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6494B1 - 정보기의 억셉트 레벨을 결정하는 방법과 구조 및 장치 - Google Patents

정보기의 억셉트 레벨을 결정하는 방법과 구조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6494B1
KR101156494B1 KR1020067004327A KR20067004327A KR101156494B1 KR 101156494 B1 KR101156494 B1 KR 101156494B1 KR 1020067004327 A KR1020067004327 A KR 1020067004327A KR 20067004327 A KR20067004327 A KR 20067004327A KR 101156494 B1 KR101156494 B1 KR 1011564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data
time
personal
devi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4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28279A (ko
Inventor
마티아스 스타인만
Original Assignee
게에프카 텔레콘트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게에프카 텔레콘트롤 아게 filed Critical 게에프카 텔레콘트롤 아게
Publication of KR200700282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82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64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64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8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the pass enabling tracking or indicating prese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 Chemical And Physical Treatments For Wood And The Like (AREA)
  • Input Circuits Of Receivers And Coupling Of Receivers And Audio Equipment (AREA)
  • 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ime Recorders, Dirve Recorders, Access Control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각 이격되어 설치된 정보기(1a-c)의 순차적인 시간상의 억셉턴스 레벨(acceptance level)을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정보기(1a-c)는 최소한 하나 이상의 송신기유니트(3a-c)를 갖으며, 송신기유니트들은 미리 정해진 범위로(17a-c) 상기 디바이스를 식별할 수 있는 신호(5a-c)를 송출한다. 다수의 사용자(6a-c)에게 각각 개인장치(7a-d)가 제공되며, 사용자는 상기 개인장치를 소지하거나 착용한다. 상기 개인장치(7a-d)는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리시버(4a-d)와 신호(5a-c)로부터의 데이터 컨텐츠를 주어진 시간에 저장할 메모리를 갖는다. 각각의 송출기유니트(3a-c)는 각각 송출범위(9a-c)를 갖는다. 송출범위(9a-c)와 리시버(4a-d)의 수신감도는 사용자(6a-c)가 소지하거나 착용하고 있는 개인장치(7a-d)로부터 정보기(1a-c)가 사람의 일반적으로 지각할 수 있는 거리 밖에 위치할 경우 데이터 수신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조절된다.

Description

정보기의 억셉트 레벨을 결정하는 방법과 구조 및 장치{Method for accepting devices, and arrangement and equipment used therefor}
본 발명은, 청구항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정보기의 엑셉트 레벨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과, 청구항7에 기재된 바와 같이, 위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구조, 청구항10에 기재된 바와 같은 개인장치, 그리고 청구항1에 기재된 바와 같은 송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억셉트 레벨은, 특히 순차적인 억셉트 레벨은, 정보기가 보는 사람이나 사용자에게 얼마나 오래 그들에게 작용을 하는지의 여부, 즉, 얼마나 오랫동안 포스터나 가게 진열장이 보는 이의 시야에 들어오게 되는 지 또는 사용자가 레스토랑이나 백화점 또는 이동하는 운송수단과 같은 시설에서 얼마나 머무르고 있는 지를 말하는 것이다. 이러한 정보는, 정보기가 모든 사용자에게 작용하는 지의 여부, 또 얼마나 강하게 작용하는 지의 여부에 관한 척도이며, 사용자에게 인식되고, 예를 들면, 사용자에게 어떤 것을 사용하거나 보게 함으로서 사용자가 구매를 유인당하거 나 요청당하도록 한다.
예를 들면, 구매시 계산대에 제출되는 카드를 내주는 것과 같은, 구매 행동을 결정하게 하는 시도가 있었다. 구매한 상품들은 카드 소유자의 데이터로 입력되고 중앙컴퓨터에서 처리되며 저장되었다. 이로써 구매 습관을 결정하기 위한 시도이었다. 여기서의 그 희망은, 예를 들면, 해당 사람에게 목적적으로 광고를 보내기 위한 것이었다. 그러나, 정확한 구매 형태 입력은 고객카드가 제출되는 한에 있어서만 가능한 일이다.
EP 1 094 417 a2 (Papaioannou)는 사용자의 상대적 위치 데이터를 얻기 위한 위치 기반 정보 전달 프로그렘으로, 콘트롤 센터에 환경 데이터를 저장하는 개인 데이터 저장소에 관한 것이다. 기록되는 데이터에 추가적으로, 사용자는 추후에 전송을 위하여 콘트롤 센터로 방문한 장소 또는 참여했던 이벤트에 대한 추가적인 정보의 입력을 요구받을 수 있다. 장치에 저장되는 사용자의 데이터들은 사용자 프로파일 또는 현재 위치가 일치하는 미래의 사용자에게 제공되게 된다.
US 4,973,952 (정보자료)는 쇼핑 트롤리(trolleys)를 디스플레이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이동되는 쇼핑 트롤리(또는 수납백이나 운반용 바구니) 에서 제공되는 광고 컨텐츠와 정보들이 디스플레이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일련의 전자기파를 송출하는 전송기들이 상점의 천장이나 선반에 설치된다. 수신된 정보에 의해 광고 메시지는 쇼핑 트롤리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즉시 디스플레이된다. 전송기들은 수신지역과 비수신 지역을 구분할 수 있도록 신호를 제한된 범위안에서 송출할 수 있도록 설정된다. 수신된 신호는 데이터와 시간정보와 함께 저장되며, 중앙컴퓨터로 보내어진다. 이러한 데이터는 매장의 고객에 의해 평가될 수 있으며, 고객들이 해당위치에 얼마나 오래 머물렀는지, 매장에 얼마나 머물렀는지 등을 알 수 있는 지표가 된다. 광고 메시지들과 드른 정보들이 중앙 컴퓨터 시스템으로부터 매장내의 쇼핑 트롤리 장치들로 송출되는 것이다. 쇼핑 트롤리의 장치들 또한 입력장치를 포함한다. 입력장치로는 키패드로 사용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고객은 줄을 서고 있을 때나 고객 질의 조사 등을 하고있을 때 상기 입력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JP 2002 269508(Sharp)는 데이터 메모리와 안테나를 포함하는 RFID 레이블의 적용기술에 관한 것으로, 상기 레이블은 RFID 터미널에 의해 어드레스 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레이블은 예로서, 포스터 등에 부착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사용자의 터미널을 이용하여 레이블로부터의 정보를 참여 또는 경쟁 이벤트를 위하여 읽거나 바꿀 수 있는 것이다. 사용자의 터미널은 휴대할 수 있으며, 작은 손목시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집에서 PC를 사용하여 상기 터미널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EP 0 408 348 A2 (Lee S. Weinblatt)는 인쇄된 매체, 라디오, 텔레비전 등의 구매에 관련된 매체로부터의 억셉트레벨를 측정하는 장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속목시계와 같은 휴대용 장치가 라디오 스테이션, 인쇄매체, 광고방송 등의 텔레비전 프로그램 등으로부터의 측정된 억셉트 레벨을 제공한다. 위 장치는 라디오나 텔레비전으로 부터의 특별한 신호를 감지하는 마이크로폰을 포함한다. 수신된 상기 신호는 장치 내의 메모리에 저장된다. 마이트로폰의 감도는 정해진 감지범위내에서만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설정된다. 텔레비전으로부터의 신호로 억셉트 레벨을 측정하는 장치는 텔레비전에 설치된 유니트에 의해 직접 방사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시청자의 시선이 텔레비전을 향하고 있을 때에만 수신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인쇄된 매체로부터의 억셉트 레벨은 시각적으로 감지되며, 휴대용 장치는 신호를 방출하여 매체로부터 돌아오는 반응을 감지하게 된다. 휴대용 장치로 수신된 매체의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들은 메모리에 저장되게 된다. 장치의 송출력과 수신감도는 인쇄된 매체만로부터 상호작용할 수 있을 정도로 설정된다.
추가적으로, 라디오와 텔레비전, 인쇄된 매체로부터의 정보도 사용자의 입력에 의한 정보와 같이 감지할 수 있는 내용이 본 발명의 우선일 이후에 소개된 “Wer hat's gesehen (누가 보았나)?” (Neus Zurcher Zeitung(스위스 신문) 2004. 6. 29)에 게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문건은 포스터 위치에 따른 억셉턴스 레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목적을 위해 사용되는 방법과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방법과 장치는 정보기의 억셉트 레벨을 제공하고 그리하여 이러한 장치에 관련된 사람이나 장차 사용할 사람뿐만 아니라 이들 외의 사람에까지 그 효력을 미치게 한다.
목적을 달성하는 수단들은 청구항1에 기재된 수단에 의한 방법에 따라 얻어질 수 있다. 그 장치에 따라, 위 목적은 청구항7에 기재된 구조에 따른 수단에 의해 달성될 수 있으며, 그러한 구조는, 특히, 청구항10에 기재된 개인장치와, 청구항14에 기재된 송출유니트를 가진다
본 발명에 따라, 사람들에게 작용하는 정보기의 억셉트 레벨이 결정되는데, 이를 위해 전자기 식별 신호가 이 정보기들에 의해 미리 정해진 범위로 송출된다. 이는 정보기들 중 적어도 하나에 전자기 신호를 발하는 송출기유니트를 설치함으로서 수행된다. 송출력과 사용되는 안테나는, 주어진 환경 조건 아래에서 정보기의 위치에 따라, 미리 한정된 범위에 설치되거나 선택된다. 송출력의 설정은 예를 들면 미리 작성된 모델 계산이나 송출장치가 설치된 곳의 직경에 기초한다. 동일성 신호의 즉석 데이터 내용은, 만일 그 사람이 한정된 범위 내에 위치하면, 개인에 의하여 이동되거나 착용된 개인 장치에 수신된다. 데이터 내용은 또한 개인 장치의 기억장치에 저장된다. 송출 범위와 개인 장치의 수신 민감도는 서로 대응하게 조정되어, 사람에 의해 이동되거나 착용된 개인장치에 가해지는 주의력이나 지각에 있어서, 통상적인 사람의 주의력이나 지각의 미침 범위의 밖에 위치하게 되면 데이터 수신이 불가능하게 한다.
