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7342B1 - 와이어를 이용한 전신 운동 재활 기구 - Google Patents

와이어를 이용한 전신 운동 재활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7342B1
KR101157342B1 KR1020100035269A KR20100035269A KR101157342B1 KR 101157342 B1 KR101157342 B1 KR 101157342B1 KR 1020100035269 A KR1020100035269 A KR 1020100035269A KR 20100035269 A KR20100035269 A KR 20100035269A KR 101157342 B1 KR101157342 B1 KR 1011573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attached
gear
motor
gar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5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5764A (ko
Inventor
김윤혁
송치호
신욱진
정성운
Original Assignee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352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7342B1/ko
Publication of KR201101157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57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73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73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01Apparatus for applying movements to the whol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07Driving mean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201/1215Rotary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5Wearable interfa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이어를 이용한 전신 운동 재활 기구를 공개한다. 이 장치는 지퍼를 구비한 상하의 일체형 의복; 조작에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 및 제 2 모터들의 동력을 복수개의 기어들 각각에 전달하는 구동부; 일측단이 상기 의복의 제1 부분에 부착되어 신체 곡면을 따라 배치되며 타측단이 상기 의복의 제2 부분에 부착되는 복수개의 와이어 튜브들; 일측단이 상기 복수개의 기어들 각각에 연결되고 타측단이 신체 각 부위 상의 의복에 고정되며, 상기 복수개의 와이어 튜브들 각각의 내부를 관통해서 상기 복수개의 와이어 튜브들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동력에 의해 길이가 변화되는 복수개의 와이어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할 경우, 구조가 간단하여 생산 비용이나 제작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환자의 관절에 무리를 주지 않으면서 전신의 다양한 관절 운동이 가능하여 신체 각 부위의 재활 효율을 높이고 회복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구동 수단이 외부에 위치하여 사용자가 손쉽게 조작 가능하고, 재활 기구가 차지하는 공간이 작고 장소에 구애받지 않으며, 이동성 또한 양호하고, 의복과 별도로 보호재질을 구비한 링 형태의 목 지지대를 통해 와이어가 당기는 힘으로부터 목의 충격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와이어를 이용한 전신 운동 재활 기구{A apparatus for rehabilitating whole body using wires}
본 발명은 전신 운동 재활 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의복의 형식으로 외부의 동력 전달 수단 및 와이어를 이용하여 전신의 재활 운동을 할 수 있는 와이어를 이용한 전신 운동 재활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체의 관절은 하루에 6시간 이상을 움직여야 그 기능을 상실하지 않는데, 수술 후 통증이 심한 환자인 경우는 스스로 운동이 불가능하고 원활한 영양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아 점차 신체의 근육이 약해지고 관절은 뻣뻣해지면서 굳어진다.
따라서, 수술 후 환자는 관절의 변형을 방지하고 운동범위를 정상적으로 회복시키기 위하여 고통을 감수하고라도 장시간 통증을 동반한 운동을 해야 한다. 이러한 이유로 초기에 CPM(Critical Path Method)을 사용하여 운동한다면 관절에 무리를 주지 않으면서 회복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수술 후유증 또한 줄일 수 있다. 여기에서, CPM은 제한된 시간 내에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각종 작업 또는 활동(Activity)들을 찾아서 그들의 상관관계를 계획하는 데 사용하는 스케줄링 이론의 하나로서, 최소의 시간과 비용으로 프로젝트를 완성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한편, 혈액순환과 영양공급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도움을 주며 관절의 굳어짐을 방지하고 통증을 감소시켜 주는 효과를 위해 종래에 목, 어깨, 팔, 허리, 무릎용 운동 재활 기구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 특허(이하 출원 번호) 제 1020010006435호, 제 1020030069046호, 제 1020070087447호, 제 1020027017486호, 제 1019920025945호, 제 1020000087218호, 제 1020000070315호, 제 1020040030448호, 제 1020090022475호 및 대한민국 공개 실용신안(이하 출원 번호) 제 2020060029233호, 제 2020040001592호에 상기 종래의 운동 재활 기구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들에 의한 운동 재활 기구는 신체 일부분의 재활에만 적용될 수 있고 전신의 재활에는 적용될 수 없으며, 기구의 자체 크기가 커 큰 공간을 차지하고 이동이 불편하며 가격도 고가여서 기구가 설치될 공간 및 설치 예산을 구비한 병원, 보건소, 의원 등 의료 기관 내가 아니면 사용 할 수 없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일본 공개 특허 JP평17-334572에는 전신 운동을 목적으로 하는 재활기구가 개시되어 있으나, 신체로부터 멀리 설치되는 견인식 기구라는 면에서 의복 형식인 본 발명과 차이점이 있고, 미국 등록 특허 US 6,447,464 에는 전신 운동을 목적으로 하는 의복 형식의 재활기구가 개시되어 있으나, 재활 기구의 동력이 치료사에 의해 발생한다는 면에서 모터 및 기어박스에 의해 가동되는 본 발명과 차이점이 있으며, 유럽 등록 특허 EP 0 782 843 에는 의복 형식의 재활기구가 개시되어 있으나, 신체의 일부인 하반신 만을 목적으로 하는 면에서 전신 운동을 목적으로 하는 본 발명과 차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재활 치료 환자가 의료 기관에 방문함 없이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손쉽게 의복의 형태로 된 재활 기구를 간편하게 착용하여 간단한 구동 수단을 통한 와이어의 감김과 풀림을 이용하여 전신의 다양한 관절 운동을 함으로써 재활 치료가 가능한 와이어를 이용한 전신 운동 재활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와이어를 이용한 전신 운동 재활 기구는 지퍼를 구비한 상하의 일체형 의복; 조작에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 및 제 2 모터들의 동력을 복수개의 기어들 각각에 전달하는 구동부; 일측단이 상기 의복의 제1 부분에 부착되어 신체 곡면을 따라 배치되며 타측단이 상기 의복의 제2 부분에 부착되는 복수개의 와이어 튜브들; 일측단이 상기 복수개의 기어들 각각에 연결되고 타측단이 신체 각 부위 상의 의복에 고정되며, 상기 복수개의 와이어 튜브들 각각의 내부를 관통해서 상기 복수개의 와이어 튜브들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동력에 의해 길이가 변화되는 복수개의 와이어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와이어를 이용한 전신 운동 재활 기구는 구조가 간단하여 생산 비용이나 제작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환자의 관절에 무리를 주지 않으면서 전신의 다양한 관절 운동이 가능하여 신체 각 부위의 재활 효율을 높이고 회복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구동 수단이 외부에 위치하여 사용자가 손쉽게 조작 가능하고, 재활 기구가 차지하는 공간이 작고 장소에 구애받지 않으며, 이동성 또한 양호하다.
또한, 의복과 별도로 보호재질을 구비한 링 형태의 목 지지대를 통해 와이어가 당기는 힘으로부터 목의 충격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를 이용한 전신 운동 재활 기구를 착용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를 이용한 전신 운동 재활 기구를 착용한 상태의 후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를 이용한 전신 운동 재활 기구를 착용하고 팔 굽히기 운동을 하는 경우 왼 팔을 편 상태의 전면 및 평면 사시도이고, 도 3c 및 도 3d는 왼 팔을 굽힌 상태의 아랫면 및 윗면 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를 이용한 전신 운동 재활 기구를 착용하고 손목 운동을 하는 경우 왼손목을 상향으로 굽힌 상태를 왼 팔의 위 및 아래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4c 및 도 4d는 왼손목을 하향으로 굽힌 상태를 왼 팔의 위 및 아래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5a 및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를 이용한 전신 운동 재활 기구를 착용하고 팔 전후 회전 운동을 하는 경우의 상부 좌측 사시도이고, 도 5b 및 도 5d는 후면 좌측 사시도이다.
도 6a 및 도 6c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를 이용한 전신 운동 재활 기구를 착용하고 팔의 좌우 상하 회전 운동을 하는 경우의 어깨 위에서 본 후면 좌측 사시도이고, 도 6b 및 도 6d는 어깨 밑에서 본 후면 좌측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를 이용한 전신 운동 재활 기구를 착용하고 등의 당김 운동을 하는 경우의 머리 위에서 본 후면 사시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를 이용한 전신 운동 재활 기구를 착용하고 옆구리 운동을 하는 경우의 전면 좌측 및 우측 사시도이고, 도 8c 및 도 8d는 후면 좌측 및 우측 사시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를 이용한 전신 운동 재활 기구를 착용하고 목의 좌우 운동을 하는 경우의 전면 사시도이고, 도 9c 및 도 9d는 목의 전후 운동을 하는 경우의 좌측 사시도이다.
도 10a 및 10b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를 이용한 전신 운동 재활 기구를 착용하고 다리 굽히기 운동을 하는 경우 왼쪽 무릎을 편 상태의 좌측 및 후면 사시도이고, 도 10c 및 10d는 왼쪽 무릎을 굽힌 상태의 좌측 및 후면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와이어를 이용한 전신 운동 재활 기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를 이용한 전신 운동 재활 기구를 착용한 상태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를 이용한 전신 운동 재활 기구를 착용한 상태의 후면도로서, 의복(100), 구동부(200), 복수개의 와이어 튜브들(300), 복수개의 와이어들(400), 목 지지대(500)를 구비하고, 구동부(200)는 제1 및 제2 모터들(M1, M2) 및 복수개의 기어들(G1-1 내지 G1-m, G2-1 내지 G2-n)로 구성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를 이용한 전신 운동 재활 기구의 각 구성 요소들의 기능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의복(100)은 상하의 일체형으로 정면에 지퍼(120)를 구비하고 복수개의 와이어 튜브들(300) 및 복수개의 와이어들(400)을 특정 부분에 부착하여 내부에서 신축하는 복수개의 와이어들(400)의 길이 변화에 따라 신체 각 부위의 운동을 제어한다. 여기에서, 의복(100)의 소재는 신축성이 있고 부분별로 다양한 소재를 사용하여 늘어남을 방지하고, 와이어 튜브 및 와이어와의 접합부분은 단단한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모터들(M1, M2)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한다.
복수개의 기어들(G1-1 내지 G1-m, G2-1 내지 G2-n)은 일측단이 제1 및 제2 모터들(M1, M2)에 연결되고 타측단이 복수개의 와이어들(400)에 연결되어 제1 및 제2 모터들(M1, M2)의 동력을 복수개의 와이어들(400)에 전달하여 복수개의 와이어 튜브들(300)의 끝에서부터 복수개의 와이어들(400)이 고정되는 신체 각 부위까지의 와이어 길이를 변화시킨다.
