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6548B1 - 창 이개 방지용 보조구 - Google Patents

창 이개 방지용 보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6548B1
KR101146548B1 KR1020117027422A KR20117027422A KR101146548B1 KR 101146548 B1 KR101146548 B1 KR 101146548B1 KR 1020117027422 A KR1020117027422 A KR 1020117027422A KR 20117027422 A KR20117027422 A KR 20117027422A KR 101146548 B1 KR101146548 B1 KR 1011465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preventing
suture
shrinkage
wrap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74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9391A (ko
Inventor
도시후미 히라시마
Original Assignee
유겐가이샤 쵸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488194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146548(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유겐가이샤 쵸류 filed Critical 유겐가이샤 쵸류
Publication of KR201200293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93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65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65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8Wound clamps or clips, i.e. not or only partly penetrating the tissue ; Devices for bringing together the edges of a wound
    • A61B17/085Wound clamps or clips, i.e. not or only partly penetrating the tissue ; Devices for bringing together the edges of a wound with adhesive lay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3/00Antithrombogenic treatment of surgical articles, e.g. sutures, catheters, prostheses, or of articles for the manipulation or conditioning of blood; Materials for such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82Needle or suture gu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831Material properties
    • A61B2017/00867Material properties shape memory effec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8Wound clamps or clips, i.e. not or only partly penetrating the tissue ; Devices for bringing together the edges of a wound
    • A61B2017/081Tissue approximat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m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과제) 신체의 일부가 상처입어 생긴 해방성 상처인 창에 대해, 창의 이개를 방지하는 효과가 높고, 사용?장착이 용이한 창 이개 방지용 보조구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신체의 일부가 상처입어 생긴 해방성 상처인 창에 대해, 창 및 그 주변 조직을 덮어 장착하고, 창의 이개를 방지하기 위한 창 이개 방지용 보조구로서, 창 및 그 주변 조직을 덮는 창 이개 방지부와, 그 창 이개 방지부를 창 및 그 주변 조직에 밀착시켜 유지하는 기능을 갖는 유지부와, 상기 창 이개 방지부를 창 이개 방향으로 적절히 잡아 늘인 상태를 유지하고, 그 창 이개 방지부의 수축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 수축 방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창 이개 방지부의 장착에 따른 창 이개 방향의 수축 거리가, 상기 유지부의 장착에 따른 창 이개 방향의 수축 거리 이상이 되는 기능을 구비하고, 상기 창 이개 방지부를 창 이개 방향으로 잡아 늘이고, 상기 창 이개 방지부의 장착에 따른 창 이개 방향의 수축 거리가, 상기 창 이개 방지부의 장착에 따른 창 이개 방향에 대한 수직 방향의 수축 거리 이상이 되는 상태에서, 상기 창 이개 방지부를 창 및 그 주변 조직에 밀착시키고, 상기 유지부로 고정하여 장착한 후에 상기 수축 방지부를 떼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 이개 방지용 보조구이다.

Description

창 이개 방지용 보조구{AN AID FOR PREVENTING OF WOUND DEHISCENCE}
본 발명은, 창 (創) 이개 (離開) (창이 더욱 열리는 것) 를 방지하기 위한 창 이개 방지용 보조구에 관한 것이다.
신체의 일부가 상처입어 생긴 상처를 창상이라고 칭하는데, 창상은, 예리한 칼날 등으로 베어 생긴 해방성 상처를 칭하는 「창 (創)」과, 둔기 등으로 타박했을 때와 같은 베인 면이 없는 폐쇄적인 상처를 칭하는 「상 (傷)」 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종래, 개방성의 상처인 「창 (創)」에 대해서는, 창 저면이 얕은 경우에는, 반창고나 붕대 등으로 창을 막아 고정시키는 수단으로 창 이개를 방지하고, 창 저면이 깊은 경우에는, 봉합사 등에 의한 봉합 수단에 의해 창을 막아 창 이개를 방지하고 있다.
또한, 봉합사 등에 의한 봉합 수단에서는, 외력 등에 의해 봉합사가 절단되는 것에 의한 창 이개를 방지하기 위해서, 적당한 굵기의 복수의 봉합사 중에서, 보다 굵은 봉합사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수단이 범용되고 있다.
그러나, 굵은 봉합사의 사용은, 봉합 흔적이 눈에 띄기 쉬워, 바람직한 것이라고는 할 수 없다. 또, 굵은 봉합사를 사용하여, 창의 주변 조직을 강하게 잡아 당겨 강하게 봉합할수록, 봉합된 창의 주변 조직에 대한 혈액 등의 순환은 불량해지고, 점차 봉합된 창의 주변 조직에 괴사가 생겨 창 이개가 발생한다.
또한, 절개 수술 등에 따른 봉합은, 창의 주변 조직을 잡아 당겨 행해진다. 그 때문에, 봉합사와 봉합된 창의 주변 조직은 서로 잡아당기고 있다. 이 상태에서 외력이 가해지면, 봉합사가 가늘면 봉합사가 끊어지고, 봉합사가 굵으면 봉합된 창의 주변 조직이 찢어진다. 즉, 적당한 굵기의 봉합사를 선택하여 사용하더라도, 창 이개의 예방은 곤란하였다.
