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4814B1 -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4814B1
KR101144814B1 KR1020100079448A KR20100079448A KR101144814B1 KR 101144814 B1 KR101144814 B1 KR 101144814B1 KR 1020100079448 A KR1020100079448 A KR 1020100079448A KR 20100079448 A KR20100079448 A KR 20100079448A KR 101144814 B1 KR101144814 B1 KR 1011448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plate
housing
rotating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9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6914A (ko
Inventor
최성호
김준호
신은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794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4814B1/ko
Publication of KR201200169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69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48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48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6Shelves, racks or trays inside ovens; Supports therefor
    • F24C15/164Rotisserie spits inside ov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조리실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하우징에 구비되어 조리실에 열을 공급하는 가열부 및, 조리실의 내부에 구비되고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내부에 조리물이 수용되는 회전형 조리장치를 포함하고, 회전형 조리장치는 하우징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개의 회전 플레이트와, 복수개의 회전 플레이트의 사이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어 각각의 회전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연결 로드 및, 회전 플레이트 사이에 이격되어 배치되며 연결 로드가 관통되어 회전 플레이트와 함께 회전되는 복수개의 조리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조리기기{A cooker}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도의 전통적인 방식으로 로티를 만들 수 있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조리기기는 조리물을 수납하여 밀폐한 후, 조리물을 가열하여 조리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조리기기는 전통적인 조리방식을 대체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으며, 우리나라의 경우 전기밥솥등이 개발되어 전통적인 방식인 외부의 가열원을 통해 가마솥에서 밥을 짓는 방식을 대체하고 있다. 또한 인도의 경우, 인도의 주식인 로티(roti)를 조리기기에서 조리하도록 개발 중에 있다.
로티(roti)는 밀가루를 반죽하여 둥글고 얇게 만들어 구운 빵의 총칭으로, 차파티(Chapati)와 난(Nan)과 푸리(Puri) 및 이들의 변형들을 총칭한다. 로티를 조리하는 전통적인 방식은 밀가루를 얇고 넓게 반죽하여 철판 등에 올린 후, 인도식 전통화덕인 탄두르(tandoor)에 밀가루가 올려진 철판을 넣어 가열시키는 방식이다. 탄두르에서 철판이 가열되면, 철판위에 올려진 밀가루를 앞뒤로 구워내어 로티를 만들어 낸다.
이때, 밀가루와 접촉하고 있는 철판의 온도는 200℃ 이상의 온도로 가열되어 있어야 하므로, 철판의 가열온도를 고온으로 유지해야하는 점이 필요하다. 또한 이러한 로티를 전통의 방식으로 만들어 내기 위하여는 탄두르의 온도가 철판에 전달되도록 고온으로 일정하게 유지해야 하므로, 도시적인 생활양식에서 탄두르의 온도를 유지하기에는 공간상의 제약이 크다.
또한, 로티를 굽는 과정에서 로티 내부의 수분이 빠져나가는 경우에는 로티의 식감이 전통방식과 다른 딱딱한 과자와 같이 만들어지므로, 로티 내부의 수분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철판에 접촉되는 로티의 일면이 구워지면 로티의 타면을 구워내어야 하며, 이 경우 각각의 로티를 일일이 뒤집어 구워야하는 조리 과정상의 번거로움이 발생한다.
따라서, 현재 인도의 도시화 및 공업화에 따른 도시적인 생활양식에서 상술한 문제점을 극복하면서 인도의 전통적인 방식으로 로티를 만들기 위한 조리기기의 제작이 필요하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인도의 전통적인 방식으로 로티를 만들 수 있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조리실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조리실에 열을 공급하는 가열부; 및 상기 조리실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내부에 조리물이 수용되는 회전형 조리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형 조리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개의 회전 플레이트; 상기 복수개의 회전 플레이트의 사이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각각의 회전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연결 로드; 및 상기 회전 플레이트 사이에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연결 로드가 관통되어 상기 회전 플레이트와 함께 회전되는 복수개의 조리 플레이트; 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조리기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회전 플레이트의 사이에 조리물과 조리 플레이트가 교차되어 배치된 상태의 회전형 조리장치를 조리실에 삽입하여 구동부에 의해 회전시킴에 따라, 회전형 조리장치가 회전되어 조리물의 일면과 타면에 각각 구비된 조리 플레이트에 의해 일면과 타면이 균일하게 가열되어 조리되도록 한다.
