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0308B1 - 유전체공진필터의 튜닝 방법 - Google Patents

유전체공진필터의 튜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0308B1
KR101150308B1 KR1020070120475A KR20070120475A KR101150308B1 KR 101150308 B1 KR101150308 B1 KR 101150308B1 KR 1020070120475 A KR1020070120475 A KR 1020070120475A KR 20070120475 A KR20070120475 A KR 20070120475A KR 101150308 B1 KR101150308 B1 KR 1011503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ning
cavity
dielectric
dielectric resonance
reson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04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53581A (ko
Inventor
박남신
이돈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Priority to KR10200701204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0308B1/ko
Publication of KR200900535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35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03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03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1Filters for transverse electromagnetic waves
    • H01P1/205Comb or interdigital filters; Cascaded coaxial cavities
    • H01P1/2053Comb or interdigital filters; Cascaded coaxial cavities the coaxial cavity resonators being disposed parall to each oth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7/00Resonators of the waveguide type
    • H01P7/06Cavity reson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7/00Resonators of the waveguide type
    • H01P7/10Dielectric resona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trol Of Motors That Do Not Use Commut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유전체공진필터는, 상단이 개방되고 소정의 격벽(12)에 의해 다수개의 공동(70)이 구비된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각각의 공동(70)을 밀폐시키는 하우징덮개(20)와, 상기 하우징(10)의 각각의 공동(70)에 고정되는 서포터(84)와, 상기 서포터(84)의 상단에 결합되는 유전체공진기(80)와, 상기 유전체공진기(80)에 대응하는 위치의 상기 하우징덮개(20)에 체결되어 공진주파수를 조절하는 제1튜닝스크류(30)와, 상기 격벽(12)에 대응하는 위치의 상기 하우징덮개(20)에 체결되어 두 공진기간 결합계수를 조절하는 제2튜닝스크류(40)로 구성된 유전체 공진필터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공진기(80)에 감쇄부재를 접근시키기 위해 상기 제1튜닝스크류(30)에 출입공(32) 더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유전체, 공진, 무선, 주파수

Description

유전체공진필터의 튜닝 방법{TUNING METHOD OF DIELECTRIC RESONATOR FILTER}
본 발명은 유전체공진필터의 튜닝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필터의 튜닝의 튜닝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튜닝을 완료한 각 필터의 공진주파수 편차를 감소시킬 수 있는 유전체공진필터의 튜닝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유전체공진필터는 특정 주파수 대역 신호의 통과, 저지, 시간지연을 위하여 사용된다.
이러한 유전체공진필터는 튜닝스크류를 이용하여 커패시턴스 및 인덕턴스를 조절함으로써 주파수 특성이 조절된다.
상기 유전체공진필터(Dielectric Resonator Filter: DR Filter)는 캐비티형(Cavity type) 필터 등과 마찬가지로, 입력단자로 입력되는 주파수를 그 특유의 높은 Q(Quality Factor) 값에 의해 최소의 손실로 필터링하여 소망하는 특정 대역의 주파수만을 출력단자로 출력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상기와 같은 유전체 공진기 필터는 소형, 저손실이라는 것과, 공진 주파수의 온도 특성이 종래의 공진기에 비하여 양호하다는 특징 때문에 더욱 발전되고 있는 추세이다.
상기 유전체공진필터는 공동마다 설치된 유전체공진기와 그 상부에 배치된 튜닝스크류 간의 간격을 조정, 공동과 공동 사이에 위치한 격벽에 형성된 윈도우 그리고 윈도우 상부에 설치된 튜닝스크류와 윈도간의 간격 조정 등에 의해 상기 공동의 자계(Magnetic Field) 특성을 조절하여 공진 특성(즉, 중심주파수) 및 커플링 특성(즉, 주파수 대역)이 조절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간격 조절에 의한 튜닝 작업은 작업자에 의해 수작업으로 진행되며, 상기 작업자는 해당 유전체공진필터의 출력파형(주파수 도메인 상에서의 필터링 특성파형)을 별도의 파형분석기를 통해 확인하면서, 다수의 튜닝스크류들 중 적절한 튜닝스크류를 조이거나 풀며 튜닝하게 된다.
