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9709B1 - 차량간 통신을 이용한 교통정보 수집방법 - Google Patents

차량간 통신을 이용한 교통정보 수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9709B1
KR101159709B1 KR1020100118849A KR20100118849A KR101159709B1 KR 101159709 B1 KR101159709 B1 KR 101159709B1 KR 1020100118849 A KR1020100118849 A KR 1020100118849A KR 20100118849 A KR20100118849 A KR 20100118849A KR 101159709 B1 KR101159709 B1 KR 1011597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ffic information
vehicle
inter
remaining time
roadsid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8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7208A (ko
Inventor
정송
정재성
김석현
최옥영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001188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9709B1/ko
Publication of KR201200572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72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97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97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04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 G08G1/0108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based on the source of data
    • G08G1/0112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based on the source of data from the vehicle, e.g. floating car data [FC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04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 G08G1/0108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based on the source of data
    • G08G1/0116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based on the source of data from roadside infrastructure, e.g. beac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52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with provision for determining speed or overspe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도시교통정보시스템(UTIS)에서 차량이 음영지역에 지속적으로 머무르는 경우에도 운행중 생성한 교통정보를 최단시간 내에 센터로 전송하기 위한 차량간 통신을 이용한 교통정보 수집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인 도시교통정보시스템(UTIS)에서 차량간 통신을 이용하여 교통정보를 수집하는 방법에 있어서, 운행 중 교통정보를 생성한 차량에 장착된 단말(OBE)이 노변 장치(RSE)에 교통정보를 전송하기 위하여 필요한 잔여시간과 차량간 통신 가능한 다른 차량에 장착된 단말의 잔여시간을 기반으로 상기 잔여시간이 적은 차량에 장착된 단말을 통해 교통정보를 노변 장치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이 음영지역에 지속적으로 머무르는 경우에도 잔여시간이 적은 다른 차량을 통해 교통정보를 센터로 전송하므로, 최단시간 내에 교통정보를 센터로 전송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로 인해, 센터는 도심 전역의 교통상황을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상기 교통상황을 전송받은 차량은 보다 효율적으로 운행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차량간 통신을 이용한 교통정보 수집방법{Method for collecting of traffic report using inter-vehicle communication}
본 발명은 차량간 통신을 이용한 교통정보 수집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시교통정보시스템(UTIS : Urban Traffic Information System)에서 차량이 음영지역에 지속적으로 머무르는 경우에도 잔여시간이 적은 다른 차량을 통해 교통정보를 종합교통센터로 전송하기 위한 차량간 통신을 이용한 교통정보 수집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UTIS는 20만 이상 거주하는 도심 지역의 효율적인 교통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지자체의 유선 자가망과 UTIS 무선망을 이용하여 차량의 이동경로, 이동속도 등을 수집하고, 이를 가공하여 도시 도로 교통 정책의 기반 자료로 사용하며, 아울러 가공된 자료는 다시 무선으로 차량에 전송하여, 효율적인 차량 운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술이다.
도 2는 일반적인 UTIS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GPS위성, 차량에서 생성한 교통정보를 수집하는 노변에 설치된 무선 기지국인 노변 장치(RSE: Road Side Equipment), 차량에 탑재하고 있는 무선단말로서 교통정보 생성 및 생성한 교통정보를 노변 장치에 전달하는 차량단말(OBE: On Board Equipment), 차량 내비게이션 시스템으로 교통정보 표출 및 가공된 교통 정보를 기반으로 차량 운행의 최적 경로를 선택하는 차량표출장치(CNS: Car Navigation System), 차량 운행을 통하여 생성한 교통정보를 수집하는 종합교통정보센터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종합교통정보센터는 수집한 교통정보를 가공하여, 도심 전역의 교통상황 자료를 생성하고, 이렇게 생성한 교통 상황 자료를 다시 차량으로 전송하여 실시간 교통정보를 통해 내비게이션을 지원한다.
상기와 같은 도시교통정보시스템을 위해 기존에 제안된 기술로는 다음과 같다.
대한민국특허청 특허번호 10-0776689호(발명의 명칭: 도시 교통정보 시스템)에 개시된 CSMA/CA 기반의 폴링방식으로 통신거리, 통신용량, 통신속도를 확장한 근거리 통신시스템이 있으며, 특허번호 10-0863222호(발명의 명칭: 도시형 교통정보 시스템의 매체 액세스 제어방법 및 그 장치)에 개시된 매체 액세스 제어 방법이 있다.