개인 장치의 타이머에 의해 정보기의 메모리의 데이터량이 감소되거나 순차적 배열이 이루어지게 되고, 사용자가 개인장치를 소지하고 송출범위내에 얼마나 자주/오래 머무는지를 감지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타이머는 때때로 정보기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클럭 시퀀스로 스위치되며, 이에 따라 데이터 컨텐츠를 수신하고 저장하기 위한 클럭 주파수가 변하게 되고, 이는 사용자가 개인 장치를 소지하고 장치의 송출범위내에 머무는 특정의 기간동안 클럭 주파수에 맞추게 된다. 특정 시간의 데이터가 저장되면 데이터의 압축이 가능하다. 일반적인 관찰 지속시간 또는 특정한 위치에서의 특정한 길이의 지속시간 등이 산출된다. 예로서, 숍 윈도우 앞에서 일분 동안 머무는 시간이 길게 인식될 수 있는 것이다. 사용자가 버스안에 있는 시간, 영화관이나 음식점에 머무는 시간은 더 길 것이다. 사용자 행동에 대하여 신뢰할만한 정보를 얻기 위하여, 측정되는 시간은 다양한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짧은 “활동시간”을 요구하는 장치들은 상대적으로 높은 주파수(각 측정간의 시간간격이 상대적으로 짧은)의 측정이 필요할 것이고, 특정위치의 특정 지속시간을 측정하는 장치는 낮은 주파수(각 측정간의 시간간격이 상대적으로 긴)의 측정이 필요할 것이다. 정보기의 송출기로부터 송출된 신호는 개인 장치의 클럭 제네레이터를 스위치하는 클럭 측정 시간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인간의 정보기에 대한 주의력이나 지각의 범위는 정보기의 통상적 내용을 인식하고 이를 사용하거나 수용할 수 있는 위치인 지역적 범위로 이해된다. 이러한 말은 아래의 많은 예에 의하여 명백해 질 것이다. 예를 들면, 가게 진열장에 대한 주의나 인식의 범위는 거기에 진열된 물품의 가격표와 같은 라벨이 보여서 인식될 수 있는 거리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가게 진열장 창유리로부터 1 내지 3 미터의 거리를 말하는 것이다. 만일 조명 광고 기둥에 의한 광고물이라면 1 내지 2 미터가 적합할 것이다. 만일 송출에 관하여 일반적인 수단이 사용된다면, 주의력이나 지각의 범위는 자동차의 내부에 한정된다. 만일 자동 기계장치가 작동된다면, 거기에 접촉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보행자들을 위한 대략 25미터 및 자동차로 이동하는 사람을 위한 대략 50 미터의 광범위한 범위가 선택될 수 있다.
개인과 상호 작용을 하는 억셉트 레벨을 결정하는 경우, 보호되어야 할 그 개인들의 사생활이 침해될 수 있다. 그러나, 다음의 평가를 위하여 저장된 데이터가 읽혀질 필요가 있다. 그리하여 상기 데이터는 암호화되어 모든 사람에게 공개되지 아니하여야 한다. 정해진 타임 피리어드(time period)상에서 모니터되는 공간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정보기로부터 컨트롤 센터로 전송되는 신호는 단순한 방식으로 암호화되어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단순한 방식의 암호화는 메모리의 공간을 절약할 수 있게 한다. 상기 데이터는 개인이 소지하고 있는 장치의 메모리에 저장되며, 식별신호는 컨트롤 센터로 전송되고, 전송된 식별신호는 타임 피리어드(time period) 신호와 동시에 판독되게 된다. 즉, 전송된 신호는 컨트롤 센터에 저장된 복수개의 시간간격을 갖는 타임 피리어드 신호와 가장 높은 비율로 일치될 때까지 연관되어 처리된다. 개인이 소지한 장치로부터의 신호와 신호를 송신 받은 시간으로 받은 자료를 처리하게 된다.
상기 자료의 처리는 먼저 개인 사용자의 정보의 처리가 선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사용자가 상기 장치를 얼마나 오래 또는 자주 사용하는지 등의 정보를 먼저 처리하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많은 사용자들의 정보를 통계적으로 처리하여 화상정보의 전송 등의 여부 또는 비율 등의 다음 단계를 조절할 수 있다.
이하 서술되는 상세한 설명에 따른 보다 진보된 형태의 암호화가 적용되어질 수 있다.
판독의 오류를 최소화하기 위해 주변환경의 정보가 동시에 기록되게 된다. 노이즈, 빛의 세기, 온도 등이 주변환경의 정보에 해당한다.
각각의 정보기로부터 데이터를 포함한 식별신호만이 저장되어진다. 그러나 각각의 정보기들은 식별신호 뿐 아니라 입력장치로 개인적으로 입력된 한 개 이상의 질의식의 카탈로그도 전송할 수 있다. 질의식의 카탈로그는 개인장치에 저장되게 되며, 상기 질의에 대한 답변 또한 개인장치의 메모리에 입력되게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식별신호는 각각의 개인장치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질의카탈로그는 자동적으로 전송되지 않는 경우 라디오, 텔레비전 또는 인쇄물 등의 매체가 읽혀지는 위치와 연관되어진다. 이러한 경우 "집", "차량 안", "사무실" 등의 다양한 위치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또한 현재의 위치를 선택할 수도 있다. 선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다양한 위치가 고유의 심볼(집, 자동차, 책상, 나이프와 포크 등의 그림도형)로 나타내어진다. 가장 단순하게 선택하는 방법으로 하나의 누름단추를 연속해서 눌러서 선택하는 방법이 있다.
개인의 장치에서의 입력장치에 의한 정보의 등록은 인쇄물(신문, 잡지, 정기간행물)의 사용(구독)기간과도 연관이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읽기 전에 상기 인쇄물들의 선호하는 타이틀, 이슈 등을 미리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매체와 사용시간이 결정되게 된다. 읽기가 끝나게 되면 사용자는 다시 입력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으며 사용을 계속할 수 있게 된다.
질의 카탈로그는 매체 또는 정보기중 하나의 사용에 있어서 질적인 면에 관계가 있다. 예를 들면 식당이나 상점, 영화관 등을 방문한 후 만족도 설문조사 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
모든 경우, 입력장치를 사용하여 질의 카탈로그에 대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동시에 전자기 식별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사용자의 개인 장치가 신호를 받고 있거나 처리하는 중에도 입력 작업을 방해받지 않고 계속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개인 장치는 입력장치에 의해 응답지령신호를 보냄과 동시에 전자기 신호를 받을 수 있도록 설계된다. 이와 동시에, 개인 장치의 디스플레이 역시 업데이트 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추가적인 신호를 받는 입력장치가 존재할 수 있다. 추가적인 신호에는 음향 신호 등의 주변환경에 대한 신호가 있을 수 있다. 특히, 라디오 방송국이나 또는 텔레비전 방속국의 음향신호 등이 장치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질 수 있으며, 상기 신호를 암호화하여 압축하여 저장할 수 있다. 주변환경의 신호를 받거나 저장하는 과정은 전자기 식별신호로부터 데이터 컨텐츠를 받는 것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수행 되어지며, 동시에 처리가 가능하다. 주변환경의 정보는 타임 피리어드 신호로 컨트롤 센터에 저장되어질 수 있어, 차후에 개인 장치에 저장된 주변환경의 정보와 함께 동시에 처리될 수 있다.
다양한 정보의 아이템들이 상기 동시 처리 과정에서 한정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사용자가 위치한 곳(실내, 실외, 집안, 공공장소 등)의 소음, 밝기, 온도 등을 추측할 수 있다.
만약 다른 정보 아이템이 동시에 요구될 경우, 즉, 식별신호의 데이터, 입력장치로부터의 정보, 주변 환경 정보 등은 사용장소, 시간, 기간 등 매체 또는 장치의 다양한 사용에 따른 정보 등과 동시에 처리된다. 복수개의 정보기, 복수개의 매체가 동시에 사용될 수 있다. 정보기의 경우, 예로서 위치와 시간의 정보는 식별신호에 의해 감지되며, 질적인 정보는 개인의 장치에 수동으로 입력하게 된다. 라디오나 텔레비전, 송신기의 경우 지속시간은 음향의 외부환경 정보에 의해 한정되며, 장소는 인접한 정보기 또는 수동 입력장치 도는 주변 환경 정보로부터의 식별신호로부터 한정된다. 인쇄매체인 경우에는 예로서, 인접한 정보기나 사용자의 입력 또는 주변 환경 정보 등에 의하여 식별신호 수행되어지는 위치가 한정되는 동안 사용자가 입력장치로 입력함으로써 연대순으로 한정할 수 있다. 물론, 어떤 정보기 또는 매체에 있어서 정보의 일부를 한정하지 아니할 수도 있다. 등록 가능한 다양한 정보 아이템들이 보조적으로 등록이 가능하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인접한 정보기로부터 식별신호를 받아 위치를 한정하는 것이 선행되어진다. 이러한 시도가 성공적이지 못할 경우, 환경정보(음향, 온도, 밝기) 등이 등록되어지고 저장되어진다. 추가적으로(특별한 상황에 있어서), 사용자는 부가적인 정보를 입력장치를 통해 입력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정보기는 사용자가 소지하거나 착용하고 있는 개인장치를 통해 동시에 다양한 매체를 등록할 수 있다. 데이터는 실시간으로 기록되어지고 상기 데이터의 평가는 데이터의 등록 이후 곧바로 실행된다.
음향적인 주변환경 신호를 받으면서, 온도, 밝기 등의 정보 또한 받을 수 있으며, 데이터컨텐츠의 식별신호도 동시에 받을 수 있다. 이러한 사항은 이하 상세한 설명에 서술되어 있다.
