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1784B1 - 도시교통정보시스템(utis) 통신망을 이용한 택시 정산정보 관리방법 및 택시 정산정보 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도시교통정보시스템(utis) 통신망을 이용한 택시 정산정보 관리방법 및 택시 정산정보 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1784B1
KR101541784B1 KR1020150065455A KR20150065455A KR101541784B1 KR 101541784 B1 KR101541784 B1 KR 101541784B1 KR 1020150065455 A KR1020150065455 A KR 1020150065455A KR 20150065455 A KR20150065455 A KR 20150065455A KR 101541784 B1 KR101541784 B1 KR 1015417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axi
vehicle
traffic information
fa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54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온뱅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온뱅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온뱅크
Priority to KR10201500654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17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17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17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3/00Taximet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07B15/02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taking into account a variable factor such as distance or time, e.g. for passenger transport, parking systems or car rental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시교통정보시스템(Urban Traffic Information System, UTIS) 통신망을 이용한 택시 정산정보 관리방법 및 택시 정산정보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택시 미터기와, 택시 차량 내에 구비되어 내장된 GPS 모듈을 통해 측정되는 차량의 위치 및 속도 등의 차량운행정보를 수집하여 도로 주변에 설치된 노변기지국(Road Side Equipment, RSE)으로 전송하는 차량탑재장치(On Board Equipment, OBE)를 유·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하여, 차량탑재장치로부터 노변기지국으로의 차량운행정보 송신과정에서 상기 택시 미터기로부터 제공되는 현금 또는 카드결제 정보 등의 차량운임정보를 함께 송신하도록 구성하여, 택시 운영 회사에서 택시운영서버를 통해 상기 노변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교통정보를 수집, 관리하는 교통정보센터 관제서버로부터 택시 차량의 차량운임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택시의 일일 정산정보 수집 및 관리를 위해 운전자 교대시마다 택시가 매번 차고지로 복귀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하여 택시 운행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도시교통정보시스템 통신망을 이용한 택시 정산정보 관리방법 및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도시교통정보시스템(UTIS) 통신망을 이용한 택시 정산정보 관리방법 및 택시 정산정보 관리시스템{Method of managing taxi account information via urban traffic information system(UTIS) networks and the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도시교통정보시스템(Urban Traffic Information System, UTIS) 통신망을 이용한 택시 정산정보 관리방법 및 택시 정산정보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택시 미터기와, 택시 차량 내에 구비되어 내장된 GPS 모듈을 통해 측정되는 차량의 위치 및 속도 등의 차량운행정보를 수집하여 도로 주변에 설치된 노변기지국(Road Side Equipment, RSE)으로 전송하는 차량탑재장치(On Board Equipment, OBE)를 유·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하여, 차량탑재장치로부터 노변기지국으로의 차량운행정보 송신과정에서 상기 택시 미터기로부터 제공되는 현금 또는 카드결제 정보 등의 차량운임정보를 함께 송신하도록 구성하여, 택시 운영 회사에서 택시운영서버를 통해 상기 노변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교통정보를 수집, 관리하는 교통정보센터 관제서버로부터 택시 차량의 차량운임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택시의 일일 정산정보 수집 및 관리를 위해 운전자 교대시마다 택시가 매번 차고지로 복귀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하여 택시 운행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도시교통정보시스템 통신망을 이용한 택시 정산정보 관리방법 및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법인 택시의 경우, 보통 하루 주야간 2교대로 운영되며, 일일 운행 종료 후, 교대를 위해 택시회사의 차고지에 택시를 입차시키게 되면, 택시 운전자는 택시회사에 당일의 택시 운행에 대한 수익금 정보를 제출하여야 한다.
즉, 택시 운전자는 교대시마다 택시회사의 차고지에 택시를 입차시켜 회사에 사납해야 하는 사납금 및 일일 택시 운행 기간 동안의 일일 수익금을 확인하고 정산하기 위해 운행 중 발생한 현금결제정보는 물론 카드결제정보를 포함한 일일 정산정보를 택시회사에 제공하여야 한다.
