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2996B1 - 무선 통신 시스템, 송신 장치, 수신 장치, 무선 통신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 송신 장치, 수신 장치, 무선 통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2996B1
KR101152996B1 KR1020107016925A KR20107016925A KR101152996B1 KR 101152996 B1 KR101152996 B1 KR 101152996B1 KR 1020107016925 A KR1020107016925 A KR 1020107016925A KR 20107016925 A KR20107016925 A KR 20107016925A KR 101152996 B1 KR101152996 B1 KR 1011529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mcs
error
identifi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6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5655A (ko
Inventor
토루 사하라
Original Assignee
쿄세라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쿄세라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쿄세라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000956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56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29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29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9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channel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2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 H04L1/000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by switching between different modulation sche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1/0025Transmission of mode-switching ind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607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12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 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의 하나는, 규격을 일탈하지 않으며, 재송신 데이터와 통상 데이터의 MCS를 독립적으로 제어하고, 각각의 데이터에 적합한 MCS를 이용함으로써, 적응 변조의 유효 활용 및 무선 통신의 안정성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무선 통신 시스템(100)에서는,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의 양 장치에 있어서 에러가 발생한 프레임과 에러 부분을 특정하여 그 프레임에 이용된 MCS를 특정하므로, HARQ에 MCS를 올려놓지 않아도 원하는 MCS에 의거하여 에러 부분을 변복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 송신 장치, 수신 장치, 무선 통신 방법{RADIO COMMUNICATION SYSTEM, TRANSMISSION DEVICE, RECEPTION DEVICE, RADIO COMMUNICATION METHOD}
본 발명은, 적응 변조(고속 적응 변조)에 의한 무선 통신이 가능한 무선 통신 시스템, 송신 장치, 수신 장치, 무선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PHS(Personal Handy phone System)나 휴대전화 등으로 대표되는 이동국이 보급되어, 장소나 시간을 불문하고 통화나 정보 입수가 가능해졌다. 특히 요즈음에는, 입수 가능한 정보량도 증가의 일로를 거쳐, 대용량의 데이터를 다운로드하기 위해 고속 또한 고품질인 무선 통신 방식이 취득되게 되어졌다.
예를 들면, 고속 디지털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차세대 PHS 통신 규격으로서, ARIB(Association of Radio Industries and Businesses) STD T95 또는 PHS MoU(Memorandum of Understanding)가 있으며, 이러한 통신에서는,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이 채용되고 있다. 이러한 OFDM은, 다중화 방식의 하나로 분류되며, 단위 시간축 상에서 다수의 반송파를 이용하여, 변조 대상이 되는 신호파의 위상이 서로 이웃하는 반송파 사이에서 직교하도록 반송파의 대역을 일부 서로 겹쳐 주파수 대역을 유효 이용하는 방식이다.
또, OFDM이 개별의 유저마다 시분할로 서브 채널을 할당하고 있는 것에 반해, 복수의 유저가 전체 서브 채널을 공유하며, 각 유저에게 있어서 가장 전송 효율이 좋은 서브 채널을 할당하는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 직교 주파수 분할 다원 접속)도 제공되고 있다.
ARIB STD T95나 PHS MoU에서는, 적응 변조에 의해 결정된 변조 방식 및 코딩 방식(MCS : Modulation and Coding Scheme, 이하 간단히 MCS라고 한다)을, FM-mode(Fast access channel based on Map-Mode)(예를 들면, 비특허문헌 1)에 있어서의 앵커 채널을 통해 송신 장치에 송신하고, 송신 장치에서는, 그 MCS에 의거하여 데이터를 변조함으로써, 그 시점의 통신 환경에 있어서의 최적인 MCS를 이용한 통신을 행할 수 있다.
이러한 적응 변조는, 이동국으로부터 기지국으로 송신되는 업링크 통신 신호의 신호대 간섭 잡음비(SINR : Signal to Interference and Noise Ratio)나 비트 에러 레이트에 의거하여 송신 장치와 수신 장치 사이의 통신 환경을 추측하고, 보다 좋은 통신 환경 하에서는 보다 높은 변조 효율을 나타내는 MCS를 선택하며, 통신 환경이 나쁜 상황 하에서는 낮은 변조 효율을 나타내는 MCS를 선택하여, 안정된 무선 통신의 실시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ARIB STD T95나 PHS MoU에서는, 수신 장치가 잘못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 송신한 송신 장치에 대해 그 데이터의 재송신을 요구하는 자동 재송신 요구(ARQ : Automatic Repeat reQuest, 이하 간단히 ARQ라고 한다)가 송신된다. 송신 장치는, 이러한 ARQ에 대해 MAC 레이어(저 레이어)로 데이터의 재송신 처리를 행하므로, 짧은 제어 시간으로 에러를 효율적으로 보상할 수 있다(비특허문헌 2). 또, ARIB STD T95나 PHS MoU에서는, 이러한 ARQ와 전방 오류 정정(FEC : Forward Error Correction)을 조합하여, 패킷 에러 정정의 효율을 더욱 향상시킨 HARQ(Hybrid ARQ) 기술도 채용되고 있다.
비특허문헌 1 : ARIB(Association of Radio Industries and Businesses) STD-T95 비특허문헌 2 : A-GN4.00-01-TS Rev.3「Next Generation PHS Specifications」, P331-340
ARIB STD T95나 PHS MoU에서는, 송수신되는 데이터는 프레임 단위로 분할되어 있으며, MCS는 그 송신 프레임에 있어서의 데이터의 최소 단위(PRU : Physical Resource Unit, 이하 간단히 PRU라고 한다)마다 설정할 수도 있다. 그러나, MCS에 할당되는 정보량이 방대해져, 쓸데없이 데이터 영역을 점유해 버린다. 그래서, 1개의 프레임의 데이터는 거의 동시각에 전달되는 것을 감안하여, 본 규격에서는, 프레임 모두에 대해 한 번만 MCS를 지정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ARQ에서는 재송신되는 데이터의 MCS가 전회 송신되었을 때와 동일하지 않으면 안 되고, 또, 1개의 프레임에는 1종류의 MCS밖에 지정할 수 없으므로, 그 재송신 데이터를 포함하는 프레임의 모든 데이터가, 그 때의 전파 환경의 여하에 상관없이 재송신 데이터의 MCS에 고정되어 있었다.
그러면, 그 프레임의 재송신 데이터 이외의 통상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수신 단말로부터 취득한 최적인 MCS는 캔슬되어, 적응 변조의 혜택을 받을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재송신 데이터의 MCS에 의해서는, 통신 속도가 너무 빠르거나, 또 너무 늦거나 하여 통상 데이터에 새로운 에러가 발생하게 되어, 에러 정정 동작(ARQ)이 오히려 에러를 일으키는 원인이 될 수도 있다.
