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4063B1 -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4063B1
KR101154063B1 KR1020080004792A KR20080004792A KR101154063B1 KR 101154063 B1 KR101154063 B1 KR 101154063B1 KR 1020080004792 A KR1020080004792 A KR 1020080004792A KR 20080004792 A KR20080004792 A KR 20080004792A KR 101154063 B1 KR101154063 B1 KR 1011540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styrene
thermoplastic resin
resin composition
rub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4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8929A (ko
Inventor
차성제
김성룡
김동철
유재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0800047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4063B1/ko
Publication of KR200900789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89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40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40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btained by polymerisation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23/00 - C08L53/00
    • C08L55/02ABS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12Polymerisation in non-solvents
    • C08F2/16Aqueous medium
    • C08F2/22Emulsion polymeri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79/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monomers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as defined in group C08F36/00
    • C08F279/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monomers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as defined in group C08F36/00 on to polymers of conjugated dienes
    • C08F279/04Vinyl aromatic monomers and nitriles as the only mono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8Copolymers of styrene
    • C08L25/12Copolymers of styrene with unsaturated nitri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00/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unspecified polymers
    • C08J2300/22Thermoplastic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666/00Composition of polymers characterized by a further compound in the blend, be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inorganic substances or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66Substance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78Stabilisers against oxidation, heat, light or ozo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Graft Or Block Polym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A) 평균입경이 0.2 ㎛ 내지 0.5 ㎛인 공액디엔 고무 라텍스,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방향족 비닐 화합물 및 비닐시안 화합물의 단량체가 혼합되어 형성되는 고무변성 그라프트 공중합체 5 내지 40 중량%; (B) 평균입경이 0.5 ㎛ 내지 10.0 ㎛인 부타디엔계 고무를 포함하여 연속식 괴상중합에 의해 형성되는 연속식 괴상중합 고무변성 그라프트 공중합체 50 내지 90 중량%; 및(C)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계 공중합체 5 내지 40 중량%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겔 함량이 낮아 압출 쉬트 제조시 표면 특성이 우수하며, 인장강도, 충격강도 및 열안정성이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유화중합, 괴상중합,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고무변성 그라프트 공중합체,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계 공중합체

Description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본 발명은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낮은 겔 함량을 가지면서 인장강도, 충격강도 및 열안정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압출 시트용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ABS) 수지는 내충격성 뿐만 아니라 가공성, 착색성, 광택 등의 측면에서도 매우 우수한 특성을 가지고 있어, 일반적으로 냉장고 내상용 또는 전기? 전자 하우징 및 기타 자동차 내?외장재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최근 산업이 선진화되고 생활이 다양해짐에 따라 그 용도는 보다 다양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즉, 표면 특성이 우수한 압출 쉬트 용도로서의 열가소성 수지는 전자제품의 캐리어 테이프에 적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서트 필름용 배킹 쉬트(backing sheet)에도 적용될 수 있다.
ABS 수지의 표면 특성을 향상 시키기 위해서는 수지 내에 포함된 수십 ~ 수백 마이크로미터 크기의 겔 함량을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 ABS 수지내의 겔은 중합 방법에 따른 공정상 대부분 고무 단량체들이 엉겨붙어 최종 제품의 외관에 나타나는 것으로 완전히 제거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물론 이러한 박막형 압출 쉬트는 ABS 수지가 가진 기본적인 인장강도 및 충격강도 등과 같은 기계적 물성을 유지해야 한다.
이러한 ABS 수지의 겔의 함량을 개선하는 종래 기술은 중합 방법상 연속식 괴상 중합을 도입하거나 압출 쉬트 제조 시 높은 메쉬를 사용하는 방법 등이 있다.
대한민국특허 제2007-0083042호는 캐리어 테이프에 적용 가능한 박막형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연속식 괴상 중합 방법을 이용한 ABS 수지 도입을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이 방법은 기본적인 수지의 기계적 물성이 유화중합 ABS 수지의 물성에 비해 저하 되어, 다양한 압출 박막형 쉬트 적용에 한계를 가지고 있다.