둘째, 조리용 플레이트가 탄두르에 사용되는 인도식 철판과 같은 역할을 하여 전통적인 방식으로 로티가 구워지도록 한다.
셋째, 조리물의 일면과 타면에 조리 플레이트가 배치되어 조리물을 가열함에 따라 조리물의 양면이 균일하게 가열되고 조리되어, 종래의 전통적인 방식인 철판에 올려진 로티를 다시 뒤집어서 익히는 과정을 실시할 필요가 없게 되어 조리시간이 단축된다.
넷째, 조리 플레이트가 연결 로드를 가이드 삼아 연결 로드 상에서 가로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구비됨에 따라, 조리 플레이트의 사이에 배치된 조리물이 부피변화에 의해 팽창되어 각각의 조리 플레이트를 밀어 각각의 조리 플레이트 사이의 간격이 변화되도록 하여 조리물의 팽창을 방해하지 않도록 한다.
다섯재, 연결 로드가 조리물과 조리 플레이트를 관통하는 적어도 두 지점이 서로 이격되어 배치됨에 따라, 연결 로드에 관통되는 조리물과 조리 플레이트가 연결 로드를 회전축으로 하여 공회전 되지 않게 된다.
여섯째, 지지부와 구동부가 연결부와 탈착 가능하게 구성됨에 따라, 회전형 조리장치를 조리실 내에서 탈거시킬 수 있게 되며 회전형 조리장치가 탈거된 조리기기를 일반적인 조리기기인 오븐이나 전자레인지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형 조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회전형 조리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플레이트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조리기기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01)과, 캐비닛(101)의 내부에 배치되고 조리실(102)을 형성하는 하우징(103)과, 하우징(103)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조리실(102)을 개폐하는 도어(105)와, 캐비닛(101)에 구비되어 조리기기를 제어하는 콘트롤 패널(120)이 구비된다.
캐비닛(101)은 조리기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대략적으로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지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하우징(103)은 캐비닛(101)에 비해 축소된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내부가 비어 있도록 형성되어 조리실(102)을 형성한다. 하우징(103)에 형성된 조리실(102)은 조리물(O)이 조리되는 장소이며, 사용자가 조리실(102) 내부로 조리물(O)을 반입 및 반출시킨다.
도어(105)는 하우징(103)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 도어(105)는 하우징(103)의 일점과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조리실(102)을 개폐한다. 도어(105)는 하우징(103)의 가로축 또는 세로축 중 어느 하나의 축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105)는 하우증의 가로축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하나, 이에 본 발명의 사상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어(105)가 조리실(102)을 폐쇄한 상태에서 외부의 사용자가 조리실(102)의 내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도어(105)의 중앙부에는 글라스(107)가 구비될 수 있다.
콘트롤 패널(120)은 캐비닛(101)의 일측에 구비된다. 콘트롤 패널(120)은 도어(105)와 간섭되지 않도록 배치되며, 도어(105)가 하우징(103)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됨에 따라 하우징(103)의 상측인 캐비닛(101)의 상측에 구비된다.
콘트롤 패널(120)에는 조리기기 동작 전반 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30)와, 조리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명령을 입력하는 조작부(140)가 구비된다.
하우징(103)에는 조리실(102)에 열을 공급하여 조리실(102)에 반입된 조리물(O)이 조리되도록 하는 가열부(110)가 구비된다. 가열부(110)는 실시예에 따라 하우징(103)에 노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하우징(103)과 캐비닛(101)의 사이에 구비되어 조리실(102)에서 감추어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조리실(102)의 내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될 수 있으며, 조리실(102)의 내측면 모두에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조리실(102)의 내측면 중 상측면과 하측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하나,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열부(110)는 실시예에 따라 전기를 공급하면 발열되는 전기히터로 실시될 수 있다. 전기히터에는 저항열을 이용한 일반히터 또는 할로겐을 이용한 할로겐 히터가 실시될 수 있으며, 이상에서 언급되지 않았으나 전기를 공급하면 발열되는 모든 히터를 포함한다.