한편, UTIS 시스템에서 보다 원활한 교통정보의 수집을 위한 기반기술로 차량간 통신을 이용한다. 차량간 통신과 관련된 종래 기술로는, 대한민국특허청 특허번호 10-0835385호(출원인: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발명의 명칭: 텔레매틱스 장치를 이용하여 자동차 사고를 알리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개시된 차량간 Ad-hoc 통신을 이용하여 차량 추돌사고 등 긴급상황 발생시 이를 주변에 알리도록 하는 방법이 있으며,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9-0056073호(발명의 명칭: 차량간 통신에서 긴급 메시지 전파를 위한 적응적 릴레이 노드 선정방법)에 개시된 차량간 통신에서 긴급메시지 전파를 목적으로 적응적 릴레이 노드를 선정하는 방법이 있다.
또한, 차량간 통신을 이용하여 교통정보를 다루는 다른 종래 기술로서, 대한민국특허청 특허번호 10-0498965호(발명의 명칭: 차량간 임시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차량 운행정보 교환방법 및 시스템)에 개시된 차량간에 운행정보 교환을 목적으로 임시 무선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방법이 있으며, 대한민국특허청 공개번호 10-2009-0113468(발명의 명칭: 교통정보 수집방법 및 단말기)에 개시된 차량간 통신을 통하여 주변 차량이 수집한 교통정보를 전송받아 교통정보로 활용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들은 차량간 통신이 항상 가능하거나 차량과 노변 장치간에 통신이 항상 정상적으로 가능하다는 것을 전제로 구현한 방법이며, 통신이 불가능한 음영지역에 대해서는 전혀 고려하지 않고 있다.
통상, UTIS 시스템은 도심 전역을 커버하는 무선망을 가정하고 있지 않으며, 음영지역을 태생적으로 포함하고 있다.
그러므로 종래의 기술은 차량이 음영지역에 지속적으로 머무르게 되었을 경우, 생성한 교통정보를 교통센터로 보낼 수 없어, 수집 교통정보의 양적, 질적 저하를 유발하였다.
특히, 현재 UTIS 시스템을 장착한 대부분의 차량이 택시이며, 택시의 경우 손님을 기다리기 위해 대부분의 시간을 정차하는 경우가 많은데, 운행을 한 후 손님을 기다리기 위해 정차한 장소가 음영 지역이라면 운행시 생성한 교통정보를 센터에 전달할 수가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교통정보는 속성상 10 여분이 넘어가게 되면 실시간 교통정보로서의 의미를 상실하게 되고, 도심의 교통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하여 운행중 생성한 교통정보를 최단시간 내에 센터로 전송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도시교통정보시스템(UTIS)에서 차량이 음영지역에 지속적으로 머무르는 경우에도 운행중 생성한 교통정보를 최단시간 내에 센터로 전송하기 위한 차량간 통신을 이용한 교통정보 수집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운행중인 차량에 장착된 단말(OBE)이 노변 장치(RSE)에 교통정보를 전송하기 위하여 필요한 잔여시간을 비교하여, 최소의 잔여시간을 가진 차량을 통해 교통정보를 센터로 전송하기 위한 차량간 통신을 이용한 교통정보 수집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차량에 장착된 단말의 메모리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차량간 통신을 이용한 교통정보 수집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운행중 생성한 교통정보의 전송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차량간 통신을 이용한 교통정보 수집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잔여시간을 정확하게 산출하기 위한 차량간 통신을 이용한 교통정보 수집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시교통정보시스템(UTIS)에서 차량간 통신을 이용하여 교통정보를 수집하는 방법에 있어서, 운행 중 교통정보를 생성한 차량에 장착된 단말(OBE)이 노변 장치(RSE)에 교통정보를 전송하기 위하여 필요한 잔여시간과 차량간 통신이 가능한 다른 차량에 장착된 단말의 잔여시간을 기반으로 상기 잔여시간이 적은 차량에 장착된 단말을 통해 교통정보를 노변 장치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량간 통신을 이용한 교통정보 수집방법은, 상기 잔여시간을 산출하기 위하여 차량의 운행정보를 인접한 다른 차량에 장착된 단말에 송출하는 단계(S100); 상기 운행정보를 송출한 후, 차량의 운행을 통해 교통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110); 상기 S110단계에서 생성한 교통정보의 전송이 가능한 노변 장치가 존재하는지 검색하는 단계(S120); 상기 S120단계에서 전송 가능한 노변 장치가 검색되지 않는 경우, 차량과 통신 가능한 다른 차량의 운행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140); 상기 S140단계에서 수신한 다른 