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5099B1 - 헤드 셋용 무선 마이크의 송수신 장치 - Google Patents

헤드 셋용 무선 마이크의 송수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5099B1
KR101145099B1 KR1020090124290A KR20090124290A KR101145099B1 KR 101145099 B1 KR101145099 B1 KR 101145099B1 KR 1020090124290 A KR1020090124290 A KR 1020090124290A KR 20090124290 A KR20090124290 A KR 20090124290A KR 101145099 B1 KR101145099 B1 KR 1011450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phone
signal
transmitter
frequency
heads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4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7624A (ko
Inventor
정동준
Original Assignee
정동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동준 filed Critical 정동준
Priority to KR10200901242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5099B1/ko
Publication of KR201100676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76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50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50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8Mouthpieces; Microphones; Attachment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4Structural association of microphone with electric circuitry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10Details of 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earphones or monophonic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107Monophonic and stereophonic headphones with microphone for two-way hands free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mit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헤드 셋의 마이크를 통한 사용자의 음성신호는 파이프의 내부에 설치된 신호선을 통하여 송신기로 전달되도록 하고, 리모컨에 의해 채널정보를 전달받는 상기 송신기는 마이크를 통한 음성신호를 증폭한 후 주파수를 안정화시킨 후 정해진 발진주파수의 무선신호로 출력되도록 하고, 상기의 송신기로부터 전달되는 마이크의 선택신호를 비롯한 음성신호의 무선신호를 안테나로 전달받아 음향기기로 직접 전달하는 수신기에서 최대 48채널의 주파수의 무선신호를 음향기기에 전달하도록 함으로써 무대나 야외를 비롯한 어디서든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헤드 셋용 무선 마이크의 송수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본 발명은,
헤드 셋의 한쪽에 형성한 마이크를 통한 사용자의 음성신호는 파이프의 내부에 설치된 신호선을 통하여 다른 쪽에 형성한 송신기로 전달되도록 하고,
상기 송신기에는 마이크를 통한 음성신호를 무선신호로 전송하는 송신안테나를 형성하고,
상기 송신기에는 리모컨 수신부를 형성하여 리모컨에 의한 채널설정 정보를 입력받도록 하고,
상기의 송신기로부터 무선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전송받는 수신기의 내부에는 상기의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되는 최대 48채널까지의 무선신호를 처리하여 음향기기로 전달하여 음성의 출력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헤드 셋에 신호선으로 인한 복 잡함이 제거됨은 물론, 소형경량화한 송신기를 헤드 셋에 직접 부착함으로 인해 송신기를 몸에 지닌 상태에서 행동의 제약을 받게 되는 현상을 없앨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R1020090124290
헤드 셋, 마이크, 리모컨, 송신기, 수신기, 음향기기

Description

헤드 셋용 무선 마이크의 송수신 장치{receiving equipment of wireless microphone}
본 발명은 헤드 셋용 무선 마이크의 송수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헤드셋의 마이크를 통한 사용자의 음성신호는 파이프의 내부에 설치된 신호선을 통하여 송신기로 전달되도록 하고, 리모컨에 의해 채널정보를 전달받는 상기 송신기는 마이크를 통한 음성신호를 증폭한 후 주파수를 안정화시킨 후 정해진 발진주파수의 무선신호로 출력되도록 하고, 상기의 송신기로부터 전달되는 마이크의 선택신호를 비롯한 음성신호의 무선신호를 안테나로 전달받아 음향기기로 직접 전달하는 수신기에서 최대 48채널의 주파수를 음향기기에 전달하도록 함으로써 무대나 야외를 비롯한 어디서든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헤드 셋용 무선 마이크의 송수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이크라 하면, 실내와 야외의 연단이나 무대에 설치하여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증폭시켜 이에 유선이나 무선으로 연결된 음향기기로 전달하여 증폭된 음성을 청중이 스피커를 통하여 들을 수 있도록 한 기기임은 이미 주지된 사실이다.
더구나 요즈음에는 마이크의 사용이 많아지고, 노래방이나 가정에서 많은 사람들이 노래를 부를 때에도 마이크를 사용하고 있어 그 이용도가 매우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더구나 마이크를 사용하여 노래를 부르거나 말을 하여야 하는 중에도 부가적으로 몸을 움직여야 하는 경향이 많아지면서 무선 마이크를 손에 잡지 않은 상태에서도 사용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음향기기와 무선으로 연결된 헤드 셋을 사용하는 추세가 많아지고 있다.