이러한 문제를 회피하기 위해, ARIB STD T95나 PHS MoU에서는 ARQ의 기능을 정지하고, 또한 상위 레이어로 에러 수정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짧은 제어 시간으로 효율적으로 에러를 보상하는 ARQ를 이용하지 않음으로써 에러의 정정 시간의 장시간화를 초래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감안하여, 규격을 일탈하지 않고, 재송신 데이터와 통상 데이터의 MCS를 독립적으로 제어하며, 각각의 데이터에 적합한 MCS를 이용함으로서, 적응 변조의 유효 활용 및 무선 통신의 안정성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한, 무선 통신 시스템, 송신 장치, 수신 장치, 무선 통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대표적인 구성은, 적응 변조에 의해 결정된 MCS에 의거하여 변조된 프레임 단위의 데이터와 MCS를 특정 가능한 MCS 식별자를 송신하는 송신 장치와, 송신 장치와 무선 통신 가능하며 수신한 MCS 식별자에 의해 특정되는 MCS에 의거하여 수신한 데이터를 복조하는 수신 장치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서, 송신 장치는, 송신되는 데이터와 데이터를 변조하는 MCS의 MCS 식별자를 데이터의 프레임을 특정 가능한 프레임 식별자에 관련지어 유지하는 송신 데이터 유지부와, 유지된 MCS에 의거하여 데이터를 변조하는 데이터 변조부와, 변조된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송신하는 데이터 송신부를 구비하고, 수신 장치는, 송신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와, 수신한 데이터를 복조하는 데이터 복조부와, 복조된 데이터의 에러를 검출하는 에러 검출부와, 복조된 데이터에 에러가 검출된 경우, 복조된 데이터와 데이터의 MCS 식별자를 프레임 식별자에 관련지어 유지하는 복조 데이터 유지부와, 복조된 데이터에 에러가 검출된 경우, 데이터의 프레임 식별자와 에러 부분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ARQ(자동 재송신 요구)를 송신하는 ARQ 송신부를 구비하며, 데이터 변조부는, ARQ의 수신으로부터 소정 프레임 후에, ARQ의 프레임 식별자 및 에러 부분의 식별자로 특정되는 송신 데이터 유지부에 유지된 데이터의 에러 부분을 송신 데이터 유지부에 유지된 MCS에 의거하여, 에러 부분 이외의 데이터를 적응 변조에 의해 결정된 MCS에 의거하여 변조하고, 데이터 송신부는, 변조된 데이터를 재송신하며, 데이터 복조부는, 수신한 데이터의 에러 부분을 복조 데이터 유지부에 유지된 MCS에 의거하여, 에러 부분 이외의 데이터를 적응 변조에 의해 결정된 MCS에 의거하여 복조하고, 수신 장치는, 복조된 에러 부분과, 복조 데이터 유지부에 유지된 데이터를 체이스 합성하는 체이스 합성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당해 무선 통신 시스템은, ARIB STD T95 또는 PHS MoU에 준거한 시스템이며, ARQ는 당해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HARQ여도 된다.
당해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FM-mode 하에서는, 1개의 프레임에 대해 1종류의 MCS밖에 지정할 수 없다. 단, 에러 부분의 재송신은, 소정의 프레임 타이밍으로 행해지므로,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의 양 장치에 있어서 에러가 발생한 프레임과 에러 부분을 특정하여 그 프레임에 이용된 MCS를 특정할 수 있으면, ARQ 또는 HARQ에 MCS를 올려놓지 않아도 원하는 MCS에 의거하여 에러 부분을 변복조할 수 있다. 따라서, 그 MCS의 요구 영역을 통상 데이터에 해방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적응 변조에 의거한 MCS를 통상 데이터로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재송신 데이터와 통상 데이터의 MCS를 독립적으로 제어하고, 각각의 데이터에 적합한 MCS를 이용함으로써, 적응 변조의 유효 활용 및 무선 통신의 안정성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데이터 변조부는, ARQ 또는 HARQ에 의해 재송신되는 데이터의 에러 부분을 프레임 내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배치하여 변조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재송신 프레임에 있어서의 에러 PRU의 배치나 수에 상관없이, 소정의 위치에, MCS가 동일한 에러 부분의 PRU를 집약적으로 배치할 수 있으므로, 변조의 처리 부담을 경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데이터 변조부에 있어서의 MCS는, 수신 장치가 요구하는 MCS와 동일하거나 또는 변조 효율이 떨어지는 MCS여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당해 데이터의 변조를, 수신 장치의 요구가 있었던 MCS 이하이며, 또한 송신 장치가 변조 가능한 MCS에 의거하여 행할 수 있으며, 수신 장치 및 송신 장치의 양 장치에 있어서의 최적인 MCS에 의한, 보다 안정된 무선 통신을 구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다른 구성은, 적응 변조에 의해 결정된 MCS에 의거하여 변조된 프레임 단위의 데이터와 MCS를 특정 가능한 MCS 식별자를 수신 장치에 송신하는 송신 장치로서, 송신되는 데이터와 데이터를 변조하는 MCS의 MCS 식별자를 데이터의 프레임을 특정 가능한 프레임 식별자에 관련지어 유지하는 송신 데이터 유지부와, 유지된 MCS에 의거하여 데이터를 변조하는 데이터 변조부와, 변조된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송신하는 데이터 송신부를 구비하며, 수신 장치로부터 ARQ(자동 재송신 요구)를 수신한 경우, 데이터 변조부는, ARQ의 수신으로부터 소정 프레임 후에, ARQ의 프레임 식별자 및 에러 부분의 식별자로 특정되는 송신 데이터 유지부에 유지된 데이터의 수신 장치로부터 지정된 에러 부분을 송신 데이터 유지부에 유지된 MCS에 의거하여, 에러 부분 이외의 데이터를 적응 변조에 의해 결정된 MCS에 의거하여 변조하고, 데이터 송신부는, 변조된 데이터를 재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송신 장치는, 규격을 일탈하지 않으며, 재송신 데이터와 통상 데이터를 독립적으로, 각각의 데이터에 적합한 MCS에 의거하여 변조하므로, 적응 변조의 유효 활용 및 무선 통신의 안정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다른 구성은, 적응 변조에 의해 결정된 MCS에 의거하여 변조된 프레임 단위의 데이터와 MCS를 특정 가능한 MCS 식별자를 송신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수신 장치로서, 송신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와, 수신한 데이터를 복조하는 데이터 복조부와, 복조된 데이터의 에러를 검출하는 에러 검출부와, 복조된 데이터에 에러가 검출된 경우, 복조된 데이터와 데이터의 MCS 식별자를 그 프레임 식별자에 관련지어 유지하는 복조 데이터 유지부와, 복조된 데이터에 에러가 검출된 경우, 데이터의 프레임 식별자와 에러 부분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ARQ(자동 재송신 요구)를 송신하는 ARQ 송신부를 구비하며, 데이터 복조부는, 송신 장치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의 에러 부분을 복조 데이터 유지부에 유지된 MCS에 의거하여, 에러 부분 이외를 적응 변조에 의해 결정된 MCS에 의거하여 복조하고, 복조된 에러 부분과, 복조 데이터 유지부에 유지된 데이터를 체이스 합성하는 체이스 합성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수신 장치는, 규격을 일탈하지 않으며, 재송신 데이터와 통상 데이터를 독립적으로, 각각의 데이터에 적합한 MCS에 의거하여 복조하므로, 적응 변조의 유효 활용 및 무선 통신의 안정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다른 구성은, 적응 변조에 의해 결정된 MCS에 의거하여 변조된 프레임 단위의 데이터와 MCS를 특정 가능한 MCS 식별자를 송신하는 송신 장치와, 송신 장치와 무선 통신 가능하며 수신한 MCS 식별자에 의해 특정되는 MCS에 의거해 수신한 데이터를 복조하는 수신 장치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을 실행하는 무선 통신 방법으로서, 송신 장치는, 송신되는 데이터와 데이터를 변조하는 MCS의 MCS 식별자를 데이터의 프레임을 특정 가능한 프레임 식별자에 관련지어 유지하고, 유지된 MCS에 의거하여 데이터를 변조하며, 