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7801B1 - 콘크리트제 틀을 이용한 빗물 저장 장치 - Google Patents

콘크리트제 틀을 이용한 빗물 저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7801B1
KR101147801B1 KR1020100052650A KR20100052650A KR101147801B1 KR 101147801 B1 KR101147801 B1 KR 101147801B1 KR 1020100052650 A KR1020100052650 A KR 1020100052650A KR 20100052650 A KR20100052650 A KR 20100052650A KR 101147801 B1 KR101147801 B1 KR 1011478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water
storage
storage unit
concrete fram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2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7358A (ko
Inventor
세이이치로 타카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토오테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토오테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토오테츠
Publication of KR201001373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73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78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78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2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rain-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1/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 E03B11/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for public or like main water supply
    • E03B11/1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for public or like main water supply of high-level tank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1/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 E03B11/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for public or like main water supply
    • E03B11/1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for public or like main water supply of underground tank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00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 E03B1/04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for domestic or like local supply
    • E03B1/041Greywater supply systems
    • E03B2001/047Greywater supply systems using rainwa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08Rainwater harve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콘크리트제 틀이 차수 시트의 팽창을 확실하게 막음과 함께, 콘크리트제 틀을 구성하는 콘크리트제 틀재를 서로 밀착시킨 상태에서 높은 효율로 반송하고, 또한 콘크리트제 틀의 조립 작업성을 향상시킨다.
저장재(11b)를 차수 시트(11a)로 감싸서 빗물을 저장 가능하도록 형성된 빗물 저장부(11)가 지상에 설치되고, 빗물 저장부(11)를 수용하는 콘크리트제 틀(12)이 콘크리트제 틀재(13)를 '井'자 형상으로 적층하고 서로 연결하여 형성된다. 모인 빗물이 유입관(19)에 의해 빗물 저장부(11)에 유도되고, 빗물의 이용처에 급수하기 위하여 급수관(23)이 빗물 저장부(11)에 접속된다. 빗물 저장부(11)에서 넘치는 빗물을 배출하기 위하여, 오버플로우관(26)이 빗물 저장부(11)의 상부에 접속된다.

Description

콘크리트제 틀을 이용한 빗물 저장 장치{Rainwater storage apparatus using frame of concrete}
본 발명은 가옥이나 빌딩 등의 건물에서 흘러내리는 빗물을 모아서 저장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차수 시트의 팽창을 콘크리트제(製) 틀(frame)에 의해 막을 수 있는 빗물 저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이러한 종류의 빗물 저장 수조로서 지하에 매설되어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구성한 지하 저장 수조가 알려져 있다(예: 특허 문헌 1). 이 지하 저장 수조에서는, 내부 저장 수조는 복수의 체수재(滯水材)(본 명세서에서는 '저장재'라고 한다)를 조합하여 이루어지는 체수재(저장재)의 집합체를 제1 차수(遮水) 시트에 의해 피복하여 구성하며, 내부 저장 수조의 외측에 토압 흡수용 판재가 설치되고, 또한 토압 흡수용 판재가 제2 차수 시트에 의해 피복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지하 저장 수조에서는 주위로부터의 토압이 제2 차수 시트에 가해지고, 토압 흡수용 판재가 그 토압을 흡수하여, 제1 차수 시트에 토압이 직접 가해지는 것을 방지한다. 그 결과, 제2 차수 시트가 토압에 의해 파손된다고 해도, 제1 차수 시트가 파손되는 것을 피하여, 내부 저장 수조에 저장된 물이 외부에 누설되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특허 문헌 1]국제 공개 WO2006/001139호 공보(청구항 1, 단락{0006})
상기 종래의 특허 문헌 1에 나타낸 지하 저수조에서는, 흙이 저장 수조 내의 수압에 의한 차수 시트의 팽창을 막는다. 그러나, 이 저장 수조를 지상에 설치하려면, 합성 고무 계열이나 고강도 수지 계열 등의 염가의 차수 시트를 이용하는 저장 수조에서는, 이 차수 시트의 팽창을 막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제1의 목적은, 콘크리트제 틀이 차수 시트의 팽창을 확실히 막을 수 있는, 콘크리트제 틀을 이용한 빗물 저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의 목적은, 콘크리트제 틀을 구성하는 콘크리트제 틀재(材)를 서로 밀착시킨 상태에서 높은 효율로 반송할 수 있고, 또한 콘크리트제 틀의 조립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콘크리트제 틀을 이용한 빗물 저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3의 목적은, 하측 저장부 내의 수위가 저하해도, 급수 압력만으로 상측 저장부 내의 빗물을 공급처(供給先)에 공급할 수 있는, 콘크리트제 틀을 이용한 빗물 저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4의 목적은, 장치의 상면을 녹화(綠化)할 수 있음과 함께, 흙에 의하여 상측 저장부의 팽창을 막을 수 있는, 콘크리트제 틀을 이용한 빗물 저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5의 목적은, 하측 저장부에 작용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음과 함께, 하측 저장부로부터 콘크리트제 틀에 작용하는 압력을 완화할 수 있으며, 또한 한랭기에서의 상측 저장부 및 하측 저장부 내의 빗물의 동결을 방지할 수 있는, 콘크리트제 틀을 이용한 빗물 저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6의 목적은, 염가의 폐재(廢材)의 사용량을 늘려서, 고가의 저장재를 필요 최저한으로 억제하는 것으로써 제조 단가를 저감할 수 있는, 콘크리트제 틀을 이용한 빗물 저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의 관점은, 도 1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상에 설치되거나 혹은 하부가 지중(地中)에 매설되며 상부가 지상에 돌출하도록 설치되고, 저장재(11b)를 차수 시트(11a)로 감싸서 빗물을 저장 가능하도록 형성된 빗물 저장부(11)와, 빗물 저장부(11)을 수용하며, 콘크리트제 틀재(13)를 '井'자 형상의 복수단으로 적층하고 서로 연결하여 형성된 콘크리트제 틀(12)과, 모인 빗물을 빗물 저장부(11)로 유도하는 유입관(19)과, 빗물의 이용처(利用先)에 급수하기 위하여 빗물 저장부(11)에 접속된 급수관(23)과, 빗물 저장부(11)에서 넘치는 빗물을 배출하기 위하여 빗물 저장부(11)의 상부에 접속된 오버플로우관(26)을 구비하는 콘크리트제 틀을 이용한 빗물 저장 장치이다.
