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0063B1 - 아라미드 사 번들의 응집도 개선방법 - Google Patents

아라미드 사 번들의 응집도 개선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0063B1
KR101160063B1 KR1020077012499A KR20077012499A KR101160063B1 KR 101160063 B1 KR101160063 B1 KR 101160063B1 KR 1020077012499 A KR1020077012499 A KR 1020077012499A KR 20077012499 A KR20077012499 A KR 20077012499A KR 101160063 B1 KR101160063 B1 KR 1011600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bundle
aramid
cord
yar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24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01245A (ko
Inventor
스테파누스 빌렘센
마르티누스 페테르스
요하네스 얀센
Original Assignee
데이진 아라미드 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이진 아라미드 비.브이. filed Critical 데이진 아라미드 비.브이.
Publication of KR20070101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12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00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00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564Polyureas, polyurethanes or other polymers having ureide or urethane links; Precondensation products forming them
    • D06M15/568Reaction products of isocyanates with polyet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507Polyest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507Polyesters
    • D06M15/5075Polyesters containing sulfonic grou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564Polyureas, polyurethanes or other polymers having ureide or urethane links; Precondensation products forming them
    • D06M15/572Reaction products of isocyanates with polyesters or polyesteramid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7/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of other substances with subsequent freeing of the treated goods from the treating medium, e.g. swelling, e.g. polyolefi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101/00Chemical constitution of the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to be treated
    • D06M2101/16Synthetic fibres, other than mineral fibres
    • D06M2101/30Synthetic polymers consisting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2101/34Polyamides
    • D06M2101/36Aromatic polyamid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200/00Functionality of the treatment composition and/or properties imparted to the textile material
    • D06M2200/40Reduced friction resistance, lubricant properties; Sizing composi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라미드 사 번들에, 상기 사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수용성 또는 수 분산성 막 형성 결합제 0.1 내지 3.0중량%를 첨가하는 단계 및 상기 사 번들을, 고유 점도가 100mm2/s 미만인 오일로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아라미드 사 번들의 번들 응집도를 개선시키고 마찰 계수를 감소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아라미드 사 번들, 막 형성 결합제, 고유 점도, 응집도, 마찰 계수

Description

아라미드 사 번들의 응집도 개선방법{Method for improving aramid yarn bundle cohesiveness}
본 발명은 아라미드 사 번들의 번들 응집도를 개선시키는 방법, 아라미드 사 번들을 편직, 재봉 또는 브레이딩(braiding)하는 방법, 및 상기 번들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편직 튜브에 관한 것이다.
방적사 또는 연신 파단사의 아라미드 코드(cord)는 고무, 열가소성 재료 또는 열경화물에서 강화재로서 빈번하게 사용된다. 당해 아라미드 코드는, 합연되어 코드로 되는 2가닥 이상의 가연 방적사 또는 연신 파단사로 이루어진다. 당해 코드는 그대로 사용되거나 적합한 장치에서 편직물, 브레이딩 또는 직물로 가공된 후에 사용된다. 그러나, 당해 아라미드 코드를 기계 가공하는 것은 문제를 일으키며, 사용되는 편직기, 브레이딩기, 재봉기 또는 제직기를 고장내거나 반복적으로 중단시키는 경우가 빈번하다. 또한, 기계 가공하는 동안, 이러한 아라미드 코드는 필라멘트를 잃기 쉽고, 중합체 부분이 개별 사로부터 쉽게 떨어져나가 기계 부품의 상부 또는 내부에 침착물을 형성한다. 특히, 편직 또는 재봉에 사용되는 니들이 방해를 받아서 강화재의 최종 형태를 불규칙하게 한다. 이와 같이 형태가 불규칙해지면, 매트릭스에서의 코드 강화가 실패하고, 강화재의 수명이 크게 감소된다.
아라미드 섬유 번들은 다양한 성분으로 처리되어 왔다. 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10-158939호에서, 아라미드를 포함하는 멀티플라멘트 사 번들은 가공 공정 동안 플러핑(fluffing)을 방지하기 위해 오일로 처리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09-041274호에서, 아라미드 사 번들은 번들 형성력을 개선시키기 위해 수용성 폴리에스테르로 처리되지만, 재료들이 완전히 상이한 용도로, 즉 시멘트 재료용 강화재로 사용되었다.