이때, 상술한 일일 정산정보의 제공을 위해 종래에는, 택시 운전자가 택시를 운행한 후 현금 수익금 및 카드전표를 모아서 택시회사에 사납하면, 택시회사는 차고에 들어온 택시의 택시 미터기에서 현금 수익금의 합계를 파악하고, 택시 운전자로부터 받은 카드전표의 내역을 일일이 합산하여 카드결제금액에 대한 정산을 수행함으로써 일일 정산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받았으나, 최근에는 카드결제기와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카드결제기로부터 카드결제금액을 전송받는 택시 미터기의 통신부를 통해 RF 통신 또는 CDMA 통신 등의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택시가 소속된 택시회사의 택시운영서버로 현금 수익금의 합계 및 카드결제금액을 전송함으로써, 일일 정산정보를 제공하는 기술이 개발되었으며, 이와 같은 일일 정산정보의 제공을 위한 택시 미터기의 예는 본 발명의 출원인이 출원한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456920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456920호(이하 '종래기술'이라 함)에 나타난 일일 정산정보의 제공을 위한 택시 미터기는 택시 미터기 내부에 메모리부 및 통신부를 구비하여 고객이 택시이용요금을 현금으로 결제하는 경우, 현금결제금액을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동시에, 택시 내에 구비된 카드결제기와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고객이 택시이용요금을 카드결제기를 통해 신용카드 또는 교통카드로 결제하는 경우 통신부를 통해 카드결제금액을 전송받아 메모리부에 저장함으로써, 일일 운행 종료 후, 택시가 택시회사의 차고지에 입차하게 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현금결제금액 정보와 더불어 카드결제금액을 통신부를 통해 회사의 택시운영서버에 무선으로 전송하여 운행 중 발생한 현금결제정보는 물론 카드결제정보를 포함한 일일 정산정보를 일괄적으로 전송,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회사의 택시 영업운영관리에 대한 편의를 제공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기술은 택시 미터기를 이용하여 일일 정산정보를 일괄적으로 전송하고, 입력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운행 중 발생한 현금결제정보 및 카드결제정보를 포함한 일일 정산정보를 제공하기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기는 하나, 이 역시, 결국 일일 정산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차고지로 복귀하여 택시를 입차시켜야만 하는 불편함이 여전히 존재한다. 즉, 종래기술에 따른 일일 정산정보 제공 방법은 RF 통신 등의 근거리 통신망을 이용하여 택시 미터기와 택시운영서버 간의 통신을 수행하기 때문에 택시 미터기를 통하여 일일 정산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차고지로 복귀하여 택시회사에 구축된 통신망에 접속하여야 함으로써, 차고지와 상대적으로 먼 지역으로 운행을 나간 경우라도 차량의 운행에 따른 일일 정산을 위해서는 부득불 차고지로 복귀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더불어, 앞서 설명한 것처럼 택시 미터기와 택시운영서버와의 통신을 위해서는 차고지에 RF 통신 등과 같은 별도의 통신망을 구축하여야 하기 때문에 통신망 구축에 따른 추가 설치비용이 발생함으로써 택시회사의 영업운영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456920호(등록일: 2011.11.21.), "일일 정산정보 제공이 가능한 택시 미터기", 실용신안권자: 주식회사 아이온뱅크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택시 미터기와, 택시 차량 내에 구비되어 내장된 GPS 모듈을 통해 측정되는 차량의 위치 및 속도 등의 차량운행정보를 수집하여 도로 주변에 설치된 노변기지국(Road Side Equipment, RSE)으로 전송하는 차량탑재장치(On Board Equipment, OBE)를 유·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하여, 차량탑재장치로부터 노변기지국으로의 차량운행정보 송신과정에서 상기 택시 미터기로부터 제공되는 현금 또는 카드결제 정보 등의 차량운임정보를 함께 송신하도록 구성하여, 택시 운영 회사에서 택시운영서버를 통해 상기 노변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교통정보를 수집, 관리하는 교통정보센터 관제서버로부터 택시 차량의 차량운임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택시의 일일 정산정보 수집 및 관리를 위해 운전자 교대시마다 택시가 매번 차고지로 복귀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하여 택시 운행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도시교통정보시스템 통신망을 이용한 택시 정산정보 관리방법 및 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량 내에 구비된 차량탑재장치(On Board Equipment, OBE)로부터 수집된 차량운행정보를 노변기지국(Road Side Equipment, RSE)을 통해 상기 노변기지국과 연결된 교통정보센터 관제서버로 전송하여, 도심 전역의 교통상황을 제공하는 도시교통정보시스템(Urban Traffic Information System, UTIS)의 통신망을 이용한 택시 정산정보 관리 방법에 있어서,상기 차량탑재장치에 택시 미터기를 유·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하여, 상기 차량탑재장치로부터 상기 노변기지국으로의 차량운행정보 송신과정에서 상기 택시 미터기로부터 제공되는 차량운임정보를 함께 송신하도록 구성하여, 택시 운영 회사에서 택시운영서버를 통해 상기 차량탑재장치로부터 전송되는 교통정보를 수집, 관리하는 교통정보센터 관제서버로부터, 상기 노변기지국을 통해 송신된 택시 차량의 차량운임정보를 제공받아 택시 차량의 일일 정산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택시 미터기와 차량탑재장치(On Board Equipment, OBE)를 유·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하여, 차량탑재장치로부터 노변기지국(Road Side Equipment, RSE)으로의 차량운행정보 송신과정에서 상기 택시 미터기로부터 제공되는 현금 또는 카드결제 정보 등의 차량운임정보를 함께 송신하도록 구성하여, 택시 운영 회사에서 택시운영서버를 통해 상기 노변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교통정보를 수집, 관리하는 교통정보센터 관제서버로부터 택시 차량의 차량운임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택시의 일일 정산정보 수집 및 관리를 위해 운전자 교대시마다 택시가 매번 차고지로 복귀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아울러 차고지로 복귀하지 않고서도 노변기지국을 통해 택시 차량의 차량운행정보 및 차량운임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어, 차량의 운행상태나 운임정보 등을 상시 관찰하고 관리함으로써 운영관리에 대한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택시 운행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에 구축되어 있는 도시교통정보시스템 통신망을 이용하기 때문에 택시의 일일 정산정보 수집을 위한 별도의 통신망을 구축하지 않고서도 차량의 일일 정산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도시교통정보시스템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시교통정보시스템 통신망을 이용한 택시 정산정보 관리시스템의 정산정보 관리 흐름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탑재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시교통정보시스템 통신망을 이용한 택시 정산정보 관리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한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도시교통정보시스템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 앞서, 먼저 도시교통정보시스템(UTIS: Urban Traffic Information System)에 대해 살펴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시교통정보시스템은 도로상에서 차량탑재장치(OBE: On Board Equipment, 1)와 노변기지국(RSE: Road Side Equipment, 2) 간에 무선통신으로 교통정보 등을 주고받기 위해 경찰청에서 개발한 지능형교통정보시스템(ITS: Intelligent Transport System) 기술의 하나이다.
