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7559B1 - 압축기용 사판 - Google Patents

압축기용 사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7559B1
KR101147559B1 KR1020040085082A KR20040085082A KR101147559B1 KR 101147559 B1 KR101147559 B1 KR 101147559B1 KR 1020040085082 A KR1020040085082 A KR 1020040085082A KR 20040085082 A KR20040085082 A KR 20040085082A KR 101147559 B1 KR101147559 B1 KR 1011475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ash plate
compressor
coating layer
coating
driv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5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5983A (ko
Inventor
지용준
Original Assignee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850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7559B1/ko
Publication of KR20060035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59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75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75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036Component parts, details, e.g. sealings, lubrication
    • F04B27/1054Actuating 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29/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ydrolysed 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29/1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keto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0873Component parts, e.g. sealings; Manufacturing or assembly thereof
    • F04B27/0895Component parts, e.g. sealings; Manufacturing or assembly thereof driv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0Kind or type
    • F05B2210/14Refrigerants with particular properties, e.g. HFC-134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30/00Manufacture
    • F05B2230/90Coating; Surface trea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80/00Materials; Properties thereof
    • F05B2280/60Properties or characteristics given to material by treatment or manufacturing
    • F05B2280/6011Coating

Abstract

본 발명은 압축기용 사판에 관한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판의 표면에 두 종류 이상의 특성이 다른 재질로 단일 두께의 코팅층을 형성함으로서 더욱 다양한 조건하에서도 사판의 윤활성과 내구성 등을 향상하고 유지할 수 있는 압축기용 사판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하우징(10)(10a)의 내부에서 구동축(30)과 함께 회전하도록 설치되고 실린더블록(20)(20a)의 보어(21)에 구비된 다수의 피스톤(50)을 왕복운동시키는 사판(1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사판(100)의 표면(101)에 서로 다른 재질(110a)(110b)로 분할된 단일 두께의 코팅층(11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압축기, 사판, 코팅, 피크, 고체윤활제