이때, 각 공동의 튜닝스크류의 조절 시 해당 공동의 공진특성 및 커플링 특성의 변화량은 다른 공동들에도 상호 영향을 주게 되므로, 다수의 튜닝스크류들을 조절하여 전체 유전체공진필터의 필터링 특성을 튜닝하는 작업은 작업자에게 많은 경험을 요구하는 난해한 작업이다.
따라서, 이러한 유전체공진필터의 튜닝작업에는 숙련된 인적자원이 필요하고, 튜닝시간이 오래 걸리며, 이로 인해 유전체공진필터의 제조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필터의 튜닝에 익숙치않은 미숙련자도 용이하게 튜닝가능한 유전체공진필터의 튜닝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주파수 튜닝 대상이 하나의 공동에 한정되도록 함으로써, 종래의 방법에 비해 튜닝 시간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유전체공진필터의 튜닝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튜닝이 완료된 다수개의 유전체공진필터 간의 주파수 편차가 최소화되도록 할 수 있는 유전체공진필터의 튜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유전체공진필터는, 상단이 개방되고 소정의 격벽에 의해 다수개의 공동이 구비된 하우징과, 본 하우징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각각의 공동을 밀폐시키는 하우징덮개와, 상기 하우징의 각각의 공동에 고정되는 서포터와, 상기 서포터의 상단에 결합되는 유전체공진기와, 상기 유전체공진기에 대응하는 위치의 상기 하우징덮개에 체결되어 공진주파수를 조절하는 제1튜닝스크류와, 상기 격벽에 대응하는 위치의 상기 하우징덮개에 체결되어 두 공진기간 결합계수를 조절하는 제2튜닝스크류로 구성된 유전체 공진필터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공진기에 감쇄부재를 접근시키기 위해 상기 제1튜닝스크류에 출입공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감쇄부재는 페라이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격벽에는 윈도우가 형성되고, 상기 윈도우에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하우징덮개에는 두 공진기간 결합계수를 조절하는 제2튜닝스크류가 추가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출입공은 상기 제1튜닝스크류의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유전체공진필터의 튜닝 방법은, 제 1 공동부터 제 n 공동까지 각 공동에 대한 기준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와, 튜닝하고자 하는 유전체공진필터의 제1공동을 제외한 나머지 공동들의 제1튜닝스크류의 출입공에 감쇄부재(50)를 삽입하여 상기 나머지 공동들의 공진주파수 특성을 소멸시키는 단계와, 상기 입력단자(16)로부터 반사되는 반사신호를 기준신호와 일치되도록 상기 제1공동의 제1튜닝스크류(30)를 조절하여 공진 주파수 특성을 튜닝하는 단계와, 제2공동의 감쇄부재(50)를 인출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단자(16)로부터 반사되는 반사신호를 기준신호와 일치되도록 상기 제2공동의 제1튜닝스크류(30)를 조절하여 공진 주파수 특성을 튜닝하는 단계와, 상기 감쇄부재(50)를 인출하는 단계와 튜닝 대상이 되는 공동으로부터 측정된 반사신호를 기준신호와 일치되도록 튜닝 대상이 되는 공동의 제1튜닝스크류를 조절하는 단계를 제3공동 내지 제n공동에 순차적으로 반복 적용하여 튜닝을 완료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공동부터 제 n 공동까지 각 공동에 대한 기준데이터를 생 성하는 단계는, 유전체공진필터를 기준 상태로 튜닝하는 단계와, 상기 유전체 공진봉 상에 배치된 모든 유전체공진봉튜닝스크류의 출입공을 통해 감쇄부재를 삽입하여 상기 유전체 공진봉에 접근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1공동부터 제n공동까지 순차적으로 감쇄부재를 인출하며 각 공동에 대한 주파수 특성의 기준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각 공동에 대한 튜닝시 상기 격벽(12)의 윈도우에 대응되는 상기 하우징덮개의 위치에 설치되어 두 공진기간 결합계수를 조절하는 상기 제2튜닝스크류도 함께 조절하여 튜닝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감쇄부재는 상기 튜닝스크류의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되어 형성된 출입공을 통해 삽입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감쇄부재는 페라이트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해, 필터의 튜닝에 익숙치 않은 미숙련자도 용이하게 튜닝할 수 있다.