본 발명의 제2의 관점은, 제1의 관점에 기초하는 발명으로서,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콘크리트제 틀재(13)는 양단부의 상면 및 하면에 오목부(21a, 22a)가 각각 형성된 틀재 부재(21, 22)를 가지고, 직교하는 틀재 부재(21, 22)의 오목부(21a, 22a)가 각각 결합하는 것에 의해, 이러한 직교하는 틀재 부재(21, 22)가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3의 관점은, 제2의 관점에 기초하는 발명으로서,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콘크리트제 틀재(13)는, 높이가 틀재 부재(21, 22) 높이의 1/2로 형성되며 양단부의 상면에 오목부(14a)가 각각 형성된 틀 하단 부재(14)와, 높이가 틀재 부재(21, 22) 높이의 1/2로 형성되며 양단부의 하면에 오목부(15a)가 각각 형성된 틀 상단 부재(15)를 더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4의 관점은, 제1의 관점에 기초하는 발명으로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상에 설치되거나 혹은 하부가 지중에 매설되며 상부가 지상에 돌출하도록 설치되고, 저장재(51b)를 차수 시트(51a)로 감싸서 빗물을 저장 가능하도록 형성된 하측 저장부(51)와, 하측 저장부(51)보다 작게 형성되며 하측 저장부(51)의 상면에 설치되어 빗물을 저장할 수 있는 상측 저장부(52)를 구비하고, 하측 저장부(51)와 상측 저장부(52)가 연통관(53)에 의해 연통 접속되고, 하측 저장부(51)에 저장된 빗물을 상측 저장부(52)에 끌어올리는 펌프(54)가 연통관(53)의 도중에 설치되고, 유입관(19)이 상측 저장부(52)에 연통 접속되고, 급수관(23)이 상측 저장부(52)에 연통 접속되고, 오버플로우관(66)이, 상측 저장부(52)에서 넘치는 빗물을 하측 저장부(51)로 유도하는 제1 오버플로우관(66a)과, 하측 저장부(51)에서 넘치는 빗물을 배출하는 제2 오버플로우관(66b)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5의 관점은, 제1 또는 제4의 관점에 기초하는 발명으로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출되는 빗물 저장부(11)의 상면 혹은 노출되는 상측 저장부 및 하측 저장부의 상면을 흙(18)으로 덮는 것에 의해, 상측 저장부(52)를 형성하는 차수 시트(52a)가 수압에 의해 팽창하는 것을 막음과 함께, 상기 흙(18)에 식물을 심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6의 관점은, 제1 또는 제4의 관점에 기초하는 발명으로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빗물 저장부(11) 또는 하측 저장부의 하면에 완충 기능 및 단열 기능을 가지는 하부 보호판(16)이 설치되고, 콘크리트제 틀(12)과 빗물 저장부(11) 또는 하측 저장부와의 사이에 완충 기능 및 단열 기능을 가지는 측부 보호판(17)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7의 관점은, 제1 또는 제4의 관점에 기초하는 발명으로서,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빗물 저장부(11) 내 혹은 하측 저장부 및 상측 저장부 내 중에 외주부에 저장재(11b)가 충전되고, 이 저장재(11b)에 의해 둘러싸인 내부에 폐재(11c)가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의 관점의 장치에서는, 빗물 저장부가 견고한 콘크리트제 틀에 수용되므로, 빗물 저장부의 차수 시트가 이 저장부 내의 빗물의 수압에 의해 팽창되려고 해도, 콘크리트제 틀이 이 차수 시트의 팽창을 확실히 막을 수 있다. 또한, 빗물 저장부의 합성 고무계나 강성 수지계 등의 염가의 차수 시트가 견고한 콘크리트제 틀에 수용되므로, 차수 시트가 손상되는 일이 없고, 빗물 저장부에 빗물을 확실히 저장할 수 있는 것과 함께, 빗물 저장 장치의 제조 단가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빗물 저장부를 수용하는 콘크리트제 틀이, 콘크리트제 틀재를 '井'자 형상의 복수단으로 적층하고 서로 연결하여 형성되므로, 콘크리트제 틀을 볼트를 이용하지 않고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이 결과, 콘크리트제 틀의 조립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콘크리트제 틀재가 좁고 긴 판형상이기 때문에, 콘크리트제 틀재를 서로 밀착시킨 상태로 트럭에 적재할 수 있다. 이 결과, 콘크리트제 틀재를 공장에서 설치 현장으로 높은 효율로 반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의 관점의 장치에서는, 콘크리트제 틀재는 직교하는 틀재 부재의 오목부가 각각 결합하는 것에 의해, 이러한 직교하는 틀재 부재가 서로 연결되므로, 콘크리트제 틀재를 '井'자 형상으로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의 관점의 장치에서는, 콘크리트제 틀재는 틀재 부재에 더하여 틀 하단 부재 및 틀 상단 부재를 더 가지므로, 콘크리트제 틀의 하면 및 상면을 평평하게 할 수 있다. 이 결과, 콘크리트제 틀의 하면 전체를 지면에 밀착하여 설치할 수 있고, 콘크리트제 틀의 외형을 보기 좋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의 관점의 장치에서는, 상측 저장부가 지면보다 위쪽에 위치하고, 하측 저장부 내의 빗물이 상측 저장부에 펌프로 끌어올려져서 상측 저장부에 항상 소정량의 빗물이 저장되고 있으므로, 하측 저장부 내의 수위가 저하해도 상측 저장부 내의 빗물이 가지는 위치에너지에 기인하는 급수 압력에 의해, 상측 저장부 내의 빗물을 급수관에서 공급처로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의 관점의 장치에서는, 노출되는 빗물 저장부의 상면 혹은 노출되는 상측 저장부 및 하측 저장부의 상면을 흙으로 덮는 것에 의해, 상측 저장부를 형성하는 차수 시트가 수압에 의해 팽창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흙에 식물을 심는 것에 의해, 빗물 저장 장치의 상면을 녹화 할 수 있으므로, 지구 환경의 개선에 공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의 관점의 장치에서는, 하부 보호재 및 측부 보호재에 의해, 하측 저장부에 작용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고, 하측 저장부에서 콘크리트제 틀로 작용하는 압력을 완화할 수 있다. 또한, 하부 보호재, 측부 보호재 및 흙에 의해, 한랭기에 있어서의 하측 저장부 및 상측 저장부 내의 빗물의 동결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7의 관점의 장치에서는, 빗물 저장부 내 중에 외주부에 저장재를 충전하고, 이 저장재에 둘러싸인 내부에 폐재를 충전하므로, 염가의 폐재의 사용량을 늘려서 고가의 저장재의 사용량을 필요 최저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 결과, 빗물 저장 장치의 제조 단가를 더 저감할 수 있다. 또한, 하측 저장부 내 중에 외주부에 저장재를 충전하고, 이 저장재에 의해 둘러싸인 내부에 폐재를 충전하며, 상측 저장부 내 중에 외주부에 저장재를 충전하고, 이 저장재에 의해 둘러싸인 내부에 폐재를 충전해도, 상기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빗물 저장 장치의 종단면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3은 해당 장치의 콘크리트제 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해당 콘크리트제 틀의 조립 직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빗물 저장 장치의 종단면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5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C-C선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제1의 실시 형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빗물 저장 장치(10)는 지상에 설치된 빗물 저장부(11)와, 이 빗물 저장부(11)를 수용하는 콘크리트제 틀(12)을 구비한다. 빗물 저장부(11)는 가옥이나 빌딩 등의 건물의 지붕 또는 옥상에 낙하한 빗물을 내부에 저장 가능하게 구성된다. 빗물 저장부(11)는 차수 시트(11a) 내에 복수의 저장재(11b) 및 복수의 폐재(11c)를 충전하는 것에 의해 형성된다. 차수 시트(11a)는 합성 고무계나 합성 수지계 등의 차수성(遮水性)을 가지는 시트이며, 그 양면에는 통상 보호용의 부직포(도시하지 않음)가 겹쳐진다. 또한, 저장재(11b)는 금형에 의해 각뿔대(frustum of pyramid) 형상으로 성형된 플라스틱의 성형체이며, 폐재(11c)는 폐파이프이다. 저장재(11b)의 상면 및 하면은 개방되고, 한편 저장재(11b)의 측면에는 복수의 구멍(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된다. 또한, 폐파이프(11c)는 직경이 다른 복수의 폴리염화비닐(PVC) 파이프나 폴리프로필렌(PP) 파이프 등의 수지제 파이프를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여 형성된다. 저장재(11b)는 빗물 저장부(11) 내의 외주부에 충전되고, 폐파이프(11c)는 저장재(11b)에 의해 둘러싸인 내부에 충전된다.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저장재(11b)를 사각형의 통 형상으로 설치하고, 또한 쌓아올려서 각기둥체(角筒體)(11d)를 형성하고, 이 각기둥체(11d)에 의해 둘러싸인 내부에 복수의 폐파이프(11c)가 일정한 방향으로 배열되어 충전된다. 또한, 폐재로서는 폐파이프 이외에 플라스틱제의 컵이나 그릇 등의 폐용기를 이용해도 좋다.
