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6338B1 - 전동차용 주간 제어기 - Google Patents

전동차용 주간 제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6338B1
KR101146338B1 KR1020110126191A KR20110126191A KR101146338B1 KR 101146338 B1 KR101146338 B1 KR 101146338B1 KR 1020110126191 A KR1020110126191 A KR 1020110126191A KR 20110126191 A KR20110126191 A KR 20110126191A KR 101146338 B1 KR101146338 B1 KR 1011463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block
controller
switch
main body
electric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6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식 김
Original Assignee
(주)이건산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건산전 filed Critical (주)이건산전
Priority to KR10201101261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63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63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63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CLOCOMOTIVES; MOTOR RAILCARS
    • B61C17/00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e of control gear and control systems
    • B61C17/12Control gear;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locomotives from remote points in the train or when operating in multiple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00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20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control of the vehicle or its driving motor to achieve a desired performance, e.g. speed, torque, programmed variation of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CLOCOMOTIVES; MOTOR RAILCARS
    • B61C17/00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e of control gear and control systems
    • B61C17/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driving cabins, footplates or engine rooms; Ventilation thereof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9/00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 G05G9/02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 G05G9/04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 G05G9/047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by hand about orthogonal axes, e.g. joystic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2Electric energy management in electromo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차용 주간 제어기에 관한 것으로, 전동차의 속도 변화와 제동, 전진과 후진을 위한 스냅 스위치 작동로드와 스냅 스위치의 블록화를 통해 분해 조립이 용이하고 스냅 스위치를 주행 제어기 또는 역전기의 이동블록 옆에 상하 종방향으로 배열하여 이동블록을 분리하지 않아도 육안 확인 및 보수가 가능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전동차용 주간 제어기는, 전동차의 속도와 제동을 제어하는 주행 제어기(100)와; 상기 전동차의 전진과 후진을 제어하는 역전기(200)를 포함하며, 상기 주행 제어기는, 직선의 가이드장공이 구비된 본체(110), 상기 본체의 내부에 가이드장공을 통해 반매입 상태로 장착되는 주핸들(120), 상기 본체의 내부에 직선 왕복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주핸들이 고정되어 상기 주핸들에 의해 직선 왕복 이동하는 이동블록(130), 상기 이동블록의 일측면 이상에 상하 종방향의 다층으로 장착되는 스위치 작동로드(140), 상기 스위치 작동로드의 이동 경로에 장착되며 상기 스위치 작동로드의 직선 이동시 상기 스위치 작동로드의 일면을 따라 위상이 변화되어 접점이 변화됨으로써 차량의 속도와 제동을 제어하는 다수의 스냅 스위치(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전동차용 주간 제어기{MASTER CONTROLLER FOR SUBWAY TRAIN}
본 발명은 전동차용 주간 제어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동차의 속도 변화와 제동, 전진과 후진을 위한 스냅 스위치 작동로드와 스냅 스위치의 블록화를 통해 분해 조립이 용이한 전동차용 주간 제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동차의 운전실에 구비되는 제어대에는 전동차의 운용과 제어에 필요한 각종 스위치류 및 주간 제어기, 전동차의 차량상태를 현시하는 표시장치, 기관사의 조작에 대응되는 각종 기기들이 설치된다.
주간 제어기는 기관사가 전동차의 속도, 제동을 조작하기 위한 주행 제어기, 전동차를 전진과 후진을 제어하기 위한 역전기가 필수적으로 설치된다.
도 1은 종래 주간 제어기의 주행 제어기를 발췌한 정면도이고, 도 2는 종래 주간 제어기의 주행 제어기를 발췌한 측면도로서,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부분에 대해서만 도시하고 본 발명과 관련없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시를 생략하거나 약식으로 도시한다.