변조된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송신하고, 수신 장치는, 송신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데이터를 복조하며, 복조된 데이터의 에러를 검출하고, 복조된 데이터에 에러가 검출된 경우, 복조된 데이터와 데이터의 MCS 식별자를 프레임 식별자에 관련지어 유지하고, 데이터의 프레임 식별자와 에러 부분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ARQ(자동 재송신 요구)를 송신하며, 송신 장치는 또한, ARQ의 수신으로부터 소정 프레임 후에, ARQ의 프레임 식별자 및 에러 부분의 식별자로 특정되는 유지된 데이터의 에러 부분을 유지된 MCS에 의거하여, 에러 부분 이외의 데이터를 적응 변조에 의해 결정된 MCS에 의거하여 변조하고, 변조된 데이터를 재송신하며, 수신 장치는 또한, 수신한 데이터의 에러 부분을 유지된 MCS에 의거하여, 에러 부분 이외의 데이터를 적응 변조에 의해 결정된 MCS에 의거하여 복조하고, 복조된 에러 부분과, 유지된 데이터를 체이스 합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무선 통신 시스템과 동일하게, 규격을 일탈하지 않으며, 재송신 데이터와 통상 데이터의 MCS를 독립적으로 제어하고, 각각의 데이터에 적합한 MCS를 이용함으로써, 적응 변조의 유효 활용 및 무선 통신의 안정성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술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기술적 사상에 대응하는 구성 요소나 그 설명은, 당해 송신 장치, 수신 장치, 무선 통신 방법에도 적용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규격을 일탈하지 않으며, 재송신 데이터와 통상 데이터의 MCS를 독립적으로 제어하고, 각각의 데이터에 적합한 MCS를 이용함으로써, 적응 변조의 유효 활용 및 무선 통신의 안정성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개략적인 접속 관계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2는 기지국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PHS 단말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낸 기능 블록도이다.
도 4는 PHS 단말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무선 통신 방법의 처리의 흐름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도 5의 흐름도의 보충 설명을 행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7은 송신되는 데이터의 프레임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8은 MCS의 클래스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9는 프레임에 있어서의 에러 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0은 재송신 데이터와 통상 데이터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1은 체이스 합성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 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러한 실시 형태에 나타낸 치수, 재료, 그 밖의 구체적인 수치 등은,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특별히 언급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갖는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임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하며, 또 본 발명에 직접 관계가 없는 요소는 도시를 생략한다.
PHS 단말이나 휴대전화 등으로 대표되는 이동국은, 소정 간격을 두고 고정 배치되는 기지국과 무선으로 통신을 행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구축한다. 이러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기지국 및 이동국은, 어느 국이나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로서 기능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기지국을 송신 장치, 이동국을 수신 장치로서 설명하고 있지만, 반대의 구성도 성립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여기에서는, 우선, 무선 통신 시스템 전체를 설명하고, 그 후, 기지국 및 이동국으로서의 PHS 단말의 구체적 구성을 설명한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동국으로서 PHS 단말을 들고 있지만, 이러한 경우에 한정되지 않으며, 휴대전화,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디지털 카메라, 음악 플레이어, 카 내비게이션, 포터블 TV, 게임 기기, DVD 플레이어, 리모트 컨트롤러 등 무선 통신 가능한 여러 가지 전자 기기를 이동국으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제1 실시 형태 : 무선 통신 시스템(100))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100)의 개략적인 접속 관계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당해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PHS 단말(110)(110A, 110B)과, 기지국(120)(120A, 120B)과, ISDN(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회선, 인터넷, 전용 회선 등으로 구성되는 통신망(130)과, 중계 서버(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100)에 있어서, 유저가 자신의 PHS 단말(110A)로부터 다른 PHS 단말(110B)로의 통신 회선의 접속을 행하는 경우, PHS 단말(110A)은, 통신 가능 범위 내에 있는 기지국(120A)에 무선 접속 요구를 행한다. 무선 접속 요구를 수신한 기지국(120A)은, 통신망(130)을 통해 중계 서버(140)에 통신 상대와의 통신 접속을 요구하고, 중계 서버(140)는, 다른 PHS 단말(110B)의 무선 통신 범위 내에 있는 예를 들면 기지국(120B)을 선택하여 기지국(120A)과 기지국(120B)의 통신 경로를 확보해서, PHS 단말(110A)과 PHS 단말(110B)의 통신을 확립한다.
이러한 무선 통신 시스템(100)에 있어서는, PHS 단말(110)과 기지국(120)의 통신 속도 및 통신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여러 가지 기술이 채용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예를 들면, ARIB STD T95나 PHS MoU 등의 차세대 PHS 통신 기술이 채용되고, PHS 단말(110)과 기지국(120)의 사이에서는 TDD(Time Division Duplex : 시분할 쌍방향 전송 방식)/OFDMA(또는 TDD/OFDM) 방식에 의거한 무선 통신이 실행된다. 또, 당해 무선 통신 시스템(100)에는 적응 변조도 이용되며, PHS 단말(110)과 기지국(120)이 서로 MCS를 요구함으로써, 통신 품질을 유지하면서, 통신 환경의 변화에 따라 적응적으로 변조 방식을 변화시켜 통신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당해 무선 통신 시스템(100)에 있어서의 FM-mode 하에서는, 1개의 프레임에 대해 1종류의 MCS밖에 지정할 수 없다. 단, 에러 부분의 재송신은, 소정의 프레임 타이밍으로 행해지므로,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의 양 장치에 있어서 에러가 발생한 프레임과 에러 부분을 특정하여 그 프레임에 이용된 MCS를 특정할 수 있으면, HARQ에 MCS를 올려놓지 않아도 원하는 MCS에 의거하여 에러 부분을 변복조할 수 있다. 따라서, 그 MCS의 요구 영역을 통상 데이터(프레임에 있어서의 재송신 데이터 이외의 부분)에 해방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적응 변조에 의거한 MCS를 통상 데이터로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재송신 데이터와 통상 데이터의 MCS를 독립적으로 제어하고, 각각의 데이터에 적합한 MCS를 이용함으로써, 적응 변조의 유효 활용 및 무선 통신의 안정성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하, 구체적인 구성과 동작을 설명한다.
