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7355B1 - 특수 차량 도어의 개폐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특수 차량 도어의 개폐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7355B1
KR101157355B1 KR1020100077703A KR20100077703A KR101157355B1 KR 101157355 B1 KR101157355 B1 KR 101157355B1 KR 1020100077703 A KR1020100077703 A KR 1020100077703A KR 20100077703 A KR20100077703 A KR 20100077703A KR 101157355 B1 KR101157355 B1 KR 1011573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pecial vehicle
opening
unit
guide w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77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5535A (ko
Inventor
황임복
최태용
조희철
Original Assignee
두산디에스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디에스티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디에스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777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7355B1/ko
Publication of KR201200155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55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73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73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26Means for controlling movement of tailboards or sidebo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05F15/65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wings
    • E05F15/662Motor units therefor, e.g. geared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수 차량 도어의 개폐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특수 차량 도어의 개폐 제어 장치는, 특수 차량(200)의 상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 샤프트(210), 도어 샤프트(210)에 고정되어 개폐되는 도어(300), 특수 차량의 상측에 설치되어 도어 샤프트(210)를 회전 구동하는 도어 구동 유닛(220), 도어(300)에 설치되고 폭이 서로 다른 제1 가이드 웨이(114)와 제2 가이드 웨이(116)가 연속되게 형성된 브래킷 유닛(110), 특수 차량(200)의 상측에 설치되어 도어(300)가 반전되어 개방되었을 때에 도어(300)를 받히며 브래킷 유닛(110)의 양측에 배치되는 제1, 제2 도어 서포터(121)(122), 제1, 제2 도어 서포터(121)(122)에 각각 설치되고 제2 가이드 웨이(116)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어 브래킷 유닛(110)을 향하는 방향으로 진퇴되며 브래킷 유닛(110)에 진입되었을 때에 브래킷 유닛(110)의 선회 움직임을 방지하는 제1, 제2 너트 블록 유닛(131)(132), 제1, 제2 가이드 웨이(114)(116)를 관통하고 양측에 나사산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되어 제1, 제2 너트 블록 유닛(131)(132)에 각각 체결되는 볼트 샤프트(140) 및 특수 차량(200)의 상측에 설치되고 볼트 샤프트(140)를 정, 역회전시키는 액추에이터(15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특수 차량 도어의 개폐 제어 장치{the control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to the door of the special vehicles}
본 발명은 특수 차량 도어의 개폐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특수차량에 구비된 도어를 개폐할 때에 도어가 소정의 개방각도에서 멈추도록 하고, 도어의 멈추어진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특수 차량 도어의 개폐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특수차량의 상부에는 특수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개폐 가능하도록 도어가 구비된다.
상술한 도어는 소정의 각도만큼 개방될 수 있고, 반전되도록 완전하게 개방될 수도 있다.
좀 더 상세하게는, 특수한 목적을 신속하게 달성하기 위하여 도어를 소정의각도로 개방할 수 있으며, 이때 개방되는 소정의 각도는 일례로서 100도 내지 140도 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어를 소정의 각도로 개방하는 것을 1단계 개방이라 하고, 도어를 반전시켜 완전하게 개방하는 것을 2단계 개방이라고 한다.