가열부(110)는 또한 실시예에 따라 마그네트론으로 형성되어, 마그네트론에서 발진되는 고주파가 음식물에 조사되어 음식물의 분자가 진동됨에 따라 조리물(O)이 조리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가열부(110)가 전기히터로 형성되어, 상측에 구비되는 상부히터(111)와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히터(113)로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나, 이에 가열부(110)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조리실(102)의 내부에는 하우징(103)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내부에 조리물(O)이 수용되는 회전형 조리장치(150)가 구비된다. 회전형 조리장치(150)는 후술하는 연결부(153a 또는 153b)에 의해 하우징(103)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회전형 조리장치(150)는 내부에 조리물(O)이 수용된다. 조리물(O)은 조리기기에서 조리되는 모든 형태의 음식물을 포함하나, 이하에서 실시되는 조리물(O)은 인도의 주식으로 사용되는 로티(roti)를 가르키는 것으로 설명한다.
하우징(103)에는 회전형 조리장치(150)와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구동부(180)가 일측에 구비되며, 회전형 조리장치(150)의 회전 시 회전형 조리장치(150)를 지지하는 지지부(170)가 타측에 구비된다. 구동부(180)와 지지부(170)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형 조리장치(150)의 사시도이고, 도 3은 회전형 조리장치(150)의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형 조리장치(150)는 하우징(103)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개의 회전 플레이트(151a 또는 151b)와, 복수개의 회전 플레이트(151a 또는 151b)의 사이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어 각각의 회전 플레이트(151a 또는 151b)를 연결하는 연결 로드(157) 및, 회전 플레이트(151a 또는 151b) 사이에 이격되어 배치되며 연결 로드(157)에 수직하게 관통되어 구비되어, 회전 플레이트(151a 또는 151b)와 함께 회전되는 복수개의 조리 플레이트(15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각각의 회전 플레이트(151a 또는 151b)는 하우징(103)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하우징(103)의 일측면과 타측면은 조리실(102)이 형성된 하우징(103)의 내벽면으로, 회전 플레이트(151a 또는 151b)는 내벽면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하에서 하우징(103)의 일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 플레이트(151a 또는 151b)는 일측 회전 플레이트(151b)로, 타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 플레이트(151a 또는 151b)는 타측 회전 플레이트(151a)로 설명한다.
회전 플레이트(151a 또는 151b)는 일측면에 수직한 직선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된다. 일측면에 수직한 직선은 수평한 방향으로 향하며, 일측면의 반대면인 타측면에도 수직하다. 즉, 일측면에 수직한 직선인 가로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된다.
회전 플레이트(151a 또는 151b)가 가로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하면, 상부히터(111)와 하부히터(113)가 회전형 조리장치(150)에 수용된 조리물(O)로 열을 전달하게 되고, 조리물(O)은 회전형 조리장치(150)와 함께 회전되어, 열을 골고루 전달 받을 수 있게 된다.
연결 로드(157)는 회전 플레이트(151a 또는 151b) 사이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된다. 회전형 조리장치(150)가 조리실(102) 내에서 탈거된 후, 회전 플레이트(151a 또는 151b)와 연결 로드(157)가 분리되어 연결 로드(157)에 조리물(O)을 삽입되도록 한다. 이 경우 일측 회전 플레이트(151b)와 타측 회전 플레이트(151a) 중, 어느 하나에 연결 로드(157)가 탈착되고 다른 하나에 연결 로드(157)가 고정 구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일측 회전 플레이트(151b)와 타측 회전 플레이트(151a) 모두에 탈착 가능한 것으로 설명하나, 이에 본 발명의 사상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연결 로드(157)는 회전 플레이트(151a 또는 151b)를 연결한다. 연결 로드(157)는 일측 회전 플레이트(151b)와 타측 회전 플레이트(151a)의 사이를 연결하여, 각각의 회전 플레이트(151a 또는 151b)가 함께 회전 되도록 한다.
