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4298B1 - 차량용 트렁크 리드의 전동 개폐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트렁크 리드의 전동 개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4298B1
KR101154298B1 KR1020100084522A KR20100084522A KR101154298B1 KR 101154298 B1 KR101154298 B1 KR 101154298B1 KR 1020100084522 A KR1020100084522 A KR 1020100084522A KR 20100084522 A KR20100084522 A KR 20100084522A KR 101154298 B1 KR101154298 B1 KR 1011542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arm
wire
trunk
trunk lid
op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4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0722A (ko
Inventor
마동희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845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4298B1/ko
Publication of KR201200207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07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42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42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62D25/12Parts or detail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2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revolv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4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supported on arms movable in vertical planes
    • E05D15/405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supported on arms movable in vertical planes with curved arms fixed on the wing, rolling on a suppor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 E05F1/1033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with a torsion ba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1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 E05F15/6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operated by swinging ar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58Members cooperating with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68Pulleys; Whee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65Power or signal transmis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48Trunk l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트렁크 리드의 전동 개폐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동모터의 풀리에 의해 감기는 와이어를 이용하여 트렁크 리드의 개폐를 조절하는 차량용 트렁크 리드의 전동 개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일측은 힌지 암에 고정되고, 타측이 일방향으로 감김에 의해 힌지 암을 당겨서 트렁크 열림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는 오픈 와이어; 일측은 상기 힌지 암에 고정되고, 타측이 타방향으로 감김에 의해 힌지 암을 당겨서 트렁크 닫힘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는 클로즈 와이어; 상기 오픈 와이어와 클로즈 와이어를 감아서 당겨주기 위한 풀리가 구비된 구동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에 의해 힌지 암이 선택된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트렁크 리드를 개폐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트렁크 리드의 전동 개폐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용 트렁크 리드의 전동 개폐 장치{Electromotive shutter device of trunk lid for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용 트렁크 리드의 전동 개폐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동모터의 풀리에 의해 감기는 와이어를 이용하여 트렁크 리드의 개폐를 조절하는 차량용 트렁크 리드의 전동 개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용차의 후방에는 여러 가지 화물을 싣는 트렁크가 구성되어 있고, 이 트렁크는 트렁크 공간을 형성하는 차체와 상기 트렁크 공간의 개폐를 위한 트렁크 리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트렁크는 차체에 힌지축을 설치함과 아울러 이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힌지 암이 트렁크 리드 측에 부착하여 결합됨으로써 트렁크 리드가 차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개폐되는 것이다.
한편, 자동차는 품질의 고급화를 이루기 위하여 점차 전동식으로 모든 부분이 동작하도록 구조개선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그 중 하나가 파워 트렁크이다.