한편, 종래에는 상술한 도어를 개폐 구동할 때에 체인, 스프로켓, 감속 유닛 및 핸들을 포함하는 개폐 장치를 이용하였고, 특히 핸들을 수작업으로 회전시켜 중량체의 도어를 개폐 구동시킴으로써 도어의 개폐가 더디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술한 도어는 중량체이므로 도어가 안쪽이든 바깥쪽이든 수직방향을 벗어나는 순간부터 도어에 중력이 작용되므로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는 것은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특히, 특수한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1단계 개방을 실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중량체인 도어를 소정의 개방각도에서 멈추어 세우고 멈춰진 자세를 유지하여야 하지만, 도어를 고정시킬 수 있는 별도의 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아 도어의 개폐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스토퍼 장치가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도어를 신속하게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고 1단계 개방 및 2단계 개방하였을 때에 도어의 개폐된 자세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특수 차량 도어의 개폐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어가 닫히거나 완전하게 개방될 때에 도어의 개폐각도를 검출하여 도어에 중력이 작용하더라도 완만한 속도로 도어의 개폐작동을 구현하도록 하는 특수 차량 도어의 개폐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특수 차량 도어의 개폐 제어 장치는, 특수 차량의 상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 샤프트; 상기 도어 샤프트에 고정되어 개폐되는 도어; 상기 특수 차량의 상측에 설치되어 도어 샤프트를 회전 구동하는 도어 구동 유닛; 상기 도어에 설치되고 폭이 서로 다른 제1 가이드 웨이와 제2 가이드 웨이가 연속되게 형성된 브래킷 유닛; 상기 특수 차량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가 반전되어 개방되었을 때에 도어를 받히며 상기 브래킷 유닛의 양측에 배치되는 제1, 제2 도어 서포터; 상기 제1, 제2 도어 서포터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제2 가이드 웨이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브래킷 유닛을 향하는 방향으로 진퇴되며 상기 브래킷 유닛에 진입되었을 때에 상기 브래킷 유닛의 선회 움직임을 방지하는 제1, 제2 너트 블록 유닛; 상기 제1, 제2 가이드 웨이를 관통하고 양측에 나사산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제2 너트 블록 유닛에 각각 체결되는 볼트 샤프트; 및 상기 특수 차량의 상측에 설치되고 상기 볼트 샤프트를 정역 회전시키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브래킷 유닛은, 상기 제1 가이드 웨이와 상기 제2 가이드 웨이의 경계부분에 제1 스톱 포지션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가이드 웨이의 한쪽 끝부분에는 상기 제2 가이드 웨이의 폭보다 큰 지름의 제2 스톱 포지션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제2 너트 블록 유닛은, 상기 제1 너트 블록 유닛과 상기 제2 너트 블록 유닛이 대향하는 쪽에 각각 콘(cone)형상의 제1, 제2 콘 헤드가 형성되어 상기 제1, 제2 너트 블록 유닛이 상기 브래킷 유닛에 진입할 때에 진입을 유도하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 샤프트에 위상이 서로 다르게 복수 개로 설치되는 도그 유닛; 및 상기 특수 차량의 한쪽에 설치되어 상기 복수 개의 도그 유닛을 각각 검출하여 상기 도어 구동 유닛의 구동속도를 감속시키도록 하는 복수 개의 센서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특수 차량 도어의 개폐 제어 장치는 도어가 1단계 개방 또는 2단계 개방되었을 때에 도어에 고정된 브래킷을 너트블록으로 고정시킴으로써 도어의 개방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특수 차량 도어의 개폐 제어 장치는 도어가 개폐될 때에 도어에 중력이 작용되더라도 도어가 개폐될 때에 도어의 개폐각도를 검출하고 도어의 개폐각도와 구동모터를 연동시킴으로써 완만한 속도로 개폐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특수 차량 도어의 개폐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특수 차량 도어의 개폐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면 및 정면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특수 차량 도어의 개폐 제어 장치에서 도어의 개폐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면으로서,
도 4는 도어가 닫힌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5는 도어가 1단계 개방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며,
도 6은 도어가 2단계 개방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특수 차량 도어의 개폐 제어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특수 차량 도어의 개폐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면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특수 차량 도어의 개폐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면 및 정면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특수 차량 도어의 개폐 제어 장치는 특수 차량(200)의 상측에 설치되어 도어(300)가 닫힌 상태, 1단계 개방 및 2단계 개방에서 도어(300)의 자세를 유지하기 위한 스토퍼 장치(100)와 도어(300)를 개폐 구동하는 도어 구동 유닛(2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술한 도어(300)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여닫이문 형태로 설치되는 구성일 수 있고, 양쪽의 도어(300)와 각 도어(300)를 개폐 구동하도록 하는 도어 구동 유닛(220)은 대칭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도어 구동 유닛(220)은 서로 연동되어 개폐될 수 있고, 어느 한쪽의 도어(300)와 다른 쪽의 도어(300)가 순차적으로 개폐될 수도 있으며, 어느 쪽 도어(300)를 개폐할 지는 특수 목적에 따라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도어 구동 유닛(220)은 구동모터와 감속기 및 감속기로부터 출력 샤프트에 연결되는 도어 샤프트(2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술한 도어(300)는 상술한 도어 샤프트(210)에 고정 설치되고, 상술한 도어 샤프트(210)는 샤프트 서포터(21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술한 샤프트 서포터(212)는 특수 차량(200)의 한쪽에 설치된다.