또한, 박막형 쉬트를 제조하기 위한 압출 공정 중 높은 메쉬를 사용하는 방법은 압출 중 수지의 밴트 업 (vent-up) 현상을 초래하며 생산성 저하와 수지 가공 중 높은 열이력을 받게 하여 최종 제품의 열 안정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쉬트 표면 특성을 향상 시키기 위한 압출 가공폴리싱 롤의 온도 및 기타 조건 조절은 쉬트 압출 후 양호한 쉬트 표면 품질을 제공할 수 있으나, 압출 쉬트의 진공성형등과 같은 2차 가공중에 겔로 인한 표면 품질 문제가 다시 발생할 수가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겔 함량이 낮아 압출 쉬트 제조시 표면 특성이 우수하며, 인장강도, 충격강도 및 열안정성이 모두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기타 목적들은 하기 설명된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A) 평균입경이 0.2 ㎛ 내지 0.5 ㎛인 공액디엔 고무 라텍스,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방향족 비닐 화합물 및 비닐시안 화합물의 단량체가 혼합되어 형성되는 고무변성 그라프트 공중합체 5 내지 40 중량%;
(B) 평균입경이 0.5 ㎛ 내지 10.0 ㎛인 부타디엔계 고무를 포함하여 연속식 괴상중합에 의해 형성되는 연속식 괴상중합 고무변성 그라프트 공중합체 50 내지 90 중량%; 및
(C)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계 공중합체 5 내지 40 중량%
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겔 함량이 낮아 압출 쉬트 제조시 표면 특성이 우수하며, 인장강도, 충격강도 및 열안정성이 모두 우수한 효과를 가 진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자들은 인서트 필름용 배킹 쉬트에 사용하기 적합한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대하여 연구하면서 연속식 괴상 중합에 의한 겔 특성과 고무변성 스티렌을 포함하는 그라프트 공중합체가 가진 우수한 물성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는 ABS 수지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일반적으로 연속식 괴상 중합법을 통한 ABS 수지에 유화 중합법을 통한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도입하는 경우 수지 박막 압출시 표면에 겔로 인한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쉬트의 두께가 1mm 이하로 압출시에는 표면 불량 가능성이 더 높은 경향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고무질 그라프트 공중합체에 알킬 메타크릴레이트 또는 알킬 아크릴레이트를 도입하여, 고무질 단량체가 엉겨붙어 겔을 형성하는 정도가 일반적인 ABS 수지의 고무질 공중합체와 비교할 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다양한 용도로 적용될 수 있는 박막 쉬트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대한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알킬 메타크릴레이트 또는 알킬 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고무변성 그라프트 공중합체, 연속식 괴상 중합 공정에 의한 대입경 고무성분을 포함하는 고무변성 그라프트 공중합체 그리고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계 공중합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 평균입경이 0.2 ㎛ 내지 0.5 ㎛인 공액디엔 고무 라텍스,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방향족 비닐 화합물 및 비닐시안 화합물의 단량체가 혼합되어 형성되는 고무변성 그라프트 공중합체 5 내지 40 중량%; (B) 평균입경이 0.5 ㎛ 내지 10.0 ㎛인 부타디엔계 고무를 포함하여 연속식 괴상중합에 의해 형성되는 연속식 괴상중합 고무변성 그라프트 공중합체 50 내지 90 중량%; 및 (C)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계 공중합체 5 내지 40 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 고무변성 그라프트 공중합체
본 발명에 따른 고무변성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공액디엔 고무 라텍스 20 내지 60 중량%,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30 내지 60 중량%, 방향족 비닐 화합물 5 내지 25 중량% 및 비닐시안 화합물 1 내지 20 중량%가 혼합되어 유화중합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공액디엔 고무 라텍스는 1,3-부타디엔 80 내지 100 중량부, 1,2-부타디엔 0 내지 20 중량부, 유화제 1 내지 4 중량부, 중합개시제 0.2 내지 1.5 중량부, 전해질 0.5 중량부, 분자량 조절제 0.1 내지 0.5 중량부 및 이온교환수 75 중량부를 일괄 투여하여 25 내지 50시간 동안 65 내지 85 ℃에서 유화 중합 반응시켜서 제조하며, 이에 따라 평균입경이 0.2 ㎛ 내지 0.5 ㎛이고, 겔 함량이 60 내지 95 중량%이며, 팽윤지수가 12 내지 40인 폴리 부타디엔 고무 라텍스를 제조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무 라텍스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부타디엔, 폴리부타디엔, 스티렌-부타디엔, 폴리이소프렌 및 부타디엔-이소프렌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공액디엔 고무 라텍스의 제조에 사용된 유화제는 알킬 아릴 설포네이트, 알칼리메틸알킬 설페이트, 설포네이트화된 알킬에스테르, 지방산의 비누 또는 로진산의 알칼리 염 등이 바람직하며,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로 사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 중합 개시제는 수용성 퍼설페이트나 지용성 퍼옥시 화합물을 이용할 수 있고 산화-환원계도 사용 가능하다. 수용성 퍼설페이트로는 나트륨 및 칼륨 퍼설페이트가 바람직하고, 지용성 퍼옥시 화합물로는 큐맨 하이드로 퍼옥사이드, 디이소프로필 벤젠하이드로퍼옥사이드, 아조비스 이소부틸 니트릴, 3급 부틸 하이드로퍼옥사이드, 파라메탄 하이드로퍼옥사이드, 벤조일퍼옥사이드 등이 바람직하며,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로 사용가능하다.