일부에서는, 절개 수술 후 봉합할 때에, 창구 (創口) 가 열리는 것을 방지함과 함께, 봉합사에 의한 봉합부 피부의 압박, 괴사 등을 방지하고, 환자의 고통을 완화시키기 위한 붙임구가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에는, 가는 봉합사에 의해, 환부 조직에 응력이 집중적으로 작용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환부에 대한 접촉 면적이 큰 붙임구를 준비하고, 실에 장력을 가하기 위한 탄성 부여 형상으로 하고, 실의 감김을 용이화하기 위한 가이드 슬릿 및 실 고정 슬릿을 형성한 창 이개 방지용 붙임구가 제안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를 포함하는 종래의 창 이개 방지용 붙임구로는, 절개 수술 등의 봉합시에 창 이개 방지용 붙임구를 장착하는 기술을 사전에 습득하는 것이 불가결해진다. 또, 붙임구의 소독이나 환부를 건조시킬 때 붙임구를 탈착시킬 필요가 있어, 이들에 대한 기술도 사전에 습득해야 한다. 또한, 환자는 봉합부에 장착된 창 이개 방지용 붙임구에 대한 외력, 특히, 수면시의 뒤척임 등에 의해 생기는 외력에 대한 유의를 게을리할 수 없는 생활을 피할 수 없게 된다. 또, 창 이개의 치료에 대해 과학적으로 언급하고 있는 서적이나 논문은 부족하고, 치료법 뿐만 아니라, 예방법도 확립되어 있지는 않다는 것이 현 상황이다.
특히, 혈액 등의 순환 불량에 의한 봉합된 창의 주변 조직 등의 괴사를 원인으로 하는 창 이개에 대해서는, 재차 봉합해도 효과는 기대할 수 없고, 봉합사를 모두 제거하고, 괴사 조직을 절제하여, 창상 피복재로 덮어 자연 치유를 기대한다는 보존적 치료로 전환해야 하는 경우도 드물지는 않고, 그 때문에, 환자는 장기간의 입원이나 통원을 피할 수 없게 되는 경우도 적지는 않다. 그러므로, 창 이개의 방지 그 자체나 창 이개를 방지하기 위한 종래의 창 이개 방지용 보조구를 사용?장착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고, 이와 같은 불리를 적절히 해결할 수 있는 수단이 없었던 것이 현 상황이다.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평6-44511호
본 발명은, 상기의 사정을 감안하여, 신체의 일부가 상처입어 생긴 해방성 상처인 창에 대해, 창의 이개를 방지하는 효과가 높고, 사용?장착이 용이한 창 이개 방지용 보조구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자는 예의 검토를 거듭한 결과, 본 발명을 완성시키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의 창 이개 방지용 보조구는, 신체의 일부가 상처입어 생긴 해방성 상처인 창에 대해, 창 및 그 주변 조직을 덮어 장착하고, 창의 이개를 방지하기 위한 창 이개 방지용 보조구로서, 창 및 그 주변 조직을 덮는 창 이개 방지부와, 그 창 이개 방지부를 창 및 그 주변 조직에 밀착시켜 유지시키는 기능을 갖는 유지부와, 상기 창 이개 방지부를 창 이개 방향으로 적절히 잡아 늘인 상태를 유지하고, 그 창 이개 방지부의 수축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 수축 방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창 이개 방지부의 장착에 따른 창 이개 방향의 수축 거리가, 상기 유지부의 장착에 따른 창 이개 방향의 수축 거리 이상이 되는 기능을 구비하고, 상기 창 이개 방지부를 창 이개 방향으로 잡아 늘이고, 상기 창 이개 방지부의 장착에 따른 창 이개 방향의 수축 거리가, 상기 창 이개 방지부의 장착에 따른 창 이개 방향에 대한 수직 방향의 수축 거리 이상이 되는 상태에서, 상기 창 이개 방지부를 창 및 그 주변 조직에 밀착시키고, 상기 유지부로 고정하여 장착한 후에 상기 수축 방지부를 떼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상기 창이, 봉합된 상태 혹은 미봉합 상태에 상관없이, 본 발명의 창 이개 방지용 보조구를 효과적으로 장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창 이개 방지용 보조구에 의하면, 창의 주변 조직이 받고 있는 생리적이고 정적인 장력 (이하, 생리적 장력이라고 칭한다) 을 지속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한 수단을 창 이개 방지용 보조구에 기능으로서 도입함으로써, 창 저면이 얕은 경우에는, 창의 주변 조직을 느슨하게 하여, 가볍게 주름을 만들고, 창의 주변 조직이 받고 있는, 창을 이개시키는 방향 (이하, 창 이개 방향이라고 칭한다) 의 생리적 장력을 지속적으로 감소시켜 창 이개를 방지하고, 창 저면이 깊은 경우에는, 봉합사 등에 의한 봉합 후에, 봉합된 창의 주변 조직을 느슨하게 하여, 가볍게 주름을 만들고, 봉합된 창의 주변 조직이 받고 있는 창 이개 방향의 생리적 장력 그리고 그 생리적 장력에 수반되는 봉합사에 작용하는 장력을 지속적으로 감소시키고, 봉합 후의 봉합사 절단에 의한 창 이개 그리고 봉합사에 의한 봉합된 창의 주변 조직의 혈액 등의 순환 불량을 원인으로 하는 봉합된 창의 주변 조직의 괴사 등에 의한 창 이개를 방지할 수 있다.
또, 적당한 굵기의 복수의 봉합사 중에서, 보다 가는 봉합사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봉합 흔적을 눈에 띄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창 상태에 따라서는 봉합을 필요로 하지 않을 수도 있게 된다. 또, 좌창이나 교창 등과 같은 일반적으로 봉합이 곤란한 창의 창 이개를 방지하는 것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창 상태가 봉합, 미봉합에 상관없이, 창 및 그 주변 조직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자연 치유를 앞당길 수도 있다.
