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0282B1 - 인쇄회로기판 조립체 - Google Patents

인쇄회로기판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0282B1
KR101160282B1 KR1020090121677A KR20090121677A KR101160282B1 KR 101160282 B1 KR101160282 B1 KR 101160282B1 KR 1020090121677 A KR1020090121677 A KR 1020090121677A KR 20090121677 A KR20090121677 A KR 20090121677A KR 101160282 B1 KR101160282 B1 KR 1011602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ed circuit
circuit board
conductive plate
conductive
board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1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4903A (ko
Inventor
윤숙곤
Original Assignee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216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0282B1/ko
Publication of KR201100649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49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02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02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13Electrical arrang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1/0215Grounding of printed circuits by connection to external grounding mea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8Construction of rack or fr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binations Of Printed Boards (AREA)
  • Structure Of Printed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대향하는 제 1 표면과 제 2 표면, 및 접지용 도전층을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제 1 표면과 제 2 표면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접지용 도전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 및 제 2 도전판; 및 상기 제 1 도전판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 1 도전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 연장부, 상기 제 2 도전판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 2 도전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2 연장부, 및 상기 제 1 및 제 2 연장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금속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인쇄회로기판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인쇄회로기판

Description

인쇄회로기판 조립체{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본 발명은 인쇄회로기판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인쇄회로기판의 접지용 도전층과 랙의 접지섀시 간에 안정적이고 충분한 용량의 접지회선이 형성되도록 하여 각 인쇄회로기판에 안정적인 접지전위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인쇄회로기판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은 구리 등의 배선이 가늘게 인쇄된 판으로, 반도체, 컨덴서, 저항 등 각종 부품을 끼울 수 있도록 되어 있어 부품 상호 간을 연결시키는 구실을 하는 전자 부품을 말한다. 인쇄회로기판은 전기 배선을 효율적으로 설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자기기의 크기를 줄이고 성능을 높이는 역할을 하며, TV?DVD 등 가전제품에서부터 각종 의료장비, 컴퓨터, 이동전화, 인공위성 등에 이르기까지 모든 전자기기에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인쇄회로기판에는 접지용 도전층이 있는데 이 접지용 도전층은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된 회로의 기준 전위가 되는 접지전위를 갖는 층으로서, 형성 된 회로가 정상적이고 안정적인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접지용 도전층에 안정적인 접지전위가 제공될 수 있어야 한다.
그런데, 종래의 인쇄회로기판에서는 커넥터 핀 등을 통하여 접지용 도전층에 접지전위가 제공되었는 바, 이 커넥터 핀의 용량이 충분하지 않음에 따라 이 커텍터 핀의 저항 등의 영향을 받아 적정한 레벨의 접지전위가 인쇄회로기판에 제공되지 않았다. 또한, 이에 따라 랙(rack)에 장착되는 다수의 인쇄회로기판에 제공되는 접지전위가 각 기판마다 상이하여 각각의 접지전위 간에도 전위차가 발생함으로써, 전체 전자기기의 동작이 불안정해지거나 정상적인 회로동작 특성을 확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랙에 장착되는 각각의 인쇄회로기판에 안정적인 접지전위를 공급하여 각 인쇄회로기판 간의 접지전위차를 감소시키고 각 인쇄회로기판의 안정적인 동작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인쇄회로기판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서로 대향하는 제 1 표면과 제 2 표면, 및 접지용 도전층을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제 1 표면과 제 2 표면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접지용 도전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 및 제 2 도전판; 및 상기 제 1 도전판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 1 도전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 연장부, 상기 제 2 도전판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 2 도전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2 