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2295B1 - 콩을 이용한 지반의 천연고결제 및 이를 이용한 지반의 고결화 방법 - Google Patents

콩을 이용한 지반의 천연고결제 및 이를 이용한 지반의 고결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2295B1
KR101152295B1 KR1020110128296A KR20110128296A KR101152295B1 KR 101152295 B1 KR101152295 B1 KR 101152295B1 KR 1020110128296 A KR1020110128296 A KR 1020110128296A KR 20110128296 A KR20110128296 A KR 20110128296A KR 101152295 B1 KR101152295 B1 KR 1011522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
natural
soil
component liquid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8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식
남인현
최선규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1282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22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22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22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7/00Soil-conditioning materials or soil-stabilising materials
    • C09K17/40Soil-conditioning materials or soil-stabilising materials containing mixtures of inorganic and organic compounds
    • C09K17/48Organic compounds mixed with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e.g. polymerisation catalysts
    • C09K17/50Organic compounds mixed with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e.g. polymerisation catalysts the organic compound being of natural origin, e.g. cellulose deriva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7/00Soil-conditioning materials or soil-stabilising materials
    • C09K17/40Soil-conditioning materials or soil-stabilising materials containing mixtures of inorganic and organic compound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12Consolidating by placing solidifying or pore-filling substances in the soil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103/00Civil engineering us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105/00Erosion preven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oil Conditioners And Soil-Stabilizing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흙입자 사이 공극이나 암반 내 균열 사이에 탄산칼슘을 침전시켜 흙을 고결화하는 천연고결제 및 이를 이용한 고결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해 미생물 대사활동을 위한 pH 및 배양액 조건, 흙입자의 크기 및 공극비, 흙의 종류, 적절한 수분함량의 범위 및 온도범위에 구애받지 않고 탄산칼슘을 침전시켜 지반을 고결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산화탄소 배출이나 중금속 유출, 수목 고사나 하천오염 등과 같은 각종 환경문제를 유발하지 않는 친환경적이고 경제적인 천연고결제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콩을 이용한 지반의 천연고결제 및 이를 이용한 지반의 고결화 방법{Natural Soil?binder Using Natural Bean And Its Use For Soil Cementation}
본 발명은 흙입자 사이 공극이나 암반 내 균열 사이에 탄산칼슘을 침전시켜 흙을 고결화하거나 암반의 균열을 메움으로써 지반(흙과 암반을 모두 포함)의 강도와 지지력을 향상시키거나 침하량을 감소시키는 고결제에 관한 것으로서 친환경적인 재료를 사용한 천연고결제에 관한 것이다.
자연적인 흙의 고결화(cementation) 현상은 모래나 점토와 같은 흙입자 사이에 유기물질이나 칼슘염이 침전되면서 흙입자가 고결되어 강도를 발휘하는 과정이다. 인위적인 흙의 고결화는 공학적으로 불량한 흙을 시멘트와 같은 고결제를 사용하여 강제적으로 흙입자 사이에 고결물질을 생성시켜 흙입자를 고결시키는 것이다.