또한, 창 이개 방지부를 창 이개 방향으로 적절히 잡아 늘인 상태를 유지하고, 수축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 수축 방지부를 구비함으로써, 창 이개 방지부를 창 이개 방향으로 적절히 잡아 늘인 상태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장착이 현저하게 용이해진다. 그리고, 유지부로 고정하여 장착한 후에 수축 방지부를 떼어냄으로써, 창 이개 방지부를 창 이개 방향에 저항하는 방향으로 효율적으로 수축시켜, 창 이개 방지용 보조구로서 기능시킬 수 있다. 또, 창 상태가 봉합, 미봉합에 상관없이, 그 창 이개 방지용 보조구를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창 이개 방지용 보조구의, 비장착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2 는, 도 1 에 나타낸 창 이개 방지용 보조구의, 장착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구비한 수축 방지부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4 는, 도 3 에 나타낸 수축 방지부를 구비한 창 이개 방지용 보조구의 비장착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5 는, 도 4 에 나타낸 창 이개 방지용 보조구의 장착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본 발명자는, 예의 연구를 거듭해 가는 과정에서, 창 이개의 한 요인이 생체의 생리적 작용에 수반되는 물리적인 힘과 밀접하게 관계되어 있는 것을 지견하였다.
예를 들어, 근육은, 근막이 갖는 탄성이나 하층에 있는 근선유 등에 의해, 피부에서는, 피부가 갖는 탄성이나 하층에 있는 근조직 등에 의해 항상 생리적 장력을 받고 있다. 근육이나 피부의 봉합시에, 봉합사나 시술자의 손가락 또는 기구 등으로, 봉합하는 근육이나 피부를 끌어당길 필요성이 생기는 것이나, 봉합 후에, 외력에 상관없이도 창 이개가 발생하기 쉬운 것은, 봉합된 근육이나 피부가 창 이개 방향의 생리적 장력을 지속적으로 받고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봉합 후의 창 이개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봉합된 창의 주변 조직이나 봉합사가 받고 있는 창 이개 방향의 생리적 장력을 지속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이 중요해진다. 또, 봉합 후의 자연 치유를 앞당기기 위해서는, 봉합된 창의 주변 조직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것도 필요해진다. 그러나, 봉합된 창의 주변 조직은, 창 이개 방향의 생리적 장력을 지속적으로 받고 있기 때문에, 안정을 유지하는 것이 곤란하다.
여기서, 봉합된 창을 향하여, 창 이개 방향에 저항하는 방향에서 봉합된 창의 주변 조직을 느슨하게 하고, 가볍게 주름을 만들어, 봉합된 창의 주변 조직이 받고 있는 창 이개 방향의 생리적 장력 그리고 그 생리적 장력에 수반되는 봉합사에 작용하는 장력을 지속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은, 봉합 후의 봉합사 절단에 의한 창 이개 그리고 봉합사에 의한 봉합된 창의 주변 조직의 괴사 등에 의한 창 이개를 방지하기 위한 유효한 수단이 된다.
이 유효한 수단을 창 이개 방지용 보조구에 기능으로서 도입함으로써, 봉합된 창의 주변 조직이 받고 있는 창 이개 방향의 생리적 장력 그리고 그 생리적 장력에 수반되는 봉합사에 작용하는 장력을 지속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고, 봉합 후의 봉합사 절단에 의한 창 이개 그리고 봉합사 등에 의한 봉합된 창의 주변 조직의 괴사 등에 의한 창 이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창 이개 방향의 생리적 장력을 지속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창 상태에 따라서는 봉합을 필요로 하지 않을 수도 있게 되고, 좌창이나 교창 등과 같은 일반적으로 봉합이 곤란한 창의 창 이개를 방지하는 것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창 상태가 봉합, 미봉합에 상관없이, 창의 주변 조직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자연 치유를 앞당길 수도 있다.
이들 관점에서 보면, 종래의 창 이개 방지용 보조구에 있어서는, 봉합된 창의 주변 조직이나 봉합사가 받고 있는 창 이개 방향의 생리적 장력에 대한 고려가 이루어지지 않은 것을 알 수 있다.
그래서, 본 발명자는, 봉합된 창의 주변 조직이 받고 있는 창 이개 방향의 생리적 장력 그리고 그 생리적 장력에 수반되는 봉합사에 작용하는 장력을 지속적으로 감소시키는 기능을 도입한 창 이개 방지용 보조구를 제공하기 위해서, 창 이개 방지용 보조구의 재료로서, 의료용으로 사용 가능한 신축성을 갖는 소재를 선택할 것, 또한 생리적 장력을 능가하는 신축력을 갖는 소재를 선택하여 창 이개 방지용 보조구를 구성하는 것을 착상하였다.