도 1과 도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주행 제어기(10)는, 본체(11), 주핸들(12), 스냅 스위치(13), 스위치 작동캠(1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주핸들(12)은 주행 제어기(10)의 본체(11)에 스핀들(spindle)(12a)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스위치 작동캠(14)은 다수개가 스핀들(12a)에 일렬로 배열되고, 스냅 스위치(13)는 스위치 작동캠(13)의 둘레부에 90ㅀ 간격으로 3개가 설치된다. 예를 들어 스위치 작동캠(14)의 둘레부에는 홈이 형성되며, 스위치 작동캠(14)은 주행 제어기(10) 본체(11)에 장착되며 회전체인 스위치 작동캠(14)의 둘레부를 따라 위상이 변함으로써 신호를 발생한다.
종래 기술에 의한 주간 제어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주핸들(11)의 조작은 다수의 스위치 작동캠(14)을 회전시키며, 스위치 작동캠(14)의 회전에 의해 스위치 작동캠(14)의 둘레부에 배치(각각의 스위치 작동캠(14) 마다 3개씩 배치)된 스냅 스위치(13)의 접점이 변화되어 차량의 속도, 제동을 위한 동작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다수의 스위치 작동캠(14)을 하나의 스핀들(spindle)(12a)에 한줄 조립하여 사용하므로 분해 조립이 어렵고, 중간에 배치된 스위치 작동캠(14)의 교체를 위해서는 교체를 필요로 하지 않는 스위치 작동캠(14)들도 분리하여야 하는 불합리함이 있으며, 또한 부피가 크고 무거운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3개의 스냅 스위치(13)는 90ㅀ간격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스냅 스위치(13)의 육안 확인이 어려우며, 스냅 스위치(13)의 육안 확인을 위하여 주간 제어기(10) 전체를 분해하여야 하므로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스위치 작동캠(14)이 합성수지를 재질로 하여 장시간 사용시 마모가 발생되며 마모로 인하여 오동작이 발생되며, 오동작 이전에 교체를 하여야 하므로 유지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도 있다.
주간 제어기의 주행 제어기(10)뿐만 아니라 역전기도 주행 제어기(10)와 동일한 방식으로 구성되어 주행 제어기(10)가 갖고 있는 문제점을 그대로 안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71947호 대한민국 공개실용공보 제20-1989-0013106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45857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동차의 속도 변화와 제동, 전진과 후진을 위한 스냅 스위치 작동로드와 스냅 스위치의 블록화를 통해 분해 조립이 용이한 전동차용 주간 제어기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냅 스위치의 육안 확인이 용이하고, 주간 제어기 전체를 분해하지 않고 스냅 스위치의 독립적 분해가 가능하도록 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스냅 스위치 작동로드의 내구성을 향상하여 수명을 연장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전동차용 주간 제어기는, 전동차의 속도와 제동을 제어하는 주행 제어기와; 상기 전동차의 전진과 후진을 제어하는 역전기를 포함하며, 상기 주행 제어기는, 직선의 가이드장공이 구비된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반매입 상태로 장착되는 주핸들, 상기 본체의 내부에 직선 왕복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주핸들이 고정되어 상기 주핸들에 의해 직선 왕복 이동하는 이동블록, 상기 이동블록의 일측면 이상에 상하 종방향의 다층으로 장착되는 스위치 작동로드, 상기 스위치 작동로드의 이동 경로에 장착되며 상기 스위치 작동로드의 직선 이동시 상기 스위치 작동로드의 일면을 따라 위상이 변화되어 접점이 변화됨으로써 차량의 속도와 제동을 제어하는 다수의 스냅 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전동차용 주간 제어기의 상기 역전기는 상기 주행 제어기와 동일한 방식으로 이동블록과 스위치 작동로드 및 스냅 스위치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전동차용 주간 제어기에 의하면, 전동차의 속도 변화와 제동, 전진과 후진을 위한 스냅 스위치 작동로드와 스냅 스위치가 각각 블록화되어 단일 공정을 통해 장착과 분리 가능하므로 분해 조립을 위한 작업성을 향상할 수 있다.