연장부, 및 상기 제 1 및 제 2 연장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금속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인쇄회로기판 조립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접지용 도전층과 상기 제 1 및 제 2 도전판 간에는 비아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도전판은 상기 비아홀을 통하여 상기 접지용 도전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금속부재는 유연성 금속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연결부는 외부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도전판과 제 2 도전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 3 도전판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연장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도전판과 납땜에 의하여 각각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도전판은 납도금 또는 구리도금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연장부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나사에 의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도전판과 각각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인쇄회로기판 조립체가 랙에 장착될 때, 상기 금속부재가 상기 랙의 접지섀시(ground chassis)와 밀착되도록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조립체는 인쇄회로기판의 접지용 도전층과 랙의 접지섀시 간에 안정적이고 충분한 용량의 접지회선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인쇄회로기판에 안정적인 접지전위를 제공하여 각 인쇄회로기판 간의 접지전위차를 감소시키고 인쇄회로기판의 안정적인 동작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 보호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조립체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조립체의 사시도, 도 3은 본 실시예의 인쇄회로기판 조립체에 포함된 인쇄회로기판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인쇄회로기판에 제 1 및 제 2 도전판을 형성한 사시도, 도 5는 도 2의 인쇄회로기판 조립체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조립체는 서로 대향하는 상부표면(103)과 하부표면(104), 및 접지용 도전층(101)을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100); 상기 상부표면(103)과 하부표면(104)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접지용 도전층(10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 및 제 2 도전판(151, 152); 및 제 1 도전판(151)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 1 도전판(15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 연장부(201), 상기 제 2 도전판(152)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 2 도전판(15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2 연장부(202), 및 상기 제 1 및 제 2 연장부(201, 202)를 연결하는 연결부(203)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금속부재(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접지용 도전층(101)과 상기 제 1 및 제 2 도전판(151, 152) 간에는 비아홀(via hole, 102)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도전판(151, 152)은 상기 비아홀(102)을 통하여 상기 접지용 도전층(101)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에서, 금속부재(200)는 유연성 금속으로 구성되며, 금속부재(200)에 포함된 연결부(203)는 외부로 볼록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작용을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100)에는 접지전위를 제공하기 위한 접지용 도전체(101)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접지용 도전체(101)는 도 1에 도시된 비아홀(10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비아홀(102)은 인쇄회로기판(100)의 단면을 관통하여 상부표면(103)과 하부표면(104)에까지 연장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표면(103)에는 제 1 도전판(151)이 형성되고, 이 제 1 도전판(151)은 비아홀(102)과 접촉함으로써 비아홀(102)을 통하여 접지용 도전체(10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하부표면(104)에는 제 2 도전판(152)이 형성되고, 이 제 2 도전판(152)은 비아홀(102)과 접촉함으로써 비아홀(102)을 통하여 접지용 도전체(10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 1 및 제 2 도전판(151, 152)은 납도금 또는 구리도금에 의하여 형성될 있으며, 또한 그 이외의 다양한 형태의 도전성 물질(예를 들어 금속, 반도전 물질, 금속산화물...)등을 도금하거나 다른 부착방식에 의하여 상부표면(103) 및 하부표면(104)과 각각 밀착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제 1 도전판(151)과 제 2 도전판(152)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100)의 측면을 따라 형성된 제 3 도전판(153)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설치될 수 있는데, 이렇 게 함으로써 제 1 및 제 2 도전판(151, 152)은 전기적으로 확실히 연결될 수 있고 동일 수준의 접지전위가 안정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이와는 달리 제 3 도전판(153)없이 제 1 도전판(151)과 제 2 도전판(152)이 서로 분리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 1 도전판(151)과 제 2 도전판(152)은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직사각형모양으로 설치될 수도 있지만 그 이외의 다른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도전판(151)과 제 2 도전판(152)이 인쇄회로기판(100)의 왼쪽측면과 오른쪽측면 부근의 상부표면(103)과 하부표면(104)에 설치되어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둘 중 적어도 한군데에 설치되도록 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부재(200)가 상기 제 1 도전판(151)과 제 2 도전판(152)에 설치된다. 