또한, 주파수 튜닝 대상이 하나의 공동에 한정되도록 함으로써, 종래의 방법에 비해 튜닝 시간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또한, 튜닝이 완료된 다수개의 유전체공진필터 간의 주파수 편차가 최소화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는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히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 및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표현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유전체공진필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유전체공진필터(100)는, 상단이 개방되고 소정의 격벽(12)에 의해 다수개의 공동(70)이 구비된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각각의 공동(70)을 밀폐시키는 하우징덮개(20)와, 상기 하우징(10)의 각각의 공동(70)에 고정되는 서포터(84)와, 상기 서포터(84)의 상단에 결합되는 유전체공진기(80)와, 상기 유전체공진기(80)에 대응하는 위치의 상기 하우징덮개(20)에 체결되어 공진주파수를 조절하는 제1튜닝스크류(30)와, 상기 격벽(12)에 대응하는 위치의 상기 하우징덮개(20)에 체결되어 두 공진기간 결합계수를 조절하는 제2튜닝스크류(40)와, 상기 유전체공진기(80)에 감쇄부재를 접근시키기 위해 상기 제1튜닝스크류(30)에 출입공(32)이 형성된다.
상기 감쇄부재는 페라이트(50)로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하우징(10)은 내부에 다수의 공동 즉, 제1공동, 제2공동 내지 제n공동이 형성되되, 상기 공동들은 격벽(12)에 의해 상호 분리된다.
상기 하우징(10)의 일 측면에는 주파수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단자(16)가 마련되고, 상기 하우징(10)의 타 측면에는 주파수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단자(18)가 마련된다.
상기 각각의 공동에는 특정주파수만을 통과시키도록 유전체공진기(80)가 설치된다.
상기 유전체공진기(80)는 원통 형상의 유전체 세라믹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알루미늄 합금 등의 금속으로 마련된 상기 하우징(10)의 공동(70) 내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유전체공진기(80)과 하우징(10) 저면 사이에는 서포터(84)가 설치되어 상기 두 부재 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서포터(84)는 주파수의 손실이 적고 유전율이 낮은 테프론 혹은 알루미나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0)은 알루미늄 또는 그 합금 등의 금속재질로 구성되고, 그 전도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표면이 은(Ag) 또는 동(Bs) 등으로 도금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10)의 상부에는 하우징덮개(20)가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덮개(20)에는, 상기 하우징(10)에 수용된 상기 유전체공진기(80)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1튜닝스크류(30)가 조립 구성되어 공진주파수를 조절하게 된다.
또한 각각의 공동을 구획하는 격벽(12)에는 윈도우(14)가 형성되며, 상기 윈 도우(14)에 대응되는 상기 하우징덮개(20)의 위치에는 제2튜닝스크류(40)가 조립구성되어 두 공진기간 결합계수를 조절하게 된다.
상기 제1튜닝스크류(30) 및 상기 제2튜닝스크류(40)의 튜닝을 통해 유전체공진필터(100)의 주파수 특성을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튜닝스크류(30) 또는 제2튜닝스크류(40)를 상기 하우징덮개(20)에 안정적으로 장착하기 위해, 너트(34)가 추가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본 너트(34)를 통해 상기 제1튜닝스크류(30) 및 제2튜닝스크류(40)가 상기 하우징덮개(20)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유전체공진필터(100)에서 한 개의 공동에 페라이트 로드(50)를 삽입하기 전 공진 상태를 나타낸 특성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유전체공진필터(100)에서 한 개의 공동에 페라이트 로드(50)가 삽입되어 유전체공진기(80)에 접근됨으로써 공진특성이 소멸된 상태를 나타낸 특성도이다.
상기 페라이트 로드(50)는 상기 제1튜닝스크류(30)에 형성된 출입공(32)을 통해 삽입된다.
상기 출입공(32)은 상기 제1튜닝스크류(30)의 상부에서 하부측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페라이트 로드(50)는 로드(Rod:막대) 형태의 페라이트(Ferrite)로 이루어지며, 여기서 페라이트는 철의 화합물로 이루어진 자성체의 일종을 말한다.
