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0408B1 -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는 입자 - Google Patents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는 입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0408B1
KR101150408B1 KR1020090050773A KR20090050773A KR101150408B1 KR 101150408 B1 KR101150408 B1 KR 101150408B1 KR 1020090050773 A KR1020090050773 A KR 1020090050773A KR 20090050773 A KR20090050773 A KR 20090050773A KR 101150408 B1 KR101150408 B1 KR 1011504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cles
compound
sunscreen
monomer
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07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30813A (ko
Inventor
찰스 엘우드 존스
모리스 크리스토퍼 윌스
Original Assignee
롬 앤드 하아스 컴패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롬 앤드 하아스 컴패니 filed Critical 롬 앤드 하아스 컴패니
Publication of KR200901308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308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04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04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12Powdering or granul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5Ketones, e.g. benzophen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5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e.g. (meth)acrylic acid ester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6Emollients or protectives, e.g. agains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12Polymerisation in non-solvents
    • C08F2/16Aqueous medium
    • C08F2/22Emulsion polymerisation
    • C08F2/24Emulsion polymerisation with the aid of emulsify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44Polymerisation in the presence of compounding ingredients, e.g. plasticisers, dyestuffs, fill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9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macromolecular compound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groups C08F251/00 - C08F289/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61K2800/412Microsized, i.e. having sizes between 0.1 and 100 micr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6Compounds, absorbed onto or entrapped into a solid carrier, e.g. encapsulated perfumes, inclusion compounds, sustained release for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82Particulate matter [e.g., sphere, flake, etc.]
    • Y10T428/2991Coated
    • Y10T428/2998Coated including synthetic resin or polym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Toxic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Graft Or Block Polymer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Abstract

λmax가 250 내지 400 nm의 범위인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코어 및 가교 폴리머 셸을 가지며, 평균 직경이 80 내지 500 nm인 입자.

Description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는 입자 {PARTICLE CONTAINING ULTRAVIOLET ABSORBER}
본 발명은 폴리머 셸 및 자외선 흡수 화합물을 포함하는 입자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입자는 예를 들면, 화장용 및 피부용 제제에 유용하다.
폴리머 재료 중의 각종 활성 성분의 캡슐화는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면, 미국 특허 제7,176,255호는 미니에멀젼 중합에 의해 폴리머 셸 중의 페릴렌 가시 염료의 캡슐화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소입자에 자외선 흡수 화합물을 캡슐화하는 방법은 공지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에 의해 다루어진 과제는 자외선 흡수 화합물을 함유하는 안정한 소입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평균 직경이 80 내지 500 nm이며, (a) λmax가 250 내지 400 nm의 범위인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코어 및 (b) 적어도 하나의 멀티에틸렌성 불포화 화합물의 모노머 잔기 10 내지 100 wt% 및 적어도 하나의 모노에틸렌성 불포화 화합물의 모노머 잔기 0 내지 90 wt%로 구성되는 폴리머를 포함하는 셸을 포함하는 입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입자를 함유하는 선스크린 제제, 및 미니에멀젼 중합에 의해 입자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비율은 중량 퍼센트 (wt%)이고, 온도는 ℃로 나타낸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메트)아크릴"은 아크릴 또는 메타크릴을 말한다. 