차량의 운행정보와 자신의 운행정보를 기반으로 잔여시간을 산출하여 비교하는 단계(S150); 상기 S150단계에서 비교한 결과를 기반으로 잔여시간이 적은 차량에 장착된 단말을 최적의 노드로 선택하는 단계(S160); 상기 S160단계에서 선택한 최적의 노드에 교통정보를 전송하는 단계(S17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차량간 통신을 이용한 교통정보 수집방법은, 상기 S120단계에서 전송 가능한 노변 장치가 검색된 경우, 검색된 노변 장치를 최적의 노드로 선택하는 단계(S13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차량간 통신을 이용한 교통정보 수집방법은, 상기 S170단계에서 교통정보를 전송한 후, 상기 최적의 노드로부터 응답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200); 상기 S200단계에서 수신된 응답신호의 특성을 분석하는 단계(S210); 상기 S210단계에서 분석된 응답신호가 노변 장치로부터 수신한 응답신호인 경우 전송한 교통정보를 삭제하는 단계(S220); 상기 S210단계에서 분석된 응답신호가 다른 차량의 단말로부터 수신한 응답신호인 경우 전송한 교통정보를 보관하는 단계(S23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S230단계는, 차량에 장착된 단말이 노변 장치에 도달한 경우, 보관한 교통정보를 상기 노변 장치로 재전송하는 단계(S24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운행정보는, 차량의 속도 및 위치정보 또는 잔여시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잔여시간은,
Figure 112010077626418-pat00001
을 통해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S150단계는, 차량의 진행방향으로 소정의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노변 장치와의 잔여시간을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S150단계는, 복수의 노변 장치가 존재하는 경우, 각각의 노변 장치의 잔여시간을 산출하여 비교하고, 최소값을 최적의 잔여시간으로 선택하는 것이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이 음영지역에 지속적으로 머무르는 경우에도 잔여시간이 적은 다른 차량을 통해 교통정보를 센터로 전송하므로, 최단시간 내에 교통정보를 센터로 전송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로 인해, 센터는 도심 전역의 교통상황을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상기 교통상황을 전송받은 차량은 보다 효율적으로 운행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노변장치에 전송한 교통정보를 차량에 장착된 단말의 메모리에서 삭제함으로써, 단말의 메모리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운행중 생성한 교통정보를 다른 차량에 장착된 단말에 전송한 후 노변장치에 상기 교통정보를 재전송함으로써, 교통정보의 전송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소정의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노변 장치와의 잔여시간을 산출하므로 계산과정에서 오차의 발생을 최소화하여 정확한 잔여시간을 산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노변 장치의 범위가 제한되므로 네트워크의 전송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차량간 통신을 이용한 교통정보 수집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
도 2은 일반적인 도시교통정보시스템의 개략 구성도.
도 3은 잔여시간을 산출하기 위한 개념도.
도 4는 교통정보의 전송지연에 대한 누적분포를 도시한 그래프.
도 5는 교통정보가 노변 장치에 전송되기까지 전송되는 횟수에 대한 누적분포를 도시한 그래프.
이하 차량간 통신을 이용한 교통정보 수집방법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시스템은 도 2와 같은 일반적인 도시교통정보시스템(UTIS)이며, 본 발명은 일반적인 도시교통정보시스템에서 차량간 통신을 통해 교통정보를 수집하는 방법에 특징이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간 통신을 이용한 교통정보 수집방법은, 도 2의 차량단말(OBE)을 장착한 임의 차량에서 운행 중 생성한 교통정보를 최단시간 내에 차량간 통신을 통해 교통센터(종합교통정보센터)에 전송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차량에 장착된 단말은 교통정보를 유효시간(실시간 교통정보로 이용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시간으로서 유효 정보로 간주하기 위한 시간을 의미함) 내에 교통센터로 전송하여야 하며, 교통정보를 유효시간 내에 전송할 수 있는 차량에 장착된 단말 중 최단시간 내에 전송할 수 있는 단말을 통해 교통정보를 교통센터에 전송한다.