이러한 도시교통정보시스템(UTIS)은 기존 지능형교통정보시스템(ITS)의 무선통신인 근거리 저속방식에서 진일보한 기술로써 중장거리 고속통신을 추구하며 이를 통해 실시간 교통정보를 달리는 차내에 정밀하게 제공할 수 있고, GPS 등으로 측량된 차량의 위치 및 속도 등 구간 소통정보를 노변기지국(RSE, 2)과 광통신망으로 연결된 교통정보센터의 관제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2005년부터 경찰청과 자치단체가 합동으로 구축한 도시교통정보시스템은 전국 주요도시에 교통정보센터와 유무선 통신망, 기지국, CCTV, VMS(가변전광판) 등 기반시설을 설치하여 교통정보를 수집하고 경찰청 중앙교통정보센터에서 이를 통합하여 전국단위 교통정보를 생산하며, 생산된 정보는 인터넷 홈페이지(www.utis.go.kr), 교통정보 안내전화(1644-5000), 스마트폰 앱(교통알림e)를 통해 국민에게 직접 제공하며, 다양한 경로로 보다 많은 사람들이 이용할 수 있게 인터넷 포털, 통신업체에 간접 제공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 대부분의 택시 차량에는 UTIS와 연동하는 차량탑재장치(OBE)가 탑재되어 운행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차량의 위치 및 속도 등 차량운행정보를 교통정보센터의 관제서버로 전송하고, 이렇게 전송된 각 차량들의 차량운행정보를 바탕으로 생산된 구간 소통정보 등의 교통정보를 교통정보센터로부터 실시간으로 제공받고 있다.
또한, 최근 경찰청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도시교통정보시스템을 통해 수집된 교통정보를 국민이나 민간업체에 제공하는 것 이외에도 잘 갖추어진 도시교통정보시스템 인프라를 보다 더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도시교통정보시스템 통신망에서 사용하지 않는 비사용(Reserved) 영역 중 일부 회선을 민간에 개방하여 무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UTIS 통신망의 비사용 회선 이용에 착안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민간에 일부 무상으로 개방된 UTIS 통신망을 이용하여 택시 차량의 차량운행정보 및 차량운임정보 등의 택시 정산정보를 관리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시교통정보시스템 통신망을 이용한 택시 정산정보 관리시스템의 정산정보 관리 흐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시교통정보시스템 통신망을 이용한 택시 정산정보 관리시스템은, 택시 차량 내에 구비되어 택시의 차량운행정보를 수집하여 노변기지국(200)으로 전송하는 차량탑재장치(100)에 미터기(10)를 연결하여, 차량탑재장치(100)를 통해 노변기지국(200)으로 차량운행정보를 전송할 시 미터기(10)로부터 제공되는 차량운임정보를 함께 전송하도록 구성하여, 택시 운영 회사에서 택시운영서버(400)를 통해 상기 차량탑재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교통정보를 수집, 관리하는 교통정보센터 관제서버(300)로부터 택시 차량의 차량운임정보를 제공받아 택시의 일일 정산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와 같은 구성의 택시 정산정보 관리시스템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택시 차량 내에 구비되는 차량탑재장치(100)에서 획득되는 정보를 기반으로, 차량탑재장치(100)에 내장된 GPS 모듈(120)로부터 측정되는 차량의 속도 및 위치정보 등의 차량운행정보를 차량탑재장치(100)에 내장된 통신모듈(130)을 통해 노변기지국(200)으로 전송시, 차량탑재장치(100)와 연결된 미터기(10)로부터 제공되는 현금 또는 카드결제 정보 등의 차량운임정보를 함께 전송하도록 구성하여, 택시 운영 회사에서 택시운영서버(400)를 통해, 차량탑재장치(100)들로부터 전송되는 교통정보를 수집, 관리하는 교통정보센터 관제서버(300)에 해당 택시 차량의 차량운임정보를 요청함으로써, 해당 차량의 차량운임정보를 제공받아 택시의 일일 정산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 택시의 일일 정산정보 수집 및 관리를 위해 운전자 교대시마다 택시가 매번 차고지로 복귀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음은 물론, 택시 정산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차고지로 복귀해야 함으로써 발생하는 불필요한 택시 운행을 방지하여, 택시 운전자에게 편의를 제공하는 동시에 택시 운행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택시 운행에 따른 정산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별도의 통신망을 구축하지 않고서도 효율적인 택시 정산정보의 관리가 가능하여 택시 운영 회사의 영업운용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시교통정보시스템 통신망을 이용한 택시 정산정보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택시 