본 발명에 유용한 모노머는 모노에틸렌성 불포화 화합물 및 멀티에틸렌성 불포화 모노머, 즉, 가교제, 예를 들면, 디비닐 방향족 화합물, 디- 및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에스테르, 디- 및 트리-비닐 에테르 화합물, 알릴 (메트)아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다. 모노에틸렌성 불포화 모노머는 예를 들면, (메트)아크릴산 및 이들의 에스테르, 아미드 및 니트릴; 스티렌, 클로로- 및/또는 메틸-치환된 스티렌, 비닐피리딘, 및 비닐 에스테르, 에테르 및 케톤을 들 수 있다. 수상에 충분한 불용성을 나타내는 모노머가 바람직하다. 용어 "스티렌 폴리머"는 스티렌 모노머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스티렌, 예를 들면, 스티렌, α-메틸스티렌, 에틸스티렌)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가교제를 포함하는 모노머로 중합된 코폴리머를 나타내며, 스티렌과 가교제의 혼합 중량은 전체 모노머 중량의 적어도 50 wt%이다. 일부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스티렌 폴리머는 적어도 75% 스티렌 및 가교제인 모노머의 혼합물, 또는 적어도 90% 스티렌과 디비닐 방향족 가교제인 모노머의 혼합물, 또는 실질적으로 스티렌 및 적어도 하나의 디비닐 방향족 가교제로 구성되는 모노머의 혼합물로 이루어진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스티렌 폴리머는 실질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디비닐 방향족 가교제로 구성되는 모노머 혼합물이다. 용어 "아크릴 폴리머"는 적어도 하나의 가교제 (예를 들면, 알릴 메타크릴레이트, ALMA;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크릴레이트, TMPTMA)와 함께, 적어도 하나의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또는 아미드, 또는 (메트)아크릴로니트릴을 포함하는 비닐 모노머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코폴리머를 나타내며, (메트)아크릴산(들) (아크릴산, AA; 메타크릴산, MAA) 또는 에스테르(들) (예를 들면,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MMA) 또는 아미드(들) 또는 (메트)아크릴로니트릴 및 가교제(들)의 혼합 중량은 전체 모노머 중량의 적어도 50 wt%;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75%,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0%, 가장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메트)아크릴산 또는 에스테르 및 적어도 하나의 가교제로 구성되는 모노머의 혼합물이다. 일부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는 C2-C4 하이드록시-치환된 알킬 에스테르, 예를 들면, 2-하이드록시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HEMA),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HEA), 2-하이드록시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HPMA), 2-하이드록시프로필 아크릴레이트 (HPA)이다. "아크릴/스티렌 폴리머"는 적어도 50%, 적어도 75%, 또는 적어도 90%의 상술한 아크릴 모노머 및 스티렌 모노머를 포함하는 비닐 모노머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입자에 주어진 평균 입경은 광산란 측정에 의해 측정된 중량 평균이다. 본 발명의 일부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평균 입경은 적어도 100 nm, 적어도 125 nm, 적어도 150 nm, 또는 적어도 160 nm이다. 일부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평균 입경은 400 nm 이하, 300 nm 이하, 250 nm 이하, 230 nm 이하, 220 nm 이하, 210 nm 이하, 또는 200 nm 이하이다.
코어의 적어도 하나의 자외선 흡수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λmax가 적어도 275 nm, 또는 적어도 300 nm이다. 본 발명의 일부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자외선 흡수 화합물이 코어에 존재하고, 하나는 λmax가 250 내지 325 nm의 범위에 있으며, 하나는 λmax가 325 내지 400 nm의 범위에 있다. 바람직하게는, 자외선 흡수 화합물은 λmax에서의 흡광 계수가 적어도 3,000 L/cm-mol, 적어도 4,000 L/cm-mol, 또는 적어도 5,000 L/cm-mol이다. 바람직하게는, 자외선 흡수 화합물은 유기 화합물, 즉, 탄소를 포함하고 최대로 트레이스 레벨의 금속을 갖는 것, 더욱 바람직하게는 방향족 화합물이다. λmax가 가시 범위, 즉, 400 nm 이상인 가시 염료는 본 발명을 위한 자외선 흡수 화합물로 고려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부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입자는 입자의 중량에 대하여, 가시 염료 1% 미만, 0.5% 미만, 0.2% 미만, 또는 0.1% 미만을 함유한다. 자외선 흡수 화합물의 예는 예를 들면, 미국 특허 제7,316,809호에서 발견될 수 있다. 바람직한 자외선 흡수 화합물은 예를 들면, 아미노벤조산, 아보벤존, 시녹세이트, 디옥시벤존, 호모살레이트, 멘틸안트라닐레이트, 옥토크릴렌, 옥틸 메톡시신나메이트, 살리실산옥틸, 옥시벤존, 파디메이트 O, 페닐벤즈이미다졸술폰산, 술리소벤존 및 트롤라민 살리실레이트를 들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자외선 흡수 화합물은 아보벤존이다.