창 이개 방지용 보조구의 재료를 이루는 소재로부터 시험편을 잘라내고, 소정의 힘을 가하여 그 늘어난 길이를 측정한다. 그리고, 이 측정한, 부하를 더하여 잡아 늘인 상태의 수치에서, 부하를 제로로 함으로써 수축된 상태의 수치를 차감한 길이 (이하, 수축 거리라고 칭한다) 를 구하고, 이 수축 거리가 상이한 소재를 사용함으로써 생기는, 창 이개 방지용 보조구의 각 부에 있어서의 수축 거리의 차이에 의해 생기는 작용 (장착할 때에 일정한 힘으로 잡아 늘였을 경우, 수축 거리가 긴 부위는, 수축 거리가 짧은 부위보다 더욱 늘어난다. 즉, 장착시에 있어서 수축 거리가 가장 긴 부위가 가장 줄어든다) 과, 소재와 창의 주변 조직의 마찰을 고려하면, 봉합된 창의 주변 조직이나 봉합사가 받고 있는 생리적 장력을 지속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한 수단을 창 이개 방지용 보조구에 기능으로서 도입할 수 있고, 봉합된 창의 주변 조직을 느슨하게 하고, 가볍게 주름을 만들어, 봉합된 창의 주변 조직이 받고 있는 창 이개 방향의 생리적 장력 그리고 그 생리적 장력에 수반되는 봉합사에 작용하는 장력을 지속적으로 감소시키고, 창 이개를 방지할 수 있다는 지견을 얻어,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이하, 도면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창 이개 방지용 보조구를 구성하는 소재의 적절한 선택?조합에 의해, 창 이개 방지부의 장착에 따른 창 이개 방향의 수축 거리가, 유지부의 장착에 따른 창 이개 방향의 수축 거리 이상이 되는 기능을 구비하고, 창 이개 방지부를 창 이개 방향으로 잡아 늘이고, 창 이개 방지부의 장착에 따른 창 이개 방향의 수축 거리가, 창 이개 방지부의 장착에 따른 창 이개 방향에 대한 수직 방향의 수축 거리 이상이 되는 상태에서, 창 및 그 주변 조직에 밀착시키고, 유지부로 고정하여 장착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여기서 말하는 장착에 따른 수축 거리란, 안정시에도 일어날 수 있는 창 이개 방지용 보조구의 각 부의 장착 후에 생기는 신체의 생리적인 움직임 (호흡에 의한 흉위나 복위의 변화 등) 에 의해 잡아 늘여진 상태의 수치에서, 이들 부하를 제로로 함으로써 수축된 상태의 수치를 차감한 길이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창 및 그 주변 조직을 덮는 창 이개 방지부와, 창 이개 방지부를 창 및 그 주변 조직에 밀착시켜 유지하는 기능을 갖는 유지부를 구비하고, 창 이개 방지부의 장착에 따른 창 이개 방향의 수축 거리가, 유지부의 장착에 따른 창 이개 방향의 수축 거리 이상이 되는 것이 필수이고, 유지부의 장착에 따른 창 이개 방향에는, 창 이개 방지부의 장착에 따른 수축 거리와의 차이를 크게 하기 위해서 비신축 기능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봉합된 창의 주변 조직을 느슨하게 하고, 가볍게 주름을 만들어, 봉합된 창의 주변 조직이 받고 있는 창 이개 방향의 생리적 장력 그리고 그 생리적 장력에 수반되는 봉합사에 작용하는 장력을 지속적으로 감소시키고, 창 이개를 방지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기만 하면, 유지부에도 창 이개 방향에 대한 신축 기능을 구비시켜도 된다. 또,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창 이개 방지부를 창 이개 방향으로 잡아 늘이고, 창 이개 방지부의 장착에 따른 창 이개 방향의 수축 거리가, 창 이개 방지부의 장착에 따른 창 이개 방향에 대한 수직 방향의 수축 거리 이상이 되는 상태에서, 창 및 그 주변 조직에 밀착시키고, 창 이개 방지부의 수축력에 의해, 창 이개 방향에 저항하는 방향으로 수축시켜 기능시키도록, 유지부로 고정하여 장착하는 것이다. 또한, 창 이개 방지부의 장착에 따른 창 이개 방향의 수축 거리가, 창 이개 방지부의 장착에 따른 창 이개 방향에 대한 수직 방향의 수축 거리 이상이 되는 상태란, 창 이개 방지부의 장착에 따른 창 이개 방향의 수축 거리가, 창 이개 방지부의 장착에 따른 창 이개 방향에 대한 수직 방향의 수축 거리와 적어도 동등하거나 긴 상태를 말한다.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인 창 이개 방지용 보조구에서는, 봉합부 및 봉합부 주변의 피부를 덮는 창 이개 방지부 (1) 와, 창 이개 방지부 (1) 를 봉합부 및 봉합부 주변의 피부에 밀착시켜 유지하는 기능을 갖는 유지부 (2a, 2b, 2c, 2d, 2e, 2f, 2g, 2h, 2i, 2j, 2k, 2l) 와, 창 이개 방지부 (1) 와 유지부 (2a ~ 2l) 를 접속시키는 접속부 (3a, 3b) 로 구성된다. 유지부 (2a ~ 2l) 는,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장착 상태에서는, 창 이개 방지부 (1) 의 양단에 형성된 접속부 (3a, 3b) 로부터 접속?연장 형성되어 있다. 유지부 (2a, 2b, 2c, 2d, 2e, 2f) 는, 접속부 (3a) 에 접속되고, 유지부 (2g, 2h, 2i, 2j, 2k, 2l) 는, 접속부 (3b) 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장착 상태에 있어서는,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창 이개 방지부 (1) 를 봉합부 및 봉합부 주변의 피부에 밀착시켜 유지하기 위해, 적절한 유지부 (2c, 2d, 2i, 2j) 에 의해 전완 (前腕) 내측부에서, 창 이개 방지부의 수축력에 의해, 창 이개 방향에 저항하는 방향으로 수축시켜 기능시키도록 유지부로 고정하여 장착되고, 불필요한 유지부 (2a, 2b, 2e, 2f, 2g, 2h, 2k, 2l) 는 절제되어 있다. 또, 유지부는, 창 이개 방향으로 배치되고, 또한 창 이개 방지부의 양단에 배치되는 것이 봉합부 및 봉합부 주변의 피부에 밀착시켜 유지시킬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봉합부 (5) 가 창 이개 방지부의 중앙선 (1a) 의 방향에 있는 경우에는, 유지부의 위치는 2c, 2d, 2i, 2j 가 바람직하다.
또한, 도 1 에 있어서, 1a 는 창 이개 방지부의 중앙선을 나타낸다. 도 2 에 있어서, 전완 외측부의 봉합부 (5) 에 대해, 창 이개 방지부의 중앙선 (1a) 을 일치시켜 창 이개 방지용 보조구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고, 「창 이개 방지용 보조구」부분과 「인체」부분을 구별하기 위해서, 「인체」부분을 파선으로 표기하였다.