모든 정보기는 스스로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개인장치 역시 정보기로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정보기의 에너지를 절약하기 위해 적용되어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개인장치가 초기화 펄스를 방출하는 것이 보다 유리하다. 그러나 많은 사람들이 전자기파를 자주 송출하는 개인장치를 소지하거나 착용하는 것을 선호하지 않는다.
정보기를 이용하여 억셉턴스 레벨을 결정하기 위한 실행을 위해서 각각의 정보기들은 마을의 일부 등의 모니터되는 지역에서 서로 거리를 이격해서 배치된다. 본 발명은 마을 또는 도시 전체에 송출기유니트를 갖는 복수개의 정보기를 설치하고 다수의 사람들이 각각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를 갖는 개인장비를 착용하게 한다. 송출기유니트와 개인장치는 위에서 언급했던 기능을 갖는다.
복수개의 개인장치들과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송출기를 갖는 정보기들이 본 발명을 위해 준비된다. 송출기는 송출기 시간에 따라 변하는 고유의 신호를 송출하도록 설계된다. 그러나 컨트롤센터를 추가적으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컨트롤센터는 정보기로부터 송출되는 신호의 데이터 또는 데이터 컨텐츠들이 미리 정해진 타임 피리어드상에서 저장되는 중앙메모리를 갖는다. 컨트롤센터는 개인장치의 메모리를 읽어낼 수 있는 판독유니트와 개인장치로부터 읽어낸 데이터신호를 중앙메모리의 데이터와 함께 동시루틴에서 결정하고 평가하는 코릴레이션(correlation)유니트를 갖는다. 컨트롤 센터를 사용함으로써 데이터의 압축과 데이터의 압축에 따른 보안효과를 얻을 수 있다. 데이터를 압축함으로써 개인장치에 허가되지 않은 사용자가 정보를 열람할 수 없게 한다. 데이터 컨텐츠를 암호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컨트롤센터가 여러 개의 개인장치로부터의 데이터를 평가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 경우 해당되는 개인장치들의 데이터가 컨트롤센터에 의해 읽혀지게 된다. 그러나 복수개의 고정된 컨트롤센터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로서, 적어도 한명의 사람이 개인장치를 소지하거나 착용하는 모든 세대에 컨트롤센터를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하우스스테이션"("도킹스테이션")은 개인장치의 정보를 읽어내어 전화선 등을 통하여 중앙유니트로 송신할 수 있다.
송출기 또는 정보기들은 모니터되는 지역에서 각각 다른 장소에 설치된다. 한 그룹의 사람들이 특별한 특성에 따라 선택될 경우나, 하나의 억셉턴스 레벨이 사람들의 한 부류에서 결정이 될 경우, 개인장치에 저장된 내용으로부터 얼마나 자주 그리고 얼마나 오래 방문되는지, 사용되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광고가 얼마나 성공적인지, 대중교통수단이 얼마나 자주 사용되는지, 어떤 정류장이 자주 이용되는지, 숍윈도우나 광고판이 얼마나 효과적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개인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소지되어지거나 착용되어진다. 개인장치는 눈에 크게 띄지 않고 사용자에게 편리한 손목시계형태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가 개인장치를 하나를 착용하지 않고 두 개를 각각의 팔에 착용하면, 측정의 방해정도에 기인하여 상응하는 정보기에 대한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예로 사용자가 광고에 대해 등을 지고 서있는 경우 광고를 보지 않고 있는 것을 위와 같은 경우 확인할 수 있다.
데이터가 특정한 시간 길이로 등록된다면 데이터의 압축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서 특유의 관람시간 또는 머무는 시간이 있다. 숍윈도우의 경우, 머물러있는 시간이 1분이라면 충분히 긴 시간이라고 볼 수 있다. 버스에서는 머무는 시간에 숍윈도우보다 더 길어질 것이며, 극장이나 레스토랑에서는 더욱 길어질 것이다. 합리적으로 사용자의 행동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저장을 위한 시간의 설정이 다양할 수 있다. 짧은 "작동시간"을 요구하는 정보기는 높은 클럭진동수(개개의 측정 사이의 더 짧은 시간)를, 머무는 시간을 측정하는 정보기는 낮은 클럭진동수(측정 사이의 더 긴 시간)를 필요로 한다. 정보기의 송출기로부터 송출되는 신호와 함께 클럭타임에 일치하는 코드를 송출할 수 있으며, 상기 코드는 상응하는 개인장치의 클럭송출기를 전환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이하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상세히 소개되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개략적인 실시도
도 2 는 지각범위와 전송범위의 상관관계를 도식한 개락도
도 3 은 본 발명의 개인장치의 예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개인장치의 도식한 블록도
도 5 는 본 발명의 개인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평면도
도 6A-M 은 인쇄매체의 등록에 의한 본 발명의 개인장치의 디스플레이의 다 양한 예시도
도 7 은 개인장치가 사용되어지는 위치를 등록한 상태의 디스플레이를 나타낸 예시도
도 8 은 사용자를 위한 등록 기간의 종료를 나타내는 개인장치의 디스플레이를 나타낸 예시도
기본적으로, 식별부분과 요소는 동일한 그림상의 레퍼런스 심볼로 제공된다.
본 발명의 개략적인 실시예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억셉턴스 레벨을 결정하기 위한 정보기(1a, 1b, 1c)가 각각 이격되어 설치된다. 정보기들은 사람들에 의해 억셉턴스 레벨이 결정되는 숍윈도우, 포스터, 영화극장, 상점, 박물관, 지하철역, 버스역 등이 될 수 있다.
"억셉턴스(acceptance)"는 어떤 부류의 사람들이 숍윈도우의 어떤 컨텐츠(contents)를 보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어떤 부류의 사람들이 극장에 가며, 몇 시에 어떤 영화를 보는가", "어떤 박물관을 방문하며, 어떤 전시를 관람하는가", "어떤 버스나 지하철을 이용하며, 어느 곳에서 어느 곳으로 가는 가" 등이 이에 해당된다.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유니트(3a, 3b, 3c)가 억셉턴스 레벨이 한정되어질 각각의 정보기(1a, 1b, 1c)에 배치되어 있다. 송신기유니트(3a, 3b, 3c)는 전자기 식 별신호(5a, 5b, 5c)를 송출하는데, 상기 식별신호(5a, 5b, 5c)는 위 정보기들을 식별하게 하며 일반적으로 송출범위가 짧다. 일반적으로 송출범위는 송출기의 출력에 의해 결정된다.
각각의 송신기유니트(3a, 3b, 3c)는 32비트 코드로 구성된 고유한 시리얼넘버를 갖고 있다. 32비트 코드의 조합은 4*109개의 식별번호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송신기유니트는 정보기 특유의 정보를 송출하기 위한 8비트 코드를 갖고 있다. 예로 영화극장에서 광고부분, 예고부분, 본 영화에 각각 다른 코드를 부여하여 구별해줌으로써 후에 선택적으로 평가할 수 있게 된다. 송신기유니트(3a, 3b, 3c)들은 식별을 위한 시리얼 넘버를 정해진 시간간격으로 연속적으로 송출하게 된다.
각각의 식별신호(5a, 5b, 5c)는 사람(6a, 6b, 6c, 6d) 또는 사람이 입거나 차거나 소지하고 있는 개인장치(7a, 7b, 7c, 7d)가 송신기유니트(3a, 3b, 3c)의 송출범위(9a, 9b, 9c)내에 위치하게 되면 개인장치(7a, 7b, 7c, 7d)의 리시버에 의해 수신되어 진다. 도 1에서 사람(6a)은 그 사람의 개인장치(7a)와 함께 송출범위(9a) 내에 위치하고 있으며, 사람(6c)과 사람(6d)은 각자의 개인장치(7c, 7d)와 함께 송출범위(9c)에 위치하고 있다. 사람(6b)과 그의 개인장치(7b)는 어떤 송출범위에도 있지 아니하다.
각각의 송신기유니트들의 송출범위와 개인이 소지하고 있는 개인장치(7a, 7b, 7c, 7d)의 리시버의 감도는 상기 개인장치를 소지하고 있는 사용자의 지각범위 밖에서는 데이터의 송수신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조절된다. 이러한 사실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숍윈도우(13)가 도 1에서의 정보기(1a, 1b, 1c)와 같이 도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숍윈도우(13)의 뒤로 송신기유니트(15)가 도 1에서의 송신기유니트(3a, 3b, 3c)와 같이 배치되어 있다. 송신기 유니트(15)는 전자기 식별신호를 둥근 송출범위(16)로 송출하며 상기 송출범위(16)는 도 1에서의 송출범위(9a, 9b, 9c)에 해당한다. 송출범위(16)에서, 범위(17a, 17b, 17c)는 각각 그 방향이 상이하다. 각각의 리시버(19a, 19b)는 감도에 따른 수신범위를 갖으며 수신범위와 일반범위(common area)와 오버래핑(overlapping)범위(22)를 포함한 송출범위 안에서 식별신호를 수신하게 된다. 도 2에서 두 리시버(19a, 19b)의 각각의 수신범위(21a, 22b)가 도시되어 있다.
예로서, 숍윈도우(13)내의 전시물(23)에 대한 인식과 평가를 위해서 사람(24)이 충분히 근접한 거리에 위치하여야 한다. 상기 거리는 사람이 지각할 수 있는 정도의 거리로 정해진다. 송출범위(16)와 수신범위(21b)가 상응되게 되면 전시물(23)이 보이게 되며, 전시물(23)은 지각범위(25) 내에 놓이게 된다. 이하에서 서술하는 바와 같이, 송출범위(16)의 시작점은 각각의 정보기로부터 시작되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 정보기도 리시버가 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동일한 수신감도가 적용된다.