연결 로드(157)는 복수개가 구비되어, 회전 플레이트(151a 또는 151b)에 수직한 방향으로 구비된다. 연결 로드(157)는 회전 플레이트(151a 또는 151b)의 회전축인 가로축을 중심으로 대칭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리 플레이트(155)에는 연결로드가 관통된다. 조리 플레이트(155)에는 연결 로드(157)가 관통되어, 연결 로드(157)와 수직하게 배치된다. 조리 플레이트(155)는 일측 회전 플레이트(151b)와 타측 회전 플레이트(151a) 사이에 복수개가 평행하게 배치되고, 연결 로드(157)가 각각의 조리 플레이트(155)를 관통하여 일측 회전 플레이트(151b)와 타측 회전 플레이트(151a)를 연결한다.
조리 플레이트(155)는 회전 플레이트(151a 또는 151b)와 함께 회전된다. 회전 플레이트(151a 또는 151b)가 가로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되면 연결 로드(157)는 회전 플레이트(151a 또는 151b)와 함께 회전되고, 연결 로드(157)에 관통된 조리 플레이트(155)는 회전 플레이트(151a 또는 151b)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된다.
각각의 조리 플레이트(155)는 일측 회전 플레이트(151b)와 타측 회전 플레이트(151a) 사이에 배치되고, 각각의 조리 플레이트(155)가 이격되어 배치된다. 각각의 이격된 조리 플레이트(155) 사이에는 조리물(O)이 수용될 수 있다. 조리물(O)은 복수개가 이격되어 배치된 조리 플레이트(155)에 의해 각각의 조리 플레이트(155) 사이에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때 조리물(O)은 연결 로드(157)에 관통되어 수용될 수 있다. 즉, 일측 회전 플레이트(151b)와 연결 로드(157)가 분리된 상태에서, 연결 로드(157)에 조리 플레이트(155)를 관통시킨 후 조리물(O)을 관통시켜 조리 플레이트(155)에 접촉 시킨다. 그 다음에 또 다른 조리 플레이트(155)를 연결 로드(157)에 관통시켜 조리물(O)이 각각의 조리 플레이트(155) 사이에 배치되도록 한다.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여, 연결 로드(157)에 조리 플레이트(155)와 조리물(O)이 교차되어 배치되도록 한다.
회전 플레이트(151a 또는 151b)의 사이에 조리물(O)과 조리 플레이트(155)가 교차되어 배치된 상태의 회전형 조리장치(150)를 조리실(102)에 삽입하여 구동부(180)에 의해 회전시킨다.
회전된 회전형 조리장치(150)는 조리 플레이트(155)와 조리물(O)에 열을 전달하게 되고, 전달 받은 열에 의해 가열된 조리 플레이트(155)는 조리물(O)에 열을 전달하여 조리물(O)이 조리되도록 한다. 조리물(O)은 일면과 타면에 각각 구비된 조리 플레이트(155)에 의해, 일면과 타면이 균일하게 가열되어 조리된다.
이 경우, 조리물(O)이 로티로 실시됨에 따라 조리용 플레이트는 탄두르에 사용되는 인도식 철판과 같은 역할을 하게되고, 로티는 인도식 철판에 의해 구워지는 방식으로 조리되어 전통적인 방식과 같이 로티가 조리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조리된 조리물(O)인 로티는 일면과 타면에 접촉되는 각각의 조리 플레이트(155)에 의해 양면이 균일하게 가열되고 조리되어, 종래의 전통적인 방식인 철판에 올려진 로티를 다시 뒤집어서 익히는 과정을 실시할 필요가 없게 되어 조리시간이 단축된다.
조리 플레이트(155)는 연결 로드(157)에 관통되어 구비되며, 연결 로드(157)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조리 플레이트(155)는 연결 로드(157)를 가이드 삼아 연결 로드(157) 상에서 가로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구비된다. 로티로 실시되는 조리물(O)이 조리되면 내부의 수분에 의해 부피가 변화되어 팽창할 수 있다. 이 경우 조리 플레이트(155)의 사이에 배치된 조리물(O)이 팽창되면, 조리물(O)의 양면에 접촉되는 각각의 조리 플레이트(155)는 조리물(O)의 팽창에 의해 사이의 간격이 더 이격되어 변화된다.