(기지국(120))
도 2는, 기지국(120)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기지국(120)은, 기지국 제어부(210)와, 기지국 메모리(212)와, 기지국 무선 통신부(214)와, 기지국 유선 통신부(21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기지국 제어부(210)는, 중앙 처리 장치(CPU)를 포함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에 의해 기지국(120) 전체를 관리 및 제어한다. 또, 기지국 제어부(210)는, 기지국 메모리(212)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PHS 단말(110)의 통신망(130)이나 다른 PHS 단말(110)로의 통신 접속을 제어한다.
상기 기지국 메모리(212)는, ROM, RAM, EEPROM, 불휘발성 RAM, 플래시 메모리, HDD(Hard Disk Drive) 등으로 구성되며, 기지국 제어부(210)에서 처리되는 프로그램이나 시각 정보 등을 기억한다.
상기 기지국 무선 통신부(214)는, PHS 단말(110)과의 통신을 확립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한다. 또, PHS 단말(110)과의 통신 품질에 따라 효율이 좋은 통신을 행하기 위한 최적인 MCS를 결정하며, PHS 단말(110)에 요구할 수도 있다.
상기 기지국 유선 통신부(216)는, 통신망(130)을 통해 중계 서버(140)를 포함하는 여러 가지 서버와 접속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기지국 무선 통신부(214)는, 송신 데이터 유지부(230), 데이터 변조부(232), 데이터 송신부(234), HARQ 수신부(236)로서도 기능한다.
상기 송신 데이터 유지부(230)는, 순회 용장 검사 비트(CRC : Cyclic Redundancy Check Bit)가 부가된 송신 대상의 데이터와, 이 데이터를 변조하는 MCS를 특정하는 MCS 식별자를, 데이터의 프레임을 특정 가능한 프레임 식별자에 관련지어 유지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식별자」는, 수치, 알파벳, 기호에 의해 그것을 일의적으로 특정할 수 있는 표시를 말한다.
상기 데이터 변조부(232)는, 유지된 MCS에 의거하여 데이터를 변조하고, 베이스밴드 신호를 생성한다. 여기에서, MCS는, PHS 단말(110)이 요구하는 MCS와 동일하거나 또는 변조 효율이 떨어지는 MCS가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당해 데이터의 변조를, PHS 단말(110)의 요구가 있었던 MCS 이하이며, 또한 기지국(120)이 변조 가능한 MCS에 의거하여 행할 수 있으며, PHS 단말(110) 및 기지국(120)의 양 장치에 있어서의 최적인 MCS에 의한, 보다 안정된 무선 통신을 구축할 수 있다.
또, 데이터 변조부(232)는, PHS 단말(110)로부터 HARQ의 요구가 있었던 경우에, HARQ의 대상이 되는 프레임 식별자 및 에러 부분 식별자로 특정되는 송신 데이터 유지부(230)에 유지된 데이터의 에러 부분(재송신 데이터)을, 송신 데이터 유지부(230)에 유지된 MCS에 의거하여 변조하고, 에러 부분 이외(통상 데이터)를 적응 변조에 의해 결정된 MCS에 의거하여 변조한다. 이 변조 타이밍 및 후단의 송신 타이밍은 규격에 의해 정해져 있다.
또한, 데이터 변조부(232)는, PHS 단말(110)로부터 HARQ의 요구가 있었던 경우, HARQ에 의해 재송신되는 데이터의 에러 부분을 프레임 내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배치하여 변조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재송신 프레임에 있어서의 에러 PRU의 배치나 수에 상관없이, 소정의 위치에, MCS가 동일한 에러 부분의 PRU를 집약적으로 배치할 수 있으므로, 변조의 처리 부담을 경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데이터 송신부(234)는, 데이터 변조부(232)에 의해 변조된 프레임 단위의 데이터와 MCS를 특정 가능한 MCS 식별자를 송신한다. 또, 데이터 송신부(234)는, PHS 단말(110)로부터 HARQ의 요구가 있었던 경우, 데이터 변조부(232)에 의해 변조된, 재송신 데이터 및 통상 데이터를 무선 통신 시스템(100)에서 정해져 있는 소정의 프레임 타이밍으로 재송신한다. 이 때의 MCS 식별자는 통상 데이터의 MCS를 나타낸다.
상기 HARQ 수신부(236)는, PHS 단말(110)로부터 HARQ가 있었던 경우에, 앵커 채널에 포함되는 에러가 있었던 데이터의 프레임 식별자와 에러 부분의 식별자를 추출하여, 그 데이터와 에러 부분을 특정한다.
(PHS 단말(110))
도 3은, PHS 단말(110)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낸 기능 블록도이며, 도 4는, PHS 단말(110)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PHS 단말(110)은, 단말 제어부(310)와, 단말 메모리(312)와, 표시부(314)와, 조작부(316)와, 음성 입력부(318)와, 음성 출력부(320)와, 단말 무선 통신부(3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단말 제어부(310)는, 중앙 처리 장치(CPU)를 포함한 반도체 집적회로에 의해 PHS 단말(110) 전체를 관리 및 제어한다. 또, 단말 제어부(310)는, 단말 메모리(312)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화 기능, 메일 송수신 기능, 촬상 기능, 음악 재생 기능, TV 시청 기능도 수행한다.
상기 단말 메모리(312)는, ROM, RAM, EEPROM, 불휘발성 RAM, 플래시 메모리, HDD 등으로 구성되고, 단말 제어부(310)에서 처리되는 프로그램이나 음성 데이터 등을 기억한다.
상기 표시부(314)는, 액정 디스플레이, EL(Electro Luminescence) 등으로 구성되고, 단말 메모리(312)에 기억된, 또는 통신망(130)을 통해 어플리케이션 중계 서버(도시 생략)로부터 제공되는, Web 브라우저나 어플리케이션의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316)는, 키보드, 십자 키, 조이스틱 등의 스위치로 구성되고, 유저의 조작 입력을 접수한다.