그 창 이개 방지용 보조구에 있어서, 창 이개 방지부의 장착에 따른 창 이개 방향의 수축 거리가, 상기 유지부의 장착에 따른 창 이개 방향의 수축 거리 이상이 되는 기능을 구비하고, 상기 창 이개 방지부를 창 이개 방향으로 잡아 늘이고, 상기 창 이개 방지부의 장착에 따른 창 이개 방향의 수축 거리가, 상기 창 이개 방지부의 장착에 따른 창 이개 방향에 대한 수직 방향의 수축 거리 이상이 되는 상태에서, 봉합부 및 봉합부 주변의 피부에 밀착시키고, 상기 창 이개 방지부의 수축력에 의해, 창 이개 방향에 저항하는 방향으로 수축시켜 기능시키도록 상기 유지부로 고정하여 장착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유지부는 창 이개 방지부의 양단에 접속부에 의해 접속된다.
이 창 이개 방지용 보조구에서는, 봉합부 및 봉합부 주변의 피부를 충분히 덮는 창 이개 방지부를 구비하는 창 이개 방지용 보조구를 선택하고, 봉합부에 창 이개 방지부의 중앙선을 일치시키고, 창 이개 방지부를 창 이개 방향으로 적절히 잡아 늘이고, 봉합부 및 봉합부 주변의 피부에 밀착시키고, 12 개의 유지부 중에서, 창 이개 방지부를 봉합부 및 봉합부 주변의 피부에 밀착시켜 유지하기 위해 적절한 유지부를 선택하고, 창 이개 방지부의 수축력에 의해 창 이개 방향에 저항하는 방향으로 수축시켜 기능시키도록 유지부로 고정하여 장착한다. 그 후, 불필요한 유지부는 절제한다. 그 때문에, 장착에 의해, 창 이개 방지용 보조구와 봉합부 및 봉합부 주변의 피부 사이에 마찰이 생긴다. 또한, 봉합부 및 봉합부 주변의 피부에 밀착되는 창 이개 방지부의 장착에 따른 수축 거리가, 유지부의 장착에 따른 수축 거리 이상이 되고, 창 이개 방지부의 장착에 따른 창 이개 방향의 수축 거리가, 창 이개 방지부의 장착에 따른 창 이개 방향에 대한 수직 방향의 수축 거리 이상이 되는 차이를 형성하여, 창 이개 방지부의 양단에 접속부를 개재하여 유지부를 접속하고 있기 때문에, 창 이개 방지용 보조구의 장착에 따른 수축 거리의 정도는, 봉합부 및 봉합부 주변의 피부에 밀착되는 창 이개 방지부의 창 이개 방향이 최대가 되고, 창 이개 방향에 저항하는 방향부터 봉합부 주변의 피부를 느슨하게 하고, 가볍게 주름을 만들어, 봉합사나 봉합부 및 봉합부 주변의 피부가 받고 있는 생리적 장력을 지속적으로 감소시키는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창 이개 방지용 보조구의 장착에 수반하여, 봉합부 주변의 피부는, 창 이개 방향에 저항하는 방향부터 느슨해지고, 봉합사나 봉합부 및 봉합부 주변의 피부에 대한 생리적 장력을 지속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창 이개 방지용 보조구에서는, 창의 주변 조직이 받고 있는 생리적 장력을 지속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한 수단을 창 이개 방지용 보조구에 기능으로서 도입할 수 있고, 봉합된 창의 주변 조직을 느슨하게 하고, 가볍게 주름을 만들어, 봉합된 창의 주변 조직이 받고 있는 창 이개 방향의 생리적 장력 그리고 그 생리적 장력에 수반되는 봉합사에 작용하는 장력을 지속적으로 감소시키고, 봉합 후의 봉합사 절단에 의한 창 이개 그리고 봉합사에 의한 봉합된 창의 주변 조직의 혈액 등의 순환 불량을 개선할 수 있고, 봉합된 창의 주변 조직의 괴사 등에 의한 창 이개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창 이개 방지부 (1) 는, 신축성의 베어 천축 소재 (면 89 %, 폴리우레탄 11 %) 로 이루어지고, 장착에 따른 창 이개 방향의 수축 거리가 장착에 따른 창 이개 방향에 대한 수직 방향의 수축 거리보다 길어지는 방향에서 사용하고, 창 이개 방지부 (1) 의 양단을 되접어 꺾어 이중으로 하여, 접속부 (3a, 3b) 로 하였다. 또, 유지부 (2a, 2b, 2c, 2d, 2e, 2f, 2g, 2h, 2i, 2j, 2k, 2l) 는, 신축 기능을 구비하지 않는 면사를 사용한 능직물 소재를 가늘게 하여 끈으로 하고, 전완부에 장착하기 위해 충분한 길이로 하였다. 유지부 (2a, 2b, 2c, 2d, 2e, 2f) 는, 접속부 (3a) 에 봉착되고, 유지부 (2g, 2h, 2i, 2j, 2k, 2l) 는, 접속부 (3b) 에 봉착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창 이개 방지부 (1) 의 형상을 정방형으로 하고, 유지부 (2a ~ 2l) 를 끈으로 했는데, 창 이개 방지부의 장착에 따른 창 이개 방향의 수축 거리가, 유지부의 장착에 따른 창 이개 방향의 수축 거리 이상이 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으면, 용도에 따라 창 이개 방지부 (1) 의 형상은 장방형, 원형, 마름모꼴 등이어도 된다. 또, 유지부 (2a ~ 2l) 는, 용도에 따라 끈의 개수나 길이는 임의여도 되고, 신축성을 가져도 되고, 끈 형상이 아니어도 되고, 유지하기 위해 버튼, 패스너 및 매직 테이프 등을 사용해도 되고, 피부와 밀착되는 면에 의료용의 점착제를 도포해도 된다. 또, 창 이개 방지부 (1) 의 양단을 되접어 꺾어 이중으로 하여, 접속부 (3a, 3b) 로 했는데, 명확한 접속부를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결과적으로, 창 이개 방지부의 장착에 따른 창 이개 방향의 수축 거리가, 유지부의 장착에 따른 창 이개 방향의 수축 거리 이상이 되는 기능을 구비시키면 된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창 이개 방지부 (1), 유지부 (2a ~ 2l), 접속부 (3a, 3b) 를 서로 봉착시켰는데, 전부 및 일부에 봉합선이나 이음매가 없는 제법을 사용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을 창 이개 방지용 보조구에 사용한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소재를 사용하였는데, 구성하는 소재로는, 예를 들어 나일론 등의 화학 섬유 및 비단, 마 등의 천연 섬유 등을 들 수 있고, 창 이개 방지부 (1), 유지부 (2a ~ 2l), 접속부 (3a, 3b) 의 각각에 적절한 통기성, 유연성, 보온성, 내구성 등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은 예시로서, 제한적인 것은 아니다. 또한, 용도에 따라, 플라스틱이나 금속 등의 소재를 사용해도 되고, 의료용으로서 적합하면, 그 밖의 신소재 등을 사용해도 된다.