파워 트렁크는 차량 후방의 트렁크 리드를 원터치(One-Touch) 버튼 조작을 통해 자동 개폐할 수 있는 장치로서 스위치 조작에 의하여 트렁크의 개폐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종래 파워 트렁크는 스윙 암(링크 로드), 토션 케이블, 기어 랙, 푸쉬 로드 등의 구동유닛이 트렁크 힌지부의 후방에 위치하게 되고, 트렁크 리드의 개폐를 위한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와 발생된 구동력을 트렁크 힌지부에 전달하여 트렁크 리드를 개폐되게 하는 링크부가 직접 연결되어 있음으로 인해 레이아웃을 설정하기가 어려우며, 이에 설계자유도가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트렁크 리드의 개폐를 위한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링크수단으로 와이어를 이용하여 구동모터의 위치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는 차량용 트렁크 리드의 전동 개폐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일측은 힌지 암에 고정되고, 타측이 일방향으로 감김에 의해 힌지 암을 당겨서 트렁크 열림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는 오픈 와이어; 일측은 상기 힌지 암에 고정되고, 타측이 타방향으로 감김에 의해 힌지 암을 당겨서 트렁크 닫힘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는 클로즈 와이어; 상기 오픈 와이어와 클로즈 와이어를 감아서 당겨주기 위한 풀리가 구비된 구동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에 의해 힌지 암이 선택된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트렁크 리드를 개폐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트렁크 리드의 전동 개폐 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구동모터와 제1고정브라켓 사이에 연결되어 오픈 와이어의 이동 경로를 안내하는 오픈 케이블과, 상기 구동모터와 제2고정브라켓 사이에 연결되어 클로즈 와이어의 이동 경로를 안내하는 클로즈 케이블이 구성되며, 상기 제1고정브라켓은 오픈 와이어의 감김에 의해 힌지 암이 트렁크 열림 방향으로 회전되게 하기 위해 힌지 암의 안쪽에 배치되고, 상기 제2고정브라켓은 클로즈 와이어의 감김에 의해 힌지 암이 트렁크 닫힘 방향으로 회전되게 하기 위해 힌지 암의 바깥쪽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오픈 와이어와 클로즈 와이어는 힌지 암의 제1소정위치에 설치된 고정수단에 의해 일측이 힌지 암에 연결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구동모터는 스위치 조작에 의해 풀리를 선택한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리드의 전동 개폐 장치는 구동모터의 위치 설정을 자유롭게 할 수 있으므로 설계자유도가 향상되고, 이에 레이아웃이 편리하므로 작은 공간의 트렁크에도 채용 가능하며 수납공간의 축소를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차량의 트렁크를 설계함에 있어서 원가절감이 가능한 구조로 설계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리드의 전동 개폐 장치가 설치된 트렁크 내부를 도시한 절개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트렁크 리드의 오픈을 위한 전동 개폐 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2a에 의해 오픈된 트렁크 리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트렁크 리드의 닫힘을 위한 전동 개폐 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3a에 의해 닫힘된 트렁크 리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설명에 있어서 종래의 기술과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되는 것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트렁크 리드의 전동 개폐 장치는 힌지 암(120)에 연결 구성되어 트렁크 리드(110)를 자동으로 개폐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 리드의 전동 개폐 장치는 차체(100, 구체적으로는 차체 후방)의 상단 저면에 조립 고정되는 힌지 브라켓(101), 일측이 상기 힌지 브라켓(101)의 선단에 힌지 결합되고 타측이 트렁크 리드(110)의 저면에 조립 고정되는 힌지 암(120), 공급된 동력에 의해 상기 힌지 암(120)을 당겨서 회전시키게 되는 오픈 와이어(140)와 클로즈 와이어(150) 및 상기 오픈 와이어(140)와 클로즈 와이어(150)를 감아주기 위한 풀리(131)가 구비된 구동모터(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오픈 와이어(140)는 트렁크 리드(110)의 오픈을 위해 풀리(131)에 감겨지는 것으로 일측이 상기 힌지 암(120)의 제1소정위치에 고정된 상태에서 타측이 감김에 의해 힌지 암(120)을 당겨서 트렁크 열림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클로즈 와이어(150)는 트렁크 리드(110)의 닫힘을 위해 풀리(131)에 감겨지는 것으로 일측이 상기 힌지 암(120)의 제1소정위치에 고정된 상태에서 타측이 감김에 의해 힌지 암(120)을 당겨서 트렁크 닫힘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러한 오픈 와이어(140)와 클로즈 와이어(150)는 상기 구동모터(130)의 구동에 의해 풀리(131)에 감기면서 힌지 암(120)에 고정된 일측이 선택적으로 당겨지게 되는데, 여기서 상기 풀리(131)는 구동모터(130)의 회전축에 의해 회전하도록 형성되고 하나 혹은 둘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풀리(131)는 둘로 구성되는 경우 동축으로 연결되어 각기 오픈 와이어(140)와 클로즈 와이어(150)를 감아주기 위한 용도로 기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구동모터(130)의 동력을 오픈 와이어(140) 및 클로즈 와이어(150)에 전달하기 위해 오픈 케이블(141)과 클로즈 케이블(151)을 구성한다.
상기 오픈 케이블(141)은 구동모터(130)의 위치와 관계없이 구동모터(130)의 동력을 오픈 와이어(140)에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일측은 구동모터(130)에 연결 고정되고 타측은 제1고정브라켓(143)에 연결 고정되어 오픈 와이어(140)의 타측을 풀리(131)로 안내한다.