즉, 2007년 10월 08일자 특허출원 제10-2007-0100791호(무선 헤드 셋, 무선 헤드 셋의 사용시스템, 및 무선 헤드 셋의 사용방법)이 제안되었으며,
이는, 기기의 조작신호를 입력받는 조작부;
적어도 하나의 외부의 다른 기기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무선통신부;
상기 무선 통신부로 수신되는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는 마이크;
상기 마이크로 입력된 음성을 사용자의 지시로 인식하는 음성인식부;
상기 음성인식부에 의해서 인식된 지시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의 다른 기기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의 다른 기기로 전달하도록, 상기 음성인식부 및 무선 통신부를 제어하거나, 상기 스피커에 음향을 출력되도록, 상기 무선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무선 헤드 셋, 무선 헤드 셋의 사용시스템, 및 무선 헤드 셋의 사용방법에 의하여서는 헤드 셋의 마이크에서 수신기로 음성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신호선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므로 복잡함과 함께 미관을 해치게 됨은 물론, 비교적 큰 송신기를 사용자의 뒤쪽이나 허리에 부착하거나 귀밑에 착용하도록 하였으므로 사용자가 몸을 이동하거나 회전할 때 행동에 제약을 받게 되며, 의상과 조화를 이루지 못하여 흉하게 느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헤드 셋의 마이크를 통한 사용자의 음성신호는 파이프의 내부에 설치된 신호선을 통하여 송신기로 전달되도록 하고, 리모컨에 의해 채널정보를 전달받는 상기 송신기는 마이크를 통한 음성신호를 증폭한 후 주파수를 안정화시킨 후 정해진 발진주파수의 무선신호로 출력되도록 하고, 상기의 송신기로부터 전달되는 마이크의 선택신호를 비롯한 음성신호의 무선신호를 안테나로 전달받아 음향기기로 직접 전달하는 수신기에서 최대 48채널의 주파수의 무선신호를 음향기기에 전달하도록 함으로써 무대나 야외를 비롯한 어디서든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헤드 셋용 무선 마이크의 송수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헤드 셋용 무선 마이크의 송수신 장치는,
헤드 셋의 한쪽에 형성한 마이크를 통한 사용자의 음성신호는 파이프의 내부에 설치된 신호선을 통하여 다른 쪽에 형성한 송신기로 전달되도록 하고,
상기 송신기에는 마이크를 통한 음성신호를 무선신호로 전송하는 송신안테나를 형성하고,
상기 송신기에는 리모컨 수신부를 형성하여 리모컨에 의한 채널설정 정보를 입력받도록 하고,
상기의 송신기로부터 무선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전송받는 수신기의 내부에는 상기의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되는 최대 48채널까지의 무선신호를 처리하여 음향기기로 전달하여 음성의 출력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헤드 셋에 신호선으로 인한 복잡함이 제거됨은 물론, 소형경량화한 송신기를 헤드 셋에 직접 부착함으로 인해 송신기를 몸에 지닌 상태에서 행동의 제약을 받게 되는 현상을 없앨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헤드 셋용 무선 마이크의 송수신 장치에 의하여서는 헤드 셋의 한쪽에 형성한 마이크를 통한 사용자의 음성신호는 파이프의 내부에 설치된 신호선을 통하여 다른 쪽에 형성한 송신기로 전달되도록 하여 신호선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송신기에는 마이크를 통한 음성신호를 무선신호로 전송하는 송신안테나를 형성하고,
상기 송신기에는 리모컨 수신부를 형성하여 리모컨에 의한 채널설정 정보를 입력받도록 하여 작고 헤드 셋에 부착된 송신기로 인해 외관상 미려해지도록 하고,
상기의 송신기로부터 무선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전송받는 수신기의 내부에는 상기의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되는 최대 48채널까지의 무선신호를 처리하여 음향기기로 전달하여 음성의 출력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헤드 셋에 신호선으로 인한 복잡함이 제거됨은 물론, 소형경량화한 송신기를 헤드 셋에 직접 부착함으로 인해 송신기를 몸에 지닌 상태에서 행동의 제약을 받게 되는 현상을 없앨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외부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양쪽의 고리(2)(3)를 귀에 걸치도록 한 헤드 셋(1)의 한쪽에 형성한 마이크(4)를 통한 사용자의 음성신호는 파이프(5)의 내부에 설치된 신호선(6)을 통하여 뒤쪽에 형성한 송신기(10)로 전달되도록 하고,