상기 페라이트는 투자율이 높아, 공동 내부에 들어온 전자파를 다중 반사시켜 자기 열손실을 만들기 때문에 전자파 차폐용으로 많이 사용되며, 본 발명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전체공진기(80)에 접근되면 해당 공동 내에 설치된 유전체공진기(80)의 공진주파수 특성이 소멸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도 2 에 도시된 것처럼 공진주파수가 존재하던 유전체공진기(80)에 페라이트 로드(50)를 접근시키면 공진주파수 특성이 소멸되어 공진이 일어나지 않는 것과 같은 효과를 발휘하게 되는 것이다.
이는 유전율과 유전체 공진기의 크기가 유전체공진필터(100)의 공진주파수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데, 상기 공진기에서 전기장(Electric Field)이 가장 높은 곳인 유전체공진기(80)의 중심부에 투자율이 높은 페라이트 로드(50)를 접근시키면, 상기 공진기 및 페라이트 로드(50)는 서로가 가지고 있는 고유의 공진주파수 특성을 잃어버리게 되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페라이트 로드(50)는 공진기의 특성에 따라 투자율 또는 그 형태를 변경하거나 다른 재질로 대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덮개(20)는 상기 하우징(10)에 다양한 체결수단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다수 개의 고정나사로 체결될 수 있으나, 보다 밀폐력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덮개(20)의 상호 접촉되는 부위를 레이져용접 방식 또는 마찰교반용접 등에 의해 접합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유전체공진필터(100)의 튜닝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 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전체공진필터(100)의 튜닝 방법을 설명하면, 먼저, 기준이 되는 유전체공진필터를 소정의 기준 공진주파수 특성을 갖는 기준 상태로 튜닝하게 된다(단계10).
다음으로, 유전체공진봉(80)과의 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모든 유전체공진봉튜닝스크류(30)의 출입공(32)을 통해 페라이트 로드(50)를 삽입하여 상기 유전체공진봉(80)에 접근시킴으로써, 모든 공동의 공진주파수 특성을 소멸시킨다(단계20).
다음으로, 상기 제1공동부터 제n공동(70)까지 순차적으로 페라이트 로드(50)를 인출하며 각 공동의 주파수 특성에 대한 기준데이터를 생성하고 저장하게 된다(단계30).
이러한 작업에 의해, 완벽히 튜닝된 기준 필터에 포함된 각 공동의 고유 주파수 특성을 모두 생성 저장할 수 있다.
튜닝하고자 하는 유전체공진필터의 제1공동을 제외한 나머지 공동들의 제1튜닝스크류(30)의 출입공(32)에 페라이트 로드(50)를 삽입하여 상기 나머지 공동들의 공진주파수 특성을 소멸시킨다(단계40).
상기 입력단자(16)로부터 반사되는 반사신호를 기준신호와 일치되도록 상기 제1공동의 제1튜닝스크류(30)를 조절하여 공진 주파수 특성을 튜닝한다(단계50).
다음으로 제2공동의 페라이트 로드(50)를 인출한다.
다음으로 상기 입력단자(16)로부터 반사되는 반사신호를 기준신호와 일치되도록 상기 제2공동의 제1튜닝스크류(30)를 조절하여 공진 주파수 특성을 튜닝한다(단계60).
이후, 상기 페라이트 로드(50)를 입출하는 단계와 튜닝 대상이 되는 공동으로부터 측정된 반사신호를 기준신호와 일치되도록 튜닝 대상이 되는 공동의 제1튜 닝스크류를 조절하는 단계를 제3공동 내지 제n공동에 순차적으로 반복 적용하여 튜닝을 완료하게 된다.
한편, 각 공동(70)에 대한 튜닝시 상기 격벽(12)의 윈도우에 대응되는 상기 하우징덮개(20)의 위치에 설치된 상기 제2튜닝스크류(40)도 함께 조절하여 튜닝하게 된다.
즉, 제 1 공동에 대해서는 제1튜닝스크류(30)만을 튜닝하여 상기 제 1 공동의 공진주파수 특성을 튜닝하게 되지만, 제 2 공동부터는 개별 공동 상부에 설치된 제1튜닝스크류(30)와 윈도우(14) 상부에 설치된 제2튜닝스크류(40)를 함께 튜닝하게 된다.