복수개의 와이어 튜브들(300)은 일측단이 의복(100) 또는 목 지지대(500)의 제1 부분에 부착되어 신체 곡면을 따라 배치되며 타측단이 의복(100) 또는 목 지지대(500)의 제2 부분에 부착되어 복수개의 와이어들(400)의 신축 방향을 제어한다.
복수개의 와이어들(400)은 일측단이 복수개의 기어들(G1-1 내지 G1-m, G2-1 내지 G2-n) 각각에 연결되고 타측단이 복수개의 와이어 튜브들(300) 각각의 내부를 관통해서 신축 방향에 따라 자유 이동하며 신체 각 부위의 의복(100)에 고정되어 길이 변화에 따라 신체 각 부위를 수축 및 이완한다.
목 지지대(500)는 목을 감싸는 링 형태의 플라스틱 재질로 복수개의 와이어들(400)이 당기는 힘으로부터 목의 충격을 최소화하고, 의복(100)을 착용한 후에도 독립적으로 부착할 수 있도록 반으로 갈라져 있으며, 내부에 스폰지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목과 머리를 보호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를 이용한 전신 운동 재활 기구를 착용하고 팔 굽히기 운동을 하는 경우 왼 팔을 편 상태의 전면 및 평면 사시도이고, 도 3c 및 도 3d는 왼 팔을 굽힌 상태의 아랫면 및 윗면 사시도로서, 의복(100), 복수개의 와이어 튜브들(310, 315), 복수개의 와이어들(410, 415)을 구비한다.
도 3a 내지 도 3d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를 이용한 전신 운동 재활 기구를 착용하고 팔 굽히기 운동을 하는 경우의 사용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및 도 3a 내지 도 3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1-1-1 와이어 튜브(310)는 일측단이 의복(100)의 등허리 부분에 부착되어 신체 곡면을 따라 상방향으로 왼쪽 겨드랑이를 돌아 왼팔 상박 안쪽 면을 따라 의복(100)의 팔꿈치 부분이 시작되기 직전까지 연장되어 타측단이 부착된다.
제 1-2-1 와이어 튜브(315)는 일측단이 의복(100)의 등허리 부분에 부착되어 신체 곡면을 따라 상방향으로 왼쪽 겨드랑이를 돌아 왼팔 상박 아랫 면을 따라 의복(100)의 팔꿈치 부분이 시작되기 직전까지 연장되어 타측단이 부착된다.
또한, 제 1-1 와이어(410)는 제 1-1-1 와이어 튜브(310)를 관통하여 일측단은 제 1-1 기어(G1-1)에 연결되고 다른 쪽 끝은 제 1-1-1 와이어 튜브(310) 내에서 신체 곡면을 따라 연장되어 왼팔 하박 바깥 쪽 길이 중간 부분에 고정된다.
제 1-2 와이어(415)는 제 1-2-1 와이어 튜브(315)를 관통하여 일측단은 제 1-2 기어(G2-1)에 연결되고 다른 쪽 끝은 제 1-2-1 와이어 튜브(315) 내에서 신체 곡선을 따라 연장되어 왼팔 하박 안쪽 길이 중간 부분에 고정된다.
한편, 제 1-1 기어(G1-1)는 제 1 모터(M1)에 연결되어 제 1 모터(M1)의 동작 여부에 따라 연결이 되었다 떨어졌다 하고, 제 1-2 기어(G2-1)는 제 2 모터(M2)에 연결되어 제 2 모터(M2)의 동작 여부에 따라 연결이 되었다 떨어졌다 할 수 있다.
만일, 환자가 왼팔 하박을 왼팔 팔꿈치를 중심으로 굽히고자 하는 경우, 도 2, 도 3c 및 도 3d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1 모터(M1)와 제 1-1 기어(G1-1)가 연결되고 제 2 모터(M2)와 제 1-2 기어(G2-1)가 연결된 상태에서 구동부(200)에서의 조작으로 제 1 모터(M1)를 정 방향 회전시키게 되면 제 2 모터(M2)가 제 1 모터(M1)와 동회전 속도로 역방향 회전하고, 제 1 모터(M1)의 회전으로 제 1-1 기어(G1-1)가 회전하여 제 1-1 기어(G1-1)에 연결되어 있는 제 1-1 와이어(410)가 감기게 됨에 따라 1-1-1 와이어 튜브(310)의 끝에서부터 왼팔 하박의 고정점까지의 제 1-1 와이어(410)의 길이가 감소하여 왼팔 하박의 왼팔 팔꿈치에 대한 회전 운동의 1-1 와이어(410)로 인한 장력이 증가된다.
또한, 제 2 모터(M2)가 제 1 모터(M1)와 동회전 속도로 역방향 회전하게 되면 제 1-2 기어(G2-1)가 역회전하게 되어 제 1-2 와이어(415)가 풀리고, 1-2-1 와이어 튜브(315)의 끝에서부터 왼팔 하박의 고정점까지의 1-2 와이어(415)의 길이가 증가하여 왼팔 하박의 왼팔 팔꿈치에 대한 회전 운동의 1-2 와이어(415)로 인한 장력이 감소되어 왼팔 하박이 왼팔 팔꿈치를 중심으로 굽혀지는 운동을 하게 된다.
만일, 환자가 왼팔 하박을 왼팔 팔꿈치를 중심으로 다시 펴고자 하는 경우, 도 2, 도 3a 및 도 3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1 모터(M1)와 제 1-1 기어(G1-1)가 연결되고 제 2 모터(M2)와 제 1-2 기어(G2-1)가 연결된 상태에서 구동부(200)에서의 조작으로 제 2 모터(M2)를 정 방향 회전시키게 되면 제 1 모터(M1)가 제 2 모터(M2)와 동회전 속도로 역방향 회전하고, 제 2 모터(M2)의 회전으로 제 1-2 기어(G2-1)가 회전하여 제 1-2 기어(G2-1)에 연결되어 있는 제 1-2 와이어(415)가 감기게 됨에 따라 1-2-1 와이어 튜브(315)의 끝에서부터 왼팔 하박의 고정점까지의 1-2 와이어(415)의 길이가 감소하여 왼팔 하박의 왼팔 팔꿈치에 대한 회전 운동의 1-2 와이어(415)로 인한 장력이 증가된다.
또한, 제 1 모터(M1)가 제 2 모터(M2)와 동회전 속도로 역방향 회전하게 되면 제 1-1 기어(G1-1)가 역회전하게 되어 제 1-1 와이어(410)가 풀리고, 1-1-1 와이어 튜브(310)의 끝에서부터 왼팔 하박의 고정점까지의 1-1 와이어(410)의 길이가 증가하여 왼팔 하박의 왼팔 팔꿈치에 대한 회전 운동의 1-1 와이어(410)로 인한 장력이 감소되어 왼팔 하박이 왼팔 팔꿈치를 중심으로 펴지는 운동을 하게 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를 이용한 전신 운동 재활 기구를 착용하고 손목 운동을 하는 경우 왼손목을 상향으로 굽힌 상태를 왼 팔의 위 및 아래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4c 및 도 4d는 왼손목을 하향으로 굽힌 상태를 왼 팔의 위 및 아래에서 본 사시도로서, 의복(100), 복수개의 와이어 튜브들(320, 325), 복수개의 와이어들(420, 425)을 구비한다.
도 4a 내지 도 4d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를 이용한 전신 운동 재활 기구를 착용하고 손목 운동을 하는 경우의 사용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및 도 4a 내지 도 4d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2-1-1 와이어 튜브(320)는 일측단이 의복(100)의 등허리 부분에 부착되어 신체 곡면을 따라 상방향으로 왼쪽 어깨 상부 중심을 통과하여 팔의 바깥면을 따라 손목 직전까지 연장되어 타측단이 부착된다.
제 2-2-1 와이어 튜브(325)는 일측단이 의복(100)의 등허리 부분에 부착되어 신체 곡면을 따라 상방향으로 왼쪽으로 곡선을 그리며 90도 회전하여 어깨 관절 아랫면 높이에서 수평 방향으로 계속되어 겨드랑이 아래를 돌아 팔의 안쪽면을 따라 손목 직전까지 연장되어 타측단이 부착된다.
또한, 제 2-1 와이어(420)는 제 2-1-1 와이어 튜브(320)를 관통하여 일측단은 제 2-1 기어(G1-2)에 연결되고 다른 쪽 끝은 제 2-1-1 와이어 튜브(320) 내에서 신체 곡면을 따라 연장되어 왼 손등 길이 중간 부분에 고정된다.
제 2-2 와이어(425)는 제 2-2-1 와이어 튜브(325)를 관통하여 일측단은 제 2-2 기어(G2-2)에 연결되고 다른 쪽 끝은 제 2-2-1 와이어 튜브(325) 내에서 신체 곡선을 따라 연장되어 왼 손바닥 길이 중간 부분에 고정된다.
한편, 제 2-1 기어(G1-2)는 제 1 모터(M1)에 연결되어 제 1 모터(M1)의 동작 여부에 따라 연결이 되었다 떨어졌다 하고, 제 2-2 기어(G2-2)는 제 2 모터(M2)에 연결되어 제 제 2 모터(M2)의 동작 여부에 따라 연결이 되었다 떨어졌다 할 수 있다.
만일, 환자가 왼손목을 상향으로 굽히는 운동을 하고자 하는 경우, 도 2, 도 4a 및 도 4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1 모터(M1)와 제 2-1 기어(G1-2)가 연결되고 제 2 모터(M2)와 제 2-2 기어(G2-2)가 연결된 상태에서 구동부(200)에서의 조작으로 제 1 모터(M1)를 정 방향 회전시키게 되면 제 2 모터(M2)가 제 1 모터(M1)와 동회전 속도로 역방향 회전하고, 제 1 모터(M1)의 회전으로 제 2-1 기어(G1-2)가 회전하여 제 2-1 기어(G1-2)에 연결되어 있는 제 2-1 와이어(420)가 감기게 됨에 따라 2-2-1 와이어 튜브(325)의 끝에서부터 왼손등의 고정점까지의 제 2-1 와이어(420)의 길이가 감소하여 왼손목 운동의 제 2-1 와이어(420)로 인한 장력이 증가된다.