셸 폴리머는 자유 라디칼 부가 폴리머이다. 본 발명의 일부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이는 아크릴 폴리머, 스티렌 폴리머 또는 아크릴/스티렌 폴리머이다. 본 발명의 일부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셸 폴리머는 적어도 하나의 멀티에틸렌성 불포화 화합물의 적어도 15%, 적어도 20%, 적어도 25%, 적어도 30%, 적어도 35%, 적어도 40%, 적어도 50%, 또는 적어도 60%의 모노머 잔기를 포함하며; 일부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95% 이하, 또는 90% 이하의 모노머 잔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부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셸 폴리머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에틸렌성 불포화 화합물의 85% 이하, 80% 이하, 70% 이하, 65% 이하, 60% 이하, 50% 이하, 또는 40% 이하의 모노머 잔기를 포함하며; 일부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적어도 5%, 또는 적어도 10%의 모노머 잔기를 포함한다. 상술한 비율은 셸 중량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부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셸 폴리머를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모노에틸렌성 불포화 화합물(들)은 적어도 하나의 극성 아크릴 모노머, 즉, 하이드록시기, 카복실기 또는 아미드기를 갖는 것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극성 아크릴 모노머(들)의 양은 폴리머 중량에 대하여, 적어도 1%, 적어도 2%, 적어도 5%, 적어도 10%, 적어도 15%, 또는 적어도 20%; 바람직하게는 양은 50% 이하, 40% 이하, 30% 이하, 또는 25% 이하이다. 특히 바람직한 모노머로는 HEMA, HPMA, HEA, HPMA, AA, MAA, 아크릴아미드 및 메타크릴아미드아미드를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모노에틸렌성 불포화 화합물(들)은 하이드록시기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카복실산 모노머 잔기는 폴리머의 5% 이하, 3% 이하, 2% 이하, 또는 1% 이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부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멀티에틸렌성 불포화 화합물(들)은 적어도 하나의 디에틸렌성 불포화 화합물, 예를 들면, 알릴 메타크릴레이트 (ALMA), 알릴 아크릴레이트, 디비닐벤젠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부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멀티에틸렌성 불포화 화합물(들)은 적어도 하나의 트리에틸렌성 불포화 화합물, 예를 들면,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크릴레이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부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코어는 입자의 적어도 25 wt%, 적어도 35 wt%, 적어도 45 wt%, 또는 적어도 50 wt%, 적어도 55 wt%, 적어도 60 wt%, 적어도 65 wt%, 적어도 70 wt%, 적어도 75 wt%, 또는 적어도 80 wt%이며; 일부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95 wt% 이하, 90 wt% 이하, 또는 85 wt% 이하이다. 일부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셸은 입자의 적어도 5 wt%, 적어도 10 wt%, 또는 적어도 15 wt%이며; 일부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75 wt% 이하, 65 wt% 이하, 55 wt% 이하, 50 wt% 이하, 45 wt% 이하, 40 wt% 이하, 35 wt% 이하, 30 wt% 이하, 25 wt% 이하, 또는 20 wt% 이하이다. 본 발명의 일부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코어는 적어도 2개의 자외선 흡 수 화합물, 즉, UV-A 영역 (290 내지 325 nm)에서 가장 강하게 흡수하는 것 및 UV-B 영역 (325 내지 400 nm)에서 가장 강하게 흡수하는 것을 함유한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UV-A 흡수제는 코어 중량에 대한 비율로서, 코어의 20 내지 100%, 25 내지 80%, 25 내지 60%, 30 내지 50%, 또는 30 내지 40%이다. 하나의 바람직한 UV-A 흡수제는 아보벤젠이고, 하나의 바람직한 UV-B 흡수제는 호모살레이트 (3,3,5-트리메틸사이클로헥실 살리실레이트)이다. 아보벤존이 입자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바람직하게는 아보벤존에 대한 자외선 안정제가 또한 존재하지 않는 한, 옥틸 메톡시신나메이트는 존재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부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코어는 UV-A 흡수제 및 자외선 영역에서 반드시 강하게 흡수하지 않는 용매를 함유한다. 용매는 바람직하게는 대기압하에서 비점이 100℃를 초과하며, 소수성을 나타내는데, 즉, HLB (친수성 친유성 밸런스)가 10 미만이다. 하나의 바람직한 용매는 미리스트산이소프로필이다.
본 발명의 입자는 바람직하게는 200 nm 액적을 생성하는 충분한 파워와 함께, 초음파 또는 고압 호모지나이저를 사용하여, 예를 들면, 문헌 [참조: G. H. Al-Ghamdi et aI., J. Appl . Poly . Sci ., vol. 101, pp. 3479-3486 (2006), 또는 Landfester, K., Macromol . Rapid . Commun ., vol. 22, pp. 896-936 (2001)], 및 본 명세서에 인용된 참조 문헌에 기재된 미니에멀젼 중합의 기술에 의해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중합은 20℃ 내지 100℃ 범위의 온도에서 행해진다. 자유 라디칼 개시제는 중합을 개시하는데 적합하며, 수용성 및 유용성 개시제, 예를 들면, 과황산염 및 과산화라우로일을 들 수 있다. 통상적인 에멀젼 중합 에 적합한 계면활성제는 미니에멀젼 중합에 적합하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가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중합 혼합물의 고형분은 20 내지 65%, 20 내지 60%, 25 내지 55%, 또는 30 내지 50%이다.
