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3612B1 - 천정형 에어컨 및 천정형 에어컨의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천정형 에어컨 및 천정형 에어컨의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3612B1
KR101153612B1 KR1020050016181A KR20050016181A KR101153612B1 KR 101153612 B1 KR101153612 B1 KR 101153612B1 KR 1020050016181 A KR1020050016181 A KR 1020050016181A KR 20050016181 A KR20050016181 A KR 20050016181A KR 101153612 B1 KR101153612 B1 KR 1011536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iling
air conditioner
air
out case
detachabl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6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4750A (ko
Inventor
조상욱
김태일
유선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161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3612B1/ko
Publication of KR200600947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47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36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36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7/00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 E01C7/08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 E01C7/35Toppings or surface dressings; Methods of mixing, impregnating, or spreading them
    • E01C7/355Toppings or surface dressings; Methods of mixing, impregnating, or spreading them with exclusively rubber as binder; Aggregate, fillers or other additives for application on or in the surface of toppings having exclusively rubber as binde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5/00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footpaths, sidewalks or cycle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0Paving elements having build-in shock absorbing device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천정형 에어컨은 아웃 케이스; 상기 아웃 케이스의 중심부에서 상방으로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부; 상기 아웃 케이스의 내부에 놓여 공기의 유동을 이끌어내는 송풍팬; 상기 아웃 케이스의 내부에 놓여 상기 공기와 열교환을 수행하는 열교환기; 상기 아웃 케이스의 테두리부에서 하방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부; 및 상기 토출부와 인접하고, 상기 아웃 케이스에 분리가능하게 제공되는 탈착판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 의해서, 천정의 높이가 달라져서 천정형 에어컨의 높이보다 작은 경우에도 설치가 편리하게 수행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천정형 에어컨 구성에 관한 복잡한 변화 없이도, 천정형 에어컨의 토출부 단부의 유동방향을 간단하게 조작할 수 있다.
천정형 에어컨, 아웃 케이스, 탈착판

Description

천정형 에어컨 및 천정형 에어컨의 설치구조{A ceiling embeddd air conditioner and mounting structure of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는 천정형 에어컨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Ⅰ-Ⅰ'의 단면도.
도 3은 천정의 높이가 높은 경우, 천정형 에어컨의 설치구조의 단면도.
도 4는 천정의 높이가 낮은 경우, 천정형 에어컨의 설치구조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천정형 에어컨 2 : 아웃 케이스 3 : 탈착판
4 : 모터 5 : 송풍팬 6 : 열교환기
7 : 흡입부 8 : 토출부 9 : 유로분리부
11 : 천정 마감재 20 : 제 1 천정 장착부 23: 유로 안내부
24 : 차폐판 25 : 필터 30 : 제 2 천정 장착부
본 발명은 천정형 에어컨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천정의 높이에 따른 제약이 없이 설치가 가능한 천정형 에어컨 및 천정형 에어컨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 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 천정의 높이가 낮은 경우와 높이가 높은 경우에 따라서 천정형 에어컨의 유로가 달라지게 천정형 에어컨이 설치됨으로써, 에어컨의 설치환경이 자유로이 조절되도록 하는 천정형 에어컨 및 천정형 에어컨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천정형 에어컨은 에어컨의 실내기가 천정에 삽입되어 설치됨으로써, 실내환경이 넓어지고, 넓은 실내 공간에 전체적으로 공기조화가 신속하게 수행되도록 하는 에어컨이다. 이러한 상기 천정형 에어컨은 실내공간의 소모가 없는 장점으로 인하여 그 사용이 증대되고 있다.
상기 천정형 에어컨에는 적어도 송풍팬과 열교환기 등의 부품이 설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그 높이가 일정 이상은 된다. 다시 말하면, 송풍팬과, 송풍팬을 구동하기 위한 모터가 직렬적으로 설치되기 위한 공간이 상하로 요구되거나, 열교환기가 세워서 설치되기 위해서 상하방향으로 요구되는 공간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천정형 에어컨은 어느 정도의 상하 높이가 있기 때문에, 이러한 상하높이를 만족시킬 수 있을 정도로 천정에는 일정의 공간이 있어야 하는 것은 일종의 제약요건이 있다.
