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4177B1 - 노이즈 필터 자동 권선기 - Google Patents

노이즈 필터 자동 권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4177B1
KR101154177B1 KR1020100128385A KR20100128385A KR101154177B1 KR 101154177 B1 KR101154177 B1 KR 101154177B1 KR 1020100128385 A KR1020100128385 A KR 1020100128385A KR 20100128385 A KR20100128385 A KR 20100128385A KR 101154177 B1 KR101154177 B1 KR 1011541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motor
core
grip
wind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8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채호
문덕희
Original Assignee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앤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앤앤에이 filed Critical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1283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41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41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41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 H01F41/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for manufacturing coils
    • H01F41/06Coil wi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1/00Forward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1/18Gripping devices with linear mo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4/00Winding, coiling, or deposit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4/02Winding and traversing material on to reels, bobbins, tubes, or like package cores or formers
    • B65H54/40Arrangements for rotating packages
    • B65H54/54Arrangements for supporting cores or formers at winding stations; Securing cores or formers to driv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7/00Guides for filamentary materials; Suppor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6Wi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ilters And Equaliz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이즈 필터 자동 권선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 권선기에 의해 페라이트 코어에 와이어를 고밀도로 코일을 감거나 감겨진 와이어의 느슨해짐과 부정렬이 없이 페라이트 코어에 감겨지도록 하는 노이즈 필터 자동 권선기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에 있어 링형태의 페라이트 코어에 와이어를 감기 위한 노이즈 필터(Noise Filter) 자동 권선기에 있어서, 테이블 상판의 상부 일측에 수직으로 축설되며, 상단부에 형성된 제1모터에 의해 연동되며, 와이어의 텐션을 조절하면서 상/하로 이동하는 제1가이드부재와, 상기 테이블 상판의 상부 타측에 수직으로 축설되며, 상단부에 형성된 제2모터에 의해 연동되고, 와이어의 접촉 또는 비접촉을 작동하는 제1그립퍼를 형성하여 상/하로 이동하는 제2가이드부재와, 상기 테이블 상판의 하부 일측에 수직으로 하향축설되며, 하단부에 형성된 제3모터에 의해 연동되며, 와이어의 접촉 또는 비접촉을 작동하는 제2그립퍼를 상/하로 이동하는 제3가이드부재와, 상기 테이블 상판의 일단부에 일면이 절개된 관통홈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홈 외주의 상판 일면에 높이조절이 가능한 복수개의 조절나사가 등간격의 원주형으로 설치되는 안착부재 및, 상기 안착부재의 외주면에 코어가이드가 형성되고, 상기 코어가이드 외주면에 틸팅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틸팅부재와 연동되는 코어그립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코어그립부재 상부에 감겨지는 와이어를 페라이트 코어에 밀착시켜주는 밀착부재로 구성되는 코어회전부재로 이루어지는 노이즈 필터(Noise Filter) 자동 권선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노이즈 필터 자동 권선기{AUTOMATIC WINDING MACHINE FOR NOISE FILTER}
본 발명은 노이즈 필터(Noise Filter) 자동 권선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 권선기에 의해 페라이트 코어(Ferrite Core)에 와이어를 고밀도로 코일을 감거나 감겨진 와이어의 느슨해짐과 부정렬이 없이 페라이트 코어에 감겨지도록 하는 노이즈 필터 자동 권선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기기의 소형화 및 고주파 변화 등에 따라 인쇄회로기판의 표면에 실장되는 부품도 소형화되는 추세에 있으며, 통신의 발전으로 사용 주파수가 점차 고주파 영역으로 확대되고 있고, 인쇄회로기판도 점점 더 얇아지는 경향이 있다.
일예로, 특히 고주파 영역, 예컨대 수백 MHz 내지 수십 GHz의 영역에서도 전자파 잡음은 통신의 혼란이나 장애 등을 초래하게 되는데, 이에 대한 해결방안으로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파워 칩 인덕터를 개선하는 것이다.
본 발명을 이용하여 와이어를 감고자 하는 일예의 파워 칩 인덕터에 사용되는 페라이트 코어와 이를 감쌀 수 있도록 설치된 링 페라이트 코어, 드럼 페라이트 코어에 감겨진 코일, 그리고 코일의 단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두 개의 단자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페라이트 코어에 와이어를 감아야 하는데, 페라이트 코어가 워낙 작기 때문에 와이어를 감기 위해 페라이트 코어를 손으로 잡기가 매우 어렵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종래에는 직접 페라이트 코어에 와이어를 감는 수작업을 시행하고 있으며, 이에 페라이트 코어에 코일을 감을 수 있는 권선기가 실질적으로 개발되어야 하는 필요성을 과제로 안고 있다. 하지만, 권선기의 홀더에 페라이트 코어를 정확하게 고정하기가 매우 어려우며, 링타입의 페라이트 코어에 와이어를 고밀도와 규칙적인 정렬로 감겨지기가 더욱 어려우며 페라이트 코어에 와이어가 제대로 권선되지 않거나 혹은 페라이트 코어 등이 파손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기존의 수동으로 페라이트 코어에 와이어를 감는 방식을 본 발명의 자동 권선기를 통해 페라이트 코어 외주면에 등간격으로 와이어를 밀착되게 감겨진 제품으로서 와이어가 감겨진 페라이트 코어 즉, 노이즈 필터의 제조함에 있어 자동 권선기를 통해 인력감축으로 인한 원가 감소와 자동화를 통해 대량 생산을 향상시키는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구성에 있어 링형태의 페라이트 코어에 와이어를 감기 위한 노이즈 필터(Noise Filter) 자동 권선기에 있어서,
테이블 상판의 상부 일측에 수직으로 축설되며, 상단부에 형성된 제1모터에 의해 연동되며, 와이어의 텐션을 조절하면서 상/하로 이동하는 제1가이드부재와,
상기 테이블 상판의 상부 타측에 수직으로 축설되며, 상단부에 형성된 제2모터에 의해 연동되고, 와이어의 접촉 또는 비접촉을 작동하는 제1그립퍼를 형성하여 상/하로 이동하는 제2가이드부재와,
상기 테이블 상판의 하부 일측에 수직으로 하향축설되며, 하단부에 형성된 제3모터에 의해 연동되며, 와이어의 접촉 또는 비접촉을 작동하는 제2그립퍼를 상/하로 이동하는 제3가이드부재와,
상기 테이블 상판의 일단부에 일면이 절개된 관통홈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홈 외주의 상판 일면에 높이조절이 가능한 복수개의 조절나사가 등간격의 원주형으로 설치되는 안착부재 및, 상기 안착부재의 외주면에 코어가이드가 형성되고, 상기 코어가이드 외주면에 틸팅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틸팅부재와 연동되는 코어그립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코어그립부재 상부에 감겨지는 와이어를 페라이트 코어에 밀착시켜주는 밀착부재로 구성되는 코어회전부재로 이루어지는 노이즈 필터(Noise Filter) 자동 권선기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노이즈 필터 자동권선기에 있어서, 기존의 수동으로 페라이트 코어에 와이어를 감는 방식을 본 발명의 자동 권선기를 통해 페라이트 코어 외주면에 등간격으로 와이어를 밀착되게 감겨진 제품으로서 와이어가 감겨진 페라이트 코어 즉, 노이즈 필터의 제조함에 있어 자동 권선기를 통해 인력감축으로 인한 원가 감소와 자동화를 통해 대량 생산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져오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노이즈 필터 자동 권선기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노이즈 필터 자동 권선기의 제1가이드부재 구성도.
