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9418B1 - 가상 접지 노드를 이용한 증폭기 - Google Patents

가상 접지 노드를 이용한 증폭기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9418B1
KR101159418B1 KR1020090120738A KR20090120738A KR101159418B1 KR 101159418 B1 KR101159418 B1 KR 101159418B1 KR 1020090120738 A KR1020090120738 A KR 1020090120738A KR 20090120738 A KR20090120738 A KR 20090120738A KR 101159418 B1 KR101159418 B1 KR 1011594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amplifier
node
virtual ground
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0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4235A (ko
Inventor
박창근
Original Assignee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1207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9418B1/ko
Publication of KR201100642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42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94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94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02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 H03F1/0205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 H03F1/0261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with control of the polarisation voltage or current, e.g. gliding Class A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189High-frequency amplifiers, e.g. radio frequency amplifiers
    • H03F3/19High-frequency amplifiers, e.g. radio frequency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3F3/193High-frequency amplifiers, e.g. radio frequency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field-effect devic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45Differential amplifiers
    • H03F3/45071Differential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3F3/45076Differential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characterised by the way of implementation of the active amplifying circuit in the differential amplifier
    • H03F3/45179Differential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characterised by the way of implementation of the active amplifying circuit in the differential amplifier using MOSFET transistors as the active amplifying circuit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186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the ground, reference potential being control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주파 증폭기의 전력 검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차동 구조로 된 증폭기에서 가상 접지 노드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2차 고조파 성분을 이용하여 전력을 검출 하는 기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력 검출을 위하여 증폭기의 입력 신호 혹은 출력 신호 성분에는 영향을 주지 않게 되므로, 증폭기의 이득의 감소가 없고, 출력 전력 크기의 저하가 없고, 전력 검출을 위한 추가적인 결합기(coupler)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회로가 간단해 지고 이에 따라 생산 단가를 절감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전력 검출기, 가상 접지, 결합기