또한, 상기 전해질로는 KCl, NaCl, KHCO3, NaHCO3, K2CO3, Na2CO3, KHSO3, K4P2O7, K3PO4, Na3PO4, K2HPO4 및 Na2HPO4 등을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분자량 조절제로는 메르캅탄류가 주로 사용된다.
또한, 상기 유화 중합의 온도는 65 내지 85 ℃에서 수행되며, 이는 고무 라텍스의 겔함량 및 팽윤지수를 조절하는데 매우 중요하며, 이때 개시제 선정도 고려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공액디엔 고무 라텍스는 (A)고무변성 그라프트 공중합체 에 20 내지 60 중량%로 사용된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공액디엔 고무 라텍스에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방향족 비닐 화합물 및 비닐시안 화합물이 혼합된 단량체 혼합물을 유화중합에 의해 그라프트시켜 본 발명에 따른 (A)고무변성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제조한다.
상기 단량체들의 첨가 방법은 일괄 투여 방법과 전량 또는 일부를 연속(순차)적으로 투여하는 방법이 있는 데, 본 발명에서는 일괄 투여와 연속 투여 방법을 조절하여 사용하는 복합 형태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그라프트 반응은 65 내지 85 ℃의 온도에서 3 내지 10 시간 동안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무변성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에 사용되는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는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그의 유도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A) 고무변성 그라프트 공중합체에 30 내지 60 중량%로 사용된다.
또한, 상기 방향족 비닐 화합물은 스티렌, α-메틸스티렌, o-에틸스티렌, p-에틸스티렌, 비닐톨루엔 및 그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A) 고무변성 그라프트 공중합체에 5 내지 25 중량%로 사용된다.
또한, 상기 비닐시안 화합물은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및 에타크릴로니트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A) 고무변성 그라프트 공중합체에 1 내지 20 중량%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A)고무변성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를 위한 유화 중합시, 단량 체 혼합물에 유화제 및 중합 개시제를 더욱 투입할 수 있다.
상기 유화제로는 알킬아릴 설포네이트, 알칼리메틸알킬 설페이트, 설포네이트화된 알킬 에스테르, 지방산의 비누 및 로진산의 알칼리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사용하며, 유화제의 사용량은 상기 단량체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2 내지 1.5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중합 개시제로는 큐멘하이드로 퍼옥사이드, 디이스프로필벤젠하이드로 퍼옥사이드, 과황산염 등과 같은 과산화물; 및 소디움포름알데히드 술폭실레이트, 소디움에틸렌디아민 테트라아세테이트, 황산 제1철, 덱스트로오스, 피로인산나트륨, 아황산나트륨 등과 같은 환원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산화-환원 촉매계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중합 개시제의 사용량은 상기 단량체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2 내지 0.3 중량부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A) 고무변성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5 내지 4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함량이 5 중량%미만일 경우 충격강도의 저하가 발생할 수 있으며, 40 중량%를 초과할 경우 수지 가공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B) 연속식 괴상중합 고무변성 그라프트 공중합체
본 발명에 따른 고무변성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부타디엔계 고무 5 내지 20 중량%, 반응용매 10 내지 45 중량%, 방향족 비닐 화합물 40 내지 60 중량% 및 비닐시안 화합물 10 내지 25 중량%을 포함하여 연속식 괴상중합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부타디엔계 고무는 평균입경이 0.5 ㎛ 내지 10.0 ㎛ 인 고무성분을 사 용한다. 상기 범위의 평균입경을 가진 경우, 최종 성형품의 광택도 등의 외관특성이 개선되며, 응력이 가해진 경우 효율적으로 응력을 흡수하여 충격강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부타디엔계 고무는 부타디엔 또는 스티렌-부타디엔계 고무를 사용할 수 있으며, 부타디엔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B)연속식 괴상중합 고무변성 그라프트 공중합체에 5 내지 20 중량%로 사용된다.