또한, 제 2 모터(M2)가 제 1 모터(M1)와 동회전 속도로 역방향 회전하게 되면 제 2-2 기어(G2-2)가 역회전하게 되어 제 2-2 와이어(425)가 풀리고, 2-2-1 와이어 튜브(325)의 끝에서부터 왼손바닥의 고정점까지 제 2-2 와이어(425)의 길이가 증가하여 왼손목 운동의 제 2-2 와이어(425)로 인한 장력이 감소되어 왼손목이 상향으로 굽혀지는 운동을 하게 된다.
만일, 환자가 왼손목을 하향으로 굽히는 운동을 하고자 하는 경우, 도 2, 도 4c 및 도 4d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1 모터(M1)와 제 2-1 기어(G1-2)가 연결되고 제 2 모터(M2)와 제 2-2 기어(G2-2)가 연결된 상태에서 구동부(200)에서의 조작으로 제 2 모터(M2)를 정 방향 회전시키게 되면 제 1 모터(M1)가 제 2 모터(M2)와 동회전 속도로 역방향 회전하고, 제 2 모터(M2)의 회전으로 제 2-2 기어(G2-2)가 회전하여 제 2-2 기어(G2-2)에 연결되어 있는 제 2-2 와이어(425)가 감기게 됨에 따라 2-2-1 와이어 튜브(325)의 끝에서부터 왼손바닥의 고정점까지의 제 2-2 와이어(425)의 길이가 감소하여 왼손목 운동의 제 2-2 와이어(425)로 인한 장력이 증가된다.
또한, 제 1 모터(M1)가 제 2 모터(M2)와 동회전 속도로 역방향 회전하게 되면 제 2-2 기어(G2-2)가 역회전하게 되어 제 2-2 와이어(425)가 풀리고, 2-2-1 와이어 튜브(325)의 끝에서부터 왼손등의 고정점까지 제 2-2 와이어(425)의 길이가 증가하여 왼손목 운동의 제 2-2 와이어(425)로 인한 장력이 감소되어 왼손목이 하향으로 굽혀지는 운동을 하게 된다.
도 5a 및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를 이용한 전신 운동 재활 기구를 착용하고 팔 전후 회전 운동을 하는 경우의 상부 좌측 사시도이고, 도 5b 및 도 5d는 후면 좌측 사시도로서, 의복(100), 복수개의 와이어 튜브들(330, 335), 복수개의 와이어들(430, 435)을 구비한다.
도 5a 내지 도 5d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를 이용한 전신 운동 재활 기구를 착용하고 팔 전후 회전 운동을 하는 경우의 사용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및 도 5a 내지 도 5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3-1-1 와이어 튜브(330)는 일측단이 의복(100)의 등허리 부분에 부착되어 신체 곡면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상방향으로 의복(100)의 왼 어깨 상부 중심까지 연장되어 타측단이 부착된다.
제 3-2-1 와이어 튜브(335)는 일측단이 의복(100)의 등허리 부분에 부착되어 신체 곡면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상방향으로 왼쪽으로 곡선을 그리며 90도 회전하여 어깨 관절 중심 높이에서 수평 방향으로 계속되어 어깨 관절 뒤쪽 중심까지 연장되고, 다시 아래를 향해 급하게 90도 회전하여 타측단이 아래쪽을 향하여 부착된다.
또한, 제 3-1 와이어(430)는 제 3-1-1 와이어 튜브(330)를 관통하여 일측단은 제 3-1 기어(G1-3)에 연결되고 다른 쪽 끝은 제 3-1-1 와이어 튜브(330) 내에서 신체 곡면을 따라 연장되어 왼팔 상박 윗편 길이 중간 부분에 고정된다.
제 3-2 와이어(435)는 제 3-2-1 와이어 튜브(335)를 관통하여 일측단은 제 3-2 기어(G2-3)에 연결되고 다른 쪽 끝은 제 3-2-1 와이어 튜브(335) 내에서 신체 곡선을 따라 어깨 관절 아래쪽을 따라 돌아 연장되어 왼팔 상박 뒷면 길이 중간 부분에 고정된다.
한편, 제 3-1 기어(G1-3)는 제 1 모터(M1)에 연결되어 제 1 모터(M1)의 동작 여부에 따라 연결이 되었다 떨어졌다 하고, 제 3-2 기어(G2-3)는 제 2 모터(M2)에 연결되어 제 제 2 모터(M2)의 동작 여부에 따라 연결이 되었다 떨어졌다 할 수 있다.
만일, 환자가 왼팔을 편 상태에서 왼쪽 어깨를 중심으로 앞쪽으로 회전 운동하고자 하는 경우, 도 2, 도 5c 및 도 5d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1 모터(M1)와 제 3-1 기어(G1-3)가 연결되고 제 2 모터(M2)와 제 3-2 기어(G2-3)가 연결된 상태에서 구동부(200)에서의 조작으로 제 1 모터(M1)를 정 방향 회전시키게 되면 제 2 모터(M2)가 제 1 모터(M1)와 동회전 속도로 역방향 회전하고, 제 1 모터(M1)의 회전으로 제 3-1 기어(G1-3)가 회전하여 제 3-1 기어(G1-3)에 연결되어 있는 제 3-1 와이어(430)가 감기게 됨에 따라 3-1-1 와이어 튜브(330)의 끝에서부터 왼팔 상박의 고정점까지의 3-1 와이어(430)의 길이가 감소하여 3-1 와이어(430)로 인한 장력이 증가된다.
또한, 제 2 모터(M2)가 제 1 모터(M1)와 동회전 속도로 역방향 회전하게 되면 제 3-2 기어(G2-3)가 역회전하게 되어 제 3-2 와이어(435)가 풀리고, 3-2-1 와이어 튜브(335)의 끝에서부터 왼팔 상박의 고정점까지의 제 3-2 와이어(435)의 길이가 증가하여 왼팔의 왼쪽 어깨를 중심으로 앞쪽으로 회전 운동의 제 3-2 와이어(435)로 인한 장력이 감소되어 결국 왼팔이 왼쪽 어깨를 중심으로 앞쪽으로 회전하는 운동을 하게 된다.
만일, 환자가 왼팔을 편 상태에서 왼쪽 어깨를 중심으로 뒷쪽으로 회전 운동하고자 하는 경우, 도 2, 도 5c 및 도 5d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1 모터(M1)와 제 3-1 기어(G1-3)가 연결되고 제 2 모터(M2)와 제 3-2 기어(G2-3)가 연결된 상태에서 구동부(200)에서의 조작으로 제 1 모터(M1)를 역방향 회전시키게 되면 제 2 모터(M2)가 제 1 모터(M1)와 동회전 속도로 정방향 회전하고, 제 2 모터(M2)의 회전으로 제 3-2 기어(G2-3)가 회전하여 제 3-2 기어(G2-3)에 연결되어 있는 제 3-2 와이어(435)가 감기게 됨에 따라 3-2-1 와이어 튜브(335)의 끝에서부터 왼팔 상박의 고정점까지의 제 3-2 와이어(435)의 길이가 감소하여 제 3-2 와이어(435)로 인한 장력이 증가된다.
또한, 제 1 모터(M1)가 제 2 모터(M2)와 동회전 속도로 역방향 회전하게 되면 제 3-1 기어(G1-3)가 역회전하게 되어 제 3-1 와이어(430)가 풀리고, 3-1-1 와이어 튜브(330)의 끝에서부터 왼팔 상박의 고정점까지의 3-1 와이어(430)의 길이가 증가하여 3-1 와이어(430)로 인한 장력이 감소되어 결국 왼팔이 왼쪽 어깨를 중심으로 뒷쪽으로 회전하는 운동을 하게 된다.
도 6a 및 도 6c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를 이용한 전신 운동 재활 기구를 착용하고 팔의 좌우 상하 회전 운동을 하는 경우의 어깨 위에서 본 후면 좌측 사시도이고, 도 6b 및 도 6d는 어깨 밑에서 본 후면 좌측 사시도로서, 의복(100), 복수개의 와이어 튜브들(340, 345), 복수개의 와이어들(440, 445)을 구비한다.
도 6a 내지 도 6d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를 이용한 전신 운동 재활 기구를 착용하고 팔의 좌우 상하 회전 운동을 하는 경우의 사용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및 도 6a 내지 도 6d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4-1-1 와이어 튜브(340)는 일측단이 의복(100)의 등허리 부분에 부착되어 신체 곡면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상방향으로 의복(100)의 왼 어깨 상부 중심까지 연장되어 타측단이 부착된다.
제 4-2-1 와이어 튜브(345)는 일측단이 의복(100)의 등허리 부분에 부착되어 신체 곡면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상방향으로 왼쪽으로 곡선을 그리며 90도 회전하여 어깨 관절 중심 높이에서 수평 방향으로 계속되어 어깨 관절 뒤쪽 시작 부분까지 연장되고, 다시 아래를 향해 급하게 90도 회전하여 타측단이 아래쪽을 향하여 부착된다.
또한, 제 4-1 와이어(440)는 제 4-1-1 와이어 튜브(340)를 관통하여 일측단은 제 4-1 기어(G1-4)에 연결되고 다른 쪽 끝은 제 4-1-1 와이어 튜브(340) 내에서 신체 곡면을 따라 연장되어 왼팔 상박 바깥쪽 길이 중간 부분에 고정된다.
제 4-2 와이어(445)는 제 4-2-1 와이어 튜브(345)를 관통하여 일측단은 제 4-2 기어(G2-4)에 연결되고 다른 쪽 끝은 제 4-2-1 와이어 튜브(345) 내에서 신체 곡선을 따라 어깨 관절 아래쪽을 따라 돌아 연장되어 왼팔 상박 안쪽면 길이 중간 부분에 고정된다.
한편, 제 4-1 기어(G1-4)는 제 1 모터(M1)에 연결되어 제 1 모터(M1)의 동작 여부에 따라 연결이 되었다 떨어졌다 하고, 제 4-2 기어(G2-4)는 제 2 모터(M2)에 연결되어 제 제 2 모터(M2)의 동작 여부에 따라 연결이 되었다 떨어졌다 할 수 있다.
