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6640B1 - 하수슬러지 처리용 중성고화제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하수슬러지 처리용 중성고화제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6640B1
KR101146640B1 KR1020110099313A KR20110099313A KR101146640B1 KR 101146640 B1 KR101146640 B1 KR 101146640B1 KR 1020110099313 A KR1020110099313 A KR 1020110099313A KR 20110099313 A KR20110099313 A KR 20110099313A KR 101146640 B1 KR101146640 B1 KR 1011466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sewage sludge
parts
water content
solidification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9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철
민성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프원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프원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프원테크
Priority to KR10201100993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66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66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66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7/00Soil-conditioning materials or soil-stabilising materials
    • C09K17/02Soil-conditioning materials or soil-stabilising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compounds only
    • C09K17/06Calcium compounds, e.g. li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4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with addition of chemical agents
    • C02F11/143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with addition of chemical agents using inorganic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7/00Soil-conditioning materials or soil-stabilising materials
    • C09K17/02Soil-conditioning materials or soil-stabilising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compounds only
    • C09K17/08Aluminium compounds, e.g. aluminium hydr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7/00Soil-conditioning materials or soil-stabilising materials
    • C09K17/02Soil-conditioning materials or soil-stabilising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compounds only
    • C09K17/10Cements, e.g. Portland ce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2Odour removal or prevention of malodou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oi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원은 하수슬러지 고화 치리시 악취발생을 없애는 동시에 흡수력을 높여 함수율 저감 효과를 가져오며 고화물의 장기 강도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하수슬러지 처리용 중성고화제에 관한 것이다.
본원에서 제공되는 중성고화제는 포졸란함유물질 50±20 중량%와 연소재나 분진이나 소각재 중에서 선택되는 흡수성물질 30±10 중량%와 시멘트나 생석회나 경소백운석 중에서 선택되는 경화성물질 6±3 중량%와 인산석고, 불산석고, 염화철, 황산철, 황산알루미늄 중에서 선택되는 산성물질 14±7 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수소이온농도(pH)가 7~9 범위로 제공되고, 하수슬러지에 고화제로 적용되는 경우 그 결과물의 pH가 7~9 범위로 중성 범위를 이루고 암모니아 발생량 50 ppm 이하로 극소량이며, 하수 슬러지의 함수율을 65% 이하로 낮춰주며, 구리용출량 3 ppm 이하로 하는 중성고화제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원에서 제공되는 중성고화제를 이용하여 하수슬러지 100중량부에 본원의 중성고화제 15~30중량부로 혼합되는 경우 악취발생을 없애는 동시에 흡수력을 높여 함수율 저감효과와 고화물의 장기강도 안정성을 확보하며 구리와 같은 중금속의 용출을 감소시켜 토양 및 지하수의 오염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친환경적인 하수슬러지 고화처리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하수슬러지 처리용 중성고화제 제조방법{Preparation of neutral solidifying agent for treatment of sewage sludge}
본 발명은 하수슬러지 처리용 중성고화제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수슬러지 고화처리시 악취발생이 없으므로 작업환경이 좋아지고 민원 야기 문제를 해소하며, 중금속 용출이 방지되는 효과와 흡수력이 우수하고 함수율 감소가 뛰어난 효과를 제공하는 중성고화제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원의 기술사상이 적용되어 제공되는 중성고화제가 하수슬러지를 고화 처리하기 위한 공정에 적용되면 고화물의 pH가 중성부근(7~9)이 되어 암모니아 가스 발생이 최소화되어 악취발생이 현저히 줄어드는 현상으로부터 민원발생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음과 동시에 흡수성 물질에 의해 고화물의 함수율이 크게 저감되는 효과를 얻고, 또한 포졸란 물질에 의해 포졸란 반응으로 고화물의 장기 강도가 확보/유지되는 하수슬러지 고화처리방법이 구현될 수 있는 기술사상의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하수슬러지를 고화처리 하기위해 사용하는 고화제는 시멘트, 생석회, 연소재를 주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들을 하수슬러지와 혼합시 목표 함수율을 얻기 위해서는 많은 양을 사용하여야 하고 처리과정에서 암모니아 악취가 강하게 발생하여 작업이 곤란하고 악취로 인한 민원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슬래그 분말이나 플라이애쉬, 황산철 등을 첨가한 고화제가 제공되고 있으나, 이들은 하수슬러지와 혼합시 흡수율이 거의 없기 때문에 함수율 저하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아 투입량이 증가함과 동시에 작업성도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경화력이 부족하여 중금속 용출이 우려되고 있다.