한편, 상기 천정형 에어컨은, 건축물의 뼈대를 이루는 천정과 실내 생활자가 육안으로 관찰하게 되는 천정 마감재의 사이에 장착된다. 그러므로, 천정과 천정 마감재와의 사이에 상하로 소정의 높이가 있어야 되는 것이다. 상기 천정과 천정 마감재와의 높이차는 속고라고 얘기하기도 한다.
그러나, 근래들어서는 넓은 실내공간을 요구하는 소비자의 심리가 증가하여 천정 마감재가 아예 없는 경우도 있고, 건축물의 개성이 자유로와 짐으로써 천정과 천정 마감재와의 사이 높이가 건축주의 취향에 따라서 높낮이가 일정치 아니하다.
이러한 배경으로 인하여 특정한 규격에 따라서 제작된 천정형 에어컨은, 건물의 특징적인 천정구조에 많이 의존적이기 때문에, 어떤 천정에는 설치가 아예 되지 않거나, 설치가 된다고 하더라도 건축물에 자체적으로 많은 변화가 가해져야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되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되는 것으로서, 천정의 높이가 제한되는 경우에도 설치가 편리하게 수행될 수 있는 천정형 에어컨 및 천정형 에어컨의 설치구조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천정형 에어컨이 설치되기에 필요한 공간이 부족한 경우에도 이에 대처하여 천정형 에어컨을 설치할 수 있는 천정형 에어컨 및 천정형 에어컨의 설치구조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천정형 에어컨의 미관이 개선되는 천정형 에어컨의 설치구조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천정형 에어컨은 아웃 케이스; 상기 아웃 케이스의 중심부에서 상방으로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부; 상기 아웃 케이스의 내부에 놓여 공기의 유동을 이끌어내는 송풍팬; 상기 아웃 케이스의 내부에 놓여 상기 공기와 열교환을 수행하는 열교환기; 상기 아웃 케이스의 테두리부에서 하방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부; 및 상기 토출부와 인접하고, 상기 아웃 케이스에 분리가능하게 제공되는 탈착판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천정형 에어컨의 설치구조는 천정; 상기 천정의 하측으로 일정거리 이격되는 천정마감재; 상기 천정과 상기 천정마감재의 사이 간격에 놓이는 천정형 에어컨; 상기 천정형 에어컨의 아웃 케이스에 분리가능하게 구비되는 탈착판; 및 상기 천정형 에어컨의 하측에 제공되어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하는 천정장착부가 포함된다.
제안되는 천정형 에어컨 및 천정형 에어컨의 설치구조에 의해서 천정에 공간이 부족한 경우에도 천정형 에어컨의 설치가 가능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특히, 천정의 높이가 높은 경우와 천정의 높이가 낮은 경우를 구분하여 그 유로가 달라지게 됨으로써, 천정형 에어컨의 사용가능범위가 넓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첨부되는 실시예로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는 천정형 에어컨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천정형 에어컨(1)은 내부에 열교환기와 송풍팬과 모터가 설치되고 천정형 에어컨의 외관을 이루는 아웃 케이스(2)와, 상기 아웃 케이스(2)의 토출부와 인접되는 측면에 각각 제공되는 탈착판(detachable plate)(3)이 제공된다.
상기 탈착판(3)은 천정형 에어컨의 토출부와 인접되는 아웃 케이스(2)의 각 측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탈착판을 붙인 경우와 탈착판은 떼어낸 경우에 따라서 천정형 에어컨의 유로구조가 달라지게 된다.