상기 빗물 저장부(11)는 직사각형의 통 형상으로 형성된 콘크리트제 틀(12)에 수용된다. 콘크리트제 틀(12)은 콘크리트제 틀재(13)를 '井'자 형상의 복수단으로 적층하고 서로 연결하여 형성된다(도 3 및 도 4). 도 4에 상세하게 나타낸 바와 같이, 콘크리트제 틀재(13)는, 양단부의 상면 및 하면에 오목부(21a, 22a)가 각각 형성된 제1 및 제2 틀재 부재(21, 22)와, 높이(H1)가 제1 및 제2 틀재 부재(21, 22)의 높이(H0)의 1/2로 형성되고 양단부의 상면에 오목부(14a)가 각각 형성된 틀 하단 부재(14)와, 높이(H2)가 제1 및 제2 틀재 부재(21, 22)의 높이(H0)의 1/2로 형성되고 양단부의 하면에 오목부(15a)가 각각 형성된 틀 상단 부재(15)를 가진다. 제1 틀재 부재(21)는 콘크리트제 틀(12)의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된 부재이며, 제2 틀재 부재(22)는 콘크리트제 틀(12)의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된 부재이다. 제1 틀재 부재(21)는 제2 틀재 부재(22)보다 길게 형성된다. 또한, 제1 틀재 부재(21) 및 제2 틀재 부재(22)는 동일한 높이(H0)로 형성되고, 제1 틀재 부재(21) 및 제2 틀재 부재(22)의 양단부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형성된 오목부(21a, 22a)의 깊이는 제1 틀재 부재(21) 및 제2 틀재 부재(22)의 높이(H0)의 1/4로 형성된다. 또한, 틀 하단 부재(14)는 제2 틀재 부재(22)와 동일 길이로 형성되고, 틀 하단 부재(14)의 양단부의 상면에 형성된 오목부(14a)의 깊이는 틀 하단 부재(14)의 높이(H1)의 1/2, 즉 제1 틀재 부재(21)의 높이(H0)의 1/4로 형성된다. 또한, 틀 상단 부재(15)는 제1 틀재 부재(21)와 동일 길이로 형성되고, 틀 상단 부재(15)의 양단부의 하면에 형성된 오목부(15a)의 깊이는 틀 상단 부재(15)의 높이(H2)의 1/2, 즉 제2 틀재 부재(22)의 높이(H0)의 1/4로 형성된다.
제1 틀재 부재(21), 제2 틀재 부재(22), 틀 하단 부재(14) 및 틀 상단 부재(15)의 두께는 각각 동일하게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21a, 22a, 14a, 15a)의 폭은 제1 틀재 부재(21), 제2 틀재 부재(22), 틀 하단 부재(14) 및 틀 상단 부재(15)의 두께보다 약간 크게 형성된다. 예를 들면, 제1 틀재 부재(21)의 길이, 높이 및 두께는 4500mm, 440mm 및 150mm로 형성되고, 제2 틀재 부재(22)의 길이, 높이 및 두께는 3500mm, 440mm 및 150mm로 형성된다. 또한, 틀 하단 부재(14)의 길이, 높이 및 두께는 3500mm, 220mm 및 150mm로 형성되고, 틀 상단 부재(15)의 길이, 높이 및 두께는 4500mm, 220mm 및 150mm로 형성된다. 또한, 제1 틀재 부재(21), 제2 틀재 부재(22), 틀 하단 부재(14) 및 틀 상단 부재(15)의 각 오목부(21a, 22a, 14a, 15a)의 깊이 및 폭은 110mm 및 155mm로 각각 형성된다. 제1 틀재 부재(21), 제2 틀재 부재(22), 틀 하단 부재(14) 및 틀 상단 부재(15)는, 현장에서 조립을 실시하기 때문에, 미리 공장에서 제조된 콘크리트 부품, 즉 조립용 철근 콘크리트 부재이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서는, 콘크리트제 틀을 직사각형의 통 형상으로 형성했지만, 콘크리트제 틀을 정사각형의 통 형상으로 형성해도 좋다. 이 경우, 제1 틀재 부재와 제2 틀재 부재를 동일 형상으로 할 수 있고, 틀 하단 부재와 틀 상단 부재를 동일 형상으로 할 수 있으므로, 조립용 철근 콘크리트 부재의 종류를 줄일 수 있다.
상기 콘크리트제 틀(12)은 지상에 설치된다. 또한, 빗물 저장부(11)의 하면에는 완충 기능 및 단열 기능을 가지는 하부 보호판(16)이 설치되고, 콘크리트제 틀(12)과 빗물 저장부(11)와의 사이에는 완충 기능 및 단열 기능을 가지는 측부 보호판(17)이 설치된다. 하부 보호판(16) 및 측부 보호판(17)은 발포 스티렌 수지나 발포 염화 비닐 등에 의해 형성된다. 노출되는 빗물 저장부(11)의 상면은 흙(18)으로 덮이고, 이 흙(18)에는 잔디 등의 식물(도시하지 않음)이 심겨진다. 또한, 가옥이나 빌딩 등의 건물의 지붕 또는 옥상에 낙하한 빗물은 통(도시하지 않음) 등에 모이고, 이 빗물은 유입관(19)을 통하여 빗물 저장부(11)의 상부에 유도된다. 즉, 유입관(19)의 기단(基端, 끝부분)은 통에 접속되고, 유입관(19)의 선단(先端, 앞부분)은 콘크리트제 틀(12) 및 측부 보호판(17)을 관통하여 빗물 저장부(11)의 상면으로부터 빗물 저장부(11) 내에 삽입된다.