한편,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술한 도어 샤프트(210)의 한쪽에는 복수 개의 도그 유닛(230)이 설치되고, 상술한 특수 차량(200)의 한쪽에는 상술한 복수 개의 도그 유닛(230)을 검출하기 위한 센서 유닛(232)이 복수 개로 설치된다.
또한, 상술한 복수 개의 도그 유닛(230)은 도어 샤프트(210)에서 서로 위상이 다르게 설치될 수 있고, 일례로 5도 내지 30도 각도로 위상을 다르게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술한 도어 샤프트(210)가 회전할 때에 회전 변위가 변할 수 있고, 아울러 복수 개의 센서 유닛(232)은 복수 개의 도그 유닛(230) 중에 어느 하나의 도그 유닛(230)을 검출하며, 이로써 도어(300)가 어느 방향에 어느 정도로 경사진 것임을 검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술한 센서 유닛(232)은 상술한 도어 구동 유닛(220)과 연동되어 도어 구동 유닛(220)은 도어(300)의 현재 경사각도 및 운동방향을 고려하여 개폐 구동속도를 제어하게 된다.
일례로서, 도어(300)가 수직상태에서 수평상태로 자세가 전환될 때에 수평 상태에 가까워질수록 도어 구동 유닛(220)은 감속되어 도어(300)가 완만한 속도로 개폐 구동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스토퍼 장치(100)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나의 도어 샤프트(210)에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고, 많은 개수로 설치될수록 도어 샤프트(210) 또는 도어(300)의 움직임을 억제하도록 하는 고정력이 향상될 수 있다.
상술한 스토퍼 장치(100)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어(300)에 고정된 브래킷 유닛(110)과 특수 차량(200)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술한 브래킷 유닛(110)을 억류하는 제1, 제2 너트 블록 유닛(131)(132)과 상술한 제1, 제2 너트 블록 유닛(131)(132)을 상술한 브래킷 유닛(110)을 향하여 진퇴 구동시키는 액추에이터(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술한 브래킷 유닛(110)은 상술한 도어(300)에 고정되어 상술한 도어 샤프트(210)를 중심으로 선회하는 것이다.
좀 더 상세하게는, 브래킷 유닛(110)은 브래킷 바디(112)에 제1 가이드 웨이(114)가 형성되고, 제1 가이드 웨이(114)의 한쪽에는 제1 가이드 웨이(114)의 폭보다 좁은 제2 가이드 웨이(116)가 형성된다.
또한, 제1 가이드웨이(114)와 제2 가이드 웨이(116)의 경계 부분에는 제1 스톱 포지션(115)이 형성되고, 제2 가이드 웨이(116)의 한쪽에는 제2 스톱 포지션(117)이 형성된다.
상술한 제1, 제2 가이드 웨이(114)(116)는 원호 형상의 곡률을 가질 수 있고, 좀 더 상세하게는 원호 형상의 곡률의 중심은 상술한 도어 샤프트(210)를 중심일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제1 스톱 포지션(115)은 제1 가이드 웨이(114)와 제2 가이드 웨이(116)의 경계에 형성되는 단턱일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제2 스톱 포지션(117)은 제2 가이드 웨이(116)의 내측의 끝부분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내경은 상술한 제2 가이드 웨이(116)의 폭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고, 더욱 상세하게는 상술한 제1 가이드 웨이(114)의 폭과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브래킷 바디(112)의 타측에는 플레이트(118)가 형성되고, 상술한 플레이트(118)에 상술한 도어(300)가 볼트와 너트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특수 차량(200)의 상측에는 제1, 제2 도어 서포터(121)(122)가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술한 제1, 제2 도어 서포터(121)(122)의 사이에 상술한 브래킷 바디(112)의 일부가 배치된다.
상술한 제1, 제2 도어 서포터(121)(122)에는 각각 제1, 제2 너트 블록 유닛(131)(132)이 설치되고, 제1, 제2 너트 블록 유닛(131)(132)에 볼트 샤프트(140)가 체결된다.
또한, 상술한 제1, 제2 도어 서포터(121)(122)의 상측에는 각각 제1, 제2 쿠션 유닛(123)(124)이 설치되어 도어(300)가 2단계 개방되었을 때에 도어(300)를 받히며 도어(300)와 부딪힐 때에 충격을 흡수하도록 구성된다.
