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8940B1 - 온도측정장치 - Google Patents

온도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8940B1
KR101148940B1 KR1020090036786A KR20090036786A KR101148940B1 KR 101148940 B1 KR101148940 B1 KR 101148940B1 KR 1020090036786 A KR1020090036786 A KR 1020090036786A KR 20090036786 A KR20090036786 A KR 20090036786A KR 101148940 B1 KR101148940 B1 KR 1011489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temperature
supply
thermometer
suppl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6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8017A (ko
Inventor
류제무
정종일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367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8940B1/ko
Publication of KR201001180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80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89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89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8/00Methods or devices for measuring, detecting or monitoring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e.g. position detection, inspection of the product
    • B21B38/006Methods or devices for measuring, detecting or monitoring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e.g. position detection, inspection of the product for measuring 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7/00Control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or the work produced thereby
    • B21B37/74Temperature control, e.g. by cooling or heating the rolls or the produ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5/00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45/02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for lubricating, cooling, or cleaning
    • B21B45/0269Cleaning
    • B21B45/0275Clean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5/00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45/02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for lubricating, cooling, or cleaning
    • B21B45/0269Cleaning
    • B21B45/0275Cleaning devices
    • B21B45/0278Cleaning devices removing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51/00Measuring, gauging, indicating, counting, or mar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the production or manipulation of material in accordance with subclasses B21B - B21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adiation Pyrometers (AREA)

Abstract

온도측정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발명은: 고온의 물체와 이격되게 구비되어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계와; 이송되는 물체에 유체를 공급하여 물체에 잔류하는 냉각수를 제거하는 유체증폭장치; 및 유체증폭장치에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공급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온도계와 물체 사이에 존재하는 잔류수 및 수증기를 제거하여 온도계와 물체 사이에 존재하는 잔류수 및 수증기로 인한 측정 오차를 감소시킴으로써, 온도 측정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제철소 등과 같은 고온의 작업환경에서도 정확한 온도 측정을 할 수 있어 생산효율 및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온도, 잔류수, 수증기