빗물 저장부(11)의 하부에는 급수관(23)의 기단이 접속되고, 이 급수관(23)의 선단에는 수도꼭지(24)가 설치된다. 즉, 급수관(23)의 기단은 빗물 저장부(11)의 각 측면의 하부에 접속되고, 급수관(23)의 선단은 흙(18), 측부 보호판(17) 및 콘크리트제 틀(12)을 관통하여 틀(12)의 외측에 돌출하며, 이 돌출단에 수도꼭지(24)가 설치된다. 급수관(23)은 이 실시 형태에서는 4개가 설치된다(도 3). 또한, 빗물 저장부(11)의 상부에는 오버플로우관(26)의 기단이 접속되고, 오버플로우관(26)의 선단은 아래쪽으로 꺽여서 아래를 향하도록 형성된다. 이 오버플로우관(26)은 빗물 저장부(11)에서 넘치는 빗물을 배출하기 위해서 설치된다. 또한, 유입관(19), 급수관(23) 및 오버플로우관(26)의 빗물 저장부(11)로의 삽입부는 밀봉 부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밀봉되어 수밀성(水密性)이 유지된다. 또한, 유입관(19), 급수관(23) 및 오버플로우관(26)은 빗물 저장부(11)의 저장재(11b)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이것은 각 배관의 시공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빗물 저장 장치(10)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미리 얇고 긴 판형상의 콘크리트제 틀재(13)를 공장에서 제조하고, 이 콘크리트제 틀재(13)를 트럭에 적재하여 설치 현장에 반송한다. 이 때 콘크리트제 틀재(13)를 서로 밀착시킨 상태로 트럭에 적재할 수 있으므로, 콘크리트제 틀재(13)를 공장에서 설치 현장으로 높은 효율로 반송할 수 있다. 설치 현장에 도착하면, 먼저 지면(27)을 자갈이나 모래로 다져서 단단하게 한 후, 콘크리트제 틀(12)을 조립한다(도 3 및 도 4). 구체적으로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2개의 틀 하단 부재(14)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지면(27)에 설치하고, 2개의 제1 틀재 부재(21)를 상기 2개의 틀 하단 부재(14)에 걸치게 하여 '井'자 형상으로 조립한다. 이 때 한쪽의 제1 틀재 부재(21)의 양단부 하면의 오목부(21a)를 2개의 틀 하단 부재(14)의 한쪽의 단부 상면의 오목부(14a)에 결합시키고, 다른쪽의 제1 틀재 부재(21)의 양단부 하면의 오목부(21a)를 2개의 틀 하단 부재(14)의 다른쪽의 단부 상면의 오목부(14a)에 결합시킨다. 이것에 의해 2개의 제1 틀재 부재(21)와 2개의 틀 하단 부재(14)를 '井'자 형상으로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는 것과 함께, 2개의 제1 틀재 부재(21)와 2개의 틀 하단 부재(14)의 하면이 동일 수평면에 위치하므로, 콘크리트제 틀(12)의 하면 전체를 지면에 밀착하여 설치할 수 있다. 그 다음에 2개의 제2 틀재 부재(22)를 상기 2개의 제1 틀재 부재(21)에 걸치게 하여 '井'자 형상으로 조립한다. 이 때 한쪽의 제2 틀재 부재(22)의 양단부 하면의 오목부(22a)를 2개의 제1 틀재 부재(21)의 한쪽의 단부 상면의 오목부(21a)에 결합시키고, 다른쪽의 제2 틀재 부재(22)의 양단부 하면의 오목부(22a)를 2개의 제1 틀재 부재(21)의 다른쪽의 단부 상면의 오목부(21a)에 결합시킨다. 이것에 의해 2개의 제2 틀재 부재(22)와 2개의 제1 틀재 부재(21)를 '井'자 형상으로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다. 이 작업을 반복하여 제1 틀재 부재(21) 및 제2 틀재 부재(22)를 각각 4단으로 적층하고 서로 연결한다. 이 때 쌓아올려진 제1 틀재 부재(21)의 사이에 틈이 발생하지 않고, 또한 쌓아올려진 제2 틀재 부재(22)의 사이에 틈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2개의 틀 상단 부재(15)를 2개의 제2 틀재 부재(22)에 걸치게 하여 '井'자 형상으로 조립한다. 이 때 한쪽의 틀 상단 부재(15)의 양단부 하면의 오목부(15a)를 2개의 제2 틀재 부재(22)의 한쪽의 단부 상면의 오목부(22a)에 결합시키고, 다른쪽의 틀 상단 부재(15)의 양단부 하면의 오목부(15a)를 2개의 제2 틀재 부재(22)의 다른쪽의 단부 상면의 오목부(22a)에 결합시킨다. 이것에 의해 2개의 틀 상단 부재(15)와 2개의 제2 틀재 부재(22)를 '井'자 형상으로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는 것과 함께, 2개의 제2 틀재 부재(22)와 2개의 틀 상단 부재(15)의 상면이 동일 수평면에 위치하므로, 콘크리트제 틀(12)의 외형을 보기 좋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콘크리트제 틀(12)을 볼트를 이용하지 않고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으므로(도 3), 콘크리트제 틀(12)의 조립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콘크리트제 틀(12)의 내부의 지면에 하부 보호판(16)을 깔고, 콘크리트제 틀(12)의 내측면을 따라서 측부 보호판(17)을 설치한다. 이 때 콘크리트제 틀(12)과 측부 보호판(17)과의 사이에 모래를 충전한다. 이것은, 콘크리트제 틀(12)과 측부 보호판(17)과의 사이에 가능한 한 틈이 발생하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그 다음에 빗물 저장부(11)용의 차수 시트(11a)를, 그 중앙부가 하부 보호판(16)의 상면 및 측부 보호판(17)의 내면을 덮고, 또한 그 외주부가 콘크리트제 틀(12)의 외주면을 덮도록 펼친 후에, 이 차수 시트(11a) 상에서 측부 보호판(17)을 따라서 복수의 저장재(11b)를 설치하여 각기둥체(11d)를 형성하고, 이 각기둥체(11d)에 의해 둘러싸인 내부에 폐파이프(11c)를 일정한 방향으로 배열하여 충전한다. 그리고 상기 차수 시트(11a)의 외주부를 저장재(11b) 및 폐파이프(11c)의 상면에 올려놓아 겹치게 하는 것에 의해, 저장재(11b) 및 폐파이프(11c)를 차수 시트(11a)에 의해 감싼다. 이와 같이 하여 빗물 저장부(11)가 콘크리트제 틀(12) 내에 설치된다. 빗물 저장부(11)의 합성 고무계나 강성 수지계 등의 염가의 차수 시트(11a)가 견고한 콘크리트제 틀(12)에 수용되므로, 차수 시트(11a)가 손상되는 일 없이, 빗물 저장부(11)에 빗물을 확실히 저장할 수 있고, 빗물 저장 장치(10)의 제조 단가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빗물 저장부(11) 내에서, 고가의 저장재(11b)의 사용량을 줄이고, 염가의 폐파이프(11c)의 사용량을 늘리므로, 빗물 저장 장치(10)의 제조 단가를 더욱 저감할 수 있다.