범위(25)는 상황에 따라 다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거리가 짧은 사람과 보다 멀리 보는 사람을 구분하지 않고 일반적인 사람의 지각범위를 적용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필요한 경우 리시버(19a, 19b)를 사용자의 시각적 또는 청각적인 지각범위에 맞추어 조절할 수 있다.
상이한 식별신호 데이터가 개인장치의 메모리(55)에 저장되며, 상기 데이터는 후에 어떠한 것을 선호하였는지 확인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사람들의 선호도에 대한 평가나 또는 단순히 가장 많은 사람들이 위치한 장소 등의 데이터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바와 같은 폭넓게 다양한 문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어떤 광고수단이 가장 적당했으며, 어디서 상기 광고수단이 제공되어야 하며, 무엇을 보여주어야 하는지.
어떤 도로나 경로가 얼마나 자주 이용되고 있으며, 도로의 어떤 쪽이 주로 사용되어지는가.
어떤 대중교통수단이 얼마나 자주 이용되어지는 지의 여부.
어떤 숍윈도우, 상점, 로컬숍 등에 사람들이 찾아가며 그 빈도는 어느 정도인가.
위에서 언급했던 일련의 개인장치(7a, 7b, 7c, 7d)들과 송출기유니트(3a, 3b, 3c)들이 사용되어지며, 필수적인 것은 아니지만 시스템은 컨트롤센터(27)와 중앙메모리(29)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앙메모리(29)는 각각의 정보기(1a, 1b, 1c)에 설치된 각각의 송출기유니트(3a, 3b, 3c)들에게로 연결되어있다. 상기 연결수단은 전화선과 같은 선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전파를 이용한 무선연결도 가능하다. 또한, 데이터캐리어들을 컨트롤센터(27)로 보낼 수도 있다. 컨트롤센터(27)는 판독장치(33)가 있어 인터페이스(38)와 연결유니트(35)를 통해 각각의 개인장치(7a, 7b, 7c, 7d)의 메모리(26)의 데이터를 읽어내고 상기 데이터를 중앙메모리(29)에 저장시키며, 평가유니트(37)로 상기 데이터를 평가하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개인장치(41)는 시계형상을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타이머(40)를 갖는다. 또한 데이터의 양을 줄이기 위해 데이터를 압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데이터의 압축은 데이터의 양을 줄이기 위한 점뿐만 아니라 소지하고 있는 개인장치에서 사용자의 데이터를 보호하는 장점이 있다. 이로써 승인되지 아니한 사람이 데이터를 검색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다. 다수의 저장된 신호패킷으로부터 해당되는 사람이 송출범위에 체류한 시간을 손쉽게 결정할 수 있다. 모든 개인장치에서 같은 시계를 사용하며, 컨트롤센터에서도 동일한 시간의 타이머(39)를 사용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고 단순한 동시처리가 가능하게 된다.
시계의 진동수(clock frequency)가 전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람이 영향력 있는 범위 안에 위치한 경우에만 작동을 하는 정보기도 있다. 이러한 경우, 정보기가 신호를 송출한 신호에 의해 개인장치의 타이머가 작동을 개시하게 된다. 타이머는 사람이 송출범위 밖으로 이동하게 되면 자동적으로 그 작동을 멈추게 된다.
상기 데이터의 처리에 있어서 시간과 독립된 처리가 가능하며, 이러한 경우 시간에 관한 신호는 단순히 저장되게 된다. 그러나 시간에 대한 지정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간은 동시루틴에 대해서도 영향을 미친다. 정보기의 감도가 세거나 약할 때의 시간은 중요하다. 시간의 중요성에 따라 개인장치(41)는 상기 기능을 충족시키며 시간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손목시계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서, 도 2의 리시버(19a, 19b)에 해당되는 리시버(44)에 안테나(43)가 설치되고, 상기 리시버는 시계케이스에 수납되어지며, 시계케이스는 플라스틱 재질 또는 피대(strap)로 구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손목시계의 앞면에는 타임디스플레이(45)가 설치되며, 정보기(1a, 1b, 1c)들의 각각의 송신기유니트(3a, 3b, 3c, 15)로부터의 신호를 용이하게 받거나 저장하기 위해 추가적인 디스플레이장치(47)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RF신호는 LF(low frequence) 식별신호에 의하여 안테나(43)를 통해 리시버(44)로 수신되어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49)로 보내지게 된다. 조절된 LF신호는 타이머(40)의 버퍼(50)로 보내지게 된다. 타이머(40)는 상술한 시계의 진동수(clock frequency)를 변환시키기 위해 리시버(44)에 연결되어 있다. 앞서 언급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49)가 타이머(40)에 연결되어 있다. 각각의 경우에 디지타이즈된 LF신호의 연결은 타이머(40)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타이머(40)의 시간을 인에이블링(enabling)함은 컨트롤센터(27)에 의해 감지되고 처리되어지는 식별신호에 의해 결정된다. 시간의 인에이블링(enabling)은 초(second) 범위와 초이하(subsecond) 범위에서 이루어진다. 또한 데이터 패킷은 마이크로세컨드 범위에서 송출될 수 있다. 타이머(40)는 타임제네레이터(51)에 연결되어있다. 일반적으로 타임제네레이터(51)는 진동 무브먼트와 연관된 전자부품으로 이루어져 있다. 타임제 네레이터(51)는 타임디스플레이(45)를 제어한다. 타임디스플레이는 사용자에 의해 세팅될 수 있다. 타임제네레이터(51)는 컨트롤센터에 의해 GPS시간으로 정확하게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스플레이되는 시간("내부시간(internal time)"이 아닌)은 사용자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예로, 시간을 엄수하고자 하는 사람은 디스플레이되는 시간을 5분 내지 10분 빠르게 맞추어 놓을 수 있다. 타이머(40)가 타임제네레이터(51)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정보기의 식별신호의 등록(single registration)은 예정된 시간에 처리되어 진다. 이러한 예정된 시간을 알고 있음으로 인해 컨트롤센터(27)의 동시처리 구조(formation)에서 처리할 데이터의 단축이 가능하다.
타이머(40)로 결정되는 등록이 필요 없는(registration-free) 시간에 있어서, 데이터는 버퍼(50)로부터 판독되며, 버퍼(50)에 연결되어있는 퓨리에변환(Fourier transformation)유니트(53)에 의해 진동스펙트럼으로 변환된다. 진동스펙트럼의 데이터는 데이터압축유니트(54)(호프만인코딩(Huffman encoding), Lempel-Ziv-Welch 프로세스 등)에 의해 압축되고 메모리(55)에 저장된다. 메모리(55)는 컨트롤센터(27)에 의해 판독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압축된 신호는 암호화될 수 있다. 퓨리에변환(Fourier transformation)이 반드시 실행되어야 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방법으로 잔물결변환(wavelet transformation)이 사용되어질 수 있다. 바람직한 데이터의 디지타이즈 작업은 EP 0 598 682 A1 (Liechti AG)에 서술되어있다.
안테나(43)로 수신한 전자기식별신호가 이미 디지털 신호인 경우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49)가 필요 없을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방법은 사용자가 개인장치(41)를 소지하고 있을 경우에만 적용된다. 개인장치를 소지한 시간이나 날자 등을 확인하기 위해 적어도 한 가지 이상의 신체정보를 개인장치(41)로 보내주는 감지장치(57)가 설치된다. 피부의 땀, 체온, 혈압, 맥박 등이 상기 감지장치가 감지하는 요소가 된다. 또한 수은공과 같은 무브먼트 센서를 사용할 수도 있다. 개인장치(41)를 설정함에 있어서 맥박을 감지할 경우, 환경 요소에 의해 감지가 잘못되지 않도록 한다. 보다 확실한 결과를 위해 온도와 운동상태를 선택적으로 동시에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측정된 신체정보는 메모리(55)에 저장되게 된다. 상기 신체정보가 측정되지 아니할 경우, 개인장치(41)는 전원을 절약하기 위해 off 상태가 된다.
버퍼(50)는 회로 흐름상의 하부에 콤퍼레이터(comparator)(59)를 갖는다. 콤퍼레이터(59)는 타이머(40), 타임제네레이터(51), 메모리(55)에 연결된다. 콤퍼레이터(59)는 버퍼(50)로부터의 신호가 선행의 신호와 다를 경우에만 통과하도록 하게해준다. 신호가 다를 경우 마지막 신호가 시간과 함께 저장되며, 구성요소(53, 54)를 통과하게 된다. 이러한 방법은 메모리(55)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양을 줄여주게 된다.
전자기파 형태로 송출함에 있어서 식별신호 데이터 및 데이터 컨텐츠들은 물론 음향환경정보 역시 포함될 수 있다. 이로써 휴지시간의 종결시기를 결정할 수 있다.