정산정보 관리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택시 차량 내에 구비되는 차량탑재장치(100)는 차량의 위치 및 속도 등의 차량운행정보를 수집하여 노변기지국(200)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로서, 내부에,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MCU, 110), GPS 모듈(120) 및 통신모듈(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차량탑재장치(100)는 차량운행정보를 수집하여 전송하기 위해, 차량탑재장치(100) 내부에 구비되는 GPS 모듈(120)로부터 제공되는 차량의 위치 및 속도 등의 정보를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110)에 저장하고, 이와 같이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110)에 저장된 차량운행정보를 통신모듈(130)을 통해 노변기지국(200)으로 전송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차량탑재장치(100)를 통해 노변기지국(200)으로 차량운행정보를 전송함에 있어서, 차량운행정보와 함께 차량운임정보를 전송할 수 있도록 차량탑재장치(100)에 미터기를 연결하여 미터기(10)로부터 제공되는 승객의 카드 또는 현금 결제정보 등의 차량운임정보를 차량탑재장치(100)로 전달한다.
여기서, 상기 미터기(10)는 차량탑재장치(100)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통신모듈(130)을 통해 차량탑재장치(100)와 유·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차량탑재장치(100)의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110)에는 실시간의 차량 위치 및 속도 등의 차량운행정보가 누적되어 저장되는 동시에, 승객의 택시 요금 결제시마다 해당 결제정보가 미터기를 통해 차량탑재장치(100)로 전송되어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110)에 저장된다.
노변기지국(200)은 전국의 주요도시 도로변 곳곳에 설치되어 차량탑재장치(100)와 무선으로 통신하며 차량탑재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교통정보센터 관제서버(300)로 전송하는 중계 역할을 수행한다.
즉, 노변기지국(200)은 차량탑재장치(100)의 통신모듈(130)과 무선으로 접속하여 접속된 차량탑재장치(100)의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110)에 저장된 차량운행정보를 전송받아 노변기지국(200)과 광통신망 등의 유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교통정보센터 관제서버(300)로 상기 전송받은 차량운행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상기 전송된 각각의 차량운행정보를 바탕으로 교통정보센터 관제서버(300)를 통해 실시간 교통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차량탑재장치(100)로부터 노변기지국(200)으로의 차량운행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에서 차량탑재장치(100)에 연결된 미터기(10)로부터 제공되는 차량운임정보를 함께 전송하도록 구성하여, 택시 운영 회사에서 택시운영서버(400)를 통해 상기 차량탑재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교통정보를 수집, 관리하는 교통정보센터 관제서버(300)로부터 택시 차량의 차량운임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차량탑재장치(100)의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110)에는 차량탑재장치(100)가 설치된 차량을 식별할 수 있는 차량 고유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며, 이러한 차량고유정보는 해당 차량의 차량운행정보 및 차량운임정보가 노변기지국(200)으로 전송될 때 함께 전송되어 교통정보센터 관제서버(300)에서 각 차량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별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교통정보센터 관제서버(300)는 이렇게 차량 내에 구비된 차량탑재장치(100)와 도로변에 설치된 노변기지국(200) 간의 실시간 양방향 통신을 통하여 얻어지는 다양한 차량 정보를 수집/저장하고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교통정보 등의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본 발명에서는 도시교통정보시스템 통신망에서 사용하지 않는 비사용(reserved)영역 중 민간에 개방된 일부 회선을 사용하게 되며, 이를 통해 교통정보센터 관제서버(300)로부터 차량운임정보를 제공받게 된다.