Description

압축기용 사판{Swash plate for compressor}
도 1 은 종래의 압축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2 내지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용 사판에 코팅층이 다양한 방법으로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압축기 10: 전방하우징
10a: 후방하우징 11: 흡입실
12: 토출실 20: 전방실린더블록
20a: 후방실린더블록 21: 보어
22: 흡입통로 23: 연결통로
24: 사판실 25: 지지공
26: 베어링 30: 구동축
40,100: 사판 45: 슈
50: 피스톤 60: 밸브플레이트
61: 흡입밸브 62: 토출밸브
70: 머플러 71: 냉매흡입구
72: 냉매토출구
101: 표면 110: 코팅층
본 발명은 압축기용 사판에 관한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판의 표면에 두 종류 이상의 특성이 다른 재질로 단일 두께의 코팅층을 형성함으로서 더욱 다양한 조건하에서도 사판의 윤활성과 내구성 등을 향상하고 유지할 수 있는 압축기용 사판에 관한 것이다.고
일반적으로 자동차 공조장치의 압축기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사판식 압축기는 엔진의 동력을 전자클러치의 단속작용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전달받은 구동축이 회전하고, 이때 구동축에 경사지게 설치된 디스크 형상의 사판이 회전하게 되며, 이 사판의 회전에 의하여 사판의 둘레를 따라 슈를 개재하여 설치된 다수의 피스톤들이 실린더블록에 형성된 다수의 보어 내부에서 직선 왕복운동함으로써, 증발기로부터 냉매를 흡입/압축하여 응축기쪽으로 토출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사판식 압축기를 도 1 을 참조하여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판식 압축기(1)는 전방 실린더블록(20)이 내장된 전방 하우징(10)과, 상기 전방 하우징(10)과 결합되며 후방 실린더블록(20a)이 내장된 후방 하우징(10a)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전,후방 실린더블록(20)(20a)은 내부에 다수의 보어(21)가 구비되고, 상기 전,후방 실린더블록(20)(20a)의 서로 대응하는 보어(21)에는 피스톤 (50)들이 직선 왕복운동하도록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피스톤(50)들은 구동축(30)에 경사지게 결합된 사판(40)의 외주에 슈(45)를 개재하여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축(30)과 함께 회전하는 사판(40)에 연동하여 상기 피스톤(50)들은 전,후방 실린더블록(20)(20a)의 보어(21) 내부를 왕복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전,후방 하우징(10)(10a)과 전,후방 실린더블록(20)(20a) 사이에는 흡입밸브(61)와 토출밸브(62)를 가진 밸브유니트(60)가 각각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밸브(61) 및 토출밸브(62)와 대응하여 상기 전,후방 하우징(10)(10a)의 내부에는 흡입실(11) 및 토출실(12)이 각각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전,후방 실린더블록(20)(20a) 사이에 구비된 사판실(24)로 공급되는 냉매가 상기 각 흡입실(11)로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전,후방 실린더블록(20)(20a)에는 다수의 흡입통로(22)가 형성되며, 상기 전,후방 하우징(10)(10a)의 토출실(12)은 상기 전,후방 실린더블록(20)(20a)에 형성된 연결통로(23)에 의해 상호 연통된다.
따라서, 상기 피스톤(50)의 왕복운동에 따라 상기 전,후방 실린더블록(20)(20a)의 보어(21)내에서 동시에 냉매의 흡입 및 압축이 수행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전,후방 실린더블록(20)(20a)의 중앙에는 구동축(30)을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공(25)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공(25) 내에는 니들롤러베어링(26)이 개재되어 상기 구동축(30)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한편, 상기 후방 하우징(10a)의 외주면 상부에는 피스톤(50)의 흡입행정시 증발기로부터 이송된 냉매를 압축기(1) 내부로 공급하고, 피스톤(50)의 압축행정시에는 압축기(1) 내부에서 압축된 냉매를 응축기 쪽으로 토출하도록 머플러(70)가 설치된다.
따라서, 증발기로부터 공급되는 냉매는 상기 머플러(70)의 흡입부로 흡입된 후 냉매흡입구(71)를 통해 상기 전,후방 실린더블록(20)(20a) 사이의 사판실(24)로 공급되고, 상기 사판실(24)로 공급된 냉매는 상기 전,후방 실린더블록(20)(20a)에 형성된 흡입통로(22)를 따라 상기 전,후방 하우징(10)(10a)의 흡입실(11)로 유동하게 된다.
이후, 상기 피스톤(50)의 흡입행정시 상기 흡입밸브(61)가 열리게 되는데, 이때 상기 흡입실(11)의 냉매가 상기 보어(21) 내로 흡입된다.
그리고, 피스톤(50)의 압축행정시 상기 보어(21)내로 유입된 냉매가 압축되게 되는데, 이때 상기 토출밸브(62)가 열리면서 냉매가 상기 전,후방 하우징(10)(10a)의 토출실(12)로 유동하게 되고 최종적으로 상기 머플러(70)의 냉매토출구(72)를 통해 머플러(70)의 토출부로 토출된 후 응축기로 유동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전방 실린더블록(20)의 보어(21)내에서 압축된 냉매는 상기 전방 하우징(10)의 토출실(12)로 유동한 후 상기 전,후방 실린더블록(20)(20a)에 형성된 연결통로(23)를 따라 상기 후방 하우징(10a)의 토출실(12)로 유동하여 이곳의 냉매와 함께 상기 냉매토출구(72)를 통해 머플러(70)의 토출부로 토출된다.
