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1281B1 - 발열기능이 부여된 투습방수 발열필름 및 그를 이용한 투습방수 발열원단 - Google Patents

발열기능이 부여된 투습방수 발열필름 및 그를 이용한 투습방수 발열원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1281B1
KR101151281B1 KR1020090048470A KR20090048470A KR101151281B1 KR 101151281 B1 KR101151281 B1 KR 101151281B1 KR 1020090048470 A KR1020090048470 A KR 1020090048470A KR 20090048470 A KR20090048470 A KR 20090048470A KR 101151281 B1 KR101151281 B1 KR 1011512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isture
fabric
film
permeable waterproof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8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9890A (ko
Inventor
우종범
정혜진
정광남
김상용
이순일
박동호
Original Assignee
(주) 파카알지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파카알지비 filed Critical (주) 파카알지비
Priority to KR10200900484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1281B1/ko
Publication of KR201001298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98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12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12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specially treated, e.g. irradi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Landscapes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탄소나노튜브층이 전면 코팅되어 발열기능이 부여된 투습방수 발열필름 및 그를 이용한 투습방수 발열원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투습방수 발열필름은 종래의 투습방수용 필름에 탄소나노튜브층을 전면 코팅한 것으로서, 상기 탄소나노튜브 코팅 이후의 광투과율이 코팅 이전의 광투과율 대비, 50% 이상으로 유지되어, 탄소나노튜브가 투명하고 균일 코팅됨으로써, 투습방수용 필름 자체의 기공을 막지 않아 투습도가 유지되고 원단상의 온도편차가 작아 전체적인 열효율이 우수한 투습방수 발열원단을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원단자체에 투습방수 기능을 유지하면서 발열성이 부여되는 투습방수 발열원단은 운동복, 등산복, 방한복, 사우나복 등의 발열의복에 적용할 수 있다.
발열필름, 발열원단, 발열의류, 탄소나노튜브

Description

발열기능이 부여된 투습방수 발열필름 및 그를 이용한 투습방수 발열원단{EXOTHERMIC BREATHABLE FILM HAVING HEAT GENERATION FUNCTION AND EXOTHERMIC FABRIC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발열기능이 부여된 투습방수 발열필름 및 그를 이용한 투습방수 발열원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의 투습방수용 필름에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tube, CNT)가 투명하게 균일 코팅된 투습방수 발열필름 및 상기 투습방수용 필름 자체의 기공을 막지 않아 투습도가 유지되고 원단상의 온도편차가 작아 전체적인 열효율이 우수한 투습방수 발열원단에 관한 것이다.
투습방수 소재는 수분은 통과시키고 물은 스며들지 않게 하여, 비나 눈에 젖지 않고 땀은 배출시켜 착용자의 체온조절을 돕고, 쾌적감을 유지하도록 하는 직물을 말한다. 상기 직물은 치밀하면서도 기공이 있어 방풍 기능까지 가지게 되며, 추운 환경에서 활동량이 증가하여 땀을 흘리는 경우에도 인체와 환경간의 매개체로서 작용하여 열과 수분 전달을 조절함으로써, 땀이 응축되거나 체온을 빼앗기지 않도록 한다. 더불어, 발열기능을 가짐으로써, 땀에 의한 체온저하나 활동량이 많지 않은 곳에서 착용자의 체온유지에 효과적인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발열기능을 갖는 제품으로는 발열장판, 발열 매트 또는 발열기능을 보유한 의복, 침대 등이 있다.
이중에서, 발열기능을 갖는 의복은 일반의류를 겉감으로 하고, 그 내부에 위치하는 안감을 전도성 탄소 섬유사와 일반 섬유사로 제직하거나, 면상발열체를 안감에 부착하여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발열 기능을 갖는다.
체온을 보호하기 위한 동절기 의류는 천연섬유, 합성섬유 등의 다양한 섬유를 사용해 제직하여 체온을 보온함에 중점적인 기능을 갖는다. 따라서 상당한 중량감을 갖는 의류로 제조되므로 가볍고 보온성이 좋은 의류의 제조방법이 요구되는 것이다.
이러한 요구를 충족하기 위하여, 의류의 특정부위에 천 조각을 덧대거나 찬 공기가 스며들지 않도록 제조하는 방법이 일반적이다. 좀 더 적극적인 방법으로 발열체를 이용하면, 동절기 체온유지에 더욱 효과적일 것이다.