다음에 유입관(19), 급수관(23) 및 오버플로우관(26)을 빗물 저장부(11)에 설치한다. 이 때, 이러한 관을 삽입하는 구멍을 콘크리트제 틀(12)나 측부 보호판(17)에 미리 형성해 두면, 시공 현장에서의 배관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노출되는 빗물 저장부(11)의 상면을 흙(18)으로 덮고, 이 흙(18)에 식물을 심는다. 이것에 의해 빗물 저장 장치(10)의 상면을 녹화 할 수 있으므로, 지구 환경의 개선에 공헌할 수 있다. 또한, 하부 보호판(16) 및 측부 보호판(17)에 의해, 빗물 저장부(11)에 작용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고, 빗물 저장부(11)로부터 콘크리트제 틀(12)에 작용하는 압력을 완화할 수 있다. 또한, 하부 보호판(16), 측부 보호판(17) 및 흙(18)에 의해, 한랭기에 있어서의 빗물 저장부(11) 내의 빗물의 동결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조된 빗물 저장 장치(10)의 동작을 설명한다. 비가 내려서 가옥이나 빌딩 등의 건물의 지붕이나 옥상에 낙하한 빗물은 통 및 유입관(19)을 통하여 빗물 저장부(11)에 저장된다. 이 때 빗물 저장부(11)의 차수 시트(11a)가 저장부(11) 내의 빗물의 수압에 의해 팽창되려고 하지만, 콘크리트제 틀(12)이 차수 시트(11a)의 팽창을 확실히 막을 수 있다. 한편, 빗물 저장부(11)에 저장된 빗물을 정원의 식목 등의 살포에 이용하는 경우에는, 급수관(23)의 수도꼭지(24)에 호스(도시하지 않음)를 접속하고, 수도꼭지(24)의 핸들을 조작하여 급수관(23)을 연다. 이것에 의해 빗물 저장부(11) 내의 빗물 중에서 급수관(23)보다 위쪽에 위치하는 빗물이 가지는 위치에너지에 기인하는 급수 압력에 의해, 빗물 저장부(11) 내의 빗물을 급수관(23)으로부터 호스를 통하여 식목에 살포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2의 실시 형태>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제2의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도 5 내지 도 7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4와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품을 나타낸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빗물 저장 장치(50)는 하부가 지중에 매설되며 상부가 지상에 돌출하도록 설치된 하측 저장부(51)와, 하측 저장부(51)보다 작게 형성되며 하측 저장부(51)의 상면에 설치된 상측 저장부(52)를 구비한다. 하측 저장부(51) 및 상측 저장부(52)는 가옥이나 빌딩 등의 건물의 지붕 또는 옥상에 낙하한 빗물을 내부에 저장 가능하게 구성된다. 하측 저장부(51)는, 제1의 실시 형태의 빗물 저장부와 동일하게, 차수 시트(51a) 내에 복수의 저장재(51b) 및 복수의 폐재(51c)를 충전하는 것으로써 형성된다. 상측 저장부(52)도, 제1의 실시 형태의 빗물 저장부와 동일하게, 차수 시트(52a) 내에 복수의 저장재(52b) 및 복수의 폐파이프(52c)를 충전하는 것으로써 형성된다. 또한, 하측 저장부(51)와 상측 저장부(52)의 용적비는 7:3 내지 10:2 의 범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적비를 7:3 내지 10:2의 범위로 한정하는 것은, 7:3 (7/3 = 약 2.3) 미만에서는 노출되는 상측 저장부(52) 및 하측 저장부(51)의 상면에 흙을 덮을 때에, 흙(18)이 미끄러지기 쉬워져서 식물을 심기 위한 터를 형성하기 어려워지고, 10:2 (10/2 = 5)를 넘으면 하측 저장부(51) 내의 빗물을 빈번하게 상측 저장부(52)에 끌어올리지 않으면 안되고, 또한 상측 저장부(52)가 너무 작아져서 전체의 저수량이 감소해 버리기 때문이다.
상기 하측 저장부(51)의 전체 및 상측 저장부(52)의 하부는, 제1의 실시 형태의 콘크리트제 틀과 동일하게 조립된 콘크리트제 틀(12)에 수용된다. 이 콘크리트제 틀(12)은 하부가 지중에 매설되며 상부가 지상에 돌출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하측 저장부(51)의 하면에는 완충 기능 및 단열 기능을 가지는 하부 보호판(16)이 설치되고, 콘크리트제 틀(12)과 하측 저장부(51)와의 사이에는 완충 기능 및 단열 기능을 가지는 측부 보호판(17)이 설치된다. 또한, 노출되는 상측 저장부(52) 및 하측 저장부(51)의 상면은 흙(18)으로 덮이고, 이 흙(18)에는 잔디 등의 식물(도시하지 않음)이 심겨진다.
가옥이나 빌딩 등의 건물의 지붕 또는 옥상에 낙하한 빗물은 통(도시하지 않음) 등에 모아지고, 이 빗물은 유입관(19)을 통하여 상측 저장부(52)의 상부에 유도된다. 즉, 유입관(19)의 기단은 통에 접속되고, 유입관(19)의 선단은 상측 저장부(52)의 상면으로부터 상측 저장부(52) 내에 삽입된다. 또한, 하측 저장부(51)과 상측 저장부(52)와는 연통관(53)에 의해 연통 접속되고, 연통관(53)의 도중에는 전동 펌프(54)가 설치된다. 일단이 전동 펌프(54)의 흡입구에 접속된 연통관(53)의 타단은, 하측 저장부(51)의 상면에서 하측 저장부(51)에 삽입되고, 일단이 전동 펌프(54)의 토출구에 접속된 연통관(53)의 타단은, 상측 저장부(52)의 상면에서 상측 저장부(52)에 삽입된다. 또한, 하측 저장부(51)에 삽입된 연통관(53)은 하측 저장부(51)의 저면 근방까지 연장되어 설치된다. 또한, 전동 펌프(54)는 콘크리트제 틀(12) 상면에 설치되고, 하측 저장부(51) 내의 빗물을 상측 저장부(52)에 끌어올리도록 구성된다.
상측 저장부(52)의 하부에는 급수관(23)의 기단이 접속되고, 이 급수관(23)의 선단에는 수도꼭지(24)가 설치된다. 즉, 급수관(23)의 기단은 상측 저장부(52)의 각 측면의 하부에 접속되고, 급수관(23)의 선단은 흙(18), 측부 보호판(17) 및 콘크리트제 틀(12)을 관통하여 틀(12)의 외측에 돌출하며, 이 돌출단에 수도꼭지(24)가 설치된다. 급수관(23)은 이 실시 형태에서는 4개 설치된다(도 7). 또한, 오버플로우관(66)은 상측 저장부(52)에서 넘치는 빗물을 하측 저장부(51)로 유도하는 제1 오버플로우관(66a)과, 하측 저장부(51)에서 넘치는 빗물을 배출하는 제2 오버플로우관(66b)을 가진다. 제1 오버플로우관(66a)의 기단은 상측 저장부(52)의 상부에 접속되고, 제1 오버플로우관(66a)의 선단은 하측 저장부(51)의 상부에 접속된다. 제2 오버플로우관(66b)의 기단은 하측 저장부(51)의 상부에 접속되고, 제2 오버플로우관(66b)의 선단은 측부 보호판(17) 및 콘크리트제 틀(12)을 관통한 후에 아래쪽으로 꺽여서 아래를 향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하측 저장부(51)의 상부에는 수도물 공급관(56)이 접속된다. 즉, 수도물 공급관(56)의 기단은 수도관(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고, 수도물 공급관(56)의 선단은 콘크리트제 틀(12) 및 측부 보호판(17)을 관통하여 하측 저장부(51)의 상면에서 하측 저장부(51) 내에 삽입된다. 이 수도물 공급관(56)의 도중에는 이 수도물 공급관(56)을 개폐하는 전자(電磁) 밸브(57)(개폐 밸브)가 설치된다. 또한, 유입관(19), 연통관(53), 급수관(23), 오버플로우관(66)(제1 및 제2 오버플로우관(66a, 66b)) 및 수도물 공급관(56)의 하측 저장부(51)나 상측 저장부(52)로의 삽입부는 밀봉 부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밀봉되어 수밀성이 보장된다. 또한, 유입관(19), 연통관(53), 급수관(23), 오버플로우관(66)(제1 및 제2 오버플로우관(66a, 66b)) 및 수도물 공급관(56)은, 하측 저장부(51)의 저장재(51b)의 내부 또는 상측 저장부(52)의 저장재(52b)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이것은 각 배관의 시공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도 5에 있어서, 연통관(53)을 하측 저장부(51)의 폐파이프(51c) 안에 삽입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연통관(53)은 하측 저장부(51)의 저장재(51b) 내에 삽입된다.