이러한, 상기 압축기(1)는 엔진의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구동축(30)이 고속 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와 함께 상기 사판(40)도 고속 회전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상기 사판(40)은 사판(40)의 외주에 결합된 슈(45)와의 마찰에 의해 습동면에서 마모가 발생하여 내구성이 저하됨과 동시에 마찰열 등에 의해 압축기(1)의 전체성능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종래의 압축기(1)는 상기 사판(40) 습동면의 윤활성과 내구성 등을 향상하기 위해 사판(40) 표면에 한 종류의 재질로 코팅층을 형성하였으며, 즉, 사판(40)의 표면에 고체윤활체를 함유한 수지코팅을 한다거나, 또는 피크(PEEK)코팅 등을 한다거나, 또는 주석 도금 등의 도금을 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여기서, 상기 피크 수지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면, 피크 수지는 용해 성형 가능한 결정성 수지로서는 가장 높은 내열성을 가지며, 게다가 내피로성, 내환경성, 난소성(부식성 가스를 내지 않고 연기의 발생도 적다) 등이 뛰어나고, 기계적 성질은 강성과 함께 신장율도 크고, 내충격성이 뛰어나 지극히 강인한 재료로서, 전기?전자분야, 항공우주 분야 등, 엄한 조건하에서 고성능을 요구하는 분야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상기 순수 피크 수지의 융점은 340℃ 내외로써 이들 수지를 분말 상태로 코팅하여 대략 400℃ 정도로 가열하여 분말수지를 녹여서 사판(40)의 표면에 피크수지 코팅층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고체윤활제로는 이황화몰리브덴(MoS2), 그래파이트, 이황화텅스텐(WS2), 질화붕소(BN),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PTFE) 등을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어느 한 종류의 재질로 사판(40)의 표면에 코팅층을 형 성 할 경우, 압축기(1)의 모든 조건을 다 만족하는 코팅품질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즉, 주석 도금의 경우, 오일이 전혀 없는 조건 또는 고속 고하중의 조건에서 좋은 내구성을 발휘하지 못하고,
또한, 고체윤활제를 함유한 열경화성 수지코팅의 경우, 오일이 전혀없는 조건에서는 좋은 윤활성을 나타내나 고속 고하중의 조건에서는 좋은 내구성을 발휘하지 못하며,
피크와 같은 열가소성 수지코팅의 경우, 고속 고하중의 조건에서는 좋은 내구성을 발휘하지만, 오일이 전혀없는 조건에서는 좋은 윤활성을 발휘하지 못하는 문제 등이 있었다.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판의 표면에 두 종류 이상의 특성이 다른 재질로 단일 두께의 코팅층을 형성함으로서 더욱 다양한 조건하에서도 사판의 윤활성과 내구성을 향상하고 유지하여 압축기의 전체성능을 향상한 압축기용 사판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우징의 내부에서 구동축과 함께 회전하도록 설치되고 실린더블록의 보어에 구비된 다수의 피스톤을 왕복운동시키는 사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사판의 표면에 서로 다른 재질로 분할된 단일 두께의 코팅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에 있어서와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고, 그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2 내지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용 사판에 코팅층이 다양한 방법으로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사판식 압축기(1)는 사판(100)을 제외한 모든 구성이 종래의 압축기(1)와 동일하며, 여기서, 도 1 을 참조하여 압축기(1)의 전체구성을 간략히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1)는 크게 전,후방 실린더블록(20)(20a)으로 이루어진 실린더블록(20)(20a)과, 상기 실린더블록(20)(20a)을 내장하며 그 전,후방에 각각 결합되는 전,후방하우징(10)(10a)과, 상기 실린더블록(20)(20a)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구동축(30)과, 상기 구동축(30)과 함께 회전하는 사판(100)과, 상기 실린더블록(20)(20a)의 보어(21)내를 왕복운동하는 다수의 피스톤(50)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압축기(1)는 엔진의 동력을 전자클러치의 단속작용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전달받아 구동된다.
먼저, 상기 실린더블록(20)(20a)은 내부에 동심원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보어(21)가 형성된 전방 실린더블록(20)과 후방 실린더블록(20a)이 상호 마주하도록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전방 실린더블록(20)과 후방 실린더블록(20a) 사이의 내부 공간은 사판실(24)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전,후방 실린더블록(20)(20a)의 중앙에는 상기 구동축(30)을 지지하는 지지공(25)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공(25)내에는 베어링(26)이 설치되어 상기 구동축(30)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한다.
또한, 상기 후방하우징(10a)의 외측면에는 토출냉매의 압력을 강하시켜 소음 저감을 더욱 향상하기 위해 머플러(70)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머플러(70)에는 외부의 냉매를 상기 사판실(24)로 공급하기 위한 냉매흡입구(71) 및 압축기(1) 내부에서 압축된 냉매를 외부로 토출하기 위한 냉매토출구(72)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실린더블록(20)(20a)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전,후방 하우징(10)(10a)의 토출실(12)을 연통시키는 연결통로(23)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후방 하우징(10)(10a)은 상기 실린더블록(20)(20a)의 전,후방에 각각 결합되며 내측에는 흡입실(11)과 토출실(12)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전방 하우징(10)의 중앙으로는 상기 구동축(30)의 일단이 통과하게 되며, 상기 구동축(30)의 일단은 도시되지 않은 전자클러치 조립체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블록(20)(20a)과 전,후방 하우징(10)(10a) 사이에는 흡입밸브(61)와 토출밸브(62)가 구비된 밸브유니트(60)가 설치되어, 상기 피스톤(50)의 흡입행정시 상기 흡입밸브(61)가 열리게 되어 상기 흡입실(11)의 냉매가 상기 보어(21) 내부로 흡입되고, 상기 피스톤(50)의 압축행정시에는 상기 토출밸브(62)가 열리게 되어 상기 보어(21) 내부에서 압축된 냉매가 상기 토출실(12)로 토출된다.
