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5087B1 - 카 캐리어 차량의 포스트 자동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카 캐리어 차량의 포스트 자동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5087B1
KR101155087B1 KR1020110072085A KR20110072085A KR101155087B1 KR 101155087 B1 KR101155087 B1 KR 101155087B1 KR 1020110072085 A KR1020110072085 A KR 1020110072085A KR 20110072085 A KR20110072085 A KR 20110072085A KR 101155087 B1 KR101155087 B1 KR 1011550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device
post
bed
lifting
car carr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2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함병삼
Original Assignee
(주)새한에어서스펜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새한에어서스펜션 filed Critical (주)새한에어서스펜션
Priority to KR10201100720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50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50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50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6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carrying vehicles
    • B60P3/08Multilevel-deck construction carrying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16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actuated by fluid-operated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26Means for controlling movement of tailboards or sideboards
    • B60P1/273Providing interdependence between tipping movement and the latching or unlatching of a freely-swingable tailboard or side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 캐리어 차량의 포스트 자동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카 캐리어 차량의 적재함에 여러대의 차량을 적재하기 위해 구비되는 승강베드의 승?하강을 단속하기 위해 상기 적재함의 각 모서리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포스트의 내부에 설치되는 포스트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의 내부를 수직으로 분할하여, 일측은 내부에 유압펌프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을 통해 작동하는 유압실린더에 의해 승?하강하고 메뉴얼 밸브에 의해 작동하면서 상기 승강베드를 승?하강 시키는 피스톤이 설치되고; 타측은 내벽에는 라체트 기어가 설치되고, 상측에 설치되는 로라에 감겨진 와이어를 매개로 하여 상기 피스톤과 연결되며 에어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에어를 통해 승?하강하고 로터리 스위치를 통해 작동되어 상기 라체트 기어에 맞물리면서 승강베드의 승?하강을 단속하기 위한 잠금장치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 캐리어 차량의 포스트 자동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카 캐리어 차량의 포스트 자동 잠금장치{POST AUTO LOCKING DEVICE OF CAR CARRIER}
본 발명은 카 캐리어 차량의 포스트 자동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카 캐리어 차량의 적재함에 여러 대의 차량을 적재하기 위해 구비되는 승강베드의 승?하강을 단속하기 위해 상기 적재함의 각 모서리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포스트의 내부에 설치되는 포스트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의 내부를 수직으로 분할하여, 일측은 내부에 유압펌프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을 통해 작동하는 유압실린더에 의해 승?하강하고 메뉴얼 밸브에 의해 작동하면서 상기 승강베드를 승?하강 시키는 피스톤이 설치되고; 타측은 내벽에는 라체트 기어가 설치되고, 상측에 설치되는 로라에 감겨진 와이어를 매개로 하여 상기 피스톤과 연결되며 에어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에어를 통해 승?하강하고 로터리 스위치를 통해 작동되어 상기 라체트 기어에 맞물리면서 승강베드의 승?하강을 단속하기 위한 잠금장치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 캐리어 차량의 포스트 자동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차량 생산지로부터 출고된 승용차 또는 화물차량을 야적장이나 구매자에게 배송하기 위해서는 차량을 용이하게 적재하기 위한 적재함이 장착된 카 캐리어 차량을 이용하는 것이 일반화되어 있다. 특정 장소로 운송하고자 하는 차량을 승강베드의 상?하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그룹을 짓거나 끝과 끝을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시켜 종렬을 이루게 하여 운송하는 것이 상례이다.