만일, 환자가 왼팔을 펴서 왼쪽 어깨를 중심으로 좌측 상부 방향으로 운동하고자 하는 경우, 도 2, 도 6c 및 도 6d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1 모터(M1)와 제 4-1 기어(G1-4)가 연결되고 제 2 모터(M2)와 제 4-2 기어(G2-4)가 연결된 상태에서 구동부(200)에서의 조작으로 제 1 모터(M1)를 정 방향 회전시키게 되면 제 2 모터(M2)가 제 1 모터(M1)와 동회전 속도로 역방향 회전하고, 제 1 모터(M1)의 회전으로 제 3-1 기어(G1-3)가 회전하여 제 4-1 기어(G1-4)에 연결되어 있는 제 4-1 와이어(440)가 감기게 됨에 따라 4-1-1 와이어 튜브(340)의 끝에서부터 왼팔 상박의 바깥쪽 고정점까지의 제 4-1 와이어(440)의 길이가 감소하여 제 4-1 와이어(440)로 인한 장력이 증가된다.
또한, 제 2 모터(M2)가 제 1 모터(M1)와 동회전 속도로 역방향 회전하게 되면 제 4-2 기어(G2-4)가 역회전하게 되어 제 4-2 와이어(445)가 풀리고, 4-2-1 와이어 튜브(345)의 끝에서부터 왼팔 상박의 안쪽 고정점까지의 제 4-2 와이어(445)의 길이가 증가하여 제 4-2 와이어(445)로 인한 장력이 감소되어 왼팔이 왼쪽 어깨를 중심으로 좌측 상부 방향으로 들어 올려지게 된다.
만일, 환자가 왼팔을 펴서 왼쪽 어깨를 중심으로 좌측 하부 방향으로 운동하고자 하는 경우, 도 2, 도 6c 및 도 6d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1 모터(M1)와 제 4-1 기어(G1-4)가 연결되고 제 2 모터(M2)와 제 4-2 기어(G2-4)가 연결된 상태에서 구동부(200)에서의 조작으로 제 2 모터(M2)를 정 방향 회전시키게 되면 제 1 모터(M1)가 제 2 모터(M2)와 동회전 속도로 역방향 회전하고, 제 2 모터(M2)의 회전으로 제 4-2 기어(G2-4)가 회전하여 제 4-2 기어(G2-4)에 연결되어 있는 제 4-2 와이어(445)가 감기게 됨에 따라 4-2-1 와이어 튜브(345)의 끝에서부터 왼팔 상박의 안쪽 고정점까지의 제 4-2 와이어(445)의 길이가 감소하여 제 4-2 와이어(445)로 인한 장력이 증가된다.
또한, 제 1 모터(M1)가 제 2 모터(M2)와 동회전 속도로 역방향 회전하게 되면 제 4-1 기어(G1-4)가 역회전하게 되어 제 4-1 와이어(440)가 풀리고, 4-1-1 와이어 튜브(340)의 끝에서부터 왼팔 상박의 바깥쪽 고정점까지의 제 4-1 와이어(440)의 길이가 증가하여 제 4-1 와이어(440)로 인한 장력이 감소되어 왼팔이 왼쪽 어깨를 중심으로 좌측 하부 방향으로 다시 내려지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를 이용한 전신 운동 재활 기구를 착용하고 등의 당김 운동을 하는 경우의 머리 위에서 본 후면 사시도로서, 의복(100), 복수개의 와이어 튜브들(350, 355), 복수개의 와이어들(450, 455)을 구비한다.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를 이용한 전신 운동 재활 기구를 착용하고 등의 당김 운동을 하는 경우의 사용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5-1-1 와이어 튜브(350)는 일측단이 의복(100)의 등허리 부분에 부착되어 신체 곡면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상방향으로 의복(100)의 어깨 관절 중심 높이에서 오른쪽으로 곡선을 그리며 90도 회전하여 수평 방향으로 등어깨 넓이의 4분의 1 길이 만큼 연장되어 타측단이 부착된다.
제 5-2-1 와이어 튜브(355)는 일측단이 의복(100)의 등허리 부분에 부착되어 신체 곡면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상방향으로 어깨 관절 중심 높이에서 왼쪽으로 곡선을 그리며 90도 회전하여, 수평 방향으로 등어깨 넓이의 4분의 1 길이 만큼 연장되어 타측단이 부착된다.
또한, 제 5-1 와이어(450)는 제 5-1-1 와이어 튜브(350)를 관통하여 일측단은 제 5-1 기어(G1-5)에 연결되고 다른 쪽 끝은 제 5-1-1 와이어 튜브(350) 내에서 신체 곡면을 따라 연장되어 오른쪽 어깨 관절 뒤쪽 중간 부분에 고정된다.
제 5-2 와이어(455)는 제 5-2-1 와이어 튜브(355)를 관통하여 일측단은 제 5-2 기어(G2-5)에 연결되고 다른 쪽 끝은 제 5-2-1 와이어 튜브(355) 내에서 신체 곡선을 따라 어깨 관절 아래쪽을 따라 돌아 연장되어 왼쪽 어깨 관절 뒤쪽 중간 부분에 고정된다.
한편, 제 5-1 기어(G1-5)는 제 1 모터(M1)에 연결되어 제 1 모터(M1)의 동작 여부에 따라 연결이 되었다 떨어졌다 하고, 제 5-2 기어(G2-5)는 제 2 모터(M2)에 연결되어 제 제 2 모터(M2)의 동작 여부에 따라 연결이 되었다 떨어졌다 할 수 있다.
만일, 환자가 등의 당김 운동을 하고자 하는 경우, 도 2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1 모터(M1)와 제 5-1 기어(G1-5)가 연결되고 제 2 모터(M2)와 제 5-2 기어(G2-5)가 연결된 상태에서 구동부(200)에서의 조작으로 제 1 모터(M1)와 제 2 모터(M2)를 동시에 정 방향 회전시키게 되면 제 1 모터(M1)의 회전으로 제 5-1 기어(G1-5)가 회전하여 제 5-1 기어(G1-5)에 연결되어 있는 제 5-1 와이어(450)가 감기게 되고 제 2 모터(M2)의 회전으로 제 5-2 기어(G2-5)가 회전하여 제 5-2 기어(G2-5)에 연결되어 있는 제 5-2 와이어(455)가 감기게 됨에 따라 5-1-1 와이어 튜브(350)의 끝에서부터 오른쪽 어깨 관절 뒤쪽의 고정점까지의 제 5-1 와이어(450)의 길이가 감소하여 제 5-1 와이어(450)로 인한 장력이 증가되어 오른쪽 등이 뒤쪽으로 당겨지게 되고, 5-2-1 와이어 튜브(355)의 끝에서부터 왼쪽 어깨 관절 뒤쪽의 고정점까지의 제 5-2 와이어(455)의 길이가 감소하여 제 5-2 와이어(455)로 인한 장력이 증가되어 왼쪽 등이 뒤쪽으로 당겨지게 된다.
또한, 제 1 모터(M1)와 제 2 모터(M2)를 동시에 역방향 회전시키게 되면 제 5-1 기어(G1-5)가 회전하여 제 5-1 및 제 5-2 기어(G1-5, G2-5)에 연결되어 있는 제 5-1 및 제 제 5-2 와이어(450, 455)가 풀리고, 5-1-1 와이어 튜브(350)의 끝에서부터 오른쪽 어깨 관절 뒤쪽의 고정점까지의 길이까지의 제 5-1 와이어(450)의 길이가 증가하여 제 5-1 와이어(450)로 인한 장력이 감소되어 오른쪽 등이 원상 복귀되고, 5-2-1 와이어 튜브(355)의 끝에서부터 왼쪽 어깨 관절 뒤쪽의 고정점까지의 제 5-2 와이어(455)의 길이가 증가하여 제 5-2 와이어(455)로 인한 장력이 감소되어 왼쪽 등이 원상 복귀된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를 이용한 전신 운동 재활 기구를 착용하고 옆구리 운동을 하는 경우의 전면 좌측 및 우측 사시도이고, 도 8c 및 도 8d는 후면 좌측 및 우측 사시도로서, 의복(100), 복수개의 와이어 튜브들(360, 365), 복수개의 와이어들(460, 465)을 구비한다.
도 8a 내지 도 8d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를 이용한 전신 운동 재활 기구를 착용하고 옆구리 운동을 하는 경우의 사용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a 내지 도 8d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6-1-1 와이어 튜브(360)는 일측단이 의복(100)의 등허리 부분에 부착되어 신체 곡면을 따라 오른쪽 옆구리를 타고 몸통 중간 높이까지 연장되어 타측단이 윗쪽을 향하여 부착된다.
제 6-2-1 와이어 튜브(365)는 일측단이 의복(100)의 등허리 부분에 부착되어 신체 곡면을 따라 왼쪽 옆구리를 타고 몸통 중간 높이까지 연장되어 타측단이 윗쪽을 향하여 부착된다.
또한, 제 6-1 와이어(460)는 제 6-1-1 와이어 튜브(360)를 관통하여 일측단은 제 6-1 기어(G1-6)에 연결되고 다른 쪽 끝은 제 6-1-1 와이어 튜브(360) 내에서 신체 곡면을 따라 연장되어 오른쪽 어깨 관절 위쪽 중간 부분에 고정된다.
제 6-2 와이어(465)는 제 6-2-1 와이어 튜브(365)를 관통하여 일측단은 제 6-2 기어(G2-6)에 연결되고 다른 쪽 끝은 제 6-2-1 와이어 튜브(365) 내에서 신체 곡선을 따라 어깨 관절 아래쪽을 따라 돌아 연장되어 왼쪽 어깨 관절 위쪽 중간 부분에 고정된다.
한편, 제 6-1 기어(G1-6)는 제 1 모터(M1)에 연결되어 제 1 모터(M1)의 동작 여부에 따라 연결이 되었다 떨어졌다 하고, 제 6-2 기어(G2-6)는 제 2 모터(M2)에 연결되어 제 제 2 모터(M2)의 동작 여부에 따라 연결이 되었다 떨어졌다 할 수 있다.
만일, 환자가 오른쪽 옆구리를 굽히는 운동을 하고자 하는 경우, 도 2, 도 8a 및 도 8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1 모터(M1)와 제 6-1 기어(G1-6)가 연결되고 제 2 모터(M2)와 제 6-2 기어(G2-6)가 연결된 상태에서 구동부(200)에서의 조작으로 제 1 모터(M1)를 정 방향 회전시키게 되면 제 2 모터(M2)가 제 1 모터(M1)와 동회전 속도로 역방향 회전하고, 제 1 모터(M1)의 회전으로 제 6-1 기어(G1-6)가 회전하여 제 6-1 기어(G1-6)에 연결되어 있는 제 6-1 와이어(460)가 감기게 됨에 따라 6-1-1 와이어 튜브(360)의 끝에서부터 오른쪽 어깨 관절 위쪽의 고정점까지의 제 6-1 와이어(460)의 길이가 감소하여 제 6-1 와이어(460)로 인한 장력이 증가된다.