또한 유지부는, 창 이개 방지부를 창 및 그 주변 조직에 밀착시켜 유지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상기 창 이개 방지부의 장착에 따른 창 이개 방향의 수축 거리가, 상기 유지부의 장착에 따른 창 이개 방향의 수축 거리 이상이 되는 기능을 구비시키고 있으면, 용도에 따라 그 소재나 형상 및 부위 등에 제한을 받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의료용으로서 적합한 점착제만을 유지부로 하고, 창 이개 방지부의 하층의 일부 혹은 전부에 구비해도 되고, 이 때, 유지부의 장착에 따른 창 이개 방향의 수축 거리는, 창 이개 방지부의 장착에 따른 창 이개 방향의 수축 거리와 동등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창 이개 방지부 또는 유지부의 형상에 의해, 유지부의 장착에 따른 창 이개 방향의 수축 거리와, 창 이개 방지부의 장착에 따른 창 이개 방향의 수축 거리와의 차이가 적어도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창 이개 방지용 보조구를 사용한 제 2 실시형태를, 도 3 ~ 도 5 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3 은, 수축 방지부 (4) 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고, 도 4 는, 도 3 에 나타낸 수축 방지부 (4) 를 구비한 창 이개 방지용 보조구의 비장착시의 전면측을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또한, 부호 1 은 창 이개 방지부, 부호 1a 는 창 이개 방지부의 중앙선, 부호 2a, 2b, 2c, 2d, 2e, 2f, 2g, 2h, 2i, 2j, 2k, 2l 은 유지부, 부호 3a, 3b 는 접속부, 부호 4 는 수축 방지부이다.
이 제 2 실시형태에서의 창 이개 방지용 보조구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접속부 (3a, 3b) 를 통형상으로 하고, 도 3 에 나타낸 수축 방지부 (4) 인 コ 형상의 금속을 2 개 사용하고, 이것을 도 4 의 상하 양측에서 밀어 넣음으로써, 창 이개 방지부 (1) 를 창 이개 방향으로 적절히 잡아 늘인 상태로 유지하고, 창 이개 방지부 (1) 의 수축을 방지하고, 창 이개 방지부 (1) 를 봉합부 및 봉합부 주변의 피부에 밀착시키고, 유지부 (2 (2a ~ 2l)) 로 고정하여 장착한 후에, 수축 방지부 (4) 를 떼어내도록 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창 이개 방지부 (1) 를 창 이개 방향으로 잡아 늘인 상태를 유지하여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도 5 는, 도 4 에 나타낸 창 이개 방지용 보조구의 장착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전완 외측부의 봉합부 (5) 에 대해, 창 이개 방지부의 중앙선 (1a) 을 일치시켜 창 이개 방지용 보조구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고, 「창 이개 방지용 보조구」부분과 「인체」부분을 구별하기 위해서, 「인체」부분을 파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4 에 나타내는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 창 이개 방지부 (1) 는, 신축성의 베어 천축 소재 (면 89 %, 폴리우레탄 11 %) 로 이루어지고, 장착에 따른 창 이개 방향의 수축 거리가, 장착에 따른 창 이개 방향에 대한 수직 방향의 수축 거리보다 길어지는 방향에서 사용하고, 창 이개 방지부 (1) 의 양단을 되접어 꺾어 통형상으로 하여, 접속부 (3a, 3b) 로 하였다. 또, 유지부 (2a, 2b, 2c, 2d, 2e, 2f, 2g, 2h, 2i, 2j, 2k, 2l) 는, 신축 기능을 구비하지 않는 면사를 사용한 능직물 소재를 가늘게 하여 끈으로 하고, 전완부에 장착하기 위해서 충분한 길이로 하였다. 유지부 (2a, 2b, 2c, 2d, 2e, 2f) 는, 접속부 (3a) 에 봉착되고, 유지부 (2g, 2h, 2i, 2j, 2k, 2l) 는, 접속부 (3b) 에 봉착되어 있다. 또한, 통형상의 접속부 (3a, 3b) 에는, 도 3 에 나타낸 コ 형상의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수축 방지부 (4) 가 2 개 사용되고, 양측에서 밀어 넣어져 있다.
