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0506B1 - 곡선형 벽체용 연결재 및 이를 이용한 곡선형 벽체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곡선형 벽체용 연결재 및 이를 이용한 곡선형 벽체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0506B1
KR101160506B1 KR1020100121970A KR20100121970A KR101160506B1 KR 101160506 B1 KR101160506 B1 KR 101160506B1 KR 1020100121970 A KR1020100121970 A KR 1020100121970A KR 20100121970 A KR20100121970 A KR 20100121970A KR 101160506 B1 KR101160506 B1 KR 1011605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ved
curved wall
connecting member
wall
abdom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1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0453A (ko
Inventor
김이현
박주남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001219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0506B1/ko
Publication of KR201200604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04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05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05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1/00Lining tunnels, galleries or other underground cavities, e.g. large underground chambers; Linings therefor; Making such linings in situ, e.g. by assembling
    • E21D11/40Devic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or placing units of linings or supporting units for tunnels or gallerie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1/00Lining tunnels, galleries or other underground cavities, e.g. large underground chambers; Linings therefor; Making such linings in situ, e.g. by assembling
    • E21D11/04Lining with building materials
    • E21D11/08Lining with building materials with preformed concrete slab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1/00Lining tunnels, galleries or other underground cavities, e.g. large underground chambers; Linings therefor; Making such linings in situ, e.g. by assembling
    • E21D11/14Lining predominantly with metal
    • E21D11/18Arch members ; Network made of arch members ; Ring elements; Polygon elements; Polygon elements inside arches
    • E21D11/20Special cross- sections, e.g. corrugated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1/00Lining tunnels, galleries or other underground cavities, e.g. large underground chambers; Linings therefor; Making such linings in situ, e.g. by assembling
    • E21D11/38Waterproofing; Heat insulating; Soundproofing; Electric insulating
    • E21D11/385Sealing means positioned between adjacent lining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Lining And Supports For Tunnels (AREA)

Abstract

터널 구조물의 내측면과 같은 곡선 부위에 대응하는 곡선형 벽체를 준비하고, 상기 곡선형 벽체를 보다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곡선형 벽체용 연결재 및 이를 이용한 곡선형 벽체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상기 곡선형 연결재는 상부플랜지, 복부 및 하부플랜지로 구성되며 곡선형 벽체의 일측면이 상기 복부에 접하면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상부 및 하부플랜지 사이에 끼워져 설치되도록 하되 곡선형으로 휘어진 I형강 및 H형강을 포함하는 곡선형 연결재; 및 상기 곡선형 벽체와 복부 사이에 형성된 탄성재질의 완충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곡선형 벽체용 연결재 및 이를 이용한 곡선형 벽체 시공방법{CONNECTION MEMBER FOR CURVED PANNEL AND CURVED WALL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곡선형 벽체용 연결재 및 이를 이용한 곡선형 벽체 시공방법에 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터널 구조물의 내측면과 같은 곡선 부위에 대응하는 곡선형 벽체를 준비하고, 상기 곡선형 벽체를 보다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곡선형 벽체용 연결재 및 이를 이용한 곡선형 벽체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 부재의 제작방식은 크게 프리캐스트 방식과 현장타설 방식이 이용된다.
먼저, 현장타설 방식은 현장에서 구조물이 설치되어야 형상 및 위치에 따라 동바리, 비계와 같은 가시설을 설치하고, 상기 거푸집 내부에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을 통하여 최종 콘크리트 구조물을 시공하는 방식이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가시설의 설치 및 해체, 콘크리트의 타설 및 양생작업, 철근의 배근작업등이 수반되므로 아무래도 품질 및 시공관리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현장타설 방식은 특히 대규모 구조물 시공의 경우 비용이 절감될 수 있으므로 최근에도 많이 이용되는 방식이라 할 수 있다.