상기 음성 입력부(318)는, 마이크 등의 음성 인식 수단으로 구성되고, 통화 시에 입력된 유저의 음성을 PHS 단말(110) 내에서 처리 가능한 전기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음성 출력부(320)는, 스피커로 구성되고, PHS 단말(110)에서 수신한 통화 상대의 음성 신호를 음성으로 바꾸어 출력한다. 또, 착신음이나, 조작부(316)의 조작음, 알람음 등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단말 무선 통신부(322)는, 통신망(130)에 있어서의 기지국(120)과의 무선 통신을 확립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통신의 확립 시, 단말 무선 통신부(322)는, 동기 신호를 포함한 TCCH(Timing Control Channels : 타이밍 제어 채널)를 기지국(120)에 송신하고, 기지국(120)은, 그 TCCH로부터 동기 심벌을 표본화하여 PHS 단말(110)의 송신 타이밍을 파악하고, 그 차분을, SCCH(Synchronisation Control Channels : 동기 제어 채널)을 이용하여 PHS 단말(110)에 회신한다.
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단말 무선 통신부(322)는, 데이터 수신부(330), 데이터 복조부(332), 에러 정정부(334), 에러 검출부(336), 복조 데이터 유지부(338), HARQ 송신부(340), 체이스 합성부(342)로서도 기능한다.
상기 데이터 수신부(330)는, 기지국(120)으로부터 데이터 및 MCS 식별자를 수신한다.
상기 데이터 복조부(332)는, 데이터 수신부(330)가 수신한 MCS 식별자에 의해 특정되는 MCS에 의거해 데이터를 복조하여, 에러 정정부(334)에 전송한다. 또, 당해 PHS 단말(110)이 HARQ를 요구한 후, 소정의 프레임 타이밍으로 재송신 데이터를 포함한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 데이터 복조부(332)는, 수신한 데이터의 재송신 데이터를, 후술하는 복조 데이터 유지부(338)에 유지된 MCS 식별자에 의해 특정되는 MCS에 의거하여 복조하고, 통상 데이터를, 수신한 MCS 식별자에 의해 특정되는 MCS에 의거하여 복조하여, 체이스 합성부(342)에 전송한다.
상기 에러 정정부(334)는, 순회 용장 검사 비트(CRC)를 통해, 데이터 복조부(332) 또는 체이스 합성부(342)로부터 전송된 데이터의 에러 정정을 행한다.
상기 에러 검출부(336)는, 에러 정정부(334)에 의해서도 정정할 수 없었던 에러를 검출한다.
상기 복조 데이터 유지부(338)는, 에러 검출부(336)가 에러를 검출한 경우, 복조된 데이터와 데이터의 MCS 식별자를 프레임 식별자에 관련지어 유지한다.
상기 HARQ 송신부(340)는, 에러 검출부(336)가 에러를 검출한 경우, 데이터의 프레임 식별자와 에러 부분의 식별자를 포함한 HARQ를 기지국(120)에 대해 송신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TDD/OFDMA 방식에 의해 프레임 단위의 데이터가 기지국(120)과의 사이에서 교대로 송수신되고 있으므로, HARQ는 기지국(120)에 송신해야 할 송신 데이터의 앵커 채널을 이용하여 송신된다. 이 때, 동일하게 앵커 채널에 설정되는 MCS의 요구(MR)는 통상의 적응 변조에 의거한 MCS이다.
상기 체이스 합성부(342)는, 데이터 복조부(332)에 의해 복조된 재송신 데이터와, 복조 데이터 유지부(338)에 유지된 데이터를 체이스 합성(Chase Combining)하여, 에러 정정부(334)에 전송한다.
이상 설명한 무선 통신 시스템(100)에서는, 2개의 장치간, 여기에서는, PHS 단말(110)과 기지국(120)의 통신 경로를 이용하여, 양쪽이 HARQ에 의한 에러 수정을 행할 수 있으며, 또한, 그 통신 환경의 변화에 상관없이 최적인 MCS를 이용할 수 있다.
다음에, 상술한 PHS 단말(110)이나 기지국(120)을 이용하여 무선 통신을 행하는 무선 통신 방법을 설명한다.
(무선 통신 방법)
도 5는, 무선 통신 방법의 처리의 흐름을 나타낸 흐름도이며, 도 6은, 도 5의 흐름도의 보충 설명을 행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우선, PHS 단말(110)은, 송신 데이터의 앵커 채널을 통해 MCS를 요구하고(S400), 기지국(120)은, 요구된 MCS에 따라 송신하는 데이터의 MCS를 결정한다(S402). 그리고, 기지국(120)은, 송신되는 데이터와, 그 데이터를 변조하는 MCS의 MCS 식별자를 프레임 식별자에 관련지어 송신 데이터 유지부(230)에 일단 유지한다(S404). 송신 데이터 유지부(230)에 유지된 데이터는, HARQ가 발생하고 있지 않다고 간주할 수 있는 소정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유지된다.
도 7은, 송신되는 데이터의 프레임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OFDMA(또는 OFDM)에서는, 시간축 방향과 주파수 방향으로 2차원화한 맵을 가지며, 주파수 축방향으로는 균일한 베이스밴드 거리를 두고 복수의 채널(500)이 배치되고, 각 채널(500)에는, TDMA 슬롯(502)마다 PRU(510)가 배치된다. 따라서, PRU(510)는 베이스밴드 거리에 따른 900kHz의 점유 대역과 시분할에 의한 625μsec의 시간 길이로 정의된다. 또, 프레임은, 제어 신호에 관한 앵커 채널(ANCH)(520)과 데이터를 기억하는 엑스트라 채널(EXCH)(522)로 구성된다.
상기 앵커 채널(520)은, FM-Mode의 제어 신호이며, 예를 들면 MI(Mcs Indicator), MR(Mcs Requirement), 맵, ACK 필드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에서, MI는, 당해 기지국(120)에서 데이터를 변조하였을 때의 MCS의 MCS 식별자를 나타내고 있다. MR은, 자체로 송신되는 데이터의 MCS 요구이다. 시간적인 관점에서 설명하면, MI는 당해 MCS 식별자와 동시에 송신되는 데이터의 변조에 이용한 MCS를 나타내며, MR은 다음 번 이후에 원하는 MCS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MR에서 요구한 MCS는 요구한 후 적어도 1프레임 늦게 반영되게 된다. 또, 본 실시 형태의 HARQ에 있어서, PHS 단말(110)로부터 기지국(120)으로 송신되는 MR은, 재송신 데이터의 MCS에 상관없이, 통상의 적응 변조에 의거한 MCS를 이용할 수 있으며, 기지국(120)으로부터의 MI도 통상 데이터의 MCS를 이용할 수 있다.
또, 맵은, 기지국(120)으로부터 PHS 단말(110)로의 송신 프레임에만 존재하며, 엑스트라 채널(522)의 할당을 나타내고 있다. ACK 필드는, 복조된 데이터의 에러 검출 결과를 나타내며, 정상적으로 수신된 경우 ACK를, 에러가 검출된 경우, NACK와 그 에러 부분의 특정에 필요한 비트열이 기억된다. 이러한 비트열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에러 검출 단위는 PRU마다여도 되고, CRC의 검출 단위인 1 또는 복수의 PRU마다여도 된다.
