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6195B1 - 동력 전달 부유식 차집관로 검사장치 - Google Patents

동력 전달 부유식 차집관로 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6195B1
KR101146195B1 KR1020100011335A KR20100011335A KR101146195B1 KR 101146195 B1 KR101146195 B1 KR 101146195B1 KR 1020100011335 A KR1020100011335 A KR 1020100011335A KR 20100011335 A KR20100011335 A KR 20100011335A KR 101146195 B1 KR101146195 B1 KR 1011461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ating body
water
floating
collecting pipe
buoyancy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1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1957A (ko
Inventor
이태우
정지윤
허영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영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영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영기술
Priority to KR10201000113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6195B1/ko
Publication of KR201100919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19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61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6195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의 흐름에 의해 틀어짐 없이 곧바르게 이동하며 차집관로의 내부를 촬영하여 차집관로의 이상 유무를 검사할 수 있도록 한 동력전달 부유식 차집관로 검사 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집관로 검사장치에 있어서, 차집관로의 내부를 촬영하는 CCTV 장비와, 상기 CCTV 장비를 받쳐주며 양단부에 구비되어 있는 부력탱크의 부력으로 상기 CCTV 장비를 차집관로 내부를 흘러가는 물 위로 부상시키는 부상체를 포함하며, 상기 부력탱크는 상기 차집관로의 내주면에 인접되게 위치한 상태에서 물의 흐름 변화에 따라 상기 차집관로의 내주면에 부딪치며 상기 부상체의 틀어짐을 방지토록 하며, 상기 부상체의 후방 아래에는 모터의 동력으로 회전하며 물 위로 부상한 부상체가 이동할 수 있도록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프로펠러가 더 장착된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동력 전달 부유식 차집관로 검사장치{APPARATUS OF TESTING COLLECTING PIPE}
본 발명은 차집관로 검사 장치에 관련되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물의 흐름에 의해 틀어짐 없이 곧바르게 이동하며 차집관로의 내부를 촬영하여 차집관로의 이상 유무를 검사할 수 있도록 한 동력전달 부유식 차집관로 검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집관로는 합류식에서 청천시의 하수나 우천시 일정량의 하수를 차집하여 하수처리장으로 수송하기 위한 관로를 말한다.
한편, 이러한 차집관로는 장기간 사용으로 인하여 내부에 부식이 발생하거나, 슬러지 등이 내부에 침적되어 유량의 흐름을 방해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일정기간 마다 차집관로의 내부 이상 유무를 검사하게 되는 데, 차집관로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기 위한 검사작업은 작업자가 들어갈 수 있는 큰 직경의 관로이면 작업자에 의하여 간단하게 확인될 수 있지만, 대부분의 차집관로는 그 직경이 작업자가 들어갈 수 없을 정도의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작업자에 의한 직접적인 확인이 불가능하며, 따라서 통상 자체 구동이 가능한 촬영장비인 CCTV장비를 관로 내부에 투입시켜 관로의 내부 상태를 촬영하며 검사하게 된다.