최근 카본블랙 면상발열체가 개발되어 보온용 수단으로 사용되어 담요, 보온 방석 등의 제품으로 보급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제품들은 면상발열체를 내부에 삽입시켜 외, 내피를 봉접한 구조로서, 이를 의류에 그대로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있고 적용을 한다하더라도 일반세탁이 어렵다. 또한, 탄성이 약해 물리적 힘이나 충격에 약하여 쉽게 전원공급라인이 단락되거나 발열체 자체가 손상을 입는 문제가 있어 실용성에 한계가 있다.
즉, 종래의 발열의복은 면상발열체와 같은 발열체를 따로 제작하여 의복의 내부에 삽입시켜 제작된 구조로서, 얇고 가벼운 의복 제조가 불가능하며, 특히, 등산복과 같은 경량, 쾌적함을 요구하는 기능복에 적용하는데 어려움이 지적되어 왔다.
본 발명의 목적은 투습방수용 필름에 탄소나노튜브층이 전면 코팅되어 발열기능이 부여된 투습방수 발열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투습방수 발열원단 제조용 투습방수 발열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투습방수 발열필름면에 의복용 원단이 접합되어, 투습방수 특성이 유지되면서 원단자체에 발열성이 부여된 투습방수 발열원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투습방수용 필름에 탄소나노튜브층이 전면 코팅된 투습방수 발열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투습방수 발열필름에 있어서, 탄소나노튜브층이 전면 코팅된 투습방수 발열필름의 광투과율이 코팅 전의 투과율 대비 50% 이상이며, 이는 탄소나노튜브(CNT) 0.5 중량% 이하가 균일 분산(homogeneous dispersion)된 탄소나노튜브 함유용액에 의해 제어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투습방수용 필름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우레탄(PU),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PTFE), 폴리에틸렌(PE) 및 폴리프로필렌(PP)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소재를 사 용한다.
본 발명은 투습방수용 필름 전면에 탄소나노튜브 함유용액을 코팅하되, 코팅 후의 광투과율이 코팅 전의 투과율 대비 50% 이상 유지되도록 제어하여 투명한 탄소나노튜브층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상기 투습방수 발열원단 제조용 투습방수 발열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탄소나노튜브 함유용액은 탄소나노튜브 0.5 중량% 이하가 균일 분산(homogeneous dispersion)된 용액을 사용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투습방수 발열필름의 일면 또는 양면에 위치하는 의복용 원단이 접합된 투습방수 발열원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투습방수 발열원단에 있어서, 상기 투습방수 발열필름의 양면에 접합된 의복용 원단이 동일소재이거나 다른 소재원단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통용되는 투습방수용 필름에 탄소나노튜브층을 전면 코팅한 투습방수 발열필름을 제공하고, 상기 투습방수 발열필름의 일면 또는 양면에 의복용 원단을 접합시킨 투습방수 발열원단을 제공함에 따라, 고유한 투습방수 기능을 유지하면서도 발열기능을 원단 전면에 부가함으로써, 국소 면적이 아닌 의복 전면에 발열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따라서, 의복종류나 의복 내 위치에 상관없이 전면 또는 부분 설치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투습방수용 필름에 탄소나노튜브층이 전면 코팅된 투습방수 발열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투습방수용 필름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우레탄(PU),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PTFE), 폴리에틸렌(PE) 및 폴리프로필렌(PP)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사용하되, 상기 투습방수용 필름은 무공성 또는 다공성 타입에 제한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폴리우레탄(PU)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를 선택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투습방수용 필름은 제조하거나 상용제품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투습방수 발열필름에 있어서, 탄소나노튜브층은 탄소나노튜브 0.5 중량% 이하가 균일 분산(homogeneous dispersion)된 탄소나노튜브 함유용액에 의해 제어됨에 따라, 전면 코팅된 투습방수 발열필름의 광투과율이 코팅 전의 투과율 대비 50%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70%이상을 충족해야 한다. 상기 투과율이 높을수록, 본 발명의 투습방수 발열필름은 투명하고, 탄소나노튜브가 균일 분포된다.