손목시계 형태의 개인장치(41)에 입력장치(63)가 제공될 수 있다. 입력장치 (63)는 교신하는 정보기와 다이얼로그를 가능하게 한다. 이는 송출범위 내에서 개인장치(41)를 소지하고 있는 사용자가 정보기를 지각하는지의 여부 뿐 아니라 정보기가 상기 사용자에게 어떤 조치를 취하는지(긍정적, 부정적, 무시 등)를 처리할 수 있다. 이러한 사항에 관한 질문들은 개인장치(41)의 디스플레이(47)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입력장치는 신문이나 정기간행물의 어떤 기사가 선호되는지 분석하는 경우에도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입력장치는 휴대폰의 키패드와 유사한 배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사의 고유코드와 선호정도를 나타내는 코드를 입력함으로써 상기 선호도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인접한 곳에 유니트가 있을 경우 해당 기사가 읽혀진 위치(집, 기차안 등)를 확인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개인장치(141)의 다른 예의 블록도이다. 도 4의 개인장치(141)는 손목시계 형태의 케이스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인장치(141)는 실제시간의 타이머(151)를 포함하며, 상기 타이머(151)의 신호가 사용되어진다. 개인장치(141)의 한편에는 신호를 받는 것, 메모리(155)에의 저장 등의 작동을 조절하는 기능이 있으며, 다른 한편에는 디스플레이장치(147)(LCD)에서의 시간의 디스플레이를 조절하는 기능이 있다. 신호와 모든 정보의 수신, 처리, 저장 및 출력은 "system-on-chip"프로세서(164)에 의해 제어되고 부분적으로 수행되어진다. 프로세서(164)는 MCU(Micro-controller unit)(165)와 DSP(digital signal processor)(166)를 연결구성시킨 것이다. DSP(166)는 음향신호를 압축 또는 암호화한다. 또한 "system-on-chip"프로세서(164)는 일시적인 데이터의 저장을 위하여 내부메모리(167)를 포 함한다. 개인장치(141)는 정보기의 송출기로부터의 식별신호인 RF신호를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하는 RF리시버(144)를 포함한다. 신호들은 RF리시버에 의하여 조정(신호의 유형에 따라 복조(demodulated), 해독(decoded), A/D(analogue/digital)변환 등)되고 마이크로와이어 1-와이어 인터페이스를 통해 "system-on-chip"프로세서(164)로 보내진다. 수신되고 조정과정을 마친 식별신호는 개인장치의 메모리(155)(16메가바이트 플래쉬메모리)에 저장되어지며, 실제시간의 타이머(151)와 "system-on-chip"프로세서(164)의 제어 하에 클러킹(clocking)된다. EMIFS(external memory interface slow) 인터페이스가 "system-on-chip"프로세서(164)와 메모리(155)사이와 "system-on-chip"프로세서(164)와 디스플레이장치(147)(LCD)사이에 제공되어 진다. 외부에서 개인장치의 메모리(155)에 접근하기 위해서 인터페이스(168)가 제공된다. 상기 인터페이스(168)는 "system-on-chip"프로세서(164)에 연결되어있고 "system-on-chip"프로세서(164)의 제어를 받는다. 상기 인터페이스(168)는 개인장치(141)와 각각의 개인장치(141)의 사용자를 위한 도킹스테이션 사이의 통신을 가능하거나 또는 개인장치(141)와 컨트롤센터의 사용자를 위한 도킹스테이션 사이의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전자의 경우, 사용자는 도킹스테이션과 컨트롤센터의 자동통신을 통하여 개인장치의 메모리를 주기적으로 판독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은 개인장치(141)에 의한 역송신 없이도 데이터를 가장 최근 것으로 업데이트 할 수 있게 한다. 후자의 경우 컨트롤 센터의 데이터는 개인장치의 메모리로 읽혀지게 되며, 사용자는 이러한 과정에 신경을 쓰지 않아도 된다.
개인장치(141)는 마이크로폰(169)과 이에 해당되는 프리앰프유니트(170)를 갖는다. 프리앰프유니트(170)는 신호를 아날로그 멀티플렉서(multiplexer)/스위치(171)를 통해 14비트 A/D(아날로그/디지털)변환기(ADC)(172)로 보낸다. 연결 가능한 필터(173)가 프리앰프유니트(170)와 아날로그 멀티플렉서(multiplexer)/스위치(171) 사이에 제공된다. 상기 필터(173)는 음향신호로부터 낮은 주파수의 요소를 여과시킨다. 상기 낮은 주파수의 요소는 라디오와 텔레비전 송출기로부터의 억셉턴스를 측정하기 위해 요구된다. 다른 예로, 필터(173)는 무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차후 과정에서 전체 진동스펙트럼이 모두 사용되어진다. 음향신호로부터 생성된 디지털신호 또는 그 일부는 "system-on-chip"프로세서(164)의 제어 하에 개인장치의 메모리(155)에 저장되어진다. 추가적으로, 온도센서(157a)의 아날로그신호는 아날로그 멀티플렉서(multiplexer)/스위치(171)에 연결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172)에 의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고 stem-on-chip"프로세서(164)로 보내져서 처리된다. 음향신호는 일반적으로 짧은 지속시간(예로 1분당 4초를 주기로 3주기)이 요구되기 때문에, 저장된 타임 피리어드신호와 동시처리를 위해서 아날로그 멀티플렉서(multiplexer)/스위치(171)는 이 시간동안 "system-on-chip"프로세서(164)에 의해 마이크로폰(169)으로 MPUIO(microprocessor unit input/output)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되며, 프리앰프유니트(170)는 남아있는 시간동안 온도센서(157a)에 연결되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172)는 두 개의 모듈의 신호를 처리할 수 있게 되며, "system-on-chip"프로세서(164)를 위해 하나의 인터페이스(microwire 1-wire interface)만이 필요하게 된다.
온도센서(157a)는 개인장치(141)가 사용자에게 착용이 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확인의 신뢰도 향상을 위하여, 개인장치(141)에 움직임센서(157b)가 제공된다. 상기 움직임센서(157b)는 기울기에 따라 전기적으로 접촉을 하면서 움직이는 수은공을 포함한다. 기울기에 따른 수은공의 움직임에 따라 생기는 접촉 변화는 개인장치(141)가 움직이고 있음을 의미하며, 이는 상기 개인장치(141)가 사용자에게 착용(혹은 소지된)된 상태임을 알 수 있게 한다. 움직임센서(157b)에 의하여 사용자가 개인장치(141)를 벗을 때의 패턴 등의 확인 등의 보다 상세한 분석이 가능하다. 움직임센서(157b)로부터의 신호는 McBSP(multichannel buffered serial port)를 경유하여 "system-on-chip"프로세서(164)로 보내져 처리된다.
온도센서(157a)는 사용자가 실내에 있는지 실외에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해주어 사용자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입력장치(163)는 예로 복수개의 누름단추들이 개인장치(141)에 배열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입력장치(163)를 통한 입력에 의해 생성된 신호들은 MPUIO인터페이스를 통해 "system-on-chip"프로세서(164)로 보내지게 된다. 개인장치는 또한 신호들을 사용자가 감지할 수 있도록 알람 등의 소리를 내는 버저(174)를 포함한다.
"system-on-chip"프로세서(164)는 생성된 음향신호 및 RF데이터와 온도센서(157a) 및 움직임센서(157b)로부터의 신호와 입력장치(163)로부터의 신호를 각각 독립적으로 동시에 처리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디스플레이장치(147)(LCD)에 디스플레이하고 버저(174)를 울리며 인터페이스(168)를 활성화 시킬 수 있다. 이는 인쇄매체의 이용을 등록하거나 다른 수동조작을 하는 등에 있어서 사용자가 언제나 개인장치(141)의 모든 기능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보장해준다.
도 5는 개인장치(141)를 외부에서 본 평면도이다. 개인장치(141)는 손목시계의 형상을 취하고 있으며, 디스플레이장치(147)(LCD)와 세 개의 측면버튼(190, 191, 192)과 디스플레이장치(147)(LCD)의 위 측과 아래 측에 각각 위치한 두 개의 스크롤버튼(193, 194)(등변삼각형 형태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을 포함한다. 가장 위에 위치한 측면버튼(190)은 "취소" 버튼으로서, 일반적으로 작업의 취소나 되돌아감의 목적으로 사용된다. 가운데의 측면버튼(191)은 "확인"버튼으로 작업을 확인하는 목적으로 사용되며, 아래에 위치한 측면버튼(192)은 "작동"버튼으로 기능을 작동시키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자세한 사용방법은 이하에서 서술하는 바와 같다. 스크롤버튼(193, 194)들은 접촉을 감지하는 필름형태의 버튼으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디스플레이되는 내용을 위 또는 아래로 스크롤시키는 역할을 하며, 이 외에도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 외에도 상기 버튼들로 구성되는 입력장치(163)는 일반적인 손목시계에서의 통상적인 기능(시간 맞추기, 날짜 맞추기, 알람설정, 스톱워치기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로, 측면버튼(190)(취소)과 측면버튼(192)(작동)을 동시에 누를 경우 시간과 날짜를 맞출 수 있는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인쇄매체에 있어서 억셉턴스 레벨을 결정하는 방법이 도 6A-6M에 도시되어 있다. 사용자가 접하는 다양한 단계에서의 디스플레이장치(147)(LCD) 디스플레이가 도 6A-6M에 도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입력장치(163)로 입력한 정보, 즉 측면버튼(190, 191, 192)과 스크롤버튼(193, 194)을 눌러서 입력한 정보가 등록되며, 상 기 정보들로 인쇄매체의 억셉턴스 레벨을 결정하게 된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장치(147)(LCD)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므로 신문이나 간행물이 이미 그 날에 등록되어있는지에 상관없이 사용자에게 정해진 간격(예로, 오전 10:30, 오후 1:30, 밤 9:00)으로 리마인드(remind) 해주어 사용자는 인쇄매체(신문이나 정기간행물을 읽는 것)를 등록할 것을 잊지 않게 된다. 리마인드 방법으로 시각적인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청각적인 방법을 사용할 경우 대화중이나 콘서트에 참석하는 등의 경우 방해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문의 심볼이 물음표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47)(LCD)에 5분간 디스플레이 된다. 사용자는 "작동"버튼인 측면버튼(192)을 눌러 신문을 읽는 것을 등록하거나 다른 측면버튼(190, 191)을 눌러 그 시점에서 신문을 읽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시스템은 일반적인 시간과 날짜를 디스플레이하는 상태로 돌아가게 된다. 이러한 시각적인 효과 외에 무음진동신호로 사용자로 하여금 리마인드 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신문의 심볼과 물음표를 디스플레이장치(147)(LCD)에 5분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대신 작동될 때 까지 계속 디스플레이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시각적인 리마인드 신호 대신 청각적인 방해에 구애받지 않도록 개인장치(141)의 저부에서 무음진동신호를 보내는 방법도 가능하다.
사용자는 어떤 시간에서나 인쇄매체를 사용하는 것을 등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멀 디스플레이 상태에서 가장 밑에 있는 "작동" 측면버튼(192)을 누른다.