상기 엑스트라 채널(522)은, FM-Mode에 있어서의 통화로로서 유저마다 할당되는 PRU이며, 한 유저에 복수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7의 예에서는, 사선으로 나타내어진 EXCH1~EXCH10이 유저에 해방되고, 그 EXCH1~EXCH10을 이용하여 데이터가 송신된다. 이러한 엑스트라 채널(522)의 할당은, PRU가 다른 유저에 이용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캐리어 센스를 통해 행해진다. 할당된 결과는, 상술한 바와 같이 앵커 채널(520)의 맵에 나타내어진다.
이어서, 기지국(120)의 데이터 변조부(232)가 상기 MCS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변조하고(S406), 데이터 송신부(234)가 그 변조된 데이터를 PHS 단말(110)에 송신한다(S408).
도 8은, MCS의 클래스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예를 들면, 11클래스의 MCS를 설치하고, 각 클래스에는, 변조 방식과 코딩 방식이 준비되어 있다. 도 8에 있어서는, MCS 식별자의 수치가 높아질수록 변조 효율이 높아진다.
이어서, PHS 단말(110)의 데이터 수신부(330)는, 기지국(120)으로부터 데이터 및 MCS 식별자를 수신한다(S410). 그리고, 데이터 복조부(332)가 MCS 식별자에 의해 특정되는 MCS에 의거하여 그 데이터를 복조하고(S412), 에러 정정부(334)가 데이터의 에러 정정을 행한다(S414). 여기에서, 에러 검출부(336)는, 데이터에 에러 정정부(334)에 의해서도 정정할 수 없었던 에러가 남아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고(S416), 에러가 없는 경우, ACK를 기지국(120)에 회신하고, 그 데이터를 상위 레이어(예를 들면, 단말 제어부(310))에 전송한다(S418).
에러 검출 단계(S416)에서 에러가 검출된 경우, 복조 데이터 유지부(338)가 복조된 데이터와 데이터의 MCS 식별자를 프레임 식별자에 관련지어 유지하고(S420), HARQ 송신부(340)가 NACK, 프레임 식별자, 에러 부분의 식별자를 포함한 ACK 필드를 이용하여 HARQ를 송신한다(S422).
도 9는, 프레임에 있어서의 에러 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에러 검출 단위를 2개의 PRU로 하고 있으므로, 예를 들면, 1개의 PRU인 EXCH4에 에러가 있었다고 해도 에러 부분은 도 9의 엑스트라 채널(522)에 크로스 해칭으로 나타낸 EXCH3 및 EXCH4가 된다. 이 경우에 앵커 채널(520)에 있어서의 에러 부분의 식별자는 예를 들면 「3」 및 「4」가 된다.
이러한 HARQ 송신 단계(S422)에서는, 에러를 발생한 프레임의 MCS를 PHS 단말(110)에 송신하고 있지 않는 것이 특징적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PHS 단말(110) 및 기지국(120)에서 에러를 발생한 프레임과 에러 부분을 특정함으로써 그 프레임에 이용된 MCS를 특정하므로, HARQ에 MCS를 올려놓지 않아도 원하는 MCS에 의거하여 에러 부분을 변복조할 수 있다. 따라서, 그 MCS의 요구 영역을 통상 데이터에 해방할 수 있으며, 적응 변조에 의거한 MCS를 설정할 수 있다.
기지국(120)의 HARQ 수신부(236)는 상기 HARQ를 받고(S424), 데이터 변조부(232)가, ACK 필드의 프레임 식별자 및 에러 부분 식별자로 특정되는, 송신 데이터 유지부(230)에 유지된 데이터의 에러 부분(재송신 데이터)을, 송신 데이터 유지부(230)에 유지된 MCS에 의거하여 소정 프레임 후에 변조한다(S426).
도 10은, 재송신 데이터와 통상 데이터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PHS 단말(110)로부터 에러 부분으로서 지정된 것은 데이터의 EXCH3 및 EXCH4이지만, 재송신하는 프레임 중에서는 그 에러 부분을 프레임의 미리 정해진 위치, 여기에서는 선두에 채워 넣어 배치한다(도 10 중 크로스 해칭으로 나타낸다). 그리고, 그 밖의 통상 데이터는 재송신 데이터에 이어 배치된다(도 10 중 사선으로 나타낸다).
이어서, 기지국(120)의 데이터 송신부(234)는, 변조된 데이터를 PHS 단말(110)에 송신하고(S428), PHS 단말(110)의 데이터 수신부(330)가 그 데이터를 수신하면(S430), 데이터 복조부(332)는, 규정된 HARQ 타이밍에 있어서, 수신한 데이터의 재송신 데이터를 복조 데이터 유지부(338)에 유지된 MCS에 의거하여 복조하고, 통상 데이터를 적응 변조에 의해 결정된 MCS에 의거하여 복조한다(S432), 그 후, 체이스 합성부(342)가 복조된 에러 부분과, 복조 데이터 유지부에 유지된 데이터를 체이스 합성한다(S434).
도 11은, 체이스 합성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PHS 단말(110)이 수신, 복조한 데이터에 에러가 검출된 경우, NACK와 함께 그 에러 부분만을 기지국(120)에 전달하며, 또한, 그 에러가 검출된 프레임을 파기하지 않고 복조 데이터 유지부(338)에 유지한다. 그리고, 기지국(120)으로부터 그 에러 부분만을 재송신 데이터(550)로서 수신하면, PHS 단말(110)은, 재송신 데이터(550)와 복조 데이터 유지부(338)에 유지되어 있었던 데이터(552)를 최대비 합성(MRC : Maximum Ratio Combining)에 의해 합성하여, 복원 데이터(554)를 생성한다. 이러한 체이스 합성법에서는, 데이터의 최대비 합성에 의해 수신 프레임의 SINR을 향상시켜, 효율적으로 에러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에러 부분이 복원된 데이터는, 처음에 수신한 데이터와 동일하게, 데이터 정정 단계(S414)로부터 반복되어, 최종적으로 상위 레이어에 전달된다(S418).
이상 설명한 무선 통신 방법에 있어서도, 규격을 일탈하지 않으며, 재송신 데이터와 통상 데이터의 MCS를 독립적으로 제어하고, 각각의 데이터에 적합한 MCS를 이용함으로써, 적응 변조의 유효 활용 및 무선 통신의 안정성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당업자이면,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각종의 변경예 또는 수정예를 생각해 낼 수 있는 것은 분명하며, 그들에 대해서도 당연히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또한, 본 명세서의 무선 통신 방법에 있어서의 각 공정은, 반드시 흐름도로서 기재된 순서에 따라 시계열로 처리할 필요는 없으며, 병렬적 혹은 개별적으로 실행되는 처리(예를 들면, 병렬 처리 혹은 오브젝트에 의한 처리)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본 발명을 상세하게 또 특정한 실시 양태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여러 가지 변경이나 수정을 더할 수 있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분명하다.