즉, 교통정보센터 관제서버(300)는 차량탑재장치(100)와 노변기지국(200) 간의 실시간 양방향 통신을 통하여 전송된 차량운행정보 및 차량운임정보를 저장하고, 택시 운영 회사의 요청에 따라 해당 정보를 택시 운영 회사의 택시운영서버(400)로 전달하여 택시 운영 회사에서 해당 정보를 바탕으로 각각의 택시의 일일 정산정보를 생성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말해서, 택시 운영 회사에서는 택시운영서버(400)를 통해 교통정보센터 관제서버(300)에 접속하여 택시 운영 회사에 소속된 차량의 차량고유정보를 입력하고 해당 차량의 차량운행정보 및 차량운임정보를 요청함으로써, 교통정보센터 관제서버(300)로부터 택시 운영 회사에서 입력한 차량고유정보에 해당하는 차량의 차량운행정보 및 차량운임정보를 제공받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택시 운영 회사에서는 각 차량의 일일 차량운행정보 및 차량운임정보 정산시 해당 차량의 차량 정산정보를 교통정보센터 관제서버(300)에 요청함으로써, 택시운영서버(400)에 저장된 해당 차량들의 정산정보를 업데이트하거나, 일정 주기마다 각 차량의 차량운행정보 및 차량운임정보를 요청하여 택시운영서버(400)에 저장된 해당 차량들의 정산정보를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함으로써, 차량의 운행상태나 운임정보 등을 상시 관찰하고 관리하여 택시 운영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최근 국토교통부에서는 택시 차량의 일일 수익 정보나, 차량의 속도, 주행거리, 위치 등을 포함한 정보를 수집하여 차량의 운행반경에 따른 수입을 조사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정보를 이용하여 택시 회사의 투명경영, 택시 차량 운전자의 근로환경 개선, 택시 관련 범죄 예방 등을 유도하도록 하고 있으며,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택시 정산정보 관리방법을 활용하게 되면, 개별 택시 차량들의 차량운행정보는 물론 차량운임정보까지 동시에 수집, 관리할 수 있게 됨으로써 이렇게 수집된 택시 차량의 차량운행정보 및 차량운임정보를 바탕으로 더욱 효과적인 택시 운영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는 장점도 갖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탑재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탑재장치(100)의 내부에 하이패스 모듈(140)을 추가로 구비하여 승객 탑승시 발생하는 고속도로 통행료를 차량운임정보에 포함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일반적으로 택시 차량의 내부에는 고속도로 통행료를 결제하기 위한 하이패스 단말기가 장착되어 고속도로 통행시 발생하는 통행료를 결제하게 되는데, 이때, 택시에 승객이 탑승한 채 고속도로를 운행하는 경우, 하이패스 단말기를 통해 결제된 해당 고속도로 통행료를 승객이 결제할 택시 운임에 포함시키기 위해서는, 승객이 택시 운임을 결제할 시, 택시 운전자가 수동으로 택시 미터기의 추가 운임 버튼을 조작하여 해당 고속도로 통행료를 택시 운임에 반영해야 하는 번거러움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차량탑재장치(100) 내부에 하이패스 모듈(140)을 추가로 구비하여, 하이패스 모듈(140)을 통해 결제된 고속도로 통행료 결제정보를 택시 미터기(10)와 유·무선으로 연결되는 통신모듈(130)을 통해 미터기(10)로 전송하여 승객이 결제할 택시 이용 요금에 상기 고속도로 통행료가 포함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승객이 목적지에 도착하여 택시 이용 요금을 결제하게 되면 해당 택시 운임정보에는 상기 하이패스 모듈(140)을 통해 결제된 고속도로 통행료가 포함되게 되며, 이에 따라 미터기(10)를 통해 차량탑재장치(100)로 전송되는 차량운임정보에는 상기 하이패스 모듈(140)을 통해 결제된 고속도로 통행료가 포함되어, 노변기지국(200)으로 전송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택시 미터기와, 택시 차량 내에 구비되어 내장된 GPS 모듈을 통해 측정되는 차량의 위치 및 속도 등의 차량운행정보를 수집하여 도로 주변에 설치된 노변기지국(Road Side Equipment, RSE)으로 전송하는 차량탑재장치(On Board Equipment, OBE)를 유·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하여, 차량탑재장치로부터 노변기지국으로의 차량운행정보 송신과정에서 상기 택시 미터기로부터 제공되는 현금 또는 카드결제 정보 등의 차량운임정보를 함께 송신하도록 구성하여, 택시 운영 회사에서 택시운영서버를 통해 상기 노변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교통정보를 수집, 관리하는 교통정보센터 관제서버로부터 택시 차량의 차량운임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택시의 일일 정산정보 수집 및 관리를 위해 운전자 교대시마다 택시가 매번 차고지로 복귀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고지에 택시를 입차시키지 않고서도 택시 차량의 정산 시점에 교통정보센터 관제서버에 정산정보를 요청하여 제공받을 수 있음으로써, 택시 차량의 운행상태나 운임정보 등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택시 운전자는 일일 차량 정산 시점마다 반드시 차고지로 복귀할 필요없이 차고지 근처를 지나갈 때 차고지에 들러 현금 수익금 및 사납금 등을 사납함으로써, 택시 운전자가 편리한 시간에 언제든지 정산을 수행할 수 있으며, 차고지 이외의 장소에서 교대를 할 시에도 다음 교대자에게 현금 수익금 및 사납금을 인계하는 등의 방법을 통해 정산을 수행할 수 있어, 택시 운전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택시 운영 회사는 일정한 주기마다 택시 차량의 차량운행정보 및 차량운임정보를 교통정보센터 관제서버에 요청하여 제공받을 수 있어, 차량의 운행상태나 운임정보 등을 상시 관찰하고 관리함으로써 운영관리에 대한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런 정보들을 바탕으로 택시 운행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시교통정보시스템 통신망을 이용한 택시 정산정보 관리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택시 차량 운전자가 차량을 운행하기 위해 차량의 시동을 온 시키면 차량탑재장치 및 미터기가 연동하여 동작하게 되며, 차량탑재장치는 차량탑재장치에 내장된 GPS 모듈로부터 차량의 위치 및 속도 정보 등의 차량운행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동시에, 차량탑재장치에 연결된 미터기로부터 승객의 카드 또는 현금 결제정보 등의 차량운임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한다(S110).