도 1은 발명인 차량간 통신을 이용한 교통정보 수집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로서, 본 발명은 운행 중 교통정보를 생성한 차량에 장착된 단말(OBE)이 노변 장치(RSE)에 교통정보를 전송하기 위하여 필요한 잔여시간과 차량간 통신 가능한 다른 차량에 장착된 단말의 잔여시간을 기반으로 상기 잔여시간이 적은 차량에 장착된 단말을 통해 교통정보를 노변 장치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량간 통신을 이용한 교통정보 수집방법은, 상기 잔여시간을 산출하기 위하여 차량의 운행정보를 인접한 다른 차량에 장착된 단말에 송출하는 단계(S100); 상기 운행정보를 송출한 후, 차량의 운행을 통해 교통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110); 상기 S110단계에서 생성한 교통정보의 전송이 가능한 노변 장치가 존재하는지 검색하는 단계(S120); 상기 S120단계에서 전송 가능한 노변 장치가 검색되지 않는 경우, 인접한 다른 차량의 운행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140); 상기 S140단계에서 수신한 다른 차량의 운행정보와 자신의 운행정보를 기반으로 잔여시간을 산출하여 비교하는 단계(S150); 상기 S150단계에서 비교한 결과를 기반으로 잔여시간이 적은 차량에 장착된 단말을 최적의 노드로 선택하는 단계(S160); 상기 S160단계에서 선택한 최적의 노드에 교통정보를 전송하는 단계(S1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S120단계에서 전송 가능한 노변 장치가 검색된 경우, 검색된 노변 장치를 최적의 노드로 선택하는 단계(S1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간 통신을 이용한 교통정보 수집방법.
상기 S100단계는 차량의 운행정보를 차량간 통신 가능한 다른 차량으로 송출하며, 상기 운행정보는 차량의 속도 및 위치정보 또는 잔여시간을 포함한다. 즉, 차량에 장착된 단말은 속도 및 위치정보를 송출하거나, 상기 차량의 잔여시간을 송출한다. 또한, 송출하는 속도는 평균속도를 송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잔여시간(Remaining time)이란, 운행 중 생성한 교통정보를 전송하기 위하여 차량의 단말이 노변장치에 도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말한다.
상기 S110단계는 차량의 운행을 통해 실시간으로 교통정보를 생성하여 메모리에 저장한다. 상기 S120단계는 생성한 교통정보의 전송이 가능한 노변 장치가 존재하는지 검색한다. 즉, 차량의 단말이 통신 가능한 범위 내에 노변 장치가 존재하는지 검색하고, 검색한 결과 노변 장치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음영지역으로 판단한다. 이때 전송 가능한 노변 장치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노변 장치를 최적의 노드로 선택(S130)하고, 상기 노변 장치에 교통정보를 전송(S170)한다.
상기 S140단계는, 상기 S120단계에서 전송 가능한 노변 장치가 검색되지 않는 경우, 차량간 통신 가능한 다른 차량의 운행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수신한 운행정보는 다른 차량의 속도 및 위치정보 또는 잔여시간을 포함한다. 즉, 다른 차량의 단말로부터 속도 및 위치정보를 수신하거나, 상기 다른 차량의 잔여시간을 수신한다.
상기 S150단계는, 수신한 다른 차량의 운행정보와 자신의 운행정보를 기반으로 잔여시간을 산출하여 비교한다.
