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0902B1 - 음향 및 빛 발생 시스템을 구비한 자전거 - Google Patents

음향 및 빛 발생 시스템을 구비한 자전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0902B1
KR101150902B1 KR1020090088064A KR20090088064A KR101150902B1 KR 101150902 B1 KR101150902 B1 KR 101150902B1 KR 1020090088064 A KR1020090088064 A KR 1020090088064A KR 20090088064 A KR20090088064 A KR 20090088064A KR 101150902 B1 KR101150902 B1 KR 1011509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cycle
user
sound
lamp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8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0101A (ko
Inventor
배상민
남택진
이나래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0900880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0902B1/ko
Publication of KR201100301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01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09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09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28Other additional equipment, e.g. back-rests for childr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45/00Electrical equipmen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use as accessories on cy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J45/10Arrangement of audio equipment; Suppor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45/00Electrical equipmen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use as accessories on cy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J45/40Sensor arrangements; Mounting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6/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on cycles;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
    • B62J6/16Arrangement of swi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자전거에 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의 장치는, 사용자가 안장에 앉으면 압력에 의해 작동되도록 안장에 설치되는 스위치와, 자전거에 설치되는 음향 발생장치와, 사용자가 자전거에 접근하면 사용자를 인식하는 센서와, 센서를 통해 사용자가 인식되면 점등하는 램프, 스위치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현재 자전거를 탄 시간이 이전에 자전거를 탄 시간보다 긴 경우에만 음향 발생장치에서 음향이 발생되도록 제어하고, 센서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면 램프가 점등하도록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자전거를 이용한 운동량을 측정할 수 있어 동기가 부여되고, 음향 발생 및 램프의 점멸에 의한 유희를 즐길 수 있어 어린이들에게 특히 유용하다.
자전거, 스위치, 음향, 램프, 센서, 마이크로프로세서