또한, 제 2 모터(M2)가 제 1 모터(M1)와 동회전 속도로 역방향 회전하게 되면 제 6-2 기어(G2-6)가 역회전하게 되어 제 6-2 와이어(465)가 풀리고, 6-2-1 와이어 튜브(365)의 끝에서부터 왼쪽 어깨 관절 뒤쪽의 고정점까지의 제 6-2 와이어(465)의 길이가 증가하여 제 6-2 와이어(465)로 인한 장력이 감소되어 오른쪽 옆구리가 수축되고 왼쪽 옆구리가 신장되는 운동을 하게 된다.
만일, 환자가 왼쪽 옆구리를 굽히는 운동을 하고자 하는 경우, 도 2, 도 8a 및 도 8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1 모터(M1)와 제 6-1 기어(G1-6)가 연결되고 제 2 모터(M2)와 제 6-2 기어(G2-6)가 연결된 상태에서 구동부(200)에서의 조작으로 제 2 모터(M2)를 정 방향 회전시키게 되면 제 1 모터(M1)가 제 2 모터(M2)와 동회전 속도로 역방향 회전하고, 제 2 모터(M2)의 회전으로 제 6-2 기어(G2-6)가 회전하여 제 6-2 기어(G2-6)에 연결되어 있는 제 6-2 와이어(465)가 감기게 됨에 따라 6-2-1 와이어 튜브(365)의 끝에서부터 왼쪽 어깨 관절 위쪽의 고정점까지의 제 6-2 와이어(465)의 길이가 감소하여 제 6-2 와이어(465)로 인한 장력이 증가된다.
또한, 제 1 모터(M1)가 제 2 모터(M2)와 동회전 속도로 역방향 회전하게 되면 제 6-1 기어(G1-6)가 역회전하게 되어 제 6-1 와이어(460)가 풀리고, 6-1-1 와이어 튜브(360)의 끝에서부터 오른쪽 어깨 관절 뒤쪽의 고정점까지의 제 6-1 와이어(460)의 길이가 증가하여 제 6-1 와이어(460)로 인한 장력이 감소되어 왼쪽 옆구리가 수축되고 오른쪽 옆구리가 신장되는 운동을 하게 된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를 이용한 전신 운동 재활 기구를 착용하고 목의 좌우 운동을 하는 경우의 전면 사시도이고, 도 9c 및 도 9d는 목의 전후 운동을 하는 경우의 좌측 사시도로서, 의복(100), 복수개의 와이어 튜브들(370, 372, 373, 374), 복수개의 와이어들(470, 472, 473, 474)을 구비한다.
도 9a 내지 도 9d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를 이용한 전신 운동 재활 기구를 착용하고 목의 좌우 운동을 하는 경우의 사용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9a 내지 도 9d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신 운동 재활 기구의 목 지지대(500)는 환자의 재활 운동으로부터 목의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의복(100)과 별도로 목을 감싸는 링 형태로 되어 있고, 의복(100)을 입은 후에도 부착할 수 있도록 반으로 갈라져 있다.
목 지지대(500)는 플라스틱을 사용하여 와이어가 당기는 힘을 견딜 수 있도록 와이어 고정을 위한 고정부를 구비하는데, 플라스틱 안에는 스폰지로 쿠션을 대어 목과 머리를 보호한다.
제 7-1-1 와이어 튜브(370)는 일측단이 의복(100)의 등허리 부분에 부착되어 신체 곡면을 따라 목 지지대(500) 오른쪽 부분까지 연장되어 타측단이 윗쪽을 향하여 부착된다.
제 7-2-1 와이어 튜브(372)는 일측단이 의복(100)의 등허리 부분에 부착되어 신체 곡면을 따라 목 지지대(500) 뒤쪽 부분까지 연장되어 타측단이 윗쪽을 향하여 부착된다.
제 7-3-1 와이어 튜브(373)는 일측단이 의복(100)의 등허리 부분에 부착되어 신체 곡면을 따라 목 지지대(500) 왼쪽 부분까지 연장되어 타측단이 윗쪽을 향하여 부착된다.
제 7-4-1 와이어 튜브(374)는 일측단이 의복(100)의 등허리 부분에 부착되어 신체 곡면을 따라 목 지지대(500) 앞쪽 부분까지 연장되어 타측단이 윗쪽을 향하여 부착된다.
또한, 제 7-1 와이어(470)는 제 7-1-1 와이어 튜브(370)를 관통하여 일측단은 제 7-1 기어(G1-7)에 연결되고 다른 쪽 끝은 제 7-1-1 와이어 튜브(370) 내에서 신체 곡선 및 목 지지대(500)를 따라 연장되어 목 지지대(500) 오른쪽 부분에 고정된다.
제 7-2 와이어(472)는 제 7-2-1 와이어 튜브(372)를 관통하여 일측단은 제 7-2 기어(G1-8)에 연결되고 다른 쪽 끝은 제 7-2-1 와이어 튜브(372) 내에서 신체 곡선 및 목 지지대(500)를 따라 연장되어 목 지지대(500) 뒤쪽 부분에 고정된다.
제 7-3 와이어(473)는 제 7-3-1 와이어 튜브(373)를 관통하여 일측단은 제 7-3 기어(G2-7)에 연결되고 다른 쪽 끝은 제 7-3-1 와이어 튜브(373) 내에서 신체 곡선 및 목 지지대(500)를 따라 연장되어 목 지지대(500) 왼쪽 부분에 고정된다.
제 7-4 와이어(474)는 제 7-4-1 와이어 튜브(374)를 관통하여 일측단은 제 7-4 기어(G2-8)에 연결되고 다른 쪽 끝은 제 7-4-1 와이어 튜브(374) 내에서 신체 곡선 및 목 지지대(500)를 따라 연장되어 목 지지대(500) 앞쪽 부분에 고정된다.
한편, 제 7-1 및 제 7-2 기어(G1-7, G1-8)는 제 1 모터(M1)에 연결되어 제 1 모터(M1)의 동작 여부에 따라 연결이 되었다 떨어졌다 하고, 제 7-3 및 제 7-4 기어(G2-7, G2-8)는 제 2 모터(M2)에 연결되어 제 제 2 모터(M2)의 동작 여부에 따라 연결이 되었다 떨어졌다 할 수 있다.
만일, 환자가 목의 좌우 운동을 하고자 하는 경우, 도 2, 도 9a 및 도 9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1 모터(M1)와 제 7-1 기어(G1-7)가 연결되고 제 2 모터(M2)와 제 7-3 기어(G2-7)가 연결된 상태에서 구동부(200)에서의 조작으로 제 1 모터(M1)를 정 방향 회전시키게 되면 제 2 모터(M2)가 제 1 모터(M1)와 동회전 속도로 역방향 회전하고, 제 1 모터(M1)의 회전으로 제 7-1 기어(G1-7)가 회전하여 제 7-1 기어(G1-7)에 연결되어 있는 제 7-1 와이어(470)가 감기게 됨에 따라 7-1-1 와이어 튜브(370)의 끝에서부터 목 지지대(500) 오른쪽 고정점까지의 제 7-1 와이어(470)의 길이가 감소하여 제 7-1 와이어(470)로 인한 장력이 증가된다.
이때, 제 2 모터(M2)가 제 1 모터(M1)와 동회전 속도로 역방향 회전하게 되면 제 7-2 기어(G1-8)가 역회전하게 되어 제 7-2 와이어(472)가 풀리고, 7-2-1 와이어 튜브(372)의 끝에서부터 목 지지대(500) 왼쪽 고정점까지의 제 7-2 와이어(472)의 길이가 증가하여 제 7-2 와이어(472)로 인한 장력이 감소되어 오른쪽 목이 수축되고 왼쪽 목이 신장되는 운동을 하게 된다.
또한, 구동부(200)에서의 조작으로 제 2 모터(M2)를 정 방향 회전시키게 되면 제 1 모터(M1)가 제 2 모터(M2)와 동회전 속도로 역방향 회전하고, 제 2 모터(M2)의 회전으로 제 7-2 기어(G1-8)가 회전하여 제 7-2 기어(G1-8)에 연결되어 있는 제 7-2 와이어(472)가 감기게 됨에 따라 7-2-1 와이어 튜브(372)의 끝에서부터 목 지지대(500) 왼쪽 고정점까지의 제 7-2 와이어(472)의 길이가 감소하여 제 7-2 와이어(472)로 인한 장력이 증가된다.
이때, 제 1 모터(M1)가 제 2 모터(M2)와 동회전 속도로 역방향 회전하게 되면 제 7-1 기어(G1-7)가 역회전하게 되어 제 7-1 와이어(470)가 풀리고, 7-1-1 와이어 튜브(370)의 끝에서부터 목 지지대(500) 오른쪽 고정점까지의 제 7-1 와이어(470)의 길이가 증가하여 제 7-1 와이어(470)로 인한 장력이 감소되어 왼쪽 목이 수축되고 오른쪽 목이 신장되는 운동을 하게 된다.
만일, 환자가 목의 상하 운동을 하고자 하는 경우, 도 2, 도 9c 및 도 9d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1 모터(M1)와 제 7-2 기어(G1-8)가 연결되고 제 2 모터(M2)와 제 7-4 기어(G2-8)가 연결된 상태에서 구동부(200)에서의 조작으로 제 1 모터(M1)를 정 방향 회전시키게 되면 제 2 모터(M2)가 제 1 모터(M1)와 동회전 속도로 역방향 회전하고, 제 1 모터(M1)의 회전으로 제 7-2 기어(G1-8)가 회전하여 제 7-2 기어(G1-8)에 연결되어 있는 제 7-2 와이어(472)가 감기게 됨에 따라 7-2-1 와이어 튜브(372)의 끝에서부터 목 지지대(500) 뒤쪽 고정점까지의 제 7-2 와이어(472)의 길이가 감소하여 제 7-2 와이어(472)로 인한 장력이 증가된다.