위와 같은 목적으로 사용되는 카 캐리어 차량에 장착된 승강베드는 무엇보다도 차량을 용이 간편하고 신속하게 적재하고 하차시킬 수 있어야 하고, 제한된 적재 공간으로부터 보다 많은 차량을 적재함으로서 물류 이송비용을 절감하는 것이 중요하다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카 캐리어 차량은 보다 많은 차량을 적재하여 운송할 수 있도록 적재함이 상하 2단으로 만들어져 있다. 이와 같이 하부 적재함에 상부 적재함이 적층된 구조를 갖는 통상의 카 캐리어 차량은 승강베드에 차량을 적재한 후 하부 적재함에 차량을 연속적으로 적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상기 적재함의 각 모서리에는 수직으로 한 쌍의 프런트 포스트와 리어 포스트가 설치되며, 각 포스트의 내부에는 상기 상부 적재함을 승?하강 시키기 위한 승강장치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승강베드에 차량을 적재한 후 하부 적재함에 차량을 적재하기 위해 상기 승강베드가 수평을 이루도록 상승시킨 다음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켜야 하며, 종래에는 상기 승강장치의 하부에 형성되는 관통홀 및 상기 관통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리어 포스트의 보조 관통홀에 순차적으로 핀을 삽입하여 상기 승강베드를 고정하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방법은 다수의 차량을 적재하고 장거리 주행을 해야하는 카 캐리어 차량의 특성상 안정성에 큰 문제가 있어 자칫 대형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승강베드에 차량을 적재한 다음 승강베드가 상승하였을 때 주행중에 발생하는 차량의 진동이나 적재된 차량의 중량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승강베드의 움직임을 차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카 캐리어 차량의 적재함에 여러대의 차량을 적재하기 위해 구비되는 승강베드의 승?하강을 단속하기 위해 상기 적재함의 각 모서리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포스트의 내부에 설치되는 포스트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의 내부를 수직으로 분할하여 일측은 내부에 유압펌프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을 통해 작동하는 유압실린더에 의해 승?하강하고 메뉴얼 밸브에 의해 작동하면서 상기 승강베드를 승?하강 시키는 피스톤이 설치되고; 타측은 내벽에는 라체트 기어가 설치되고, 상측에 설치되는 로라에 감겨진 와이어를 매개로 하여 상기 피스톤과 연결되며 에어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에어를 통해 승?하강하고 로터리 스위치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라체트 기어에 맞물리면서 승강베드의 승?하강을 단속하기 위한 잠금장치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잠금장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와이어와 연결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과 결합되며 공기압에 의해 축이 인출되는 에어실린더와; 상기 라체트 기어와 맞물리도록 상부에는 라체트 기어 측으로 걸림부가 형성되고, 회전 가능하도록 하부 일측이 몸체에 핀 결합되며, 원상태로 복귀할 수 있도록 스프링으로 맞물려지는 한 쌍의 스토퍼와; 상기 에어실린더의 축과 일측이 힌지결합되고 타측이 몸체의 상부에 힌지결합되는 회전축이 결합되고, 상기 스토퍼의 사이에 결합되어 에어실린더의 축이 빠져나왔을 때 회전축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스토퍼가 라체트 기어에 걸리도록 하며, 차량의 진동이나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스토퍼가 라체트 기어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땅콩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캠; 및 상기 캠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승강베드의 측면에 형성되는 장공에 삽입되어 승강베드를 승?하강시키는 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뉴얼 밸브의 유압공급라인에 제1솔레노이드밸브를 설치하고 상기 로터리 스위치의 작동라인에 제2솔레노이드밸브를 설치하며 상기 제1,2솔레노이드 밸브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서로 연동 되도록 하고 상기 로터리 스위치의 전원이 제1솔레노이드밸브에 공급되도록 하여 유압공급을 차단함으로써 승강베드가 자중에 의해 하강하여 잠금되며 잠금장치의 파손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르면 승강베드에 차량이 적재된 상태로 차량이 주행할 때 차량의 진동이 승강베드에 전달되더라도 피로누적이 적으며, 잠금장치의 전원공급라인을 유압공급라인에 설치된 솔레노이드 밸브와 연결하여 연동되도록 함으로서 잠금장치 내부의 부품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카 캐리어 차량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카 캐리어 차량의 승강베드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3 내지 5는 본 발명에 따른 카 캐리어 차량의 포스트 자동 잠금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6 내지 7은 본 발명에 따른 카 캐리어 차량의 포스트 자동 잠금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8 내지 10은 본 발명에 따른 카 캐리어 차량의 포스트 자동 잠금장치의 전기적 흐름도.