종래기술에서 하수슬러지에 중성고화제를 이용하고자 하는 기술사상을 갖고 선 출원된 기술들을 살펴보면, 등록특허 제0790373호 기술에서는 800~1000℃에서 소성한 제지 슬러지재 40~60wt%에 용광로 슬래그 미세분말 20wt%, 생석회 10~32wt%, 무수석고 3~10wt% 첨가 혼합하여 균질화시킨 고화제조성물 80~95wt%에 프라이애쉬 5~20wt%를 첨가시켜 제공되는 개량고화제 조성물이 제시되어 있는 바, 고화제를 이루는 대부분의 원료를 폐기물을 이용하여 재활용을 도모함으로 고화제의 단가 면에서 잇점을 갖고 또한 개량토가 중성에 가까워 식생녹화가 가능하며 또한 고화시간이 빠르고 처리능력을 크게 증가시켜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는 토양 개량고화제가 제시되어 있다..
또한 본원 출원인의 선 발명 등록특허 제0760029호 기술에서는 하수슬러지 처리방법으로 하수슬러지 100중량부에 황산철과 생석회 또는 황산철과 산화마그네슘 분말이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1차고화제를 15~25중량부를 투입하며 1차로 수소이온농도(pH)를 조절하여 암모니아가스 발생을 저감시키는 혼합공정을 갖고, 2차로 시멘트, 생석회, 산화마그네슘 또는 연탄재 중에서 선택되는 경화제를 5~10중량부 투입하여 1일 이상의 기계적 양생공정을 통하여 함수율 40%이하, 투수계수 1×10-3 ~ 1×10-6 cm/s, 압축강도 0.5kgf/㎠이상을 유지하는 복토재나 성토재로 제공하는 하수슬러지 처리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의 방법으로 제시되는 고화제는 환경관련법으로 폐기물관리법 시행규칙 별표8에 제시된 매립작업 종료 후 투수성이 낮은 흙, 고화처리물 또는 건설폐자재류를 재활용한 토사 등을 사용하여 10센치미터 이상의 두께로 다져 일일복토를 해야하는 매립장 복토기준에 따라 매립지 복토재 요구기준으로 투수계수가 1×10-3 ~ 1×10-6cm/s 범위로 투수성이 낮고 압축강도 0.5kgf/㎠ 이상 등의 요구조건은 충족한다 할지라도 상기 조성으로 제공되는 고화제는 하수슬러지 처리과정에 악취가 나는 문제점을 여전히 갖고 있어 민원이 야기되는 문제점을 나타내고, 하수슬러지에 포함된 수분의 흡수력이 낮아서 토양의 안정화를 이루추는데 장기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하수슬러지 고화 치리시 악취발생을 없애는 동시에 흡수력을 높여 함수율 저감 효과를 가져오며 고화물의 장기 강도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하수슬러지 처리용 중성고화제로 고화제의 pH가 7~9 범위로 중성부근이고 암모니아 발생량 50 ppm 이하, 함수율 65% 이하, 구리용출량 3 ppm 이하의 강화규격을 갖는 중성고화제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하수슬러지 고화 치리시 악취발생을 없애는 동시에 흡수력을 높여 함수율 저감효과와 고화물의 장기강도 안정성을 확보하며 구리와 같은 중금속의 용출을 감소시켜 토양 및 지하수의 오염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친환경적인 하수슬러지 고화처리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다.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제시되는 본원 발명에 의한 하수슬러지 고화제는 고화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암모니아 악취를 줄이기 위하여, 고화제의 재료를 알칼리성 물질과 산성물질을 적절히 배합하여 고화제의 pH가 중성부근이 되도록 제조되는 중성고화제를 만들고 이를 이용한 고화처리방법이 바탕기술이라 할 수 있다.