도 3은 도 2의 본 발명에 따른 노이즈 필터 자동 권선기의 제1가이드부재 분리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노이즈 필터 자동 권선기의 제2가이드부재 구성도.
도 5는 도 4의 본 발명에 따른 노이즈 필터 자동 권선기의 제2가이드부재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노이즈 필터 자동 권선기의 제2가이드부재 분리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노이즈 필터 자동 권선기의 제3가이드부재 구성도.
도 8은 도 7의 본 발명에 따른 노이즈 필터 자동 권선기의 제3가이드부재 분리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노이즈 필터 자동 권선기의 코어회전부재 배치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노이즈 필터 자동 권선기의 코어회전부재 구성도(1).
도 11은 도 10의 본 발명에 따른 노이즈 필터 자동 권선기의 코어회전부재 구성도(2).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노이즈 필터 자동 권선기의 코어회전부재에서 틸팅부재-코아그립부재 분리도.
도 13은 도 12의 본 발명에 따른 노이즈 필터 자동 권선기에서 코아회전부재의 틸팅부재 분리도.
도 14는 도 12의 본 발명에 따른 노이즈 필터 자동 권선기에서 코아회전부재의 코아그립부재 분리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노이즈 필터 자동 권선기에서 코아회전부재의 밀착부재 분리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노이즈 필터 자동 권선기에서 페라이트 코어에 와이어를 권취하는 제1공정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노이즈 필터 자동 권선기에서 페라이트 코어에 와이어를 권취하는 제2공정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노이즈 필터 자동 권선기에서 페라이트 코어에 와이어를 권취하는 제3공정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노이즈 필터 자동 권선기에서 페라이트 코어에 와이어를 권취하는 제4공정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노이즈 필터 자동 권선기에서 페라이트 코어에 와이어를 권취하는 제5공정도.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노이즈 필터 자동 권선기에서 페라이트 코어에 와이어를 권취하는 제6공정도.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노이즈 필터 자동 권선기에서 페라이트 코어에 와이어를 권취하는 제7공정도.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노이즈 필터 자동 권선기에서 페라이트 코어에 와이어를 권취하는 제8공정도.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노이즈 필터 자동 권선기에서 페라이트 코어에 와이어를 권취하는 제9공정도.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노이즈 필터 자동 권선기에서 페라이트 코어에 와이어를 권취하는 제10공정도.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하기와 같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성에 있어 도 1 그리고 도 16에서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링형태의 페라이트 코어(10)에 와이어(20)를 감기 위한 노이즈 필터(Noise Filter) 자동 권선기(100)에 있어서,
테이블(110) 상판(120)의 상부 일측에 수직으로 축설되며, 상단부에 형성된 제1모터(220)에 의해 연동되며, 와이어(20)의 텐션을 조절하면서 상/하로 이동하는 제1가이드부재(200)와,
상기 테이블(110) 상판(120)의 상부 타측에 수직으로 축설되며, 상단부에 형성된 제2모터(320)에 의해 연동되고, 와이어(20)의 접촉 또는 비접촉을 작동하는 제1그립퍼(380)를 형성하여 상/하로 이동하는 제2가이드부재(300)와,
상기 테이블(110) 상판(120)의 하부 일측에 수직으로 하향축설되며, 하단부에 형성된 제3모터(420)에 의해 연동되며, 와이어의 접촉 또는 비접촉을 작동하는 제2그립퍼(480)를 상/하로 이동하는 제3가이드부재(400)와,
상기 테이블(110) 상판(120)의 일단부에 일면이 절개된 관통홈(131)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홈(131) 외주의 상판(120) 일면에 높이조절이 가능한 복수개의 조절나사(132)가 등간격의 원주형으로 설치되는 안착부재(130) 및, 상기 안착부재(130)의 외주면에 코어가이드(515)가 형성되고, 상기 코어가이드(515) 외주면에 틸팅부재(510)가 형성되고, 상기 틸팅부재(510)와 연동되는 코어그립부재(520)가 형성되고, 상기 코어그립부재(520) 상부에 감겨지는 와이어(20)를 페라이트 코어(10)에 밀착시켜주는 밀착부재(530)로 구성되는 코어회전부재(500)로 이루어지는 노이즈 필터(Noise Filter) 자동 권선기(100)를 제공한다.