인위적으로 토사나 암반을 고결시키는 공법은 지반 내에 시멘트계나 약액을 주입함과 동시에 교반하여 지반을 고화처리하는 공법(예: 교반처리공법)과 단순 주입하여 지반 내의 균열이나 공극을 충전하여 지반을 보강하거나 차수하는 공법(예: 약액주입공법, 그라우팅공법)으로 나눌 수 있다. 이와 같은 지반 보강 및 차수공법에는 대부분 시멘트를 사용하고 있다. 시멘트의 원료는 국내에 풍부하게 매장되어 있으나, 1톤의 시멘트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약 0.9톤의 이산화탄소가 배출될 뿐 아니라 석회석 채광으로 자연환경을 훼손시키는 단점이 있다. 미국이 교토의정서에 다시 동참할 경우 우리나라도 어쩔 수 없이 막대한 이산화탄소 배출금을 지불할 수 밖에 없는 가운데 국내에서 시멘트 생산 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는 연간 6300만 톤(톤당 4.5만원 기준 시 연간 2조 8천억 원) 정도이므로 탄소배출량을 절감하기 위해서 시멘트가 아닌 친환경 재료를 이용한 고결제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국내에서도 시멘트를 대체할 수 있는 친환경 고결제로 미생물을 이용한 흙의 고결에 관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흙의 고결화 방법으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30761호에서는 연약 지반에 미생물 용액과 염화칼슘 용액을 적용함으로써 상기 미생물 용액 내의 미생물 대사활동으로부터 얻어지는 탄산염 이온과 상기 염화칼슘 용액으로부터 얻어지는 칼슘이온의 반응으로 흙입자 사이의 공극에 탄산칼슘을 침전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연약 지반의 고결화 방법을 제공하고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미생물 대사활동에 의한 우레아 분해로부터 얻어지는 탄산염 이온과 상기 염화칼슘 용액으로부터 얻어지는 칼슘이온의 반응으로 탄산칼슘을 침전시키는 방법으로서 미생물의 반응을 위한 pH 및 배양액 조건과 미생물의 원활한 통과를 위한 흙입자의 크기 및 공극비의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으며, 적용대상인 흙의 종류도 미생물의 크기를 고려하였을 때 모래와 실트에 국한되며, 적절한 수분함량의 범위가 존재할 뿐만 아니라 미생물의 생장에 적합한 온도범위가 상온(30℃)에 국한되는 등의 적용상의 한계가 있어 왔다.
이렇게 고결제로 시멘트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산화탄소 배출이나 중금속 유출 등과 같은 각종 환경문제를 일으키며, 미생물을 이용한 흙의 고결방법에 사용되는 기본재료인 염화칼슘이 토양에 축적되면 수목이 뿌리를 통한 양분과 수분을 원활히 흡수할 수 없어 고사에 이를 수 있을 뿐 아니라 하천오염이나 차량부식의 원인이 되어 보다 친환경적인 고결제 개발의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종래기술의 문제점인 이산화탄소 배출이나 중금속 유출, 수목 고사나 하천오염 등과 같은 각종 환경문제를 일으키지 않고 탄산칼슘을 침전시켜 지반을 고결화할 수 있는 천연고결제 및 이를 이용한 지반의 고결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하면, 콩추출액 및 우레아로 이루어진 제1성분액과 조개류껍질, 갑각류껍질, 달걀껍질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유기산에 녹여 이온화한 용액인 천연이온화칼슘용액인 제2성분액으로 이루어지고, 지반에 적용 시 상기 제1성분액과 제2성분액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콩을 이용한 지반의 천연고결제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천연고결제를 이용하여 지반 내 흙입자 사이 공극에 탄산칼슘을 침전시켜 지반을 고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의 고결화 방법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지반 내의 흙입자 사이 공극이나 암반 균열 내에 탄산칼슘을 침전시켜 지반을 고결화하여 지반의 강도 및 지지력을 증대시키고 침하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고결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천연물질을 원료로 사용한 천연고결제에 관한 것이다.
고결화(cementation)는 흙이 단단해지는 일련의 과정으로서, 흙입자 간의 공극을 통하여 고결물(cement)이라 부르는 고형물질들이 공극 내에 침전되어 흙입자들을 서로 묶어주어 흙입자들을 단단하게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천연고결제는 지반의 흙입자 공극에 탄산칼슘을 침전시켜 지반을 고결화하는데 사용하는 것으로서, 콩추출액 및 우레아로 이루어진 제1성분액과 천연이온화칼슘용액인 제2성분액으로 이루어지고 지반에 적용 시 상기 제1성분액과 제2성분액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성분액은 콩추출액 5~50 중량%, 우레아 50~95 중량%인 것이 특징인데, 콩추출액 5 중량% 미만에서는 탄산이온의 발생량이 충분하지 못하여 탄산칼슘형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렇게 본 발명에서는 콩추출액에 함유되어 있는 우레아제와 우레아를 반응시켜 탄산이온을 형성시킴으로써, 후술할 제2성분액인 천연이온화칼슘용액의 칼슘이온과의 반응으로 탄산칼슘을 형성시키게 된다. 상기 제2성분액인 천연이온화칼슘용액은 조개류껍질, 갑각류껍질, 달걀껍질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유기산에 녹여 이온화한 용액인 것이 탄산칼슘 석출에 바람직하며, 이산화탄소 배출이나 중금속 유출, 수목 고사나 하천오염 등과 같은 각종 환경문제를 유발하지 않아 친환경적인 장점이 있다. 상기 유기산은 초산, 구연산, 사과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사용할 수 있는데, 칼슘이온을 효율적으로 만들기에는 초산이 더욱 바람직하다.