그리고, 다수의 스냅 스위치가 상하 종방향으로 배열되어 스위치 작동로드를 분리하지 않아도 스냅 스위치의 확인이 가능하므로 유지보수 작업이 단순화되고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스위치 작동로드가 알루미늄을 재질로 하여 장시간 사용하여도 스냅 스위치와의 마찰로 인한 마모가 발생되지 않으므로 스위치 작동로드의 교체를 위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전동차용 주간 제어기 중 주행 제어기의 측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전동차용 주간 제어기 중 주행 제어기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전동차용 주간 제어기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전동차용 주간 제어기에 적용된 주행 제어기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전동차용 주간 제어기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전동차용 주간 제어기의 평면도.
도 3 내지 도 6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주간 제어기는, 주행 제어기(100)와 역전기(200)로 구성된다.
주행 제어기(100)는 본체(110), 본체(110)에 직선 왕복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주핸들(120), 본체(110) 내부에 장착되며 주핸들(120)에 의해 직선 왕복 이동하는 이동블록(130), 이동블록(130)의 좌우 양측에 각각 다층으로 장착되는 스위치 작동로드(140), 스위치 작동로드(140)의 이동 경로 상에 배치되며 스위치 작동로드(140)에 의해 접점이 변화되어 전동차의 속도와 제동을 제어하는 스냅 스위치(150)로 구성된다.
주핸들(120)은 내부측이 이동블록(130)에 연결되면서 운전자에 의해 조작이 가능하도록 본체(110)의 외부로 돌출되며, 본체(110)에는 주핸들(120)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가이드장공이 형성되고 또한, 상기 가이드장공을 통해 먼지 등의 이물질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브러쉬가 적용될 수 있다.
이동블록(130)은 주핸들(120)의 하단부가 결합되어 주핸들(120)의 직선 이동에 따라 동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며, 직선 이동을 위한 안내수단이 갖추어진다.
상기 안내수단은 예를 들어 본체(110)의 저면에 형성된 레일(111) 및 이동블록(130)의 저부에 형성되며 레일(111)을 따라 직선 이동하는 가이드(131)로 구성된다. 레일(111)과 가이드(131)는 직선 이동을 원활하게 안내함과 아울러 이탈과 비틀림이 발생되지 않도록 더브테일(dovetail)형태의 단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동블록(130)은 주핸들(120)에 체결구를 매개로 하여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취급과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구성된다.
스위치 작동로드(140)는 스냅 스위치(150)의 접점을 변화시키는 것으로 주핸들(120)의 조작에 의해 스냅 스위치(150)의 접점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주핸들(120)에 고정된 이동블록(130)에 일체화된다.
스위치 작동로드(140)와 스냅 스위치(150)는 어느 하나의 유지보수시 유지보수가 필요한 것만 분리할 수 있도록 상하 종방향으로 배열되며, 즉, 스위치 작동로드(140)의 유지보수시 스냅 스위치(150)를 분리하지 않아도 스위치 작동로드(140)의 분리 가능하며, 스냅 스위치(150)의 유지보수시에도 스위치 작동로드(140)를 분리하지 않는다.
스위치 작동로드(140)는 알루미늄을 재질로 하는 판재 또는 막대 형태이며, 스냅 스위치(150)와의 접촉으로 인한 마모가 발생되지 않아 장시간 사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다수의 스위치 작동로드(140)는 이동블록(130)의 좌측 또는 우측 또는 좌측과 우측 모두에 상하 종방향을 따라 다단계로 적층된다.
스위치 작동로드(140)는 다양한 방법으로 고정 가능하며, 예를 들어, 도 4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이동블록(130)에는 하나 이상(바람직하게 2개)의 샤프트(132)가 세워지며, 스위치 작동로드(140)는 샤프트(132)에 결합되는 샤프트공이 형성되어 샤프트(132)에 다단으로 끼워 결합되고, 상부는 커버(133)가 체결구를 통해 이동블록(130)에 결합됨으로써 작동로드(140)가 설치된다.
스냅 스위치(150)는 스위치 작동로드(140)의 이동에 의해 접점이 변화될 수 있도록 스위치 작동로드(140)의 이동 경로상에 배치되며, 도 3에서처럼, 스위치 작동로드(140)의 옆에 상하 종방향으로 배열된다. 다수의 스냅 스위치(150)는 장볼트(151) 등을 통해 일체화된다.