상기 송신기(10)에는 마이크(4)를 통한 음성신호를 무선신호로 전송하는 송신안테나(11)를 형성하고,
상기 송신기(10)에는 리모컨 수신부(12)를 형성하여 리모컨(13)에 의한 채널설정 정보를 입력받도록 하고,
상기의 송신기(10)로부터 무선신호를 안테나(14)를 통해 전송받는 수신기(15)의 내부에는 상기의 안테나(14)를 통하여 수신되는 최대 48채널까지의 무선신호를 처리하여 음향기기(16)로 전달하여 음성이 출력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의 송신기(10)는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마이크(4)와 신호선(5)을 통하여 연결되는 송신기(10)의 일측 접점(22)을 통하여 마이크 음성신호를 전달받도록 하되,
송신기(10)의 배터리(21)로부터의 동작전원(VCC)이 PNP트랜지스터(Q2)와 전원 레귤레이터(23)를 경유하여 마이크(4)에 일정한 마이크 동작전원(AVCC)으로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 접점(22)을 통하여 전달되는 마이크 음성신호는 PNP트랜지스터(Q3)를 거쳐 발진기(24)를 작동시켜 4MHz의 발진주파수를 마이크로 프로세서(25)에 전달되도록 하고,
상기의 접점(22)을 경유한 마이크 음성신호는 다이오드(D1)(D2)(D3)(D4)를 구비한 마이크 입력 컴프레서 IC(26)로 입력되어 작은 신호는 크게 증폭하면서 큰 신호는 작게 증폭되도록 하고,
상기의 마이크 입력 컴프레서 IC(26)에서 증폭이 수행된 마이크 음성신호는 32KHz의 발진주파수가 입력되며 저항(R1)(R2)과 콘덴서(C1)(C2)(C3) 및 다이오드(D5)(D6)(D7)로 이루어진 프리 엠파시스(pre-emphasis)(27)에서 높은 레벨은 더 높게 변환하면서 고역을 강조하도록 하고,
상기 프리 엠파시스(27)에 의해 증폭된 마이크 음성신호는 상기의 마이크 동작전원(AVCC)이 입력되며 코일(L1)과 콘덴서(C4)(C5)(C6)(C7)와 저항(R3)(R4) 및 트랜지스터(Q4)로 이루어진 FM 변조부(28)로 입력되도록 하여 상기의 발진주파수에 따라 진폭이 변화하는 주파수 변조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의 FM 변조부(28)로부터 주파수가 변조된 무선신호는 위상 동기 루프 IC(PLL:phase locked loop)(29)로 입력되어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5)로부터 전달되는 기준 신호의 주파수와 동일하게 분주된 주파수의 안정된 발진 출력을 얻을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위상 동기 루프(29)로부터의 마이크 음성신호는 상기의 마이크로 프로세서(25)로부터 출력 인에이블 신호(TR EN)를 전달받으며 트랜지스터(Q5)(Q6)와 저항(R5)(R6)와 콘덴서(C8)(C9)(C10)(C11)(C12)(C13) 및 코일(L2)(L3)(L4)(L5)(L6)로 이루어진 전력 증폭기(POWER AMPLIFIER)(30)를 경유하여 송신안테나(11)를 통해 고주파 무선신호로 출력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도 3는 본 발명 수신기는 최대 48 채널까지의 주파수를 전송받을 수 있지만, 각각의 채널에 따른 동작이 동일하므로 하나의 채널에 따른 구성만 선택하여 선택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의 송신안테나(11)로부터 전송되고 수신기(15)의 수신안테나(14)를 통해 수신되어 전달되는 최대 48채널의 고주파 무선신호는 각각 필터(36)를 거쳐 저잡음(LNA) 고주파증폭기(37)에서 수신된 무선신호의 잡음 지수를 낮추어 2개의 주파수로 각각 수신되도록 하고,
상기의 저잡음 고주파증폭기(37)에 의해 잡음이 제거된 고주파 무선신호는 제1 필터(38)를 거치고 제1 전압제어발진기(1CH VCO)(39)에서 전압에 의해 출력되는 발진 주파수와 제1 믹서(40)에서 혼합되도록 하여 수신하고자 하는 주파수보다 중간주파수인 10.7Mhz 더 높은 발진 주파수와 혼합한 혼합 주파수를 얻도록 하고,
