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5323B1 - 옹벽 보강 조립체 - Google Patents

옹벽 보강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5323B1
KR101155323B1 KR1020090114031A KR20090114031A KR101155323B1 KR 101155323 B1 KR101155323 B1 KR 101155323B1 KR 1020090114031 A KR1020090114031 A KR 1020090114031A KR 20090114031 A KR20090114031 A KR 20090114031A KR 101155323 B1 KR101155323 B1 KR 1011553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ing wall
reinforcing plate
bracket
support bracket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4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7571A (ko
Inventor
변경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영
Priority to KR10200901140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5323B1/ko
Publication of KR201100575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75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53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53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33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34Concrete or concrete-like piles cast in position ; Apparatus for making sam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18Cement used as binder
    • E02D2300/002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옹벽 보강 조립체는, 옹벽의 외측면에 장착되는 지지브라켓; 상호 평행하게 이격 배열되어 상기 지지브라켓에 안착되는 한 쌍의 안착봉과, 상기 한 쌍의 안착봉을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구비하는 안착브라켓; 수직으로 세워져 상기 옹벽의 외측면과 이격되도록 위치되는 보강판재; 상기 옹벽과 마주보는 상기 보강판재의 외측면에 장착되되, 상기 한 쌍의 안착봉 사이로 하향 삽입되도록 하향 연장되는 삽입단을 구비하는 거치브라켓; 상기 보강판재와 옹벽 사이의 공간으로 타설되는 콘크리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옹벽 보강 조립체를 이용하면, 옹벽에 용이하게 장착 및 탈거될 수 있으므로 보강판재의 시공 및 교체가 용이해지고, 단순히 콘크리트에 의해 옹벽에 접착되는 것이 아니라 별도의 브라켓에 의해 체결되므로 옹벽과 보강판재 간의 결합력이 향상되며, 옹벽과의 공극이 발생되지 아니하므로 악취발생 및 결빙에 의한 파손이 방지된다는 장점이 있다.
옹벽, 보강, 브라켓, 콘크리트, 판재, 장착

Description

옹벽 보강 조립체{Reinforcing assembly for breast wall}
본 발명은 하천 등에 사용되는 옹벽 보강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옹벽에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고, 옹벽과의 결합력이 향상되며, 옹벽과의 공극이 발생되지 아니하도록 구성되는 옹벽 보강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하천이나 수처리장 등에는 물의 범람을 막기 위한 옹벽이 설치되는데, 현재 상용화되어 있는 옹벽은 단순 벽체 형상으로 형성되는바,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물과 접촉되는 면이 부식 및 산화되어 외관이 좋지 아니하게 된다. 이때, 옹벽의 외관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옹벽 외면을 보수하거나 옹벽 전체를 교체해야 하는데, 옹벽의 외면을 보수하거나 옹벽 전체를 교체하는 데에는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모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옹벽의 외면에 일정한 규격의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의 보강판재를 옹벽의 외면에 대해 가로 및 세로로 조립하여 시공하고, 상기 보강판재가 오염 및 부식되면 보강판재를 교체하는 방안이 제안된 바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보강판재를 옹벽 외면에 대해 가로 및 세로로 시공할 때에는, 이웃하는 두 보강판재 측면에 상호 대향하게 돌기와 홈을 각각 형성하여 돌기부분을 옹벽 외면에 고정되는 못과 같은 고정부재 등으로 고정한 후 보강판재의 홈에 다른 판재의 돌기를 끼워 조립하여 그 결합상태가 수평이 되도록 하는 방법이 있다.
이 외에도, 보강판재의 배면에 각각 시멘트 모르타르를 도포하여 부착함과 아울러 보강판재들과의 사이에 일정간격의 메지를 형성한 후 상기 메지에 접착제 또는 시멘트 몰탈 등을 충진하여 마감처리하는 방법도 있다.