[제1가이드부재]
도 2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가이드부재(100)는 상판(110)의 일측으로 축설되어 형성된 제1가이드바(210)와, 상기 제1가이드바(210) 상단부에 형성된 제1모터(220)와, 상기 제1모터(220)의 회전에 구동되는 제1회전봉(230)과, 상기 제1회전봉(230)에 내삽되어 상/하부로 이동되는 제1안내판재(240)와, 상기 제1안내판재(240) 후면에 장착된 한쌍의 제1결속레일(241)이 결속되어 상기 제1안내판재(240)의 이동을 유도하도록 제1가이드바(210)) 양측에 각각 형성된 안내레일(211)과, 상기 제1안내판재(240) 일측에 형성된 실린더(250)에 연계되어 수평으로 형성된 소정의 각도로 상/하향 이동되는 텐션바(251)와, 상기 제1안내판재(240) 타측에 고정된 제1케이블제어판(260)이 이동되며, 상기 제1가이드바(210) 일측에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어 하단부 제1케이블고정부(271)가 형성된 제1보조가이드바(270)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제1모터(220)의 구동에 의해 제1회전봉(230)이 회전하게 되며, 상기 제1회전봉(230)이 회전함에 상기 제1회전봉(230)에 내삽된 제1안내판재(240)가 상기 제1회전봉(230)의 회전에 의해 제1가이드바(210)의 상/하부로 이동하게 된다.
더구나, 상기 제1회전봉(230)의 회전에 의해 제1안내판재(240)가 상/하로 이동되는 것을 유도하도록 상기 제1가이드바(210)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안내레일(211)이 형성되고, 상기 안내레일(211)에 결속되어 단속없이 상/하로 이동을 유도하도록 상기 제1안내판재(240) 후면에 한쌍의 제1결속레일(241)이 형성되어 제공된다.
이때, 상기 제1안내판재(240)의 상/하부이동의 제한을 주기 위해 상기 제1가이드바(210) 일측에 상기 제1안내판재(240) 타측에 고정된 제1케이블제어판(260)이 유도되도록 가이드 역할을 하는 제1보조가이드바(270)가 형성되어 상기 제1안내판재(240)의 제1케이블제어판(260)이 제1보조가이드바(270)의 길이방향에 유도되는 상/하부의 길이에 제약을 줌으로서, 상기 제1안내판재(240)의 제1가이드바(210)에 이동거리를 제한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보조가이드바(270) 하단부에 상기 제1안내판재(240)의 제1케이블제어판(260)이 위치하게 되거나 제1보조가이드바(270)의 하단부의 정위치에 도달되었음을 제어하도록 상기 제1보조가이드바(270) 하단부에 제1케이블고정부(271)가 형성되어 더 이상의 위치이동을 제한하게 된다.
그리고, 도 3, 도 18 및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안내판재(240) 일측에 형성된 실린더(250)에 연계된 수평의 텐션바(251)가 형성되어 상기 텐션바(251)의 끝단에 와이어(20)의 일면이 안착 즉, 걸리게 되면, 상기 실린더(250)의 작동에 의해 상기 텐션바(251)가 소정의 기울기로 작동되도록 하여 와이어(20)의 텐션을 조절하도록 제공한다.
즉, 상기 텐션바(251)의 끝단에 와이어(20)가 안착되어 걸리게 되면 상기 실린더(250)가 작동되어 상기 텐션바(251)가 상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이동하게 되며, 그 후 다시 실린더(250)가 작동되어 텐션바(251)가 하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이동하여 제공된다.
물론, 상기 실린더(250)의 작동에 따른 텐션바(251)의 움직임은 상기 제1가이드바(210)로 이동되는 제1안내판재(240)의 이동과 연동되도록 제공된다.
[제2가이드부재]
도 4,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테이블(110) 상판(120)의 상부 타측에 수직으로 축설되며, 상단부에 형성된 제2모터(320)에 의해 연동되어 제1그립퍼(380)를 상/하로 이동하는 제2가이드부재(300)에 있어서, 상기 제2가이드부재(300)는 상판(120)의 타측으로 축설되어 형성된 제2가이드바(310)와, 상기 제2가이드바(310) 상단부에 형성된 제2모터(320)와, 상기 제2모터(320)의 회전에 구동되는 제2회전봉(330)과, 상기 제2회전봉(330)에 내삽되어 상/하부로 이동되는 제2안내판재(340)와, 상기 제2안내판재(340) 후면에 장착된 한쌍의 제2결속레일(341)이 결속되어 상기 제2안내판재(340)의 이동을 유도하도록 제2가이드바(310) 양측에 각각 형성된 안내레일(311)과, 상기 제2안내판재(340) 하부 일측에 형성된 제1회전모터(350)에 의해 수평으로 연계되며, 일측단에 한쌍의 제1그립(382)이 형성된 제1그립구동부(381)가 구비된 제1그립퍼(380)와, 상기 제2안내판재(340) 상부 일측에 고정된 제2케이블제어판(360)이 이동되며, 상기 제2가이드바(310) 일측에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어 하단부 제2케이블고정부(371)가 형성된 제2보조가이드바(370)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제2모터(320)의 구동에 의해 제2회전봉(330)이 회전하여 제2안내판재(340)를 상/하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제2안내판재(340)의 상/하로 이동됨에 구속없이 자유로이 이동을 유도하도록 상기 제2안내판재(340) 후면에 형성된 한쌍의 제2결속레일(341)이 제2가이드바(310) 양측에 각각 형성된 안내레일(311)에 구속되어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제1그립퍼(380)는 제2안내판재(340) 하부 일측에 형성된 제1회전모터(350)가 구비되며, 상기 제1회전모터(350) 전방 즉, 일측으로 연계된 제1그립구동부(381)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1회전모터(350) 일측에 연계된 제1그립구동부(381)가 형성되며, 상기 제1회전모터(350)의 구동에 의해 제1그립구동부(381)가 일체로 소정의 각도로 회전을 하게 된다.
도 6, 도 16 및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그립구동부(381) 일측단에 한쌍의 제1그립(382)이 형성되며, 상기 제1그립구동부(381)의 작동에 의해 상기 제1그립(382)이 양측으로 벌려지거나 각각의 제1그립(382) 일면이 면접하도록 수평으로 나란히 오므라지는 작동을 하게 된다. 즉, 상기 제1그립(382)은 제1그립구동부(381)의 작동에 의해 한쌍의 제1그립(382)을 수평으로 서로 대면하여 나란히 형성되어 와이어(20)를 잡아주게 되고, 상기 제1그립(382)이 양측으로 벌어지게 되면 와이어(20)를 비접촉상태로 놓아주는 형태를 가지게 된다.