한편, 하측 저장부(51)에는 이 하측 저장부(51) 내에 저장된 빗물의 수위를 검출하는 하부 수위 센서(61)가 설치되고, 상측 저장부(52)에는 이 상측 저장부(52) 내에 저장된 빗물의 수위를 검출하는 상부 수위 센서(62)가 설치된다. 하부 수위 센서(61) 및 상부 수위 센서(62)의 각 검출의 출력은 콘트롤러(63)의 제어 입력에 접속되고, 콘트롤러(63)의 제어 출력은 구동 회로(도시하지 않음)를 통하여 전동 펌프(54) 및 전자 밸브(57)에 접속된다. 상부 수위 센서(62)는 상측 저장부(52) 내의 빗물의 수위가 40 내지 60%의 범위내의 소정치에 이르렀을 때에 온(on)되고, 수위가 87 내지 93%의 범위내의 소정치에 이르렀을 때에 오프(off)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하부 수위 센서(61)는 하측 저장부(51) 내의 빗물의 수위가 10 내지 20%의 범위내의 소정치에 이르렀을 때에 온(on)되고, 수위가 30 내지 60%의 범위내의 소정치에 이르렀을 때에 오프(off)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빗물 저장 장치(50)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지면(27)을 소정의 깊이의 직육면체 형상으로 굴착하고, 이 굴착부의 저면을 자갈이나 모래로 다져서 단단하게 한 후, 콘크리트제 틀재(13)를 '井'자 형상의 복수단으로 적층하고 서로 연결하여, 직사각형의 통 형상의 콘크리트제 틀(12)을 굴착부 내에서 조립한다. 이 상태로 콘크리트제 틀(12)의 내부의 굴착부 저면에 하부 보호판(16)을 깔고, 콘크리트제 틀(12)의 내측면을 따라서 측부 보호판(17)을 설치할 수 있다. 이 때 제1의 실시 형태와 동일하게, 콘크리트제 틀(12)과 측부 보호판(17)과의 사이에 모래를 충전한다. 그 다음에 하측 저장부(51)용의 차수 시트(51a)를, 그 중앙부가 하부 보호판(16)의 상면 및 측부 보호판(17)의 내면을 덮고, 또한 그 외주부가 콘크리트제 틀(12)의 외주면을 덮도록 펼친 후에, 이 차수 시트(51a) 상에 측부 보호판(17)을 따라서 복수의 저장재(51b)를 설치하여 각기둥체(51d)를 형성하고, 이 각기둥체(51d)에 의해 둘러싸인 내부에 폐파이프(51c)를 일정한 방향으로 배열하여 충전한다. 그리고 상기 차수 시트(51a)의 외주부를 저장재(51b) 및 폐파이프(51c)의 상면에 올려놓아 겹치게 하는 것에 의해, 저장재(51b) 및 폐파이프(51c)를 차수 시트(51a)에 의해 감싼다. 이와 같이 하여 하측 저장부(51)가 콘크리트제 틀(12) 내에 설치된다.
다음에 상측 저장부(52)용의 차수 시트(52a)를, 그 중앙부가 하측 저장부(51)의 상면 및 측부 보호판(17)의 상부 내면을 덮고, 또한 그 외주부가 콘크리트제 틀(12)의 외주면을 덮도록 펼친 후에, 이 차수 시트(52a) 상에 하측 저장부(51)보다 더 작아지도록 복수의 저장재(52b)를 설치하여 각기둥체(52d)를 형성하고, 이 각기둥체(52d)에 의해 둘러싸인 내부에 폐파이프(52c)를 일정한 방향으로 배열하여 충전한다. 그리고 상기 차수 시트(52a)의 외주부를 저장재(52b) 및 폐파이프(52c)의 상면에 올려놓아 겹치게 하는 것에 의해, 저장재(52b) 및 폐파이프(52c)를 차수 시트(52a)에 의해 감싼다. 이와 같이 하여 상측 저장부(52)가 하측 저장부(51)의 상면에 설치된다. 또한, 하측 저장부(51)의 합성 고무계나 강성 수지계 등의 염가의 차수 시트(51a)의 전체와, 상측 저장부(52)의 합성 고무계나 강성 수지계 등의 염가의 차수 시트(52a)의 하부가 견고한 콘크리트제 틀(12)에 수용되므로, 차수 시트(51a, 52a)가 손상되는 일 없이, 하측 저장부(51) 및 상측 저장부(52)에 빗물을 확실히 저장할 수 있는 것과 함께, 빗물 저장 장치(50)의 제조 단가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하측 저장부(51) 내에 있어서, 고가의 저장재(51b)의 사용량을 줄이고, 염가의 폐파이프(51c)의 사용량을 늘림과 함께, 상측 저장부(52) 내에 있어서, 고가의 저장재(52b)의 사용량을 줄이고, 염가의 폐파이프(52c)의 사용량을 늘리므로, 빗물 저장 장치(50)의 제조 단가를 더욱 저감할 수 있다.
다음에 전동 펌프(54)를 콘크리트제 틀(12)의 상면에 설치하는 것과 함께, 유입관(19), 연통관(53), 급수관(23), 오버플로우관(66)(제1 및 제2 오버플로우관(66a, 66b)), 수도물 공급관(56)을 하측 저장부(51)이나 상측 저장부(52)에 설치한다. 이 때 이러한 관을 삽입하는 구멍을 콘크리트제 틀(12)나 측부 보호판(17)에 미리 형성해 두면, 시공 현장에서의 배관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노출되는 상측 저장부(52) 및 하측 저장부(51)의 상면을 흙(18)으로 덮고, 이 흙(18)에 식물을 심는다. 이것에 의해 빗물 저장 장치(50)의 상면을 녹화 할 수 있으므로, 지구 환경의 개선에 공헌할 수 있다. 또한, 노출되는 하측 저장부(51)의 상면 및 노출되는 상측 저장부(52)의 상면을 덮은 흙(18)은, 상측 저장부(52) 내의 수압에 의한 상측 저장부(52)의 차수 시트(52a)의 팽창을 막는 기능을 가진다. 또한, 상기 흙(18)은 하측 저장부(51)나 상측 저장부(52)의 차수 시트(51a, 52a)를 보호하는 기능도 가진다. 또한, 하부 보호판(16) 및 측부 보호판(17)에 의해, 하측 저장부(51)에 작용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것과 함께, 하측 저장부(51)로부터 콘크리트제 틀(12)에 작용하는 압력을 완화할 수 있다. 또한, 하부 보호판(16), 측부 보호판(17) 및 흙(18)에 의해, 한랭기에 있어서의 하측 저장부(51) 및 상측 저장부(52) 내의 빗물의 동결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조된 빗물 저장 장치(50)의 동작을 설명한다. 비가 내려서 가옥이나 빌딩 등의 건물의 지붕이나 옥상에 낙하한 빗물은 통 및 유입관(19)을 통하여 상측 저장부(52)에 저장되고, 상측 저장부(52)에서 넘치는 빗물은 제1 오버플로우관(66a)을 통하여 하측 저장부(51)에 저장된다. 이 때 하측 저장부(51)의 차수 시트(51a)가 이 저장부(51) 내의 빗물의 수압에 의해 팽창되려고 하지만, 콘크리트제 틀(12)이 이 차수 시트(51a)의 팽창을 확실히 막을 수 있다. 한편, 상측 저장부(52)에 저장된 빗물을 정원의 식목 등에의 살포에 이용하는 경우에는, 급수관(23)의 수도꼭지(24)에 호스(도시하지 않음)를 접속하고, 수도꼭지(24)의 핸들을 조작하여 급수관(23)을 연다. 상측 저장부(52) 내의 빗물이 서서히 줄어들어 상측 저장부(52) 내의 빗물의 수위가 예를 들면 80%까지 저하하면, 상부 수위 센서(62)가 온(on)하므로, 콘트롤러(63)는 상부 수위 센서(62)의 검출의 출력에 기초하여 전동 펌프(54)를 온(on)한다. 이것에 의해 하측 저장부(51) 내의 빗물이 전동 펌프(54)에 의해 상측 저장부(52)에 끌어올려진다. 그리고 상측 저장부(52) 내의 빗물의 수위가 예를 들면 90%까지 상승하면, 상부 수위 센서(62)가 오프(off)하므로, 콘트롤러(63)는 상부 수위 센서(62)의 검출의 출력에 기초하여 전동 펌프(54)를 오프(off)한다. 이것에 의해 하측 저장부(51)에서 상측 저장부(52)로의 빗물의 끌어올림이 정지한다. 이와 같이 상측 저장부(52)에는 항상 소정량 이상의 빗물이 저장되고 있으므로, 높은 수위가 유지된다. 이 결과, 하측 저장부(51) 내의 빗물의 수위가 저하해도, 상측 저장부(52) 내의 빗물이 가지는 위치에너지에 기인하는 급수 압력에 의해, 상측 저장부(52) 내의 빗물을 급수관(23)으로부터 호스를 통하여 식목에 살포할 수 있다.