스냅 스위치(150)의 구성은 종래와 동일하고, 스위치 작동로드(140)의 일면을 따라 위상이 변화되어 접점을 변화시키는 것도 동일하므로 이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역전기(200)는 별도의 본체로 구성될 수 있고 또는 주행 제어기(100)의 본체(110)를 공유할 수 있으며 주행 제어기(100)의 본체(110)를 공유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역전기(200)는 역전핸들(220), 본체(110) 내부에 장착되며 역전핸들(220)에 의해 직선 왕복 이동하는 이동블록(230), 이동블록(230)의 좌우 양측에 각각 다층으로 장착되는 스위치 작동로드(240), 스위치 작동로드(240)의 이동 경로 상에 배치되며 스위치 작동로드(240)에 의해 접점이 변화되어 전동차의 속도와 제동을 제어하는 스냅 스위치(250)로 구성된다.
역전핸들(220)은 내부측이 이동블록(230)에 연결되면서 운전자에 의해 조작이 가능하도록 본체(110)의 외부로 돌출되며, 본체(110)에는 역전핸들(220)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가이드장공이 형성되고 또한, 상기 가이드장공을 통해 먼지 등의 이물질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브러쉬가 적용될 수 있다.
이동블록(230)은 역전핸들(220)의 하단부가 결합되어 역전핸들(220)의 직선 이동에 따라 동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며, 직선 이동을 위한 안내수단이 갖추어진다.
상기 안내수단은 예를 들어 본체(110)의 저면에 형성된 레일(112) 및 이동블록(230)의 저부에 형성되며 레일(112)을 따라 직선 이동하는 가이드(231)로 구성된다. 레일(112)과 가이드(231)는 직선 이동을 원활하게 안내함과 아울러 이탈과 비틀림이 발생되지 않도록 더브테일(dovetail)형태의 단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위치 작동로드(240)는 스냅 스위치(250)의 접점을 변화시키는 것으로 역전핸들(220)의 조작에 의해 스냅 스위치(250)의 접점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역전핸들(220)에 고정된 이동블록(230)에 일체화된다.
스위치 작동로드(240)와 스냅 스위치(250)는 어느 하나의 유지보수시 유지보수가 필요한 것만 분리할 수 있도록 상하 종방향으로 배열되며, 즉, 스위치 작동로드(240)의 유지보수시 스냅 스위치(250)를 분리하지 않아도 스위치 작동로드(240)의 분리 가능하며, 스냅 스위치(250)의 유지보수시에도 스위치 작동로드(240)를 분리하지 않는다. 스위치 작동로드(240)와 스냅 스위치(250)는 전술한 주행 제어기(100)의 스위치 작동로드(140) 및 스냅 스위치(150)와 동일한 구조(도 4와 동일한 방식 즉, 이동블록(230)에 샤프트가 세워져 스위치 작동로드(240)가 상기 샤프트에 끼워 결합되며, 상부에서 커버가 결합되는 구성)로 적용된다.
지금까지는 주행 제어기(100)와 역전기(200)가 함께 있는 것으로 설명하고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에 적용된 주행 제어기(100)와 역전기(200)는 각각 독립적으로 사용되며 즉 본 발명 주행 제어기(100)와 종래 역전기의 조합, 종래 주행 제어기와 본 발명 역전기(200)의 조합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한 전동차용 주간 제어기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1. 주행 제어기(100).
전동차의 속도, 제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주행 제어기(100)의 주핸들(120)을 조작하며, 주핸들(120)에는 예를 들어 역행(P1~P4), 타행(N), 상용제동(B1~B7), 비상제동(EB)이 있으며, 주핸들(120)은 주간 제어기의 키가 "ON" 위치에 있고 역전기(200)의 역전핸들(220)이 "F" 또는 "R" 위치에 있을 때만 조작이 가능하다.
상기의 조건에서 주핸들(120)을 조작하면, 주핸들(120)은 본체(110)의 가이드장공을 따라 직선 이동(전진 또는 후진)하며, 주핸들(120)에 고정된 이동블록(130)은 가이드(131)와 레일(111)의 안내를 받아 전진 또는 후진한다.