반면에, 프리캐스트 방식은 미리 구조물의 형태 및 크기에 따라 공장에서 미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를 제작하고, 이를 현장에 운반하여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를 서로 연결 시공하는 방식으로 시공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때,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를 연결하는 방식은 다양한 방식이 이용되는데, 가장 보편적으로 이용하는 것이 앵커볼트와 너트를 이용한 기계적 체결방식이다.
예컨대, 콘크리트 부품을 연결하는 연결기(10)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연결기(10)가 장착되는 제 1, 제 2 콘크리트부품(PC1, PC2)은 수로나 옹벽 등의 콘크리트구조물을 구축하기 위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부품이다.
이러한 연결기(10)는 수커플러(11), 암커플러(12), 스토퍼(13) 및 고정나사(14)에 의하여 제 1 콘크리트부품(PC1)과 제 2 콘크리트부품(PC2)을 상호 연결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연결방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제 1 콘크리트부품(PC1)과 제 2 콘크리트부품(PC2)을 서로 연결할 때에는 제 1 콘크리트부품(PC1)의 연결면(PC1a)과 제 2 콘크리트부품(PC2)의 연결면(PC2a)을 도시 생략한 패킹을 거쳐 조합시킨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제 1 콘크리트부품(PC1)의 오목부(FP1)와 제 2 콘크리트부품(PC2)의 오목부(FP1)와의 위치는 대략 일치하고 있기 때문에 서로의 연결면(PC1a와 PC2a)을 조합시킨 상태에서는 오목부(FP1)내에서 노출되는 수나사부(ET1)의 축선(CL1)과 오목부(FP2)내에서 노출되는 수나사부(ET2)의 축선(CL2)은 대략 일직선이 된다.
다음으로는 상기 수커플러(11)를 손끝으로 유지한 상태에서 암커플러(12)를 손끝으로 돌려 그 암나사 구멍(12a)을 수커플러(11)의 수나사부(11a)에 나사결합한다.
이와 같이 손끝에 의한 나사결합이 곤란하게 된 곳에서 수커플러(11)의 공구 걸어맞춤부(11e)에 이것에 적합한 체결 공구를 걸어맞추어 유지한 상태로, 암커플러(11)의 공구 걸어맞춤부(12e)에 이것에 적합한 체결 공구를 걸어맞추어 수커플러(11)에 대한 암커플러(12)의 나사결합을 계속한다.
이에 의하여 상기 수커플러(11)를 통하여 제 1 콘크리트부품(PC1)의 연결로 드(CR1)에 굵은 화살표로 나타내는 끌어 당김력이 부여됨과 동시에, 암커플러(12) 및 걸어멈춤부(12c)에 걸어맞춘 스토퍼(13)를 통하여 제 2 콘크리트부품(PC2)의 연결로드(CR2)에 굵은 화살표로 나타내는 끌어 당김력이 부여되어 제 1 콘크리트부품(PC1)의 연결면(PC1a)과 제 2 콘크리트부품(PC2)의 연결면(PC2a)이 패킹을 거쳐 압접하고, 상기 압접상태 그대로 제 1 콘크리트부품(PC1)과 제 2 콘크리트부품(PC2)이 연결되도록 하게 된다.
상기 암커플러(12)의 삽입구멍(12b)과 이 삽입구멍(12b)에 삽입된 수나사부(ET2)와의 사이에는 고리형상의 간극(여유)이 존재하고, 이 여유에 의하여 암커플러(12)의 위치를 수나사부(ET2)의 축선(CL2)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미세 조정할 수 있으므로 제 1 콘크리트부품(PC1)과 제 2 콘크리트부품(PC2)을 조합시킨 상태에서 수나사부(ET1)의 축선(CL1)과 수나사부(ET2)의 축선(CL2)에 어긋남이 있는 경우에도 상기한 여유를 이용하여 수커플러(11)에 대한 암커플러(12)의 나사결합을 적절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나사결합시에 있어서 암커플러(12)의 이동량을 걸어멈춤부(12c)가 스토퍼(13)에 접함으로써 제한하도록 하고, 또한 이 스토퍼(13)를 고정나사(14)에 의해 연결로드(CR2)의 수나사부(ET2)에 고정하고, 고정너트 캡(160a)의 잠금수단(16)을 통해 고정나사(14) 또는 압입핀(15)이 빠지는 것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수커플러(11)에 대한 암커플러(12)의 나사결합작업이 완료된 후는 수커플러(11) 측의 록너트(RN)를 렌치 등의 체결공구를 사용하여 세게 조여 수커플러(11)에 압접시킴과 동시에, 암커플러(12)측의 록너트(RN)를 렌치 등의 체결공구를 사용하여 세게 조여 암커플러(12)에 압접시킨다.