상기의 제1 믹서(40)로부터의 혼합주파수가 제1 10.7Mhz 필터(41)를 경유하 는 중에 10.7Mhz의 중간주파수를 얻도록 하고,
상기의 제1 10.7Mhz 필터(41)로부터 전달되는 10.7Mhz의 중간 주파수를 제1 FM 복조기(42)에서 원래의 마이크 음성신호와 선택신호로 복조하도록 하고,
상기의 복조된 음성신호를 전달받는 제1 디 엠파시스(de-emphasis)(43)에서 낮은 레벨은 높게 하여 저역을 강조하면서 원래 레벨의 마이크 음성신호와 선택신호로 변환하도록 하고,
상기의 제1 디 엠파시스(43)를 경유한 원래 레벨의 마이크 음성신호는 제1 음성필터(44)를 경유하는 중에 1채널 음성신호로 재생되도록 하고,
상기의 제1 음성필터(44)에서 출력되는 1채널 음성신호는 제1 신장기(45)를 경유하는 중에 작은 신호는 작게 증폭하면서 큰 신호는 크게 증폭하도록 하여 음색이 상하지 않은 원음으로 복원하도록 하고,
상기의 저잡음 고주파증폭기(37)에 의해 잡음이 제거된 무선신호는 동시에 제2 필터(46)를 거치고 제2 전압제어발진기(2CH VCO)(47)에서 전압에 의해 출력되는 발진 주파수와 제2 믹서(48)에서 혼합되도록 하여 수신하고자 하는 주파수보다 중간주파수인 10.7Mhz 더 높은 발진 주파수와 혼합한 혼합 주파수를 얻도록 하고,
상기의 제2 믹서(48)로부터의 혼합주파수가 제2 10.7Mhz 필터(49)를 경유하는 중에 10.7Mhz의 중간주파수를 얻도록 하고,
상기의 제2 10.7Mhz 필터(49)로부터 전달되는 10.7Mhz의 중간 주파수를 제2 FM 복조기(50)에서 원래의 마이크 음성신호와 선택신호로 복조하도록 하고,
상기의 복조된 음성신호를 전달받는 제2 디 엠파시스(de-emphasis)(51)에서 낮은 레벨은 높게 하여 저역을 강조하면서 원래 레벨의 마이크 음성신호와 선택신호로 변환하도록 하고,
상기의 제2 디 엠파시스(51)를 경유한 원래 레벨의 마이크 음성신호는 제2 음성필터(52)를 경유하는 중에 2채널 음성신호로 재생되도록 하고,
상기의 제2 음성필터(52)에서 출력되는 2채널 음성신호는 제2 신장기(53)를 경유하는 중에 작은 신호는 작게 증폭하면서 큰 신호는 크게 증폭하도록 하여 음색이 상하지 않은 원음으로 복원하도록 하고,
상기의 제1 신장기(45) 및 제2 신장기(53)로부터의 원음은 음성 믹서(54)에서 혼합된 후 음성 출력부(55)를 거쳐 유선으로 연결된 음향기기(16)에 전달되도록 하고,
한편, 상기의 제1 디 엠파시스(43)를 경유한 원래 레벨의 선택신호는 제1 38k 필터(56)를 경유하는 중에 1채널 선택신호를 통과하도록 하고,
상기의 제1 38k 필터(56)로부터의 1채널 선택신호는 제1 38k ask 복조기(57)에서 진폭이 높게 오면 "1"로 인식하면서 진폭이 낮게 오면 "0"으로 인식하는 중에 제1 채널 선택신호를 복조하도록 하고,
상기의 제1 38k ask 복조기(57)로부터의 제1 채널 선택신호는 1채널 키 데이터 검출부(58)를 경유하는 중에 1채널 선택신호만 검출되도록 하고,
상기의 제2 디 엠파시스(51)를 경유한 원래 레벨의 선택신호는 제2 38k 필터(59)를 경유하는 중에 1채널 선택신호를 통과하도록 하고,
상기의 제2 38k 필터(59)로부터의 2채널 선택신호는 제2 38k ask 복조기(60) 에서 진폭이 높게 오면 "1"로 인식하면서 진폭이 낮게 오면 "0"으로 인식하는 중에 제2 채널 선택신호를 복조하도록 하고,
상기의 제2 38k ask 복조기(60)로부터의 제2 채널 선택신호는 2채널 키 데이터 검출부(61)를 경유하는 중에 2채널 선택신호만 검출되도록 하고,
상기 1채널 키 데이터 검출부(58)로부터의 1채널 선택신호와 2채널 키 데이터 검출부(61)로부터의 2채널 선택신호는 키 데이터 믹서부(62)를 경유하는 중에 혼합되어 마이크로 프로세서(63)에 전달되도록 하고,
사용자가 마이크(4)의 리모컨(13)을 통하여 입력시킨 선택에 따른 채널선택 신호를 인식한 상기의 마이크로 프로세서(78)는 상기의 제1 전압제어발진기(1CH VCO)(39) 또는 제2 전압제어발진기(2CH VCO)(47)들에 48개의 채널 중에서 선택한 채널 주파수를 각각 출력하도록 하고,
상기 키 데이터 믹서부(62)를 통해 제1 선택신호와 제2 선택신호를 전달받는 상기의 마이크로 프로세서(63)에서는 1채널 뮤팅부(64)와 2채널 뮤팅부(65)에 뮤팅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여 재생상태가 불량한 음성신호가 뮤팅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헤드 셋용 무선 마이크의 송수신 장치는 헤드셋에 송신기를 일체로 형성하여 마이크로부터의 음성신호를 무선으로 수신기로 전송하도록 한 것으로서,
양쪽의 고리(2)(3)를 귀에 걸치도록 한 헤드 셋(1)의 한쪽에 형성한 마이크(4)를 통한 사용자의 음성신호는 파이프(5)의 내부에 설치된 신호선(6)을 통 하여 뒤쪽에 형성한 송신기(10)로 전달된다.