상기 반응용매는 톨루엔, 에틸벤젠 또는 자이렌 등을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에틸벤젠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B)연속식 괴상중합 고무변성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를 위해 10 내지 45 중량%로 사용되는데, 상기 함량은 중합시 반응물의 점도를 조절하기 용이하며, 제조되는 고무입자의 형태를 제어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방향족 비닐 화합물은 스티렌, α-메틸스티렌, p-메틸스티렌, p-브로모스티렌, p-클로로스티렌 또는 o-브로모스티렌 등을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스티렌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B)연속식 괴상중합 고무변성 그라프트 공중합체에 40 내지 60 중량%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비닐시안 화합물은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또는 에타크릴로니트릴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아크릴로니트릴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B)연속식 괴상중합 고무변성 그라프트 공중합체에 10 내지 25 중량%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B) 연속식 괴상중합 고무변성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시, 상기와 같은 성분들과 함께 통상의 연속식 괴상중합시 사용되는 현탁제, 분자량조절제, 중합개시제 및 이온교환수를 더욱 포함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B)연속식 괴상중합 고무변성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연속식 괴상중합으로 제조됨으로써, 겔 함량이 낮아 박막 압출용 쉬트에 적합한 특징이 있다.
상기 (B)고무변성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50 내지 9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함량이 90 중량%를 초과할 경우 기계적 물성 저하가 발생할 수 있으며, 50 중량% 미만일 경우 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C)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계 공중합체
본 발명에 따른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계 공중합체는 스티렌계 단량체 60 내지 80 중량% 및 아크릴로니트릴 단량체 20 내지 40 중량%가 중합되어 형성된다.
상기 스티렌계 단량체로는 스티렌, α-메틸스티렌, p-메틸스티렌, 비닐톨루엔 또는 t-부틸 스티렌의 치환 스티렌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스티렌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C)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계 공중합체에 60 내지 80 중량%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로니트릴 단량체는 (C)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계 공중합체에 20 내지 40 중량%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C)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계 공중합체의 제조시, 상기와 같은 성분들과 함께 통상의 그라프트 공중합체 제조시 사용되는 현탁제, 분자량조절제, 중합개시제 및 이온교환수를 사용할 수 있으며, 중합방법으로는 괴상중합이나 현탁중합이 바람직하다.
상기 (C)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계 공중합체는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0 내지 300,000인 것을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C)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계 공중합체는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5 내지 4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함량이 40 중량%를 초과할 경우 충격강도 등의 기계적 물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5 중량% 미만일 경우 수지 가공성이 나빠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힌더드 페놀계 또는 포스파이트계 등의 산화방지제, 활제, 열안정제, 광안정제, 적하방지제, 안료 또는 무기충전재 등의 첨가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으며, 통상의 블랜딩(blending) 방법을 사용하여 혼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인서트 필름용 배킹 쉬트(backing sheet) 또는 캐리어 테이프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 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A-1) 고무변성 그라프트 공중합체 제조
평균입경이 0.3 ㎛인 부타디엔 고무 라텍스 40 중량%에 메틸메타크릴레이트 45 중량%, 스티렌 10 중량% 및 아크릴로 니트릴 5 중량%로 이루어진 단량체 혼합물을 유화중합으로 그라프트 시켜 제조한 코어-쉘 형태를 갖는 고무변성 그라프트 공중합체((주)엘지화학 제조)를 사용하였다.
(A-2) 고무변성 그라프트 공중합체 제조
평균입경이 0.3 ㎛인 부타디엔 고무 라텍스에 스티렌 79 중량부와 아크릴로니트릴 21 중량부로 이루어진 단량체 혼합물을 유화중합으로 그라프트시켜 제조한 코어-쉘 형태를 갖는 대입경 고무성분을 포함하는 고무변성 그라프트 공중합체((주)엘지화학 제조)를 사용하였다.
(B-1) 연속식 괴상중합 고무변성 그라프트 공중합체 제조
반응용매인 에틸벤젠 20 중량%에 스티렌 55 중량%와 아크릴로니트릴 15 중량%를 녹여 혼합용액을 제조하고, 여기에 부티다엔 고무 10 중량%를 첨가하고 괴상중합하여 제조한 초대입경 고무성분을 포함하는 고무변성 그라프트 공중합체((주)엘지화학 제조)를 사용하였다.