그리고 다음은 암커플러(12)의 관통구멍(12d)으로부터 연결기(10)내의 공간에 에폭시수지계 등의 경화재를 주입하고, 서로 연속된 오목부(FP1)내와 오목부(FP2)내에 모르타르 등의 경화재를 충전한다.
하지만 이와 같은 커플러 등을 이용하는 부재의 연결방법은 연결기의 설치개수가 많아져 시공성이 떨어질 수 밖에 없었다.
도 2는 특히 암거와 같은 박스구조물의 연결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즉, 2개의 박스구조물을 연결블록(21)과 미도시된 연결볼트를 이용하여 2개의 구조물을 연결하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은 별도의 연결블록(21)을 형성시켜야 하므로 제작이 용이하지 않고, 미관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3은 특허 본 발명과 관련하여 터널구조물과 같은 곡선형 구조물(40)에 있어 내측면에 설치되는 콘크리트 벽체구조물의 연결상세이다.
즉, 전체적으로 반원형으로 시공되는 터널 내측 콘크리트 벽체구조물은 단면크기상 크게 곡선형 콘크리트 벽체구조물을 시공하기 위하여 2개의 곡선형 세그먼트 콘크리트 벽체구조물(41,42)로 구분하여 서로 연결시켜야 하는데 연결부위는 단순히 전단키(D) 형태로 서로 기계적으로 맞물려 설치하도록 함을 알 수 있다.
이에 연결부위의 압착을 위하여 연결부위를 관통하는 연결긴장재(43)를 이용함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하부 곡선형 세그먼트 콘크리트 벽체구조물에 얹어지는 방식으로 상부 곡선형 세그먼트 콘크리트 벽체구조물을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사실상 시공성이 떨어질 수 밖에 없고 연결부위에 대한 품질관리가 용이하지 않을 수 밖에 없었다.
이에 본 발명은 특히 곡선형 벽체를 보다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곡선형 연결재를 제공하도록 하되, 상기 곡선형 연결재는 곡선형 벽체를 끼워 설치할 수 있는 형강제품을 사용하도록 하여 제작 및 설치가 용이하도록 하고, 곡선형 벽체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완충시킬 수 있는 탄성재질의 완충재를 곡선형 연결재에 장착하여 시공성 및 작업성이 뛰어나고 하중에 대한 완충효과를 가질 수 있는 곡선형 벽체용 연결재 및 이를 이용한 곡선형 벽체 시공방법 제공을 해결하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로 한다.
이에 본 발명은
첫째, 곡선형 벽체를 수용할 수 있는 곡선형 연결재를 제공하게 되는데 이러한 곡선형 연결재는 상부,하부 플랜지 및 복부로 구성된 I형강 등의 제품을 그대로 이용하도록 하되, 상기 곡선형 벽체가 I형강에 끼워져 설치되도록 하였다.
이에 상기 곡선형 연결재를 예컨대 터널구조물의 내측면에 먼저 설치하고, 상기 곡선형 벽체를 끼워 설치하도록 함으로써 벽체 시공이 매우 효율적이되도록 하였다.