본 발명은 또한 입자를 포함하는 화장용 또는 피부용 제제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제는 공지되어 있으며, 예를 들면, 미국 특허 제6,379,683호, 및 본 명세서에 인용된 참조 문헌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부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화장용 또는 피부용 제제는 미립자상 산란체, 예컨대 선스피어즈 (SUNSPHERES)TM 폴리머 (Rohm and Haas Company 제), 금속 산화물, 고체 자외선 흡수제, 예컨대 티노소브 (TINOSORB)TM S 및 티노소브TM M (Ciba Chemical Company 제), 산화아연, 이산화티탄, 또는 다른 산란체, 예컨대 글래스 비드 또는 폴리머 입자를 포함한다. 이들은 다수의 제제에서 피부 뮤팅 (muting) 효과를 원하지 않는 한, 피부에 대한 미백을 부여하지 않고 산란시키는데 있어서 최대 효율을 달성하는 레벨로 포함될 것이다. 바람직한 레벨은 통상 제제 중의 최대 5 wt% 및 최소 0.1 wt%이다.
본 발명에 의해, 자외선 흡수 화합물을 함유하는 안정한 소입자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
실시예 1: 통상적인 미니에멀젼 중합 절차
30 내지 50% 고형분의 농도로 모노머, 코어 화합물, 개시제 (과황산염), 계면활성제 및 물을 반응기에 주입하였다. 혼합물을 35℃의 개시 온도에서 초음파 호모지나이저로 교반한 다음에, 75 내지 85℃로 가열하여, 약 95℃의 발열 반응으로 인해, 최대 온도에 이르렀다.
실시예 2: 다양한 가교 결합에 의한 입자의 제조
상기에 주어진 절차를 이용하여, 가교 결합 및 셸 함량을 변화시킨 하기 입자를 제조하였다. 가교제 (xl) 및 다른 모노머의 양은 셸 폴리머에 대한 것이며, 셸의 양은 전체 입자에 대한 것이다. 입자 B, C 및 E 내지 G 중의 코어는 아보벤존 및 호모살레이트를 31:69 중량비로 포함하고, 입자 H 중의 코어는 33:67 중량비로 포함하였다.
Figure 112009034671374-pat00001
실시예 3: 제제 및 테스팅
옵토메트릭스 (Optometrics) SPF 290 인비트로 측정
요약: 테스트할 선스크린을 미리 세정된 8.3 x 10.2 cm (3.25 x 4 in.) 프로젝터 슬라이드 커버 글래스 (KODAK cat # 140 2130)에 스프레드하여, 태양 광선 보호 지수 (SPF)를 SPF 오퍼레이팅 소프트웨어 (버젼 2.1) 및 SPF 290 분석기 (The Optometries Group)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절차:
1. 4" 롱 피스를 3M TRANSPORE TapeR의 3" 롤로부터 제거하여, 인스트루먼트를 구비한 샘플 홀더에 배치하고, 홀더 상의 이러한 테이프 피스를 사용하여 인스트루먼트를 제로에 맞춘다.
2. 진공 플레이트를 사용하여, 글래스 슬라이드를 적소에 유지시키고, 균일한 필름을 적당한 스피드에서 움직임이 원활한 1.0 밀 또는 1.5 밀 스페이서 웨트 필름 애플리케이터 (Byk Gardner Company cat # SAR-5358)를 이용하여, 글래스 슬라이드에 드로잉 다운한다. 드로잉 다운된 스피드는 스피드가 필름 두께에 영향을 미치므로, SPF값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측정 시에 일정해야 한다.
3. 선스크린 필름을 적어도 20 분간 글래스에서 건조시킨다. 다수의 샘플을 평가하는 경우에는, 각 샘플에 대한 건조 시간을 스태거하고, 드로잉 다운 후의 측정 시간이 일치하도록 샘플의 드로잉 다운을 스테이지한다. 샘플을 건조시키는 동안에, 옵토메트릭스 SPF 290 분석기를 개시시킨다. 인스트루먼트를 적어도 20 분간 온 상태로 둔 후에, 인스트루먼트를 테이프의 블랭크 피스로 초기화한다.
4. 테이프의 블랭크 피스를 샘플 홀더에 놓고, 백그라운드로서의 자외선 흡광도를 측정한다 (소프트웨어는 테이프 흡광도 측정을 피하도록 이러한 흡광도를 샘플 흡광도로부터 뺀다).
5. 석영 글래스 상의 필름을 20 분간 건조시킨 후에, 선스크린을 포함하는 각 글래스 플레이트를 테이프의 상부 (필름 사이드 업)에 배치한 다음에, 샘플을 갖는 홀더를 측정을 위해 빔하에 배치한다.