콩추출액속의 우레아제 성분은 우레아와 화합하여 탄산이온과 암모니아 이온을 형성하면서 주변의 pH를 9.2 정도까지 상승시킬 수 있으며, 이는 콩추출액의 우레아제가 우레아를 분해하였다는 증거가 될 수 있다.
콩추출액에 의한 우레아 분해 반응은 다음의 식 (1)로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11095990457-pat00001
--- (식 1)
이렇게 분해된 상기 탄산이온과 암모니아이온은 제2성분액인 천연이온화칼슘용액의 칼슘이온과 만나 아래 식 (2)와 같이 탄산칼슘을 석출하게 된다.
Figure 112011095990457-pat00002
--- (식 2)
상기 제1성분액과 제2성분액의 비는 1:1 ~ 2:1인 것이 탄산칼슘 석출에 바람직하다.
상기 콩추출액은 작두콩, 강낭콩, 검은콩, 흰콩을 포함하는 콩류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콩으로부터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콩을 분쇄하여 고형분과 함께 사용하여도 무방하나 분쇄 후 고형분을 제외한 액체부분만을 사용하는 것이 콩추출액속의 우레아제 성분의 활성을 극대화하고, 콩류에서 발생하는 고형분에 의한 간섭을 배제하는 데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천연고결제를 이용하여 지반 내 흙입자 사이 공극에 탄산칼슘을 침전시켜 지반을 고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의 고결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고결제의 제1성분액을 고결화의 대상이 되는 지반의 흙속에 주입하여 골고루 혼합한 후 제2성분액을 순차적으로 투입하여 지반 내에 제1성분액과 제2성분액이 균일하게 분포할 수 있도록 하여 지반 내 흙입자 사이 공극에 탄산칼슘이 골고루 침전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고결화 방법은 특히 느슨한 점토질, 실트질 또는 모래질로 구성된 연약지반이나 암반의 균열을 메우는데 바람직하다. 한편 각종 토목 및 건축공사에 사용되는 시멘트를 대신할 수 있는 친환경 고결제로서 흙이나 암반뿐만 아니라 다양한 건설재료의 고결이나 결합에 시멘트 대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흙의 종류는 크게 자갈, 모래, 실트, 점토로 구분되어지는데, 기존의 미생물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미생물의 크기로 인하여 모래와 실트에 국한되었으나, 본 발명의 고결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흙의 종류에 구애받지 않고 여러 가지 흙의 종류에 널리 적용될 수 있다. 사질, 실트질, 점토층 및 암반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지반에 적용할 수 있다. 한편 미생물을 사용할 경우 미생물의 대사활동에 사용되는 배양액의 준비과정이나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배양액 자체가 고가이지만, 콩을 직접 분쇄하여 사용하는 본 발명의 천연고결제의 경우는 고결재료가 저렴하고 단순하여 고결제의 준비 기간과 과정을 단축시켜 지반의 고결화 비용을 절감하고 이산화탄소 배출이나 중금속 유출, 수목 고사나 하천오염 등과 같은 각종 환경문제를 유발하지 않아 친환경적인 장점이 있으며, 고결제의 대량생산 및 현장적용을 가능케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고결제는 용도를 전환하여 준설토로 사용되는 흙입자들을 서로 응집시켜서 매립되는 준설토의 침강속도를 촉진시키는 침강제로도 이용될 수 있다. 해안지역에서 준설한 토사를 이용하여 해안 인근 지역을 매립할 경우, 입자가 가는 준설토 특성으로 침강하는데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며, 유수의 흐름에 따른 준설토 세립분이 주변 지역으로 이동하면서 오염을 일으키기도 하는데. 본 발명의 고결제를 사용하여 흙입자들을 서로 응집시켜서 매립되는 준설토의 침강속도를 촉진시킴으로써 공사기간을 단축시키거나 준설토가 주변 지역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여 환경오염을 저감하여 해안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하면, 미생물 대사활동을 위한 pH 및 배양액 조건, 흙입자의 크기 및 공극비, 흙의 종류, 적절한 수분함량의 범위 및 온도범위에 구애받지 않고 탄산칼슘을 침전시켜 지반을 고결화하여 지반의 강도와 지지력을 개선하고 침하량을 저감할 수 있는 고결제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산화탄소 배출이나 중금속 유출, 수목 고사나 하천오염 등과 같은 각종 환경문제를 유발하지 않는 친환경적이고 경제적인 천연고결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해 얻어진 고결 물질의 사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해 얻어진 고결 물질의 SEM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해 얻어진 고결 물질의 사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해 얻어진 고결 물질의 SEM 사진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해 얻어진 고결 물질의 XRD 결과이며,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해 얻어진 고결 물질의 XRD 결과이다.