둘째, 상기 곡선형 연결재의 복부에는 탄설재질의 완충재를 형성시켜 곡선형 벽체 시공시 전달되는 시공하중 등으로 인하여 곡선형 연결재에 충격 등에 의한 영향이 미치지 않도록 하였다.
셋째, 상기 곡선형 벽체와 곡선형 연결재에 있어 우수 등의 침투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곡선형 연결재의 내구성 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상부플랜지, 복부 및 하부플랜지로 구성되며 곡선형 벽체의 일측면이 상기 복부에 접하면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상부 및 하부플랜지 사이에 끼워져 설치되도록 하되 곡선형으로 휘어진 I형강 및 H형강을 포함하는 곡선형 연결재; 및 상기 곡선형 벽체와 복부 사이에 형성된 탄성재질의 완충재;를 포함하는 곡선형 벽체용 연결재를 제공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곡선형 벽체의 상,하면이 접하는 상부,하부플랜지의 표면에는 홈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홈에는 지수재 또는 캐스킷이 형성되도록 하는 곡선형 벽체용 연결재를 제공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곡선형 연결부재는 2개의 곡선형 연결부재가 서로 교차하여 십자형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곡선형 벽체용 연결재를 제공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터널 내측면을 포함하는 곡선형 구조물을 형성시키고,
곡선형 벽체를 준비하고,
상기 곡선형 구조물에 상부플랜지, 복부 및 하부플랜지로 구성되며 I형강 또는 H형강을 곡선형으로 휘어져 형성시킨 곡선형 연결재를 설치하고,
상기 곡선형 연결재의 복부표면에 탄성재질의 완충재를 형성시키고,
상기 곡선형 연결재의 완충재에 곡선형 벽체의 일측면이 접하면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상부 및 하부플랜지 사이에 끼워져 설치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곡선형 벽체용 연결재를 이용한 곡선형 벽체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곡선형 벽체의 상,하면이 접하는 상부,하부플랜지의 표면에는 홈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홈에는 지수재 또는 캐스킷이 형성되도록 하는 곡선형 벽체용 연결재를 이용한 곡선형 벽체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곡선형 연결부재는 곡선형 구조물의 내측면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횡방향 곡선형 연결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횡방향 곡선형 연결부재의 중앙 상부를 교차하여 곡선형 연결부재가 교차하도록 종방향 곡선형 연결부재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곡선형 연결부재가 십자형으로 설치되도록 하는 곡선형 벽체용 연결재를 이용한 곡선형 벽체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여 특히 곡선형 구조물에 대응한 곡선형 벽체를 보다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되며, 충격하중 등에 대한 완충처리가 가능하게 되고 우수 등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어 내구성이 뛰어나며 시공성 및 작업성이 뛰어난 곡선형 벽체용 연결재 및 이를 이용한 곡선형 벽체 시공방법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 프리캐스트 부재를 커플러를 이용하여 연결한 시공단면도,
도 2는 종래 박스구조물의 사시도,
도 3은 종래 터널구조물의 시공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곡선형 연결재의 제작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다른 곡선형 연결재의 제작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곡선형 연결재와 곡선형 벽체의 조립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곡선형 연결재 시공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 본 발명에 의한 곡선형 연결재(100) >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곡선형 연결재(100)의 사시도이다.
상기 곡선형 연결재(100)는 크게 상부플랜지(110), 복부(120) 및 하부플랜지(13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통상의 I형강 또는 H형강을 절곡시켜 즉 곡선형으로 휘어지도록 제작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곡선형 연결재(100)는 소정의 곡률을 가지도록 굴곡되어 곡선형으로 휘어지도록 제작하게 되는데 이러한 휘어지는 정도는 도 6과 같이 곡선형 벽체(200)가 설치되는 터널 구조물 내측면(300, 곡선형 구조물)의 모양 또는 형상에 따라 정해지게 될 것이다.