그러나 차집관로 내에는 항상 일정량의 물이 흐르고 있고, 특히 흐르는 물의 탁도가 높아 관로의 내부 상태를 보다 정확히 촬영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차집관로를 검사할 때에는 검사하고자 하는 점검 구간의 양단을 차단한 다음, 차집관로 내부에 잔류하는 물을 외부로 펌핑한 다음, CCTV장비를 관로 내부로 투입시키게 되는 데, 이러한 작업방식은 공사비가 지나치게 높다는 단점과 함께 작업속도가 느려 실용적이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근래 들어서는 뗏목식으로 CCTV 장비를 물에 띄울 수 있도록 하여 점검 구간을 차단할 필요없이 곧바로 차집관로로 투입시켜 차집관로 내부를 촬영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이는 CCTV장비가 물에 떠 있는 특성상 차집관로를 흘러가는 유속의 흐름에 따라 CCTV장비가 한 방향으로 회전하거나 흔들려 촬영하고자 하는 부위를 정확히 촬영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CCTV 장비를 받쳐주는 본체의 양단에 부력탱크를 설치하여 CCTV 장비를 물에 띄운 상태로 이송시켜 가며 관로의 내부를 촬영하도록 한 차집관로 검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부력탱크의 길이를 길게 제작하여 관로의 내주면에 인접되게 위치한 상태에서 물의 흐름에 따라 CCTV장비를 실은 부상체가 한 방향으로 틀어지려 할 때, 관로의 내주면에 부딧치며 CCTV장비가 틀어지지 않도록 함으로서 촬영부위를 흔들림없이 정확히 촬영할 수 있도록 한 차집관로 검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집관로 검사장치에 있어서, 차집관로의 내부를 촬영하는 CCTV 장비와, 상기 CCTV 장비를 받쳐주며 양단부에 구비되어 있는 부력탱크의 부력으로 상기 CCTV 장비를 차집관로 내부를 흘러가는 물 위로 부상시키는 부상체를 포함하며, 상기 부력탱크는 상기 차집관로의 내주면에 인접되게 위치한 상태에서 물의 흐름 변화에 따라 상기 차집관로의 내주면에 부딪치며 상기 부상체의 틀어짐을 방지토록 하며, 상기 부상체의 내부에는 부상체의 부력을 조절하는 밸러스트 탱크가 설치되고, 상기 부상체의 후방 아래에는 모터의 동력으로 회전하며 물 위로 부상한 부상체가 이동할 수 있도록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프로펠러가 더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력전달 부유식 차집관로 검사장치는 물의 흐름에 따라 CCTV장비를 실은 부상체가 한 방향으로 틀어지려 할 때, 부상체의 양단부에 구비된 부력탱크들이 관로의 내주면에 부딧치며 부상체가 틀어지지 않고 곧바르게 흘러갈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서 촬영부위를 정확히 촬영할 수 있는 작용효과를 구현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프로펠러의 추진력을 이용하여 부상체를 이동시키도록 함으로서 차집관로 내부에 물이 고여 있는 상태에서도 부상체를 이동시켜 가며 점검작업을 행할 수 있는 작용효과를 구현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동력전달 부유식 차집관로 검사장치의 구성을 측면에서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동력전달 부유식 차집관로 검사장치의 평면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의 A-A선을 따라 절개하여 도시한 도면.
도 4는 직경이 크게 제작된 차집관로 내부로 투입된 검사장치의 사용상태를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후술 될 상세한 설명에서는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있어 대표적인 실시 예를 제시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으로 제시될 수 있는 다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설명으로 대체한다.
본 발명에서는 CCTV 장비를 받쳐주는 본체의 양단에 부력탱크를 설치하여 CCTV 장비를 물에 띄운 상태로 이송시켜 가며 관로의 내부를 촬영하도록 하고, 또한 물의 흐름에 따라 CCTV장비를 실은 부상체가 한 방향으로 틀어지려 할 때, 상기 부력탱크들이 관로의 내주면에 부딧치며 부상체가 틀어지지 않고 곧바르게 흘러갈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서 촬영부위를 흔들림없이 정확히 촬영할 수 있도록 한 동력전달 부유식 차집관로 검사장치를 구현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CCTV 장비를 받쳐주는 부상체가 차집관로를 흘러가는 물의 유속으로만 전진하는 것이 아니라, 부상체 후방에 프로펠러를 설치하여 상기 프로펠러의 추진력으로 부상체를 이동시키도록 함으로서 차집관로에 물이 고여있더라도 부상체를 이동시켜 가며 점검작업을 행할 수 있는 동력전달 부유식 차집관로 검사장치를 구현하고자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동력전달 부유식 차집관로 검사장치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동력전달 부유식 차집관로 검사장치의 평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A-A선을 따라 절개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동력전달 부유식 차집관로 검사장치(100)는 CCTV 장비(10)와, 상기 CCTV 장비(10)를 지탱하는 부상체(20) 및 상기 부상체(20)를 물 위로 부상시키는 부력탱크(5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CCTV 장비(10)는 차집관로(200)의 내부로 투입되어 차집관로(200) 내부에 부식이 발생하거나, 슬러지 등이 내부에 침적되어 유량의 흐름을 방해하는 지의 이상 유무를 촬영하는 장비를 말한다. 상기 CCTV 장비(10) 아래에는 구동바퀴(12) 및 아이들바퀴(14)들이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바퀴(12)는 CCTV 장비(10)에 구비되어 있는 구동원(미 도시 함)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며 CCTV 장비(10)를 자체적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부상체(20)는 상기 CCTV 장비(10)를 받쳐준 상태에서 자체 부상력과, 부력탱크(50)의 부력으로 차집관로(200) 내부를 흐르는 물 위로 CCTV 장비(10)를 부상시킨 상태로 지탱하는 수단이다. 상기 부상체(20)의 상면에는 양측으로 장홈(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장홈(22)으로는 CCTV 장비(10)의 구동바퀴(12) 및 아이드바퀴(14)들이 끼워지도록 함으로서 구동바퀴(12)가 부상체(20)의 상면에 접촉되지 않도록 하여 구동바퀴(12)가 회전하더라도 CCTV 장비(10)가 부상체(20) 상면에서 이동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장홈(22)에 끼워져 있는 구동바퀴(12)에는 부상체(20)에 내설되어 있는 동력전달수단(30)인 피동바퀴(32)가 접촉하며 상기 구동바퀴(12)의 구동을 전달받아 회전하도록 한다.