Description

가상 접지 노드를 이용한 증폭기 {Amplifier Using Virtual Ground Node}
본 발명은 고주파 증폭기의 전력 검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증폭기의 전력을 검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A는 종래기술에 의한 증폭기와 증폭기의 전력을 검출하기 위한 간략한 블록도(Block diagram)를 보이고 있다. 101은 일반적은 고주파 증폭기를 나타내며, 102는 101에 의한 증폭기에 전원 전압 공급기이며, 103은 RF Output 노드에서 신호의 크기를 검출 할 수 있는 전력 결합기이다. 104는 이와 전력 결합기에서 검출된 전력의 크기를 바탕으로 102에 의한 전원 전압 공급기에 제어 신호를 발생 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102에 의한 전원 전압 공급기, 103에 의한 전력 결합기 그리고 104에 의한 전원 전압 제어기로 구성되는 회로는 출력 전력의 크기가 설계자 의도와는 다르게 과도하게 크거나, 혹은 작은 경우에 이를 바로 잡아 주기 위한 feedback 시스템이 된다.
도 1A와 같은 경우는 출력 신호에서 곧바로 전력의 크기를 검출하기 때문에 출력 전력의 크기를 보다 정확하게 검출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방법은 출력 전력의 일부분이 결합기를 통하여 104에 의한 전원 전압 제어기로 입력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101에 의한 증폭기의 효율이 저하 되는 단점이 있다.
도 1B는 도 1A에 의한 전력 검출 시스템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개발 된 것으로서, 도 1B가 도 1A와 다른 점은 전력의 검출을 RF Input 노드에서 하는 것이다. 도 1B와 같은 경우는 도 1A의 경우와는 달리 증폭기에서 발생한 출력 전력이 손실 없이 부하저항으로 전달이 되기 때문에 101에 의한 증폭기의 효율 저하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RF Input 노드에서 전력을 검출하기 때문에 검출된 신호의 크기와 101에 의한 증폭기의 이득 특성을 고려하여 최종 출력인 RF Output에서의 출력 전력을 계산, 혹은 예상해야 한다. 이 경우, 온도와 회로의 사용시간에 따라 증폭기의 이득 특성은 변화 할 수 있기 때문에 RF Input에서 검출한 전력의 크기로, RF Output 에서의 출력 전력의 크기를 정확하게 계산하거나 예측 하는 것은 도 1A에 의한 시스템에 비하여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도 1A에 의한 시스템은 출력 전력의 일부를 전력을 검출 하는데 사용하므로, 전체 시스템의 효율이 저하 되는 문제점이 있고, 도 1B에 의한 시스템은 전력을 검출 하는 노드가 RF Input 이기 때문에 이를 통하여 RF Output 노드에서의 출력 전력을 정확하게 예측하기가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설계자가 검출 하고자 하는 출력 전력의 크기를 정확하게 검출함과 동시에 출력 전력의 손실이 없도록 하여 전체 시스템의 효율의 저하를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가상 접지 노드를 이용한 증폭기는, 전원전압공급기와 접지 사이에 병렬로 연결된 복수의 증폭소자의 공통접점으로 정의되는 가상접지에 생성되는 2차 고조파 성분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2차 고조파 성분의 전력을 기초로 증폭을 위한 공급전력을 제어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상접지는 상기 증폭소자의 소스단이 서로 만나는 지점 또는 상기 증폭소자의 드레인단이 서로 만나는 지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상접지가 형성된 노드와 증폭기의 접지를 인덕터를 통하여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상접지가 형성된 노드와 증폭기의 전원전압이 인가되는 노드를 인덕터를 통하여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전력 검출을 위하여 증폭기의 입력 신호 혹은 출력 신호 성분에는 영향을 주지 않게 되므로, 증폭기의 이득의 감소가 없 고, 출력 전력 크기의 저하가 없고, 전력 검출을 휘한 추가적인 결합기(coupler)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회로가 간단해 지고, 이에 따라 생산 단가를 절감 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예시로 제시 된 것이다.
도 2A는 일반적인 차동 구조로 형성된 증폭기 구조를 간략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RF IN+와 RF IN-는 서로 위상이 180°차이가 나는 차동 신호가 입력된다. 이때 201A에 의한 MOSFET의 소스와 201B에 의한 MOSFET의 소스가 서로 만나는 노드인 202에서 증폭기의 가상 접지가 형성이 된다. 도 2A에서는 202에 의한 가상 접지와 증폭기의 접지(GND)가 하나의 노드를 형성하고 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는 도 2B에서와 같이 202에 의한 가상 접지와 증폭기의 접지(GND) 사이에는 일정량의 인덕턴스가 존재 하게 되는데, 이는 203으로 도 2B에서 표시 하였다. 이러한 가상 접지와 실제 접지 사이에 필연적으로 존재하는 203에 의한 인덕턴스를 일반적으로 기생 인덕턴스(parasitic inductance)라고 부른다. 비록 실제 접지(GND)와 202에 의한 노드 사이에는 일정량의 기생 인덕턴스가 존재 하더라도, 증폭기의 동작 주파수에 대해서 202는 여전히 가상 접지로서 동작을 하여, 동작 주파수에 대해서 202에 의한 노드는 마치 실제 접지 인 것과 같은 역할을 하게 된다. 하지만, 증폭기 동작 주파수의 2차 고조파에 대해서는 202에 의한 노드는 더 이상 가상 접지로서의 역할을 하지 못하고, 202에 의한 노드와 증폭기의 실제 접지(GND) 사이의 인덕턴스가 임피던스로서의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이상적으로는 202에 의한 노드에서는 증폭기의 동작 주파수 성분의 전력은 존재하지 않고, 2차 고조파 성분에 의한 전력만이 존재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현상을 도 3에서 나타내었다. 일반적으로, 도 3의 RF Out +/- 에서의 신호가 증가 하면 도 3의 MOSFET을 통하여 흐르는 전류의 양이 증가하기 때문에 202에서의 2차 고조파 신호의 전력의 크기도 증가 하게 된다.
[실시예 1]
본 발명에 의한 실시 예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에 의한 도4의 회로도에서는 도 1A 와 도 1B의 103에 의한 결합기를 제거 하고, 202에 의한 가상 접지 노드에서의 전력을 전원 전압 제어기의 입력으로 사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차동 증폭기에 있어서, 동작 주파수에 해당하는 신호의 크기가 증가 할수록 202에 의한 노드에서 발생하는 2차 고조파 신호의 전력은 증가하기 때문에, 202에 의한 노드에서 발생하는 2차 고조파 신호의 전력을 이용하여, 증폭기의 출력전력을 예측 가능하다. 따라서, 도 4에 의한, 가상 접지에서 2차 고조파 신호의 전력을 전원 전압 제어기의 입력으로 사용 하는 것은 증폭기의 동작 주파수에 해당하는 신호의 크기를 감쇄 시키지 않기 때문에, 도 1A에 의한 시스템의 단점 이었던 효율의 저하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다. 더불어, 최종 출력 신호의 크기가 증가 하면, 202에 의한 노드에서 발생하는 2차 고조파 신호의 전력의 크기도 함께 증가하기 때문에 도 1B에 의한 시스템의 단점인 103에 의한 전력 결합기를 통하여 결합된 신호의 크기가 최종 출력 신호의 전력을 정확하게 예측하기 힘들다는 문제를 함께 해결 할 수 있다.
이때, 202에 의한 노드에서의 2차 고조파 성분의 전력을 크게 하기 위하여 실제 접지(GND)와 202에 의한 가상 접지 노드 사이에 인위적으로 인덕터를 추가 할 수도 있다.
[실시예 2]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도 5의 회로도에서는 도 1A 와 도 1B의 103에 의한 결합기를 제거하고, 501에 의한 가상 접지 노드에서의 전력을 전원 전압 제어기의 입력으로 사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차동 증폭기에 있어서, 동작 주파수에 해당하는 신호의 크기가 증가 할수록 501에 의한 노드에서 발생하는 2차 고조파 신호의 전력은 증가하기 때문에, 501에 의한 노드에서 발생하는 2차 고조파 신호의 전력을 이용하여, 증폭기의 출력전력을 예측 가능하다. 따라서, 도 5에 의한, 가상 접지에서 2차 고조파 신호의 전력을 전원 전압 제어기의 입력으로 사용하는 것은 증폭기의 동작 주파수에 해당하는 신호의 크기를 감쇄 시키지 않기 때문에, 도 1A에 의한 시스템의 단점이었던 효율의 저하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다. 더불어, 최종 출력 신호의 크기가 증가 하면, 501에 의한 노드에서 발생하는 2차 고조파 신호의 전력의 크기도 함께 증가하기 때문에, 도 1B에 의한 시스템의 단점인 103에 의한 전력 결합기를 통하여 결합된 신호의 크기가 최종 출력 신호의 전력을 정확하게 예측하기 힘들다는 문제를 함께 해결 할 수 있다.
이때, 501에 의한 노드에서의 2차 고조파 성분의 전력을 크게 하기 위하여 실제 접지(GND)와 501에 의한 가상 접지 노드 사이에 인위적으로 인덕터를 추가 할 수도 있다.
도 1A는 종래의 출력 신호를 이용한 전력 검출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B는 종래의 입력 신호를 이용한 전력 검출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A는 종래의 차동 증폭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B는 종래의 차동 증폭기의 가상 접지 노드에 존재하는 인덕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종래의 차동 증폭기의 각 노드에서의 신호 파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상 접지 노드에서 전력을 검출 하는 제 1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상 접지 노드에서 전력을 검출 하는 제 2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Claims (5)