이때 상기 복부(120)에는 탄성재질의 완충재(140)가 형성되어 있다 예컨대 고무판이 이용될 수 있으며 에폭시를 이용하여 양 복부(120)에 부착시켜 형성시키면 된다.
이러한 탄성재질의 완충재(140)는 접하는 부재(곡선형 벽체(200))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흡수하여 상기 하중을 완충시켜 곡선형 연결재(100)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탄성재질의 완충재(140)는 복부(120)을 따라 곡선형 연결재(100)의 길이방향으로 연속 또는 이격시켜 설치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곡선형 벽체(200)의 상,하면이 접하는 곡선형 연결재(100)의 상부,하부플랜지(110,130)의 표면(저면, 상면)에는 홈(150)이 적어도 1개 이상 형성된다.
이러한 지수재용 홈(150)에는 지수재 또는 캐스킷(GASKET)이 형성되어 곡선형 벽체(200)로 침투되는 유수등이 곡선형 연결재(100)의 내측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여 곡선형 연결재(100)의 부식 등을 방지하여 내구성이 증진되도록 하게 된다.
이러한 곡선형 연결재(100)는 예컨대 터널 구조물의 내측면에 대응하여 제작 및 운반을 고려하여 일정한 길이를 가지도록 하여 상기 내측면에 반원형 등의 형태로 설치하게 되는데 이는 통상의 앵커볼트 등을 이용하면 된다.
또한 곡선형 벽체(200)가 상기 곡선형 연결재(100)에 삽입되어 설치되기 때문에 곡선형 벽체(200)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는데 이를 도시한 것이 도 5이다.
즉, 도 5와 같이 이러한 곡선형 연결재(100)는 십자형으로 설치되도록 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곡선형 연결재(100)는 2개의 곡선형 연결부재(100a,100b)가 서로 교차하여 십자형으로 형성되도록 함을 알 수 있다.
이렇게 제작하면 1개의 곡선연결재(100)에 의하여 4개의 곡선형 벽체(200)가 설치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어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곡선형 벽체 설치가 가능하게 된다.
곡선형 벽체(200)는 예컨대 철근콘크리트 벽체로써 일정한 두께를 가진 곡선형 패널부로써 터널구조물 내측면에 설치될 수 있는 일정한 크기로 제작될 수 있을 것이다.
도 6은 상기 곡선형 벽체(200)가 곡선형 연결재(100)에 설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인데, 길이방향(종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된 반원형 형태로써 횡방향 곡선형 연결재(100a)가 다수가 연결 설치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상기 반원형 형태의 횡방향 곡선형 연결재(100a)의 천정부를 교차하여 길이방향으로 연장 설치되는 다수의 종방향 곡선형 연결재(100b)로 일종의 뼈대 구조물로 곡선형 연결재(100;100a, 100b)가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상기 곡선형 연결재(100)에 다수의 곡선형 벽체(200)가 끼워져 설치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물론 곡선형 벽체들은 전단키 등의 기계적 물림작용으로 서로 일체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 곡선형 연결재 시공방법 >
먼저 도 7과 같이 터널 내측면을 포함하는 곡선형 구조물(300)을 형성시키게 된다.
이는 지반을 굴착하여 막장을 형성시켜 시공할 수 있다.
물론 상기 곡선형 구조물(300)은 다양한 구조물의 형태로 설치될 수 있지만, 도 2와 같은 터널구조물을 기준으로 살펴본다.
상기 곡선형 구조물(300)은 도 2와 같이 내측 막장이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내측면에 벽체를 설치하려면 상기 내측면에 대응하는 곡선형 벽체가 설치되어야 한다.
이에 상기 곡선형 벽체(200)는 제작, 운만 및 설치를 고려하여 일정한 크기로 제작하게 되고, 이러한 곡선형 벽체(200)를 보다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본 발명의 곡선형 연결재(100)이다.