Description

온도측정장치{APPARATUS FOR MEASURING TEMPERATURE}
본 발명은 온도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온의 물체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후판은 고온으로 가열된 슬라브를 압연기에서 목표로 하는 두께와 폭으로 압연하고 가속냉각하여 제조된다. 가속냉각은 냉각장치의 상하에서 냉각수를 분사하여 후판의 상하면을 냉각하는 방법이다.
후판은 압연과 가속냉각과정에서 열 이동과 소성변형과정을 거치는데, 이 과정에서 재료의 물성뿐 아니라 판 변형과 같은 형상품질에도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최근에는 후판의 물성품질이 안정화되면서 판 변형에 대한 문제점이 중요시되고 있다.
후판의 판 변형은 압연에서 발생된 압연변형과 판 내 온도편차에 의해 발생한다. 압연변형은 열간 상태에서 열간 교정기에 의해 곧바로 교정됨에 따라 대부분 소멸된다. 따라서, 판 변형은 대부분이 판 내 온도편차에 의해 발생된다.
더욱이, 가속냉각재의 경우에는 압연과 열간 교정 사이에서 강제 수냉이 가해지기 때문에 판 중심부와 판 엣지부의 온도편차가 증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판 변형도 가중되게 된다.
이에 따라, 가속냉각과정에서는 온도측정장치를 이용하여 후판의 온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온도에 따라 냉각수량을 조절함으로써, 후판 전체가 일정한 온도 분포를 갖도록 후판의 냉각 온도를 조절한다. 이러한 온도측정장치는 후판과 이격되게 배치되는 온도계를 이용하여 후판의 방사열을 측정한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은 온도측정장치에 따르면, 고온 상태의 후판에 냉각수가 분사됨으로 인해 온도측정장치와 후판 사이에 수증기가 발생되거나, 분사된 냉각수의 일부가 후판 상부에 체류될 경우, 즉 후판 상부에 체류수가 존재할 경우, 이로 인해 오차가 발생하여 온도 측정이 정확히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측정 대상물과의 사이에 발생되는 수증기 또는 체류수로 인한 측정 오차를 감소시켜 온도 측정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한 온도측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온도측정장치는: 고온의 물체와 이격되게 구비되어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계와; 이송되는 상기 물체에 유체를 공급하여 상기 물체에 잔류하는 냉각수를 제거하는 유체증폭장치; 및 상기 유체증폭장치에 상기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공급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유체증폭장치에서 상기 물체 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유체안내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체증폭장치는, 상기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부와; 상기 유체가 유출되는 유출부; 및 상기 유입부와 유출부 사이에 구비되는 중앙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입부에서 상기 중앙부로는 단면적이 줄어들고, 상기 중앙부에서 상기 유출부로는 단면적이 늘어나도록 관통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체증폭장치는, 상기 유체공급장치가 장착되는 장착부; 및 상기 장착부와 상기 중앙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중앙부로 상기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체공급부는, 상기 장착부와 연통되어 상기 유체를 공급받는 제1공급부; 및 상기 제1공급부보다 단면적이 작게 형성되어 상기 제1공급부에서 상기 중앙부로 상기 유체를 공급하는 제2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체증폭장치는 벤투리관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체는 공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온도측정장치에 따르면, 온도계와 물체 사이에 존재하는 잔류수 및 수증기를 제거하여 온도계와 물체 사이에 존재하는 잔류수 및 수증기로 인한 측정 오차를 감소시킴으로써, 온도 측정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제철소 등과 같은 고온의 작업환경에서도 정확한 온도 측정을 할 수 있어 생산효율 및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체증폭장치를 통해 온도계를 보호하여 온도계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물체에 이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제품 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온도측정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측정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측정장치(100)는 온도계(110)와, 유체증폭장치(120) 및 유체공급장치(130)를 포함한다.