이는, 와이어(20)의 일면을 잡거나 풀어주는 형태로 제1그립작동부(381)에 의해 제1그립(382)이 작동하는 것으로 상기 제1그립작동부(381)에 의해 제1그립(382)의 연동으로 인해 와이어(20)의 잡음(grip) 또는 풀림(ungrip)을 반복하도록 제공된다.
도 16과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회전모터(350)는 제1그립(382)과 제1그립구동부(382)의 일체를 회전시키도록 하는 것으로 180° 정회전 또는 180° 역회전을 하도록 구동되는 제1회전모터(350)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제2보조가이드바(370)가 형성되어 상기 제2안내판재(340) 상부 일측에 제2케이블제어판(360)을 인도하는 것으로 상기 제2케이블제어판(360)이 상기 제2보조가이드바(370)를 이동하면서 상기 제2안내판재(340)의 위치를 제어하여 주는 제2보조가이드바(370) 일면에 제2케이블고정부(371)가 형성되어 제공된다.
[제3가이드부재]
도 7과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테이블(110) 상판(120)의 하부 일측에 수직으로 하향축설되며, 하단부에 형성된 제3모터(420)에 의해 연동되어 제2그립퍼(480)를 상/하로 이동하는 제3가이드부재(400)에 있어서, 상기 제3가이드부재(400)는 상판(120)의 하측으로 하향축설되어 형성된 제3가이드바(410)와, 상기 제3가이드바(410) 하단부에 형성된 제3모터(420)와, 상기 제3모터(420)의 회전에 구동되는 제3회전봉(430)과, 상기 제3회전봉(430)에 내삽되어 상/하부로 이동되는 제3안내판재(440)와, 상기 제3안내판재(440) 후면에 장착된 한쌍의 제3결속레일(441)이 결속되어 상기 제3안내판재(440)의 이동을 유도하도록 제3가이드바(410) 양측에 각각 형성된 안내레일(411)과, 상기 제3안내판재(440) 상부 일측에 형성된 제2회전모터(450)에 의해 수평으로 연계되며, 일측단에 한쌍의 제2그립(482)이 형성된 제2그립구동부(481)가 구비된 제2그립퍼(480)와, 상기 제3안내판재(440) 상부 일측에 고정된 제3케이블제어판(460)이 이동되며, 상기 제3가이드바(410) 일측에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어 하단부 제3케이블고정부(471)가 형성된 제3보조가이드바(470)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제3가이드바(410)의 하단부에 형성된 제3모터(420)의 구동에 의해 제3회전봉(430)이 회전을 하면서 상기 제3회전봉(430)에 구속된 제3안내판재(440)가 상/하로 이동을 하게 된다.
물론, 상기 제3안내판재(440)의 이동을 유도하도록 상기 제3가이드바(410)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안내레일(411)이 형성되고, 상기 안내레일(411)에 결속되어 제3안내판재(440)가 이동을 하도록 유도하는 상기 제3안내판재(440) 후면에 한쌍의 제3결속레일(441)이 형성되어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제3안내판재(440)의 상부 일측에 제2회전모터(450)가 구비되고, 상기 제2회전모터(450)와 수평으로 연계된 제2그립구동부(481)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2그립구동부(481) 일측단에 한쌍의 제2그립(481)이 형성되어 있다.
도 21과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2그립퍼(480)에 있어 상기 제2그립(482)과 연계된 제2그립구동부(481) 일체를 180° 정회전 또는 180° 역회전을 구동하도록 제2회전모터(450)가 작동되며, 동시에 상기 제2그립구동부(481)의 작동에 의해 한쌍의 제2그립(482)이 양측으로 벌어지거나 제2그립(482)의 일면이 각각 면접하도록 상기 제2그립(482)이 수평상태로 나란히 배열되도록 하는 작동을 하게 된다.
이는 도 18과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2그립(482)의 펼침 또는 접힘으로 인해 와이어(20)를 상기 제2그립(482)과 제2그립(482)사이에 잡음으로 와이어(20)를 제2그립(482)에 결속되어지거나 결속된 와이어(20)를 비결속상태로 진행하기 위해 각각의 제2그립(482)을 제2그립구동부(481)의 일면 양측으로 벌어져 와이어(20)를 비접촉상태로 유지하게 된다.
[안착부재]
도 10,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테이블(110) 상판(120)의 일단부에 일면이 절개된 관통홈(131)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홈(131) 외주의 상판(120) 일면에 높이조절이 가능한 복수개의 조절나사(132)가 등간격의 원주형으로 설치되는 안착부재(130)에 있어, 등간격으로 원주형으로 배열되어 설치되는 복수개의 조절나사(132)의 상면에 페라이트 코어(10)의 하면이 안착되어 제공되며, 상기 조절나사(132)는 상판(120)을 관통하여 상판(120)의 상/하면을 연계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조절나사(132)를 스프링(미도시)에 의해 조절나사(132)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으로 조절나사에 스프링(미도시)이 내삽되어 조절나사(132) 상부로 페라이트 코어(10)가 안착되면 조절나사(132)를 조절하여 높이를 조절하도록 제공된다.
[코어회전부재]
도 9에서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테이블(110) 상판(120)의 일면에 페라이트 코어(10)를 안착시키는 안착부재(130)의 외주면에 코어가이드(515)가 형성되고, 상기 코어가이드(515) 외주면에 틸팅부재(510)가 형성되고, 상기 틸팅부재(510)와 연동되는 코어그립부재(520)가 형성되고, 상기 코어그립부재(520) 상부에 감겨지는 와이어(20)를 페라이트 코어(10)에 밀착시켜주는 밀착부재(530)로 구성되는 코어회전부재(500)에 있어서, 상기 코어회전부재(500)의 틸팅부재(510)는 테이블(110) 상판에(120) 고정되는 반구형상을 가진 링형태의 유도가이드(511)와, 상기 유도가이드(511) 상부에 안착되어 회전을 하며, 내주면에 단차지게 제1단차부(513)가 형성되고, 외주면에 톱니부(514)가 형성된 반구형상을 가진 링형태의 제1구동기어(512)와, 상기 제1구동기어(512)의 내주면에 면접하여 테이블(110)의 상판(120) 일면에 고정되며, 제1구동기어(512)의 제1단차부(513)에 구속되도록 외주면에 제2단차부(516)가 형성된 반구형상을 가진 링형태의 코어가이드(515)와, 상기 제1구동기어(512)의 톱니부(514)와 맞물려 제1구동기어(512)를 회전하도록 제2구동기어(518)가 장착되어 테이블(110) 상판(120)의 일면에 설치된 제1서브모터(517)로 구성되어 제공된다.