즉, 상기 잔여시간은,
Figure 112010077626418-pat00002
을 통해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t는 잔여시간, d는 차량에 장착된 단말과 노변 장치의 거리, v는 차량의 속도, radius는 노변 장치가 통신가능한 반경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O'는 차량에 장착된 단말(OBE)이고, 'R'은 노변 장치(RSE)이다. 즉, 차량의 운행정보를 통해 차량의 속도(v)를 알 수 있고, 위치정보를 통해 단말의 위치와 노변 장치의 위치를 알 수 있으므로 상기 단말과 노변 장치의 거리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단말과 노변 장치의 직선거리를 이용하여 잔여시간을 산출하나, 실제 도로구조는 매우 복잡하고 차량들의 이동 패턴 역시 예측 불가능하기 때문에 이로 인해 발생하는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θ' 를 이용한다. 상기 'θ'는 '│d│tanθ<radius'의 범위 내에서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S150단계는, 차량의 진행방향으로 소정의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노변 장치와의 잔여시간을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차량의 진행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노변 장치가 존재하며, 차량의 단말과 모든 노변 장치간의 잔여시간을 산출하는 경우, 상당히 많은 양의 계산이 필요하고 차량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목적지에 대한 경우 부정확한 잔여시간을 산출할 수밖에 없고, 이로 인해 부정확한 라우팅을 하게 되어 네트워크 오버헤드(Overhead)가 증가하고 네트워크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차량의 단말의 진행방향으로 소정의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노변 장치와의 잔여시간을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차량의 단말과 2.5㎞ 이내에 존재하는 노변 장치를 검색하여, 상기 노변 장치와의 잔여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S150단계는, 복수의 노변 장치가 존재하는 경우, 각각의 노변 장치의 잔여시간을 산출하여 비교하고, 최소값을 최적의 잔여시간으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차량의 진행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노변 장치가 존재하므로, 모든 노변 장치와의 잔여시간을 산출한 후 그 중 최소값을 최적의 잔여시간으로 선택한다.
도 4는 교통정보의 전송지연에 대한 누적분포를 도시한 그래프로, 'NO V2V'는 차량간 통신을 이용하지 않은 경우 도시교통정보시스템의 전송지연 성능이고, 'BS HC2' 는 바이너리 스프레이 라우팅 알고리즘을 이용한 경우 도시교통정보시스템의 전송지연 성능이고, 'Geographic DTN' 은 거리정보를 이용한 경우 도시교통정보시스템의 전송지연 성능이고, 'Remaining Time DTN' 은 잔여시간을 이용하여 라우팅한 경우 도시교통정보시스템의 전송지연 성능이고, 'Remanining Time DTN Thresh' 는 소정의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노변 장치와의 잔여시간을 이용하여 라우팅한 경우 도시교통정보시스템의 전송지연 성능이다.
도 4에 의하면, 'Remanining Time DTN Thresh'는 전송지연이 400초 이하인 교통정보가 70%이므로, 교통정보의 전송에 있어서 다른 방법에 비해 뛰어난 성능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5는 교통정보가 노변 장치에 전송되기까지 전송되는 횟수에 대한 누적분포를 도시한 그래프로서, 노변 장치를 소정의 거리 이내로 존재하는 것으로 제한한 경우(Remanining Time DTN Thresh)에도 다른 방법과 유사한 특성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S160단계는, 상기 S150단계에서 비교한 결과를 기반으로 잔여시간이 적은 차량의 단말의 최적의 노드로 선택한다. 만일, 자신의 차량 단말의 잔여시간이 가장 적을 경우, 자신의 차량 단말을 이용하여 교통정보를 노변 장치에 전송한다. 또한, 상기 S170단계는 노변 장치가 최적의 노드로 선택된 경우 상기 노변 장치에 교통정보를 전송하고, 다른 차량의 단말이 최적의 노드로 선택된 경우 상기 다른 차량의 단말에 교통정보를 전송한다.
또한, 상기 차량간 통신을 이용한 교통정보 수집방법은, 상기 S170단계에서 교통정보를 전송한 후, 상기 최적의 노드로부터 응답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200); 상기 S200단계에서 수신된 응답신호의 특성을 분석하는 단계(S210); 상기 S210단계에서 분석된 응답신호가 노변 장치로부터 수신한 응답신호인 경우 전송한 교통정보를 삭제하는 단계(S220); 상기 S210단계에서 분석된 응답신호가 다른 차량의 단말로부터 수신한 응답신호인 경우 전송한 교통정보를 보관하는 단계(S2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S230단계는, 차량에 장착된 단말이 노변 장치에 도달한 경우, 보관한 교통정보를 상기 노변 장치로 재전송하는 단계(S2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S200단계는 최적의 노드로 선택된 노변 장치 또는 다른 차량의 단말로부터 교통정보의 전송이 완료되었다는 응답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S210단계는 상기 응답신호의 특성을 분석한다. 즉, 상기 응답신호가 노변 장치로부터의 응답신호인지 다른 차량의 단말로부터의 응답신호인지 여부를 분석한다.