상기 부상체(20)의 후방 아래에는 프로펠러(30)가 장착되며, 상기 프로펠러(30)는 부상체(20)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모터(32)와 샤프트(34)로 연결 구성되어, 모터(32)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며 부상체(20)가 이동할 수 있는 추진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 프로펠러(30)의 추진력을 통해 부상체(20)는 차집관로 (200) 내부에 물이 흘러가지 않고 고여 있는 상태에서도 이동하며 차집관로(200) 내부를 점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부상체(20)의 내부에는 밸러스트 탱크(70)가 더 포함되어 설치된다. 상기 밸러스트 탱크(70)는 물주입구(72)를 통해 외부에서 공급된 물을 저장하거나 혹은 저장된 물을 물배출구(74)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켜 부상체(20)의 부력을 조절하게 된다.
상기 부력탱크(50)는 CCTV 장비(10)를 받쳐주고 있는 부상체(20)를 물 위로 부상시키는 수단으로서, 원통의 단면 형태를 가지며 소정의 길이를 가지도록 제작한다. 상기한 부력탱크(50)는 동일한 구조로 하여 부상체(20)의 양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부상체(20)를 부상시키는 역할과 함께 부상체(20)가 차집관로(200) 내부로 투입되면 차집관로(200)의 내경에 인접되게 위치한 상태에서(대략 5차집관로의 내경에서 5cm 정도 떨어져 있는 상태) 물의 흐름에 따라 부상체(20)가 한 방향으로 틀어지려 할 때, 상기 부력탱크(50)들이 차집관로(200)의 내주면에 부딪치도록 하여 부상체(20)가 틀어짐 없이 곧바르게 이동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서 부상체(20)에 올려져 있는 CCTV 장비(10)가 촬영부위를 정확히 촬영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부상체(20)가 한 방향으로 틀어지려 하면 부력탱크(50)가 차집관로(200)의 내주면에 부딧치며 부상체(20)가 틀어질 수 있는 공간이 발생하지 않도록 함으로서 물의 흐름에 상관없이 부상체(20)가 곧바르게 흘러갈 수 있도록 유도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력탱크(50)는 다양한 재질로 제작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차집관로(200)의 충돌에 따른 내구성 및 물과의 접촉에 따른 내식성을 고려하여 금속재인 스테인레스 재질로 성형함이 가장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부력탱크(50)와 부상체(20)는 폭 조절용 지지대(60)로 연결 구성된다. 상기 폭 조절용 지지대(60)는 부상체(20)의 양단부에 부력탱크(50)를 연결 고정하고, 또한 차집관로(200)의 직경 크기에 맞추어 부상체(20)와 부력탱크(50) 사이 간격을 조절하여 차집관로(200)의 직경 크기에 상관없이 부력탱크(50)를 차집관로(200)의 내주면에 인접되게 위치시키도록 하는 수단이다.