그러나, 못과 같은 별도의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보강판재를 옹벽 외면에 고정하는 시공방법은 시공 시간이 매우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보강판재와 옹벽 사이에 간극이 발생되므로 보강판재와 옹벽 사이로 이물질이 유입되어 악취가 발생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동절기와 같이 온도가 매우 낮을 때 보강판재와 옹벽 사이로 유입된 물이 어는 경우, 보강판재가 파손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시멘트 모르타르를 이용하여 보강판재를 옹벽 외면에 부착시키는 시공방법은, 보강판재의 자중 또는 경미한 외력에 의해서 보강판재가 탈영되거나, 또는 작업자의 부주의 또는 동절기에 얼었던 시멘트 몰탈이 하절기에 해빙 되면서 건물 외벽과 시멘트 몰탈 사이가 벌어져 결국, 보강판재가 옹벽에 대해 탈영되어 안전사고가 유발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옹벽에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고, 옹벽과의 결합력이 향상되며, 옹벽과의 공극이 발생되지 아니하도록 구성되는 옹벽 보강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옹벽 보강 조립체는,
옹벽의 외측면에 장착되는 지지브라켓;
상호 평행하게 이격 배열되어 상기 지지브라켓에 안착되는 한 쌍의 안착봉과, 상기 한 쌍의 안착봉을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구비하는 안착브라켓;
수직으로 세워져 상기 옹벽의 외측면과 이격되도록 위치되는 보강판재;
상기 옹벽과 마주보는 상기 보강판재의 외측면에 장착되되, 상기 한 쌍의 안착봉 사이로 하향 삽입되도록 하향 연장되는 삽입단을 구비하는 거치브라켓;
상기 보강판재와 옹벽 사이의 공간으로 타설되는 콘크리트;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지브라켓은, 일단이 상기 옹벽의 외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안착봉이 안착되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의 타단으로부터 상향 연장되는 수직부를 구비한다.
상기 옹벽의 외측면에는 수평방향으로 깊이를 갖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에는 앵커가 삽입 장착되며,
상기 수평부의 일단은 상기 앵커에 삽입 결합된다.
상기 안착브라켓은, 상기 옹벽의 일측면과 상기 수직부 사이에 끼워맞춤 방식으로 삽입된다.
상기 삽입단은, 상기 한 쌍의 안착봉 사이에 끼워맞춤 방식으로 삽입된다.
상기 지지브라켓은 수평방향으로 둘 이상 배열되어 하나의 지지브라켓 수평열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상기 지지브라켓 수평열은 상하 방향으로 둘 이상 구비되고,
상기 안착브라켓은 각각의 지지브라켓 수평열에 안착되며,
상기 보강판재에는, 서로 다른 안착브라켓에 삽입되는 둘 이상의 거치브라켓이 구비된다.
본 발명에 의한 옹벽 보강 조립체를 이용하면, 옹벽에 용이하게 장착 및 탈 거될 수 있으므로 보강판재의 시공 및 교체가 용이해지고, 단순히 콘크리트에 의해 옹벽에 접착되는 것이 아니라 별도의 브라켓에 의해 체결되므로 옹벽과 보강판재 간의 결합력이 향상되며, 옹벽과의 공극이 발생되지 아니하므로 악취발생 및 결빙에 의한 파손이 방지된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옹벽 보강 조립체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옹벽 보강 조립체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옹벽 보강 조립체를 시공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옹벽 보강 조립체는 옹벽(100)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옹벽(100)의 부식 및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옹벽(100)의 외측면에 장착되는 지지브라켓(200)과, 상기 지지브라켓(200)에 안착되는 안착브라켓(300)과, 수직으로 세워져 상기 옹벽(100)의 외측면과 이격되도록 위치되는 보강판재(400)와, 상기 옹벽(100)과 마주보는 상기 보강판재(400)의 외측면에 장착되되 상기 안착브라켓(300)으로 하향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하향 연장되는 삽입단(510)을 구비하는 거치브라켓(5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안착브라켓(300)은 상기 삽입단(510)이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상호 평행하게 이격 배열되어 상기 지지브라켓(200)에 안착되는 한 쌍의 안착봉(310)과, 상기 한 쌍의 안착봉(310)을 연결하 는 연결부재(32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옹벽 보강 조립체는 옹벽(100)의 외측면을 보강판재(400)로 덮으므로, 하천 또는 수처리장치를 지나는 물이 옹벽(100)에 접촉되지 아니하고 보강판재(400)에 접촉되는바, 옹벽(100)이 오염되거나 파손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옹벽 보강 조립체가 장착된 상태로 장시간 경과하여 보강판재(400)가 오염 또는 파손되는 경우, 옹벽(100)을 보수할 필요 없이 보강판재(400)만을 새로운 것으로 교체하면 되므로, 유지 및 보수 비용이 매우 절감된다는 이점이 있다.