즉, 제 1 연장부(201)는 상기 제 1 도전판(15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밀착되어 설치되고, 제 2 연장부(202)는 상기 제 2 도전판(15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밀착되어 설치된다. 그리고, 제 1 연장부(201)와 제 2 연장부(202)는 연결부(203)에 의하여 서로 연결된다. 물론, 금속부재(200)도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100)의 왼쪽측면과 오른쪽측면 부근의 상부표면(103)과 하부표면(104)에 설치되도록 할 수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둘 중 적어도 한 군데에 설치되도록 할 수도 있다.
금속부재(200)는 탄력이 있는 유연성 금속(flexible metal)으로 구성되며, 특히 금속부재(200)에 포함된 연결부(203)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 볼록하게 형성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인쇄회로기판 조립체가 랙(300)의 접지섀시(ground chassis, 310)에 장착될 때, 상기 볼록하게 생긴 유연성이 있는 연결부(203)가 접지섀시(310)의 접촉면과 탄력있게 밀착하여 효과적으로 설치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정적인 접지전위 확보를 위한 충분한 접촉 유효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금속부재(200)가 인쇄회로기판(100)에 설치될 때에는, 제 1 및 제 2 연장부(201, 202)가 각각 제 1 및 제 2 도전판(151, 152)과 밀착되도록 하여 충분한 전기적 접촉면적을 확보되도록 해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 1 및 제 2 연장부(201, 202)는 상기 제 1 및 제 2 도전판(151, 152)과 납땜에 의하여 각각 밀착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연장부(201, 202)는 인쇄회로기판(100)을 관통하는 고정나사(210)에 의하여 제 1 및 제 2 도전판(151, 152)과 각각 밀착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조립체를 랙(300)에 장착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쇄회로기판 조립체가 랙(300)의 접지섀시(310)에 장작된다. 이 때, 본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조립체는 접지섀시(310)와 매우 효과적으로 밀착되어 장착될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 보면, 상술한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 조립체에 포함된 금속부재(200)는 탄력이 있는 유연성 금속으로 구성됨과 동시에 그 연결부(203)가 외부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인쇄회로기판 조립체가 랙(300)의 접지섀시(310)에 장착될 때, 상기 볼록하게 생긴 유연성이 있는 연결부(203)가 접지섀시(310)의 접촉면과 탄력있게 밀착하여 효과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 때문 에, 인쇄회로기판 조립체를 랙(300)에 안정적으로 튼튼하게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인쇄회로기판 조립체와 접지섀시(300) 간에 충분한 유효 접촉면적을 확보할 수 있어 접지섀시(310)의 접지전위가 인쇄회로기판(100)으로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특히, 제 3 도전판(153)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인쇄회로기판 조립체가 접지섀시(310)에 장착될 때 연결부(203)가 이 제 3 도전판(153)과도 접촉함으로써 유효 밀착면적이 더 증가하므로, 더욱 안정적인 접지회선을 확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유연성 금속으로 이루어진 연결부(203)의 작용에 의해 접지섀시(310)와 금속부재(200) 간에 충분한 유효 접촉면적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아홀(102)을 통하여 접지용 도전층(101)과 접촉되고 있는 넓은 면적의 제 1 및 제 2 도전판(151, 152)과 제 3 도전판(153)의 작용에 의하여 충분한 용량의 방전 통로 또는 접지회선을 확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랙(300)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인쇄회로기판(100)에는 접지섀시(310)의 공통 접지전위가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기 때문에, 각 인쇄회로기판(100) 간의 접지전위의 차를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고 각 인쇄회로기판의 안정적인 동작특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조립체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조립체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의 인쇄회로기판 조립체에 포함된 인쇄회로기판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3의 인쇄회로기판에 제 1 및 제 2 도전판을 형성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인쇄회로기판 조립체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도 2의 인쇄회로기판 조립체에 고정나사를 설치한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조립체을 랙에 장착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인쇄회로기판 101 : 접지용 도전층
102 : 비아홀 103 : 상부표면
104 : 하부표면
151 : 제 1 도전판 152 : 제 2 도전판
153 : 제 3 도전판
200 : 금속부재 201 : 제 1 연장부
202 : 제 2 연장부 203 : 연결부
300 : 랙(rack) 310 : 접지섀시