상기한 폭 조절용 지지대(60)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는 다수개의 단위 폭 조절용 지지대(60a, 60b, 60c)들로 구성한 상태에서 하나의 단위 폭 조절용 지지대(60a)의 내부에 다른 단위 폭 조절용 지지대(60b)를 끼워넣어 다단식으로 구성하여 부상체(20)와 부력탱크(50)의 사이 간격 조절시, 각 단위 폭 조절용 지지대(60a, 60b, 60c)를 하나씩 인출시키거나 또는 삽입시켜 가며 부상체(20)와 부력탱크(50)의 사이 간격을 조절하게 된다. 이때 각 단위 폭 조절용 지지대(60a, 60b, 60c)에는 비록 도면상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별도의 스토퍼를 장착하여 단위 폭 조절용 지지대(60a, 60b, 60c)들이 어느 정도 인출되고 나면 스토퍼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동력전달 부유식 차집관로 검사장치의 작용을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차집관로(200)의 내부로 투입되어 차집관로(200) 내부에 부식이 발생하거나, 슬러지 등이 내부에 침적되어 유량의 흐름을 방해하는 지의 이상 유무를 검사하고자 할 때에는 CCTV 장비(10)가 올려져 있는 부상체(20)를 차집관로(200) 내부로 투입시키게 되면 상기 부상체(20)는 차집관로(200) 내부를 흘러가고 있는 물 위로 CCTV 장비(10)를 부상시킨 상태에서 이동하게 되며, 상기 부상체(20)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CCTV 장비(10)는 차집관로(200)의 내부에 부식 등의 이상 유무가 있는 지를 촬영하게 된다. 이때, 부상체(20)는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모터(32)의 동력으로 회전하는 프로펠러(30)의 추진력을 통해 이동하게 되는 데, 이와 같이 부상체(20)가 프로펠러(30)의 추진력으로 자체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차집관로(200) 내부의 물이 흐르지 않고 고여 있는 상황에서도 부상체(20)는 이동하며 차집관로(200) 내부를 점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부상체(20)가 차집관로(200) 내부를 이동하는 과정에서 물의 흐름 변화로 인해 부상체(20)가 한 방향으로 틀어지려 할 때, 상기 부력탱크(50)들이 차집관로(200)의 내주면에 부딪치며 부상체(20)가 틀어질 수 있는 공간이 발생하지 않도록 함으로서 물의 흐름에 상관없이 부상체(20)가 곧바르게 흘러갈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으며, 따라서 부상체(20)에 올려져 있는 CCTV 장비(10)가 촬영부위를 정확히 촬영할 수 있도록 한다.
또 한편으로, 검사과정에서 도 4에서와 같이 직경이 크게 제작된 차집관로(200a)의 내부를 검사하고자 할 때에는 이에 맞추어 부상체(20)와 부력탱크(50) 사이 간격을 넓혀주어야 하며, 이때에는 부상체(20)와 부력탱크(50)를 연결 지지하는 폭 조절용 지지대(60)의 각 단위 폭 조절용 지지대(60a, 60b, 60c)를 인출시켜 부상체(20)와 부력탱크(50)의 사이 간격을 넓혀줌으로서 직경이 크게 제작된 차집관로(200a)의 내주면에 부력탱크(50)를 인접되게 위치시켜 검사과정에서 물의 흐름 변화로 인해 부상체(20)가 한 방향으로 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CCTV 장비 20: 부상체
30: 프로펠러 50: 부력탱크
60: 폭 조절용 지지대 200: 차집관로

Claims (1)

  1. 차집관로 검사장치에 있어서,
    차집관로(200)의 내부를 촬영하는 CCTV 장비(10)와;
    상기 CCTV 장비(10)를 받쳐주며 양단부에 구비되어 있는 부력탱크(50)의 부력으로 상기 CCTV 장비(10)를 차집관로(200) 내부를 흘러가는 물 위로 부상시키는 부상체(20)를 포함하며;
    상기 부력탱크(50)는 스테인레스 재질을 이용하여 원통의 단면 형태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도록 제작된 상태에서 상기 부상체(20)의 양단부에 수평으로 누운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차집관로(200)의 내주면에 인접되게 위치한 상태에서 물의 흐름 변화에 따라 상기 부상체(20)가 틀어지려 할 때, 상기 차집관로(200)의 내주면에 부딪치며 상기 부상체(20)의 틀어짐을 방지토록 하며;
    상기 부상체(20)와 부력탱크(50)는 인출 가능하게 다단식으로 끼워지는 다수개의 단위 폭 조절용 지지대(60a, 60b, 60c)들로 연결 구성하여 상기 차집관로(200)의 직경 크기에 맞추어 상기 단위 폭 조절용 지지대(60a, 60b, 60c)를 하나씩 인출시키거나 삽입시켜 가며 부상체(20)와 부력탱크(50) 사이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부상체(20)의 내부에는 물주입구(72)를 통해 외부에서 공급되는 물을 저장하거나 또는 저장된 물을 물배출구(74)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켜 상기 부상체(20)의 부력을 조절하는 밸러스트 탱크(70)가 설치되고;
    상기 부상체(20)의 후방 아래에는 모터(32)와 샤프트(34)로 연결 구성되어, 상기 모터(32)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며 물 위로 부상한 부상체(20)가 이동할 수 있도록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프로펠러(30)가 더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전달 부유식 차집관로 검사장치.