이에 상기 곡선형 구조물(300)에 상부플랜지(110), 복부(120) 및 하부플랜지(130)로 구성되며 I형강 또는 H형강을 곡선형으로 휘어져 형성시킨 곡선형 연결재(100)를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곡선형 연결재(100)는 도 7과 같이 최종 상기 터널 구조물의 내측면에 조립 설치하게 될 것이며, 상기 곡선형 연결재(100)는 I형강 등을 이용하기 때문에 앵커볼트와 같은 고정구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상기 곡선형 연결재(100)의 설치가 완료되면 끼워 설치하는 방식으로 곡선형 벽체(200)를 시공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곡선형 벽체(200)의 설치과정에서 곡선형 연졀재(100)를 타격할 수 있고 이에 곡선형 연결재(100)가 변형되거나 위치가 변경될 수 있으므로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곡선형 연결재(100)의 복부에는 탄성재질의 완충재(140)가 설치되어 있어 곡선형 벽체(200)의 설치과정의 충격하중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이에 상기 곡선형 벽체(200)를 곡선형 연결재(100)에 도 6과 같이 1개씩 끼워 설치하여 최종 곡선형 벽체(200) 설치를 완료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상기 곡선형 연결재(100)에는 홈(150)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홈(150)에 설치된 지수재 또는 개스킷에 의하여 곡선형 벽체(200)를 따라 침투하는 유수 등의 지수성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100,100a,100b: 곡선형 연결재
110: 상부플랜지
120: 복부
130: 하부플랜지
140: 완충재
150: 홈
200: 곡선형 벽체
300: 곡선형 구조물

Claims (6)

  1. 상부플랜지, 복부 및 하부플랜지로 구성되며 곡선형 벽체의 일측면이 상기 복부에 접하면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상부 및 하부플랜지 사이에 끼워져 설치되도록 하되 곡선형으로 휘어진 I형강 및 H형강을 포함하는 곡선형 연결재; 및
    상기 곡선형 벽체와 복부 사이에 형성된 탄성재질의 완충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선형 벽체용 연결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곡선형 벽체의 상,하면이 접하는 상부,하부플랜지의 표면에는 홈이 더 형성되며, 상기 홈에는 지수재가 더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선형 벽체용 연결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곡선형 연결부재는 2개의 곡선형 연결부재가 서로 교차하여 십자형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선형 벽체용 연결재.
  4. 터널 내측면을 포함하는 곡선형 구조물을 형성시키고,
    곡선형 벽체를 준비하고,
    상기 곡선형 구조물에 상부플랜지, 복부 및 하부플랜지로 구성되며 I형강 또는 H형강을 곡선형으로 휘어져 형성시킨 곡선형 연결재를 설치하고,
    상기 곡선형 연결재의 복부표면에 탄성재질의 완충재를 형성시키고,
    상기 곡선형 연결재의 완충재에 곡선형 벽체의 일측면이 접하면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상부 및 하부플랜지 사이에 끼워져 설치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선형 벽체용 연결재를 이용한 곡선형 벽체 시공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곡선형 벽체의 상,하면이 접하는 곡선형 연결재의 상부,하부플랜지의 표면에는 홈을 미리 형성시키고, 상기 홈에는 지수재 또는 개스킷이 더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선형 벽체용 연결재를 이용한 곡선형 벽체 시공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곡선형 연결부재는 곡선형 구조물의 내측면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횡방향 곡선형 연결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횡방향 곡선형 연결부재의 중앙 상부를 교차하여 곡선형 연결부재가 교차하도록 종방향 곡선형 연결부재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곡선형 연결부재가 십자형으로 설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선형 벽체용 연결재를 이용한 곡선형 벽체 시공방법.