한편, 갈수기에 하측 저장부(51) 내의 빗물의 수위가 예를 들면 20%까지 저하한 것을 하부 수위 센서(61)가 검출하면, 이 하부 수위 센서(61)의 검출의 출력에 기초하여 콘트롤러(63)가 전자 밸브(57)를 온(on)하여 수도물 공급관(56)을 연다. 이것에 의해 수도물이 수도물 공급관(56)을 통하여 하측 저장부(51)에 공급된다. 그리고 하측 저장부(51) 내의 수도물의 수위가 예를 들면 50%까지 상승하면, 하부 수위 센서(61)가 오프(off)하므로, 콘트롤러(63)는 하부 수위 센서(61)의 검출의 출력에 기초하여 전자 밸브(57)를 오프(off)한다. 이것에 의해 하측 저장부(51)에의 수도물의 공급이 정지한다. 이와 같이 하측 저장부(51)에는 항상 필요 최소한의 물(빗물 또는 수도물의 어느 한쪽 또는 쌍방)이 저장되므로, 하측 저장부(51)에서 상측 저장부(52)로 언제라도 물을 끌어올릴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의 실시 형태에서는, 콘크리트제 틀재의 오목부끼리를 결합하는 것에 의해, 볼트를 이용하지 않고 콘크리트제 틀재를 조립했지만, 콘크리트제 틀의 오목부끼리를 결합하여 콘크리트제 틀을 조립한 후에, 쌓아올려진 각 틀재에 볼트를 관통하여 너트를 나사 결합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콘크리트제 틀을 더욱 견고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의 실시 형태에서는, 흙에 식물을 심었지만, 흙의 위쪽에 태양광 발전용의 패널을 설치해도 좋다. 이 경우, 콘크리트제 틀에 앵글재 등을 걸치게 하여 지지 프레임을 형성하고, 이 지지 프레임에 태양광 발전용의 패널을 소정의 각도로 설치한다. 이것에 의해, 태양광 발전용의 패널로 발생한 전력으로 전동 펌프를 구동하고, 이 펌프에 의해 하측 저장부 내의 빗물을 상측 저장부에 끌어올릴 수 있다. 이 결과, 상기 전동 펌프의 전력을 다른 장소로부터 공급할 필요가 없고, 자가 발전으로 조달할 수 있다.
또한, 제2의 실시 형태에서는, 저장재 및 폐파이프를 차수 시트로 감싸서 빗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상측 저장부를 형성했지만, 상측 저장부는 스텐레스 강철 또는 플라스틱 등에 의해 형성된 저장 수조라도 좋다. 이 경우, 노출되는 하측 저장부의 상면 및 노출되는 상측 저장부의 상면을 흙으로 덮었을 때에, 하측 저장부의 상면 및 상측 저장부의 측면을 덮는 흙의 양을 줄여서, 이 흙이 상측 저장부 내의 수압에 의한 상측 저장부의 팽창을 막는 힘이 충분하지 않아도, 강성을 가지는 스텐레스 강철 제품 또는 플라스틱제의 저장 수조로부터 이루어지는 상측 저장부가, 상측 저장부 내의 수압에 의한 상측 저장부의 팽창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제2의 실시 형태에서는, 하측 저장부 내의 빗물을 상측 저장부에 끌어올리는 펌프로서 전동 펌프를 이용했지만, 수동 펌프를 이용해도 좋다. 이 경우, 상측 저장 수조의 빗물이 없어져서 빗물이 수도꼭지로부터 나오지 않게 되었을 때에, 수동 펌프를 이용하여 하측 저장 수조 내의 빗물을 상측 저장 수조에 끌어올리는 것으로, 상측 저장부 내의 빗물이 가지는 위치에너지에 기인하는 급수 압력에 의해, 상측 저장부 내의 빗물을 수도꼭지로부터 공급처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제2의 실시 형태에서는, 하측 저장 수조의 상면에 직접 상측 저장 수조를 올려 놓았지만, 즉 하측 저장 수조의 차수 시트의 상면에 상측 저장 수조의 차수 시트의 하면을 접촉시켰지만, 하측 저장 수조의 차수 시트의 상면과 상측 저장 수조의 차수 시트의 하면과의 사이에, 발포 스티렌 수지나 발포 염화 비닐 등에 의해 형성되며 완충 기능 및 단열 기능을 가지는 중간 보호판을 개재해도 좋다. 이 중간 보호판의 존재에 의해, 하측 저장부에 작용하는 충격을 완충할 수 있고, 또한 하측 저장 수조의 단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상측 저장부의 하중을 하측 저장부에 거의 균등하게 작용시킬 수 있다.