즉, 차량탑재장치에는 여러 가지 정보를 수집, 저장 및 처리하기 위한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Micro Control Unit, MCU)과 외부 기기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모듈이 내장되어 있어,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을 통해 상기 GPS 모듈로부터 차량운행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동시에, 통신모듈을 통해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미터기로부터 차량운임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차량운임정보를 수집함에 있어서, 차량탑재장치의 내부에 하이패스 모듈을 추가로 구비하여 승객 탑승시 발생하는 고속도로 통행료를 차량운임정보에 포함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즉, 택시에 승객이 탑승한 채 고속도로를 운행하는 경우, 차량탑재장치 내부에 구비된 하이패스 모듈을 통해 고속도로 통행료를 결제하고,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은 하이패스 모듈로부터 통행료 결제 신호가 감지되면 해당 통행료 결제 정보를 미터기로 전송하여 택시 승객이 결제해야 할 택시 이용 요금에 상기 고속도로 통행료가 포함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승객이 목적지에 도착하여 택시 이용 요금을 결제하게 되면 해당 결제 정보에는 상기 하이패스 모듈을 통해 결제된 고속도로 통행료가 포함되게 되며, 이에 따라 미터기를 통해 차량탑재장치로 전송되어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에 저장되는 차량운임정보에는 상기 고속도로 통행료가 포함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차량탑재장치에 누적되어 저장된 차량운행정보 및 차량운임정보는 도로변에 설치되어 있는 노변기지국으로 전송되고(S120), 노변기지국으로 전송된 차량운행정보 및 차량운임정보는 노변기지국과 광통신망 등의 유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교통정보센터 관제서버로 전송된다(S130).
즉, 택시 차량의 차량탑재장치에는 차량운행정보 및 차량운임정보가 실시간으로 수집되어 저장되며, 운행 중인 택시 차량이 도로변에 설치되어 있는 노변기지국으로부터 일정거리 이내로 진입하게 되면, 차량탑재장치에 내장된 통신모듈은 노변기지국과 무선통신을 통해 접속하게 된다.
이렇게 차량탑재장치에 내장된 통신모듈과 노변기지국이 무선통신을 통해 접속하게 되면,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은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에 저장된 차량운행정보 및 차량운임정보를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노변기지국으로 전송하며, 차량탑재장치로부터 차량운행정보 및 차량운임정보를 전송받은 노변기지국은 이들 정보를 다시 교통정보센터 관제서버로 전송하게 된다.
여기서, 차량탑재장치의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에는 차량탑재장치가 설치된 차량을 식별할 수 있는 차량 고유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며, 이러한 차량고유정보는 해당 차량의 차량운행정보 및 차량운임정보가 노변기지국으로 전송될 때 함께 전송되어 교통정보센터 관제서버에서 각 차량을 식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 차량별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이후, 교통정보센터 관제서버는 노변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차량운행정보 및 차량운임정보를 저장하며(S140), 이렇게 차량탑재장치로부터 수집되어 교통정보센터 관제서버에 저장된 차량운행정보 및 차량운임정보는 해당 차량 택시 운영 회사의 요청에 따라 택시 운영 회사로 제공되는데, 택시 운영 회사에서는 택시운영서버를 통해 교통정보센터 관제서버에 접속하여 택시 운영 회사에 소속된 차량의 차량운행정보 및 차량운임정보를 요청(S150)하면, 교통정보센터 관제서버는 해당 차량의 차량운행정보 및 차량운임정보를 상기 택시 운영 회사의 택시운영서버로 제공한다(S160).
즉, 택시 운영 회사에서는 택시 차량의 일일 정산시점에 택시운영서버를 통해 교통정보센터 관제서버에 접속하여 택시 운영 회사에 소속된 차량의 차량고유정보를 입력하고, 해당 차량의 차량운행정보 및 차량운임정보를 요청하면, 교통정보센터 관제서버에서는 상기 입력된 차량고유정보와 일치하는 차량의 차량운행정보 및 차량운임정보를 상기 택시 운영 회사의 택시운영서버로 제공한다.