조리물(O)의 부피변화에 의해 팽창되어 각각의 조리 플레이트(155)가 밀려나면, 각각의 조리 플레이트(155) 사이의 간격이 변화되록 하여 조리물(O)의 팽창을 방해하지 않도록 한다. 조리물(O)은 조리 플레이트(155) 사이에서 조리 과정에 따라 다시 수축 할 수 있으며, 조리물(O)이 조리물(O)의 팽창과 수축이 반복되는 전통적인 방식에 의해 구워지는 것과 같이 조리되도록 한다.
한편, 조리 플레이트(155)와 조리물(O)이 연결 로드(157)에 의해 관통되어 함께 회전될 때, 연결 로드(157)는 이격되어 배치되어 조리 플레이트(155)를 관통하는 지점이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한다. 연결 로드(157)가 회전축인 가로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 연결 로드(157)에 관통되는 조리물(O)이 함께 가로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연결 로드(157)에 관통되는 조리물(O)과 조리 플레이트(155)가 연결 로드(157)를 회전축으로 하여 공회전 되지 않도록, 조리물(O)과 조리 플레이트(155)에 관통되는 적어도 두 지점이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한다. 이 경우 연결 로드(157)는 가로축인 회전축을 중심으로 대칭되는 두 점에 각각 한쌍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회전형 조리장치(150)가 회전되는 구조에 관하여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각각의 회전 플레이트(151a 또는 151b)는 돌출되어 형성되는 연결부(153a 또는 153b)가 형성된다.
연결부(153a 또는 153b)는 각각의 회전 플레이트(151a 또는 151b)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며 연결 로드(157)가 구비되는 반대면에 형성된다. 연결부(153a 또는 153b)는 일측 회전 플레이트(151b)와 타측 회전 플레이트(151a) 모두에 각각 형성된다. 일측 회전 플레이트(151b)에 형성되는 일측 연결부(153b)에는 후술하는 구동부(180)에 탈착되도록 제1평탄면(D1)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관하여는 도 6에서 설명한다.
하우징(103)의 일측에는 연결부(153a 또는 153b)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 플레이트(151b)를 회전 시키는 구동부(180)가 더 구비된다. 구동부(180)는 하우징(103)과 캐비닛(101)의 사이에 구비되어 조리실(102)에 노출되지 않게 구비될 수 있다.
구동부(180)는 구동력을 발생시켜 연결부(153b)를 회전시킨다. 연결부(153b)가 회전되어 회전 플레이트(151a 또는 151b)가 회전되며, 회전 플레이트(151a 또는 151b)의 회전에 의해 연결 로드(157)에 관통된 조리물(O)이 상부히터(111)와 하부히터(113)로부터 균일하게 가열될 수 있다.
구동부(180)는 연결부(153b)와 탈착 가능하게 구성된다. 구동부(180)는 회전형 조리장치(150)가 조리실(102)에 삽입되면, 일측 연결부(153b)와 탈착가능하게 결합된다. 구동부(180)에 일측 연결부(153b)가 결합되면 구동부(180)는 일측 연결부(153b)를 고정시키고, 구동부(180)의 구동력에 의해 일측 연결부(153b)가 회전되도록 한다. 구동부(180)의 상세한 구성에 관하여는 도 6에서 설명한다.
하우징(103)의 타측에는 연결부(153a)가 탈착되고, 회전 플레이트(151a 또는 151b)의 회전 시 회전 플레이트(151a 또는 151b)를 지지하는 지지부(170)가 구비된다. 타측 회전 플레이트(151a)에 형성되는 타측 연결부(153a)는 하우징(103)의 타측에 구비되는 지지부(17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지지부(170)는 하우징(103)의 타측면에 노출되어 구비될 수 있으며, 타측 연결부(153a)가 삽입되어 회전형 조리장치(150)가 회전되면 타측 연결부(153a)가 지지되도록 한다. 지지부(170)의 상세한 구성에 관하여는 도 5에서 후술한다.
지지부(170)와 구동부(180)가 연결부(153a 또는 153b)와 탈착 가능하게 구성됨에 따라, 회전형 조리장치(150)를 조리실(102) 내에서 탈거시킬 수 있으며, 회전형 조리장치(150)가 탈거된 조리기기를 일반적인 조리기기인 오븐이나 전자레인지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플레이트(155)의 정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플레이트(155)는 복수개의 홀(H)이 형성되어 가열부(110)에서 공급되는 열이 조리물(O)로 전달되도록 한다.