아라미드 사 번들이 편직, 브레이딩 및 재봉에 사용되는 경우, 공지된 번들은 상술한 단점을 갖는다. 적합한 아라미드 사(섬유)는 이러한 용도로 공지되지 않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번들 응집도가 우수하고 동시에 마찰 계수가 낮아서 편직, 브레이딩 및 재봉이 용이한 아라미드 사 번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용어 "아라미드 사 번들"은 2가닥 이상의 개별 사의 번들, 특히 아라미드 사로 제조된 코드를 포함한다.
미국 특허 제4,455,341호에서, 방향족 폴리아미드의 멀티필라멘트 사, 특히 폴리-p-페닐렌 테레프탈아미드는 수용성 사이징제로 처리된다. 사이징제 이외에, 당해 사는 비이온성 왁스로 처리된다. 사이징된 사는 제직 산업에서 경사 및 위사로서 사용된다. 본 발명에 이르러, 비이온성 왁스로 처리된 사의 마찰이 여전히 너무 높아서 이들 사를 코드 편직기에 사용하기에 최적화할 수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실시예 3 참고). 그러므로, 마찰 계수가 낮고 동시에 번들 응집도가 우수한 사를 수득할 필요가 여전히 존재한다.
본 발명에 이르러, 상기 요건을 만족시키는 방법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본 발명은 아라미드 사 번들에, 상기 사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수용성 또는 수 분산성 막 형성 결합제 0.1 내지 3.0중량%를 첨가하는 단계 및 상기 사 번들을, 고유 점도가 (25℃에서) 100mm2/s 미만인 오일로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아라미드 사 번들의 번들 응집도를 개선시키고 마찰 계수를 감소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아라미드 사 번들, 예를 들면, 코드는 막 형성 결합제 및 오버레이 가공물로 처리된다. 당해 결합제는 인터필라멘트 및 사 응집도를 개선시키고, 막 형성 중합체여야만 한다. 바람직하게는, 당해 결합제는 수용성 또는 수 분산성 폴리우레탄 및/또는 설폰화 폴리에스테르 수지이다.
적합한 폴리에스테르의 예는 설폰화 디카복실산, 디카복실산 및 디올로부터 유도된 중합체이다. 디메틸 나트륨 설포-이소프탈산, 이소프탈산 및 에틸렌 글리콜로부터 유도된 폴리에스테르가 적합하다. 이러한 생성물은 상표명 이스트만(Eastman®) LB-100으로 시판 중이다.
적합한 폴리우레탄의 예는 각각 상표명 알베르딩크(Alberdingk®) U 400N 및 임프라닐(Impranil®) DLF로 시판 중인 폴리에테르-폴리우레탄 분산액 또는 폴리에스테르-폴리우레탄 분산액이다.
오버레이 가공물은 고유 점도가 낮은 오일이며, 이는 코드의 사 대 금속 마찰을 감소시킨다. 바람직하게는, 당해 오버레이 가공물은 에스테르 오일이다. 이들 코드의 특징은 성공적인 편직, 재봉 또는 브레이딩 거동을 유도한다.
