13: 후방하우징
20: 요동조립체 21: 샤프트
22: 저널 23: 드라이브 허브
26: 연결핀

Claims (3)

  1. 샤프트의 회전운동을 요동사판의 요동운동으로 변환하는 요동조립체로서,
    상기 요동조립체는
    상기 샤프트에 요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일측에는 2 이상의 연결부가 돌출하는 저널;
    상기 저널측에 요동이 자유롭게 지지되는 요동사판; 및
    상기 저널측에 연결핀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저널을 향해 돌출하는 2 이상의 러그를 가진 드라이브 허브;를 포함하고,
    상기 저널의 연결부와 드라이브 허브의 러그는 서로 교대로 중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저널의 연결부와 상기 드라이브 허브의 러그 사이에는 연결핀이 가로질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동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제1 및 제2 연결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연결부들 사이는 이격되며, 상기 러그는 제1 및 제2 러그로 구성되며, 상기 제1러그는 상기 제1 및 제2 연결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러그는 제2연결부의 측면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동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브 허브에는 제1러그에서 이격되어 돌출된 모멘트지지부를 가지고, 상기 모멘트지지부는 상기 저널의 제1연결부의 측면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동조립체.
KR1020100096794A 2010-10-05 2010-10-05 요동조립체 KR1011606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6794A KR101160626B1 (ko) 2010-10-05 2010-10-05 요동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6794A KR101160626B1 (ko) 2010-10-05 2010-10-05 요동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5338A KR20120035338A (ko) 2012-04-16
KR101160626B1 true KR101160626B1 (ko) 2012-06-28

Family

ID=46137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6794A KR101160626B1 (ko) 2010-10-05 2010-10-05 요동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06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4997A (ko) * 2013-08-28 2015-03-10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가변 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93966A (ja) 2001-12-12 2003-07-09 Halla Aircon Co Ltd 可変容量型斜板式圧縮機の駆動軸と斜板アセンブリとの結合構造
JP2008128134A (ja) 2006-11-22 2008-06-05 Sanden Corp 斜板式可変容量圧縮機
JP2010144589A (ja) 2008-12-17 2010-07-01 Sanden Corp 可変容量圧縮機のローターと斜板のリンク機構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93966A (ja) 2001-12-12 2003-07-09 Halla Aircon Co Ltd 可変容量型斜板式圧縮機の駆動軸と斜板アセンブリとの結合構造
JP2008128134A (ja) 2006-11-22 2008-06-05 Sanden Corp 斜板式可変容量圧縮機
JP2010144589A (ja) 2008-12-17 2010-07-01 Sanden Corp 可変容量圧縮機のローターと斜板のリンク機構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4997A (ko) * 2013-08-28 2015-03-10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가변 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KR102006340B1 (ko) * 2013-08-28 2019-08-02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가변 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5338A (ko) 2012-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24874A (ko) 가변용량 압축기
KR100318772B1 (ko) 가변용량 사판식 압축기
KR101160626B1 (ko) 요동조립체
US6276904B1 (en) Variable capacity refrigerant compressor having an inclination limiting means to interrupt compressive forces on a hinge mechanism
US8196506B2 (en) Variable stroke compressor design
KR20120134859A (ko) 압축기
KR20090118513A (ko) 사판식 압축기
KR102006341B1 (ko) 가변 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US10253764B2 (en) Two-way wobble plate compressor
KR101644316B1 (ko) 사판식 압축기
KR100963936B1 (ko) 사판식 압축기
WO2024018829A1 (ja) 圧縮機
KR101757343B1 (ko) 용량가변형 압축기의 용량제어밸브
JP6052016B2 (ja) 容量可変型斜板式圧縮機
KR101776338B1 (ko) 사판식 압축기
KR102032397B1 (ko) 사판식 압축기
KR101197922B1 (ko) 압축기
KR101599546B1 (ko)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KR102006340B1 (ko) 가변 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KR20130110472A (ko) 가변 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KR101030213B1 (ko) 사판식 압축기
KR100605144B1 (ko) 용량 가변형 양두 사판식 압축기
KR101631211B1 (ko) 용량 가변형 사판식 압축기
JP2010024892A (ja) 可変容量コンプレッサ
WO2016140106A1 (ja) 可変容量型斜板式圧縮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