계속해서, 상기 구동축(30)은 상기 실린더블록(20)(20a)에 구비된 베어링(26)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구동축(30)상에는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 사판(100)이 구비되어 상기 사판실(24)내에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피스톤(50)은 상기 사판(100)의 외주에 슈(45)를 개재하여 장착됨과 아울러 사판(100)의 회전에 연동하면서 상기 실린더블록(20)(20a)의 보어(21) 내부를 왕복운동하게 된다.
상기한 압축기(1)에 있어서, 상기 사판(100)의 표면(101)에 서로 다른 재질(110a)(110b)로 분할된 단일 두께의 코팅층(110)이 형성된다.
즉, 상기 코팅층(110)은 단일층으로 이루어지되, 이 단일층에 적어도 두 종류 이상의 특성이 다른 재질(110a)(110b)을 분할하여 코팅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코팅층(110)은 사판(100)의 표면(101) 전체에 형성할 수도 있지만, 슈(45)와의 습동면 부위에 형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코팅층(110)을 이루는 재질(110a)(110b)로는 각각 피크(PEEK)와 고체윤활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폴리이미드, 피크 등의 열가소성 수지, 고체윤활제를 포함하는 수지코팅, 금속윤활코팅 등 다양한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코팅층(110)은 두 종류 이상의 재질(110a)(110b)을 이용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코팅을 실시 할 수 있으며,
먼저, 도 2 는 서로 다른 재질(110a)(110b)을 각각 사판(100) 표면(101)의 반경방향으로 내,외주면에 분할 코팅한 것이다.
예를들어, 사판(100) 표면(101)의 외주면에 피크(PEEK) 코팅을 하고 내주면에는 고체윤활제를 함유한 수지코팅을 하는 것이다.
도 3 은 서로 다른 재질(110a)(110b)을 사판(100) 표면(101)의 원주방향을 따라 교번적으로 코팅한 것이다.
이때, 교번적으로 코팅되는 각 재질(110a)(110b)의 코팅면적은 일정하게 규칙적으로 할 수도 있고, 불규칙적으로 할 수도 있다.
도 4 는 서로 다른 재질(110a)(110b)을 사판(100) 표면(101)의 반경방향으로 교번적으로 코팅한 것이다.
예를들어, 사판(100) 표면(101)에 일정폭으로 피크 코팅을 하고 이 피크 코팅의 안쪽과 바깥쪽에는 고체윤활제를 함유한 수지코팅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그 반대로도 가능하다.
도 5 는 상기 도 4 의 코팅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서, 서로 다른 재질(110a)(110b)을 사판(100) 표면(101)의 반경방향으로 교번적으로 코팅을 하되, 중앙부에 형성되는 코팅층은 주변 보다 코팅 두께를 얇게 한 것이다.
즉, 하나의 재질(110a)로 사판(100)의 표면(101)에 코팅 한 후, 그 중앙부에 다른 재질(110b)로 이중코팅을 하여 코팅층(110)을 형성한 것이다.
도 6 은 세 종류의 재질(110a)(110b)(110c)을 사판(100) 표면(101)의 반경방향으로 분할 코팅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코팅 방법 외에도 더욱 다양한 방법으로 단일 두께의 코팅층(110)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판(100)의 표면(101)에 코팅층(110)을 형성하는 방법으로는 도금, 스프레이코팅, 인쇄기법, 롤코팅, 패드프린트법, 정전도장법, 증착법 등 모든 코팅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판(100)의 표면(101)에 두 종류 이상의 특성이 다른 재질(110a)(110b)로 단일 두께(단일층)의 코팅층(110)을 형성함으로서, 압축기(1)의 모든 조건을 다 만족할 수 있는 코팅품질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서로 특성이 다른 재질(110a)(110b)인 피크(PEEK) 코팅과 고체윤활제를 함유한 수지코팅을 분할하여 사판(100)의 표면(101)에 단일 두께로 코팅층(110)을 형성함으로서 고속 고하중의 조건에서는 피크(PEEK) 코팅층에 의해 좋은 내구성을 발휘하고, 오일이 전혀없는 조건에서는 고체윤활제를 함유한 수지코팅층에 의해 좋은 윤활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사판(100)의 표면(101)에 서로 다른 재질(110a)(110b)로 분할된 단일 두께의 코팅층(110)을 형성한 것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지만,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압축기(1) 내부의 모든 습동부품들의 표면에도 동일한 방법으로 코팅층(110)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편의상 양두피스톤을 사용한 사판식 압축기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지만, 편두피스톤을 사용한 가변용량 사판식 압축기는 물론 전동압축기 등 모든 압축기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사판의 표면에 두 종류 이상의 특성이 다른 재질로 단일 두께의 코팅층을 형성함으로서, 압축기의 더욱 다양한 조건하에서도 사판의 윤활성과 내구성을 향상하고 유지할 수 있음은 물론 압축기의 전체성능도 향상된다.