적합한 오일의 예는 2-에틸 헥실 스테아레이트, 2-에틸 헥실 팔미테이트, n-부틸 라우레이트, n-옥틸 카프릴레이트, 부틸 스테아레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다. 바람직한 에스테르 오일은 2-에틸 헥실 스테아레이트와 2-에틸 헥실 팔미테이트의 혼합물이며, 이는 상표명 LW® 245로 시판 중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사이징제의 사용은 미국 특허 제4,455,341호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당해 특허는 필라멘트들의 응집도 개선이 아니라 개별 사들의 응집도 개선을 위해 사 번들에 사이징제를 도포하기 보다는 섬유에서 필라멘트들의 응집도 개선을 위해 개별 섬유들을 사이징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더욱이, 당해 특허는 편직 장치에서 사 번들을 사용하는 경우 비이온성 왁스의 사용을 필요로 하는데, 당해 왁스의 사용은 악영향을 미친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처리될 수 있는 사 번들은 방적사 및 연신 파단사를 포함하는 임의의 아라미드 사를 포함한다. 연신 파단사[이는 방적된 사(spunnized yarn)로도 공지됨]가 특히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적합한 아라미드는 데이진코넥스(Teijinconex®) 사[폴리-(메타-페닐렌 이소프탈아미드); MPIA], 트바론(Twaron®) 사[폴리(파라-페닐렌 테레프탈아미드); PPTA] 및 테크노라(Technora®) 사[코폴리-(파라페닐렌/3,4'-옥시디페닐렌 테레프탈아미드)]와 같은 메타-아라미드 사 및 파라-아라미드 사를 포함한다.
최종적으로, 본 발명은, 아라미드 사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수용성 또는 수 분산성 막 형성 결합제 0.1 내지 3.0중량%가 첨가된 후 고유 점도가 100mm2/s 미만인 오일로 처리된 사 번들을 사용함을 포함하는, 아라미드 사 번들의 편직, 재봉 또는 브레이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처리된 사들은 응집성이 강하며, 따라서, 이들 사들을 포함하는 코드는 개별 사들로 분리되는 경향이 낮다. 추가로, 당해 번들(코드)은 마찰 특성이 개선된 것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사 번들은 편직, 재봉 또는 브레이딩 방법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하고, 자동차용 편직 튜브를 제조하기에 적합하다.
본 발명을 추가로 설명하며, 본 발명의 이점은 다음 비제한적 실시예에서 확인된다.
(사 대 금속) 마찰 계수(f)의 측정
코드의 마찰 계수를 측정하기 위해, 당해 코드를 보빈으로부터 자기 장력 장치로 유도한다. 이어서, 당해 코드를 장력 측정 헤드(예비 장력 T1), 마찰 핀[랩(wrap) 각도 90℃), 제2 장력 측정 헤드(후장력 T2) 및 고데트(godet)로 통과시킨다. 최종적으로, 상기 코드를 권취한다. 측정하는 동안, 후장력(T2)을 측정하였다. 마찰 계수는 다음과 같은 조건하에 계산하였다:
조건 기후실: 20℃/65% RH
코드/고데트 속도: 50m/min
예비 장력(T1): 자기 장력 장치에 의해 50cN로 고정됨
마찰 핀: 매끄럽게 크롬 도금된 철
마찰 핀 직경: 32mm
마찰 계수(f) 산정치: f = 1/α* In(T2/T1) (여기서, α는 랩 각도로서, 라디안(½π) 단위를 사용한다)
절단 시험
100cm 길이의 코드 샘플을 탁자 위에 수직으로 매단다. 이의 상부 말단을 클램프에 고정한다. 상기 샘플의 고정되어 있지 않은 하부 말단에, 코드 내의 장력이 0.15cN/dtex가 되도록 추를 부착시킨다. 이어서, 당해 코드가 매달린 지점으로부터 75cm 아래를 가위로 절단한다. 이후, 매달려 있는 코드 샘플의 나머지 3/4에서, 당해 코드가 절단된 지점에서 풀려 새로 형성된 경계선 부분까지의 길이를 측정한다. 상기 코드가 상술한 장력 하에 절단된 결과 종축으로 풀리는 정도가 사의 응집도를 나타낸다. 당해 시험은 5회 수행되며, 평균치(cm)가 절단 시험 수치이다. 당해 시험은 사 번들에서 개별 사들의 접착력을 나타낸다.
실시예 1(실험 1A-1J, 2A-2J, 3A-3J, 4)
본 실시예는 데이진코넥스 KB의 3가닥 코드에 대한 오버레이 가공물과 조합된 결합제의 적용을 예시한다. 당해 코드는 데이진코넥스 KB 연신 파단 사(1100dtex ×3Z80)로부터 제조되며, 다음과 같이 처리된다.