본 발명은 투습방수용 필름 전면에 탄소나노튜브 함유용액을 코팅하되, 코팅 후의 광투과율이 코팅 전의 투과율 대비 50% 이상 유지되도록 제어하여 탄소나노튜브층을 형성하는 투습방수 발열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탄소나노튜브 함유용액은 탄소나노튜브 0.5 중량% 이하가 균일 분산(homogeneous dispersion)된 용액을 사용하며, 이때, 상기 0.5중량%를 초과하면, 균일 분산이 실질적으로 어렵고, 접착이 불리하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투습방수 필름 전면에 코팅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 되지 않고 통상의 방법에 의해 실시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코팅법, 전사법 또는 프린팅 방법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방법에 의한 수행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서 투습방수용 필름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우레탄(PU),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PTFE), 폴리에틸렌(PE) 및 폴리프로필렌(PP)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 사용하며, 상기 투습방수용 필름은 무공성 또는 다공성 타입에 제한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투습방수 발열필름에 카본나노튜브(CNT)를 투명하게 코팅한 후 전압을 인가하게 되면 전류를 효과적으로 전달함과 동시에 발열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투습방수 발열필름의 일면 또는 양면에 위치하는 의복용 원단이 접합된 투습방수 발열원단을 제공한다.
즉, 상기 투습방수용 필름의 일면 또는 양면에 분산된 CNT 용액을 코팅하고, 코팅 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원단에 라미네이팅하여 발열기능을 갖는 투습방수 발열원단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투습방수 발열원단은 투습방수용 필름 전면에 탄소나노튜브가 투명하고 균일하게 분포된 투습방수 발열필름을 이용함으로써, 투습방수용 필름의 기공을 막지 않아 투습도를 유지하면서, 원단상의 온도편차가 매우 작아 전체적인 열효율이 우수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투습방수 발열원단의 제1실시형태로서, 투습방수 발열필름(10)의 양면에 의복용 원단(20, 30)이 접합된 3층 구조의 투습방수 발열원단(1)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일례로 설명하고 있다.
이때, 의복용 원단은 외부 원단으로 폴리에스테르 경위사 75 데니어 평직물을 사용하고, 내부 원단으로 50 데니어 트리코트 편물을 사용하여 다른 소재를 사용하고 있으나, 동일소재를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의복용 원단의 소재선택은 최종 투습방수 발열원단(1)에 요구되는 기능성에 따라 다양하게 달리 선택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도 2는 본 발명의 투습방수 발열원단의 제2실시형태로서, 투습방수 발열필름(10)의 일면에 의복용 원단(20)이 접합된 2층 구조의 투습방수 발열원단(2)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에서 의복용 원단의 소재선택은 최종 투습방수 발열원단(2)에 요구되는 기능성에 따라 달리 선택 적용할 수 있으며, 공지된 원단소재에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투습방수 발열원단은 반복세탁에 견디는 내구성을 지니며, 탄소나노튜브(CNT)를 투명하게 코팅함으로써, 섬유 본래의 태를 손상시키지 않기 때문에 다양한 의복에 적용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투습방수 발열원단은 고유한 투습방수 기능을 유지하면서도 발열기능을 원단 전면에 부가함으로써, 국소 면적이 아닌 의복 전면에 발열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따라서, 투습방수 발열원단을 이용한 발열의복의 경우, 의복종류나 의복 내 위치에 상관없이 전면 또는 부분 설치하여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투습방수 발열원단은 종래 발열의복의 경우, 면상발열체와 같은 발열체를 별도로 제작하여 의복의 내부에 삽입시켜 제작함으로써, 얇고 가벼운 의복 제조가 어려운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투습방수 발열원단을 이용한 발열의복을 제공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투습방수 발열원단은 반복세탁에 견디는 내구성을 지니며, 탄소나노튜브(CNT)가 투명하게 코팅됨으로써, 다양한 의복 적용에 있어 본래의 태를 손상시키지 않는다.