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 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 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 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카 캐리어 차량의 포스트 자동 잠금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카 캐리어 차량의 적재함에 여러 대의 차량을 적재하기 위해 구비되는 승강베드의 승?하강을 단속하기 위해 상기 적재함의 각 모서리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포스트의 내부에 설치되는 포스트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1)의 내부를 수직으로 분할하여 일측은 내부에 유압펌프(11)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을 통해 작동하는 유압실린더(12)에 의해 승?하강하고 메뉴얼 밸브(13)에 의해 작동하면서 상기 승강베드(2)를 승?하강 시키는 피스톤(10)이 설치되고; 타측은 내벽에는 라체트 기어(30)가 설치되고, 상측에 설치되는 로라(3)에 감겨진 와이어(4)를 매개로 하여 상기 피스톤(10)과 연결되며 에어탱크(30)로부터 공급되는 에어를 통해 승?하강하고 로터리 스위치(40)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라체트 기어(50)에 맞물리면서 승강베드의 승?하강을 단속하기 위한 잠금장치(2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 캐리어 차량의 포스트 자동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포스트 자동 잠금장치는 카 캐리어 차량의 적재함에 각 모서리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프런트 포스트(1′)와 리어 포스트(1″)의 각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승강베드(2)가 승?하강하여 다수의 차량을 적재함에 적재된 상태에서 차량이 주행할 때 발생하는 진동이나 적재된 차량의 중량에 의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피스톤(10)은 상기 포스트(1)의 내부를 수직으로 분할하여 일측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카 캐리어 차량에 구비되는 유압펌프(11)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을 통해 작동하는 유압실린더(12)에 의해 승?하강하게 되며, 유압의 진행방향을 제어하기 위해 구비되는 메뉴얼 밸브(13)를 통해 승강 또는 하강 동작을 진행하게 된다.
상기 잠금장치(20)의 일측면에는 상기 승강베드의 양측면 앞부분의 형성되는 핀 홀(2′) 및 뒷부분에 형성되는 장공(2″)에 삽입되어 승강베드(2)를 승?하강시키는 핀(29)이 형성된다.
상기 프런트 포스트(1′)에 설치되는 피스톤(10)은 승?하강하면서 타측에 설치되는 잠금장치의 핀(29)이 승강베드의 앞부분에 형성되는 핀 홀(2′)에 삽입되어 승강베드의 앞부분을 승?하강 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리어 포스트(1″)에 설치되는 피스톤(10)은 승?하강하면서 잠금장치의 핀(29)이 승강베드의 뒷부분에 형성되는 장공(2″)에 삽입되어 장공을 따라 이동하면서 승강베드의 뒷부분을 승?하강 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피스톤(10)은 메뉴얼 밸브(13)를 통해 승강베드(2)를 승강 또는 하강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포스트 내부 타측에 설치되는 잠금장치(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포스트(1)의 타측 내벽에는 라체트 기어(50)가 수직으로 설치된다.
또한, 상기 포스트(1)의 타측 상부에는 로라(3)가 설치되며, 상기 로라의 상반 원주면을 감고 지나가 양측 끝단이 상기 피스톤(10)과 상기 잠금장치(20)에 각각 연결되는 와이어(4)가 설치되며, 상기 와이어를 통해 피스톤과 잠금장치는 서로 수직으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잠금장치(20)는 차량에 구비되는 에어탱크(30)로부터 공급되는 에어를 통해 승?하강하게 되며, 이때 상기 잠금장치(20)의 승?하강을 컨트롤하기 위한 로터리 스위치(40)가 차량에 구비된다.