본 출원은, 2008년 1월 28일 출원의 일본 특허 출원?출원 번호 2008-016972에 의거한 것이며, 그 내용은 여기에 참조로서 받아들여진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적응 변조(고속 적응 변조)에 의한 무선 통신이 가능한 무선 통신 시스템, 송신 장치, 수신 장치, 무선 통신 방법에 이용 가능하다.
100 : 무선 통신 시스템
110 : PHS 단말
120 : 기지국
230 : 송신 데이터 유지부
232 : 데이터 변조부
234 : 데이터 송신부
236 : HARQ 수신부
330 : 데이터 수신부
332 : 데이터 복조부
334 : 에러 정정부
336 : 에러 검출부
338 : 복조 데이터 유지부
340 : HARQ 송신부
342 : 체이스 합성부
344 : 에러 송신부
520 : 앵커 채널
522 : 엑스트라 채널

Claims (11)

  1. 적응 변조에 의해 결정된 MCS에 의거하여 변조된 프레임 단위의 데이터와 그 MCS를 특정 가능한 MCS 식별자를 송신하는 송신 장치와, 상기 송신 장치와 무선 통신 가능하며 수신한 상기 MCS 식별자에 의해 특정되는 MCS에 의거하여 수신한 그 데이터를 복조하는 수신 장치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송신 장치는,
    송신되는 데이터와 그 데이터를 변조하는 MCS의 MCS 식별자를 그 데이터의 프레임을 특정 가능한 프레임 식별자에 관련지어 유지하는 송신 데이터 유지부와,
    상기 유지된 MCS에 의거하여 상기 데이터를 변조하는 데이터 변조부와,
    상기 변조된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송신하는 데이터 송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신 장치는,
    상기 송신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와,
    상기 수신한 데이터를 복조하는 데이터 복조부와,
    상기 복조된 데이터의 에러를 검출하는 에러 검출부와,
    상기 복조된 데이터에 에러가 검출된 경우, 상기 복조된 데이터와 그 데이터의 MCS 식별자를 상기 프레임 식별자에 관련지어 유지하는 복조 데이터 유지부와,
    상기 복조된 데이터에 에러가 검출된 경우, 그 데이터의 프레임 식별자와 에러 부분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ARQ(자동 재송신 요구)를 송신하는 ARQ 송신부를 구비하며,
    상기 데이터 변조부는, 상기 복조된 상기 데이터에 에러가 검출된 경우, 상기 데이터에 관한 ARQ의 수신으로부터 소정 프레임 후에, 그 ARQ의 프레임 식별자 및 에러 부분의 식별자로 특정되는 상기 송신 데이터 유지부에 유지된 상기 데이터의 상기 에러 부분을, 상기 송신 데이터 유지부에 유지된 MCS에 의거하여 변조하고, 에러 부분 이외를 적응변조에 의해 결정된 MCS에 의거하여 변조하며,
    상기 데이터 송신부는, 상기 MCS에 의거하여 변조된 상기 데이터의 상기 에러 부분과, 상기 적응변조에 의해 결정된 MCS에 의거하여 변조된 데이터를 송신하고,
    상기 데이터 복조부는, 수신한 데이터의 상기 에러 부분을 상기 복조 데이터 유지부에 유지된 MCS에 의거하여 상기 에러 부분 이외를 상기 적응변조에 의해 결정된 MCS에 의거하여 복조하고,
    상기 수신 장치는, 상기 복조된 에러 부분과, 상기 복조 데이터 유지부에 유지된 데이터를 체이스 합성하는 체이스 합성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변조부는, ARQ에 의해 재송신되는 데이터의 에러 부분을 프레임 내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배치하여 변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변조부에 있어서의 MCS는, 상기 수신 장치가 요구하는 MCS와 동일하거나 또는 변조 효율이 떨어지는 MC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당해 무선 통신 시스템은, ARIB STD T95 또는 PHS MoU에 준거한 시스템이며, 상기 ARQ는 당해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HARQ(Hybrid ARQ)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변조부는, 상기 에러 부분 이외의 데이터를 적응 변조에 의해 결정된 MCS에 의거하여 변조하고,
    상기 데이터 복조부는, 상기 에러 부분 이외의 데이터를 적응 변조에 의해 결정된 MCS에 의거하여 복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6. 적응 변조에 의해 결정된 MCS에 의거하여 변조된 프레임 단위의 데이터와 그 MCS를 특정 가능한 MCS 식별자를 수신 장치에 송신하는 송신 장치로서,
    송신되는 데이터와 그 데이터를 변조하는 MCS의 MCS 식별자를 그 데이터의 프레임을 특정 가능한 프레임 식별자에 관련지어 유지하는 송신 데이터 유지부와,
    상기 유지된 MCS에 의거하여 상기 데이터를 변조하는 데이터 변조부와,
    상기 변조된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송신하는 데이터 송신부를 구비하며,
    상기 수신 장치로부터 ARQ(자동 재송신 요구)를 수신한 경우,
    상기 데이터 변조부는, 상기 ARQ의 수신으로부터 소정 프레임 후에, 상기 ARQ의 프레임 식별자 및 에러 부분의 식별자로 특정되는 상기 송신 데이터 유지부에 유지된 데이터의 상기 수신 장치로부터 지정된 에러 부분을 상기 송신 데이터 유지부에 유지된 MCS에 의거하여 변조하고,
    상기 데이터 송신부는, 상기 변조된 데이터를 재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변조부는, 상기 에러 부분 이외의 데이터를 적응 변조에 의해 결정된 MCS에 의거하여 변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
  8. 적응 변조에 의해 결정된 MCS에 의거하여 변조된 프레임 단위의 데이터와 그 MCS를 특정 가능한 MCS 식별자를 송신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수신 장치로서,
    상기 송신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와,
    상기 수신한 데이터를 복조하는 데이터 복조부와,
    상기 복조된 데이터의 에러를 검출하는 에러 검출부와,
    상기 복조된 데이터에 에러가 검출된 경우, 상기 복조된 데이터와 그 데이터의 MCS 식별자를 그 프레임 식별자에 관련지어 유지하는 복조 데이터 유지부와,
    상기 복조된 데이터에 에러가 검출된 경우, 그 데이터의 프레임 식별자와 에러 부분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ARQ(자동 재송신 요구)를 송신하는 ARQ 송신부를 구비하며,
    상기 데이터 복조부는, 상기 송신 장치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의 에러 부분을 상기 복조 데이터 유지부에 유지된 MCS에 의거하여 복조하고,
    상기 복조된 에러 부분과, 상기 복조 데이터 유지부에 유지된 데이터를 체이스 합성하는 체이스 합성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복조부는, 상기 에러 부분 이외의 데이터를 적응 변조에 의해 결정된 MCS에 의거하여 복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
  10. 적응 변조에 의해 결정된 MCS에 의거하여 변조된 프레임 단위의 데이터와 그 MCS를 특정 가능한 MCS 식별자를 송신하는 송신 장치와, 상기 송신 장치와 무선 통신 가능하며 수신한 상기 MCS 식별자에 의해 특정되는 MCS에 의거해 수신한 그 데이터를 복조하는 수신 장치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을 실행하는 무선 통신 방법으로서,
    상기 송신 장치는,
    송신되는 데이터와 그 데이터를 변조하는 MCS의 MCS 식별자를 그 데이터의 프레임을 특정 가능한 프레임 식별자에 관련지어 유지하고,
    상기 유지된 MCS에 의거하여 상기 데이터를 변조하며,
    상기 변조된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송신하고,
    상기 수신 장치는,
    상기 송신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데이터를 복조하며,
    상기 복조된 데이터의 에러를 검출하고,
    상기 복조된 데이터에 에러가 검출된 경우, 상기 복조된 데이터와 그 데이터의 MCS 식별자를 상기 프레임 식별자에 관련지어 유지하고, 그 데이터의 프레임 식별자와 에러 부분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ARQ(자동 재송신 요구)를 송신하며,
    상기 송신 장치는 또한,