만일, 노변 장치로부터의 응답신호인 경우 상기 노변 장치로 전송한 교통정보를 삭제(S220)하고, 다른 차량의 단말로부터의 응답신호인 경우 상기 다른 차량의 단말로 전송한 교통정보는 계속 보관(S230)하고 노변 장치에 도달한 경우 보관한 교통정보를 재전송(S240) 한다.
즉, 노변 장치로 교통정보를 전송한 경우 상기 교통정보를 삭제하여 차량의 단말 메모리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다른 차량의 단말로 교통정보를 전송한 경우 상기 교통정보를 노변 장치로 재전송하여 전송의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상기 일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에서 다양한 차량간 통신을 이용한 교통정보 수집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Claims (9)

  1. 도시교통정보시스템(UTIS)에서 차량간 통신을 이용하여 교통정보를 수집하는 방법에 있어서,
    운행 중 교통정보를 생성한 차량에 장착된 단말(OBE)이 노변 장치(RSE)에 교통정보를 전송하기 위하여 필요한 잔여시간과 다른 차량에 장착된 단말의 잔여시간을 비교하여, 잔여시간이 적은 차량에 장착된 단말을 통해 교통정보를 노변 장치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간 통신을 이용한 교통정보 수집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간 통신을 이용한 교통정보 수집방법은,
    상기 잔여시간을 산출하기 위하여 차량의 운행정보를 인접한 다른 차량에 장착된 단말에 송출하는 단계(S100);
    상기 운행정보를 송출한 후, 차량의 운행을 통해 교통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110);
    상기 S110단계에서 생성한 교통정보의 전송이 가능한 노변 장치가 존재하는지 검색하는 단계(S120);
    상기 S120단계에서 전송 가능한 노변 장치가 검색되지 않는 경우, 차량간 통신 가능한 다른 차량의 운행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140);
    상기 S140단계에서 수신한 다른 차량의 운행정보와 자신의 운행정보를 기반으로 잔여시간을 산출하여 비교하는 단계(S150);
    상기 S150단계에서 비교한 결과를 기반으로 잔여시간이 적은 차량에 장착된 단말을 최적의 노드로 선택하는 단계(S160);
    상기 S160단계에서 선택한 최적의 노드에 교통정보를 전송하는 단계(S1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간 통신을 이용한 교통정보 수집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간 통신을 이용한 교통정보 수집방법은,
    상기 S120단계에서 전송 가능한 노변 장치가 검색된 경우, 검색된 노변 장치를 최적의 노드로 선택하는 단계(S1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간 통신을 이용한 교통정보 수집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간 통신을 이용한 교통정보 수집방법은,
    상기 S170단계에서 교통정보를 전송한 후, 상기 최적의 노드로부터 응답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200);
    상기 S200단계에서 수신된 응답신호의 특성을 분석하는 단계(S210);
    상기 S210단계에서 분석된 응답신호가 노변 장치로부터 수신한 응답신호인 경우 전송한 교통정보를 삭제하는 단계(S220);
    상기 S210단계에서 분석된 응답신호가 다른 차량의 단말로부터 수신한 응답신호인 경우 전송한 교통정보를 보관하는 단계(S2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간 통신을 이용한 교통정보 수집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S230단계는,
    차량에 장착된 단말이 노변 장치에 도달한 경우, 보관한 교통정보를 상기 노변 장치로 재전송하는 단계(S2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간 통신을 이용한 교통정보 수집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운행정보는,
    차량의 속도 및 위치정보 또는 잔여시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간 통신을 이용한 교통정보 수집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잔여시간은,
    Figure 112010077626418-pat00003

    을 통해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간 통신을 이용한 교통정보 수집방법.
    상기 t는 잔여시간, d는 차량에 장착된 단말과 노변 장치의 거리, v는 차량의 속도, radius는 노변 장치가 통신가능한 반경이다.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S150단계는,
    차량의 진행방향으로 소정의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노변 장치와의 잔여시간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간 통신을 이용한 교통정보 수집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S150단계는,
    복수의 노변 장치가 존재하는 경우, 각각의 노변 장치의 잔여시간을 산출하여 비교하고, 최소값을 최적의 잔여시간으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간 통신을 이용한 교통정보 수집방법.