도 10에서 도 13에 나타낸 바와같이 상기 제1서브모터(517)의 작동에 의해 제2구동기어(518)가 구동되며, 상기 제2구동기어(518)의 작동에 의해 제1구동기어(512)가 연동되어 제공된다.
이때, 상기 제1구동기어(512)는 상기 제1구동기어(512) 하부에 형성된 반구형상을 가진 링형태의 유도가이드(511)를 기준으로 회전을 하게 되며, 동시에 상기 제1구동기어(512)의 내주면에 형성된 제1단차부(513)에 코어가이드(515)의 제2단차부(516)에 구속되어 제1구동기어(512)의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로 작용을 하게 된다.
상기 유도가이드(511)는 제1구동기어(512)의 회전을 유도하는 역할로 제공되고, 상기 코어가이드(515)는 제1구동기어(512)의 회전시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로 제공된다.
그리고, 도 12와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틸팅부재(510)의 제1구동기어(512) 상면에 설치되는 제3그립구동부(521)가 형성되고, 상기 제3그립구동부(521)의 일측에 연계되어 내측에 반구형의 수용부(523)가 형성된 좌우대칭으로 한쌍이 형성된 제3그립(522)이 형성되는 코어그립부재(520)가 제공된다.
상기 틸팅부재(510)의 제1구동기어(512)의 상면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제1구동기어(512)의 연동으로 동시에 이동되도록 코어그립부재(520)가 형성되고, 상기 코어그립부재(520)의 제3그립구동부(521)의 작동에 의해 상기 제3그립구동부(521) 일측에 연계된 제3그립(522)을 양측으로 펼쳐짐과 오므라짐을 반복하게 된다.
즉, 상기 테이블(110) 상판(120)의 일면에 페라이트 코어(10)를 안착하는 안착부재(130)에 상기 안착부재(130) 상부에 제3그립구동부(521)의 제3그립(522)이 형성되며, 이때 설치된 페라이트 코어(10)의 외주면을 상기 제3그립(522)의 내측에 형성된 수용부(523)가 밀착하여 잡게 된다.
이렇게 제3그립(522)의 내주에 밀착된 페라이트 코어(10)에 와이어(20)의 감김에 따라 상기 제1서브모터(517)의 작동에 의해 제2구동기어(518)의 구동에 의해 제1구동기어(512)가 연동하게 되며, 이에 제1구동기어(512)가 일정 길이로 회전을 하는 동시에 코어그립부재(520)가 동시에 회전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구동기어(512)가 일정 길이로 회전을 하게 되면, 상기 페라이트 코어(10)의 외주면을 잡고 있던 코어그립부재(520)의 제3그립(522)이 양측으로 벌어져 상기 페라이트 코어(10)와 제3그립(522)이 비접촉상태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렇게 상기 페라이트 코어(10)를 제1구동기어(512)의 회전 길이만큼 회전하게 되며, 상기 제3그립(522)이 펼쳐진 형태에서 다시 제1서브모터(517)의 작동에 의해 제2구동기어(518)가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제1구동기어(512)를 원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이때 원상태로 복귀되는 제1구동기어(512)의 상면에 고정된 코어그립부재(520)도 원상태로 복귀되며, 상기 코어그립부재(520)가 복귀되는 동시에 제3그립(522)이 다시 페라이트 코어(10)의 외주면을 접촉하여 잡게 된다.
도 25와 같이 이렇게 상기 페라이트 코어(10)의 외주와 내주 일체를 연결하여 감겨지는 와이어(20)에 있어 상기 틸팅부재(510)와 상기 틸팅부재(510)와 연동되는 코어그립부재(520)가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상기 페라이트 코어(10)에 와이어(20)를 등간격으로 감겨지게 된다.
그리고, 도 15와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코어그립부재(520) 상부에 감겨지는 와이어(20)를 페라이트 코어(10)에 밀착시켜주는 밀착부재(530)로서, 상기 테이블(110) 상판(120)의 하면에 설치된 제2서브모터(531)와, 상기 제2서브모터(531)의 일측에 연계되어 상판의 결속구(121)를 통해 상향 돌출되는 제1회전축(532)과, 상기 제1회전축(532)의 단부에 상/하로 회동하도록 일측과 제1힌지(533)로 연결되며, 타측은 일면이 절개된 밀착홈(535)이 형성되는 밀착판넬(534)과, 상기 밀착판넬(534)의 중앙 양측에 제2힌지(537)로 결속되어 상판(120)의 일면에 고정된 이격된 한쌍의 고정판(536)으로 구성되어 제공된다.
상기 제2서브모터(531)의 작동에 의해 제1회전축(532)이 소정의 길이로 상/하로 이동하게 되며, 이때 상기 제2서브모터(531)의 일측에 연계된 제1회전축(532)이 상/하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1회전축(532)의 단부에 제1힌지(533)로 연결된 밀착판넬(534)이 상부로 이동하며, 동시에 상기 밀착판넬(534) 중앙에 제2힌지(537)로 연결된 고정축(536)에 의해 지릿대의 원리와 같이 상기 밀착홈(535)이 형성된 밀착판넬(534)의 타측이 상/하로 작동하게 된다.
즉, 상기 제1회전축(532)이 상향하게 되면, 상기 밀착판넬(534)의 중앙에 형성된 고정판(536)에 의해 상기 밀착홈(535)이 형성된 밀착판넬(534) 타측이 하향하게 되며, 반대로 제1회전축(532)이 하향하게 되면, 상기 밀착판넬(534)의 타측이 상향하게 된다.