본원에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포졸란(pozzolan) 물질을 주성분으로 포함시켜 사용하고자 하는 것으로 포졸란은 실리카질 또는 실리카질과 알루미나질의 미분말로서 그 자체는 수경성이 없으나 미분말상의 것은 물이 있는 곳에서 시멘트가 수화할 때 생기는 수산화칼슘과 상온에서 서서히 화합하여 불용성의 화합물을 만드는데 이를 포졸란 반응이라 하며, 포졸란 물질은 천연산으로 화산회, 규조토, 규산백토 등이 있고, 인공산으로는 플라이애쉬와 고로슬래그가 있다.
본원에서 제시되는 하수슬러지를 고화처리하기 위한 중성고화제는, 포졸란함유물질 50±20 중량%와 연소재나 분진이나 소각재 중에서 선택되는 흡수성물질 30±10 중량%와 시멘트나 생석회나 경소백운석 중에서 선택되는 경화성물질 6±3 중량%와 인산석고, 불산석고, 염화철, 황산철, 황산알루미늄 중에서 선택되는 산성물질 14±7 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수소이온농도(pH)가 7~9 범위로 제공되는 중성고화제를 통하여 본원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으며 상기의 포졸란 함유물질은 수소이온농도(pH)가 7~11 범위로 제공되는 플라이애쉬나 고로슬래그가 사용되는 것이 더욱 양질의 안정화된 중성고화제를 얻을 수 있다.
상기 고화제를 이용하여 예를 들면, 하수슬러지 고화처리방법에 적용되는 경우로, 수소이온농도(pH)가 7~11 범위로 제공되는 플라이애쉬나 고로슬래그 중에서 선택되는 포졸란함유물질 50±20 중량%와 연소재나 분진이나 소각재 중에서 선택되는 흡수성물질 30±10 중량%와 시멘트나 생석회나 경소백운석 중에서 선택되는 경화성물질 6±3 중량%와 인산석고, 불산석고, 염화철, 황산철, 황산알루미늄 중에서 선택되는 산성물질 14±7 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수소이온농도(pH)가 7~9 범위로 제공되는 중성고화제 15~30중량부가 함수율 80±10%로 제공되는 하수슬러지 100중량부가 혼합되어 고화처리가 이루어지는 수단으로 하수슬러지 고화처리 방법으로 적용될 수 있다.
본원의 중성고화제를 사용하면서 현장에서 상기의 고화처리방법을 적용할 때 하수슬러지를 100중량부 기준으로 활성탄, 코코피트 중에서 선택되는 흡착제를 15±7중량부 비율 범위로 추가시켜 혼합공정이 적용되는 경우 복합악취감소 효과를 도모하여 보다 완벽한 하수슬러지 고화처리방법으로 적용될 수 있는 기술사상도 포함한다.
기타 본원의 중성고화제는 하수슬러지 고화처리 뿐 아니라 축분슬러지 고화처리, 폐수 슬러지 고화처리 공법 등에 적용되는 경우 고화 처리 과정에서 고화물이 중성범위를 유지하므로 악취발생이 거의 없으면서 흡수력과 경화력을 높여 양호한 고화물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본원에서 제공되는 중성고화제가 하수슬러지를 고화 처리하기 위한 공정에 적용되면 고화물의 pH가 중성부근(7~9)이 되어 암모니아 가스 발생이 최소화되어 악취발생이 현저히 줄어드는 동시에 흡수성 물질에 의해 고화물의 함수율이 저감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포졸란함유 물질에 의해 포졸란 반응으로 고화물의 장기강도가 확보/보됨은 물론이고, 구리의 용출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게 되어 친환경적인 하수슬러지 고화처리방법을 제공하는 효과도 갖는다.