이때, 상기 보강판재(400)는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도록 인조석으로 적용될 수 있고, 부식성 및 내화학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합성수지로 제작될 수 있다. 즉, 상기 보강판재(400)는 용도에 따라 다양한 재료 및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판재(400)를 모르타르 등의 접착제로 단순히 옹벽(100)에 접착시킬 수도 있으나, 보강판재(400)가 옹벽(100)에 단순히 접착되는 구조로 결합되면 보강판재(400)의 자중이나 외력에 의해 옹벽(100)으로부터 쉽게 분리될 우려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옹벽 보강 조립체와 같이 옹벽(100)에 지지브라켓(200) 및 안착브라켓(300)을 장착시키고, 보강판재(400)에 결합된 거치브라켓(500)을 상기 안착브라켓(300)에 장착시키면, 지지브라켓(200)과 안착브라 켓(300)과 거치브라켓(500)이 파손되지 아니하는 한 상기 보강판재(400)는 옹벽(100)으로부터 분리되지 아니하게 된다는 이점이 있다. 이때, 상기 지지브라켓(200)과 안착브라켓(300)과 거치브라켓(500)은 높은 강성을 가질 수 있도록, 탄소강 또는 합금강으로 제작되어야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지지브라켓(200)이 단순히 옹벽(100)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면, 상기 지지브라켓(200) 상에 안착된 안착브라켓(300)이 상기 지지브라켓(200)으로부터 미끄러져 낙하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브라켓(200)은, 일단이 상기 옹벽(100)의 외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안착봉(310)이 안착되는 수평부(210)와, 상기 수평부(210)의 타단으로부터 상향 연장되는 수직부(220)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옹벽(100)의 일측면과 수직부(220) 사이의 거리보다 안착브라켓(300)의 폭이 과도하게 작게 설계되면, 상기 안착브라켓(300)은 수평부(210)에 안착되더라도 상기 수평부(210)의 길이방향으로 흔들리게 되고, 상기 안착브라켓(300)에 삽입 장착되는 거치브라켓(500) 또한 흔들리게 되므로, 보강판재(400) 역시 안정적으로 고정되지 못하고 흔들리게 된다. 따라서 상기 안착브라켓(300)은, 상기 옹벽(100)의 일측면과 상기 수직부(220) 사이에 끼워맞춤 방식으로 삽입될 수 있는 크기 및 형상으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옹벽 보강 조립체의 시공순 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옹벽 보강 조립체를 시공하고자 하는 경우, 먼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옹벽(100)의 외측면(본 실시예에서는 좌측 외벽면)에는 수평방향으로 깊이를 갖는 홈(110)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홈(110)의 깊이 및 직경은 지지브라켓(200)의 수평부(210) 크기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상기 옹벽(100)의 외측면에 형성된 홈(110)에 지지브라켓(200)의 수평부(210)가 직접 삽입되면, 상기 지지브라켓(200)에 보강판재(400)의 하중이 인가되었을 때 상기 홈(110)의 내주면이 파손되어 상기 지지브라켓(200)이 홈(110)으로부터 이탈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홈(110)에는 앵커(120)가 삽입 장착되며, 상기 수평부(210)의 일단은 상기 앵커(120)에 삽입 결합된다. 이와 같이 구조물에 장착되어 체결력을 향상시키는 앵커(120)는 토목 및 건축분야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는바, 앵커(120)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옹벽(100)에 홈(110) 형성 및 앵커(120) 장착이 완료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브라켓(200)의 수평부(210) 일단을 앵커(120) 내부로 삽입시킴으로써 지지브라켓(200)을 옹벽(100)에 고정시키고, 상기 지지브라켓(200)의 수평부(210) 상에 안착브라켓(300)(더 명확하게는 한 쌍의 안착봉(310))을 안착시킨다. 이때 상기 안착브라켓(300)은, 안착브라켓(300)에 삽입 결합되는 거치브라켓(500)과 이에 결합된 보강판재(400)가 흔들리지 아니하도록 상기 지지브라켓(200)에 고정되어야 하는데,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지지브라켓(200)의 수직부(220)와 옹벽(100) 사이에 끼워맞춤 방식으로 삽입됨으로써 지지브라켓(200)에 고정될 수도 있고, 별도의 접착제나 체결수단에 의해 지지브라켓(200)에 고정될 수도 있다.