이에, 도 16에서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노이즈 필터(Noise Filter) 자동 권선기(100)의 기술구성요소에 의해 와이어(20)를 페라이트 코어(10)에 감겨지는 작동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6과 같이 안착부재(130)의 조절나사(132) 상부에 페라이트 코어(10)를 설치하는 제1단계와,
도 16과 같이 상기 안착부재(130)에 설치된 페라이트 코어(10) 외주면을 코어그립부재(520)의 제3그립(522)의 수용부(523)와 면접하여 밀착시키는 제2단계와,
도 16에서 도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2가이드부재(300)의 제2안내판재(340) 제1그립(382)이 와이어(20)를 잡은 후, 제2안내판재(340)의 제1그립퍼(380)가 제1회전모터(350)에 의해 180° 정회전을 하면서 상기 제2안내판재(340)가 제2가이드바(310)의 하향으로 이동하는 제3단계와,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2가이드바(310)를 따라 이동되는 제2안내판재(340)의 제1그립(382)에 잡혀진 와이어(20)의 일면이 제1가이드부재(200)의 제1안내판재(240) 텐션바(251) 끝단에 걸려 상기 제1안내판재(240)가 제1가이드바(210)의 하향으로 이동하는 제4단계와,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2안내판재(340)가 상판(12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제2가이드바(310)를 따라 이동되면서 제2안내판재(340)의 제1그립(382)에 잡혀진 와이어(20)가 밀착부재(530) 밀착판넬(534)의 밀착홈(535)을 통과하여 페라이트 코어(10)의 내주면을 통해 상판(120)의 끝단에 형성된 관통홈(131)을 통과하여 와이어(20)가 상판(120)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하는 제5단계와,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상판(120) 하부로 돌출된 와이어(20) 일면을 제3가이드부재(400)의 제3안내판재(440) 제2그립(482)이 잡는 동시에 상기 제2안내판재(340)의 제1그립(382)이 양측으로 벌어져 와이어(20)를 비접촉시키는 제6단계와,
도 19와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20)를 접촉시킨 제2그립(482)의 제3안내판재(440)가 제3가이드바(410)를 따라 하향이동되는 동시에 제1안내판재(240)의 텐션바(251)가 소정의 각도로 하향되는 제7단계와,
도 21과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3가이드바(410) 하부에 이동된 제3안내판재(440)가 상기 제3안내판재(440)의 제2회전모터(450)에 의해 제3안내판재(440)의 제2그립퍼(480)를 180° 정회전하는 동시에 상기 제2안내판재(340)의 제1그립(382)이 텐션바(251)에 결속되어 수직의 하향으로 형성된 와이어(20) 일면을 잡는 제8단계와,
도 22와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2안내판재(340)의 제1그립(382)에 잡혀진 와이어(20)를 제1회전모터(350)의 작동에 의해 제1그립퍼(380)가 180° 역회전하고, 다시 제2가이드바(310)를 따라 제2안내판재(340)가 상판(120) 하부에 위치하도록 이동하고, 이동된 제2안내판재(340)의 제1그립(382)이 양측으로 벌어져 와이어(20)를 비접촉시키는 제9단계와,
도 23, 도 24 및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3가이드바(410)의 하부에 위치한 제3안내판재(440)가 제3가이드바(410)를 따라 상향으로 이동되어 제3안내판재(440)의 제2그립(482)이 양측으로 벌어져 와이어(20)를 비접촉시키며, 동시에 상기 제2안내판재(340)의 제1그립(382)이 와이어(20) 일면을 잡는 제10단계와,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20)를 접촉시킨 제1그립(382)의 제2안내판재(340)가 제2가이드바(310)를 따라 상향으로 이동되면서, 동시에 제1안내판재(240)가 제1가이드바(210)를 따라 이동하게 되며, 이때 상기 제3안내판재(440)의 제2회전모터(350)에 의해 제2그립퍼(380)가 180° 역회전을 하는 제11단계와,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밀착부재(530)의 제2서브모터(531)가 정회전으로 작동되어 밀착판넬(534)이 상향되는 동시에 상기 코어회전부재(520)의 제1서브모터(517)의 정회전 작동에 의해 제1구동기어(512)가 일측방향으로 회전하며, 동시에 코아그릴부재(520)가 일측으로 회전하는 제12단계와,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일측방향으로 코아그릴부재(520)가 회전 후 상기 코아그릴부재(520)의 제3그립구동부(521)가 작동하여 제3그립(522)에 밀착된 페라이트 코아(10)를 비접촉시키게 되고, 상기 제1서브모터(517)의 역회전 작동에 의해 제1구동기어(512)가 원상태로 복귀되면서 동시에 코아그립부재(520)의 제3그립(522)이 페라이트 코어(10) 외주면을 밀착하는 제13단계와,
도 25와 같이 상기 코아그립부재(420)의 제3그립(522)이 페라이트 코어(10)를 밀착 후 밀착부재(530)의 제2서브모터(531)가 역회전으로 작동하여 밀착판넬(534)이 하향으로 이동되는 제14단계로 구성되는 노이즈 필터(Noise Filter) 자동 권선기의 작동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1단계에서 도 14단계까지의 일련의 작동방법이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서, 페라이트 코어(10)에 와이어(20)를 감겨지게 된다.