두 경우 모두, 읽기를 등록하기 위한 선택은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문 심볼을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확인될 수 있다. 사용자가 잡지를 읽는 것을 등록하고 싶을 경우, "작동"측면버튼(192)을 다시 누르게 되면 잡지 심볼이 디스플레이 되고 잡지를 읽는 것을 등록할 수 있게 된다. 이 외에도 책 등의 기타 카테고리가 등록 가능하다.
신문과 잡지만을 구분할 경우, 도 6D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약 1초 동안만 디스플레이 한 후 자동적으로 도 6E에서와 같이 선택화면으로 넘어가게 된다. 어떠한 경우에서도 사용자는 첫 등록 과정 이후 각각의 읽기에 따라서 "작동"측면버튼(192)을 1회 또는 2회 누를 수 있다.
잡지의 선택화면은 3줄로 구성된 3개의 타이틀을 보여주고 있다. 가운데줄의 타이틀은 "확인"측면버튼(191)을 누름으로써 선택될 수 있다. 가장 위에 위치한 "취소" 측면버튼(190)을 누르면 등록이 취소되며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시간과 날짜가 디스플레이 되는 일반상태로 돌아오게 된다. 사용자가 다른 정기간행물을 선택하고 싶을 경우, 예로, 도 6E의 첫 번째 줄에 도시된 "Newsweek"를 선택하고 싶을 경우, 사용자는 두 스크롤버튼(173, 174)을 이용하여 선택할 수 있다.
개인장치(141)의 공급자들에 의해 선택 가능한 신문 및 정기간행물의 리스트가 제공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모든 종류(100개 이상의 타이틀이 가능하다)를 선택하지 아니할 수 있으며, 선호하는 몇 가지(10개를 넘지 아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만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호하는 몇 가지 리스트들은 언제나 선택리스트의 상단에 위치하고, 그 순서는 고정적인 선택으로 인한 왜곡된 결과를 피하기 위해 랜덤하게(또는 정해진 규칙에 따라) 바뀐다. 선호되는 것들은 사용자가 개인장치(141)를 사용하기 전에 미리 정의 된다. 예로, 차후 분석에 사용되어질 사용자가 작성한 질문서와 기존의 정보(사용하는 언어와 사용자의 거주지)에 기초하여 선호되는 리스트를 미리 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어떤 타이틀을 사거나 정기적으로 구독하는지 여부를 사전에 통지할 수 있다. 선호 리스트가 다 차지 않을 경우, 사용자가 사용기간 중에 직접 입력한 신문 또는 정기간행물이 포함될 수 있다. 선호되는 리스트는 순위를 매기면서 구성될 수 있다. 예로서, 선호되지 않았던 목록이 자주 선택되어지면 기존의 선호목록을 대신하여 선호리스트에 올라갈 수 있다.
사용자가 타이틀을 선택하기 위해 위에 위치한 스크롤버튼(193)을 누르면 도 6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기간행물 "(원예)Gardening"가 최상단에 디스플레이 되고, 정기간행물 "Newsweek"는 가운데 라인에서 디스플레이 된다. 사용자는 가운데의 "확인"측면버튼(191)을 누름으로써 해당 타이틀을 선택할 수 있다.
도 6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게 선택된 신문의 에디션(날짜)을 알려주기 위해 신문 심볼과 "(에디션)Edition" 문구가 잠시 동안 같이 디스플레이 된다. 도 6H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약 1초 후에 선택한 사항이 디스플레이 된다. 정기간행물 리스트와 유사하게, 사용자는 스크롤버튼(193, 194)들과 "확인"측면버튼(191)을 누름으로써 에디션을 선택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의(Actual)", "이전의(previous)", "초기의(Earlier)", "(기타)Other" 등을 선택할 수 있고, 주간이나 월간 단위의 선택도 가능하다.
사용자가 에디션을 선택하면 디스플레이장치(147)(LCD)에 현재시간이 다시 디스플레이 된다. 그러나 도 6I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과 분을 나타내는 숫자의 크기가 동일한 노멀상태에 비해 시간을 나타내는 숫자는 작고 분을 나타내는 숫자는 큰 차이가 있다. 이 경우 초는 디스플레이 되지 않는다. 추가적으로 신문의 심볼이 우측 하단에 도시되며, 선택한 신문 또는 간행물의 타이틀이 도시된 "Newsweek"와 같이 위에 디스플레이 된다. 이 순간부터 읽기에 소요되는 시간이 등록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더 이상 위쪽의 "취소"측면버튼(190)을 누름으로써 등록을 취소할 수 없다. 또한, 이 경우 측면버튼(192) 및 스크롤버튼(193, 194)도 작동하지 아니한다.
읽는 중에 사용자는 읽기를 종료한 시간을 등록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리마인딩(매 30분 또는 매 15분 간격으로) 된다. 이러한 리마인딩 방식으로는 5초 간격으로 "아직 읽고 있는 중? (Still reading?)"이라는 메시지를 개인장치(141)의 디스플레이장치(147)(LCD)에 디스플레이하거나 음향적인 신호를 적용할 수도 있다. 물론, "아직 읽고 있는 중? (Still reading?)"라는 메시지는 예시일 뿐이다. 리마인딩 신호로 연속적으로 복수개의 문장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으며, 영어 외에 다른 언어를 사용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읽기를 마치면(또는 다른 신문이나 간행물을 읽기 시작하면), 도 6K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측면버튼 중 가운데에 위치한 "확인"측면버튼(191)을 누른다. 이는 리마인딩 메시지와는 무관하게 실행될 수 있다. 이로써 등록 절차는 종료되며, 결정된 데이터(읽혀진 타이틀, 에디션, 읽은 시각, 읽는 데에 소요되는 시간)가 개인장치의 메모리에 저장되며 도 6L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를 위해 3초간 디스플레이 된다. 도 6M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인장치는 노멀상태로 돌아오게 되며 초를 포함한 시간과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라 인쇄매체를 사용하는 시간을 등록함에 있어서 모든 단계를 반드시 거쳐야 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시간의 데이터가 필요 없는 경우 등록절차는 도 6H에 해당되는 타이틀 선택 절차를 마침으로써 종료되게 된다. 도 6G, 6H에 해당되는 에디션의 등록 절차도 생략할 수 있다. 리스트에 적은 수의 타이틀이 존재한다면 도 6C, 6D에 해당되는 신문과 간행물을 구분하는 절차도 생략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추가적인 절차들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 따른 추가적인 선택항목의 요구가 있을 수 있으며, 이러한 것으로 신문의 내용상 파트(정치, 스포츠, 문화, 지역뉴스 등)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도 7은 사용자의 위치를 등록할 경우 개인장치(141)의 디스플레이장치(147)(LCD)의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이다. 위치와 시간과 날짜들은 디스플레이되며, 장소를 나타내는 심볼은 LCD의 우측 하단의 빈 공간에 디스플레이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작은집모양이 디스플레이된 것은 현재 사용자가 집에 위치하고 있다는 것을 알려준다. 사용자는 스크롤버튼(193, 194)과 장소코드를 이용해 현재 자신의 위치를 수동으로 입력할 수 있다. 이로써 "집", "출근길", "사무실", "레스토랑" 등의 장소를 입력할 수 있다. 장소코드는 개인장치(141)가 알려진 위치의 정보기로부터 식별신호를 받음으로써 자동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정보기를 사용하거나 매체가 개인장치의 메모리에 등록되고 저장되어지면 현재의 위치가 동시에 저장되게 된다. 이는 등록된 데이터가 평가되는 동안 데이터가 등록된 장소에 대해 보다 자세 한 결론을 내릴 수 있게 해준다. 예로, 라디오는 직장에서 많이 듣는지의 여부나, 신문은 대중교통에서 많이 읽혀지고, 집이나 사무실이나 출근길에서 어떤 라디오 방송이나 신문이 선호되는지의 여부를 알 수 있다. 나아가, 집에서의 "선택적인(optional)" 소비는 "제 3자에 의해 결정된" 소비(예로, 레스토랑에서의 송출에 의해)와 구분되어질 수 있다.
제 8도는 사용자에게 등록된 시간의 끝 다음에 있어서의 개인장치(141)의 LCD(141)의 디스플레이를 도시한 것이다. 개인장치(141)에 저장된 데이터의 송신은 데이터를 개인장치(141)에서 기억장치로부터 읽어내고 평가하는 컨트롤센터로 되돌려 보내기에 의해 수행된다. 그리하여 새로운 평가가 가능해지도록 개인장치가 수일에서 수주에 이르는 특정의 기간 동안에만 해당되는 한사람에게 지급된다. 이 특정기간이 지나면 그 사람은 개인장치(141)를 컨트롤센터에 돌려주도록 요청받는다. 위 기간의 만기는 제 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려주시오"라는 메시지를 띄움으로써 표시된다. 그리하여 그 사람은 이러한 메시지에 의해 놀리지 아니하고 더 이상 데이터 정보를 이용할 기회를 갑자기 잃지 아니하게 된다.
이러한 메시지는 개인장치(141)의 노말모드 디스플레이와 번갈아 표시되거나, 특정의 버튼을 누르는 동안에만 계속적으로 표시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메시지는 특정시간(예를 들면 24시간)이 지난 후 영속적으로 표시된다. 정보기와 미디어의 사용을 감지하는 것은 예정된 기간의 종료 후에 자동적으로 종료될 수 있다.
키패드에 부가하여, 또는 그 대신에, 연결플러그를 설치할 수 있다. 그리하여 전자기방사를 위한 리시버를 이 추가플러그에 연결할 수 있다. 이 리시버는 메 모리(55)에 저장된 데이터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게 할 수 있다.