상기 송신기(10)의 마이크(4)를 통한 음성신호는 송신안테나(11)를 통하여 무선신호로 전송한다.
즉, 상기의 송신기(10)는 접점(22)을 통하여 전달되는 마이크 음성신호가 PNP트랜지스터(Q3)를 거쳐 발진기(24)를 작동시켜 4MHz의 발진주파수를 마이크로 프로세서(25)에 전달되도록 한다.
상기의 접점(22)을 경유한 마이크 음성신호는 다이오드(D1)(D2)(D3)(D4)를 구비한 마이크 입력 컴프레서 IC(26)로 입력되어 작은 신호는 크게 증폭하면서 큰 신호는 작게 증폭되도록 한다.
상기의 마이크 입력 컴프레서 IC(26)에서 증폭이 수행된 마이크 음성신호는 32KHz의 발진주파수가 입력되며 저항(R1)(R2)과 콘덴서(C1)(C2)(C3) 및 다이오드(D5)(D6)(D7)로 이루어진 프리 엠파시스(pre-emphasis)(27)에서 높은 레벨은 더 높게 변환하면서 고역을 강조하도록 한다.
상기 프리 엠파시스(27)에 의해 증폭된 마이크 음성신호는 상기의 마이크 동작전원(AVCC)이 입력되며 코일(L1)과 콘덴서(C4)(C5)(C6)(C7)와 저항(R3)(R4) 및 트랜지스터(Q4)로 이루어진 FM 변조부(28)로 입력되도록 하여 상기의 발진주파수에 따라 진폭이 변화하는 주파수 변조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의 FM 변조부(28)로부터 주파수가 변조된 무선신호는 위상 동기 루프 IC(phase locked loop)(29)로 입력되어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5)로부터 전달되는 기준 신호의 주파수와 동일하게 분주된 주파수의 안정된 발진 출력을 얻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위상 동기 루프(29)로부터의 마이크 음성신호는 상기의 마이크로 프로세서(25)로부터 출력 인에이블 신호(TR EN)를 전달받으며 트랜지스터(Q5)(Q6)와 저항(R5)(R6)와 콘덴서(C8)(C9)(C10)(C11)(C12)(C13) 및 코일(L2)(L3)(L4)(L5)(L6)로 이루어진 전력 증폭기(POWER AMPLIFIER)(30)를 경유하여 송신안테나(11)를 통해 고주파 무선신호로 출력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송신기(10)의 리모컨 수신부(12)를 통하여 리모컨(13)에 의한 채널설정 정보를 입력받게 된다.
상기의 송신기(10)로부터의 무선신호를 안테나(14)를 통해 전송받는 수신기(15)의 내부에는 수신되는 최대 48채널까지의 무선신호를 처리하여 음향기기(16)로 전달하여 음성이 출력되도록 한다.
상기의 수신기는 최대 48 채널까지 전송받도록 하였으나, 하나의 채널에 대하여 수신하는 것과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즉, 상기의 송신안테나(11)로부터 전송되고 수신기(15)의 수신안테나(14)를 통해 수신되어 전달되는 최대 48채널의 고주파 무선신호는 각각 필터(36)를 거쳐 저잡음(LNA) 고주파증폭기(37)에서 수신된 무선신호의 잡음 지수를 낮추어 2개의 주파수로 각각 수신되도록 한다.