도 1 : 본원의 기술구성으로 제조된 중성고화제가 하수슬러지와 혼합된 후 6시간 정도의 자연 양생상태를 거친 후 고화물의 중금속 용출량을 확인받기 위해 한국건설생활환경연구원에 시험의뢰 후 결과를 통보받은 시험성적서.
이하 본원의 기술사상이 구현되는 실시양태를 발명의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고자 하는바, 본원의 실시예에 제시되는 실시양태는 본원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양한 조성과 배합비를 바꿔가며 수많은 실험결과 본원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의 결과로 제시된 것으로, 모든 실시예를 제시할 수 없으므로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는 하나의 적용예시를 제시한 것에 불과할 뿐이고 본원의 기술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며 본원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에서 유사결과를 확보하는 범위까지 기술사상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원의 기술사상으로부터 제공되는 중성고화제는 30 ~70 중량% 범위의 포졸란 물질과 20 ~ 40 중량% 범위의 흡수성 물질과 3 ~ 9 중량% 범위의 경화성 물질과 7 ~ 21 중량% 범위의 산성 물질을 포함하여 제공된다.
여기서 포졸란 물질로는 일반적으로 석탄재인 플라이애쉬를 사용하나 일반적인 플라이애쉬는 수소이온농도(pH)가 11 이상으로 제공되는 경우 강 알칼리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본원의 목적에 부합하지 않으므로 본 발명의 목적인 중성고화제를 쉽게 얻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수소이온농도(pH)가 7 ~11 범위로 제공되는 플라이애쉬나 고로슬래그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원에서 포졸란 함유물질은 고화제를 중성으로 만들고 장기 강도의 보강을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고, 경화성 물질로는 시멘트, 생석회, 경소백운석 중에서 선택되는 것이 이용되어 상기 포졸란 물질에 경화성 물질로 시멘트가 혼합되면 물과 반응하여 수화 반응을 일으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포졸란 물질이 70 중량% 보다 많이 투입되면 상대적으로 장기 강도의 측면에서는 유리할 수 있으나 흡수율이 낮은 플라이애쉬의 과다 투입으로 인해 고화물의 함수율 저감에 불리한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결과를 가져오고 포졸란 물질이 30 중량% 이하로 투입되면 상대적으로 고화제의 pH가 알칼리로 되기 쉬우며 장기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점 때문에 상기 범위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중성고화제는 연소재, 분진, 소각재 중에서 선택되는 흡수성 물질이 20~40 중량% 범위에서 첨가되는바, 본원에서 상기의 흡수성물질은 중성고화제로써 고화물의 함수율을 더욱 낮춰주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나 흡수성물질이 40 중량%를 초과하게 되면 고화물의 함수율 저감에는 유리하나 중금속 용출의 우려가 높아지고 또한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을 나타내고, 20중량% 미만으로 되면 고화물의 함수율 저감이 미미하기 때문에 상기 범위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경화성 물질은 시멘트, 생석회, 경소백운석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거나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는바, 경화성 물질이 9 중량% 보다 많이 투입되면 상대적으로 초기 강도의 측면에서는 유리하지만, 고화물이 강알칼리로 되어 암모니아 악취가 강하게 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고, 3 중량%보다 적게 투입되면 수화반응 성분이 적어져 고화물의 강도가 약해지는 단점을 나타낸다.