온도계(110)는 고온의 물체(1; 도 4 참조)와 이격되게 구비되어 온도를 측정한다. 이러한 온도계(110)는 물체(1)와 이격되게 구비되어 고온의 물체(1)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고온계(Pyrometer)를 구비할 수 있다. 이처럼 고온계를 구비하는 온도계(110)는 물체(1)의 복사열을 이용하여 물체(1)의 온도를 측정한다.
일례로서, 온도계(110)에 구비되는 고온계는, 물체(1)로부터 방출되는 복사열을 오목거울, 또는 형석제(螢石製)인 렌즈로 검댕을 칠한 백금판(白金板) 등으로 형성된 수열판(受熱板)에 모으고, 흡수한 수열판의 온도를 열전온도계(熱電溫度計) 로 측정하도록 된 형태이며, 흡수한 수열판의 온도를 통해 물체(1)의 온도를 알 수 있다. 이러한 고온계의 상세한 구조 및 작용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유체증폭장치(120)는 이송되는 물체(1)에 유체를 공급하여 물체(1)에 잔류하는 냉각수, 또는 고온의 물체(1)와 냉각수의 접촉에 의해 발생되는 수증기를 제거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유체공급장치(130)는 유체증폭장치(120)에 유체를 공급하도록 구비된다. 일례로서, 유체공급장치(130)는 유체증폭장치(120)에 유체를 공급하는 펌프(미도시) 및 펌프와 유체증폭장치(120)를 연결하는 배관(부호생략)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유체가 공기인 것으로, 유체증폭장치(120)에 유체를 공급하는 펌프는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펌프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유체증폭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유체증폭장치(120)는, 바람직하게는 내부가 관통된 벤투리관(Venturi tube)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유입부(121)와, 유출부(122) 및 중앙부(123)를 포함한다.
유입부(121)는 유체가 유입되는 부분으로서 유체증폭장치(120)의 관통된 일측에 구비되며, 유출부(122)는 유입부(121)를 통해 유입된 유체가 유출되는 부분으로서 유체증폭장치(120)의 관통된 타측에 구비된다. 그리고, 중앙부(123)는 유체증 폭장치(120)의 내부에 구비되되, 유입부(121)와 유출부(122) 사이에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유입부(121)와 유출부(122) 및 중앙부(123)를 구비하는 유체증폭장치(120)는, 유입부(121)에서 중앙부(123)로는 단면적이 줄어들고, 중앙부(123)에서 유출부(122)로는 단면적이 늘어나도록 관통되게 형성된다. 즉, 유체증폭장치(120)는 유입부(121) 또는 유출부(122)에서 중앙부(123) 부분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줄어들도록 관통되게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유체증폭장치(120)는 장착부(124) 및 유체공급부(1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장착부(124)는 유체공급장치(130), 좀 더 구체적으로는 유체공급장치(130)의 배관(132)이 장착되는 부분으로, 장착부(124)에 장착되는 배관(132)은 장착부(124)를 통해 유체증폭장치(120)의 내부와 연결된다.
유체공급부(125)는 장착부(124)와 중앙부(123) 사이에 형성된다. 유체공급부(125)는 장착부(124)를 통해 배관(132)과 연결되며, 이 배관(132)을 통해 유체공급장치(130)로부터 공급되는 유체를 중앙부(123)로 공급한다. 이러한 유체공급부(125)는 제1공급부(125a)와 제2공급부(125b)를 포함한다.
제1공급부(125a)는 장착부(124)와 중앙부(123) 사이에 형성되며, 장착부(124)와 연통되어 유체를 공급받는다.
제2공급부(125b)는 제1공급부(125a)와 중앙부(123) 사이에 형성되며, 제1공급부(125a)보다 단면적이 작게 형성되어 제1공급부(125a)에서 중앙부(123)로 유체를 공급한다.
상기한 구조를 갖는 유체증폭장치(120)에 따르면, 유체공급장치(130)에서 공급되는 유체가 배관(132) 및 장착부(124)를 통해 제1공급부(125a)로 공급되면, 이 유체는 제1공급부(125a)보다 단면적이 작게 형성된 제2공급부(125b)를 통해 중앙부(123)로 공급될 수 있다.
이처럼 단면적이 작게 형성된 제2공급부(125b)를 통해 유체가 중앙부(123)로 공급되면, 유체의 유속이 증가되고 유체증폭장치(120) 내부의 압력이 하강되면서, 유체증폭장치(120) 외부의 유체가 유입부(121)를 통해 유체증폭장치(120)의 내부로 유입된다.
이처럼 유체증폭장치(120) 외부에서 유체증폭장치(120)의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는, 중앙부(123)와 유출부(122)를 통과하면서 유속 및 유량이 증가되어 유체증폭장치(120)의 외부, 즉 물체(1)를 향해 분사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온도측정장치(100)는 유체안내부재(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체안내부재(140)는 유체증폭장치(120)에서 물체(1) 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유체증폭장치(120)에서 물체(1)를 향해 분사되는 유체의 분사 경로를 가이드한다.