상기 로터리 스위치(40)는 상기 잠금장치(20)의 잠금 또는 해제 동작을 컨트롤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메뉴얼 밸브(13)를 통해 피스톤(10)을 상승시켜 승강베드(2)가 소정의 높이까지 상승하게 되면 상기 로터리 스위치(40)를 통해 상기 승강베드(2)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상기 잠금장치(20)는 몸체(21)와; 상기 몸체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와이어(4)와 연결되는 브라켓(21)과; 상기 브라켓과 결합되며 공기압에 의해 축이 인출되는 에어실린더(23)와; 상기 라체트 기어(50)와 맞물리도록 상부에는 라체트 기어 측으로 걸림부(25)가 형성되고, 회전 가능하도록 하부 일측이 몸체에 핀 결합되며, 원상태로 복귀할 수 있도록 스프링(26)으로 맞물려지는 한 쌍의 스토퍼(24)와; 상기 에어실린더(23)의 축과 일측이 힌지결합되고 타측이 몸체의 상부에 힌지결합되는 회전축(28)이 결합되고, 상기 스토퍼(24)의 사이에 결합되어 에어실린더(23)의 축이 빠져나왔을 때 회전축(28)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스토퍼의 걸림부(25)가 라체트 기어(50)에 걸리도록 하며, 차량의 진동이나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스토퍼가 라체트 기어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땅콩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캠(27); 및 상기 캠(27)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승강베드의 측면에 형성되는 장공(2″)에 삽입되어 승강베드를 승?하강시키는 핀(29);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잠금장치(20)는 상기 몸체(21)의 상부에 형성되는 브라켓(22)이 상기 와이어(4)와 연결되어 와이어를 통해 승?하강 하게 된다.
상기 브라켓(22)에는 상기 에어탱크(30)로부터 공급되는 에어를 통해 인출되는 에어실린더(23)가 결합된다.
상기 몸체(21)의 내부에는 상기 라체트 기어(50)와 맞물리도록 상부에는 라체트 기어 측으로 걸림부(25)가 형성되고 회전 가능하도록 하부 일측이 몸체에 핀 결합되며 원상태로 복귀할 수 있도록 스프링(26)으로 맞물려지는 한 쌍의 스토퍼(24)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스토퍼(24)의 사이에는 회전 가능하도록 중심이 몸체(21)와 힌지결합되는 땅콩 형상의 캠(27)이 설치된다.
상기 캠(27)은 일측에 회전축(28)이 외측으로 돌출되어 결합되고 상기 회전축(28)의 끝단이 에어실린더(23)의 축과 핀을 통해 힌지결합되도록 하여 에어실린더의 회전축이 빠져나오면 회전축을 통해 캠이 함께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캠(27)은 에어실린더(23)의 축이 들어가게 되면, 축과 힌지결합된 회전축이 상승하면서 캠을 회전시키게 되고, 상기 캠에 의해 스토퍼의 걸림부(25)가 라체트 기어(50)에 맞물리게 된다.
이때, 상기 스토퍼(24)에 맞물린 스프링(26)은 늘어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땅콩 형상의 캠(27)은 상기 스토퍼(24)가 라체트 기어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반대로, 에어실린더(23)의 축이 늘어나게 되면, 회전축(28)이 에어실린더의 축을 따라 하강하면서 캠(27)을 원상태로 복귀시키게 되고, 상기 스토퍼(24)에 맞물린 스프링(26)이 원상태로 복귀하면서 스토퍼의 걸림부(25)가 라체트 기어로부터 빠져나오게 하는 것이다.
상기 회전축(28)은 상기 캠(27)이 회전할 때 스프링(26)에 접촉하지 않을 정도의 길이로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캠(27)의 하부에는 상기 승강베드(2)의 측면에 형성되는 장공(2″)에 삽입되어 승강베드를 승?하강 시키는 핀(29)이 형성된다.