상기와 같이 포졸란 물질, 흡수성 물질 및 경화성 물질의 사용에 의하여 고화물의 장기 강도가 확보되고 함수율의 저감효과는 충분하게 확보할 수 있게 되는데 수소이온농도(pH)가 다소 알칼리성으로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상기에서 제시되는 원료중에서 선택되어 사용되는 고화제 원료물을 중성으로 더욱 확실하게 보강하기 위하여 7~21 중량% 범위로 산성물질인 인산석고, 불산석고, 염화철, 황산철, 황산알루미늄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산성물질은 상기에서 포졸란 물질이나 흡수성 물질이나 경화성 물질의 원료 중에서 선택되는 원료의 성상에 따라 크게 달라 질 수 있으나 상기 원료 중에서 선택되는 산성물질이 7중량% 미만으로 되면 고화제의 pH 조절측면에서 충분한 효과를 얻을 수 없으며, 21중량%를 초과하게 되면 오히려 강도의 손실을 가져올 수 있는바, 본원에서 강도의 확보를 위하여 투입되는 포졸란물질, 경화성물질와 더불어 흡수성물질을 투입함으로써 고화물의 함수율 저감을 더욱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실질적으로 하수슬러지 고화물의 안정성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되고 산성물질의 투입에 의하여 고화제의 pH가 중성으로 확보할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구리도 고정화시켜서 중금속 용출 저감 효과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원료조성을 포함하여 제공되는 본원의 중성고화제는 여러 형태의 슬러지 고화처리 공법에 사용될 수 있는바, 예를 들면 축분 슬러지에 중성고화제를 혼합하여 고화처리를 하면 암모니아 악취가 거의 없이 효율적으로 고화처리공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본원의 중성고화제를 폐수 슬러지 고화처리에도 적용될 수 있고, 그 이외에도 각종 슬러지를 고화시키는 공정에는 본원의 중성고화제를 이용하여 악취발생을 없애는 동시에 흡수력을 높여 함수율 저감 효과를 가져오며 고화물의 장기적 강도를 확보하기 위한 어떠한 공법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으로 제공되는 중성고화제와 타 실시양태로 제공되는 고화제의 제조실시예를 표 1과 같이 나타내고 표 1과 같은 조성비로 제조된 고화제를 사용하여 하수슬러지를 고화처리 한 후 물성을 평가한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으며, 물성 평가를 위하여 사용한 하수슬러지와 시험 방법은 다음과 같다.
실험에 사용된 하수슬러지는 함수율 80 wt%를 나타낸 시료를 사용하고, 시험방법은 KS F 2103에 따른 pH측정과 암모니아 가스검출은 검지관을 이용하였으며, 구리 용출시험은 폐기물공정시험방법에 준하여 실시하였다.
출원인은 실시예 1에서는 본 발명에서의 포졸란 물질, 경화물질인 시멘트만을 혼합하는 방법으로 만들어 사용한 것으로 기존의 시설에서 사용하는 고화제를 참고하여 제조한 것이고, 실시예 2와 실시예 3은 본 발명의 조성비 범위 안에서 결과물을 비교하기 위한 비교예 성격으로 제조한 것이고, 실시예 4는 본 발명의 목적범위에 유사하게 배합하여 적용예이며, 실시예 5는 본 발명의 목적범위에 가장 근접하게 베스트모드를 적용하여 고화제를 제조하였다.
[표 1] 고화제 배합비(중량%)
구분 플라이애쉬 시멘트 생석회 연소재 소각재 황산철 황산
알루미늄
pH12 pH8
실시예1 80 - 20 - - - - -
실시예2 30 - - 9 40 - 21 -
실시예3 - 40 5 - 35 - 20 -
실시예4 44 - - 8 30 10 - 8
실시예5 - 60 5 - 10 18 - 7
상기의 조성으로 제공된 고화제를 이용하여 함수율 80 wt%를 나타내는 하수슬러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에서 제시되는 고화제를 15~30 중량부 범위로 투입하여 사용할 수 있는바, 본원에서는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에서 제시되는 고화제를 객관적으로 비교하기 위하여 본원에서는 함수율 80 wt%를 나타내는 하수슬러지 100중량부에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에서 제시되는 고화제를 각각 18 중량부씩 혼합하여 실내에서 자연건조수단을 거쳐 양생을 행한 후 6시간 경과 후, pH측정은 KS F 2103에 따른 pH측정과, 휴대용 현장가스 측정용도로 사용되는 GASTEC모델의 검지관을 이용하여 암모니아 가스검출량을 측정하고, 함수율은 전기건조기 수단을 사용하여 측정하여 그 결과는 표 2에 나타내었고, 상기의 고화제 중 가장 좋은 결과를 나타낸 실시예 5의 적용제품은 구리 및 중금속 용출량을 확인하기 위하여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에 시험을 의뢰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1에 제시되는 결과를 통보 받았다.