지지브라켓(200)으로의 안착브라켓(300)의 결합이 완료되면,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브라켓(500) 중 하향으로 연장된 삽입단(510)을 한 쌍의 안착봉(310) 사이로 삽입시킴으로써, 보강판재(400)를 옹벽(100)에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삽입단(510)은, 상기 한 쌍의 안착봉(310) 사이에 삽입된 이후 흔들리지 아니하도록 상기 한 쌍의 안착봉(310) 사이에 끼워맞춤 방식으로 삽입됨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상기 삽입단(510)과 안착봉(310)이 상호 접촉되는 부위에 별도의 접착제가 도포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보강판재(400)에 거치브라켓(500)이 하나만 구비되면, 거치브라켓(500) 중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지점을 중심으로 거치브라켓(500) 및 이에 결합된 보강판재(400)가 회동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 거치브라켓(5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둘 이상 배열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배열된 둘 이상의 거치브라켓(500)이 모두 장착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브라켓(200)은 수평방향으로 둘 이상 배열되어 하나의 지지브라켓(200) 수평열을 이루도록 구성되고, 상기 안착봉(310)은 수평방향으로 배열된 둘 이상의 지지브라켓(200) 상에 안착된다. 즉, 상기 한 쌍의 안착봉(310)이 길이방향이 수평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되면, 보강판재(400)에 여러 개의 거치브라 켓(500)이 수평방향으로 배열되더라도 각 거치브라켓(500)은 모두 하나의 안착브라켓(300)에 장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거치브라켓(500) 및 이에 결합된 보강판재(400)의 회동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거치브라켓(500) 및 이에 결합된 보강판재(400)가 안착봉(310)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방향의 어느 한 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거치브라켓(500)은 하나의 보강판재(400)에 수직방향으로 둘 이상 배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직방향으로 배열된 둘 이상의 거치브라켓(500)이 모두 옹벽(100)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브라켓(200) 수평열은 상하 방향으로 둘 이상 구비되고, 상기 안착브라켓(300)은 각각의 지지브라켓(200) 수평열에 안착되며, 수직방향으로 배열된 둘 이상의 거치브라켓(500)은 서로 다른 안착브라켓(300)에 각각 삽입 결합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보강판재(400)가 상기 언급한 각 브라켓(지지브라켓(200), 안착브라켓(300), 거치브라켓(500))에 의해서만 옹벽(100)에 결합되면, 보강판재(400)와 옹벽(100) 외측면 사이에는 이격 공간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보강판재(400)와 옹벽(100) 외측면 사이에는 이격 공간이 형성되면, 상기 이격 공간으로 이물질이 유입되어 악취가 발생될 수도 있고, 상기 이격 공간으로 물이 유입되어 동절기와 같이 기온이 낮아질 때 결빙됨으로써 각 브라켓이 파손되고, 이에 따라 보강판 재(400)가 옹벽(100)으로부터 탈거된다는 심각한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보강판재(400)와 옹벽(100) 사이의 이격공간으로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C)가 타설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보강판재(400)와 옹벽(100) 사이의 이격공간으로 타설되는 콘크리트(C)는, 상기 이격공간을 메우는 역할뿐만 아니라, 각 브라켓의 흔들림을 방지하고, 보강판재(400)를 옹벽(100)에 접착시키는 역할까지 수행하는바, 상기 보강판재(400)는 더욱 견고하게 옹벽(100)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옹벽 보강 조립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옹벽 보강 조립체를 시공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옹벽 110 : 홈
120 : 앵커 200 : 지지브라켓
210 : 수평부 220 : 수직부
300 : 안착브라켓 310 : 안착봉
320 : 연결부재 400 : 보강판재
500 : 거치브라켓 510 : 삽입단

Claims (7)

  1. 옹벽(100)의 외측면에 장착되는 지지브라켓(200);
    상호 평행하게 이격 배열되어 상기 지지브라켓(200)에 안착되는 한 쌍의 안착봉(310)과, 상기 한 쌍의 안착봉(310)을 연결하는 연결부재(320)를 구비하는 안착브라켓(300);
    수직으로 세워져 상기 옹벽(100)의 외측면과 이격되도록 위치되는 보강판재(400);
    상기 옹벽(100)과 마주보는 상기 보강판재(400)의 외측면에 장착되되, 상기 한 쌍의 안착봉(310) 사이로 하향 삽입되도록 하향 연장되는 삽입단(510)을 구비하는 거치브라켓(500);
    상기 보강판재(400)와 옹벽(100) 사이의 공간으로 타설되는 콘크리트(C);
    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단(510)은, 상기 한 쌍의 안착봉(310) 사이에 끼워맞춤 방식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보강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브라켓(200)은, 일단이 상기 옹벽(100)의 외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안착봉(310)이 안착되는 수평부(210)와, 상기 수평부(210)의 타단으로부터 상향 연장되는 수직부(22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보강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옹벽(100)의 외측면에는 수평방향으로 깊이를 갖는 홈(110)이 형성되고,
    상기 홈(110)에는 앵커(120)가 삽입 장착되며,
    상기 수평부(210)의 일단은 상기 앵커(120)에 삽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보강 조립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브라켓(300)은, 상기 옹벽(100)의 일측면과 상기 수직부(220) 사이에 끼워맞춤 방식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보강 조립체.