상기 발열의복은 발열성이 부여되는 동시에, 경량감과 쾌적감을 동시에 충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발열의복이라 함은 발열의 기능성을 요구하는 전반적인 의복 형태에 적용할 수 있으며, 투습방수 기능이 부가된다. 발열의복은 통상의 상의, 조끼, 바지에 적용할 수 있으며, 그 일례로는 운동복, 등산복, 방한복, 사우나복 등의 적용을 포함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투습방수 발열필름 제조
투습방수용 필름으로서, 15㎛ 두께의 무공성 폴리우레탄[DING ZING, DINTEX] 필름에, 탄소나노튜브(CNT) 0.1 중량%를 에탄올에 분산시킨 용액을 코팅하되, 자외선분광기[JASCO, V-570]으로 실시간 모니터링하여, 코팅된 필름의 광 투과율이 코팅 전 투과율대비 70% 수준으로 유지되도록 제어하여 투습방수 발열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투습방수 발열필름 제조
15㎛ 두께의 무공성 폴리우레탄 필름에, 탄소나노튜브(CNT) 0.1 중량%를 에탄올에 분산시킨 용액을 코팅하되, 자외선분광기[JASCO, V-570]로 실시간 모니터링하여, 코팅된 필름의 광 투과율이 코팅 전 투과율대비 50% 수준으로 유지되도록 제어하여 투습방수 발열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투습방수 발열필름 제조
투습방수용 필름으로서, 15㎛ 두께의 다공성 폴리우레탄[DING ZING, DINTEX] 필름에, 탄소나노튜브(CNT) 0.1 중량%를 에탄올에 분산시킨 용액을 코팅하되, 자외선분광기[JASCO, V-570]으로 실시간 모니터링하여, 코팅된 필름의 광 투과율이 코팅 전 투과율대비 70% 수준으로 유지되도록 제어하여 투습방수 발열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투습방수 발열필름 제조
15㎛ 두께의 다공성 폴리우레탄 필름에, 탄소나노튜브(CNT) 0.1 중량%를 에탄올에 분산시킨 용액을 코팅하되, 자외선분광기[JASCO, V-570]로 실시간 모니터링하여, 코팅된 필름의 광 투과율이 코팅 전 투과율대비 50% 수준으로 유지되도록 제어하여 투습방수 발열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투습방수 발열필름 제조
투습방수용 필름으로서, 15㎛ 두께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에, 탄소나노튜브(CNT) 0.1 중량%를 디메틸포름아미드(DMF)에 분산시킨 용액을 코팅하되, 자외선분광기[JASCO, V-570]로 실시간 모니터링하여, 코팅된 필름의 광 투과율이 코팅 전 투과율대비 70% 수준으로 유지되도록 제어하여 투습방수 발열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투습방수 발열원단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투습방수 발열필름 상에, 외부 원단으로 폴리에스테르 경위사 75 데니어 평직물을 사용하고, 내부 원단으로 50 데니어 트리코트 편물을 사용하여, 라미네이팅 공법으로 3층 구조의 투습방수 발열원단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발열기능이 없는 일반적인 투습방수 원단 제조
15㎛ 두께의 무공성 폴리우레탄 투습방수 필름을 중간층으로 하고, 외부 원단으로 폴리에스테르 경위사 75 데니어 평직물과 내부 원단으로 5 0 데니어 트리코트 편물을 라미네이팅 공법을 이용하여 3 층 구조의 원단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투습방수 발열필름의 발열특성과 투습도 측정 1
상기 실시예 1~2에서 무공성 폴리우레탄 필름을 사용하여 제조된 투습방수 발열필름에 대하여, 인가전압 7.4 V 조건 하에서의 저항 및 발열온도를 측정하고, ASTM E96-2000BW법에 의하여 투습도를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Figure 112009033243121-pat00001
<실험예 2> 투습방수 발열필름의 발열특성과 투습도 측정 2
상기 실시예 3~4에서 다공성 폴리우레탄 필름을 사용하여 제조된 투습방수 발열필름에 대하여, 인가전압 7.4 V 조건 하에서의 저항 및 발열온도를 측정하고, ASTM E96-2000BW법에 의하여 투습도를 측정하여 하기 표 2에 기재하였다.
Figure 112009033243121-pat00002
상기 표 1 및 표 2의 결과로부터, 무공성 또는 다공성 투습방수용 필름에 따라 무관하게, 실시예 1~4에서 제조된 투습방수 발열필름 모두 낮은 저항치 결과를 보임에 따라, 탄소나노튜브(CNT)가 균일 분산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상기 결과는 CNT간에 연결이 잘 이루어져 있으므로 그로 인한 발열특성을 뒷받침한다.