바람직하게는, 유체안내부재(140)는 파이프(Pipe) 형상으로 형성되어 유출부(122) 측에 결합될 수 있으며,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다수의 파이프를 구비하여 연장 또는 절첩 가능하게 제공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측정장치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도 면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온도측정장치의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고온의 물체(1)는 고온으로 열간 압연된 고온 상태의 후판인 것으로 예시되며, 본 실시예의 온도측정장치(100)는 열간 압연된 후판을 가속냉각시키는 가속냉각장치(10; 도 4 참조)에 설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가속냉각장치(10)는 물체(1)의 상부 또는 하부 중 적어도 어느 한 부분에서 냉각수를 분사하는 분사노즐(12)을 포함한다. 가속냉각장치(10)는 고온의 물체(1)에 냉각수를 분사하여 물체(1)를 가속냉각 처리하며, 이러한 가속냉각장치(10)는 물체(1)에 분사되는 냉각수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물체(1)의 측부에서 냉각수를 분사하는 사이드분사노즐(14)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가속냉각장치(10)에 설치되는 본 실시예의 온도측정장치(100)는, 가속냉각장치(10)의 분사노즐(12) 또는 사이드분사노즐(14)에 의해 분사된 냉각수에 의해 가속냉각된 물체(1)의 온도를 측정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물체(1)의 상부에 온도계(110)가 위치되도록 하고, 온도계(110)와 물체(1) 사이에 유체증폭장치(120)가 위치되도록 온도측정장치(100)를 설치한다.
이때, 유체증폭장치(120)는 온도계(110)와 물체(1) 사이에 배치되되, 물체(1)의 복사열을 측정하는 온도계(110)의 하단부와 물체(1) 사이를 차단하지 않도록, 그 관통된 부분이 물체(1), 좀 더 구체적으로는 온도계(110)에 의해 온도가 측 정될 물체(1)의 특정 부분과 온도계(110) 하단부 사이를 잇는 일직선상에 위치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태에서, 온도계(110)를 작동시켜 물체(1)의 온도를 측정하도록 하는 한편, 유체공급장치(130)를 작동시켜 유체증폭장치(120)에 유체를 공급하여 주면, 유체증폭장치(120)는 유체증폭장치(120)에 유입되는 유체의 유속 및 유량을 증가시켜 온도계(110)에 의해 온도가 측정될 물체(1)의 특정 부분을 향해 분사시켜 준다.
상기한 가속냉각장치(10)에 의해 가속냉각되는 물체(1)의 상부에는 냉각수의 일부가 잔류되어 있을 수 있으며, 물체(1)와 온도계(110) 사이에는 고온의 물체(1)와 냉각수의 접촉으로 인해 수증기가 발생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유체증폭장치(120) 및 유체공급장치(130)는, 유체의 유속 및 유량을 증가시켜 온도계(110)에 의해 온도가 측정될 물체(1)의 특정 부분을 향해 분사시켜줌으로써, 온도계(110)와 물체(1) 사이에 존재하는 잔류수 및 수증기를 제거하여줄 수 있다.
이러한 유체증폭장치(120) 및 유체공급장치(130)를 구비하는 본 실시예의 온도측정장치(100)는, 온도계(110)와 물체(1) 사이에 존재하는 잔류수 및 수증기로 인한 측정 오차를 감소시킴으로써, 온도 측정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제철소 등과 같은 고온의 작업환경에서도 정확한 온도 측정을 할 수 있어 생산효율 및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온도측정장치(100)는, 유체증폭장치(120)를 통해 온도 계(110)를 보호하여 온도계(110)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물체(1)에 이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온도측정장치(100)가 가속냉각장치(10)에 설치되는 것으로 예시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온도측정장치(100)는 가속냉각장치(10)가 아닌 온도 측정이 필요한 다른 어떤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측정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유체증폭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측정장치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온도측정장치 110 : 온도계
120 : 유체증폭장치 121 : 유입부
122 : 유출부 123 : 중앙부
124 : 장착부 125 : 유체공급부
130 : 유체공급장치 140 : 유체안내부재