10, 50: 빗물 저장 장치
11: 빗물 저장부
11a, 51a, 52a: 차수 시트
11b, 51b, 52b: 저장재
11c, 51c, 52c: 폐파이프(폐재)
12: 콘크리트제 틀
13: 콘크리트제 틀재
14: 틀 하단 부재
14a, 15a, 21a, 22a: 오목부
15: 틀 상단 부재
16: 하부 보호판
17: 측부 보호판
18: 흙
19: 유입관
21: 제1 틀재 부재
22: 제2 틀재 부재
23: 급수관
26, 66: 오버플로우관
51: 하측 저장부
52: 상측 저장부
53: 연통관
54: 전동 펌프(펌프)
56: 수도물 공급관
66a: 제1 오버플로우관
66b: 제2 오버플로우관

Claims (7)

  1. 지상에 설치되거나 혹은 하부가 지중(地中)에 매설되며 상부가 지상에 돌출하도록 설치되고, 저장재(11b)를 차수 시트(11a)로 감싸서 빗물을 저장 가능하도록 형성된 빗물 저장부(11)와,
    상기 빗물 저장부(11)를 수용하며, 콘크리트제 틀재(13)를 '井'자 형상의 복수단으로 적층하고 서로 연결하여 형성된 콘크리트제 틀(12)과,
    모인 빗물을 상기 빗물 저장부(11)로 유도하는 유입관(19)과,
    상기 빗물의 이용처(利用先)에 급수하기 위하여 상기 빗물 저장부(11)에 접속된 급수관(23)과,
    상기 빗물 저장부(11)에서 넘치는 빗물을 배출하기 위하여 상기 빗물 저장부(11)의 상부에 접속된 오버플로우관(26)을 포함하는 콘크리트제 틀을 이용한 빗물 저장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콘크리트제 틀재(13)는 양단부의 상면 및 하면에 오목부(21a, 22a)가 각각 형성된 틀재 부재(21,22)를 가지고, 직교하는 틀재 부재(21,22)의 오목부(21a, 22a)가 각각 결합하는 것에 의해, 상기 직교하는 틀재 부재(21,22)가 서로 연결되는 콘크리트제 틀을 이용한 빗물 저장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콘크리트제 틀재(13)는, 높이가 틀재 부재(21,22) 높이의 1/2로 형성되며 양단부의 상면에 오목부(14a)가 각각 형성된 틀 하단 부재(14)와, 높이가 틀재 부재(21,22) 높이의 1/2로 형성되며 양단부의 하면에 오목부(15a)가 각각 형성된 틀 상단 부재(15)를 더 포함하는 콘크리트제 틀을 이용한 빗물 저장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지상에 설치되거나 혹은 하부가 지중에 매설되며 상부가 지상에 돌출하도록 설치되고, 저장재(11b)를 차수 시트(11a)로 감싸서 빗물을 저장 가능하도록 형성된 하측 저장부(51)와, 상기 하측 저장부(51)보다 작게 형성되며 상기 하측 저장부(51)의 상면에 설치되어 빗물을 저장할 수 있는 상측 저장부(52)를 구비하고,
    상기 하측 저장부(51)와 상기 상측 저장부(52)가 연통관(53)에 의해 연통 접속되고,
    상기 하측 저장부(51)에 저장된 빗물을 상기 상측 저장부(52)에 끌어올리는 펌프(54)가 상기 연통관(53)의 도중(途中)에 설치되고,
    유입관(19)이 상기 상측 저장부(52)에 연통 접속되고,
    급수관(23)이 상기 상측 저장부(52)에 연통 접속되고,
    오버플로우관(66)이, 상기 상측 저장부(52)에서 넘치는 빗물을 상기 하측 저장부(51)로 유도하는 제1 오버플로우관(66a)과, 상기 하측 저장부(51)에서 넘치는 빗물을 배출하는 제2 오버플로우관(66b)을 구비하는 콘크리트제 틀을 이용한 빗물 저장 장치.
  5.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노출되는 빗물 저장부(11)의 상면 혹은 노출되는 상측 저장부(52) 및 하측 저장부(51)의 상면을 흙(18)으로 덮는 것에 의해, 상기 상측 저장부(52)를 형성하는 차수 시트(52a)가 수압에 의해 팽창하는 것을 막음과 함께, 상기 흙(18)에 식물을 심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콘크리트제 틀을 이용한 빗물 저장 장치.
  6.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빗물 저장부(11) 또는 하측 저장부(51)의 하면에 완충 기능 및 단열 기능을 가지는 하부 보호판(16)이 설치되고, 콘크리트제 틀(12)과 상기 빗물 저장부(11) 또는 상기 하측 저장부(51)와의 사이에 완충 기능 및 단열 기능을 가지는 측부 보호판(17)이 설치되는 콘크리트제 틀을 이용한 빗물 저장 장치.
  7.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빗물 저장부(11) 내 혹은 하측 저장부(51) 및 상측 저장부(52) 내 중에 외주부(外周部)에 저장재(11b, 51b, 52b)가 충전되고, 이 저장재(11b, 51b, 52b)에 의해 둘러싸인 내부에 폐재(廢材)(11c, 51c, 52c)가 충전되는 콘크리트제 틀을 이용한 빗물 저장 장치.
KR1020100052650A 2009-06-22 2010-06-04 콘크리트제 틀을 이용한 빗물 저장 장치 KR1011478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147354 2009-06-22
JP2009147354A JP2011001790A (ja) 2009-06-22 2009-06-22 コンクリート製枠体を用いた雨水貯留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7358A KR20100137358A (ko) 2010-12-30
KR101147801B1 true KR101147801B1 (ko) 2012-05-18

Family

ID=42590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2650A KR101147801B1 (ko) 2009-06-22 2010-06-04 콘크리트제 틀을 이용한 빗물 저장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11001790A (ko)
KR (1) KR101147801B1 (ko)
CN (1) CN201538986U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47813A (ja) 2001-11-16 2003-05-21 Sekisui Chem Co Ltd 雨水等を貯留及び/又は浸透する施設に使用する充填部材
JP2007051536A (ja) 2005-07-20 2007-03-01 Furukawa Electric Co Ltd:The 雨水等の貯留施設
JP2007239417A (ja) 2006-03-13 2007-09-20 Sekisui Chem Co Ltd 雨水貯留浸透施設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47813A (ja) 2001-11-16 2003-05-21 Sekisui Chem Co Ltd 雨水等を貯留及び/又は浸透する施設に使用する充填部材
JP2007051536A (ja) 2005-07-20 2007-03-01 Furukawa Electric Co Ltd:The 雨水等の貯留施設
JP2007239417A (ja) 2006-03-13 2007-09-20 Sekisui Chem Co Ltd 雨水貯留浸透施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1538986U (zh) 2010-08-04
JP2011001790A (ja) 2011-01-06
KR20100137358A (ko) 2010-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8328B1 (ko) 지하 저수조
US9522784B2 (en) Underground water-storage vault and method for installing same
JP4316601B2 (ja) 雨水の貯水施設
KR101147801B1 (ko) 콘크리트제 틀을 이용한 빗물 저장 장치
CN102677706B (zh) 地下室防水防潮系统及其施工方法
JP3796379B2 (ja) 地下貯水槽及びその形成方法
KR20110033529A (ko) 빗물의 저수설비장치
JP4472501B2 (ja) 雨水等貯留用ユニットと該雨水等貯留用ユニットを用いた緑化設備並びに地下貯水設備
CN202706063U (zh) 地下室防水防潮系统
KR101800545B1 (ko) 빗물 저수조
JP5234748B2 (ja) 配管ユニッ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地下灌漑用枡システム
KR101199294B1 (ko) 파이프 형상의 저장조를 이용하는 빗물 저장 장치
USRE49933E1 (en) Above ground water tank fill/drain system
KR100582747B1 (ko) 파형강판 저류장치 및 파형강판 저류시설
KR20170128144A (ko) 지하 저수조에 있어서의 저수 구조 및 저수 공법
KR200384179Y1 (ko) 지열을 이용한 수도계량기용 보호통
KR20130075107A (ko) 제수밸브용 보호통
KR101721600B1 (ko) Pc부재 조립식 강화 저류조
CN208982111U (zh) 一种矿井防汛自动升降挡水板
AU2008202086B2 (en) Resources conservation system
KR20170128145A (ko) 지하 저수조에 있어서의 분사 부착 차수 공법
CN209758086U (zh) 一种地下油罐保护层
KR20240000349U (ko) 옥외 수도관 동파 방지 밸브
CN204081023U (zh) 一种地下式青贮饲料窖的排水系统
AU2005257124A1 (en) Underground water storage tan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