  1. 전원전압공급기와 접지 사이에 병렬로 연결된 복수의 증폭소자의 공통접점으로 정의되는 가상접지에 생성되는 2차 고조파 성분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2차 고조파 성분의 전력을 기초로 증폭을 위한 공급전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폭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접지는 상기 증폭소자의 소스단이 서로 만나는 지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폭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접지는 상기 증폭소자의 드레인단이 서로 만나는 지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폭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접지가 형성된 노드와 증폭기의 접지를 인덕터를 통하여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폭기.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접지가 형성된 노드와 증폭기의 전원전압이 인가되는 노드를 인덕터를 통하여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폭기.
KR1020090120738A 2009-12-07 2009-12-07 가상 접지 노드를 이용한 증폭기 KR1011594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0738A KR101159418B1 (ko) 2009-12-07 2009-12-07 가상 접지 노드를 이용한 증폭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0738A KR101159418B1 (ko) 2009-12-07 2009-12-07 가상 접지 노드를 이용한 증폭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4235A KR20110064235A (ko) 2011-06-15
KR101159418B1 true KR101159418B1 (ko) 2012-06-28

Family

ID=44397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0738A KR101159418B1 (ko) 2009-12-07 2009-12-07 가상 접지 노드를 이용한 증폭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94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0622B1 (ko) * 2013-06-24 2015-01-12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가상 접지 신호를 이용한 전치 보상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43707A (en) * 1999-01-07 2000-03-28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 radio-frequency power amplifier as a variable-class linear amplifier
US20030107441A1 (en) 2000-08-21 2003-06-12 Jean-Charles Grasset Linear pre-amplifier for radio-frequency power amplifier
KR20090090273A (ko) * 2008-02-20 2009-08-25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도코모 피드포워드 증폭기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43707A (en) * 1999-01-07 2000-03-28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 radio-frequency power amplifier as a variable-class linear amplifier
US20030107441A1 (en) 2000-08-21 2003-06-12 Jean-Charles Grasset Linear pre-amplifier for radio-frequency power amplifier
KR20090090273A (ko) * 2008-02-20 2009-08-25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도코모 피드포워드 증폭기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4235A (ko) 2011-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92273B2 (ja) 増幅器
US7554394B2 (en) Power amplifier circuit
US8344799B2 (en) Power amplifier and amplification method thereof
JP6452623B2 (ja) 包絡線追跡変調器の線形増幅器の改善された効率
JP4014072B2 (ja) 電力増幅器モジュール
JP4330549B2 (ja) 高周波電力増幅装置
MX2011008975A (es) Amplificador de baja disipacion.
JP7245425B2 (ja) 無線周波数電力増幅器のための電源
KR20110090751A (ko) 검출회로와 그것을 사용한 반도체장치
EP2501035A1 (en) Amplifier
EP1548931A1 (en) Protection circuit for power amplifier
US20150326180A1 (en) Control of cross-over point
JP2000174559A (ja) マイクロ波電力増幅装置
KR101159418B1 (ko) 가상 접지 노드를 이용한 증폭기
US7298211B2 (en) Power amplifying apparatus
KR20030014237A (ko) 고주파 증폭기
JP6565241B2 (ja) ドハティ増幅器
JPWO2008136124A1 (ja) 増幅器
US20060284677A1 (en) Switching amplifi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07140392A2 (en) Methods and apparatus to provide slew enhancement for low power amplifiers
KR102623717B1 (ko) 부하 검출 회로 및 증폭 회로
WO2024085154A1 (ja) 検出回路
JP3951804B2 (ja) フィードフォワード増幅器
US8384481B2 (en) Signal amplification device and signal amplification method
JPH03250805A (ja) 多信号増幅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