예를 들면, 탈착판(3)이 붙어있는 경우에는 탈착판(3)의 하측으로 공기가 토출되도록 하고, 탈착판(3)이 떼어내져 있는 경우에는 탈착판(3)이 떼어내진 그 공간을 통하여 공기가 토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천정형 에어컨의 내부 구조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Ⅰ-Ⅰ'의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천정형 에어컨(1)은 천정의 하측에 설치되고, 아웃 케이스(2)에 의해서 천정형 에어컨의 내부와 외부가 서로 구분된다. 또한, 상기 아웃 케이스(2)의 내부에는 실내공기가 흡입되는 흡입부(7)와, 상기 흡입부(7)를 통하여 공기가 강제 흡입되도록 하는 송풍팬(5)과, 상기 송풍팬(5)을 회전시키는 모터(4)와, 상기 송풍팬(5)을 통하여 불어지는 공기가 열교환되도록 하는 열교환기(6)와, 상기 열교환기(6)를 거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부(8)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흡입부(7)와 상기 토출부(8)를 구획하여 흡입되는 공기와 토출되는 공기가 서로 섞이지 않도록 하는 유로 분리부(9)가 형성된다. 상기 유로 분리부(9)에 의해서 상기 토출부(8)를 통하여 일단 토출되는 공기가 다시금 흡입되지 않게 되어, 실내 공기의 공기조화 성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발생된다.
또한, 상기 아웃 케이스(2)의 하측부에는 탈착판(3)이 제공되는데, 상기 탈착판(3)이 도 2에 제공되는 바와 같이 아웃 케이스(2)에 붙어있는 경우에는 토출부 (8)를 통하여 공기가 토출되지만, 상기 탈착판(3)이 떼어내지는 경우에는 탈착판(3)이 붙어있던 그 공간을 통하여 열교환 된 공기가 토출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탈착판(3)은 그 탈착이 비교적 자유롭게 수행되도록 하기 위하여 자력에 의하여 상기 아웃 케이스(2)에서 탈착되거나, 소정의 걸림구조가 더 개입되는 상태에서 아웃 케이스(2)와 탈착의 동작이 수행되도록 한다. 상기 탈착판(3)이 상기 아웃 케이스(2)에 대하여 탈착이 자유롭게 수행되는 범위 내에서 어떠한 탈착 구조라도 본 발명의 사상에 적용될 수 있으며, 그 자세한 설시는 생략하며, 예시적으로 상기 탈착판(3)은 자성체로 제작되고, 상기 아웃 케이스(2)에서 상기 탈착판의 장착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자석이 더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탈착판(3)의 설치 및 제거의 상태별로 달라지는 본 발명에 따른 천정형 에어컨의 설치상태를 그 설치상태별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천정의 높이가 높은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천정형 에어컨의 설치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천정형 에어컨의 설치구조에는 도 2에서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은 천정형 에어컨(1)과, 상기 천정형 에어컨(1)의 하단부에 고정되는 제 1 천정 장착부(20)와, 상기 제 1 천정 장착부(20)가 고정되는 천정 마감재(11)가 포함된다.
상기 천정형 에어컨(1)은 상기 천정 마감재(11)와 상기 천정(10)의 사이 간격부의 높이(H1)에 설치된 상태에서 에어컨의 동작이 수행된다. 이를 위하여 도시되지 아니한 냉매의 연결관로와 응축수 드레인등이 더 설치되는 용이하게 짐작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제 1 천정 장착부(20)는 상기 천정형 에어컨(1)의 유로를 가이드하고, 사용자의 미감을 향상시키는 기능등이 수행된다. 이러한 기능들이 수행되기 위하여 상기 제 1 천정 장착부(20)에는, 상기 천정 마감재(11)에 대하여 고정되어 제 1 천정 장착부(20)의 위치가 지지되도록 하는 고정부(21)와, 사용자가 직접 육안으로 관찰하게 되고 상기 제 1 천정장착부(20)의 뼈대를 이루는 지지패널(22)과, 사용자가 천정형 에어컨(1)의 내부를 육안으로 관찰할 수 없도록 상기 흡입부(7)를 막는 차폐판(24)이 포함된다.