이동블록(130)의 전진 또는 후진시 스위치 작동로드(140)가 함께 전진 또는 후진하며, 이 과정에서 본체(110)에 고정된 스냅 스위치(150)들의 접점이 변화되어 차량의 속도와 제동을 제어한다.
한편, 스냅 스위치(150)의 오동작 등으로 인한 교체시 또는 육안 확인시 다수의 스냅 스위치(150)가 이동블록(130)의 옆에 상하 종방향으로 배열되어 이동블록(130)을 분리하지 않아도 외부에서 육안 확인이 가능하므로 유지보수가 매우 편리하다.
2. 역전기(200).
전동차의 전진/후진을 위해서는 역전기(200)를 작동시키며, 역전핸들(220)에는 예를 들어 전진(F), 중립(N), 후진(R)이 있다. 역전핸들(220)은 주간 제어기의 키가 "ON" 위치에 있고, 주핸들(120)이 "N" 위치에 있을 때만 조작이 가능하다.
상기 조건에서 전동차의 전진 또는 후진을 위하여 역전핸들(220)을 조작(직선 이동)하면, 이동블록(230)이 레일(112)과 가이드(231)의 안내를 받아 직선 이동하고, 이때, 스위치 작동로드(240)에 의해 스냅 스위치(250)의 접점이 변화되어 전진, 중립, 후진으로 제어된다.
100 : 주행 제어기, 110 : 본체
111,112 : 레일, 120 : 주핸들
130,230 : 이동블록, 140,240 : 스위치 작동로드
150,250 : 스냅 스위치, 200 : 역전기
220 : 역전핸들,

Claims (8)

  1. 전동차의 속도와 제동을 제어하는 주행 제어기(100)와;
    상기 전동차의 전진과 후진을 제어하는 역전기(200)를 포함하며,
    상기 주행 제어기는, 직선의 가이드장공이 구비된 본체(110), 상기 본체의 내부에 상기 가이드장공을 통해 반매입 상태로 장착되는 주핸들(120), 상기 본체의 내부에 직선 왕복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주핸들이 고정되어 상기 주핸들에 의해 직선 왕복 이동하는 이동블록(130), 상기 이동블록의 일측면 이상에 상하 종방향의 다층으로 장착되는 스위치 작동로드(140), 상기 스위치 작동로드의 이동 경로에 장착되며 상기 스위치 작동로드의 직선 이동시 상기 스위치 작동로드의 일면을 따라 위상이 변화되어 접점이 변화됨으로써 차량의 속도와 제동을 제어하는 다수의 스냅 스위치(150),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레일(111), 상기 주행 제어기의 이동블록(130)의 저부에 장착되며 상기 레일(111)을 따라 직선 이동하여 상기 주행 제어기의 이동블록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131)를 포함하여, 상기 주행 제어기의 이동블록(130)은 상기 가이드(131)와 레일(111)의 안내를 받아 직선 왕복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용 주간 제어기.
  2. 전동차의 속도와 제동을 제어하는 주행 제어기(100)와;
    상기 전동차의 전진과 후진을 제어하는 역전기(200)를 포함하며,
    상기 역전기(200)는, 본체의 내부에 반매입 상태로 장착되는 역전핸들(220), 상기 본체의 내부에 직선 왕복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역전핸들이 고정되어 상기 역전핸들에 의해 직선 왕복 이동하는 이동블록(230), 상기 이동블록(230)의 일측면 이상에 상하 종방향의 다층으로 장착되는 스위치 작동로드(240), 상기 스위치 작동로드(240)의 이동 경로에 장착되며 상기 스위치 작동로드(240)의 직선 이동시 상기 스위치 작동로드의 일면을 따라 위상이 변화되어 접점이 변화됨으로써 차량의 속도와 제동을 제어하는 다수의 스냅 스위치(250),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레일(112), 상기 역전기의 이동블록(230)의 저부에 장착되며 상기 레일(112)을 따라 직선 이동하여 상기 역전기의 이동블록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231)를 포함하여, 상기 역전기의 이동블록(230)은 상기 가이드(231)와 레일(112)의 안내를 받아 직선 왕복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용 주간 제어기.