상기 핀(29)은 상기 피스톤이 승?하강할 때 승강베드의 장공을 따라 이동하면서 승강베드를 상승시키거나 하강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잠금장치(20)는 상기 로터리 스위치(40)를 통해 에어실린더(23)의 축을 빠져나오게 하거나 들어가도록 함으로써 승강베드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잠금장치(20)는 승강베드(2)의 하중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고 일측 스토퍼가 손상되더라도 타측 스토퍼를 통해 정지된 승강베드를 지지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포스트 내부에 전후로 한 쌍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스토퍼(24)의 걸림부(25)가 라체트 기어(50)와 완전히 맞물리지 않은 상태에서 차량이 적재되거나 이러한 상태로 차량을 주행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메뉴얼 밸브(13)의 유압공급라인에 제1솔레노이드밸브(60)를 설치하고 상기 로터리 스위치(40)의 작동라인에 제2솔레노이드밸브(70)를 설치하며 상기 제1,2솔레노이드밸브(60,7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서로 연동 되도록 하고 상기 로터리 스위치(40)의 전원이 제1솔레노이드밸브(60)에 공급되도록 하여 유압공급을 차단함으로써 승강베드가 자중에 의해 하강하여 잠금되며 잠금장치의 파손을 방지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메뉴얼 밸브(13)는 유압 공급라인(A)과 유압 회수라인(B)을 통해 상기 유압실린더(12)와 연결된다.
상기 유압 공급라인(A)은 상기 피스톤(10)을 상승시키기 위해 유압을 공급하는 라인이며, 상기 유압 회수라인(B)은 상기 피스톤(10)에 공급된 유압을 다시 유압펌프로 회수하기 위한 라인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로터리 스위치(40)는 상기 에어실린더(23)의 축이 빠져나오면서 상기 캠(27)을 회전시켜 잠금장치(20)의 잠금동작을 위해 전원을 공급하는 잠금라인(C) 및 해제동작을 위해 전원을 공급하는 해제라인(D)과 연결된다.
상기 로터리 스위치(40)에 잠금동작을 입력하면 잠금라인(C)에 전원이 공급되면서 에어탱크(30)로부터 에어가 공급되어 캠(27)이 회전하면서 잠금 설정이 되고, 로터리 스위치(40)에 해제동작을 입력하면 해제라인(D)에 전원이 공급되어 캠(27)이 원상태로 복귀하면서 잠금이 해제되게 된다.
한편,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유압 공급라인에 제1솔레노이드밸브(60)가 설치되고, 로터리 스위치의 작동라인에 제2솔레노이드밸브(70)가 설치되는데, 상기 제1솔레노이드밸브(60)는 제2솔레노이드밸브와 함께 연동되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로터리 스위치(40)에 잠금동작이 입력되면 제1솔레노이드밸브(60)에도 전원이 인가되어 작동되도록 구성된다.
먼저, 상기 메뉴얼 밸브(13)를 작동시켜 승강베드(2)를 상승하고자 할 경우, 상기 유압펌프(11)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을 유압 공급라인(A)을 통해 유압실린더(12)에 공급하여 피스톤(10)를 상승시킴으로써 승강베드(2)를 상승시키게 되며, 반대로 승강베드(2)를 하강하도록 하기 위해 메뉴얼 밸브(13)를 반대로 작동시키게 되면 상기 유압실린더(12)에 공급된 유압이 유압 회수라인(B)을 통해 회수되면서 유압실린더(12) 내부에 유압이 빠져나가게 되므로 승강베드(2)는 자중에 의해 자연스럽게 하강하게 된다.
또한, 상기 잠금장치(20)를 잠금 설정하기 위해 상기 로터리 스위치(40)를 작동시키면 잠금라인(C)에 전원이 공급되면서 동시에 상기 제1솔레노이드밸브(60)에 인가되어 상기 피스톤(10)의 상승을 위해 유압 공급라인(A)에 공급된 유압이 피스톤(10)에 공급되지 않고 반대 방향으로 흐르면서 차단되므로 상기 스토퍼(24)의 걸림부(25)가 라체트 기어(50)에 완전히 맞물리지 않았을 경우 스토퍼(24)는 자중에 의해 서서히 하강하면서 라체트 기어에 완전히 맞물리게 된다.