KR1020100118849A 2010-11-26 2010-11-26 차량간 통신을 이용한 교통정보 수집방법 KR1011597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8849A KR101159709B1 (ko) 2010-11-26 2010-11-26 차량간 통신을 이용한 교통정보 수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8849A KR101159709B1 (ko) 2010-11-26 2010-11-26 차량간 통신을 이용한 교통정보 수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7208A KR20120057208A (ko) 2012-06-05
KR101159709B1 true KR101159709B1 (ko) 2012-06-26

Family

ID=46609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8849A KR101159709B1 (ko) 2010-11-26 2010-11-26 차량간 통신을 이용한 교통정보 수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97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1784B1 (ko) 2015-05-11 2015-08-05 주식회사 아이온뱅크 도시교통정보시스템(utis) 통신망을 이용한 택시 정산정보 관리방법 및 택시 정산정보 관리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3604B1 (ko) * 2014-08-01 2022-09-1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통신단말기 및 그 통신 환경 설정 방법
US10149192B2 (en) 2015-10-21 2018-12-04 Hyundai Motor Company Vehic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data transmission quantity of the vehicle terminal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6689B1 (ko) 2006-02-15 2007-11-16 (주)제이엠피시스템 도시 교통정보 시스템
KR100835385B1 (ko) 2006-12-06 2008-06-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텔레매틱스 장치를 이용하여 자동차 사고를 알리기 위한시스템 및 방법
KR100863222B1 (ko) 2007-01-25 2008-10-13 (주)제이엠피시스템 도시형 교통 정보 시스템의 매체 액세스 제어 방법 및 그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6689B1 (ko) 2006-02-15 2007-11-16 (주)제이엠피시스템 도시 교통정보 시스템
KR100835385B1 (ko) 2006-12-06 2008-06-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텔레매틱스 장치를 이용하여 자동차 사고를 알리기 위한시스템 및 방법
KR100863222B1 (ko) 2007-01-25 2008-10-13 (주)제이엠피시스템 도시형 교통 정보 시스템의 매체 액세스 제어 방법 및 그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1784B1 (ko) 2015-05-11 2015-08-05 주식회사 아이온뱅크 도시교통정보시스템(utis) 통신망을 이용한 택시 정산정보 관리방법 및 택시 정산정보 관리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7208A (ko) 2012-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afeez et al. Impact of mobility on vanets' safety applications
CN107277890B (zh) 无线通信装置以及无线通信方法
US7701935B2 (en) Data communication between networks using relay devices
JP6801619B2 (ja) データ転送経路算出装置およびデータ転送端末
JP4611929B2 (ja) 車車間通信システムおよび車車間通信方法
JP5017866B2 (ja) 移動経路探索システム及び方法、移動経路探索サーバ、移動経路探索プログラム
US20120003921A1 (en) Solution for the scalability of broadcast forwarding in vehicular networks by map-referenced information on node position
CN109841059A (zh) 一种基于vanet环境下预测拥挤路段并进行规避的方法
KR101058124B1 (ko) 차량간 통신을 이용한 교통정보 수집방법
CN103298059A (zh) 车辆自组网中基于位置预测的连通度感知路由方法
US9626870B2 (en) Method for communicating within an ad hoc-type motor vehicle communication system
JP2006221286A (ja) 通信装置
US20100246470A1 (en) Method of Broadcasting Data Packets in a Network of Mobile Nodes and Associated Terminal
KR101159709B1 (ko) 차량간 통신을 이용한 교통정보 수집방법
KR101443298B1 (ko) 주행 경로 예측을 이용한 내비게이션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US10154393B2 (en) Method, motor vehicle, and system for determining a transmission path
SmithaShekar et al. Gps based shortest path for ambulances using vanets
KR100677166B1 (ko) 애드-혹 네트워킹을 이용한 교통정보 교환장치 및 방법
JP2006293491A (ja) 交通状態収集装置、情報センタ、および交通状態収集システム
JP2005266926A (ja) 交通情報収集システム
JP2011258017A (ja) プローブカーシステム、車両および交通情報共有方法
JP4828645B2 (ja) 車車間通信システムおよび車車間通信方法
JP5134656B2 (ja) 車車間通信システムおよび車車間通信方法
Bilal et al. Fastest-vehicle multi-hop routing in vehicular ad hoc networks
KR20070106284A (ko) 교통정보 안내방법 및 그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