물론, 이러한 경우에는, 기준이 되는 필터에 의한 기준 데이터 생성시 각 공동에 대한 기준데이터와 함께 이에 연계되는 윈도우에 대한 기준데이터를 함께 생성 저장하게 되며, 이후 튜닝 대상 필터에 대해서도 상기 공동 및 윈도우에 대한 기준데이터를 함께 비교하면서 튜닝하게 된다.
한편, 기준신호를 저장하는 단계를 재설명하면, 최초 유전체 공진필터의 입력단자(16)에 계측기(미도시)를 연결시킨 후, 상기 튜닝단계를 순서대로 실시하여, 입력단자(16)로부터 반사되는 반사신호 즉, 위상특성 데이터를 상기 계측기에 저장시켜 기준신호로 이용한다.
즉, 상기 튜닝단계에서와, 제1공동을 제외한 모든 공동에 대응되는 제1튜닝스크류(30)의 출입공(32)을 통해 페라이트 로드(50)를 삽입하여 상기 유전체공진기(80)에 접근시킴으로써, 제1공동을 제외한 모든 공동의 공진주파수 특성을 소멸 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제1공동에 대한 튜닝을 실시한 후, 그 데이터값을 저장한다.
이후, 제2공동부터 제n공동(70)까지 순차적으로 페라이트 로드(50)를 인출하며 각 공동에 대한 튜닝을 실시 한 후, 그 데이터값을 순서대로 저장하게 된다.
이러한 작업에 의해, 완벽히 튜닝된 각 공동의 튜닝된 쥬파수 특성을 모두 생성 저장할 수 있다.
이후, 튜닝 대상 필터를 튜닝하고자 할 경우, 상기 저장된 데이터의 위상값을 보며 동일하게 튜닝하도록 함으로써 용이하게 튜닝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러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하기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첨부의 하기 도면들은,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이해시키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은 하기 도면에 도시된 사항에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유전체공진필터의 분해 사시도.
도 2 은 본 발명에 따른 유전체공진필터에 페라이트 로드가 삽입되기 전 공진 상태를 나타낸 특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유전체공진필터에 페라이트 로드가 삽입되어 공진이 소멸된 상태를 나타낸 특성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유전체공진필터의 튜닝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유전체공진필터 10: 하우징
14: 윈도우 16: 입력단자
18: 출력단자 20: 하우징덮개
30: 제1튜닝스크류 32: 출입공
40: 제2튜닝스크류 50: 페라이트로드
60: 너트 62: 고정나사
70: 제1공동~제8공동 80: 유전체공진기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유전체공진필터의 튜닝 방법으로서,
    제 1 공동부터 제 n 공동까지 각 공동에 대한 기준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와;
    튜닝하고자 하는 유전체공진필터의 제1공동을 제외한 나머지 공동들의 제1튜닝스크류(30)의 출입공(32)에 감쇄부재(50)를 삽입하여 상기 나머지 공동들의 공진주파수 특성을 소멸시키는 단계와;
    입력단자(16)로부터 반사되는 반사신호를 기준신호와 일치되도록 상기 제1공동의 제1튜닝스크류(30)를 조절하여 공진 주파수 특성을 튜닝하는 단계와;
    제2공동의 감쇄부재(50)를 인출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단자(16)로부터 반사되는 반사신호를 기준신호와 일치되도록 상기 제2공동의 제1튜닝스크류(30)를 조절하여 공진 주파수 특성을 튜닝하는 단계와;
    상기 감쇄부재(50)를 인출하는 단계와 튜닝 대상이 되는 공동으로부터 측정된 반사신호를 기준신호와 일치되도록 튜닝 대상이 되는 공동의 제1튜닝스크류를 조절하는 단계를 제3공동 내지 제n공동에 순차적으로 반복 적용하여 튜닝을 완료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공진필터의 튜닝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공동부터 제 n 공동까지 각 공동에 대한 기준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유전체공진필터를 기준 상태로 튜닝하는 단계와;
    상기 유전체 공진봉 상에 배치된 모든 유전체공진봉튜닝스크류의 출입공을 통해 감쇄부재를 삽입하여 상기 유전체 공진봉에 접근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1공동부터 제n공동까지 순차적으로 감쇄부재를 인출하며 각 공동에 대한 주파수 특성의 기준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공진필터의 튜닝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각 공동(70)에 대한 튜닝시 격벽(12)의 윈도우에 대응되는 하우징덮개(20)의 위치에 설치되어 두 공진기간 결합계수를 조절하는 제2튜닝스크류(40)도 함께 조절하여 튜닝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공진필터의 튜닝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감쇄부재는 상기 제1튜닝스크류의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되어 형성된 출입공을 통해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공진필터의 튜닝 방법.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감쇄부재는 페라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공진필터의 튜닝방법.