데이터는 직접 또는 상술한 바와 같은 압축 후에 저장될 수 있다. 압축은 개인장치나 컨트롤센터에서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개인장치를 운반하거나 착용한 사람의 아파트가 "도킹스테이션"이라고 표시될 수 있다. 그러면 이 "도킹스테이션"은 컨트롤센터에 연결될 것이며, 그 연결은 전화통신망에 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분산된 "도킹스테이션"이 표시되면 사실상 매일 "도킹스테이션"에 데이터가 송출되므로 개인장치에서 압축데이터를 풀 수 있다. "도킹시스템"은 필요하면 압축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바코드 인식기를 사용할 수 있고, 이로써 데이터가 결정되고 무선방식으로 송출될 수 있다. 헤드세트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듣는 습관은 일반적인 헤드세트 때문에 외부소리를 들을 수 없어 음향신호를 이용한 방법으로는 평가할 수 없으나 상기 무선방식으로 듣는 습관을 평가할 수 있게 된다. 작은 송출기가 헤드세트에 연결되어지고, 헤드세트 케이블이 위 송출기에 연결된다. 이 송출기의 송출은 매우 짧은 범위를 가진다. 필요한 것들은 개인장치(손목시계)에 송출링크를 유지하게 한다.
입력장치는 개인장치의 어큐뮬레이터를 충전시킬 수 있으며 시간을 세팅할 수 있다.
개인장치를 손목시계형으로 하는 대신에, 예를 들면, 브로치와 같은 장신구로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귀걸이의 형태로 형성시킬 수도 있다. 개인장치가 라디오나 텔레비전만을 또는 정보기의 인식신호와 함께 수신하게 된다면 별도의 마이크로폰을 사용할 수 있으며, 전자기 신호와 비슷한 방법으로 데이터 압축을 실시할 수 있다. 헤드세트에 의해 송신이 들려지는 경우 이를 들을 수 있도록, 전자기 방출에 대응하는 송출이 헤드세트 케이블에 포함될 수 있다.
기가헤르츠나 서브기가헤르츠의 고주파 방사가 전자기적 방사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가시범위 또는 가까운 비가시범위에서는 가시적 방출이 가능하다.
각 정보기는 하나 이상의 송출기를 가진다. 그러나 공간적으로 송신범위를 확장하려 하는 경우 다수개의 송출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다른 인식신호를 발하는 다수의 송출기를 가질 수 있다. 이는 서로 다른 그룹의 사람들을 위한 특별한 개인장치가 발급된 경우 유용하게 한다.
각각의 정보기의 송출기는 매우 높은 진동수의 전자기파를 방사할 수 있는 고주파소자를 가지며, 이는 반송파주파수(carrier frequency)(기가헤르츠, 가시광선진동수)로 방사하기 위함이다. 또한 식별신호를 반송파주파수에 싣기 위해 낮은 진동수 송출능력도 갖춘 저주파소자도 갖추고 있다. 인식신호는 데이터 시퀀스일 수 있으며, 이는 프로그램 될 수 있으나 비교적 긴 기간 동안 고정된다. 그러나 계속적으로 변하는 데이터 시퀀스일 수 있다.

Claims (19)

  1. 소기의 데이터를 가진 전자기 식별 신호(5a-c)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기(1a-c)에 의해 미리 정하여진 거리(17a-c)의 범위를 가지는 송출 범위로 방출되고, 즉석의 데이터가 개인에 의해 이동 또는 착용되는 개인 장치(17a-d; 41, 141)에 의해 수신되고 저장되며, 각각의 정보기(1a-c)의 송출범위와 개인 장치(17a-d, 41; 141)의 감도가 서로 조화되어 정보기(1a-c)가 개인에 의해 이동 또는 착용되는 개인장치(7a-d; 41; 141)로부터 사람의 주의나 지각의 통상적 범위(25) 밖에 위치하게 되면 데이터의 수신이 이루어지지 아니하게 하고,
    각 개인장치(7a-d; 41; 141)에는 타이머(40; 151)가 설치되어, 메모리(55; 155)의 데이터 량을 감소시키는 작용, 순차적인 시간의 흐름에 따라 데이터를 할당(chronological assignment)시키는 작용, 개인장치(7a-d; 41; 141)를 착용하거나 운반하는 사람이 정보기(1a-c)의 송출범위(16)에 머무르는 빈도, 기간을 결정하는 작용중 하나이상의 작용을 수행하게 하며,
    상기 타이머(40; 151)는, 정보기 신호에 의해 시간적으로 변환됨으로써, 데이터 컨텐츠를 수신하고 저장하기위한 클럭 주파수(clock frequency)를 개인장치(7a-d; 41)를 착용하거나 운반하는 사람(6a-d; 24)이 각 정보기(1a-c)의 송출범위(16) 내에서의 통상적인 머무르는 시간과 맞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기의 억셉트 레벨을 결정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개인 장치(41, 141)는 입력장치(63; 163, 190-194)에 의해 메모리(55; 155)에 정보가 저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기의 억셉트 레벨을 결정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입력장치(63; 163, 190-194)에 의한 저장이 정보기(1a-c)들 중 한 개 정보기로부터 수신된 식별신호(5a-c)의 데이터에 따라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기의 억셉트 레벨을 결정하는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입력장치(63; 163, 190-194)에 의한 저장이, 정보기(1a-c) 중 한 개 정보기의 전자기 식별 신호(5a-c)의 데이터 수신으로부터 독립적이며, 데이터의 수신과 동시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기의 억셉트 레벨을 결정하는 방법.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하나의 항에 있어서, 아래의 사항 중 하나 이상이 입력장치(63; 163, 190-194)에 의해 개인 장치(41; 141)에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기의 억셉트 레벨을 결정하는 방법.
    a) 매체(medium)의 사용 위치;
    b) 간행물의 사용 시각과 기간 중 하나 이상의 정보;
    c) 미디어 또는 정보기 중 하나의 사용 성질의(qualitative) 지시.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하나의 항에 있어서, 전자기적 방사로 송출된 식별신호의 데이터에 부가하여, 식별신호의 데이터 수신과 독립적으로 주변 정보를 받아서 저장하며, 주변정보의 수신과 저장이 식별 신호의 데이터의 수신과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기의 억셉트 레벨을 결정하는 방법.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하나의 항에 있어서,
    a) 공간적으로 모니터되는 범위로부터의 다수개 정보기의 신호 및 또는 타임 피리어드 동안의 주변정보가 타임피리어드 정보기 신호로 컨트롤 센터에 저장되고;
    b) 각 메모리(55; 155)에 저장된 식별 신호 또는 주변 정보인 데이터가 컨트롤 센터(27)에 늦게 송출되며;
    c) 위 데이터가 위 메모리에 저장된 타임 피리어드(time period) 신호와 일치되는지를 위해 읽혀지고, 일치되면 절차가 수행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기의 억셉트 레벨을 결정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아래의 사항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가, 저장된 주변 정보와 일치되는 것으로부터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기의 억셉트 레벨을 결정하는 방법.
    a) 매체의 사용 장소;
    b) 매체의 사용 시간;
    c) 매체의 사용 기간.
  9. 제2 내지 4항 중 하나의 항에 있어서, 아래의 사항 중 적어도 두개의 정보가, 동일한 타임 피리어드에 수신되고, 장소와 시간과 사용기간과 정보기나 매체의 성질적(qualitative) 사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동시에 결정하기 위하여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기의 억셉트 레벨을 결정하는 방법.
    a) 식별 신호의 테이터
    b) 입력장치(63)로부터의 정보
    c) 주변 정보
  10.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개인 장치(7a-d; 41; 141)가 예정된 간격으로 전자기적 개시 신호를 사람의 주의나 지각의 통상적 범위(25)에 대응하는 범위로 방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기의 억셉트 레벨을 결정하는 방법.
  11.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정보기(1a-c)나 개인 장치(7a-d; 41; 141)가 식별신호를 발하거나 받기 위한 개시신호에 의하여 개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기의 억셉트 레벨을 결정하는 방법.
  12.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메모리(55; 155)에 저장될 데이터는
    날짜나 시각을 포함하는 시간정보와 함께, 초 또는 초 이하의 시간 동안 분이나 분 이하의 시간 간격으로 반복해서 일어나는 시간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기의 억셉트 레벨을 결정하는 방법.
  13. 정보기(1a-c)의 정보 송수신 레벨을 결정하는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것으로,
    a) 정보기들이 서로 장소적으로 이격된 것에 있어서, 송출장치(3a-c; 15)는, 각각의 정보기(1a-c)에 설치되고, 그에 의해 당해 정보기(1a-c)를 표시하는 전자기적 식별신호(5a-c)가 미리 정해진 범위(17a-c)로 송출되며,
    b) 개인(6a-c; 24)에 의해 이동되거나 착용되는 다수개의 개인 장치(7a-d; 41; 141)와, 신호를 받기 위한 리시버(4a-d; 44; 144)를 포함하며, 전자기적 식별신호(5a-c)인 출력신호 데이터를 정해진 시간동안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55; 155)를 가지고,
    c) 각 송출장치(3a-c; 15)의 송출범위(17a-c)가 송출 범위(9a-c; 16)를 한정하며, 송출 범위(9a-c; 16)와 리시버(4a-d; 19a, b; 44; 144)의 수신 감도는 정보기(1a-c)가 개인장치(7a-d; 41; 141)와 관련하여 사람의 주의나 지각의 범위(25) 밖에 위치하면 데이터의 수신이 불가능하도록 설정되고,
    d) 각 개인장치(41; 141)는 타이머(40; 151)를 가져서, 메모리(55; 155)의 데이터 량을 감소시키는 작용, 순차적인 시간의 흐름에 따라 데이터를 할당(chronological assignment)시키며는 작용, 개인장치(7a-d; 41; 141)를 착용하거나 운반하는 사람이 정보기(1a-c)의 송출범위(16)에 머무르는 빈도, 기간을 결정하는 작용중 하나 이상의 작용을 수행하게 하며,
    e) 상기 타이머(40; 151)는, 정보기 신호에 의해 시간적으로 변환됨으로써, 데이터 컨텐츠를 수신하고 저장하기위한 클럭 주파수(clock frequency)를 개인장치(7a-d; 41)를 착용하거나 운반하는 사람(6a-d; 24)이 각 정보기(1a-c)의 송출범위(16) 내에서의 통상적인 머무르는 시간과 맞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기의 억셉트 레벨을 결정하기 위한 개인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개인장치(7a-d; 41)는 손목시계형으로 되고,
    a) 전자기 방출(5a-c)을 수신하는 하나 이상의 리시버(44; 144)와;
    b) 각 리시버(44; 144)에 의해 수신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억장치(55; 155)와
    c) 각 개인장치(41; 141)는 타이머(40; 151)를 가져서, 메모리(55; 155)의 데이터 량을 감소시키는 작용, 순차적인 시간의 흐름에 따라 데이터를 할당(chronological assignment)시키는 작용, 개인장치(7a-d; 41; 141)를 착용하거나 운반하는 사람이 정보기(1a-c)의 송출범위(16)에 머무르는 빈도, 기간을 결정하는 작용 중 하나 이상의 작용을 수행하게 하며,
    d) 저장된 데이터를 읽어내는 인터페이스(38)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기의 억셉트 레벨을 결정하기 위한 개인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기억장치(55; 155)와 동기되어 받은 데이터를 동시적으로 저장하는 동시성의 타이머(52, 151)와, 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기의 억셉트 레벨을 결정하기 위한 개인 장치(1a-c; 41; 141).