코드 팩키지를 빙빙 돌려 권출시키는 한편, 연속적으로 당해 코드를 액체 도포기 A로 통과시키고, 당해 코드를 액체 도포기 B로 통과시킨 다음, 최종적으로 60m/min의 속도로 팩키지에 권취시킨다.
액체 도포기 A 및 튜빙 펌프를 사용하여, 당해 코드를 표 1에 언급된 수성 결합제로 처리한다. 액체 도포기 B 및 시링지 펌프를 사용하여, 당해 코드를 표 2에 언급된 오버레이 가공물(순수 오일)로 처리한다.
다음 공정 조건들은 가변적이다:
a) 결합제의 조성
b) 결합제의 첨가량
c) 오버레이 가공물의 첨가량
제조된 코드의 사 대 금속 마찰 및 번들 응집도를 절단 시험에 따라 시험한다. 추가로, 일부 코드의 기계적 특성 및 수분 함량을 측정하였다.
기준물로서, 데이진코넥스 KB 미처리 코드를 시험한다. 결과는 표 3에 나타내었다.
실험 2B 및 1E의 코드는 루카스(Lucas) 환편기에서 우수한 편직 거동을 나타내는 반면, 미처리 코드(실험 4)는 동일한 기계에서 불량한 편직 거동(중단 및 불능)을 나타낸다.
Figure 112010077421017-pct00007
이스트만 LB-100은 미국 킹스포트에 소재하는 이스트만 케미칼 캄파니(Eastman Chemical Company)에서 공급하는 수 분산성 폴리에스테르 중합체이다.
알베르딩크 U 400N(40%)은 독일 크레펠트 소재의 알베르딩크 볼리 게엠베하(Alberdink Boley GmbH)에서 공급하는 수중 폴리에테르-폴리우레탄 분산액이다.
임프라닐 DLF(40%)는 독일 레버쿠젠 소재의 바이엘 아게(Bayer AG)가 공급하는 수중 폴리에스테르-폴리우레탄 분산액이다.
Figure 112007040418019-pct00002
LW 245는 독일 뒤쎌도르프 소재의 코그니스(Cognis)에서 공급하는, 점도가 14.6mm2/sec(25℃)인 저점도 에스테르 오일(2-에틸 헥실 스테아레이트와 2-에틸 팔미테이트의 혼합물)이다.
Figure 112010077421017-pct00008
실시예 2(실험 5, 6)
데이진코넥스 KB 파단사(1100dtex × 2Z120)로부터 코드를 제조한 다음, 상술한 실험 번호 1E에 기재된 바와 동일하게 처리하였다. 기준물로서 데이진코넥스 KB로부터의 미처리 코드를 시험하였다. 결과는 표 4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에 따라 처리된 코드는 번들 응집도가 우수하고 마찰 계수가 낮다.
Figure 112010077421017-pct00009
도 1은 본 발명의 방법의 효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1의 사진에서, 미처리(A) 코드(3 ×1100dtex)를, 절단 시험 후, 본 발명에 따라 처리된 코드(B)와 비교하였다.
실시예 3
본 실시예에서, 고유 점도가 25℃에서 100mm2/s 미만인 오일의 효과를 비이온성 왁스와 비교하여 나타내었다. 데이진코넥스 KB 연신 파단사(1100dtex × 3Z80)로부터 코드를 제조하였다. 당해 코드를 다음과 같이 처리하였다. 당해 코드 팩키지를 빙빙 돌려 권출시키는 한편, 연속적으로 당해 코드를 고온 공기 오븐(온도 240℃, 체류시간 10초)을 통해 액체 도포기 A로 통과시키고, 당해 코드를 액체 도포기 B(오일의 경우) 또는 가열된 금속 키스 롤 C(왁스의 경우)로 통과시킨 다음, 최종적으로 36m/min의 속도로 팩키지에 권취시킨다. 액체 도포기 A 및 튜빙 펌프를 사용하여, 당해 코드를 2.0중량% 수용액으로부터 결합제 이스트만 LB-100[미국 킹스포트에 소재하는 이스트만 케미칼 캄파니에서 공급하는 수 분산성 폴리에스테르 중합체] 0.6중량%로 처리한다.