특히, 실시예 1 및 실시예 3에서 제조된 투습방수 발열필름은 폴리우레탄(PU)필름에 CNT 코팅된 필름의 광 투과율이 코팅 전 투과율대비 70% 수준을 충족하도록 탄소나노튜브(CNT)를 투명하게 코팅함으로써, 무공 타입의 투습방수용 필름의 경우 CNT 코팅 전후에 투습도 변화가 없었으며, 다공 타입의 폴리우레탄(PU) 필름 내 습기가 통과할 수 있는 기공을 막지 않으므로 상대적으로 높은 투습도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무공성 또는 다공성의 투습방수용 필름에 적용할 수 있으며, 상기 투습방수용 필름 상에 CNT 코팅 시 광 투과율의 제어에 의해, 투습도가 좌우된다.
<실험예 3> 투습방수 발열원단의 투습도 측정
상기 실시예 6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투습방수 발열원단에 대하여, ASTM E96-2000BW 법에 의하여 투습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기재하였다.
Figure 112009033243121-pat00003
표 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에서 제조된 CNT를 코팅한 투습방수 발열필름을 사용하여 제조된 실시예 6의 투습방수 발열원단은 원단제조 전ㆍ후의 투습도 차가 적으므로, 최종 원단제품 제조공정을 거치더라도 투습도에 대한 성능저하는 미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투습방수 발열원단은 폴리우레탄(PU) 필름 면에, CNT가 균일하게 분포되어 투명한 상태를 보이고, CNT가 매우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기 때문에 투습방수 발열원단의 투습도에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또한, 원단상의 온도편차가 매우 작아 전체적인 열효율이 뛰어나다.
즉, 상기 실시예 6의 투습방수 발열원단은 비교예 1에서 CNT를 코팅하지 않고 통상의 필름을 사용하여 제조된 투습방수 원단의 투습도와 대등한 수준을 보이면서, 비교예 1의 투습방수 원단에 부여되지 않은 발열성이 부여됨으로써, 기능성을 요구하는 섬유제품의 속성에 부합하는 제품을 개발할 수 있다.
< 실험예 4> 세탁내구성 측정
상기 실시예 6에서 제조된 투습방수 발열원단에 대하여 세탁 내구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세탁 5회를 거친 후, 인가전압 7.4 V 조건에서 투습방수 발열원단의 발열온도와 저항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기재하였다.
Figure 112009033243121-pat00004
상기 결과로부터 실시예 6에서 제조된 투습방수 발열원단은 세탁 5회 실시이후에도 저항과 발열특성을 유지하는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투습방수 발열원단을 일반의복에 적용할 수 있으므로, 실용성 문제를 해소하였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첫째, 통용되는 투습방수용 필름에 탄소나노튜브층을 전면 코팅한 투습방수 발열필름을 제공하였다.
둘째, 상기 투습방수 발열필름의 일면 또는 양면에 의복용 원단을 접합시킨 투습방수 발열원단을 제공함에 따라, 고유한 투습방수 기능을 유지하면서도 발열기능을 원단 전면에 부가함으로써, 국소 면적이 아닌 의복 전면에 발열기능을 부여할 수 있어, 의복종류나 의복 내 위치에 상관없이 전면 또는 부분 설치하여 제조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의 투습방수 발열원단을 이용한 발열의복은 발열성이 부여되는 동시에, 경량감과 쾌적감을 동시에 충족할 수 있으므로, 감성과 기능성을 동시에 요구하는 섬유제품의 속성에 부합하는 제품개발로 의류용 섬유시장에서 고기능성 섬유제품의 수출 증가와 산업용 섬유제품의 기능 향상에도 확대가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투습방수 발열원단의 제1실시형태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투습방수 발열원단의 제2실시형태이다.

Claims (7)

  1. 투습방수용 필름에,
    탄소나노튜브가 균일 분산(homogeneous dispersion)된 탄소나노튜브 함유용액을 코팅하되, 코팅 후의 광투과율이 코팅 전의 투과율 대비 50% 이상 유지되도록 제어하여, 전압인가시 발열기능이 있는 탄소나노튜브층이 형성된
    투습방수 발열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습방수용 필름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우레탄,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투습방수 발열필름.
  3. 삭제
  4. 투습방수용 필름 전면에 탄소나노튜브 함유용액을 코팅하되, 코팅 후의 광투과율이 코팅 전의 투과율 대비 50% 이상 유지되도록 제어하여 탄소나노튜브층을 형성하는 제1항의 투습방수 발열필름의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나노튜브 함유용액이 탄소나노튜브 0.5 중량% 이하가 균일 분산(homogeneous dispersion)된 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투습방수 발열필름의 제조방법.