이때, 상기 유압 공급라인(A)과 유압 회수라인(B)은 일측이 서로 연통되어 상기 제1솔레노이드밸브(60)가 작동되었을 때 유압 공급라인(A)을 통해 공급된 유압이 실린더 측으로 향하지 않고 유압 회수라인(B)을 통해 빠져나가게 되는 것이다.
반대로, 상기 로터리 스위치(40)에 해제 모드가 설정되면 해제 라인(D)에 전원이 공급되면서 잠금장치(20)가 작동하게 되고, 제1솔레노이드밸브(60)의 전원은 차단되면서 메뉴얼 밸브(13)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은 그대로 피스톤(10)에 공급되어 상기 승강베드(2)를 상승시키거나 하강하도록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1,2솔레노이드밸브(60,70)를 통해 운전자가 적재된 차량을 하차시키기 위해 승강베드를 하강시킬 때, 잠금장치(20)를 해제하지 않은 상태에서 승강베드를 하강시키기 위해 메뉴얼 밸브(13)를 작동시키더라도 유압이 공급되지 않으므로 잠금장치가 파손되거나 더 큰 사고로 이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 : 포스트 2 : 승강베드
3 : 로라 4 : 와이어
10 : 피스톤 11 : 유압펌프
12 : 유압실린더 13 : 메뉴얼 밸브
20 : 잠금장치 21 : 몸체
22 : 브라켓 23 : 에어실린더
24 : 스토퍼 25 : 걸림부
26 : 스프링 27 : 캠
28 : 회전축 29 : 핀
30 : 에어탱크 40 : 로터리 스위치
50 : 라체트 기어
60 : 제1솔레노이드밸브 70 : 제2솔레노이드밸브
A : 유압공급라인 B : 유압회수라인
C : 잠금라인 D : 해제라인

Claims (3)

  1. 카 캐리어 차량의 적재함에 여러대의 차량을 적재하기 위해 구비되는 승강베드의 승?하강을 단속하기 위해 상기 적재함의 각 모서리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포스트의 내부에 설치되는 포스트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의 내부를 수직으로 분할하여, 일측은 내부에 유압펌프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을 통해 작동하는 유압실린더에 의해 승?하강하고 메뉴얼 밸브에 의해 작동하면서 상기 승강베드를 승?하강 시키는 피스톤이 설치되고;
    타측은 내벽에는 라체트 기어가 설치되고, 상측에 설치되는 로라에 감겨진 와이어를 매개로 하여 상기 피스톤과 연결되며 에어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에어를 통해 승?하강하고 로터리 스위치를 통해 작동되어 상기 라체트 기어에 맞물리면서 승강베드의 승?하강을 단속하기 위한 잠금장치가 설치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카 캐리어 차량의 포스트 자동 잠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장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와이어와 연결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과 결합되며 공기압에 의해 축이 인출되는 에어실린더와;
    상기 라체트 기어와 맞물리도록 상부에는 라체트 기어 측으로 걸림부가 형성되고, 회전 가능하도록 하부 일측이 몸체에 핀 결합되며, 원상태로 복귀할 수 있도록 스프링으로 맞물려지는 한 쌍의 스토퍼와;
    상기 에어실린더의 축과 일측이 힌지결합되고 타측이 몸체의 상부에 힌지결합되는 회전축이 결합되고, 상기 스토퍼의 사이에 결합되어 에어실린더의 축이 빠져나왔을 때 회전축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스토퍼가 라체트 기어에 걸리도록 하며, 차량의 진동이나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스토퍼가 라체트 기어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땅콩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캠; 및
    상기 캠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승강베드의 측면에 형성되는 장공에 삽입되어 승강베드를 승?하강시키는 핀;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 캐리어 차량의 포스트 자동 잠금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얼 밸브의 유압공급라인에 제1솔레노이드밸브를 설치하고 상기 로터리 스위치의 작동라인에 제2솔레노이드밸브를 설치하며 상기 제1,2솔레노이드 밸브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서로 연동 되도록 하고 상기 로터리 스위치의 전원이 제1솔레노이드밸브에 공급되도록 하여 유압공급을 차단함으로써 승강베드가 자중에 의해 하강하여 잠금되며 잠금장치의 파손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 캐리어 차량의 포스트 자동 잠금장치.