Claims (7)

  1. 고온의 물체와 이격되게 구비되어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계;
    이송되는 상기 물체에 유체를 공급하여 상기 물체에 잔류하는 냉각수를 제거하는 유체증폭장치; 및
    상기 유체증폭장치에 상기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공급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유체증폭장치는,
    상기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부;
    상기 유체가 유출되는 유출부;
    상기 유입부와 유출부 사이에 구비되는 중앙부;
    상기 유체공급장치가 장착되는 장착부; 및
    상기 장착부와 상기 중앙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중앙부로 상기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입부에서 상기 중앙부로는 단면적이 줄어들고, 상기 중앙부에서 상기 유출부로는 단면적이 늘어나도록 관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유체공급부는,
    상기 장착부와 연통되어 상기 유체를 공급받는 제1공급부; 및
    상기 제1공급부보다 단면적이 작게 형성되어 상기 제1공급부에서 상기 중앙부로 상기 유체를 공급하는 제2공급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측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증폭장치에서 상기 물체 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유체안내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측정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증폭장치는 벤투리관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측정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는 공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측정장치.
KR1020090036786A 2009-04-27 2009-04-27 온도측정장치 KR1011489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6786A KR101148940B1 (ko) 2009-04-27 2009-04-27 온도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6786A KR101148940B1 (ko) 2009-04-27 2009-04-27 온도측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8017A KR20100118017A (ko) 2010-11-04
KR101148940B1 true KR101148940B1 (ko) 2012-05-22

Family

ID=43404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6786A KR101148940B1 (ko) 2009-04-27 2009-04-27 온도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89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8154B1 (ko) * 2016-10-13 2018-02-21 주식회사 포스코 온도 측정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주조설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92231A (ja) * 1984-03-14 1985-09-30 Kawasaki Steel Corp 高温物体の表面温度測定および位置検出装置
JPS6230926A (ja) 1985-07-31 1987-02-09 Kawasaki Steel Corp 温度測定装置
JPH0755587A (ja) * 1993-08-10 1995-03-03 Sumitomo Light Metal Ind Ltd 温度測定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92231A (ja) * 1984-03-14 1985-09-30 Kawasaki Steel Corp 高温物体の表面温度測定および位置検出装置
JPS6230926A (ja) 1985-07-31 1987-02-09 Kawasaki Steel Corp 温度測定装置
JPH0755587A (ja) * 1993-08-10 1995-03-03 Sumitomo Light Metal Ind Ltd 温度測定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8154B1 (ko) * 2016-10-13 2018-02-21 주식회사 포스코 온도 측정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주조설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8017A (ko) 2010-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0069496A (ja) 連続鋳造における二次冷却装置及び方法
KR101148940B1 (ko) 온도측정장치
KR101625810B1 (ko) 노즐 헤더, 냉각 장치, 열연 강판의 제조 장치, 및 열연 강판의 제조 방법
JP2008238256A (ja) 連続鋳造鋳片の製造方法、連続鋳造機
TWI734323B (zh) 一種光罩冷卻裝置及光刻設備
JP5181752B2 (ja) 鋼材の冷却方法および冷却装置
JP2009255127A (ja) 連続鋳造鋳片の冷却方法及び冷却設備
JP5915374B2 (ja) 連続鋳造鋳片の表面温度の測定方法およびこの方法を用いた連続鋳造方法
KR100529055B1 (ko) 연속소둔로의 스트립 냉각장치
KR101790003B1 (ko) 온도측정장치, 이를 구비하는 주조 설비 및 주조 방법
CN102399973B (zh) 一种热处理用汽雾冷却装置
KR101818154B1 (ko) 온도 측정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주조설비
CN108117245B (zh) 铂金通道防漏料冷却装置
US8383428B2 (en) Exhaust pressure detector
US20210148740A1 (en) Liquid micrometer
JP2010214433A (ja) 鋼材の冷却装置および冷却方法
JP5545015B2 (ja) 連続鋳造設備における冷却水供給配管の詰まり判定方法
KR20210021289A (ko) 부품을 부분 냉각시키기 위한 온도제어 장치
KR101188086B1 (ko) 가속 냉각 장치 및 이의 유량 제어 방법
JP5332772B2 (ja) 鋼材の冷却装置および冷却方法
KR20090123601A (ko) 강판 냉각장치
KR20100060917A (ko) 후판압연공정의 가속냉각시 노즐막힘 방지장치 및 방지방법
JP3783396B2 (ja) 高温鋼板の冷却方法
JPH08291336A (ja) 連続焼鈍炉内ハースロールのクラウン制御方法
KR101627854B1 (ko) 배가스 온도저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