상기 고정부(21)는 상기 천정 마감재(11)에 고정되는 것으로 설명을 하고 있으나, 이러한 사항은 필연적인 것이라 할 수는 없으며 다양한 다른 장소에 고정되어 있을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차폐판(24)과 상기 지지패널(22)이 상하방향으로 이격되는 사이 간격부에는 소정의 필터(25)가 형성되어 흡입부(7)측으로 흡입되는 공기 중에서 이물이 걸러지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패널(24)에서 상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유로 분리부(9)와 만나는 유로안내부(23)가 제공되는데, 상기 유로안내부(23)는 상기 유로 분리부(9)의 역할과 대동소이하게 흡입되는 공기와 토출되는 공기가 서로 섞이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유로 안내부(23)와 상기 지지패널(22)이 만나는 접촉부는 부드럽게 만곡되도록 함으로써, 토출부(8)를 통하여 토출되는 공기가 바깥쪽 방향으로 원활히 가이드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 1 천정장착부(20)가 장착되는 경우는 상기 탈착판(3)이 붙은 상태에서 천정형 에어컨이 운전되는 상태로서, 천정형 에어컨의 토출공기는 탈착판 (3)으로 통해서는 누설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천정 마감재(11)를 통하여 하측으로 돌출되는 부분은 유로 안내부(23)의 높이 정도에 해당되는 것으로서, 토출부를 통하여 토출되는 공기의 양이 많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거의 없을 수도 있다.
상기 제 1 천정장착부의 구성에 따른 천정형 에어컨의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모터(4)에 의해서 송풍팬(5)의 동작이 시작되면 실내에서 공기가 흡입된다. 그리고, 흡입되는 공기는 먼저 필터(25)에 의해서 걸러진 뒤에, 흡입부(7)로 유입된다.
여기서, 상기 차폐판(24)은 막혀지는 부분으로서 사용자는 상기 차폐판에 의해서 천정형 에어컨(1)의 내부 상태를 관찰할 수 없게 되므로, 사용자의 심미감이 향상된다. 나아가서, 상기 필터(25)가 차폐판(24)과 지지패널(22)의 사이 간격부에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공기의 이물이 필터(25)에서 걸러지도록 하여 걸러진 이물이 사용자에게 보이지 않고, 사용자의 청결감이 증진되는 장점이 있다.
흡입된 공기는 상기 유로 안내부(23)와 유로 분리부(9)에 의해서 유입된 뒤에, 송풍팬(5) 및 열교환기(6)를 거쳐서 열교환이 수행된다. 그 뒤에는 토출부(8)를 통하여 실내로 다시금 배출된다.
여기서 실내로 다시금 배출되는 공기는 유로분리부(9)와 유로 안내부(23)에 의해서 흡입되는 공기와는 완전히 구분되고, 상기 라운딩부(26)를 통하여 공기의 흐름방향이 꺾인 뒤에, 상기 지지패널(22) 및 고정부(21)의 사이 간격부를 통하여 측방향으로 토출된다.
도 3에 도시되는 경우에는 천정과 천정 마감재와의 사이 간격(H1)이 비교적 큰 경우로서 천정형 에어컨의 심미감을 고려하여 천정형 에어컨의 전 부분이 천정과 천정 마감재와의 상기 간격부에 모두 놓일 수 있는 경우이다.
물론 이 경우에는 천정형 에어컨을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확보와 관련되는 문제가 전혀 없다. 그러나, 천정(10)과 천정 마감재(11)와의 사이 간격(H2)이 일정한 수준으로 낮은 경우에는(도 4 참조), 천정형 에어컨이 제대로 설치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경우에 적용되는 천정 장착부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는 천정의 높이가 낮은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천정형 에어컨의 설치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천정형 에어컨(1)의 하측부의 일정부분이 실내공간으로 돌출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상세하게는, 유로분리부(9)의 일정 부분이 실내공간으로 돌출되고, 이러한 구조에 대응하여 탈착판(3)이 분리되어 있어서 탈착판(3)을 통하여 공기가 토출되고 있다.