볼트 샤프트(140)는 양측에 나사산 방향이 서로 반대인 나사가 형성되고, 이로써 볼트 샤프트(140)가 회전함에 따라 상술한 제1 너트 블록 유닛(131)과 상술한 제2 너트 블록 유닛(132)은 상술한 브래킷 바디(112)쪽으로 좁혀지거나 멀어지게 된다.
또한, 상술한 볼트 샤프트(140)는 상술한 제1, 제2 가이드 웨이(114)(116)를 관통하여 배치되고, 볼트 샤프트(140)의 외경은 상술한 제2 가이드 웨이(116)의 폭보다 작게 형성된다.
또한, 상술한 제1 너트 블록 유닛(131)과 상술한 제2 너트 블록 유닛(132)이 대향하는 쪽에는 각각 콘(cone)형상의 제1, 제2 콘 헤드(133)(134)가 형성되고, 상술한 제1, 제2 콘 헤드(133)(134)는 상술한 제1, 제2 가이드 웨이(114)(116) 및 제2 스톱 포지션(117)에 삽입이 원활하도록 하는 것이다.
좀 더 상세하게는, 제1, 제2 너트 블록 유닛(131)(132)이 서로 좁혀지는 방향으로 접근하였을 때에 제1, 제2 콘 헤드(133)(134)는 제1 가이드 웨이(114)와 제2 스톱 포지션(117)에는 삽입될 수 있다.
그러나 제1, 제2 콘 헤드(133)(134)는 제1 스톱 포지션(115)과 제2 가이드 웨이(116)를 통과하지 못할 수 있다.
반대로, 제1, 제2 너트 블록(131)(132)이 벌려졌을 때에는 브래킷 바디(112)가 제1, 제2 너트 블록(131)(132)에 간섭되지 않고 아이들 상태로 움직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술한 볼트 샤프트(140)는 상술한 액추에이터(150)의 구동축과 커플러(152)로 연결될 수 있고, 이로써 액추에이터(150)가 정, 역회전함으로써 상술한 제1, 제2 너트 블록 유닛(131)(132)을 선형 운동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특수차량 도어의 개폐제어장치의 작용을 첨부도면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특수 차량 도어의 개폐 제어 장치에서 도어의 개폐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면으로서, 도 4는 도어가 닫힌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5는 도어가 1단계 개방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며, 도 6은 도어가 2단계 개방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어(300)가 닫힌 상태이고, 이때 상술한 제1, 제2 너트 블록 유닛(131)(132)은 브래킷 바디(112)에 진입된 상태로서 제1 너트 블록 유닛(131)과 제2 너트 블록 유닛(132)의 간격이 좁혀진 상태일 수 있다.
도어(300)를 닫힌 상태에서 1단계 개방하고자 하면, 도어 구동 유닛(220)이 구동되고, 도어 구동 유닛(220)은 도어 샤프트(210)를 회전시켜 도어(300)를 개방구동하게 된다.
이후,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어(300)가 1단계 개방위치까지 도달하여 개방될 때에 제1 스톱 포지션(115)에 제1, 제2 콘 헤드(133)(134)가 닿게 된다.
즉, 도어(300)는 제1 단계 개방된 위치에서 더 이상 개방되지 않고 제1 단계 개방위치에서 도어(300)의 개방된 자세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후, 도어(300)를 닫거나 2단계 개방으로 진행될 수 있고, 도어(300)를 닫고자 할 때에는 도어 구동 유닛(220)을 역구동함으로써 도어(300)가 닫히게 된다.
도어(300)를 2단계 개방하고자할 때에는 액추에이터(150)를 구동시켜 제1, 제2 너트 블록 유닛(131)(132)의 간격을 벌리게 되고, 이로써 브래킷 유닛(110)은 제1, 제2 너트 블록 유닛(131)(132)과 간섭되지 않고, 도어 구동 유닛(220)을 구동함으로써 볼트 샤프트(140)는 제2 가이드 유닛(116)을 통과하게 된다.
도 6은 도어(300)를 반전시켜 완전하게 개방한 2단계 개방을 나타낸 것으로서 브래킷 유닛(110)의 플레이트(118)는 제1, 제2 도어 서포터(121)(122)에 얹히고, 이때 제1, 제2 쿠션 유닛(123)(124)은 도어(300)와 부딪힐 때에 충격을 완화시키게 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도어(300)의 2단계 개방이 이루어졌을 때에 액추에이터(150)가 구동되어 제1, 제2 너트 블록 유닛(131)(132)은 제2 스톱 포지션(117)으로 진입되고, 이로써 도어(300)의 움직임이 억제되어 도어(300)의 2단계 개방 자세를 유지하게 된다.