상기의 저잡음 고주파증폭기(37)에 의해 잡음이 제거된 고주파 무선신호는 제1 필터(38)를 거치고 제1 전압제어발진기(1CH VCO)(39)에서 전압에 의해 출력되는 발진 주파수와 제1 믹서(40)에서 혼합되도록 하여 수신하고자 하는 주파수보다 중간주파수인 10.7Mhz 더 높은 발진 주파수와 혼합한 혼합 주파수를 얻도록 한다.
상기의 제1 믹서(40)로부터의 혼합주파수가 제1 10.7Mhz 필터(41)를 경유하는 중에 10.7Mhz의 중간주파수를 얻도록 한다.
상기의 제1 10.7Mhz 필터(41)로부터 전달되는 10.7Mhz의 중간 주파수를 제1 FM 복조기(42)에서 원래의 마이크 음성신호와 선택신호로 복조하도록 한다.
상기의 복조된 음성신호를 전달받는 제1 디 엠파시스(de-emphasis)(43)에서 낮은 레벨은 높게 하여 저역을 강조하면서 원래 레벨의 마이크 음성신호와 선택신호로 변환하도록 한다.
상기의 제1 디 엠파시스(43)를 경유한 원래 레벨의 마이크 음성신호는 제1 음성필터(44)를 경유하는 중에 1채널 음성신호로 재생되도록 한다.
상기의 제1 음성필터(44)에서 출력되는 1채널 음성신호는 제1 신장기(45)를 경유하는 중에 작은 신호는 작게 증폭하면서 큰 신호는 크게 증폭하도록 하여 음색이 상하지 않은 원음으로 복원하도록 한다.
상기의 저잡음 고주파증폭기(37)에 의해 잡음이 제거된 무선신호는 동시에 제2 필터(46)를 거치고 제2 전압제어발진기(2CH VCO)(47)에서 전압에 의해 출력되는 발진 주파수와 제2 믹서(48)에서 혼합되도록 하여 수신하고자 하는 주파수보다 중간주파수인 10.7Mhz 더 높은 발진 주파수와 혼합한 혼합 주파수를 얻도록 한다.
상기의 제2 믹서(48)로부터의 혼합주파수가 제2 10.7Mhz 필터(49)를 경유하는 중에 10.7Mhz의 중간주파수를 얻도록 한다.
상기의 제2 10.7Mhz 필터(49)로부터 전달되는 10.7Mhz의 중간 주파수를 제2 FM 복조기(50)에서 원래의 마이크 음성신호와 선택신호로 복조하도록 한다.
상기의 복조된 음성신호를 전달받는 제2 디 엠파시스(de-emphasis)(51)에서 낮은 레벨은 높게 하여 저역을 강조하면서 원래 레벨의 마이크 음성신호와 선택신호로 변환하도록 한다.
상기의 제2 디 엠파시스(51)를 경유한 원래 레벨의 마이크 음성신호는 제2 음성필터(52)를 경유하는 중에 2채널 음성신호로 재생되도록 한다.
상기의 제2 음성필터(52)에서 출력되는 2채널 음성신호는 제2 신장기(53)를 경유하는 중에 작은 신호는 작게 증폭하면서 큰 신호는 크게 증폭하도록 하여 음색이 상하지 않은 원음으로 복원하도록 한다.
상기의 제1 신장기(45) 및 제2 신장기(53)로부터의 원음은 음성 믹서(54)에서 혼합된 후 음성 출력부(55)를 거쳐 유선으로 연결된 음향기기(16)에 전달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의 제1 디 엠파시스(43)를 경유한 원래 레벨의 선택신호는 제1 38k 필터(56)를 경유하는 중에 1채널 선택신호를 통과하도록 한다.
상기의 제1 38k 필터(56)로부터의 1채널 선택신호는 제1 38k ask 복조기(57)에서 진폭이 높게 오면 "1"로 인식하면서 진폭이 낮게 오면 "0"으로 인식하는 중에 제1 채널 선택신호를 복조하도록 한다.
상기의 제1 38k ask 복조기(57)로부터의 제1 채널 선택신호는 1채널 키 데이터 검출부(58)를 경유하는 중에 1채널 선택신호만 검출되도록 한다.
상기의 제2 디 엠파시스(51)를 경유한 원래 레벨의 선택신호는 제2 38k 필 터(59)를 경유하는 중에 1채널 선택신호를 통과하도록 한다.