[표 2]하수슬러지 고화물 비교
구분 pH NH3(ppm) 함수율(%) 구리용출량(ppm)
실시예1 12.8 760 66.3 4.7
실시예2 12.1 410 64.5 2.6
실시예3 11.7 340 65.1 1.9
실시예4 10.3 110 64.2 0.8
실시예5 8.3 30 63.5 0.15
* 실험결과 비교
실시예 1은 고화물의 pH가 강알칼리이고 암모니아 농도도 가장 높고 함수율도 가장 높고 구리 용출량도 제일 높게 나타나는 결과로부터 현장에 적용되는 경우 여러 가지 문제점을 야기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를 나타내었고, 실시예 2 및 실시예 3과 실시예 4에 이를수록 고화제의 pH 수치가 점점 낮아짐에 따라서 암모니아 농도도 점차 낮아지고 구리용출량도 점점 적어지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베스트모드 실시예라고 할 수 있는 실시예 5에서는 고화물의 pH가 중성범위에 이르면서 암모니아농도 발생은 거의 없는 상황으로 획기적으로 줄어들고, 함수율 저감도 가장 우수하게 나타나고 구리 중금속 용출도 가장 낮게 나타나는 결과로부터 다른 비교예에 비하여 현저하게 진보된 효과를 보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기존의 하수슬러지 고화처리시 고화물의 pH가 9 이상이고, 암모니아 발생량 50 ppm 이상으로 높고 함수율 65%이하 및 구리용출량 3 ppm 이하의 규격을 만족하기 어려웠던 고질적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음을 확인하여 완성된 발명으로, 상기 [표 2]에 제시된 결과로부터 pH가 8.3이고 암모니아 발생량 30 ppm 이고, 함수율 63.5% 이며, 구리용출량이 0.15 ppm 으로 제공되어 강화규격을 충족시키는 실험결과를 통하여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은 첨부한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결정되어야 하는 것은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한국건설생활환경연구원에서 통보받은 시험성적서이므로 별도의 부호설명이 필요 없음.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하수슬러지 고화처리방법에 있어서,
    수소이온농도(pH)가 7~11 범위로 제공되는 플라이애쉬나 고로슬래그 중에서 선택되는 포졸란함유물질 50±20 중량%와 연소재나 분진이나 소각재 중에서 선택되는 흡수성물질 30±10 중량%와 시멘트나 생석회나 경소백운석 중에서 선택되는 경화성물질 6±3 중량%와 인산석고, 불산석고, 염화철, 황산철, 황산알루미늄 중에서 선택되는 산성물질 14±7 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수소이온농도(pH)가 7~9 범위로 제공되는 중성고화제 15~30중량부가 함수율 80±10%로 제공되는 하수슬러지 100중량부에 혼합되어 pH 7~9, 암모니아 농도 50 ppm 이하, 함수율 65% 이하, 구리용출량 3 ppm 이하로 고화처리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슬러지 고화처리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화처리방법에서 하수슬러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활성탄, 코코피트 중에서 선택되는 흡착제가 15±7중량부 비율로 추가 혼합되어 복합악취감소 효과를 도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슬러지 고화처리방법.