상기 클로즈 케이블(151)은 구동모터(130)의 위치와 관계없이 구동모터(130)의 동력을 클로즈 와이어(150)에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일측은 구동모터(130)에 연결 고정되고 타측은 제2고정브라켓(153)에 연결 고정되어 클로즈 와이어(150)의 타측을 풀리(131)로 안내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오픈 와이어(140)의 타측이 풀리(131)에 감김에 의해 그 일측(힌지 암(120)에 고정된 부분)이 당겨질 시 힌지 암(120)이 트렁크 열림 방향으로 회전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제1고정브라켓(143)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 암(120)의 안쪽(혹은 힌지 브라켓(101)의 앞쪽)에서 차체(100)의 상단 저면에 조립 고정된다.
또한, 본 발명은 클로즈 와이어(150)의 타측이 풀리(131)에 감김에 의해 그 일측(힌지 암(120)에 고정된 부분)이 당겨질 시 힌지 암(120)이 트렁크 닫힘 방향으로 회전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제2고정브라켓(153)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 암(120)의 바깥쪽(혹은 힌지 브라켓(101)의 뒤쪽)에서 차체(100)의 후단면에 조립 고정된다.
다시 말해, 상기 오픈 케이블(141)은 구동모터(130)와 제1고정브라켓(143) 사이에 연결되어 오픈 와이어(140)의 이동 경로를 안내하는데 상기 제1고정브라켓(143)이 힌지 암(120)의 안쪽에 배치됨으로 인해 오픈 와이어(140)의 감김시 힌지 암(120)이 트렁크 열림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클로즈 케이블(151)은 구동모터(130)와 제2고정브라켓(153) 사이에 연결되어 클로즈 와이어(150)의 이동 경로를 안내하는데 상기 제2고정브라켓(153)이 힌지 암(120)의 바깥쪽에 배치됨으로 인해 클로즈 와이어(150)의 감김시 힌지 암(120)이 트렁크 닫힘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오픈 와이어(140)와 클로즈 와이어(150)의 일측은 힌지 암(120)의 제1소정위치에 고정된다.
상기 제1소정위치에는 오픈 와이어(140)와 클로즈 와이어(15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121)이 장착되고, 이 고정수단(121)은 힌지 암(120)의 회전시 오픈 와이어(140) 및 클로즈 와이어(150)의 일측이 자유 회전토록 형성된다.
그리고, 제1고정브라켓(143)에는 오픈 케이블(141)의 선단에서 꺾임되는 오픈 와이어(140)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구름부재(145)가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힌지 암(120)은 트렁크 리드(110)의 개폐시 차체(100)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U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더불어 힌지 암(120)의 제2소정위치에는 차체(100)와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125)가 장착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힌지 암(120)은 트렁크 열림 방향으로 회전시 차체(100)와의 간섭을 방지하도록 설계되나 트렁크 리드(110)가, 예를 들면 오작동에 의해, 설정된 각도보다 과도하게 열릴 경우 힌지 브라켓(101)에 결합된 부근이 차체(100)와 근접하게 되고 결국 충돌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2소정위치에 스토퍼(125)를 장착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소정위치는 트렁크 리드(110)의 개폐시 힌지 암(120)을 당겨서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의 작용점이고, 상기 제2소정위치는 힌지 암(120)의 트렁크 열림을 위한 회전시 힌지 암(120)과 차체(100)와의 충돌이 발생하게 될 예상지점이 된다.
한편, 차체(100)의 좌우 양측에 구비된 힌지 브라켓(101)에는 토션바(103)의 양단부가 조립되고, 이 토션바(103)의 토크를 힌지 암(120)에 전달하기 위한 힌지 링크(123)는 힌지 암(120)의 일측에 조립되어 힌지 암(120)을 트렁크 리드(110)의 열림 방향으로 회전되게 한다.
상기 토션바(103)는 보통 한쪽을 고정시키고 다른 쪽을 회전시켜 비틀 때 생기는 비틀림모멘트를 이용하여 토크력을 발생시키는 일종의 스프링 부재로서, 힌지 암(120)에 트렁크 리드(110)의 개폐력을 제공하기 위해 구성된다.