KR1020070120475A 2007-11-23 2007-11-23 유전체공진필터의 튜닝 방법 KR1011503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0475A KR101150308B1 (ko) 2007-11-23 2007-11-23 유전체공진필터의 튜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0475A KR101150308B1 (ko) 2007-11-23 2007-11-23 유전체공진필터의 튜닝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3581A KR20090053581A (ko) 2009-05-27
KR101150308B1 true KR101150308B1 (ko) 2012-06-08

Family

ID=40861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0475A KR101150308B1 (ko) 2007-11-23 2007-11-23 유전체공진필터의 튜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03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1719B1 (ko) 2021-12-10 2022-06-22 (주)알엔텍 하이브리드 커플러 금속 커플링바 간격 조절을 위한 절연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커플러 자동 튜닝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4093B1 (ko) * 2012-10-19 2014-07-01 주식회사 이너트론 복합 재질의 공진기 및 이를 구비하는 통신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27502A (ja) * 1999-09-13 2001-05-11 Telwave Inc 対称的な減衰点特性を有する誘電体共振器型の帯域通過フィルター
JP2002076727A (ja) * 2000-08-31 2002-03-15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周波数可変誘電体共振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27502A (ja) * 1999-09-13 2001-05-11 Telwave Inc 対称的な減衰点特性を有する誘電体共振器型の帯域通過フィルター
JP2002076727A (ja) * 2000-08-31 2002-03-15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周波数可変誘電体共振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1719B1 (ko) 2021-12-10 2022-06-22 (주)알엔텍 하이브리드 커플러 금속 커플링바 간격 조절을 위한 절연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커플러 자동 튜닝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3581A (ko) 2009-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81900B2 (en) Tunable resonator for microwave oscillators and filters
KR101072284B1 (ko) 고주파 필터의 유전체 공진기 및 그 조립 방법
US4578655A (en) Tuneable ultra-high frequency filter with mode TM010 dielectric resonators
TW20050945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complex dielectric constant of dielectric
US6734766B2 (en) Microwave filter having a temperature compensating element
EP1710596A3 (en) NMR probe circuit with nodal impedance bridge
CN107768785A (zh) 一种嵌入式陶瓷腔体滤波器
KR101150308B1 (ko) 유전체공진필터의 튜닝 방법
KR100959073B1 (ko) 고주파 필터 및 이의 튜닝 구조
Bastioli et al. Design of in-line filters with strongly coupled resonator triplet
KR20100100117A (ko) 초소형 무선 고주파 필터
US20090261829A1 (en) NMR Probe
EP1962369A1 (en) Dielectric multimode resonator
US3001154A (en) Electrically tuned microwave bandpass filter using ferrites
KR101187644B1 (ko) 커플링 튜닝 플레이트를 구비한 대역저지필터
KR100844163B1 (ko) 다중노치필터
US6356163B1 (en) Tuning method for filters having multiple coupled resonators
JPS6141441B2 (ko)
KR101026416B1 (ko) 오픈 타입 노치 고정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노치 필터
KR100687421B1 (ko) 반사파의 위상을 이용한 필터의 튜닝 장치 및 그 방법과그에 의해 튜닝된 필터
JP4657969B2 (ja) 誘電体フィルタ
SU1626333A1 (ru) Электромагнитна лини задержки
JP2004072730A (ja) 誘電体フィルタ、通信機器、共振周波数を制御する方法
JPH08293702A (ja) 有極型コムラインフィルタ
JP2009239430A (ja) 多チャンネルフィル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