(B-2) 연속식 괴상중합 고무변성 그라프트 공중합체 제조
반응용매인 에틸벤젠 20 중량%에 스티렌 54 중량%와 아크릴로니트릴 13 중량%를 녹여 혼합용액을 제조하고, 여기에 부티다엔 고무 13 중량%를 첨가하고 괴상중합하여 제조한 초대입경 고무성분을 포함하는 고무변성 그라프트 공중합체((주)엘지화학 제조)를 사용하였다.
(C)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계 공중합체 제조
아크릴로니트릴 함량이 27 중량%이고, 중량평균 분자량이 150,000 내지 200,000인 SAN 수지((주)엘지화학 제조)를 사용하였다.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제조>
상기 공중합체들을 하기 표 1과 같은 조성으로 혼합하고, 여기에 활제, 열안정제 등의 첨가제를 투입한 후, 블랜딩하여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7)
[표 1]
실시예 비교예
1 2 3 4 5 1 2 3 4 5 6 7
(A)고무변성
그라프트 공중합체
(A-1) 10 10 20 30 10 30 40 3 7
(A-2) 10 10 20
(B)고무변성
그라프트 공중합체
(B-1) 75 60 60 40 90 90 75 60
(B-2) 80 60 30 80
(C)SAN 공중합체 10 15 20 10 30 30 30 7 3 10 15 20
[시험예]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물성을 하기의 방법으로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의 표 2에 나타내었다.
ㄱ) 겔 개수 (Gel number) - LAB 社 LBE20-30/P Hard spot tester 기를 사용하여 두께 약 0.3 mm 의 얇은 film을 만들어 단위 넓이(0.01m2)당 관찰되는 0.1 mm 이상 크기의 겔 개수를 측정하였다.
ㄴ) 인장강도 (Tensile Strength) - ASTM D638 방법에 의거하여 상온(23 ℃)에서 측정하였다.
ㄷ) 충격강도 (Izod impact strength) - ASTM D256에 의거하여 1/4", 23 ℃를 기준으로 측정하였다.
ㄹ) 열안정성 (Thermal stability) - 컬러 시험기를 통해 CIELab 색값을 측 정하였으며, 수지의 사출 광택 시편을 150 ℃ 오븐에 넣고 5 시간 경과 후 기존 시편과의 색깔의 차이(△E)를 하기 수학식으로 계산하고 수치를 비교하였다.
[수학식 1]
△E = ((△L)2 + (△a)2 + (△b)2 )1/2
[표 2]
실 시 예 비 교 예
1 2 3 4 5 1 2 3 4 5 6 7
겔 개수 3 4 7 7 3 10 12 5 4 15 14 17
인장 강도 402 431 414 382 427 372 346 455 438 371 415 364
충격 강도 33.1 35.3 32.4 37.0 29.8 33.2 39.4 23.1 23.9 30.8 30.4 27.8
열 안정성 10.3 10.7 12.3 13.1 11.0 15.2 17.4 10.7 11.4 12.2 13.0 15.4
상기 표 1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라 제조한 실시예 1 내지 5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각 구성분인 공중합체의 적정 함량을 벗어난 비교예 1 내지 4 및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지 않은 비교예 5 내지 7과 비교하여, 박막 압출시 겔의 개수가 적고 인장강도, 충격강도 및 열안정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재된 구체예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Claims (17)

  1. (A) 평균입경이 0.2 ㎛ 내지 0.5 ㎛인 공액디엔 고무 라텍스 20 내지 60 중량%,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30 내지 60 중량%, 방향족 비닐 화합물 5 내지 25 중량% 및 비닐시안 화합물의 단량체 1 내지 20 중량%가 혼합되어 유화중합에 의해 형성되는 고무변성 그라프트 공중합체 5 내지 40 중량%;
    (B) 평균입경이 0.5 ㎛ 내지 10.0 ㎛인 부타디엔계 고무를 포함하여 연속식 괴상중합에 의해 형성되는 연속식 괴상중합 고무변성 그라프트 공중합체 50 내지 90 중량%; 및
    (C)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계 공중합체 5 내지 40 중량%
    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B)의 연속식 괴상중합 고무변성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상기 부타디엔계 고무 5 내지 20 중량%에 반응용매 10 내지 45 중량%, 방향족 비닐 화합물 40 내지 60 중량% 및 비닐시안 화합물 10 내지 25 중량%가 더욱 포함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C)의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계 공중합체는 스티렌계 단량체 60 내지 80 중량% 및 아크릴로니트릴 단량체 20 내지 40 중량%가 중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C)의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계 공중합체는 괴상중합 또는 현탁중합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의 공액디엔 고무 라텍스는 겔 함량이 60 내지 95 중량%이며, 팽윤지수가 12 내지 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의 공액디엔 고무 라텍스는 부타디엔, 폴리부타디엔, 스티렌-부타디엔, 폴리이소프렌 및 부타디엔-이소프렌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의 방향족 비닐 화합물은 스티렌, α-메틸스티렌, p-메틸스티렌, 비닐톨루엔 및 t-부틸 스티렌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의 비닐시안 화합물은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및 에타크릴로니트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B)의 부타디엔계 고무는 부타디엔 및 스티렌-부타디엔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1.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용매는 톨루엔, 에틸벤젠 및 자이렌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2.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비닐 화합물은 스티렌, α-메틸스티렌, p-메틸스티렌, p-브로모스티렌, p-클로로스티렌 및 o-브로모스티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3.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비닐시안 화합물은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및 에타크릴로니트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4.