이때, 택시 운영 회사에서는 택시운영서버에 상기 택시 회사에 소속된 각각의 차량고유정보를 저장하고, 일정한 주기로 교통정보센터 관제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저장된 각각의 차량고유정보에 해당하는 차량들의 차량운행정보 및 차량운임정보를 요청하도록 함으로써, 일정한 주기마다 교통정보센터 관제서버에 저장된 차량운행정보 및 차량운임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시교통정보시스템 통신망을 이용한 택시 정산정보 관리방법은, 택시 미터기와 차량탑재장치(On Board Equipment, OBE)를 유·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하여, 차량탑재장치로부터 노변기지국(Road Side Equipment, RSE)으로의 차량운행정보 송신과정에서 상기 택시 미터기로부터 제공되는 현금 또는 카드결제 정보 등의 차량운임정보를 함께 송신하도록 구성하여, 택시 운영 회사에서 택시운영서버를 통해 상기 노변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교통정보를 수집, 관리하는 교통정보센터 관제서버로부터 택시 차량의 차량운임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택시의 일일 정산정보 수집 및 관리를 위해 운전자 교대시마다 택시가 매번 차고지로 복귀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아울러 차고지로 복귀하지 않고서도 노변기지국을 통해 택시 차량의 차량운행정보 및 차량운임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어, 차량의 운행상태나 운임정보 등을 상시 관찰하고 관리함으로써 운영관리에 대한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택시 운행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에 구축되어 있는 도시교통정보시스템 통신망을 이용하기 때문에 택시의 일일 정산정보 수집을 위한 별도의 통신망을 구축하지 않고서도 차량의 일일 정산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100 : 차량탑재장치(OBE) 2, 200 : 노변기지국(RSE)
10 : 택시 미터기 110 :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MCU)
120 : GPS 모듈 130 : 통신모듈
140 : 하이패스 모듈 300 : 교통정보센터 관제서버
400 : 택시운영서버

Claims (8)

  1. 차량 내에 구비된 차량탑재장치(On Board Equipment, OBE)로부터 수집된 차량운행정보를 노변기지국(Road Side Equipment, RSE)을 통해 상기 노변기지국과 연결된 교통정보센터 관제서버로 전송하여, 도심 전역의 교통상황을 제공하는 도시교통정보시스템(Urban Traffic Information System, UTIS)의 통신망을 이용한 택시 정산정보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차량탑재장치에 택시 미터기를 유·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하여, 상기 차량탑재장치로부터 상기 노변기지국으로의 차량운행정보 송신과정에서 상기 택시 미터기로부터 제공되는 차량운임정보를 함께 송신하도록 구성하여,
    택시 운영 회사에서 택시운영서버를 통해 상기 차량탑재장치로부터 전송되는 교통정보를 수집, 관리하는 교통정보센터 관제서버로부터, 상기 노변기지국을 통해 송신된 택시 차량의 차량운임정보를 제공받아 택시 차량의 일일 정산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교통정보시스템 통신망을 이용한 택시 정산정보 관리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탑재장치로부터 상기 노변기지국으로의 차량운행정보 송신과정에서 상기 택시 미터기로부터 제공되는 차량운임정보를 함께 송신함에 있어서,
    상기 차량운임정보의 송신은 상기 도시교통정보시스템 통신망에서 사용하지 않는 비사용(reserved)영역 중 일부 영역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교통정보시스템 통신망을 이용한 택시 정산정보 관리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탑재장치는,
    상기 차량운행정보 및 차량운임정보를 상기 노변기지국을 통해 교통정보센터 관제서버로 전송함에 있어서,
    차량을 식별하기 위한 차량고유정보를 함께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교통정보시스템 통신망을 이용한 택시 정산정보 관리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운임정보에는,
    해당 차량에 탑승한 승객이 결제한 현금 또는 카드 결제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교통정보시스템 통신망을 이용한 택시 정산정보 관리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탑재장치에 하이패스 모듈을 구비하여,
    상기 하이패스 모듈을 통해 결제된 고속도로 통행료를 상기 차량운임정보에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교통정보시스템 통신망을 이용한 택시 정산정보 관리방법.
  6. 차량 내에 구비된 차량탑재장치(On Board Equipment, OBE)로부터 수집된 차량운행정보를 노변기지국(Road Side Equipment, RSE)을 통해 상기 노변기지국과 연결된 교통정보센터 관제서버로 전송하여, 도심 전역의 교통상황을 제공하는 도시교통정보시스템(Urban Traffic Information System, UTIS)의 통신망을 이용한 택시 정산정보 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차량탑재장치(On Board Equipment, OBE)에 유·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차량탑재장치에 차량운임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차량탑재장치로부터 상기 노변기지국으로의 차량운행정보 송신과정에서 차량운임정보를 함께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택시 미터기; 및
    상기 차량탑재장치로부터 상기 노변기지국을 통해 전송되는 교통정보를 수집, 관리하는 교통정보센터 관제서버에 연결되어, 상기 교통정보센터 관제서버로 전송된 차량의 차량운행정보 및 차량운임정보를 제공받는 택시운영서버;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차량탑재장치로부터 상기 노변기지국을 통해 전송된 차량운임정보를 바탕으로 택시 차량의 일일 정산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교통정보시스템 통신망을 이용한 택시 정산정보 관리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운임정보에는,
    해당 차량에 탑승한 승객이 결제한 현금 또는 카드 결제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교통정보시스템 통신망을 이용한 택시 정산정보 관리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탑재장치에 하이패스 모듈을 구비하여,
    상기 하이패스 모듈을 통해 결제된 고속도로 통행료를 상기 차량운임정보에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교통정보시스템 통신망을 이용한 택시 정산정보 관리시스템.