또한,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작동방법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페라이트 코어 : 10, 와이어 : 20, 자동 권선기 : 100, 테이블 : 110, 상판 : 120, 결속구 : 121, 안착부재 : 130, 관통홈 : 131, 조절나사 : 132, 제1가이드부재 : 200, 제1가이드바 : 210, 안내레일 : 211, 제1모터 : 220, 제1회전봉 : 230, 제1안내판재 : 240, 제1결속레일 : 241, 실린더 : 250, 텐션바 : 251, 제1케이블제어판 : 260, 제1보조가이드바 : 270, 제1케이블고정부 : 271, 제2가이드부재 : 300, 제2가이드바 : 310, 안내레일 : 311, 제2모터 : 320, 제2회전봉 : 330, 제2안내판재 : 340, 제2결속레일 : 341, 제1회전모터 : 350, 제2케이블제어판 : 360, 제2보조가이드바 : 370, 제2케이블고정부 : 371, 제1그립퍼 : 380, 제1그립구동부 : 381, 제1그립 : 382, 제3가이드부재 : 400, 제3가이드바 : 410, 안내레일 : 411, 제3모터 : 420, 제3회전봉 : 430, 제3안내판재 : 440, 제3결속레일 : 441, 제2회전모터 : 450, 제3케이블제어판 : 460, 제3보조가이드바 : 470, 제3케이블고정부 : 471, 제2그립퍼 : 480, 제2그립구동부 : 481, 제2그립 : 482, 코어회전부재 : 500, 틸팅부재 : 510, 유도가이드 : 511, 제1구동기어 : 512, 제1단차부 : 513, 톱니부 : 514, 코어가이드 : 515, 제2단차부 : 516, 제1서브모터 : 517, 제2구동기어 : 518, 코아그릴부재 : 520, 제3그립구동부 : 521, 제3그립 : 522, 수용부 : 523, 밀착부재 : 530, 제2서브모터 : 531, 제1회전축 : 532, 제1힌지 : 533, 밀착판넬 : 534, 밀착홈 : 535, 고정판 : 536, 제2힌지 : 537

Claims (7)

  1. 링형태의 페라이트 코어(10)에 와이어(20)를 감기 위한 노이즈 필터(Noise Filter) 자동 권선기(100)에 있어서,
    테이블(110) 상판(120)의 상부 일측에 수직으로 축설되며, 상단부에 형성된 제1모터(220)에 의해 연동되며, 와이어(20)의 텐션을 조절하면서 상/하로 이동하는 제1가이드부재(200);와,
    상기 테이블(110) 상판(120)의 상부 타측에 수직으로 축설되며, 상단부에 형성된 제2모터(320)에 의해 연동되고, 와이어(20)의 접촉 또는 비접촉을 작동하는 제1그립퍼(380)를 형성하여 상/하로 이동하는 제2가이드부재(300);와,
    상기 테이블(110) 상판(120)의 하부 일측에 수직으로 하향축설되며, 하단부에 형성된 제3모터(420)에 의해 연동되며, 와이어의 접촉 또는 비접촉을 작동하는 제2그립퍼(480)를 상/하로 이동하는 제3가이드부재(400);와,
    상기 테이블(110) 상판(120)의 일단부에 일면이 절개된 관통홈(131)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홈(131) 외주의 상판(120) 일면에 높이조절이 가능한 복수개의 조절나사(132)가 등간격의 원주형으로 설치되는 안착부재(130) 및, 상기 안착부재(130)의 외주면에 코어가이드(515)가 형성되고, 상기 코어가이드(515) 외주면에 틸팅부재(510)가 형성되고, 상기 틸팅부재(510)와 연동되는 코어그립부재(520)가 형성되고, 상기 코어그립부재(520) 상부에 감겨지는 와이어(20)를 페라이트 코어(10)에 밀착시켜주는 밀착부재(530);로 구성되는 코어회전부재(50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이즈 필터 자동 권선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부재(100)는,
    상판(110)의 일측으로 축설되어 형성된 제1가이드바(210)와,
    상기 제1가이드바(210) 상단부에 형성된 제1모터(220)와,
    상기 제1모터(220)의 회전에 구동되는 제1회전봉(230)과,
    상기 제1회전봉(230)에 내삽되어 상/하부로 이동되는 제1안내판재(240)와,
    상기 제1안내판재(240) 후면에 장착된 한쌍의 제1결속레일(241)이 결속되어 상기 제1안내판재(240)의 이동을 유도하도록 제1가이드바(210)) 양측에 각각 형성된 안내레일(211)과,
    상기 제1안내판재(240) 일측에 형성된 실린더(250)에 연계되어 수평으로 형성된 소정의 각도로 상/하향 이동되는 텐션바(251)와,
    상기 제1안내판재(240) 타측에 고정된 제1케이블제어판(260)이 이동되며, 상기 제1가이드바(210) 일측에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어 하단부 제1케이블고정부(271)가 형성된 제1보조가이드바(270)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이즈 필터 자동 권선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110) 상판(120)의 상부 타측에 수직으로 축설되며, 상단부에 형성된 제2모터(320)에 의해 연동되어 제1그립퍼(380)를 상/하로 이동하는 제2가이드부재(300)에 있어서,
    상기 제2가이드부재(300)는 상판(120)의 타측으로 축설되어 형성된 제2가이드바(310)와,
    상기 제2가이드바(310) 상단부에 형성된 제2모터(320)와,
    상기 제2모터(320)의 회전에 구동되는 제2회전봉(330)과,
    상기 제2회전봉(330)에 내삽되어 상/하부로 이동되는 제2안내판재(340)와,
    상기 제2안내판재(340) 후면에 장착된 한쌍의 제2결속레일(341)이 결속되어 상기 제2안내판재(340)의 이동을 유도하도록 제2가이드바(310) 양측에 각각 형성된 안내레일(311)과,
    상기 제2안내판재(340) 하부 일측에 형성된 제1회전모터(350)에 의해 수평으로 연계되며, 일측단에 한쌍의 제1그립(382)이 형성된 제1그립구동부(381)가 구비된 제1그립퍼(380)와,
    상기 제2안내판재(340) 상부 일측에 고정된 제2케이블제어판(360)이 이동되며, 상기 제2가이드바(310) 일측에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어 하단부 제2케이블고정부(371)가 형성된 제2보조가이드바(370)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이즈 필터 자동 권선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110) 상판(120)의 하부 일측에 수직으로 하향축설되며, 하단부에 형성된 제3모터(420)에 의해 연동되어 제2그립퍼(480)를 상/하로 이동하는 제3가이드부재(400)에 있어서,
    상기 제3가이드부재(400)는 상판(120)의 하측으로 하향축설되어 형성된 제3가이드바(410)와,
    상기 제3가이드바(410) 하단부에 형성된 제3모터(420)와,
    상기 제3모터(420)의 회전에 구동되는 제3회전봉(430)과,
    상기 제3회전봉(430)에 내삽되어 상/하부로 이동되는 제3안내판재(440)와,
    상기 제3안내판재(440) 후면에 장착된 한쌍의 제3결속레일(441)이 결속되어 상기 제3안내판재(440)의 이동을 유도하도록 제3가이드바(410) 양측에 각각 형성된 안내레일(411)과,
    상기 제3안내판재(440) 상부 일측에 형성된 제2회전모터(450)에 의해 수평으로 연계되며, 일측단에 한쌍의 제2그립(482)이 형성된 제2그립구동부(481)가 구비된 제2그립퍼(480)와,