당해 코드를, 액체 도포기 B 및 시린지 펌프를 사용하여 오일 LW 245(25℃에서 14.6mm2/s의 점도)로 처리한다.
비교용으로, 당해 코드를 가열된 키스 롤 C를 사용하여 용융된 왁스 베발로이드(Bevaloid®) 356으로 처리하였다. 베발로이드 356은 비이온성 왁스[프랑스 라우터보우르그 소재의 케미라 쉬미 에스아(Kemira Chimie SA)에서 공급함]이고, 현재는 시판되지 않는 비이온성 왁스 소프로마인(Sopromine®) CF의 대체물로서 케미라 쉬미 에스아에 의해 추천된다.
처리된 코드의 마찰 계수(사 대 금속)를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측정한다.
결과는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0077421017-pct00010
데이진코넥스 KB 코드의 사 대 금속의 마찰의 최저값은, 오일(25℃에서의 점도 100mm2/s 미만)이 오버레이 가공물로서 사용되는 경우 달성된다. 오버레이 가공물로서의 비이온성 왁스를 사용하는 것은 덜 효과적인데, 예를 들면, 때 이른 가공의 중단 및 코드 편직기에서의 고장을 더 빨리 유도하기 때문이다.

Claims (6)

  1. 아라미드 사 번들에, 상기 사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수용성 또는 수 분산성 막 형성 결합제 0.1 내지 3.0중량%를 첨가하는 단계 및
    상기 사 번들을, 고유 점도가 25℃에서 100mm2/s 미만인 오일로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아라미드 사 번들의 번들 응집도를 개선시키고 마찰 계수를 감소시키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막 형성 결합제가 수 분산성 폴리우레탄 또는 설폰화 폴리에스테르, 또는 이들의 혼합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아라미드 사 번들의 번들 응집도를 개선시키고 마찰 계수를 감소시키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가 연신 파단 사임을 특징으로 하는, 아라미드 사 번들의 번들 응집도를 개선시키고 마찰 계수를 감소시키는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가 폴리(메타-페닐렌 이소프탈아미드)사임을 특징으로 하는, 아라미드 사 번들의 번들 응집도를 개선시키고 마찰 계수를 감소시키는 방법.
  5. 아라미드 사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수용성 또는 수 분산성 막 형성 결합제 0.1 내지 3.0중량%가 첨가된 후 고유 점도가 100mm2/s 미만인 오일로 처리된 사 번들을 사용함을 포함하는, 아라미드 사 번들의 편직, 재봉 또는 브레이딩(braiding) 방법.
  6.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방법으로 수득할 수 있는 편직된 사 번들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편직 튜브.
KR1020077012499A 2004-12-01 2005-11-26 아라미드 사 번들의 응집도 개선방법 KR1011600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4028395 2004-12-01
EP04028395.4 2004-12-01
PCT/EP2005/012664 WO2006058676A1 (en) 2004-12-01 2005-11-26 Method for improving aramid yarn bundle cohesivenes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1245A KR20070101245A (ko) 2007-10-16
KR101160063B1 true KR101160063B1 (ko) 2012-07-09

Family

ID=34927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2499A KR101160063B1 (ko) 2004-12-01 2005-11-26 아라미드 사 번들의 응집도 개선방법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EP (1) EP1819870B1 (ko)
JP (1) JP4947719B2 (ko)
KR (1) KR101160063B1 (ko)
CN (1) CN101068975B (ko)
AR (1) AR054994A1 (ko)
AT (1) ATE541082T1 (ko)
BR (1) BRPI0518678A2 (ko)
CA (1) CA2589853C (ko)
DK (1) DK1819870T3 (ko)
ES (1) ES2377875T3 (ko)
MY (1) MY147270A (ko)
PL (1) PL1819870T3 (ko)
PT (1) PT1819870E (ko)
SI (1) SI1819870T1 (ko)
TW (1) TWI365241B (ko)
WO (1) WO200605867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50420B2 (en) 2008-06-27 2011-05-31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Flexible hose for conveying fluids or gases