이하 다음의 실시 예에서는 본 발명의 콩을 이용한 지반의 천연고결제에 대한 비한정적인 예시를 하고 있다.
[실시예 1]
호모게나이져(Homogenizer)로 콩(작두콩)을 분쇄하고 얻어진 고형물과 액체를 침전법에 의해 분리한 후, 액체를 12,000rpm, 15분, 4℃에서 원심분리(centrifuge)시킨 후에 상층액을 취하여 콩추출액 5g을 준비한 후 우레아(CO(NH2)2) 10g을 혼합하여 제1성분액을 준비하였다. 조개, 홍합 껍질을 잘게 부수어 병에 넣은 다음 초산을 중량비 1:1로 섞어 10일이 지난 다음 필터링하여 제2성분액을 준비한 후, 상기 준비한 제1성분액 15g과 제2성분액 15g을 혼합하여 총 30g이 되도록 한 후 두껑을 닫고 72 시간동안 28℃에서 배양을 하여 고결물질이 생성되는지 확인하였다. 72 시간 후 용기 안의 물질을 거름종이로 액체를 분리한 후 건조하여 도 1과 같은 고결 물질과 도 2와 같은 SEM 사진(100배 확대)을 얻었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제1성분액 15g과 제2성분액 15g을 혼합하여 사질토 15g과 함께 교반한 후 72 시간동안 28℃에서 배양을 하여 고결물질이 생성되는지 확인하여 도 3와 같은 고결물질을 얻었으며, 도 4의 SEM 사진(100배 확대)에서는 모래 입자 사이에 고결물질이 석출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1에서 생성된 고결물질이 탄산칼슘임을 도 5의 XRD 분석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었고, 도 3에서도 모래입자 사이에 고결물질인 탄산칼슘이 생성됨을 도 6의 XRD 분석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8)

  1. 콩추출액 및 우레아로 이루어진 제1성분액과 조개류껍질, 갑각류껍질, 달걀껍질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유기산에 녹여 이온화한 용액인 천연이온화칼슘용액인 제2성분액으로 이루어지고, 지반에 적용 시 상기 제1성분액과 제2성분액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콩을 이용한 지반의 천연고결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성분액은 콩추출액 5~50 중량%, 우레아 50~95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콩을 이용한 지반의 천연고결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성분액과 제2성분액의 비는 1:1 ~ 2: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콩을 이용한 지반의 천연고결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콩추출액은 작두콩, 강낭콩, 검은콩, 흰콩을 포함하는 콩류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콩으로부터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콩을 이용한 지반의 천연고결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산은 초산, 구연산, 사과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콩을 이용한 지반의 천연고결제.
  7. 제 1항 내지 제 2항 및 제 4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의 천연고결제를 이용하여 지반 내 흙입자 사이 공극에 탄산칼슘을 침전시켜 지반을 고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의 고결화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지반은 사질, 실트질, 점토층 및 암반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의 고결화 방법.