KR1020150065455A 2015-05-11 2015-05-11 도시교통정보시스템(utis) 통신망을 이용한 택시 정산정보 관리방법 및 택시 정산정보 관리시스템 KR1015417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5455A KR101541784B1 (ko) 2015-05-11 2015-05-11 도시교통정보시스템(utis) 통신망을 이용한 택시 정산정보 관리방법 및 택시 정산정보 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5455A KR101541784B1 (ko) 2015-05-11 2015-05-11 도시교통정보시스템(utis) 통신망을 이용한 택시 정산정보 관리방법 및 택시 정산정보 관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1784B1 true KR101541784B1 (ko) 2015-08-05

Family

ID=53886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5455A KR101541784B1 (ko) 2015-05-11 2015-05-11 도시교통정보시스템(utis) 통신망을 이용한 택시 정산정보 관리방법 및 택시 정산정보 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178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0465B1 (ko) * 2017-09-25 2018-05-23 (주)이니어스 승차거부 단속 기능을 갖는 스마트 에코(Eco) 회차 택시 운행 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864191B1 (ko) * 2017-09-25 2018-06-04 (주)이니어스 위치정보에 기반 한 복합 요금계산 기능을 갖는 스마트 에코(Eco) 택시운행 서비스 시스템.
KR101939722B1 (ko) * 2018-06-27 2019-01-17 주식회사 아이온뱅크 택시용 앱미터기
KR102447863B1 (ko) * 2021-07-29 2022-09-27 주식회사 비에스아이티 바우처 택시의 운행 요금을 자동으로 정산하는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2193B1 (ko) 2005-03-09 2007-04-02 주식회사 케이디이컴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택시미터기의 요금변경방법
KR200456920Y1 (ko) 2011-03-29 2011-11-28 주식회사 아이온뱅크 일일 정산정보 제공이 가능한 택시 미터기
KR101159709B1 (ko) 2010-11-26 2012-06-26 한국과학기술원 차량간 통신을 이용한 교통정보 수집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2193B1 (ko) 2005-03-09 2007-04-02 주식회사 케이디이컴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택시미터기의 요금변경방법
KR101159709B1 (ko) 2010-11-26 2012-06-26 한국과학기술원 차량간 통신을 이용한 교통정보 수집방법
KR200456920Y1 (ko) 2011-03-29 2011-11-28 주식회사 아이온뱅크 일일 정산정보 제공이 가능한 택시 미터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0465B1 (ko) * 2017-09-25 2018-05-23 (주)이니어스 승차거부 단속 기능을 갖는 스마트 에코(Eco) 회차 택시 운행 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864191B1 (ko) * 2017-09-25 2018-06-04 (주)이니어스 위치정보에 기반 한 복합 요금계산 기능을 갖는 스마트 에코(Eco) 택시운행 서비스 시스템.
KR101939722B1 (ko) * 2018-06-27 2019-01-17 주식회사 아이온뱅크 택시용 앱미터기
KR102447863B1 (ko) * 2021-07-29 2022-09-27 주식회사 비에스아이티 바우처 택시의 운행 요금을 자동으로 정산하는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768768B (zh) 一种智能交通服务系统
CN102622871B (zh) 智能停车场公共服务系统的工作方法
CN108876948A (zh) 基于北斗高精度定位的高速etc不停车收费方法及系统
CN108537900A (zh) 基于北斗高精度定位的高速公路不停车收费方法及系统
CN202534162U (zh) 智能停车场公共服务系统
KR101541784B1 (ko) 도시교통정보시스템(utis) 통신망을 이용한 택시 정산정보 관리방법 및 택시 정산정보 관리시스템
CN103593879A (zh) 一种车辆定位集成智能收费管理系统及方法
CN104008576A (zh) 基于北斗的高速公路车辆自由流电子收费方法、系统及装置
CN110619686A (zh) 通行费的确定方法、装置、车载设备及可读存储介质
KR20140109547A (ko) 주차장안내서비스시스템 및 그 방법
CN112837435A (zh) 智慧城市etc道路追缴管理系统及设备
CN111009044A (zh) 一种基于北斗高精度定位的里程收费系统
EP1630747A2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Mauterhebung
Yatskiv et al. Review of intelligent transport solutions in Latvia
KR100811176B1 (ko) 주차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CN108961822B (zh) 路内泊位停车智能管理方法及系统
JP2002170138A (ja) 車両に情報を提供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10020842B (zh) 一种基于区块链的汽车智能管理方法及系统
KR20090097534A (ko) 무선통신을 이용한 교통과 편의시설의 정보 제공시스템
Leal et al. Bus rapid transit: an alternative for developing countries
CN103236180B (zh) 一种车载信息互动接口方法
Boccardo et al. Application of geomatic techniques in infomobility and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ITS)
CN112712699A (zh) 一种智能的城市道路拥堵的收费系统管理方法
KR100449260B1 (ko) 능동형 단거리전용 무선통신 기반의 대중교통 관리시스템
CN218768434U (zh) 静态交通管理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