  16. 제 15항에 있어서, 개인 장치(1a-c; 41; 141)는 타이머(52, 151)에 연결된 타임 디스플레이장치(45; 147)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기의 억셉트 레벨을 결정하기 위한 개인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온도센서(157a)와 움직임센서(157b)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사람에 의해 착용되거나 운반되지 아니하는 시간들을 측정하는 휴대용 송출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기의 억셉트 레벨을 결정하기 위한 개인장치.
  18. 제14항에 있어서, 기억장치(55; 155)에 추가적인 정보를 저장시키기 위한 입력장치(63; 163; 190-193)를 포함하고, 상기 기억장치(55; 155)는 전자기적 식별 신호로 수신된 데이터를 동시적으로 또는 독립적으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기의 억셉트 레벨을 결정하기 위한 개인장치.
  19. 제 18항에 있어서, 개인장치(41; 141)를 착용하거나 운반하는 사람에 대한 지시나 개인 장치(41; 141)의 현재 상태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디스플레이 장치(47; 147)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기의 억셉트 레벨을 결정하기 위한 개인장치.
KR1020067004327A 2003-09-02 2004-09-02 정보기의 억셉트 레벨을 결정하는 방법과 구조 및 장치 KR1011564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3405636.6 2003-09-02
EP03405636A EP1513084A1 (de) 2003-09-02 2003-09-02 Verfahren zur zeitlichen Akzeptanz von Einrichtungen, eine hierzu verwendbare Anordnung sowie Gerätschaften
PCT/CH2004/000554 WO2005022421A1 (de) 2003-09-02 2004-09-02 Verfahren zur akzeptanz von einrichtungen, eine hierzu verwendbare anordnung sowie gerätschaft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8279A KR20070028279A (ko) 2007-03-12
KR101156494B1 true KR101156494B1 (ko) 2012-07-05

Family

ID=34130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4327A KR101156494B1 (ko) 2003-09-02 2004-09-02 정보기의 억셉트 레벨을 결정하는 방법과 구조 및 장치

Country Status (22)

Country Link
US (1) US7826385B2 (ko)
EP (2) EP1513084A1 (ko)
JP (1) JP4571135B2 (ko)
KR (1) KR101156494B1 (ko)
CN (1) CN1846222B (ko)
AT (1) ATE402455T1 (ko)
AU (1) AU2004269444B2 (ko)
BR (1) BRPI0414060A (ko)
CA (1) CA2537159C (ko)
CY (1) CY1110410T1 (ko)
DE (1) DE502004007690D1 (ko)
DK (1) DK1661074T3 (ko)
ES (1) ES2311163T3 (ko)
HR (1) HRP20080426T3 (ko)
IL (1) IL173928A (ko)
IS (1) IS2908B (ko)
MA (1) MA28085A1 (ko)
NO (1) NO338207B1 (ko)
RU (1) RU2381556C2 (ko)
SG (1) SG131111A1 (ko)
WO (1) WO2005022421A1 (ko)
ZA (1) ZA20060175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48659A1 (en) * 2005-10-27 2007-05-0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ally managing badge access
US7742952B2 (en) 2008-03-21 2010-06-22 Sunrise R&D Holdings, Llc Systems and methods of acquiring actual real-time shopper behavior data approximate to a moment of decision by a shopper
US9773268B2 (en) 2008-06-16 2017-09-26 Sunrise R&D Holdings, Llc System of acquiring shopper insights and influencing shopper purchase decisions
EP2190136A1 (en) 2008-11-25 2010-05-26 GfK Telecontrol AG Method for monitoring the viewing of video content
EP2498113B1 (de) 2011-03-10 2013-03-06 Sick AG Fokusverstellvorrichtung für einen Codeleser
US20130005359A1 (en) * 2011-06-29 2013-01-03 ITumba Advertising Method and Apparatus in a Communications System
JP5795732B2 (ja) 2011-12-19 2015-10-14 株式会社デンソー 無線通信システム
US10552009B2 (en) * 2014-09-02 2020-02-04 Apple Inc. Stopwatch and timer user interfaces
WO2016141393A1 (en) * 2015-03-01 2016-09-09 Andrey Abramov A hybrid smart watch with multiple sources of time, multiple power sources, and multiple time indicator mechanisms
US10356692B2 (en) * 2016-07-20 2019-07-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Beacon placement and distribution
EP3315977A1 (en) * 2016-10-31 2018-05-02 Rohde & Schwarz GmbH & Co. KG Measuring device for measuring signals and data handling method
US10904029B2 (en) 2019-05-31 2021-01-26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managing controllable external device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73952A (en) 1987-09-21 1990-11-27 Information Resources, Inc. Shopping cart display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23929A (en) 1988-09-15 1991-06-11 Npd Research, Inc. Audio frequency based market survey method
DE69017107T2 (de) * 1989-07-11 1995-10-12 Lee S Weinblat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Überwachung der Werbewirksamkeit.
EP0598682B1 (de) * 1992-11-19 2003-07-09 Liechti Ag Verfahren zur Ermittlung von Radiohörerverhalten und Vorrichtung dazu
US6252522B1 (en) 1998-05-28 2001-06-26 Solana Technology Development Corporation Billboard consumption measurement system
EP1094417A3 (en) * 1999-09-17 2002-11-27 Dimitrios George Papaioannou Device for location-dependent automatic delivery of information with integrated custom print-on-demand
EP1085440A3 (en) * 1999-09-20 2003-11-26 Ncr International Inc. Information gathering and personalisation techniques
US6477117B1 (en) * 2000-06-30 2002-11-0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larm interface for a smart watch
JP4728492B2 (ja) * 2001-03-07 2011-07-20 シャープ株式会社 Rfid通信機能付携帯情報端末の使用方法
CN2496193Y (zh) * 2001-08-20 2002-06-19 西安天伟电子系统工程有限公司 智能电子导游装置
US7592908B2 (en) * 2003-08-13 2009-09-22 Arbitron, Inc. Universal display exposure monitor using personal locator ser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73952A (en) 1987-09-21 1990-11-27 Information Resources, Inc. Shopping cart display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06110548A (ru) 2007-10-27
HRP20080426T3 (en) 2008-12-31
MA28085A1 (fr) 2006-08-01
RU2381556C2 (ru) 2010-02-10
AU2004269444B2 (en) 2010-02-04
CN1846222A (zh) 2006-10-11
EP1661074B1 (de) 2008-07-23
IS8393A (is) 2006-03-31
DE502004007690D1 (de) 2008-09-04
KR20070028279A (ko) 2007-03-12
US7826385B2 (en) 2010-11-02
ZA200601758B (en) 2007-05-30
NO20061477L (no) 2006-03-31
IL173928A (en) 2010-12-30
CN1846222B (zh) 2011-05-25
ATE402455T1 (de) 2008-08-15
IS2908B (is) 2014-11-15
CA2537159A1 (en) 2005-03-10
EP1661074A1 (de) 2006-05-31
SG131111A1 (en) 2007-04-26
JP4571135B2 (ja) 2010-10-27
AU2004269444A1 (en) 2005-03-10
WO2005022421A1 (de) 2005-03-10
DK1661074T3 (da) 2008-11-17
CY1110410T1 (el) 2015-04-29
EP1513084A1 (de) 2005-03-09
NO338207B1 (no) 2016-08-08
ES2311163T3 (es) 2009-02-01
JP2007504724A (ja) 2007-03-01
CA2537159C (en) 2014-11-18
IL173928A0 (en) 2006-07-05
BRPI0414060A (pt) 2006-10-24
US20070165553A1 (en) 2007-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63143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gathering market research data within commercial establishments
CA2530420C (en) Methods and systems for gathering market research data
US8208014B2 (en) Electronic shopping cart display system
US7385479B1 (en) Service personnel communication system
NO338207B1 (no) Fremgangsmåte for godkjennelse av innretninger, og et arrangement og personapparater som kan anvendes for dette formål
WO2005103979A2 (en) Gathering data concerning publication usage and exposure to products and/or presence in commercial establishment
JP2007041642A (ja) 情報配信システム、情報配信方法及び情報配信装置
US20150073879A1 (en) Near field communications based referendum system
US20150269802A1 (en) Near field communications based referendum system
JP2006240785A (ja) 情報提供サービスシステム、情報提供サービス方法および情報提供サービスプログラム
KR20140109276A (ko) 감성 조명 및 사운드 연동 제어가 가능한 스마트 식당 테이블 시스템
JP2007334740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方法
JPS63135094A (ja) テレビ視聴状況測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