KR1020100121970A 2010-12-02 2010-12-02 곡선형 벽체용 연결재 및 이를 이용한 곡선형 벽체 시공방법 KR1011605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1970A KR101160506B1 (ko) 2010-12-02 2010-12-02 곡선형 벽체용 연결재 및 이를 이용한 곡선형 벽체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1970A KR101160506B1 (ko) 2010-12-02 2010-12-02 곡선형 벽체용 연결재 및 이를 이용한 곡선형 벽체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0453A KR20120060453A (ko) 2012-06-12
KR101160506B1 true KR101160506B1 (ko) 2012-06-28

Family

ID=46611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1970A KR101160506B1 (ko) 2010-12-02 2010-12-02 곡선형 벽체용 연결재 및 이를 이용한 곡선형 벽체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05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6860B1 (ko) 2015-05-07 2016-03-07 한국철도기술연구원 곡선부 프리캐스트 벽체 제작을 위한 가변형 형틀장치, 그 형틀장치를 이용한 곡선부 프리캐스트 벽체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작된 곡선부 프리캐스트 벽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15698A (ja) * 1998-03-04 1999-11-16 Nippon Steel Corp 鋼殻セグメント
KR100718796B1 (ko) * 2006-08-12 2007-05-16 최남순 조립식 경량 터널 방음벽
KR100998361B1 (ko) * 2010-06-18 2010-12-06 주식회사 한조엔지니어링 누음 방지용 방음터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15698A (ja) * 1998-03-04 1999-11-16 Nippon Steel Corp 鋼殻セグメント
KR100718796B1 (ko) * 2006-08-12 2007-05-16 최남순 조립식 경량 터널 방음벽
KR100998361B1 (ko) * 2010-06-18 2010-12-06 주식회사 한조엔지니어링 누음 방지용 방음터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6860B1 (ko) 2015-05-07 2016-03-07 한국철도기술연구원 곡선부 프리캐스트 벽체 제작을 위한 가변형 형틀장치, 그 형틀장치를 이용한 곡선부 프리캐스트 벽체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작된 곡선부 프리캐스트 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0453A (ko) 2012-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4298305B2 (en) Method for erecting a structure made of prefabricated concrete elements and associated structure
JP2008223225A (ja) 柱部材、ufc製プレキャスト型枠および当該ufc製プレキャスト型枠を用いた柱部材の耐震補強方法
KR101327388B1 (ko) 휨 모멘트 및 정 모멘트 저항력 확대구조를 갖는 상하 2분할 조립식 피씨 구조물용 피씨 월
KR101211691B1 (ko) 거셋연결판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구조용 빔
KR20220123926A (ko) 인터러킹 전단연결재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슬래브 및 이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KR101299008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교각용 수직 전단 연결재
KR101160506B1 (ko) 곡선형 벽체용 연결재 및 이를 이용한 곡선형 벽체 시공방법
KR20180090230A (ko) 콘크리트 기둥 내진장치 및 그 방법
CN107023020B (zh) 深基坑装配式组合钢结构水平内支撑体系及其施工方法
JP2009114755A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柱部材の接合構造、及び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柱部材の接合方法
KR101309100B1 (ko) 세그먼트용 체결장치
KR20150131904A (ko) 긴장 겸용 강재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그레이팅용 수로 세그먼트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991938B1 (ko) 콘크리트 기둥 내진 보강장치 및 그 방법
KR200407613Y1 (ko) 볼트 체결 구조를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
JP6026794B2 (ja) 鉄骨柱の柱脚構造
KR20180090231A (ko) 콘크리트 기둥 내진장치 및 그 방법
KR101257667B1 (ko) 건축 구조물의 내진보강구조 및 내진보강방법
US20080075540A1 (en) Underground earth retention strut construction method using horizontal frame structure
KR101132218B1 (ko) 체결장치
KR20060047233A (ko) 볼트겸용 머리붙이 스터드
KR100728105B1 (ko) 섬유보강복합판을 이용하여 제작된 암거구조물
KR101357637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교각용 수평 전단 연결재
KR100957850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연결방법
KR200436405Y1 (ko) 버팀보 보강용 브레이싱 서포트 체결구조
JP6209014B2 (ja) コンクリート部材の接合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