6. 샘플을 글래스 슬라이드 상의 6개의 상이한 영역에서 측정한다. 모든 6개의 리딩을 기록한 후에, 옵토메트릭스 SPF 290 분석기로 선스크린 에멀젼의 인비트로 SPF값을 계산한다. 최종 SPF는 이들 6개의 측정값의 평균이다.
선스크린을 하기 표에 따라 제형화하였다. 전형적인 래보러터리 오버헤드 믹서 (CAFRAMO BDC 2002)를 제법에 사용하였다. 사용된 절차는 개별적으로 수상을 75℃로 가열하고 유상을 75℃로 혼합하며, 2개의 상을 혼합하고, 교반하에 냉각시켜, 에멀젼을 생성하는 선스크린 제법을 나타내었다. 미니캡슐화된 아보벤존 샘플을 선스크린을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전형적인 에멀젼 프로세스를 통해 첨가된 제제 중에 동일량의 아보벤존을 함유하는 "대조" 샘플과 함께 평가하였다.
Figure 112009034671374-pat00002
상표명을 갖는 상술한 재료는 전형적으로 개인 케어 제제에 사용되며, 미국 화장품 협회 (Cosmetics, Toiletries and Fragrance Association, Washington, D.C. (11th edition))에 의해 출판된 INCI (International Nomenclature of Cosmetic Ingredients) 딕셔너리에 기재되어 있다.
인비트로 SPF 측정에 관한 데이터 (데이터는 1.5 밀 스페이서를 사용한 것임):
모든 SPF 측정값을, 전형적인 선스크린 유화 절차를 통해 첨가된 동일한 레벨의 호모살레이트 및 아보벤존을 포함하는 대조군으로 정규화하였다 (하기 절차 및 제제 참조).
Figure 112009034671374-pat00003
* 스타 레이팅 (star rating)을 평균 UVA/UVB ql에 기초를 두고 있다. 이 비는 UVA 및 UVB 영역에 있어서의 샘플의 상대 흡광도의 기준으로서 사용한다. UVA 파장 영역은 320 내지 400 nm인데 반해, UVB 영역은 290 nm 내지 320 nm이다. 이는 290 nm 내지 320 nm의 흡광도 곡선의 단위 파장 당 영역으로 나눈 320 nm 내지 400 nm의 흡광도 곡선의 단위 파장 당 영역을 제공한다. 상이한 스타 레이팅은 하기에 나타낸 값의 범위로 주어진다:
Figure 112009034671374-pat00004
통상적인 유화를 통해 첨가된 아보벤존과 폴리머로 캡슐화된 아보벤존의 안정성을 비교하기 위해, 아보벤존의 인비트로 광안정성에 대하여 상기의 이러한 2개의 제형화된 선스크린 샘플을 IMS Inc. (Portland, ME)에 제출하였다. 선스크린이 2 ㎕/㎠, 인체에 사용된 선스크린에 대한 표준 사용량으로 비트로-스킨 (VITRO- SKIN)에 스프레드되는 인비트로 기술에 의해 샘플을 측정하였다. 초기 UVA/UVB 비를 측정한 다음에, 샘플 (VITRO-SKIN에 존재)을 150 와트 크세논 아크 램프 (Solar Light Company)로 5 MED (최소 홍반량 (Minimal Erythermal Dose))를 갖게 하였다. UVA/UVB 비를 다시 측정하였다. 그 다음에, 샘플을 10 이상의 MED, 총 15 MED로 150 와트 램프에 재노광시켰다. UVA/UVB 비를 다시 측정하였다. 얻어진 데이터를 하기에 나타낸다.
Figure 112009034671374-pat00005
하기 선스크린을 상술한 바와 같이 제형화하였다.
Figure 112009034671374-pat00006
Figure 112009034671374-pat00007
이들 측정값은 고도로 가교된 입자가 고온에서 보관된 후에 우수한 자외선 흡수 특성 유지를 제공한다는 것을 입증한다.
실시예 4: 캡슐화 아보벤존 폴리머 레벨의 평가
선스크린을 하기 표에 따라 제형화하였다. 전형적인 래보러터리 오버헤드 믹서 (CAFRAMO BDC 2002)를 제법에 사용하였다. 사용된 절차는 개별적으로 수상을 75℃로 가열하고 유상을 75℃로 혼합하며, 2개의 상을 혼합하고, 교반하에 냉각시켜, 에멀젼을 생성하는 선스크린 제법을 나타내었다. 미니캡슐화된 하나의 아보벤존 샘플을 선스크린을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전형적인 에멀젼을 통해 첨가된 제제 중에 동일량의 아보벤존을 함유하는 "대조" 샘플과 함께 평가하였다.