그리고, 장착 상태에 있어서는,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창 이개 방지부 (1) 를 봉합부 및 봉합부 주변의 피부에 밀착시켜 유지하기 위해 적절한 유지부 (2c, 2d, 2i, 2j) 에 의해 전완 내측부에서, 창 이개 방지부의 수축력에 의해, 창 이개 방향에 저항하는 방향으로 수축시켜 기능시키도록 유지부로 고정하여 장착되고, 불필요한 유지부 (2a, 2b, 2e, 2f, 2g, 2h, 2k, 2l) 는 절제되어 있다. 수축 방지부 (4) 는, 장착 후, 통형상의 접속부 (3a, 3b) 로부터 인발되어 있다. 또, 유지부는, 창 이개 방향으로 배치되고, 또한 창 이개 방지부의 양단에 배치되는 것이 봉합부 및 봉합부 주변의 피부에 밀착시켜 유지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봉합부 (5) 가 창 이개 방지부의 중앙선 (1a) 의 방향에 있는 경우, 유지부의 위치는 2c, 2d, 2i, 2j 가 바람직하다.
또,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접속부 (3a, 3b) 를 통형상으로 하고 コ 형상의 금속을 밀어 넣고, 수축 방지부를 구비한 구성으로 했는데, 수축 방지부는, 창 이개 방지부를 창 이개 방향으로 적절히 잡아 늘인 상태를 유지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기만 하면, 용도에 따라, 그 소재나 형상 및 부위 등에 제한을 받지 않는다.
도 1 및 도 4 에 나타낸 본 발명의 창 이개 방지용 보조구는, 모두, 본 발명의 기본적 구조를 구비하고 있고,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창의 주변 조직이 받고 있는 생리적 장력을 지속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한 수단을 창 이개 방지용 보조구에 기능으로서 도입할 수 있고, 봉합된 창의 주변 조직을 느슨하게 하고, 가볍게 주름을 만들어, 봉합된 창의 주변 조직이 받고 있는 창 이개 방향의 생리적 장력 그리고 그 생리적 장력에 수반되는 봉합사에 작용하는 장력을 지속적으로 감소시켜, 봉합 후의 봉합사 절단에 의한 창 이개 그리고 봉합사에 의한 봉합된 창의 주변 조직의 괴사 등에 의한 창 이개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 제 1,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창 이개 방지용 보조구를 전완 외측부의 봉합된 창에 장착한 예에 대해 설명해 왔는데, 창 상태가 봉합, 미봉합에 상관없이 장착할 수 있다. 또, 전완 외측부에 상관없이, 신체의 각 부위에 장착할 수 있고, 각 부위에 적절한 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말하는 조직에 밀착하여 장착한다는 것은, 조직의 표면에 직접 접하여 밀착하는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습윤 환경을 마련하기 위한 처치나 가제류 등의 봉합부 주변의 조직을 덮는 것을 개재하여 밀착하는 경우도 포함하고 있다. 또, 봉합사를 사용하지 않고, 의료용 접착제나 스테이플러 (호치키스) 등을 사용한 경우에도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또, 본 발명은, 신체의 일부가 상처입어 생긴 해방성 상처인 창에 대해, 창의 이개를 방지하는 효과가 높고, 사용?장착이 용이한 창 이개 방지용 보조구를 제공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혈액 등의 순환 불량에 의한 창의 주변 조직 등의 괴사를 원인으로 하는 창 이개에 대해서는, 재차 봉합해도 효과는 기대할 수 없고, 봉합사를 모두 제거하고, 괴사 조직을 절제하여, 창상 피복재로 덮어 자연 치유에 기대한다는 보존적 치료로 전환해야 한다. 이와 같은 경우에도 본 발명의 창 이개 방지용 보조구는 유효하게 작용한다. 또한 피부 이외의 입술이나 손톱 등의 다른 상피 조직의 창 이개를 방지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의 창 이개 방지용 보조구의 사용은, 피부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의학적으로 유효하면 다른 상피 조직에 사용해도 된다. 또, 창 상태가 봉합, 미봉합에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창 이개 방지용 보조구는, 생리적 장력을 원인으로 하는 창 이개를 방지하는 효과가 매우 높고, 창 상태가 봉합, 미봉합에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고, 의료 업계에 공헌하는 바가 크다.
1 : 창 이개 방지부
1a : 창 이개 방지부의 중앙선
2 : 유지부
2a : 유지부
2b : 유지부
2c : 유지부
2d : 유지부
2e : 유지부
2f : 유지부
2g : 유지부
2h : 유지부
2i : 유지부
2j : 유지부
2k : 유지부
2l : 유지부
3a : 접속부
3b : 접속부
4 : 수축 방지부
5 : 봉합부

Claims (3)

  1. 신체의 일부가 상처입어 생긴 해방성 상처인 창에 대해, 창 및 그 주변 조직을 덮어 장착하고, 창의 이개를 방지하기 위한 창 이개 방지용 보조구로서, 창 및 그 주변 조직을 덮는 창 이개 방지부와, 그 창 이개 방지부를 창 및 그 주변 조직에 밀착시켜 유지시키는 기능을 갖는 유지부와, 상기 창 이개 방지부를 창 이개 방향으로 적절하게 잡아 늘인 상태를 유지하고, 그 창 이개 방지부의 수축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 수축 방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창 이개 방지부의 장착에 따른 창 이개 방향의 수축 거리가, 상기 유지부의 장착에 따른 창 이개 방향의 수축 거리 이상이 되는 기능을 구비하고, 상기 창 이개 방지부를 창 이개 방향으로 잡아 늘이고, 상기 창 이개 방지부의 장착에 따른 창 이개 방향의 수축 거리가, 상기 창 이개 방지부의 장착에 따른 창 이개 방향에 대한 수직 방향의 수축 거리 이상이 되는 상태에서, 상기 창 이개 방지부를 창 및 그 주변 조직에 밀착시키고, 상기 유지부로 고정하여 장착한 후에 상기 수축 방지부를 떼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 이개 방지용 보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창이, 봉합된 상태에 있는 창 이개 방지용 보조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창이, 미봉합 상태에 있는 창 이개 방지용 보조구.