이때, 제 2 모터(M2)가 제 1 모터(M1)와 동회전 속도로 역방향 회전하게 되면 제 7-4 기어(G2-8)가 역회전하게 되어 제 7-4 와이어(474)가 풀리고, 7-4-1 와이어 튜브(374)의 끝에서부터 목 지지대(500) 앞쪽 고정점까지의 제 7-4 와이어(474)의 길이가 증가하여 제 7-4 와이어(474)로 인한 장력이 감소되어 뒤쪽 목이 수축되고 앞쪽 목이 신장되는 운동을 하게 된다.
또한, 구동부(200)에서의 조작으로 제 2 모터(M2)를 정 방향 회전시키게 되면 제 1 모터(M1)가 제 2 모터(M2)와 동회전 속도로 역방향 회전하고, 제 2 모터(M2)의 회전으로 제 7-4 기어(G2-8)가 회전하여 제 7-4 기어(G2-8)에 연결되어 있는 제 7-4 와이어(474)가 감기게 됨에 따라 7-4-1 와이어 튜브(374)의 끝에서부터 목 지지대(500) 앞쪽 고정점까지의 제 7-4 와이어(474)의 길이가 감소하여 제 7-4 와이어(474)로 인한 장력이 증가된다.
이때, 제 1 모터(M1)가 제 2 모터(M2)와 동회전 속도로 역방향 회전하게 되면 제 7-2 기어(G1-8)가 역회전하게 되어 제 7-2 와이어(472)가 풀리고, 7-2-1 와이어 튜브(372)의 끝에서부터 목 지지대(500) 뒤쪽 고정점까지의 제 7-2 와이어(472)의 길이가 증가하여 제 7-2 와이어(472)로 인한 장력이 감소되어 앞쪽 목이 수축되고 뒤쪽 목이 신장되는 운동을 하게 된다.
도 10a 및 10b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를 이용한 전신 운동 재활 기구를 착용하고 다리 굽히기 운동을 하는 경우 왼쪽 무릎을 편 상태의 좌측 및 후면 사시도이고, 도 10c 및 10d는 왼쪽 무릎을 굽힌 상태의 좌측 및 후면 사시도로서, 의복(100), 복수개의 와이어 튜브들(380, 382, 383, 384, 385), 복수개의 와이어들(480, 482, 483, 484, 485)을 구비한다.
도 10a 내지 도 10d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를 이용한 전신 운동 재활 기구를 착용하고 다리 굽히기 운동을 하는 경우의 사용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및 도 10a 내지 도 10d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8-1-1 와이어 튜브(380)는 일측단이 의복(100)의 등허리 부분에 부착되어 신체 곡면을 따라 허리를 타고 허리 앞부분까지 연장되어 타측단이 아래쪽을 향하여 부착된다.
제 8-1-2 와이어 튜브(382)는 일측단이 의복(100)의 허벅지 중간 앞부분에 부착되어 신체 곡면을 따라 하방향으로 무릎 뒷부분 까지 연장되어 타측단이 아래쪽을 향하여 부착된다.
제 8-1-3 와이어 튜브(383)는 일측단이 의복(100)의 정강이 뒷부분 중간에 부착되어 신체 곡면을 따라 상방향으로 발목 앞부분까지 연장되어 타측단이 아래쪽을 향하여 부착된다.
제 8-2-1 와이어 튜브(384)는 일측단이 의복(100)의 등허리 부분에 부착되어 신체 곡면을 따라 엉덩이를 타고 허벅지 뒷부분까지 연장되어 타측단이 아래쪽을 향하여 부착된다.
제 8-2-2 와이어 튜브(385)는 일측단이 의복(100)의 허벅지 중간 뒷부분에 부착되어 신체 곡면을 따라 하방향으로 무릎 앞부분 까지 연장되어 타측단이 아래쪽을 향하여 부착된다.
또한, 제 8-1 와이어(480)는 제 8-1-1, 제 8-1-2, 제 8-1-3 와이어 튜브(380, 382, 383)를 관통하여 일측단은 제 8-1 기어(G1-9)에 연결되고 다른 쪽 끝은 제 8-1-1 와이어 튜브(380) 방향으로 신체 곡면을 따라 연장되어 발등 부분에 고정된다.
즉, 제 8-1 와이어(480)는 다리 굽히기 운동을 위하여 제 8-1 기어(G1-9)에서 시작하여 허벅지 상박의 앞부분을 타고 내려와 무릎 뒷부분, 정강이 앞부분 및 발목 앞부분을 순차적으로 지나 발등에 고정된다.
제 8-2 와이어(482)는 제 8-2-1, 제 8-2-2 와이어 튜브(384, 385)를 관통하여 일측단은 제 8-2 기어(G2-9)에 연결되고 다른 쪽 끝은 제 8-2-1 와이어 튜브(384)의 방향으로 신체 곡면을 따라 연장되어 정강이 앞부분에 고정된다.
즉, 제 8-2 와이어(482)는 다리의 펴지는 운동을 위하여 제 8-2 기어(G2-9)에서 시작하여 엉덩이를 타고 내려와 무릎 앞부분을 지나 정강이 앞부분에 고정된다.
각각의 와이어 튜브 끝부분은 제 8-1 및 제 8-2 와이어(480, 482)를 잡아줄 수 있게 되어있고 제 8-1 및 제 8-2 와이어(480, 482)에는 일정한 길이를 당기면 더 이상 움직이지 않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장치가 되어있다. 특히, 제 8-1-3 와이어 튜브(383)와 발등의 제 8-1 와이어(480) 고정점 사이에는 소정의 지지대를 설치해 발목이 과도하게 구부러지지 않도록 한다.
한편, 제 8-1 기어(G1-9)는 제 1 모터(M1)에 연결되어 제 1 모터(M1)의 동작 여부에 따라 연결이 되었다 떨어졌다 하고, 제 8-2 기어(G2-9)는 제 2 모터(M2)에 연결되어 제 제 2 모터(M2)의 동작 여부에 따라 연결이 되었다 떨어졌다 할 수 있다.
만일, 환자가 다리를 굽히는 운동을 하고자 하는 경우, 도 2, 도 10c 및 도 10d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1 모터(M1)와 제 8-1 기어(G1-9)가 연결되고 제 2 모터(M2)와 제 8-2 기어(G2-9)가 연결된 상태에서 구동부(200)에서의 조작으로 제 1 모터(M1)를 정 방향 회전시키게 되면 제 2 모터(M2)가 제 1 모터(M1)와 동회전 속도로 역방향 회전하고, 제 1 모터(M1)의 회전으로 제 8-1 기어(G1-9)가 회전하여 제 8-1 기어(G1-9)에 연결되어 있는 제 8-1 와이어(480)가 감기게 됨에 따라 8-1-3 와이어 튜브(383)의 끝에서부터 발등의 고정점까지의 제 8-1 와이어(480)의 길이가 감소하여 제 8-1 와이어(480)로 인한 장력이 증가되어 발목이 수축된다.
또한, 제 1 모터(M1)의 정 방향 회전으로 제 8-1 기어(G1-9)가 회전하여 제 8-1 기어(G1-9)에 연결되어 있는 제 8-1 와이어(480)가 감기게 됨에 따라 8-1-2 와이어 튜브(382)의 끝에서부터 정강이 뒷부분의 고정점까지의 제 8-1 와이어(480)의 길이가 감소하여 제 8-1 와이어(480)로 인한 장력이 증가되어 무릎이 수축되고, 8-1-1 와이어 튜브(380)의 끝에서부터 허벅지 앞부분의 고정점까지의 제 8-1 와이어(480)의 길이가 감소하여 제 8-1 와이어(480)로 인한 장력이 증가되어 사타구니가 수축된다.
한편, 제 2 모터(M2)가 제 1 모터(M1)와 동회전 속도로 역방향 회전하게 되면 제 8-2 기어(G2-9)가 역회전하게 되어 제 8-2 와이어(482)가 풀리고, 8-2-1, 8-2-2 와이어 튜브(384, 385)의 끝에서부터 각각의 고정점까지의 제 8-2 와이어(482)의 길이가 증가하여 제 8-2 와이어(482)로 인한 장력이 감소되어 다리가 굽혀지는 운동을 하게 된다.
그 후에, 제 8-1 와이어(480)의 발목 고정점이 제 8-1-3 와이어 튜브(383)에 고정되고, 제 8-1 와이어(480)의 정강이 뒷부분 고정점이 제 8-1-2 와이어 튜브(382)에 고정되며, 제 8-1 와이어(480)의 허벅지 앞부분 고정점이 제 8-1-1 와이어 튜브(380)에 고정되면 제 8-1 와이어(480)는 고정되고 제 1 모터(M1)는 정지되므로 발목, 무릎, 사타구니의 수축 운동은 정지하게 된다.
만일, 환자가 다리를 펴는 운동을 하고자 하는 경우, 도 2, 도 10a 및 도 10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1 모터(M1)와 제 8-1 기어(G1-9)가 연결되고 제 2 모터(M2)와 제 8-2 기어(G2-9)가 연결된 상태에서 구동부(200)에서의 조작으로 제 2 모터(M2)를 정 방향 회전시키게 되면 제 1 모터(M1)가 제 2 모터(M2)와 동회전 속도로 역방향 회전하고, 제 2 모터(M2)의 회전으로 제 8-2 기어(G2-9)가 회전하여 제 8-2 기어(G2-9)에 연결되어 있는 제 8-2 와이어(482)가 감기게 됨에 따라 8-2-2 와이어 튜브(385)의 끝에서부터 정강이 앞부분의 고정점까지의 제 8-2 와이어(482)의 길이가 감소하여 제 8-2 와이어(482)로 인한 장력이 증가된다.
또한, 제 1 모터(M1)가 제 2 모터(M2)와 동회전 속도로 역방향 회전하게 되면 제 8-1 기어(G1-9)가 역회전하게 되어 제 8-1 와이어(480)가 풀리고, 8-1-1, 8-1-2, 8-1-3 와이어 튜브(380, 382, 383)의 끝에서부터 상기 각각의 고정점까지의 제 8-1 와이어(480)의 길이가 증가하여 제 8-1 와이어(480)로 인한 장력이 감소되어 다리가 다시 펴지는 운동을 하게 된다.