Figure 112009034671374-pat00008
인비트로 SPF 측정에 관한 데이터 (데이터는 1.0 밀 스페이서를 사용한 것임):
모든 SPF 측정값을 상술한 아보벤존 1.0%를 포함하는 대조군으로 정규화하였다. 모든 샘플은 동일 레벨의 호모살레이트를 함유한다.
ID 샘플 A 내지 C의 아보벤존을 전형적인 선스크린 유화 절차를 통해 첨가한다. ID 샘플 D 내지 F에서, 아보벤존을 캡슐화 폴리머를 통해 첨가한다. 샘플 A의 아보벤존 레벨은 샘플 D와 동일하며, 샘플 B는 샘플 E와 동일한 레벨을 가지며, 샘플 C는 샘플 F로서 아보벤존의 레벨과 매치한다.
Figure 112009034671374-pat00009
샘플 A가 샘플 D와 동일한 양의 아보벤존을 함유하는 반면에, 샘플 B가 샘플 E와 동일한 양을 갖고, 샘플 C가 샘플 F와 동일한 양을 가지기 때문에, 캡슐화 효과를 언급하는데 이들 샘플 쌍을 비교할 수 있다.
Figure 112009034671374-pat00010

Claims (10)

  1. 평균 직경이 80 내지 500 nm이며,
    (a) λmax가 250 내지 400 nm의 범위인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코어 및
    (b) 알릴 메타크릴레이트(ALMA), 알릴 아크릴레이트, 디비닐벤젠,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크릴레이트(TMPTMA)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멀티에틸렌성 불포화 화합물의 모노머 잔기 10 내지 100 wt% 및 적어도 하나의 모노에틸렌성 불포화 화합물의 모노머 잔기 0 내지 90 wt%로 구성되는 폴리머를 포함하는 셸을 포함하는,
    선스크린 제제용 입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코어는 입자의 25 내지 90 wt%이고, 셸은 입자의 10 내지 75 w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스크린 제제용 입자.
  3. 제 2 항에 있어서, 폴리머는 적어도 하나의 멀티에틸렌성 불포화 화합물의 모노머 잔기 50 내지 100 wt% 및 적어도 하나의 모노에틸렌성 불포화 화합물의 모노머 잔기 0 내지 50 w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스크린 제제용 입자.
  4. 제 3 항에 있어서, 코어는 λmax가 325 내지 400 nm의 범위인 적어도 하나의 자외선 흡수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스크린 제제용 입자.
  5. 제 4 항에 있어서, 코어는 적어도 2개의 자외선 흡수 화합물, 즉, 290 내지 325 nm의 범위에서 가장 강하게 흡수하는 것 및 325 내지 400 nm의 범위에서 가장 강하게 흡수하는 것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스크린 제제용 입자.
  6. 제 5 항에 있어서, 입자는 평균 직경이 125 내지 250 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스크린 제제용 입자.
  7. 제 1 항의 선스크린 제제용 입자를 포함하는 선스크린 제제.
  8. 제 7 항에 있어서, 코어는 입자의 25 내지 90 wt%이고, 셸은 입자의 10 내지 75 w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스크린 제제.
  9. (a) λmax가 250 내지 400 nm의 범위인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을 제공하는 단계;
    (b) 전체 모노머에 대한 비율로서, 적어도 하나의 모노에틸렌성 불포화 모노머 0 내지 90 wt% 및 알릴 메타크릴레이트(ALMA), 알릴 아크릴레이트, 디비닐벤젠,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크릴레이트(TMPTMA)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멀티에틸렌성 불포화 모노머 10 내지 100 wt%를 제공하는 단계;
    (c) 평균 입경이 80 내지 500 nm이고 고형분이 20 내지 65 wt%인 미니에멀젼을 수성 매질 중에서 생성하는 단계; 및
    (d) 적어도 하나의 모노에틸렌성 불포화 모노머 및 적어도 하나의 멀티에틸렌성 불포화 모노머를 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외선 흡수 입자의 제조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은 입자의 25 내지 90 wt%이고, 적어도 하나의 모노에틸렌성 불포화 모노머 및 적어도 하나의 멀티에틸렌성 불포화 모노머는 입자의 10 내지 75 w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흡수 입자의 제조방법.