한편, 상기 제 1 천정장착부(20)에 의해서 설명된 바가 있는 고정부(21), 지지패널(22), 차폐판(24), 필터(25), 라운딩부(26)는 제 2 천정장착부(30)에도 동일하게 설치되고 동일한 작용이 수행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2 천정장착부(30)에 특이하게 설치되고 동작되는 부분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제 2 천정장착부(30)가 설치되는 때에는 탈착판(3)이 천정형 에어컨(1)에서 분리되고, 탈착판(3)이 장착되었던 아웃 케이스(2)의 외주면의 단부에는 천정 마감재(11)가 놓이게 된다. 이때에는, 상기 천정(10)과 천정마감재(11)와의 높이(H2)는 천정형 에어컨(1)의 높이보다 작다.
도 3에 도시된 유로 안내부(23)는 별도로 제시됨이 없거나 그 높이가 매우 낮은 상태로서, 라운딩부(36)를 지지하기 위한 역할로 그 역할이 축소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제 2 천정장착부(30)는 탈착판(3)이 제거된 공간이 토출부의 부분으로 사용되도록 함으로써, 토출부의 형성을 위한 추가적인 높이가 필요없게 된다. 그러므로, 제 2 천정장착부(30)의 높이는 줄어들 수 있다.
상기 제 2 천정장착부(30)와 관련되는 천정형 에어컨의 동작을 설명한다.
상기 필터(35)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는 유로분리부(9)에 의해서 안내되어 흡입부(7)로 유입되고, 송풍팬(6), 열교환기(7)를 통하여 열교환이 수행된 뒤에 토출부(8)로 토출된다.
다만, 이때에 상기 토출부(8)의 단부는 원래 탈착판(3)이 장착되어 있던 공간으로서 탈착판(3)이 제거된 공간을 통하여 다시 실내로 토출된다.
본 발명은 천정의 공간이 높고 낮은 정도에 따라서 적응적으로 천정형 에어컨이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천정형 에어컨의 토출부 측에 별도의 탈착판이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천정형 에어컨이 설치될 수 있는 간격의 높고 낮음에 따라서 토출부의 최종토출단부가 달라지게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실내공간으로 토출되는 공기는 흡입되는 공기와는 구분되어 유동될 수 있는 것에 본원발명의 또 다른 본질적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해서, 천정의 높이가 달라져서 천정형 에어컨의 높이보다 작은 경우에도 설치가 편리하게 수행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천정형 에어컨 구성에 관한 복잡한 변화 없이도, 천정형 에어컨의 토출부 단부의 유동방향을 간단하게 조작할 수 있다.
또한, 필터의 놓임 공간이 사용자에게 관찰되지 않고, 사용자에 의해서 천정형 에어컨의 내부구조가 관찰되지 않게 됨으로써, 천정형 에어컨의 미관이 개선되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Claims (8)

  1. 아웃 케이스;
    상기 아웃 케이스의 중심부에서 상방으로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부;
    상기 아웃 케이스의 내부에 놓여 공기의 유동을 이끌어내는 송풍팬;
    상기 아웃 케이스의 내부에 놓여 상기 공기와 열교환을 수행하는 열교환기;
    상기 아웃 케이스의 테두리부에서 하방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부; 및
    상기 토출부와 인접하고, 상기 아웃 케이스에 분리가능하게 제공되는 탈착판이 포함되는 천정형 에어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판은 상기 아웃 케이스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천정형 에어컨.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판의 장착공간은 선택적으로 공기의 토출공간이 되는 천정형 에어컨.