JP6695189B2 (ja) * 2016-03-29 2020-05-20 帝人株式会社 ゴム補強用糸条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52897B1 (en) * 1980-11-24 1984-11-07 Akzo N.V. A sized multifilament yarn of an aromatic polyamide, a yarn package, a woven fabric and a process for making said yarn
JPH0781234B2 (ja) * 1988-08-30 1995-08-30 帝人株式会社 表面変性全芳香族ポリアミド繊維
DE3912626A1 (de) * 1988-10-29 1990-10-25 Henkel Kgaa Verwendung eines haftvermittlers als oberflaechenbehandlungsmittel, insbesondere fuer fasern
DE3929376C1 (ko) * 1989-09-05 1991-04-18 E.I. Du Pont De Nemours And Co., Wilmington, Del., Us
DE4410708C1 (de) * 1994-03-28 1995-07-13 Hoechst Ag Präparationshaltige Aramidfasern und deren Verwendung
JP3498125B2 (ja) * 1995-07-28 2004-02-16 帝人テクノプロダクツ株式会社 セメント補強用アラミド繊維及び短繊維チップ
JP3786484B2 (ja) * 1996-11-21 2006-06-14 帝人ファイバー株式会社 高集束性マルチフィラメント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R054994A1 (es) 2007-08-01
EP1819870A1 (en) 2007-08-22
DK1819870T3 (da) 2012-02-27
WO2006058676A1 (en) 2006-06-08
MY147270A (en) 2012-11-30
ES2377875T3 (es) 2012-04-02
CN101068975B (zh) 2010-06-09
BRPI0518678A2 (pt) 2008-12-02
TWI365241B (en) 2012-06-01
CA2589853C (en) 2013-01-29
PT1819870E (pt) 2012-02-29
EP1819870B1 (en) 2012-01-11
TW200628662A (en) 2006-08-16
KR20070101245A (ko) 2007-10-16
CA2589853A1 (en) 2006-06-08
CN101068975A (zh) 2007-11-07
JP4947719B2 (ja) 2012-06-06
ATE541082T1 (de) 2012-01-15
SI1819870T1 (sl) 2012-08-31
JP2008522049A (ja) 2008-06-26
PL1819870T3 (pl) 2012-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40106B2 (ja) モノフィラメント状製品の製造方法
JP6068621B2 (ja) 連続アラミド糸条を含む布強化材
IE67500B1 (en) Highly processable aromatic polyamide fibers their production and use
TWI382108B (zh) 製造一混紡紗之方法及以該方法製成之混紡紗、彈性編織品、最終整理後的彈性編織品及包含該最終整理後的彈性編織品的服裝
JP2009518551A (ja) 安全エアバッグ用コーティング織布または編布
KR101160063B1 (ko) 아라미드 사 번들의 응집도 개선방법
EA025999B1 (ru) Полимерная пряжа и содержащие ее изделия
JPS58104238A (ja) 嵩性の伸張可能な横糸
US8663744B2 (en) Method for improving aramid yarn bundle cohesiveness
RU2745811C1 (ru) Трикотажные полотна из непрерывных лиоцелловых волокон
AU699357B2 (en) Processing textile strands
JP6744063B2 (ja) 紡績糸および織編物
JP7400592B2 (ja) 糸条、その製造方法、および織物
JP3944769B2 (ja) 織編物の処理方法
WO2017165552A1 (en) Nylon based yarns and fabrics
JP2858429B2 (ja) 予備接着剤が施されているポリエステルフィラメント系の製造方法およびこのポリエステルフィラメント系から製造したタイヤコード
JP2946535B2 (ja) 合成繊維ミシン糸の製造方法
JP2003013331A (ja) パラ系アラミド捲縮糸の製造方法
JP2003342842A (ja) 高機能繊維捲縮糸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繊維製品
JP2004238753A (ja) 織物用高機能繊維
JPS59168149A (ja) バイアスタイヤ用すだれ織物
JPH0860449A (ja) ポリビニルアルコール系繊維の製造法
JPS6043470B2 (ja) 難溶融性合成繊維ミシン糸
JPH07316945A (ja) 形態安定に優れた布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