KR1020090050773A 2008-06-16 2009-06-09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는 입자 KR1011504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218008P 2008-06-16 2008-06-16
US61/132,180 2008-06-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30813A KR20090130813A (ko) 2009-12-24
KR101150408B1 true KR101150408B1 (ko) 2012-06-01

Family

ID=41058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0773A KR101150408B1 (ko) 2008-06-16 2009-06-09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는 입자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090311336A1 (ko)
EP (1) EP2135598B1 (ko)
JP (1) JP5368169B2 (ko)
KR (1) KR101150408B1 (ko)
CN (1) CN101606893B (ko)
AU (1) AU2009202029B2 (ko)
BR (1) BRPI0901631B1 (ko)
CA (1) CA2666473C (ko)
MX (1) MX200900620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45813A1 (en) 2008-03-04 2009-12-03 Qd Vision, Inc. Particles including nanoparticles, uses thereof, and methods
WO2011031876A1 (en) 2009-09-09 2011-03-17 Qd Vision, Inc. Formulations including nanoparticles
KR101865888B1 (ko) 2009-09-09 2018-06-08 삼성전자주식회사 나노입자들을 포함하는 입자, 그의 용도, 및 방법
FR2955043B1 (fr) * 2010-01-11 2012-05-04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Procede de fonctionnalisation de surface de materiaux
EP2711404B1 (en) * 2011-05-18 2017-05-17 Sumitomo Osaka Cement Co., Ltd. Ultraviolet shielding agent, method for producing same, ultraviolet shielding agent-containing dispersion liquid, and cosmetic preparation
JP5970956B2 (ja) * 2011-05-18 2016-08-17 住友大阪セメント株式会社 紫外線遮蔽剤と紫外線遮蔽剤含有分散液及び化粧料並びに紫外線遮蔽剤の製造方法
JP2013227266A (ja) * 2011-05-18 2013-11-07 Sumitomo Osaka Cement Co Ltd 紫外線遮蔽剤と紫外線遮蔽剤含有分散液及び化粧料並びに紫外線遮蔽剤の製造方法
US9278055B2 (en) 2011-10-19 2016-03-08 Dow Global Technologies Llc Encapsulation of personal care actives
US9549891B2 (en) 2012-03-19 2017-01-2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uperabsorbent polymers and sunscreen actives for use in skin care compositions
WO2016210043A1 (en) 2015-06-24 2016-12-29 Rohm And Haas Company Particles containing ultraviolet absorber
WO2016210044A1 (en) * 2015-06-24 2016-12-29 Rohm And Haas Company Particles containing ultraviolet absorber
US10285926B2 (en) 2015-06-29 2019-05-1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uperabsorbent polymers and starch powders for use in skin care compositions
KR101833612B1 (ko) * 2016-03-30 2018-02-28 선진뷰티사이언스(주) 다량의 유기계 자외선 차단제를 함유하는 고분자 복합입자 및 그의 제조방법
WO2018047707A1 (ja) * 2016-09-06 2018-03-15 学校法人慶應義塾 紫外線吸収剤又は赤外線遮断剤含有水性組成物の紫外線防御効果又は赤外線防御効果の測定方法及び測定用試料作成装置
KR102381991B1 (ko) * 2016-09-30 2022-03-31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폴리머 비드,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84104B1 (en) 1999-10-14 2002-05-07 Rohm And Haas Company Method for preparing ultraviolet radiation-absorbing compositions
WO2008061885A2 (en) 2006-11-21 2008-05-29 Ciba Holding Inc. Microcapsules, their use and processes for their manufacture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27836A (en) * 1980-06-12 1984-01-24 Rohm And Haas Company Sequential heteropolymer dispersion and a particulate material obtainable therefrom, useful in coating compositions as a thickening and/or opacifying agent
US5223250A (en) * 1991-02-05 1993-06-29 Sun Smart, Inc. Visibly transparent UV sunblock cosmetic compositions
FR2677543B1 (fr) * 1991-06-13 1993-09-24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filtrante a base d'acide benzene 1,4-di(3-methylidene-10-camphosulfonique) et de nanopigments d'oxydes metalliques.
FR2686249A1 (fr) * 1992-01-16 1993-07-23 Olivier Josette Preparation a usage cutane a base de liposomes.