    상기 ARQ의 수신으로부터 소정 프레임 후에, 상기 ARQ의 프레임 식별자 및 에러 부분의 식별자로 특정되는 상기 유지된 데이터의 상기 에러 부분을 상기 유지된 MCS에 의거하여 변조하고,
    상기 변조된 데이터를 재송신하며,
    상기 수신 장치는 또한,
    수신한 데이터의 에러 부분을 그 유지된 MCS에 의거하여 복조하고,
    상기 복조된 에러 부분과, 상기 유지된 데이터를 체이스 합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송신 장치는 또한,
    상기 에러 부분 이외의 데이터를 적응 변조에 의해 결정된 MCS에 의거하여 변조하고,
    상기 수신 장치는 또한,
    상기 에러 부분 이외의 데이터를 적응 변조에 의해 결정된 MCS에 의거하여 복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KR1020107016925A 2008-01-28 2009-01-27 무선 통신 시스템, 송신 장치, 수신 장치, 무선 통신 방법 KR1011529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016972A JP5063387B2 (ja) 2008-01-28 2008-01-28 無線通信システム、送信装置、受信装置、無線通信方法
JPJP-P-2008-016972 2008-01-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5655A KR20100095655A (ko) 2010-08-31
KR101152996B1 true KR101152996B1 (ko) 2012-06-04

Family

ID=40912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6925A KR101152996B1 (ko) 2008-01-28 2009-01-27 무선 통신 시스템, 송신 장치, 수신 장치, 무선 통신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520655B2 (ko)
EP (1) EP2239877B1 (ko)
JP (1) JP5063387B2 (ko)
KR (1) KR101152996B1 (ko)
CN (1) CN101926119A (ko)
WO (1) WO200909639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17992B (zh) * 2009-06-15 2018-05-01 富士通株式会社 无线通信系统、基站装置、终端装置以及无线通信方法
JP5704160B2 (ja) * 2010-02-23 2015-04-22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基地局およびその適応変調制御方法
US20150033091A1 (en) * 2013-07-23 2015-01-29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requesting retransmission of lost packet based on mpeg media transport system
KR102052388B1 (ko) * 2013-07-23 2019-12-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peg 미디어 전송 시스템 기반의 손실 패킷 재전송 요청 장치 및 방법
KR20150086794A (ko) * 2014-01-20 2015-07-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경쟁기반 접속 시스템에서 소프트 컴바이닝을 기반한 재전송 방법 및 장치
JP6536682B2 (ja) * 2015-09-30 2019-07-03 日本電気株式会社 基地局装置、端末装置および通信システム
US10263691B2 (en) * 2016-09-21 2019-04-16 Qualcomm Incorporated Dynamic reverse link retransmission timelines in satellite communication systems
JP6773616B2 (ja) * 2017-08-21 2020-10-21 株式会社東芝 無線通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方法
CN112088508A (zh) * 2019-04-15 2020-12-15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无线局域网的通信方法、装置、终端及可读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37722A (ja) 1999-02-19 2002-11-05 テレフォ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 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フレキシブル・リンク適応を可能にする制御信号伝達の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US20050008026A1 (en) * 2003-07-10 2005-01-13 Yoshinori Tanaka Packet transceiver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50427A1 (en) * 2003-08-29 2005-03-03 Gibong Jeong Method of rate matching for link adaptation and code space management
KR100714972B1 (ko) 2004-08-17 2007-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자동재전송요구 시스템에서 최적의 시공간부호를 설계하기 위한 방법
JP2007221178A (ja) * 2005-04-01 2007-08-30 Ntt Docomo Inc 送信装置及び送信方法
JP4583295B2 (ja) 2005-11-29 2010-11-17 富士通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再送制御方法及び送信機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37722A (ja) 1999-02-19 2002-11-05 テレフォ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 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フレキシブル・リンク適応を可能にする制御信号伝達の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US20050008026A1 (en) * 2003-07-10 2005-01-13 Yoshinori Tanaka Packet transceiver apparatus
JP2005033399A (ja) 2003-07-10 2005-02-03 Fujitsu Ltd パケット送受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063387B2 (ja) 2012-10-31
EP2239877B1 (en) 2012-12-26
US20100309874A1 (en) 2010-12-09
EP2239877A1 (en) 2010-10-13
US8520655B2 (en) 2013-08-27
EP2239877A4 (en) 2011-01-19
WO2009096392A1 (ja) 2009-08-06
JP2009177752A (ja) 2009-08-06
KR20100095655A (ko) 2010-08-31
CN101926119A (zh) 2010-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2996B1 (ko) 무선 통신 시스템, 송신 장치, 수신 장치, 무선 통신 방법
JP4719247B2 (ja) 送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方法
KR100818243B1 (ko) 자동 재송 요구방식을 이용하는 멀티캐리어 통신 시스템을위한 통신 방법
US9118471B2 (en) Method and arrangement in a telecommunication system
JP4413869B2 (ja) 無線通信装置及び送信方法
WO2015115454A1 (ja) 端末装置、基地局装置、および、通信方法
JP6965925B2 (ja) 基地局装置、端末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方法
JP4955614B2 (ja) 無線通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方法
JP4769834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方法
WO2007081564A2 (en) Scheduling channel quality indicator and acknowledgement/negative acknowledgement feedback
JP4917563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4588083B2 (ja) 基地局および無線通信方法
JP2009189066A (ja) 無線通信装置及び受信方法
JP2010130176A (ja) 通信装置及び再送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