도어(300)의 2단계 개방에서 도어(300)를 닫고자 할 때에는 액추에이터(150)의 역구동에 의해 제1, 제2 너트 블록 유닛(131)(132)을 벌리고 이로써 도어(300)의 억류가 해제되어 도어(300)의 움직임이 자유롭게 되며 도어 구동 유닛(220)을 구동하여 도어(300)를 닫게 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도어(300)가 개폐될 때에 도어(300)에는 중력이 작용하므로 수직상태에서 수평상태로 자세가 전환될 때에는 도어(300)가 중력가속도에 의해 빠른 속도로 하강할 수 있다.
그러나 도어(300)의 개폐 각도는 도그 유닛(230)과 센서 유닛(232)에 의해 검출될 수 있고, 특정한 센서 유닛(232)에서 특정한 도그 유닛(230)을 검출할 때에 도어 구동 유닛(220)의 구동모터의 회전속도를 감속시켜 도어(300)가 완만한 속도로 개폐될 수 있도록 제어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특수 차량 도어의 개폐 제어 장치는 도어(300)가 1단계 개방 또는 2단계 개방되었을 때에 도어(300)에 고정된 브래킷 유닛(110)을 제1, 제2 너트블록 유닛(131)(132)으로 고정시킴으로써 도어(300)의 개방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특수 차량 도어의 개폐 제어 장치는 도어(300)가 개폐될 때에 도어(300)에 중력이 작용되더라도 도어(300)가 개폐될 때에 도어(300)의 개폐각도를 검출하고 도어(300)의 개폐각도와 구동모터를 연동시킴으로써 완만한 속도로 개폐할 수 있는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에 따른 특수 차량 도어의 개폐 제어 장치는 도어(300)를 실질적으로 개폐하는 작용을 도어 구동 유닛(220)과 액추에이터(150)에 의해 작동함으로써 특수 차량의 탑승자의 편의를 증대시킬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특수 차량 도어의 개폐 제어 장치는 특수차량에 구비된 도어를 개폐할 때에 도어가 소정의 개방각도에서 멈추도록 하고, 도어의 멈추어진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100: 스토퍼 장치 110: 브래킷 유닛
112: 브래킷 바디 114, 116: 제1, 제2 가이드 웨이
115, 117: 제1, 제2 스톱 포지션 118: 플레이트
121, 122: 제1, 제2 도어 서포터 123, 124: 제1, 제2 쿠션 유닛
131, 132: 제1, 제2 너트 블록 유닛 133, 134: 제1, 제2 콘 헤드
140: 볼트 샤프트 150: 액추에이터
152: 커플러
200: 특수 차량 210: 도어 샤프트
212: 샤프트 서포터 220: 도어 구동 유닛
230: 도그 유닛 232: 센서 유닛
300: 도어

Claims (4)

  1. 특수 차량(200)의 상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 샤프트(210);
    상기 도어 샤프트(210)에 고정되어 개폐되는 도어(300);
    상기 특수 차량의 상측에 설치되어 도어 샤프트(210)를 회전 구동하는 도어 구동 유닛(220);
    상기 도어(300)에 설치되고 폭이 서로 다른 제1 가이드 웨이(114)와 제2 가이드 웨이(116)가 연속되게 형성된 브래킷 유닛(110);
    상기 특수 차량(200)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300)가 반전되어 개방되었을 때에 도어(300)를 받히며 상기 브래킷 유닛(110)의 양측에 배치되는 제1, 제2 도어 서포터(121)(122);
    상기 제1, 제2 도어 서포터(121)(122)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제2 가이드 웨이(116)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브래킷 유닛(110)을 향하는 방향으로 진퇴되며 상기 브래킷 유닛(110)에 진입되었을 때에 상기 브래킷 유닛(110)의 선회 움직임을 방지하는 제1, 제2 너트 블록 유닛(131)(132);
    상기 제1, 제2 가이드 웨이(114)(116)를 관통하고 양측에 나사산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제2 너트 블록 유닛(131)(132)에 각각 체결되는 볼트 샤프트(140); 및
    상기 특수 차량(200)의 상측에 설치되고 상기 볼트 샤프트(140)를 정, 역회전시키는 액추에이터(150);를 포함하는 특수 차량 도어의 개폐 제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 유닛(110)은
    상기 제1 가이드 웨이(114)와 상기 제2 가이드 웨이(116)의 경계부분에 제1 스톱 포지션(115)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가이드 웨이(116)의 한쪽 끝부분에는 상기 제2 가이드 웨이(116)의 폭보다 큰 지름의 제2 스톱 포지션(117)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수 차량 도어의 개폐 제어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너트 블록 유닛(131)(132)은,