EP0669124A1 (en) * 1994-02-28 1995-08-30 Rohm And Haas Company Ultraviolet radiation absorbing composition
US5663213A (en) * 1994-02-28 1997-09-02 Rohm And Haas Company Method of improving ultraviolet radiation absorption of a composition
JP3425720B2 (ja) * 1994-04-28 2003-07-14 綜研化学株式会社 化粧料用粒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5945090A (en) * 1997-09-11 1999-08-31 Randall Products International Sunscreen preparation
EP1047392A4 (en) * 1997-12-24 2004-10-06 Shaklee Corp HIGHLY EFFECTIVE PREPARATION TO PROTECT THE SKIN FROM DAMAGING INFLUENCES OF UV RAYS
DE19805121A1 (de) 1998-02-09 1999-08-12 Basf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farbstoffenthaltender, wässriger Polymerisatdispersionen
FR2790405B1 (fr) 1999-03-02 2001-04-20 Oreal Nanocapsules a base de polymeres dendritiques
NO20002309L (no) * 1999-05-12 2000-11-13 Hoffmann La Roche Fotostabile kosmetiske lysavskjermende sammensetninger
US6312807B1 (en) * 1999-08-09 2001-11-0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UV-absorbing core/shell particles
US7838037B2 (en) * 1999-11-17 2010-11-23 Tagra Biotechnologies Ltd. Method of microencapsulation
FR2853534B1 (fr) 2003-04-14 2006-06-23 Oreal Composition photoprotectrice aqueuse comprenant au moins un copolymere diblocs ou triblocs et un 4,4-diarylbutadiene, utilisations
US20040265347A1 (en) * 2003-04-28 2004-12-30 Frederic Auguste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 sebum-absorbing powder and a powder with a low critical surface energy
US7276565B2 (en) * 2003-06-20 2007-10-02 Xerox Corporation Continuous miniemulsion polymerization process
BRPI0414249B1 (pt) * 2003-09-11 2013-08-06 dispersão polimérica aquosa concentrada, processo para a preparação da referida dispersão, pó de polímero, composição estabilizada e de revestimento em pó estabilizada, bem como uso da referida dispersão de polímero e do pó de polímero
GB0412856D0 (en) * 2004-06-09 2004-07-14 Unilever Plc Process for preparation of particles
US7001592B1 (en) * 2005-01-31 2006-02-21 Aquea Scientific Corporation Sunscreen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US20080146448A1 (en) * 2005-03-10 2008-06-19 Basf Aktiengesellschaft Aqueous Polymer Dispersions Comprising Effect Substances, Processes For Preparing Them And Their Use
EP1899015B1 (en) * 2005-06-29 2012-03-21 DSM IP Assets B.V. Composition with tight capsules containing a sunscreen agent
GB0623748D0 (en) * 2006-11-28 2007-01-10 Ciba Sc Holding Ag Microcapsules, their use and processes for their manufactur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84104B1 (en) 1999-10-14 2002-05-07 Rohm And Haas Company Method for preparing ultraviolet radiation-absorbing compositions
WO2008061885A2 (en) 2006-11-21 2008-05-29 Ciba Holding Inc. Microcapsules, their use and processes for their manufa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666473C (en) 2012-01-03
CN101606893A (zh) 2009-12-23
JP5368169B2 (ja) 2013-12-18
AU2009202029B2 (en) 2013-10-24
EP2135598B1 (en) 2011-08-03
US20090311336A1 (en) 2009-12-17
BRPI0901631B1 (pt) 2016-10-04
CN101606893B (zh) 2012-02-15
MX2009006206A (es) 2010-02-19
EP2135598A1 (en) 2009-12-23
AU2009202029A1 (en) 2010-01-07
JP2009299059A (ja) 2009-12-24
KR20090130813A (ko) 2009-12-24
BRPI0901631A2 (pt) 2010-04-06
CA2666473A1 (en) 2009-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0408B1 (ko)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는 입자
US5663213A (en) Method of improving ultraviolet radiation absorption of a composition
JP5507455B2 (ja) 油溶性有機uv吸収剤の濃縮水性製品形態
MXPA96003589A (en) Method to improve the absorption of the ultraviolet radiation of a composite
AU783848B2 (en) Method for preparing ultravoilet radiation absorbing compositions
ES2269040T3 (es) Preparaciones cosmeticas fotoestables que filtran la luz.
JP5312922B2 (ja) 有機紫外線吸収剤内包マイクロカプセル
EP3474952B1 (en) Compositions containing latex particles and uv absorbers
AU706319B2 (en) Ultraviolet radiation absorbing composition
RU2648756C2 (ru) Солнцезащитные композиции, содержащие поглощающий ультрафиолетовое излучение сложный полиэфир
EP3576848A1 (en) Compositions containing latex particles and uv absorbers
AU2381099A (en) Ultraviolet radiation absorbing composi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