상기의 제2 38k 필터(59)로부터의 2채널 선택신호는 제2 38k ask 복조기(60)에서 진폭이 높게 오면 "1"로 인식하면서 진폭이 낮게 오면 "0"으로 인식하는 중에 제2 채널 선택신호를 복조하도록 한다.
상기의 제2 38k ask 복조기(60)로부터의 제2 채널 선택신호는 2채널 키 데이터 검출부(61)를 경유하는 중에 2채널 선택신호만 검출되도록 한다.
상기 1채널 키 데이터 검출부(58)로부터의 1채널 선택신호와 2채널 키 데이터 검출부(61)로부터의 2채널 선택신호는 키 데이터 믹서부(62)를 경유하는 중에 혼합되어 마이크로 프로세서(63)에 전달되도록 한다.
사용자가 마이크(4)의 리모컨(13)을 통하여 입력시킨 선택에 따른 채널선택 신호를 인식한 상기의 마이크로 프로세서(78)는 상기의 제1 전압제어발진기(1CH VCO)(39) 또는 제2 전압제어발진기(2CH VCO)(47)들에 48개의 채널 중에서 선택한 채널 주파수를 각각 출력하도록 한다.
상기 키 데이터 믹서부(62)를 통해 제1 선택신호와 제2 선택신호를 전달받는 상기의 마이크로 프로세서(63)에서는 1채널 뮤팅부(64)와 2채널 뮤팅부(65)에 뮤팅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여 재생상태가 불량한 음성신호가 뮤팅되도록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마이크와 음향기기를 연결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 송신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회로도
도 3은 본 발명 수신기의 구성을 도시한 회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마이크 5 : 리모컨
10 : 송신기 14, 23 : 리모컨 수신부
20 : 거치대 30 : 수신기
40 : 음향기기

Claims (2)

  1. 헤드 셋(1)의 송신기(10)에서 음성신호를 무선신호로 송신안테나(11)를 통하여 전송하도록 한 헤드 셋용 무선 마이크의 송수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헤드 셋(1)의 마이크(4)를 통한 사용자의 음성신호는 파이프(5)의 내부에 설치된 신호선(6)을 통하여 송신기(10)로 전달되도록 하되,
    상기 송신기(10)는,
    배터리(21)로부터의 동작전원(VCC)이 PNP트랜지스터(Q2)와 전원 레귤레이터(23)를 경유하여 마이크(4)에 일정한 마이크 동작전원(AVCC)으로 공급되도록 하고,
    접점(22)을 통하여 전달되는 마이크 음성신호는 PNP트랜지스터(Q3)를 거쳐 발진기(24)를 작동시켜 4MHz의 발진주파수를 마이크로 프로세서(25)에 전달되도록 하고,
    상기의 접점(22)을 경유한 마이크 음성신호는 다이오드(D1)(D2)(D3)(D4)를 구비한 마이크 입력 컴프레서 IC(26)로 입력되어 작은 신호는 크게 증폭하면서 큰 신호는 작게 증폭되도록 하고,
    상기의 마이크 입력 컴프레서 IC(26)에서 증폭이 수행된 마이크 음성신호는 32KHz의 발진주파수가 입력되며 저항(R1)(R2)과 콘덴서(C1)(C2)(C3) 및 다이오드(D5)(D6)(D7)로 이루어진 프리 엠파시스(pre-emphasis)(27)에서 높은 레벨은 더 높게 변환하면서 고역을 강조하도록 하고,
    상기 프리 엠파시스(27)에 의해 증폭된 마이크 음성신호는 상기의 마이크 동작전원(AVCC)이 입력되며 코일(L1)과 콘덴서(C4)(C5)(C6)(C7)와 저항(R3)(R4) 및 트랜지스터(Q4)로 이루어진 FM 변조부(28)로 입력되도록 하여 상기의 발진주파수에 따라 진폭이 변화하는 주파수 변조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의 FM 변조부(28)로부터 주파수가 변조된 무선신호는 위상 동기 루프 IC(PLL:phase locked loop)(29)로 입력되어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5)로부터 전달되는 기준 신호의 주파수와 동일하게 분주된 주파수의 안정된 발진 출력을 얻을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위상 동기 루프(29)로부터의 마이크 음성신호는 상기의 마이크로 프로세서(25)로부터 출력 인에이블 신호(TR EN)를 전달받으며 트랜지스터(Q5)(Q6)와 저항(R5)(R6)와 콘덴서(C8)(C9)(C10)(C11)(C12)(C13) 및 코일(L2)(L3)(L4)(L5)(L6)로 이루어진 전력 증폭기(POWER AMPLIFIER)(30)를 경유하여 송신안테나(11)를 통해 고주파 무선신호로 출력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셋용 무선 마이크의 송수신 장치.