Description

음향 및 빛 발생 시스템을 구비한 자전거{Bicycle}
본 발명은 자전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음향 및 빛 발생 시스템이 구비된 자전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자전거는 주로 이동수단으로 많이 사용되었다. 하지만, 근래에는 이동 수단으로서의 이용 못지않게 운동 수단으로서 이용도 많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운동 수단으로서 보다 많은 이용이 되기 위해서는 계획적인 운동을 유도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고, 또한 사용자들이 보다 흥미를 가지고서 이용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하지만, 종래 자전거는 이동 수단으로 사용되는 자전거를 그대로 이용하여 운동 수단으로 사용되므로 그러한 시스템이 구비되지 못하였기 때문에, 사용자들이 자전거를 타고 싶을 때, 타고 싶은 시간만큼만, 즉 계획성 없이 사용될 뿐이다.
자전거가 운동 수단으로서의 활용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사용자에게 보다 많은 흥미를 유발시키고 계획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춘 자전거가 필요 하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운동량을 측정할 수 있고, 사용자에게 유희를 줄 수 있는 음향 및 빛 발생 시스템을 구비한 자전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음향 및 빛 발생 시스템을 구비한 자전거는: 사용자가 상기 안장에 앉으면 압력에 의해 작동되도록 상기 안장에 설치되는 스위치와; 상기 자전거에 설치되는 음향 발생장치와; 사용자가 상기 자전거에 접근하면 사용자를 인식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를 통해 사용자가 인식되면 점등하는 램프; 상기 스위치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현재 자전거를 탄 시간이 이전에 자전거를 탄 시간보다 긴 경우에만 상기 음향 발생장치에서 음향이 발생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센서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램프가 점등하도록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이 때, 상기 자전거를 탄 시간은 하루 또는 12시간을 한 주기로 하여 측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램프는 사용자가 상기 자전거를 타는 시간 동안 계속하여 점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램프는 사용자가 상기 자전거를 타지 않는 시간이 일정 시간 이상 지속되면 완전 소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상기 자전거에는 페달을 밟는 속도 측정장치 또는 사용자의 맥박 측정장치가 설치되어,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제어에 의해 상기 페달을 밟는 속도 또는 상기 맥박의 수치만큼 상기 램프가 점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에 의하면, 자전거를 이용한 운동량을 측정할 수 있어 동기가 부여되고, 음향 발생 및 램프의 점멸에 의한 유희를 즐길 수 있어 어린이들에게 특히 유용하다.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며, 도 2는 도 1에 따른 자전거에 있어서 음향 및 빛 발생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는 핸들(미도시), 안장(100) 및 바퀴(미도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통상적인 자전거에 음향 및 빛 발생 시스템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음향 및 빛 발생 시스템은 스위치(210)와, 음향 발생장치(410)와, 센서(220)와, LED 램프(420)와, 이들을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300)를 포함하여 이루어 진다.
스위치(210)는 안장(100)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안장에 앉음으로써 압력이 가해지면 작동되어 신호를 발생시킨다.
센서(220)는 자전거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자전거에 접근하면 인식함으로써 신호를 발생시킨다.
마이크로프로세서(300)는 스위치(210)와 센서(220)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음향 발생장치(410)와 LED 램프(420)를 작동시킨다.
음향 발생장치(410)는 안장(100) 등에 설치되며, 마이크로프로세서(300)로부터 신호를 받아 음향을 발생시키게 되는 데, 본 발명에서는 운동 시간에 따라 음향이 발생되도록 하였다. 즉, 현재 자전거를 탄 시간이 이전에 자전거를 탄 시간보다 긴 경우에만 음향이 발생되도록 하였다. 이 때, 자전거를 탄 시간은 하루 또는 12시간을 한 주기로 하여 측정되도록 하였다. 예를 들어, 24시간을 주기로 자전거를 탄 시간을 측정하는 경우에는 어제 자전거를 탄 총 시간 보다 오늘 자전거를 탄 시간이 초과하는 경우에만, 즉 어제보다 오늘의 운동량이 많은 경우에만 음향이 발생되도록 하였다.
따라서 사용자로 하여금 이전의 운동 시간보다 많은 시간을 운동하게 하는 동기를 부여하게 되고, 음향으로 인하여 사용자에게 유희를 느끼게 할 수 있다.
LED 램프(420)는 안장(100) 또는 자전거에 있어서 사용자의 눈에 잘 띄는 곳에 설치된다. LED 램프(420)는 사용자가 자전거에 접근하면 센서(220)로부터 신호를 받은 마이크로프로세서(300)의 제어에 의해 점등되어 사용자가 자신의 자전거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자전거를 타는 동안에는 자전거의 페달을 밟는 속도(230) 또는 사용자의 맥박의 수치와 연동되어 LED 램프(410)가 계속적으로 점멸됨으로써 사용자에게 자전거를 타는 동안의 속도감을 한층 더 느끼게 할 수 있고, 유희감을 줄 수 있다. 나아가, 점등된 LED 램프(410)는 사용자가 일정 시간 동안 자전거를 타지 않으면 완전 소등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자신이 운동을 게을리 하고 있음을 느끼게 하여 다시 자전거를 이용하여 운동을 할 수 있도록 동기를 부여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및
도 2는 도 1에 따른 자전거에 있어서 음향 및 빛 발생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참조번호의 설명>
100: 안장 210: 스위치
220: 센서 230: 속도 측정장치
300: 마이크로프로세서 410: 음향 발생장치
420: LED 램프

Claims (6)