상기 구동모터(130)는 스위치 조작에 의해 구동하여 풀리(131)를 선택한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는데, 상기 스위치는 힌지 암(120)을 트렁크 열림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오픈 스위치와 트렁크 닫힘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클로즈 스위치로 이루어질 수 있고 각 스위치의 작동에 의한 신호를 선택적으로 송신하여 구동모터(13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 스위치는 차량 실내 또는 키리모컨 등에 구비될 수 있고 스위치의 신호는 제어부로 전송되고 이 제어부는 신호에 의해 구동모터(130)를 작동시켜서 트렁크 리드(110)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게 된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오픈 케이블(141)과 클로즈 케이블(151)은 구동모터(130)의 위치 설정에 따라 레이아웃을 고려하여 적절한 형상으로 굴곡되며 오픈 와이어(140)와 클로즈 와이어(150)를 각기 지지해주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작동상태를 도 2a 내지 3b를 참조로 설명한다.
먼저 트렁크 리드(110)를 오픈하는 경우, 오픈 스위치를 작동하여 구동모터(130)를 구동시키면 풀리(131)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오픈 와이어(140)가 풀리(131)에 감기게 된다.
이때 구동모터(130)의 동력이 오픈 케이블(141)에 의해 오픈 와이어(140)에 전달되면서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픈 와이어(140)가 제1고정브라켓(143) 측으로 당겨지고 오픈 케이블(141)의 내부를 관통하며 이동되어 힌지 암(120)을 당겨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차체(100) 바깥쪽으로 회전)시키게 되며 이에 트렁크 리드(110)는 열림 방향으로 회전하며 도 2b와 같이 트렁크를 개방하게 된다.
트렁크 리드(110)를 닫는 경우, 클로즈 스위치를 작동하여 구동모터(130)를 구동시키면 풀리(131)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클로즈 와이어(150)가 풀리(131)에 감기게 된다.
이때 구동모터(130)의 동력이 클로즈 케이블(151)에 의해 클로즈 와이어(150)에 전달되면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로즈 와이어(150)가 제2고정브라켓(153) 측으로 당겨지고 클로즈 케이블(150)의 내부를 관통하며 이동되어 힌지 암(120)을 당겨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차체(100) 내측으로 회전)시키게 되며 이에 트렁크 리드(110)는 닫힘 방향으로 회전하며 도 3b와 같이 트렁크를 밀폐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동모터(130)가 오픈 케이블(141)과 클로즈 케이블(151)에 의해 오픈 와이어(140)와 클로즈 와이어(150)에 각기 장력을 전달하게 되므로 구동모터(130)의 위치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리드의 전동 개폐 장치는 작은 공간의 트렁크에도 설치 가능하며 트렁크 수납공간의 축소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실시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들을 모두 포함한다.
100 : 차체
101 : 힌지 브라켓
103 : 토션바
110 : 트렁크 리드
120 : 힌지 암
121 : 고정수단
123 : 힌지 링크
125 : 스토퍼
130 : 구동모터
131 : 풀리
140 : 오픈 와이어
141 : 오픈 케이블
143 : 제1고정브라켓
150 : 클로즈 와이어
151 : 클로즈 케이블
153 : 제2고정브라켓

Claims (4)

  1. 일측은 힌지 암(120)에 고정되고, 타측이 일방향으로 감김에 의해 힌지 암(120)을 당겨서 트렁크 열림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는 오픈 와이어(140);
    일측은 상기 힌지 암(120)에 고정되고, 타측이 타방향으로 감김에 의해 힌지 암(120)을 당겨서 트렁크 닫힘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는 클로즈 와이어(150);
    상기 오픈 와이어(140)와 클로즈 와이어(150)를 감아서 당겨주기 위한 풀리(131)가 구비된 구동모터(130);
    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에 의해 힌지 암이 선택된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트렁크 리드를 개폐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트렁크 리드의 전동 개폐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130)와 제1고정브라켓(143) 사이에 연결되어 오픈 와이어(140)의 이동 경로를 안내하는 오픈 케이블(141)과, 상기 구동모터(130)와 제2고정브라켓(153) 사이에 연결되어 클로즈 와이어(150)의 이동 경로를 안내하는 클로즈 케이블(151)이 구성되며,
    상기 제1고정브라켓(143)은 오픈 와이어(140)의 감김에 의해 힌지 암(120)이 트렁크 열림 방향으로 회전되게 하기 위해 힌지 암(120)의 안쪽에 배치되고, 상기 제2고정브라켓(153)은 클로즈 와이어(150)의 감김에 의해 힌지 암(120)이 트렁크 닫힘 방향으로 회전되게 하기 위해 힌지 암(120)의 바깥쪽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트렁크 리드의 전동 개폐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오픈 와이어(140)와 클로즈 와이어(150)는 힌지 암(120)의 제1소정위치에 설치된 고정수단(121)에 의해 일측이 힌지 암(120)에 연결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트렁크 리드의 전동 개폐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130)는 스위치 조작에 의해 풀리(131)를 선택한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트렁크 리드의 전동 개폐 장치.