KR1020100011335A 2010-02-08 2010-02-08 동력 전달 부유식 차집관로 검사장치 KR1011461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1335A KR101146195B1 (ko) 2010-02-08 2010-02-08 동력 전달 부유식 차집관로 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1335A KR101146195B1 (ko) 2010-02-08 2010-02-08 동력 전달 부유식 차집관로 검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1957A KR20110091957A (ko) 2011-08-17
KR101146195B1 true KR101146195B1 (ko) 2012-05-24

Family

ID=44928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1335A KR101146195B1 (ko) 2010-02-08 2010-02-08 동력 전달 부유식 차집관로 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61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5312A (ko) 2017-01-18 2018-07-26 주식회사 유엔지니어링 부유식 차집관로 검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86417B2 (en) * 2018-09-17 2023-06-27 Timothy Healy Apparatus for autonomous pipeline assessment
KR101963417B1 (ko) * 2018-10-26 2019-03-28 (주)와콘엔지니어링 상ㆍ하수관 관로내부 초음파조사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6594Y1 (ko) 1999-12-09 2000-06-15 이기연 무선 수질 검사 장치
JP2002357563A (ja) 2001-05-31 2002-12-13 Hitachi Ltd 管内点検装置及び管内点検方法
KR20060084958A (ko) * 2005-01-21 2006-07-26 주식회사 비즈탑 상수도 관로 검사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6594Y1 (ko) 1999-12-09 2000-06-15 이기연 무선 수질 검사 장치
JP2002357563A (ja) 2001-05-31 2002-12-13 Hitachi Ltd 管内点検装置及び管内点検方法
KR20060084958A (ko) * 2005-01-21 2006-07-26 주식회사 비즈탑 상수도 관로 검사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5312A (ko) 2017-01-18 2018-07-26 주식회사 유엔지니어링 부유식 차집관로 검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1957A (ko) 2011-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6195B1 (ko) 동력 전달 부유식 차집관로 검사장치
ES2658962T3 (es) Aparato de tratamiento de líquido sucio
EP2366443A2 (en) Ballast water treatment system
KR101111150B1 (ko) 무동력 부유식 차집관로 검사장치
KR101963417B1 (ko) 상ㆍ하수관 관로내부 초음파조사장치
CN111458079A (zh) 一种液压胶管生产气密性检测设备
JP2012011924A (ja) クラゲ除去装置
KR101546281B1 (ko) 준설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차량
CN210382296U (zh) 一种快速排污鱼池
US20170183885A1 (en) Pool water filtration system
WO2010049588A1 (en) Cleaning device and method for cleaning a gun barrel
US615527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soil contaminants
KR101172492B1 (ko) 수중생물 제거용 스크류 제진기
KR20220166929A (ko) 취수구 유입 해양이물질 차단 및 제거 시스템
KR101613665B1 (ko) 수중이물질 제거 시스템
CN206600160U (zh) 一种气田水输送装置
KR20110064682A (ko) 선박의 해수흡입장치
CN205909858U (zh) 一种海水温盐测量装置
JP7313963B2 (ja) 液中ポンプの検査方法
KR101475760B1 (ko) 취수구 스크린 크리닝장치
KR102619187B1 (ko) 미세 버블 발생 장치를 갖는 상수도관 세척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상수도관 세척 공법
CN206103471U (zh) 一种吹扫除渣式的回转格栅除污机
US20220331721A1 (en) Fluid filter and method of use of same
CN216923668U (zh) 给排水管道连接装置
KR20160072747A (ko) 복수기의 배관 세정용 볼 스크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