KR1020117027422A 2010-07-29 2011-06-03 창 이개 방지용 보조구 KR1011465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169950 2010-07-29
JPJP-P-2010-169950 2010-07-29
JP2010274442 2010-12-09
JPJP-P-2010-274442 2010-12-09
JP2011083394A JP4790091B1 (ja) 2010-07-29 2011-04-05 創離開防止用補助具
JPJP-P-2011-083394 2011-04-05
PCT/JP2011/062767 WO2012014567A1 (ja) 2010-07-29 2011-06-03 創離開防止用補助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9391A KR20120029391A (ko) 2012-03-26
KR101146548B1 true KR101146548B1 (ko) 2012-05-25

Family

ID=44881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7422A KR101146548B1 (ko) 2010-07-29 2011-06-03 창 이개 방지용 보조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541641B2 (ko)
EP (1) EP2599446A4 (ko)
JP (1) JP4790091B1 (ko)
KR (1) KR101146548B1 (ko)
CN (1) CN102548487B (ko)
WO (1) WO201201456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95846B1 (ja) * 2011-07-07 2012-12-12 有限会社ちょうりゅう 処置対応型創離開防止用補助具
USD733896S1 (en) * 2012-05-04 2015-07-07 Genadyne Biotechnologies, Inc. Abdominal dressing
CN103932752B (zh) * 2014-03-10 2016-04-20 株洲市芦淞区姚家坝乡卫生院 一种用于勃朗氏牵引架包扎的包扎带及包扎方法
US10596041B2 (en) 2014-08-28 2020-03-24 Ascension Texas Apparatuses and methods for minimizing wound dehiscence, scar spread, and/or the like
CN107106333B (zh) 2014-12-19 2020-07-31 3M创新有限公司 粘弹性伤口闭合敷料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124671A2 (en) 2005-05-12 2006-11-23 Canica Design Inc. Dynamic tensioning system and method
WO2009049232A1 (en) 2007-10-11 2009-04-16 Spiracur, Inc. Closed incision negative pressure wound therapy device and methods of use
JP2009545382A (ja) 2006-08-03 2009-12-24 ザ ボード オブ トラスティーズ オブ ザ レランド スタンフォード ジュニア ユニバーシティー 傷跡および/またはケロイドの治療または防止のためのデバイスならびに包帯、ならびにそのための方法およびキット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03218A (en) * 1962-07-11 1963-09-10 Edward P Ajemian Dressing retainer or strap
JPS6044511U (ja) 1983-08-31 1985-03-29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における操向操作装置
CA2262408C (en) * 1999-02-23 2007-10-23 Advanced Therapeutic Technologies At2 Inc. Wound closure system
US6831205B2 (en) * 1999-11-29 2004-12-14 Clozex Medical, Llc Bandage for wound or incision closure
DE102009020763A1 (de) * 2008-05-15 2009-11-19 Aesculap Aktiengesellschaft Wundverschlus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124671A2 (en) 2005-05-12 2006-11-23 Canica Design Inc. Dynamic tensioning system and method
JP2009545382A (ja) 2006-08-03 2009-12-24 ザ ボード オブ トラスティーズ オブ ザ レランド スタンフォード ジュニア ユニバーシティー 傷跡および/またはケロイドの治療または防止のためのデバイスならびに包帯、ならびにそのための方法およびキット
WO2009049232A1 (en) 2007-10-11 2009-04-16 Spiracur, Inc. Closed incision negative pressure wound therapy device and methods of u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2135601A (ja) 2012-07-19
US20120310132A1 (en) 2012-12-06
KR20120029391A (ko) 2012-03-26
CN102548487B (zh) 2014-12-17
US8541641B2 (en) 2013-09-24
WO2012014567A1 (ja) 2012-02-02
EP2599446A4 (en) 2015-07-22
EP2599446A1 (en) 2013-06-05
CN102548487A (zh) 2012-07-04
JP4790091B1 (ja) 2011-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6548B1 (ko) 창 이개 방지용 보조구
CN100586381C (zh) 用于移动组织的按钮锚定系统
CN103415272B (zh) 伤口或皮肤处理装置和方法
US4865031A (en) Fabric and method of use for treatment of scars
RU2694907C2 (ru) Адгезивная пленочная повязка для медицинской компрессии
MXPA05000379A (es) Sistema y metodo para mover y tensar tejido plastico.
KR20120066015A (ko) 어플리케이터 드레싱 장치 및 방법
KR101695339B1 (ko) 굵기를 달리하는 성형수술용 실
US20230190535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wound treatment medical tape
Deakin et al. Suture strength and angle of load application in a suture anchor eyelet
CN101325930A (zh) 腹部压缩装置
US20230346377A1 (en) Band for surgical wound suture
CN207855735U (zh) 一种免缝合胶带
Bayraktar et al. Investigating the knot performance of silk, polyamide, polyester, and polypropylene sutures
Richey et al. Assessment of knot security in continuous intradermal wound closures
KR101709041B1 (ko) 봉합사 이격장치를 포함하는 쌍꺼풀 성형 시스템
JP5095846B1 (ja) 処置対応型創離開防止用補助具
CN217014445U (zh) 一种便于调节松紧度的创面修复用敷料带
CN112754730A (zh) 医用袢环及其制作方法
KR102354859B1 (ko) 피부 봉합 유지장치
CN216724641U (zh) 一种用于皮肤的闭合维持机构
RU216209U1 (ru) Устройство кровоостанавливающее
RU2447843C2 (ru) Способ лапаростомии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CN217611336U (zh) 可收紧双环带袢钛板
CN213249405U (zh) 一种免缝合皮肤愈合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