  1. 핸들과, 안장과, 바퀴를 포함하는 자전거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안장에 앉으면 압력에 의해 작동되도록 상기 안장에 설치되는 스위치와;
    상기 자전거에 설치되는 음향 발생장치와;
    사용자가 상기 자전거에 접근하면 사용자를 인식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를 통해 사용자가 인식되면 점등하는 램프;
    상기 스위치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현재 자전거를 탄 시간이 이전에 자전거를 탄 시간보다 긴 경우에만 상기 음향 발생장치에서 음향이 발생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센서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램프가 점등하도록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및 빛 발생 시스템을 구비한 자전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전거를 탄 시간은 하루 또는 12시간을 한 주기로 하여 측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및 빛 발생 시스템을 구비한 자전거.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는 사용자가 상기 자전거를 타는 시간 동안 계속하여 점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및 빛 발생 시스템을 구비한 자전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는 사용자가 상기 자전거를 타지 않는 시간이 일정 시간 이상 지속되면 완전 소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및 빛 발생 시스템을 구비한 자전거.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자전거에는 페달을 밟는 속도 측정장치 또는 사용자의 맥박 측정장치가 설치되어,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제어에 의해 상기 페달을 밟는 속도 또는 상기 맥박의 수치만큼 상기 램프가 점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및 빛 발생 시스템을 구비한 자전거.
KR1020090088064A 2009-09-17 2009-09-17 음향 및 빛 발생 시스템을 구비한 자전거 KR1011509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8064A KR101150902B1 (ko) 2009-09-17 2009-09-17 음향 및 빛 발생 시스템을 구비한 자전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8064A KR101150902B1 (ko) 2009-09-17 2009-09-17 음향 및 빛 발생 시스템을 구비한 자전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0101A KR20110030101A (ko) 2011-03-23
KR101150902B1 true KR101150902B1 (ko) 2012-05-29

Family

ID=43935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8064A KR101150902B1 (ko) 2009-09-17 2009-09-17 음향 및 빛 발생 시스템을 구비한 자전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09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5339B1 (ko) * 2017-01-12 2018-10-24 이세룡 보호케이스가 구비된 자전거 안장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91474A (en) * 1978-12-28 1980-07-11 Mitsubishi Electric Corp Alarm controller for vehicle
JPH0620162A (ja) * 1992-06-29 1994-01-28 Bridgestone Cycle Co 自転車用警報装置
JP2000095169A (ja) * 1998-09-25 2000-04-04 Akebono Brake Ind Co Ltd 自転車用安全装置
KR20090022907A (ko) * 2007-08-31 2009-03-04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건강 관리용 자전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91474A (en) * 1978-12-28 1980-07-11 Mitsubishi Electric Corp Alarm controller for vehicle
JPH0620162A (ja) * 1992-06-29 1994-01-28 Bridgestone Cycle Co 自転車用警報装置
JP2000095169A (ja) * 1998-09-25 2000-04-04 Akebono Brake Ind Co Ltd 自転車用安全装置
KR20090022907A (ko) * 2007-08-31 2009-03-04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건강 관리용 자전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0101A (ko) 2011-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95099B1 (en) Sensing apparatus for use with exercise bicycles
EP2289780B1 (en) Cycling computer
US20140015662A1 (en) Method for monitoring the posture of a motorcyclist
JPS6338474A (ja) トレ−ニング自転車装置
US20130063268A1 (en) System for Indicating Instructions
EP3911563B1 (en) Interactive handle for electrically assisted vehicle
US9672714B2 (en) System,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instructions remotely
JP2007210603A (ja) 改良乗り物
CN107284566A (zh) 骑行安全警示器
KR101150902B1 (ko) 음향 및 빛 발생 시스템을 구비한 자전거
KR20120114558A (ko) 장애물 감지장치, 이를 채용한 안전 자전거 및 안전 모자
JP2006330617A (ja) 車両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
US10782803B2 (en) Ergonomic bike grip controller
GB2452569A (en) Exercise bicycle with a crank position sensor
WO2021068127A1 (en) Vehicle
TWI641529B (zh) 充電系統與充電方法
CN202703765U (zh) 一种用于儿童车的音乐流水灯
JPH07506064A (ja) 自転車等のための電子信号装置
TWM509158U (zh) 自行車座椅測重裝置
CN211786681U (zh) 一种自行车骑行信号控制系统
KR20110075604A (ko) 안전주행용 자전거 경보장치
TWI538843B (zh) 智慧型自行車燈及其系統
TWM652580U (zh) 具有雷射投影指向裝置的座墊及自行車
TWM601215U (zh) 智能車把手系統
KR950004611Y1 (ko) 어린이용 자전거의 엔진소리 발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