그 후에, 제 8-2 와이어(482)의 정강이 앞부분 고정점이 제 8-2-2 와이어 튜브(385)에 고정되며, 제 8-2 와이어(482)의 허벅지 뒷부분 고정점이 제 8-2-1 와이어 튜브(384)에 고정되면 제 8-2 와이어(482)는 고정되고 제 2 모터(M2)는 정지되므로 무릎의 이완 운동은 정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와이어를 이용한 전신 운동 재활 기구는 재활 치료 환자가 의료 기관에 방문함 없이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손쉽게 의복의 형태로 된 기구를 간편하게 착용하여 전신의 다양한 관절 운동을 함으로써 재활 치료가 가능한 와이어를 이용한 전신 운동 재활 기구를 제공함으로써 재활 기구의 구조가 간단하여 생산 비용이나 제작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환자의 관절에 무리를 주지 않으면서 전신의 다양한 관절 운동이 가능하여 재활 효율을 높이고 회복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의복 200: 구동부
300: 복수개의 와이어 튜브들 400: 복수개의 와이어들
500: 목 지지대 M1, M2: 제1 및 제2 모터들
G1-1 내지 G1-m, G2-1 내지 G2-n: 복수개의 기어들

Claims (28)

  1. 지퍼를 구비한 상하의 일체형 의복;
    조작에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 및 제 2 모터들의 동력을 복수개의 기어들 각각에 전달하는 구동부;
    일측단이 상기 의복의 제1 부분에 부착되어 신체 곡면을 따라 배치되며 타측단이 상기 의복의 제2 부분에 부착되는 복수개의 와이어 튜브들;
    일측단이 상기 복수개의 기어들 각각에 연결되고 타측단이 신체 각 부위 상의 의복에 고정되며, 상기 복수개의 와이어 튜브들 각각의 내부를 관통해서 상기 복수개의 와이어 튜브들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동력에 의해 길이가 변화되는 복수개의 와이어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를 이용한 전신 운동 재활 기구.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와이어들은
    상기 복수개의 와이어 튜브들의 끝에서부터 상기 고정되는 신체 각 부위까지의 길이까지 신축하여 상기 신체 각 부위를 수축 및 이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를 이용한 전신 운동 재활 기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기어들 중 제 2N-1(N은 자연수) 기어는
    상기 제 1 모터의 동작 여부에 따라 접속되고,
    상기 복수개의 기어들 중 제 2N(N은 자연수) 기어는
    상기 제 2 모터의 동작 여부에 따라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를 이용한 전신 운동 재활 기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으로 상기 제1 모터가 정 방향 회전하면
    상기 접속되는 제 2N-1(N은 자연수) 기어가 연동되어 회전하고 상기 복수개의 와이어들 중 상기 제 2N-1(N은 자연수) 와이어의 길이가 감소하여 장력이 증가하며,
    상기 제1 모터와 연동되어 같은 속도로 상기 제2 모터가 역방향 회전하게 되면
    상기 접속되는 제 2N(N은 자연수) 기어가 연동되어 회전하고 상기 복수개의 와이어들 중 상기 제 2N(N은 자연수) 와이어의 길이가 증가하여 장력이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를 이용한 전신 운동 재활 기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으로 상기 제 2 모터가 정 방향 회전하면
    상기 접속되는 제2 기어가 연동되어 회전하고 상기 제2 와이어의 길이가 감소하여 장력이 증가하며,
    상기 제 2 모터와 연동되어 같은 속도로 상기 제 1 모터가 역방향 회전하게 되면
    상기 접속되는 제1 기어가 연동되어 회전하고 상기 제1 와이어의 길이가 증가하여 장력이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를 이용한 전신 운동 재활 기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와이어 튜브들 중 제 1 및 제2 와이어 튜브는
    일측단이 상기 의복의 등허리 부분에 부착되어 신체 곡면을 따라 상방향으로 겨드랑이를 돌아 팔의 상박 안쪽 면 및 아랫 면을 따라 상기 의복의 팔꿈치 부분이 시작되기 직전까지 연장되어 타측단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를 이용한 전신 운동 재활 기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와이어는
    상기 제 1 와이어 튜브를 관통하여 일측단이 상기 제 1 기어에 연결되고 타측단이 신체 곡면을 따라 연장되어 팔의 하박 바깥 쪽 길이 중간 부분에 고정되고,
    상기 제2 와이어는
    상기 제 2 와이어 튜브를 관통하여 일측단이 상기 제 2 기어에 연결되고 타측단이 팔의 하박 안쪽 길이 중간 부분에 고정되어 팔 굽히기 운동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를 이용한 전신 운동 재활 기구.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와이어 튜브들 중 제 3 와이어 튜브는
    일측단이 상기 의복의 등허리 부분에 부착되어 신체 곡면을 따라 상방향으로 어깨 상부 중심을 통과하여 팔의 바깥면을 따라 손목 직전까지 연장되어 타측단이 부착되고,
    상기 복수개의 와이어 튜브들 중 제 4 와이어 튜브는
    일측단이 상기 의복의 등허리 부분에 부착되어 신체 곡면을 따라 상방향으로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곡선을 그리며 회전하여 어깨 관절 아랫면 높이에서 수평 방향으로 계속되어 겨드랑이 아래를 돌아 팔의 안쪽면을 따라 손목 직전까지 연장되어 타측단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를 이용한 전신 운동 재활 기구.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와이어는
    상기 제3 와이어 튜브를 관통하여 일측단이 상기 제3 기어에 연결되고 타측단이 신체 곡면을 따라 연장되어 손등 길이 중간 부분에 고정되고,
    상기 제4 와이어는
    상기 제4 와이어 튜브를 관통하여 일측단이 상기 제4 기어에 연결되고 타측단이 팔의 하박 안쪽 길이 중간 부분에 고정되어 손목 운동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를 이용한 전신 운동 재활 기구.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와이어 튜브들 중 제5 와이어 튜브는
    일측단이 상기 의복의 등허리 부분에 부착되어 신체 곡면을 따라 상방향으로 어깨 상부 중심까지 연장되어 타측단이 부착되고,
    상기 복수개의 와이어 튜브들 중 제6 와이어 튜브는
    일측단이 상기 의복의 등허리 부분에 부착되어 신체 곡면을 따라 상방향으로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곡선을 그리며 회전하여 어깨 관절 중심 높이에서 수평 방향으로 계속되어 어깨 관절 뒤쪽 중심까지 연장되고 다시 아래를 향해 회전되어 타측단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를 이용한 전신 운동 재활 기구.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와이어들 중 제5 와이어는
    상기 제5 와이어 튜브를 관통하여 일측단이 상기 제5 기어에 연결되고 타측단이 신체 곡면을 따라 연장되어 팔의 상박 윗편 길이 중간 부분에 고정되고,
    상기 복수개의 와이어들 중 제6 와이어는
    상기 제6 와이어 튜브를 관통하여 일측단이 상기 제6 기어에 연결되고 타측단이 신체 곡면을 따라 어깨 관절 아래쪽을 따라 돌아 연장되어 팔의 상박 뒷면 길이 중간 부분에 고정되어 팔 전후 회전 운동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를 이용한 전신 운동 재활 기구.
  13.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와이어 튜브들 중 제7 와이어 튜브는
    일측단이 상기 의복의 등허리 부분에 부착되어 신체 곡면을 따라 상방향으로 어깨 상부 중심까지 연장되어 타측단이 부착되고,
    상기 복수개의 와이어 튜브들 중 제8 와이어 튜브는
    일측단이 상기 의복의 등허리 부분에 부착되어 신체 곡면을 따라 상방향으로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곡선을 그리며 90도 회전하여 어깨 관절 중심 높이에서 수평 방향으로 계속되어 어깨 관절 뒤쪽 시작 부분까지 연장되고, 다시 아래를 향해 90도 회전하여 타측단이 아래쪽을 향하여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를 이용한 전신 운동 재활 기구.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와이어들 중 제7 와이어는
    상기 제7 와이어 튜브를 관통하여 일측단이 상기 제7 기어에 연결되고 타측단이 신체 곡면을 따라 연장되어 팔의 상박 바깥쪽 길이 중간 부분에 고정되고,
    상기 복수개의 와이어들 중 제8 와이어는
    상기 제8 와이어 튜브를 관통하여 일측단이 상기 제8 기어에 연결되고 타측단이 신체 곡면을 따라 어깨 관절 아래쪽을 따라 돌아 연장되어 팔의 상박 안쪽면 길이 중간 부분에 고정되어 팔의 좌우 상하 회전 운동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를 이용한 전신 운동 재활 기구.
  15.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와이어 튜브들 중 제9 와이어 튜브는
    일측단이 상기 의복의 등허리 부분에 부착되어 신체 곡면을 따라 상방향으로 어깨 관절 중심 높이에서 오른쪽으로 곡선을 그리며 회전하여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타측단이 부착되고,
    상기 복수개의 와이어 튜브들 중 제10 와이어 튜브는
    일측단이 상기 의복의 등허리 부분에 부착되어 신체 곡면을 따라 상방향으로 어깨 관절 중심 높이에서 왼쪽으로 곡선을 그리며 회전하여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타측단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를 이용한 전신 운동 재활 기구.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와이어들 중 제9 와이어는
    상기 제9 와이어 튜브를 관통하여 일측단이 상기 제9 기어에 연결되고 타측단이 신체 곡면을 따라 연장되어 오른쪽 어깨 관절 뒤쪽 중간 부분에 고정되고,
    상기 복수개의 와이어들 중 제10 와이어는
    상기 제10 와이어 튜브를 관통하여 일측단이 상기 제10 기어에 연결되고 타측단이 신체 곡면을 따라 어깨 관절 아래쪽을 따라 돌아 연장되어 왼쪽 어깨 관절 뒤쪽 중간 부분에 고정되어 등의 당김 운동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를 이용한 전신 운동 재활 기구.
  1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와이어 튜브들 중 제11 와이어 튜브는
    일측단이 상기 의복의 등허리 부분에 부착되어 신체 곡면을 따라 상방향으로 오른쪽 옆구리를 타고 몸통 중간높이까지 연장되어 타측단이 윗쪽을 향하여 부착되고,
    상기 복수개의 와이어 튜브들 중 제12 와이어 튜브는
    일측단이 상기 의복의 등허리 부분에 부착되어 신체 곡면을 따라 상방향으로 왼쪽 옆구리를 타고 몸통 중간높이까지 연장되어 타측단이 윗쪽을 향하여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를 이용한 전신 운동 재활 기구.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와이어들 중 제11 와이어는
    상기 제11 와이어 튜브를 관통하여 일측단이 상기 제11 기어에 연결되고 타측단이 신체 곡면을 따라 연장되어 오른쪽 어깨 관절 위쪽 중간 부분에 고정되고,
    상기 복수개의 와이어들 중 제12 와이어는
    상기 제12 와이어 튜브를 관통하여 일측단이 상기 제12 기어에 연결되고 타측단이 신체 곡면을 따라 어깨 관절 아래쪽을 따라 돌아 연장되어 왼쪽 어깨 관절 위쪽 중간 부분에 고정되어 옆구리 운동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를 이용한 전신 운동 재활 기구.