  4. 천정;
    상기 천정의 하측으로 일정거리 이격되는 천정마감재;
    상기 천정과 상기 천정마감재의 사이 간격에 놓이는 천정형 에어컨;
    상기 천정형 에어컨의 아웃 케이스에 분리가능하게 구비되는 탈착판; 및
    상기 천정형 에어컨의 하측에 제공되어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하는 천정장착부가 포함되는 천정형 에어컨의 설치구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판이 장착되는 때에, 상기 천정형 에어컨의 하단부는 상기 천정마감재보다 상측에 놓이는 천정형 에어컨의 설치구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판이 분리되는 때에, 상기 천정형 에어컨의 하단부는 상기 천정마감재보다 하측에 놓이는 천정형 에어컨의 설치구조.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판은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천정형 에어컨의 설치구조.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천정장착부는 수평방향으로 공기가 토출되도록 하는 천정형 에어컨의 설치구조.
KR1020050016181A 2005-02-25 2005-02-25 천정형 에어컨 및 천정형 에어컨의 설치구조 KR1011536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6181A KR101153612B1 (ko) 2005-02-25 2005-02-25 천정형 에어컨 및 천정형 에어컨의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6181A KR101153612B1 (ko) 2005-02-25 2005-02-25 천정형 에어컨 및 천정형 에어컨의 설치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4750A KR20060094750A (ko) 2006-08-30
KR101153612B1 true KR101153612B1 (ko) 2012-06-18

Family

ID=37602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6181A KR101153612B1 (ko) 2005-02-25 2005-02-25 천정형 에어컨 및 천정형 에어컨의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36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0716B1 (ko) * 2006-12-18 2012-05-03 삼성전자주식회사 천장형 공기조화기
FR3018342B1 (fr) * 2014-03-07 2019-01-25 Carrier Corporation Ventilo-convecteur integrable a un faux plafond et ensemble d'au moins deux ventilo-convecteurs appartenant a une installation de conditionnement d'air
KR102282432B1 (ko) * 2017-03-10 2021-07-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천장형 공기 조화기
KR20230133615A (ko) 2022-03-11 2023-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15430A (ja) 1996-10-09 1998-05-06 Hitachi Ltd 空気調和機
JPH1151416A (ja) 1997-08-05 1999-02-26 O K Kizai Kk 空調用ケーシング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10098281A (ko) * 2000-04-29 2001-11-08 구자홍 천정카세트형 공기조화기
KR20040016119A (ko) * 2002-08-16 2004-02-21 삼성전자주식회사 천장형 공기조화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15430A (ja) 1996-10-09 1998-05-06 Hitachi Ltd 空気調和機
JPH1151416A (ja) 1997-08-05 1999-02-26 O K Kizai Kk 空調用ケーシング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10098281A (ko) * 2000-04-29 2001-11-08 구자홍 천정카세트형 공기조화기
KR20040016119A (ko) * 2002-08-16 2004-02-21 삼성전자주식회사 천장형 공기조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4750A (ko) 2006-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8327937B2 (en) Ceiling-type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US9297542B2 (en) Wall-mounted type air conditioner
CN106196332B (zh) 空调机的室外机
KR101153612B1 (ko) 천정형 에어컨 및 천정형 에어컨의 설치구조
KR20080051974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417050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2094901B1 (ko)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KR20150103581A (ko) 천장형 에어컨 실내기
KR101342217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환기 유로구조
KR100575312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JP4821515B2 (ja) 空気調和機
JP2015068550A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機
KR20180113711A (ko) 천장형 공기 조화기
JP2017122526A (ja) 天井埋込型室内ユニット
CN109405072B (zh) 空调室内机
KR101590632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101666222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20080043632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N101086353A (zh) 窗式空调器的前面格栅装配结构
KR100584295B1 (ko)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전면 프레임 장착구조
KR102480369B1 (ko) 자외선램프가 설치된 천장형 실내기
EP1813876A2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102297911B1 (ko) 덕트형 공기조화기
KR102165466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409014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