KR1020100084522A 2010-08-31 2010-08-31 차량용 트렁크 리드의 전동 개폐 장치 KR1011542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4522A KR101154298B1 (ko) 2010-08-31 2010-08-31 차량용 트렁크 리드의 전동 개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4522A KR101154298B1 (ko) 2010-08-31 2010-08-31 차량용 트렁크 리드의 전동 개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0722A KR20120020722A (ko) 2012-03-08
KR101154298B1 true KR101154298B1 (ko) 2012-06-13

Family

ID=46129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4522A KR101154298B1 (ko) 2010-08-31 2010-08-31 차량용 트렁크 리드의 전동 개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42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7244B1 (ko) * 2014-09-18 2016-07-07 대원강업주식회사 힌지토션바 내구시험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0350U (ko) * 1997-11-25 1999-06-15 정몽규 공조시스템의 환기방향 조절장치
JP2004210079A (ja) * 2002-12-27 2004-07-29 Nippon Cable Syst Inc 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およびドアクロージャーの操作システム
KR20060006406A (ko) * 2004-07-16 2006-01-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도어 윈도우 레귤레이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0350U (ko) * 1997-11-25 1999-06-15 정몽규 공조시스템의 환기방향 조절장치
JP2004210079A (ja) * 2002-12-27 2004-07-29 Nippon Cable Syst Inc 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およびドアクロージャーの操作システム
KR20060006406A (ko) * 2004-07-16 2006-01-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도어 윈도우 레귤레이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0722A (ko) 2012-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75228B2 (en) Method of operating a power closure panel
US8944487B2 (en) Door opening/closing apparatus
US8479445B2 (en) Door opening/closing device
JP4844009B2 (ja) ラッゲージパネルの開閉装置
WO2014037468A1 (en) Power tailgate system and method
CN102839886B (zh) 车辆中整体式动力尾板和擦拭器促动
EP4039927A1 (en) Door handle structure of a vehicle
US20120234116A1 (en) Drive device for a tilt element of a motor vehicle
JP4205046B2 (ja) 車両用スライドドアの開閉制御装置
KR101154298B1 (ko) 차량용 트렁크 리드의 전동 개폐 장치
JP2005271614A (ja) 車両用自動開閉装置
JP2007217998A (ja) スイングスライド装置
EP4039926B1 (en) Door handle structure of a vehicle
KR20110060537A (ko) 차량용 파워 개폐 장치
WO2007043467A1 (ja) 車両用物入装置
JP5075604B2 (ja) 車両用ドア開閉装置
WO2022118909A1 (ja) 駆動装置
JP2009079408A (ja) 開閉体駆動装置および車両用自動開閉装置
WO2022118908A1 (ja) 駆動装置
JP4090871B2 (ja) 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ドアクロージャーおよびドアオープナの操作システム
JP3651186B2 (ja) スライド式ドア開閉装置
CN111075301B (zh) 汽车及其充电口门的开闭装置
JP4781124B2 (ja) 開閉体のパワー開閉装置
JP2022130801A (ja) 車両用スライドドア開閉装置
JP2005271616A (ja) 車両用自動開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