KR1020110072085A 2011-07-20 2011-07-20 카 캐리어 차량의 포스트 자동 잠금장치 KR1011550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2085A KR101155087B1 (ko) 2011-07-20 2011-07-20 카 캐리어 차량의 포스트 자동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2085A KR101155087B1 (ko) 2011-07-20 2011-07-20 카 캐리어 차량의 포스트 자동 잠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5087B1 true KR101155087B1 (ko) 2012-06-11

Family

ID=46607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2085A KR101155087B1 (ko) 2011-07-20 2011-07-20 카 캐리어 차량의 포스트 자동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508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00783A (ja) 1996-09-27 1998-04-21 Hamana Works:Kk 車両運搬用自動車の2階デッキ昇降装置
KR200231143Y1 (ko) 2001-01-15 2001-07-19 (주)세진기업 차량운반용 트럭
JP2011011747A (ja) 2009-06-30 2011-01-20 Pabco Co Ltd 昇降床付コンテナの昇降床油圧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00783A (ja) 1996-09-27 1998-04-21 Hamana Works:Kk 車両運搬用自動車の2階デッキ昇降装置
KR200231143Y1 (ko) 2001-01-15 2001-07-19 (주)세진기업 차량운반용 트럭
JP2011011747A (ja) 2009-06-30 2011-01-20 Pabco Co Ltd 昇降床付コンテナの昇降床油圧構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9365B1 (ko) 적재함의 내부화물 이동장치
US20150232134A1 (en) Platform system for a cargo compartment of a truck, lorry or trailer
CN216917268U (zh) 一种用于装卸货的四向车转运机构
KR101155087B1 (ko) 카 캐리어 차량의 포스트 자동 잠금장치
KR100702666B1 (ko) 다층형 주차설비
JP5237068B2 (ja) 荷受台昇降ユニットおよびその搬送方法
KR20170097982A (ko) 컨테이너의 이/적재가 가능한 2중 모드 트레일러
KR101085546B1 (ko) 컨테이너의 이/적재가 가능한 수평이송장치
CN215905272U (zh) 一种穿梭车升降装置
CN211733695U (zh) 一种吊运装置及吊运设备
KR20090121697A (ko) 화물 승하강 시스템 및 이를 적용한 윙바디 차량
CN110329132B (zh) 混合式多层物流运输车
CN104153620B (zh) 一种多级同步停车设备及其液压停驻系统
CN210554382U (zh) 一种货车
JP5453162B2 (ja) 車両用昇降機の格納ロック用ハンドル装置
KR100987791B1 (ko) 차량 운송 트럭의 적재함 승강 장치
CN112277772B (zh) 智能冷链运输车
KR20110105600A (ko) 컨테이너의 이/적재가 가능한 수평이송장치를 가지는 2중 모드 트레일러 및 컨테이너 이/적재 방법
CN104149676B (zh) 一种液压式货厢自动锁止机构及自卸车
CN216889836U (zh) 一种用链条升降的随车吊操作室
KR200373390Y1 (ko) 대화물 적재가 용이하도록 승하강장치가 구비된 윙바디트레일러
JP5653134B2 (ja) 連立型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
CN114291474A (zh) 一种四向车用可升降装卸货平台
RU2506386C2 (ru) Способ хранения автомобилей в отдельных взаимосвязанных модулях
KR20120006854A (ko) 컨테이너의 이/적재가 가능한 수평이송장치를 가지는 2중 모드 트레일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8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