KR1020110128296A 2011-12-02 2011-12-02 콩을 이용한 지반의 천연고결제 및 이를 이용한 지반의 고결화 방법 KR1011522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8296A KR101152295B1 (ko) 2011-12-02 2011-12-02 콩을 이용한 지반의 천연고결제 및 이를 이용한 지반의 고결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8296A KR101152295B1 (ko) 2011-12-02 2011-12-02 콩을 이용한 지반의 천연고결제 및 이를 이용한 지반의 고결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2295B1 true KR101152295B1 (ko) 2012-06-08

Family

ID=46688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8296A KR101152295B1 (ko) 2011-12-02 2011-12-02 콩을 이용한 지반의 천연고결제 및 이를 이용한 지반의 고결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229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45425A (zh) * 2014-05-28 2014-09-17 马鞍山市心洲葡萄专业合作社 一种大豆专用生物有机绿色肥料及其制备方法
KR102076340B1 (ko) 2019-06-04 2020-02-11 대한민국 미생물 유래 효소 매개 탄산칼슘 침전을 이용한 친환경 지반 보강 방법
KR102079245B1 (ko) 2019-06-11 2020-02-19 대한민국 미생물 유래 효소 매개 탄산칼슘 침전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크랙 보수용 친환경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크랙 보수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57700A (ja) * 2010-01-29 2011-08-18 Ehime Univ 地盤改良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57700A (ja) * 2010-01-29 2011-08-18 Ehime Univ 地盤改良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45425A (zh) * 2014-05-28 2014-09-17 马鞍山市心洲葡萄专业合作社 一种大豆专用生物有机绿色肥料及其制备方法
CN104045425B (zh) * 2014-05-28 2016-05-25 马鞍山市心洲葡萄专业合作社 一种大豆专用生物有机绿色肥料及其制备方法
KR102076340B1 (ko) 2019-06-04 2020-02-11 대한민국 미생물 유래 효소 매개 탄산칼슘 침전을 이용한 친환경 지반 보강 방법
KR102079245B1 (ko) 2019-06-11 2020-02-19 대한민국 미생물 유래 효소 매개 탄산칼슘 침전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크랙 보수용 친환경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크랙 보수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0761B1 (ko) 미생물을 이용한 연약 지반의 고결화 방법
CN110438974B (zh) 一种微生物固化试剂盒及原位固化钙质砂的方法
CN104938384A (zh) 一种仿生混凝土人工鱼礁及其制备方法
EP2352574A1 (en) Co2 sequestering soil stabilization composition
CN102612887B (zh) 一种围海吹填区植被快速构建方法
CN107709266A (zh) 利用二氧化碳捕集副产物的流动性混合组合物
JP2019011630A (ja) 粘性土地盤改良方法
KR101152295B1 (ko) 콩을 이용한 지반의 천연고결제 및 이를 이용한 지반의 고결화 방법
CN108192623A (zh) 拜耳法赤泥路基微生物固化方法及应用方法
KR101141978B1 (ko) 콩을 이용한 지반의 고결제 및 이를 이용한 지반의 고결화 방법
Guan et al. Assessment of urease enzyme extraction for superior and economic bio-cementation of granular materials using enzyme-induced carbonate precipitation
KR101144777B1 (ko) 준설슬러지를 이용한 토양개량제 제조방법
JP2007136452A (ja) スラグ材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スラグ材を利用した環境改善材料、環境改善方法及び土木建築材料
JP2006219604A (ja) 土壌改良工法及び土壌改良材
JP2006257030A (ja) 水域向けミネラル供給剤、藻礁ブロック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4086070A (zh) 高含水率淤泥固化剂
KR101332201B1 (ko) 현지토 고화 촉진 조성물
CN110526551A (zh) 一种淤泥脱水固化剂及资源化利用方法
KR100992510B1 (ko) 토양 개량 안정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오니 처리 방법
JP3729160B2 (ja) 水中又は水浜の環境改善方法及び環境改善用資材
Wiltshire Innovations in marine ferromanganese oxide tailings disposal
KR101392275B1 (ko) 현지토 고화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JP2005013973A (ja) 汚泥の固化処理材、それを用いる汚泥の処理方法及び汚泥固化物の再利用方法
JP4069056B2 (ja) 干潟、浅場用水域環境修復材料
JP6300307B2 (ja) 陸域保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