  1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와이어 튜브들 중 제13 와이어 튜브는
    일측단이 상기 의복의 등허리 부분에 부착되어 신체 곡면을 따라 배치되어 허리를 타고 허리 앞부분까지 연장되어 타측단이 아래쪽을 향하여 부착되고,
    상기 복수개의 와이어 튜브들 중 제14 와이어 튜브는
    일측단이 상기 의복의 허벅지 중간 앞부분에 부착되어 신체 곡면을 따라 하방향으로 무릎 뒷부분 까지 연장되어 타측단이 아래쪽을 향하여 부착되며,
    상기 복수개의 와이어 튜브들 중 제15 와이어 튜브는
    일측단이 상기 의복의 정강이 뒷부분 중간에 부착되어 신체 곡면을 따라 상방향으로 발목 앞부분까지 연장되어 타측단이 아래쪽을 향하여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를 이용한 전신 운동 재활 기구.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와이어 튜브들 중 제16 와이어 튜브는
    일측단이 상기 의복의 등허리 부분에 부착되어 신체 곡면을 따라 배치되어 엉덩이를 타고 허벅지 뒷부분까지 연장되어 타측단이 아래쪽을 향하여 부착되며,
    상기 복수개의 와이어 튜브들 중 제17 와이어 튜브는
    일측단이 상기 의복의 허벅지 중간 뒷부분에 부착되어 신체 곡면을 따라 하방향으로 무릎 앞부분 까지 연장되어 타측단이 아래쪽을 향하여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를 이용한 전신 운동 재활 기구.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와이어들 중 제13 와이어는
    상기 제13 내지 제15 와이어 튜브를 관통하여 일측단이 상기 제13 기어에 연결되고 타측단이 상기 허벅지 상박의 앞부분을 타고 내려와 무릎 뒷부분, 정강이 앞부분 및 발목 앞부분을 순차적으로 지나 발등에 고정되고,
    상기 복수개의 와이어들 중 제14 와이어는
    상기 제16 내지 제17 와이어 튜브를 관통하여 일측단이 상기 제14 기어에 연결되고 타측단이 엉덩이를 타고 내려와 무릎 앞부분을 지나 정강이 앞부분에 고정되어 다리 굽히기 운동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를 이용한 전신 운동 재활 기구.
  2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신 운동 재활 기구는
    상기 복수개의 와이어들이 당기는 힘으로부터 목의 충격을 최소화하고, 내부에 스폰지를 구비하여 목과 머리를 보호하는 목 지지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를 이용한 전신 운동 재활 기구.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목 지지대는
    링 형태의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의복을 착용한 후에도 독립적으로 장탈할 수 있도록 반으로 갈라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를 이용한 전신 운동 재활 기구.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기어들 중 제15 및 제17 기어는
    상기 제 1 모터의 동작 여부에 따라 접속되고,
    상기 복수개의 기어들 중 제16 및 제18 기어는
    상기 제 2 모터의 동작 여부에 따라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를 이용한 전신 운동 재활 기구.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으로 상기 제 1 모터가 정 방향 회전하면
    상기 접속되는 제15 및 제17 기어가 연동되어 회전하고 상기 연결된 제15 및 제17 와이어의 길이가 감소하여 장력이 증가하며,
    상기 제 1 모터와 연동되어 같은 속도로 상기 제 2 모터가 역방향 회전하게 되면
    상기 접속되는 제16 및 제18 기어가 연동되어 회전하고 상기 연결된 제16 및 제18 와이어의 길이가 증가하여 장력이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를 이용한 전신 운동 재활 기구.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으로 상기 제 2 모터가 정 방향 회전하면
    상기 접속되는 제16 및 제18 기어가 연동되어 회전하고 상기 연결된 제16 및 제18 와이어의 길이가 감소하여 장력이 증가하며,
    상기 제 2 모터와 연동되어 같은 속도로 상기 제 1 모터가 역방향 회전하게 되면
    상기 접속되는 제15 및 제17 기어가 연동되어 회전하고 상기 연결된 제15 및 제17 와이어의 길이가 증가하여 장력이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를 이용한 전신 운동 재활 기구.
  27.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와이어 튜브들 중 제18 와이어 튜브는
    일측단이 상기 의복의 등허리 부분에 부착되어 신체 곡면을 따라 배치되어 목 지지대 오른쪽 부분까지 연장되어 타측단이 윗쪽을 향하여 부착되고,
    상기 복수개의 와이어 튜브들 중 제19 와이어 튜브는
    일측단이 상기 의복의 등허리 부분에 부착되어 신체 곡면을 따라 배치되어 목 지지대 뒤쪽 부분까지 연장되어 타측단이 윗쪽을 향하여 부착되며,
    상기 복수개의 와이어 튜브들 중 제20 와이어 튜브는
    일측단이 상기 의복의 등허리 부분에 부착되어 신체 곡면을 따라 배치되어 목 지지대 왼쪽 부분까지 연장되어 타측단이 윗쪽을 향하여 부착되고,
    상기 복수개의 와이어 튜브들 중 제21 와이어 튜브는
    일측단이 상기 의복의 등허리 부분에 부착되어 신체 곡면을 따라 배치되어 목 지지대 앞쪽 부분까지 연장되어 타측단이 윗쪽을 향하여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를 이용한 전신 운동 재활 기구.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와이어들 중 제15 와이어는
    상기 제18 와이어 튜브를 관통하여 일측단이 상기 제15 기어에 연결되고 타측단이 신체 곡면 및 상기 목 지지대를 따라 연장되어 상기 목 지지대 오른쪽 부분에 고정되고,
    상기 복수개의 와이어들 중 제16 와이어는
    상기 제19 와이어 튜브를 관통하여 일측단이 상기 제16 기어에 연결되고 타측단이 신체 곡면 및 상기 목 지지대를 따라 연장되어 상기 목 지지대 뒤쪽 부분에 고정되며,
    상기 복수개의 와이어들 중 제17 와이어는
    상기 제20 와이어 튜브를 관통하여 일측단이 상기 제17 기어에 연결되고 타측단이 신체 곡면 및 상기 목 지지대를 따라 연장되어 상기 목 지지대 왼쪽 부분에 고정되고,
    상기 복수개의 와이어들 중 제18 와이어는
    상기 제21 와이어 튜브를 관통하여 일측단이 상기 제18 기어에 연결되고 타측단이 신체 곡면 및 상기 목 지지대를 따라 연장되어 상기 목 지지대 앞쪽 부분에 고정되어 목의 전후 좌우 운동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를 이용한 전신 운동 재활 기구.

KR1020100035269A 2010-04-16 2010-04-16 와이어를 이용한 전신 운동 재활 기구 KR1011573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5269A KR101157342B1 (ko) 2010-04-16 2010-04-16 와이어를 이용한 전신 운동 재활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5269A KR101157342B1 (ko) 2010-04-16 2010-04-16 와이어를 이용한 전신 운동 재활 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5764A KR20110115764A (ko) 2011-10-24
KR101157342B1 true KR101157342B1 (ko) 2012-06-15

Family

ID=45030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5269A KR101157342B1 (ko) 2010-04-16 2010-04-16 와이어를 이용한 전신 운동 재활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73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7678B1 (ko) * 2014-09-12 2016-07-08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근력 보조장치
KR101677920B1 (ko) * 2015-02-27 2016-11-21 한국기술교육대학교기술지주 주식회사 신체착용식 상지 운동장치
KR102434946B1 (ko) * 2019-12-19 2022-08-22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의복형 관절 보조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782843A2 (en) 1996-01-02 1997-07-09 Benito Ferrati Orthopedic rehabilitation apparatus using virtual reality units
US6447464B1 (en) 1999-09-24 2002-09-10 Lifespan Therapy Services, Inc. Therapy device for upper extremity dysfunction
WO2004087033A1 (ja) 2003-03-28 2004-10-14 Hitachi Medical Corporation 着用形関節駆動装置
JP2009005851A (ja) 2007-06-27 2009-01-15 Univ Kurume 電気的筋肉刺激用着用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782843A2 (en) 1996-01-02 1997-07-09 Benito Ferrati Orthopedic rehabilitation apparatus using virtual reality units
US6447464B1 (en) 1999-09-24 2002-09-10 Lifespan Therapy Services, Inc. Therapy device for upper extremity dysfunction
WO2004087033A1 (ja) 2003-03-28 2004-10-14 Hitachi Medical Corporation 着用形関節駆動装置
JP2009005851A (ja) 2007-06-27 2009-01-15 Univ Kurume 電気的筋肉刺激用着用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5764A (ko) 2011-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33814B2 (en) Toning garment with integrated damper
CN104053424B (zh) 行走运动辅助器具
CN103153404B (zh) 抗重力肌训练器服装及锻炼深姿和抗重力肌的方法
JP6113293B2 (ja) 脳卒中患者の歩行リハビリテーション用ロボット
JP2004344306A (ja) 歩行補助装置
US20210283461A1 (en) Abdominal exercise device
US20120083393A1 (en) Exercise clothing and accessories
CN107496065A (zh) 智能调整型足下垂康复矫形器
CN110478199A (zh) 助力式膝关节外骨骼
CN107530217A (zh) 身体佩戴式上肢运动装置
KR101157342B1 (ko) 와이어를 이용한 전신 운동 재활 기구
JP2013070787A (ja) 歩行支援装置
CN110290898B (zh) 用于与辅助机械护甲一起使用的贴片系统
CN114145961A (zh) 智能化多功能上肢康复一体机
CN102188786B (zh) 一种肢体力量康复练习服
CN114733145B (zh) 智能多功能下肢康复训练一体机
JP2013070786A (ja) 歩行支援装置
JP6019112B2 (ja) タイツ
JP7138274B2 (ja) ストレッチ器具
CN208741430U (zh) 一种手部康复装置和康复训练装置
CN208943365U (zh) 一种足踝运动装置
CN107049701A (zh) 穿戴式动力膝关节康复装置
CN211356549U (zh) 肢体康复外骨骼和肢体康复系统
CN215821590U (zh) 一种下肢康复机器人
CN215535866U (zh) 一种用于康复训练的下肢运动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