    상기 제1 너트 블록 유닛(131)과 상기 제2 너트 블록 유닛(132)이 대향하는 쪽에 각각 콘(cone)형상의 제1, 제2 콘 헤드(133)(134)가 형성되어 상기 제1, 제2 너트 블록 유닛(131)(132)이 상기 브래킷 유닛(110)에 진입할 때에 진입을 유도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수 차량 도어의 개폐 제어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샤프트(210)에 위상이 서로 다르게 복수 개로 설치되는 도그 유닛(230); 및
    상기 특수 차량(200)의 한쪽에 설치되어 상기 복수 개의 도그 유닛(230)을 각각 검출하여 상기 도어 구동 유닛(220)의 구동속도를 감속시키도록 하는 복수 개의 센서 유닛(232);
    을 더 포함하는 특수 차량 도어의 개폐 제어 장치.
KR1020100077703A 2010-08-12 2010-08-12 특수 차량 도어의 개폐 제어 장치 KR1011573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7703A KR101157355B1 (ko) 2010-08-12 2010-08-12 특수 차량 도어의 개폐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7703A KR101157355B1 (ko) 2010-08-12 2010-08-12 특수 차량 도어의 개폐 제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5535A KR20120015535A (ko) 2012-02-22
KR101157355B1 true KR101157355B1 (ko) 2012-06-15

Family

ID=45838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7703A KR101157355B1 (ko) 2010-08-12 2010-08-12 특수 차량 도어의 개폐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73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8259B1 (ko) * 2018-12-13 2020-05-11 한화디펜스 주식회사 여닫이 도어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7383B1 (ko) 2005-06-29 2006-07-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버스의 스윙도어
KR100656633B1 (ko) 2000-11-08 2006-12-12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2단 개폐형 도어커버
KR100980874B1 (ko) 2008-04-28 2010-09-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도어 힌지 장착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6633B1 (ko) 2000-11-08 2006-12-12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2단 개폐형 도어커버
KR100597383B1 (ko) 2005-06-29 2006-07-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버스의 스윙도어
KR100980874B1 (ko) 2008-04-28 2010-09-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도어 힌지 장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5535A (ko) 2012-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4579B1 (ko) 엘리베이터 시스템
CN105723041B (zh) 具有过死点锁定装置的用于轨道车辆的摆动滑门模块
CN104203718B (zh) 用于夹紧螺栓的插接体
JP5567333B2 (ja) プラットフォーム遮蔽ドア
JP4938416B2 (ja) ロック付開閉装置
CN106401356B (zh) 列车门的回转型锁闭系统
JP2008044543A (ja) プラットホーム用ステップ装置
EP2503087A1 (en) Door hanging apparatus and door apparatus provided with the same
KR102321044B1 (ko) 카 도어 로킹부를 구비하는 엘리베이터 카 도어 개폐 장치
CN105113440B (zh) 一种剪式门
US10480232B2 (en) Sliding door structure
CN1072765C (zh) 用于限制进入区域的自开启入口装置
KR101157355B1 (ko) 특수 차량 도어의 개폐 제어 장치
KR20160063371A (ko) 승용 차량의 측면 도어 개방장치를 위한 슬라이딩 도어 장치 및 슬라이딩 도어 장치를 구비한 승용 차량
JP2015117007A (ja) ホームドア装置
US9125778B2 (en) Regenerative braking system for a vehicle ramp
JP5216746B2 (ja) 可動ホーム柵
KR101383497B1 (ko) 벨트구동식 철도차량용 도어 개폐장치
JP6195588B2 (ja) ホーム柵
JP4001176B1 (ja) 車両用シート
JP2008121243A (ja) ドア開閉装置
JP5291210B2 (ja) ロック付開閉装置
JP4462049B2 (ja) 輸送機用扉装置
KR200391991Y1 (ko) 자동문 개폐용 구동장치
GB2548318A (en) Access Do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