Claims (9)

  1. 서로 대향하는 제 1 표면과 제 2 표면, 및 접지용 도전층을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제 1 표면과 제 2 표면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접지용 도전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 및 제 2 도전판; 및
    상기 제 1 도전판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 1 도전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 연장부, 상기 제 2 도전판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 2 도전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2 연장부, 및 유연성 금속으로 구성되고 외부로 볼록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연장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금속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인쇄회로기판 조립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용 도전층과 상기 제 1 및 제 2 도전판 간에는 비아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도전판은 상기 비아홀을 통하여 상기 접지용 도전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 조립체.
  3. 삭제
  4. 삭제
  5. 제 1항 내지 제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도전판과 제 2 도전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 3 도전판을 더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 조립체.
  6. 제 1항 내지 제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연장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도전판과 납땜에 의하여 각각 밀착되는 인쇄회로기판 조립체.
  7. 제 1항 내지 제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도전판은 납도금 또는 구리도금에 의해 형성되는 인쇄회로기판 조립체.
  8. 제 1항 내지 제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연장부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나사에 의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도전판과 각각 밀착되는 인쇄회로기판 조립체.
  9. 제 1항 내지 제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 조립체가 랙에 장착될 때, 상기 금속부재가 상기 랙의 접지섀시와 밀착되도록 장착되는 인쇄회로기판 조립체.
KR1020090121677A 2009-12-09 2009-12-09 인쇄회로기판 조립체 KR1011602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1677A KR101160282B1 (ko) 2009-12-09 2009-12-09 인쇄회로기판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1677A KR101160282B1 (ko) 2009-12-09 2009-12-09 인쇄회로기판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4903A KR20110064903A (ko) 2011-06-15
KR101160282B1 true KR101160282B1 (ko) 2012-06-28

Family

ID=44398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1677A KR101160282B1 (ko) 2009-12-09 2009-12-09 인쇄회로기판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028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9613A (ja) * 1992-08-20 1994-03-11 Ibiden Co Ltd プリント配線板
JPH0745983A (ja) * 1993-07-28 1995-02-14 Toshiba Corp プリント配線板とシールドケースの接続構造
US20020071265A1 (en) * 2000-12-13 2002-06-13 Bruno Centola Electromagnetic shield for printed circuit boards
KR100889896B1 (ko) * 2001-04-05 2009-03-20 쿠퍼 테크놀로지스 컴파니 인쇄회로기판용 격리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9613A (ja) * 1992-08-20 1994-03-11 Ibiden Co Ltd プリント配線板
JPH0745983A (ja) * 1993-07-28 1995-02-14 Toshiba Corp プリント配線板とシールドケースの接続構造
US20020071265A1 (en) * 2000-12-13 2002-06-13 Bruno Centola Electromagnetic shield for printed circuit boards
KR100889896B1 (ko) * 2001-04-05 2009-03-20 쿠퍼 테크놀로지스 컴파니 인쇄회로기판용 격리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4903A (ko) 2011-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21012B2 (en) Insertion of electrical component within a via of a printed circuit board
US10164417B2 (en) Circuit assembly and electrical junction box
US20060124348A1 (en) Printed circuit board with insulative area for electrostatic discharge damage prevention
US20090268420A1 (en) Shielding assembly
US7458844B2 (en) Grounding device for reducing EMI on PCB
US7878827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electrical device incorporated therein
US20200045815A1 (en) Circuit board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DE50209353D1 (de) Leiterplatte mit mindestens einem elektronischen bauteil
US20090207572A1 (en) Electronic device
JP2009009728A (ja) レセプタクル
JP5709609B2 (ja) ソケット
US20150201496A1 (en) Radio module and relevant manufacturing method
US8385082B2 (en) Electrical connection arrangement having PCB with contacts received therein
KR101160282B1 (ko) 인쇄회로기판 조립체
US20140148023A1 (en) High-voltage resistance for a connector attached to a circuit board
JP2012253221A (ja) 電子制御装置
CN105848415B (zh) 侧边具有表面黏着型接脚的电路模块以及电路板与系统
KR101079385B1 (ko)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
US20110256770A1 (en) Receptacle for Electronic Devices
EP1471605A3 (en) Electronic circuit unit having mounting structure with high soldering reliability
KR20160103370A (ko) 회로기판 및 회로기판 조립체
JP2009141833A (ja) チューナの接地構造
US20110180310A1 (en) Printed circuit board
US10541480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KR20120067654A (ko) 인쇄회로기판 연결용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