  3. 전동차의 속도와 제동을 제어하는 주행 제어기(100)와;
    상기 전동차의 전진과 후진을 제어하는 역전기(200)를 포함하며,
    상기 주행 제어기는, 직선의 가이드장공이 구비된 본체(110), 상기 본체의 내부에 상기 가이드장공을 통해 반매입 상태로 장착되는 주핸들(120), 상기 본체의 내부에 직선 왕복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주핸들이 고정되어 상기 주핸들에 의해 직선 왕복 이동하는 이동블록(130), 상기 이동블록의 일측면 이상에 상하 종방향의 다층으로 장착되는 스위치 작동로드(140), 상기 스위치 작동로드의 이동 경로에 장착되며 상기 스위치 작동로드의 직선 이동시 상기 스위치 작동로드의 일면을 따라 위상이 변화되어 접점이 변화됨으로써 차량의 속도와 제동을 제어하는 다수의 스냅 스위치(150),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레일(111), 상기 주행 제어기의 이동블록(130)의 저부에 장착되며 상기 레일(111)을 따라 직선 이동하여 상기 주행 제어기의 이동블록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131)를 포함하고,
    상기 역전기(200)는, 상기 주행 제어기의 본체(110)의 내부에 반매입 상태로 장착되는 역전핸들(220), 상기 본체의 내부에 직선 왕복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역전핸들이 고정되어 상기 역전핸들에 의해 직선 왕복 이동하는 이동블록(230), 상기 이동블록(230)의 일측면 이상에 상하 종방향의 다층으로 장착되는 스위치 작동로드(240), 상기 스위치 작동로드(240)의 이동 경로에 장착되며 상기 스위치 작동로드(240)의 직선 이동시 상기 스위치 작동로드의 일면을 따라 위상이 변화되어 접점이 변화됨으로써 차량의 속도와 제동을 제어하는 다수의 스냅 스위치(250),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레일(112), 상기 역전기의 이동블록(230)의 저부에 장착되며 상기 레일(112)을 따라 직선 이동하여 상기 역전기의 이동블록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23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용 주간 제어기.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제어기의 스위치 작동로드 또는 상기 역전기의 스위치 작동로드는 알루미늄을 재질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용 주간 제어기.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주행 제어기의 상기 스위치 작동로드(140)는 상기 주행 제어기의 이동블록(130)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샤프트에 끼워 결합된 후 상기 이동블록(130)에 체결구를 통해 체결되는 커버에 의해 설치되고, 상기 스냅 스위치(150)는 다단으로 적층되어 장볼트를 통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용 주간 제어기.
  8.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역전기의 스위치 작동로드(240)는 상기 역전기의 이동블록(230)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샤프트에 끼워 결합된 후 상기 이동블록(230)에 체결구를 통해 체결되는 커버에 의해 설치되고, 상기 스냅 스위치(250)는 다단으로 적층되어 장볼트를 통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용 주간 제어기.