  2. 삭제
KR1020090124290A 2009-12-14 2009-12-14 헤드 셋용 무선 마이크의 송수신 장치 KR1011450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4290A KR101145099B1 (ko) 2009-12-14 2009-12-14 헤드 셋용 무선 마이크의 송수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4290A KR101145099B1 (ko) 2009-12-14 2009-12-14 헤드 셋용 무선 마이크의 송수신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7624A KR20110067624A (ko) 2011-06-22
KR101145099B1 true KR101145099B1 (ko) 2012-05-14

Family

ID=44400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4290A KR101145099B1 (ko) 2009-12-14 2009-12-14 헤드 셋용 무선 마이크의 송수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50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7962B1 (ko) 2015-07-24 2015-09-04 주식회사 대경바스컴 무선 마이크 주파수 환경분석을 통한 주파수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6280U (ja) 1981-08-10 1983-02-19 日本マランツ株式会社 アンテナ付きヘツドホン
US4654883A (en) 1983-10-18 1987-03-31 Iwata Electric Co., Ltd. Radio transmitter and receiver device having a headset with speaker and microphone
KR200352405Y1 (ko) * 2004-02-12 2004-06-10 최태욱 휴대폰용 핸즈프리 장치
JP2004236162A (ja) * 2003-01-31 2004-08-19 Toshiba Corp 電子機器および同機器のエラー報知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6280U (ja) 1981-08-10 1983-02-19 日本マランツ株式会社 アンテナ付きヘツドホン
US4654883A (en) 1983-10-18 1987-03-31 Iwata Electric Co., Ltd. Radio transmitter and receiver device having a headset with speaker and microphone
JP2004236162A (ja) * 2003-01-31 2004-08-19 Toshiba Corp 電子機器および同機器のエラー報知方法
KR200352405Y1 (ko) * 2004-02-12 2004-06-10 최태욱 휴대폰용 핸즈프리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7962B1 (ko) 2015-07-24 2015-09-04 주식회사 대경바스컴 무선 마이크 주파수 환경분석을 통한 주파수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7624A (ko) 2011-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58267B1 (en) Interoperable am/fm headset wireless telephone device
KR101029682B1 (ko) 무선 마이크용 송수신 장치
KR101145099B1 (ko) 헤드 셋용 무선 마이크의 송수신 장치
JP2002078037A (ja) ワイヤレス拡声装置
US7181165B2 (en) Local wireless audio signal RF transmitter and receiver having a single downconverter without need for IF carrier
KR100892077B1 (ko) 무선 마이크용 송수신장치
KR100333409B1 (ko) 마이컴 콘트롤에 의한 무선 마이크 송수신기 뮤트 제어장치
JP2009065239A (ja) ワイヤレスヘッドフォン装置
KR200244953Y1 (ko) 다목적 기능을 갖는 2채널 무선송신 핸즈프리와 무선수신기
KR200238198Y1 (ko) 무선 텔레비전 방송 청취기
JP3237275U (ja) 音声集音器、音声集音機能付き音声送信器、および、音声認識システム
WO2007008041A1 (en) Transmitting and receiving equipment of microphone
JP3226948U (ja) 聴力補助器用無線集音器、聴力補助器及び聴力補助システム
KR100435551B1 (ko) 뮤트 제어 기능을 갖는 무선마이크 수신장치
KR200425362Y1 (ko) 유에이치에프 음성 수신 장치
US5596649A (en) Sound concentrator for selectively collecting sound and concentrating and transmitting the collected sound
KR200233911Y1 (ko) 오디오 수신 장치
KR200220644Y1 (ko) 오디오 송신 장치
KR200244204Y1 (ko) 극초단파 스피커 앰프 시스템
KR20020080153A (ko) 무선 스피커 시스템
EP1938482A2 (en) Interface unit for display of alphanumeric data provided by a reproduction apparatus
JP2702162B2 (ja) 受信装置
KR890003426Y1 (ko) 무선전화기로 사용 가능한 무선인터폰 회로
KR100320919B1 (ko) 단일클럭을 이용한 베이스 밴드를 포함하는 고주파 유니트
KR101108809B1 (ko)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에프엠 송신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