  5. 삭제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브라켓(200)은 수평방향으로 둘 이상 배열되어 하나의 지지브라켓(200) 수평열을 이루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보강 조립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브라켓(200) 수평열은 상하 방향으로 둘 이상 구비되고,
    상기 안착브라켓(300)은 각각의 지지브라켓(200) 수평열에 안착되며,
    상기 보강판재(400)에는, 서로 다른 안착브라켓(300)에 삽입되는 둘 이상의 거치브라켓(50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보강 조립체.
KR1020090114031A 2009-11-24 2009-11-24 옹벽 보강 조립체 KR1011553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4031A KR101155323B1 (ko) 2009-11-24 2009-11-24 옹벽 보강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4031A KR101155323B1 (ko) 2009-11-24 2009-11-24 옹벽 보강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7571A KR20110057571A (ko) 2011-06-01
KR101155323B1 true KR101155323B1 (ko) 2012-06-19

Family

ID=44393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4031A KR101155323B1 (ko) 2009-11-24 2009-11-24 옹벽 보강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53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7570B1 (ko) * 2020-07-30 2021-05-03 (주)국성건설엔지니어링 인공암을 이용한 인공성벽 시공방법 및 인공성벽 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7956A (ja) * 1991-07-12 1993-01-26 Akagi Shokai:Kk コンクリート型枠及びこれを用いた建物用基礎施工方法
JPH10280442A (ja) * 1997-04-10 1998-10-20 Keicon Kk 結合構造を有する擁壁ブロック及び該擁壁ブロックを使用した擁壁の施工方法
KR200253362Y1 (ko) * 2001-08-07 2001-11-22 주식회사 바우 컨설탄트 쇄석 채움 옹벽
JP2006207174A (ja) 2005-01-26 2006-08-10 Daiho Constr Co Ltd 鉄筋コンクリート擁壁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7956A (ja) * 1991-07-12 1993-01-26 Akagi Shokai:Kk コンクリート型枠及びこれを用いた建物用基礎施工方法
JPH10280442A (ja) * 1997-04-10 1998-10-20 Keicon Kk 結合構造を有する擁壁ブロック及び該擁壁ブロックを使用した擁壁の施工方法
KR200253362Y1 (ko) * 2001-08-07 2001-11-22 주식회사 바우 컨설탄트 쇄석 채움 옹벽
JP2006207174A (ja) 2005-01-26 2006-08-10 Daiho Constr Co Ltd 鉄筋コンクリート擁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7571A (ko) 2011-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50124C2 (ru) Ветровая энергетическая установка и сегмент башни ветровой энергетической установки
KR101946601B1 (ko) 부재 연결부를 개선한 더블 pc벽체 및 그 시공방법
KR101106259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을 이용한 건물 리모델링 시공 방법 및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연결구조
JP2008063736A (ja) コンクリートボイドスラブ
KR101155323B1 (ko) 옹벽 보강 조립체
KR101186053B1 (ko) 선가설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를 이용한 현장타설 철근콘크리트 보의 시공방법
JP2005097946A (ja) 橋脚の構築方法
KR101253253B1 (ko) 프리캐스트 벽체와 갱폼을 이용한 현장 중단열벽체 시공방법
JP5386379B2 (ja) 橋梁に於けるプレキャスト床版の継手
JP2011038392A (ja) 落橋防止装置
JP2017082404A (ja) T桁橋の上部構造
KR101756040B1 (ko) 모체일체화 콘크리트 내진 보강 구조 및 내진 보강 방법
KR101447722B1 (ko) 저형고 합성형 라멘교 및 그 시공방법
KR101639592B1 (ko) 교량용 조립형 경량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의 시공방법
JP6363902B2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補強構造及び方法
JP6310362B2 (ja) 床版用型枠を主桁に相対固定する吊下げ型金具
KR101630045B1 (ko) 경사형 전단철근을 갖는 열교차단 장치
JP7197879B2 (ja) 落石防護柵
JP5226603B2 (ja) 既成杭の杭頭補強用冶具
JP5745989B2 (ja) 鉄筋コンクリート構造物における既設の方立壁の補強方法
JP5516933B2 (ja) 柱梁接合部の補強構造
JP2005307452A (ja) コンクリート開水路の更生方法
JP5082493B2 (ja) 防水パネル、および防水パネルを用いた壁の施工方法
KR101629743B1 (ko) Pc거더와 pc빔 연결구조
KR101391316B1 (ko) 콘크리트 매설용 너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