KR1020110126191A 2011-11-29 2011-11-29 전동차용 주간 제어기 KR1011463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6191A KR101146338B1 (ko) 2011-11-29 2011-11-29 전동차용 주간 제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6191A KR101146338B1 (ko) 2011-11-29 2011-11-29 전동차용 주간 제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6338B1 true KR101146338B1 (ko) 2012-05-21

Family

ID=46272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6191A KR101146338B1 (ko) 2011-11-29 2011-11-29 전동차용 주간 제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6338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44596A (zh) * 2014-07-07 2014-09-17 南京南车浦镇城轨车辆有限责任公司 一种司机控制器
CN107933583A (zh) * 2016-12-27 2018-04-20 西安铁路信号有限责任公司 一种高速动车组司机控制器
CN110949143A (zh) * 2019-12-14 2020-04-03 湘潭新昕通用电气有限公司 一种新型矿山电机车用司机控制装置
KR20200094291A (ko) 2019-01-30 2020-08-07 주식회사 우진기전 전동차의 주간제어기의 통신 시스템
CN112469611A (zh) * 2018-07-03 2021-03-09 西门子交通有限公司 轨道车辆的驱动控制器
KR20240026659A (ko) 2022-08-22 2024-02-29 주식회사 현태 철도차량 비접촉식 주간제어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81625A (ja) * 1988-05-09 1989-11-13 Mic Electron Co 組立て式スライドスイッチ
JP2007287594A (ja) 2006-04-20 2007-11-01 Asahi Denso Co Ltd インヒビタスイッチ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10045861A (ko) * 2009-10-28 2011-05-04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역전기 조작 실수 방지 시스템 및 방법
KR20110045857A (ko) * 2009-10-28 2011-05-04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역전기능을 가지는 일체형 주간제어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81625A (ja) * 1988-05-09 1989-11-13 Mic Electron Co 組立て式スライドスイッチ
JP2007287594A (ja) 2006-04-20 2007-11-01 Asahi Denso Co Ltd インヒビタスイッチ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10045861A (ko) * 2009-10-28 2011-05-04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역전기 조작 실수 방지 시스템 및 방법
KR20110045857A (ko) * 2009-10-28 2011-05-04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역전기능을 가지는 일체형 주간제어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44596A (zh) * 2014-07-07 2014-09-17 南京南车浦镇城轨车辆有限责任公司 一种司机控制器
CN107933583A (zh) * 2016-12-27 2018-04-20 西安铁路信号有限责任公司 一种高速动车组司机控制器
CN112469611A (zh) * 2018-07-03 2021-03-09 西门子交通有限公司 轨道车辆的驱动控制器
CN112469611B (zh) * 2018-07-03 2024-05-24 西门子交通有限公司 轨道车辆的驱动控制器
KR20200094291A (ko) 2019-01-30 2020-08-07 주식회사 우진기전 전동차의 주간제어기의 통신 시스템
CN110949143A (zh) * 2019-12-14 2020-04-03 湘潭新昕通用电气有限公司 一种新型矿山电机车用司机控制装置
KR20240026659A (ko) 2022-08-22 2024-02-29 주식회사 현태 철도차량 비접촉식 주간제어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6338B1 (ko) 전동차용 주간 제어기
WO2013031630A1 (ja) 車両受渡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軌道系交通システム
US9452763B2 (en) Guide-rail track vehicle, and method for changing distance between guidance wheels
US4842225A (en) Device for operating a railroad switch
CN102431561A (zh) 一种悬挂式单轨小车和悬挂式单轨交通系统
JP2012171544A (ja) 分岐装置及び軌道系交通システム
WO2016140160A1 (ja) 自律走行車両の車体構造
CN110342435A (zh) 一种防爆agv车
KR890008401A (ko) 철로 전철기 모터 시스템
JP2008527269A (ja) ギアのための切換装置
ITTO20110579A1 (it) Gruppo porte per veicoli su rotaia, in particolare per treni metropolitani
KR20190017901A (ko) 레일 운반 시스템 및 레일 운반 시스템을 위한 레일 차량
CN202732919U (zh) 电控气动换档手柄机构、采用该机构的变速系统和车辆
CN101700776A (zh) 一种轨道式搬运车的驱动机构
CN201649737U (zh) 多层升降横移立体停车库的载车板提升降落传动装置
CN102482060B (zh) 用于运客装置的驱动系统
JP2006290076A (ja) 可動柵装置
CN102427985B (zh) 具有沿单个行车道被引导的车辆的交通设备
JP2007314170A (ja) 路面及び線路走行用の入替器
EP3224179B1 (de) Führungseinrichtung für ein aufzugsystem
US3854412A (en) Switch for use in a magnetic suspension railroad
CN208021482U (zh) 一种道岔和具有其的轨道交通系统
KR20120131456A (ko) 자동화 수동변속기의 변속장치
JP6411030B2 (ja) 分岐システム
CN202937026U (zh) 无轨导向式车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