KR1020110099313A 2011-09-29 2011-09-29 하수슬러지 처리용 중성고화제 제조방법 KR1011466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9313A KR101146640B1 (ko) 2011-09-29 2011-09-29 하수슬러지 처리용 중성고화제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9313A KR101146640B1 (ko) 2011-09-29 2011-09-29 하수슬러지 처리용 중성고화제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6640B1 true KR101146640B1 (ko) 2012-05-16

Family

ID=46272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9313A KR101146640B1 (ko) 2011-09-29 2011-09-29 하수슬러지 처리용 중성고화제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664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84266A (zh) * 2019-07-24 2019-11-22 清华大学 一种污泥基土壤调理剂及其制备方法
CN117247221A (zh) * 2023-11-06 2023-12-19 河海大学 一种高有机质、超高含水率河道淤泥固化材料及固化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76493A (ja) * 1998-12-17 2000-06-27 Kyoei Kinzoku Kogeisha:Kk 汚泥固化材及び固化処理方法
KR100423410B1 (ko) * 2001-06-20 2004-03-18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하수슬러지 고화체
KR101010011B1 (ko) * 2010-01-15 2011-01-21 주식회사한국포조텍 고함수 슬러지 고화제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76493A (ja) * 1998-12-17 2000-06-27 Kyoei Kinzoku Kogeisha:Kk 汚泥固化材及び固化処理方法
KR100423410B1 (ko) * 2001-06-20 2004-03-18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하수슬러지 고화체
KR101010011B1 (ko) * 2010-01-15 2011-01-21 주식회사한국포조텍 고함수 슬러지 고화제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84266A (zh) * 2019-07-24 2019-11-22 清华大学 一种污泥基土壤调理剂及其制备方法
CN117247221A (zh) * 2023-11-06 2023-12-19 河海大学 一种高有机质、超高含水率河道淤泥固化材料及固化方法
CN117247221B (zh) * 2023-11-06 2024-04-16 河海大学 一种高有机质、超高含水率河道淤泥固化材料及固化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99061B2 (ja) 中性固化材用の添加材、中性固化材および重金属類の溶出抑制方法
KR101055317B1 (ko) 유기성 슬러지 고화제 및 이를 이용한 인공토양 제조방법
KR101289825B1 (ko) 유기성 슬러지 고화제 및 이를 이용한 인공토양 제조방법
KR101459990B1 (ko) 슬러지 소각재를 이용한 블록 조성물 및 블록 제조방법
KR101244825B1 (ko) 소각장 애시와 순환골재를 이용한 하이볼륨 고로슬래그 콘크리트
KR20140092699A (ko) 페트로 코크스 탈황석고를 이용한 고함수 슬러지 고화제 및 이를 이용한 고화토 제조방법
JP5092203B2 (ja) 廃棄物からのフッ素および重金属の溶出を抑制する方法
WO2016208277A1 (ja) 急硬材、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急硬性セメント組成物
KR101010011B1 (ko) 고함수 슬러지 고화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46640B1 (ko) 하수슬러지 처리용 중성고화제 제조방법
KR102291633B1 (ko) 증기양생 콘크리트용 혼합재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증기양생 콘크리트 조성물
KR100790373B1 (ko) 토양 개량 고화제
KR101272761B1 (ko) 소각장 애시와 순환골재에 의한 고로슬래그 미분말의 잠재수경성 촉진용 알칼리 자극제 및 이를 이용한 무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KR20080057671A (ko) 고형화 브릭
JP4694434B2 (ja) 副生物の処理方法
KR101380326B1 (ko) 저강도 및 초속경성을 갖는 유동화 되메움재용 고화재 조성물
KR101200278B1 (ko) 하수슬러지 고화재 및 이를 이용한 인공토양 제조방법
CN112495984B (zh) 一种危险废物固化/稳定化综合处理方法
KR100948658B1 (ko) 하수슬러지 소각재를 재활용한 하수 슬러지 고화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생산된 하수 슬러지 고화체
JP2010201320A (ja) 廃石膏ボード粉の固化方法
JP4475995B2 (ja) 石こう廃棄物を使用した汚泥の処理方法
KR20080032670A (ko) 하수슬러지 및 기능성 폐기물을 이용한 쓰레기 매립장복토재 및 그 제조방법
JP2013146691A (ja) 廃石膏を用いた土壌の固化処理方法
KR101185428B1 (ko) 유기성 슬러지 고화제 및 이를 이용한 인공토양 제조방법
JP4129832B2 (ja) 泥土改良固化安定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