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렌계 단량체는 스티렌, α-메틸스티렌, p-메틸스티렌, 비닐톨루엔 및 t-부틸 스티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C)의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계 공중합체는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0 내지 300,000인 것을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산화방지제, 활제, 열안정제, 광안정제, 적하방지제, 안료 및 무기충전재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첨가제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인서트 필름용 배킹 쉬트(backing sheet) 또는 캐리어 테이프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20080004792A 2008-01-16 2008-01-16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11540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4792A KR101154063B1 (ko) 2008-01-16 2008-01-16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4792A KR101154063B1 (ko) 2008-01-16 2008-01-16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8929A KR20090078929A (ko) 2009-07-21
KR101154063B1 true KR101154063B1 (ko) 2012-06-11

Family

ID=41336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4792A KR101154063B1 (ko) 2008-01-16 2008-01-16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40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0519B1 (ko) * 2008-11-07 2014-01-10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3115B1 (ko) 2011-08-11 2015-03-18 주식회사 엘지화학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내스크래치성과 황색도가 조절된 열가소성 수지
KR102273553B1 (ko) * 2016-04-21 2021-07-06 이네오스 스티롤루션 그룹 게엠베하 개선된 균열 및 화학적 내성을 갖는 abs 몰딩 조성물 및 그의 사용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2367A (ko) * 1997-12-22 1999-07-05 유현식 내충격성 및 저광택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의 제조방법
KR20000020555A (ko) * 1998-09-22 2000-04-15 유현식 내충격성, 유동성 및 저광택특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의 제조방법
KR20040103307A (ko) * 2003-05-29 2004-12-08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융착성, 착색성 및 도장 퍼짐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2367A (ko) * 1997-12-22 1999-07-05 유현식 내충격성 및 저광택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의 제조방법
KR20000020555A (ko) * 1998-09-22 2000-04-15 유현식 내충격성, 유동성 및 저광택특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의 제조방법
KR20040103307A (ko) * 2003-05-29 2004-12-08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융착성, 착색성 및 도장 퍼짐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0519B1 (ko) * 2008-11-07 2014-01-10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8929A (ko) 2009-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57129B1 (en) Thermoplastic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resin composition with excellent releasability and colorability
DE69628621T2 (de) Flammhemmende Kunstharz-Zusammensetzung
KR101644752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열가소성 수지 성형품
US4250271A (en) ABS-Type polyblend compositions
CA1238439A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KR100835498B1 (ko) 기계적 강도와 착색성이 우수한 abs계 그라프트공중합체의 제조방법
US20230203293A1 (en) Low-density abs composites
KR101154063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EP0208382B1 (en) Rubber-reinforced styrenic polymer resins having improved flow and gloss characteristics
KR20120021631A (ko) 내스크래치성과 내열성이 우수한 내광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1551516B1 (ko) Mbs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1072037B1 (ko) 내충격성과 내열성이 우수한 저광택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0843604B1 (ko) 다층 압출 시트
KR100694447B1 (ko) 성형가공성 및 내약품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그 제조방법
KR101350519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20200042558A (ko) 열가소성 투명 수지, 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투명 수지 조성물, 이들의 제조방법 및 성형품
KR102465200B1 (ko)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129980B1 (ko)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가전제품의내상용 압출 시트
KR20190094104A (ko)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열가소성 수지 성형품
KR100474817B1 (ko) 충격강도가 우수한 저광택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
KR102456200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KR20020052422A (ko) 내화학성과 유동성이 우수한 냉장고용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KR20180050064A (ko) 열가소성 수지의 제조 방법
KR19980027068A (ko)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
EP0212123B1 (de) Pfropfkautschuke zur Modifizierung thermoplastischer Formmass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