  6. 제1항의 투습방수 발열필름의 일면 또는 양면에 의복용 원단이 접합된 투습방수 발열원단.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투습방수 발열필름의 양면에 접합된 의복용 원단이 동일소재 또는 다른 소재원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투습방수 발열원단.
KR1020090048470A 2009-06-02 2009-06-02 발열기능이 부여된 투습방수 발열필름 및 그를 이용한 투습방수 발열원단 KR1011512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8470A KR101151281B1 (ko) 2009-06-02 2009-06-02 발열기능이 부여된 투습방수 발열필름 및 그를 이용한 투습방수 발열원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8470A KR101151281B1 (ko) 2009-06-02 2009-06-02 발열기능이 부여된 투습방수 발열필름 및 그를 이용한 투습방수 발열원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9890A KR20100129890A (ko) 2010-12-10
KR101151281B1 true KR101151281B1 (ko) 2012-06-08

Family

ID=43506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8470A KR101151281B1 (ko) 2009-06-02 2009-06-02 발열기능이 부여된 투습방수 발열필름 및 그를 이용한 투습방수 발열원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128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6821B1 (ko) 2013-07-09 2013-08-16 성일산업 주식회사 방한용 투습방수 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076621A (ko) 2020-12-01 2022-06-08 재단법인 한국탄소산업진흥원 탄소나노튜브 발열잉크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발열잉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4502B1 (ko) * 2012-05-04 2014-06-17 주식회사 디케이엑스 경량성 및 보온성이 우수한 기능성 원단 및 그를 이용한 의류
KR101307787B1 (ko) * 2012-08-13 2013-09-12 주식회사 이피씨코리아 카본 잉크 코팅력이 향상된 발열사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발열사.
JP6237979B2 (ja) 2013-03-15 2017-11-29 澁谷工業株式会社 ボンディング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6821B1 (ko) 2013-07-09 2013-08-16 성일산업 주식회사 방한용 투습방수 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076621A (ko) 2020-12-01 2022-06-08 재단법인 한국탄소산업진흥원 탄소나노튜브 발열잉크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발열잉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9890A (ko) 2010-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aruk et al. Functional textiles and composite based wearable thermal devices for Joule heating: progress and perspectives
KR101151281B1 (ko) 발열기능이 부여된 투습방수 발열필름 및 그를 이용한 투습방수 발열원단
NO339413B1 (no) Sjiktprodukt og tekstilprodukt som anvender dette
US20100304108A1 (en) Stretchable nonwoven fabric, method of manufacturing, and products made thereof
KR102064101B1 (ko) 아웃도어 의류 제조용 열접착이 가능한 다층 복합 필름 및 그 제조방법
CN108263052A (zh) 一种透湿保温弹性复合面料
KR101372929B1 (ko) 축열기능과 이면소프트성이 우수한 3층 구조 보온성 원단
CN109016764A (zh) 一种超高分子量聚乙烯膜复合面料及其制备工艺
KR101394502B1 (ko) 경량성 및 보온성이 우수한 기능성 원단 및 그를 이용한 의류
US20180352883A1 (en) Upper body garment
KR101458463B1 (ko) 다층 구조의 청바지 원단 및 그에 의한 청바지
US20220330652A1 (en) Waterproof and moisture-permeable shoe uppe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CN207984181U (zh) 一种透湿保温弹性复合面料
Lomax Coated fabrics: part 1—lightweight breathable fabrics
CN110774672A (zh) 一种含有石墨烯的面料及其应用和加工工艺
CN208232485U (zh) 一种石墨烯混纺弹性呢面料
Merati Application of Stimuli‐Sensitive Materials in Smart Textiles
KR20160022706A (ko) 나노웹을 이용한 투습방수 자카드 원단의 제조방법
CN206085820U (zh) 一种多功能的面料
KR20150109025A (ko) 보온성을 가지는 원단
CN212555300U (zh) 一种透气保暖面料
KR102079435B1 (ko) 나노멤브레인을 적용한 광발열성이 우수한 아웃도어용 재킷 원단의 제조방법
TWI569960B (zh) 溫度調節布料
JP3246911U (ja) 複合ポーラーフリース生地および同生地を含む衣類
KR20200069984A (ko) 열접착이 가능한 투습방수성 멤브레인 구조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