    상기 제3안내판재(440) 상부 일측에 고정된 제3케이블제어판(460)이 이동되며, 상기 제3가이드바(410) 일측에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어 하단부 제3케이블고정부(471)가 형성된 제3보조가이드바(470)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이즈 필터 자동 권선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회전부재(500)의 틸팅부재(510)는,
    테이블(110) 상판에(120) 고정되는 반구형상을 가진 링형태의 유도가이드(511)와,
    상기 유도가이드(511) 상부에 안착되어 회전을 하며, 내주면에 단차지게 제1단차부(513)가 형성되고, 외주면에 톱니부(514)가 형성된 반구형상을 가진 링형태의 제1구동기어(512)와,
    상기 제1구동기어(512)의 내주면에 면접하여 테이블(110)의 상판(120) 일면에 고정되며, 제1구동기어(512)의 제1단차부(513)에 구속되도록 외주면에 제2단차부(516)가 형성된 반구형상을 가진 링형태의 코어가이드(515)와,
    상기 제1구동기어(512)의 톱니부(514)와 맞물려 제1구동기어(512)를 회전하도록 제2구동기어(518)가 장착되어 테이블(110) 상판(120)의 일면에 설치된 제1서브모터(517)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이즈 필터 자동 권선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아그립부재는,
    상기 틸팅부재(510)의 제1구동기어(512) 상면에 설치되는 제3그립구동부(521)가 형성되고, 상기 제3그립구동부(521)의 일측에 연계되어 내측에 반구형의 수용부(523)가 형성된 좌우대칭으로 한쌍이 형성된 제3그립(52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이즈 필터 자동 권선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그립부재(520) 상부에 감겨지는 와이어(20)를 페라이트 코어(10)에 밀착시켜주는 밀착부재(530)는,
    상기 테이블(110) 상판(120)의 하면에 설치된 제2서브모터(531)와,
    상기 제2서브모터(531)의 일측에 연계되어 상판의 결속구(121)를 통해 상향 돌출되는 제1회전축(532)과,
    상기 제1회전축(532)의 단부에 상/하로 회동하도록 일측과 제1힌지(533)로 연결되며, 타측은 일면이 절개된 밀착홈(535)이 형성되는 밀착판넬(534)과,
    상기 밀착판넬(534)의 중앙 양측에 제2힌지(537)로 결속되어 상판(120)의 일면에 고정된 이격된 한쌍의 고정판(536)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이즈 필터 자동 권선기.
KR1020100128385A 2010-12-15 2010-12-15 노이즈 필터 자동 권선기 KR1011541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8385A KR101154177B1 (ko) 2010-12-15 2010-12-15 노이즈 필터 자동 권선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8385A KR101154177B1 (ko) 2010-12-15 2010-12-15 노이즈 필터 자동 권선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4177B1 true KR101154177B1 (ko) 2012-06-14

Family

ID=46607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8385A KR101154177B1 (ko) 2010-12-15 2010-12-15 노이즈 필터 자동 권선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417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4330B1 (ko) 2013-12-26 2014-12-18 이순심 선감개
KR102240420B1 (ko) * 2020-05-12 2021-04-14 (주)화진전기산업 트로이달 코일 권선기
CN114540995A (zh) * 2022-03-31 2022-05-27 安徽中纤新材料有限公司 一种用于玻璃纤维短切丝加工用梳理装置及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20564A (ko) * 2005-03-31 2007-12-24 티엠4 인코포레이티드 사각형 와이어 권선 장치
KR101039207B1 (ko) 2007-11-29 2011-06-03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권선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20564A (ko) * 2005-03-31 2007-12-24 티엠4 인코포레이티드 사각형 와이어 권선 장치
KR101039207B1 (ko) 2007-11-29 2011-06-03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권선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4330B1 (ko) 2013-12-26 2014-12-18 이순심 선감개
KR102240420B1 (ko) * 2020-05-12 2021-04-14 (주)화진전기산업 트로이달 코일 권선기
CN114540995A (zh) * 2022-03-31 2022-05-27 安徽中纤新材料有限公司 一种用于玻璃纤维短切丝加工用梳理装置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2142413U (zh) 高频变压器自动装磁芯包胶机
KR101154177B1 (ko) 노이즈 필터 자동 권선기
CN107731511B (zh) 主轴箱循环机构及其控制方法、绕线机及其绕线方法
CN110875130A (zh) 变压器穿管绕线包胶一体机
CN114121478A (zh) 用于变压器铁芯的绕组装置
CN109300684A (zh) 一种新型打线机
CN205069377U (zh) 一种变压器自动绕线一体机中的输送装置
KR20130029761A (ko) 변압기를 조립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N108637937A (zh) 一种基于耦合电容器加工用固定装置
CN205039071U (zh) 一种变压器自动绕线一体机中的绕线装置
US6073336A (en) Method for stator coil lacing
CN212113460U (zh) 一种变压器绕线机
KR101474330B1 (ko) 선감개
CN109065358A (zh) 网络滤波器引脚绕线治具
JP2011129704A (ja) 巻線方法及び巻線装置並びにアンテナ
CN206657725U (zh) 一种便于绕线的变压器绕线机架
CN114194460A (zh) 一种用于电缆电线的捆扎机及其捆扎方法
CN208174499U (zh) 一种直流电机主极线圈绕线装置
KR101865930B1 (ko) 일체형 2 스테이지 라인 필터, 그 제조 방법 및 교류 전원 장치
CN112986630A (zh) 一种高频变压器测试工装及其使用方法
CN207474265U (zh) 一种具有切断功能的空心电感线圈绕线装置
CN205815605U (zh) 一种smd磁芯用银浆移动式搅拌装置
CN213183959U (zh) 一种变压器线圈压接设备
KR102240420B1 (ko) 트로이달 코일 권선기
CN114220625B (zh) 一种抗电磁干扰的卧式共模大功率环形电感及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