Claims (3)

  1. 하우징(10)(10a)의 내부에서 구동축(30)과 함께 회전하도록 설치되고 실린더블록(20)(20a)의 보어(21)에 구비된 다수의 피스톤(50)을 왕복운동시키는 사판(1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사판(100)의 표면(101)에 서로 다른 재질(110a)(110b)로 분할된 단일 두께의 코팅층(110)이 형성되되,
    상기 코팅층(110)은 서로 다른 재질(110a)(110b)이 각각 사판(100) 표면(101)의 반경방향으로 내,외주면에 분할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용 사판.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110)의 재질(110a)(110b)은 각각 피크(PEEK)와 고체윤활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용 사판.
KR1020040085082A 2004-10-23 2004-10-23 압축기용 사판 KR1011475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5082A KR101147559B1 (ko) 2004-10-23 2004-10-23 압축기용 사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5082A KR101147559B1 (ko) 2004-10-23 2004-10-23 압축기용 사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5983A KR20060035983A (ko) 2006-04-27
KR101147559B1 true KR101147559B1 (ko) 2012-05-21

Family

ID=37144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5082A KR101147559B1 (ko) 2004-10-23 2004-10-23 압축기용 사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755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34853A (ja) * 2000-02-22 2001-08-31 Toyota Autom Loom Works Ltd 斜板式圧縮機における斜板
JP2002174169A (ja) 2000-12-06 2002-06-21 Toyota Industries Corp アルミシュー
JP2002180964A (ja) * 2000-12-12 2002-06-26 Toyota Industries Corp 圧縮機の摺動部品及び圧縮機
JP2003183685A (ja) 2001-12-20 2003-07-03 Toyota Industries Corp 摺動部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34853A (ja) * 2000-02-22 2001-08-31 Toyota Autom Loom Works Ltd 斜板式圧縮機における斜板
JP2002174169A (ja) 2000-12-06 2002-06-21 Toyota Industries Corp アルミシュー
JP2002180964A (ja) * 2000-12-12 2002-06-26 Toyota Industries Corp 圧縮機の摺動部品及び圧縮機
JP2003183685A (ja) 2001-12-20 2003-07-03 Toyota Industries Corp 摺動部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5983A (ko) 2006-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10674B1 (en) Coating for swash plate compressor
EP1281863B1 (en) Compressor coating
US6584886B2 (en) Compressor
KR20080009362A (ko) 압축기
EP1233181B1 (en) Easy method for manufacturing a swash plate and a variable capacity compressor adopting the swash plate
KR101181157B1 (ko) 가변 용량형 압축기의 구동축 지지구조
US20030096134A1 (en) Sliding member for compressor
JP2007224767A (ja) 回転式流体機械
KR101147559B1 (ko) 압축기용 사판
KR101139345B1 (ko) 압축기용 사판
WO2001027473A1 (fr) Compresseur frigorifique du type a plateau oscillant
US20020046646A1 (en) Compressors
JP2001050158A (ja) 容量固定型片側斜板式圧縮機
KR20050058609A (ko) 압축기용 사판 및 그 표면처리방법
KR101058652B1 (ko) 압축기
KR20050058608A (ko) 압축기용 사판 및 그 표면처리방법
KR20050058610A (ko) 압축기용 사판 및 그 표면처리방법
KR101142767B1 (ko) 압축기용 피스톤
WO2011043185A1 (ja) 斜板式圧縮機
KR101230749B1 (ko) 표면 코팅된 슈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냉매 압축기
KR20210115309A (ko) 사판식 압축기
WO2007142198A1 (ja) 流体機械
KR20120027793A (ko) 압축기
KR101721513B1 (ko) 사판식 압축기
KR101094625B1 (ko) 압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