조리 플레이트(155)에는 복수개의 홀(H)이 개구되어 형성된다. 복수개의 홀(H)은 조리 플레이트(155)에 접촉된 조리물(O)이 노출되도록 한다. 홀(H)에 노출된 조리물(O)은 가열부(110)에서 공급되는 열이 직접적으로 전달되도록 한다.
조리물(O)은 조리 플레이트(155)에 의해 가열됨과 동시에 가열부(110)에서 공급되는 열을 조리 플레이트(155)에 형성된 홀(H)로 직접 전달받아 조리된다. 이에 따라, 조리물(O)의 조리가 전통적인 방식에 의해 조리됨과 동시에, 조리물(O)로 가열부(110)의 열이 직접 전달되어 조리시간이 단축된다.
조리 플레이트(155)에는 연결 로드(157)가 관통되는 관통홀(G)이 개구되어 형성된다. 관통홀(G)을 연결 로드(157)의 개수에 대응되어 형성되며, 조리 플레이트(155)의 중삼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리 플레이트(155)는 알루미늄 재질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로티로 실시되는 조리물(O)은 조리 플레이트(155)로부터 대부분의 열을 직접 전달받아 조리되어야 전통적인 방식에 의해 조리되는 로티와 같이 조리되므로, 가열부(110)의 열을 전달 받아 조리물(O)에 열을 직접 전달하기 위해 조리 플레이트(155)는 열전도율이 좋은 알루미늄 재질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조리 플레이트(155)가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됨에 따라, 조리물(O)인 로티가 전통전익 방식에 의해 조리되는 것과 같이 조리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170)의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지지부(170)는 하우징(103)에 결합되는 몸체(173)와, 몸체(173)에 함몰되어 형성되어 연결부(153a)가 삽입되는 가이드부(171)와, 가이드부(171)에 삽입된 연결부(153a)가 안착되어 지지되는 안착부(172)를 포함한다.
몸체(173)는 하우징(103)의 타측면에 결합된다. 몸체(173)는 하우징(103)의 타측면에 일부가 노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부(171)는 몸체(173)에 함몰되어 형성된다. 가이드부(171)는 회전형 조리장치(150)가 조리실(102)에 삽입되면, 타측 연결부(153a)가 후술하는 안착부(172)에 안착되도록 타측 연결부(153a)가 삽입된다. 가이드부(171)는 연결부(153a )가 삽입되어 안착부(172)로 안내되도록 개구되어 형성된다.
안착부(172)는 가이드부(171)의 끝점에 형성되어, 타측 연결부(153a)가 안착되어 지지도되록 한다. 안착부(172)에 안착된 타측 연결부(153a)는 회전형 조리장치(150)가 회전할 때, 안착부(172)에 의해 지지되어 회전형 조리장치(150)가 가로축을 회전축으로하여 회전이 원활하게 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180)의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180)는 하우징(103)에 구비되어 구동력을 발생하는 모터부(186)와, 모터부(186)의 구동력을 전달받는 폴리부(181) 및, 하우징(103)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연결부(153b)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모터부(186)에서 발생하는 구동력을 전달받아 연결부(153b)를 회전시키는 체결부(18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모터부(186)는 하우징(103)의 일측에 구비된다. 모터부(186)는 전기를 공급받아 회전되어, 구동력을 발생시켜 폴리부로 전달한다.
폴리부(181)는 모터부(186)에 결합되는 제1폴리(181-1)와, 체결부(185)에 고정되고 하우징(103)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폴리(181-2) 및, 제1폴리(181-1)와 제2폴리(181-2)를 연결하여 제1폴리(181-1)의 구동력을 제2폴리(181-2)로 전달하는 벨트(181-3)로 구성된다.
제1폴리(181-1)는 모터부(186)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며, 벨트(181-3)는 제1폴리(181-1)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제2폴리(181-2)로 전달한다. 제2폴리(181-2)는 벨트(181-3)로부터 전달받은 구동력을 제2폴리(181-2)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체결부(185)로 전달한다.
체결부(185)는 하우징(103)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폴리(181-2)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며, 연결부(153b)의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측 연결부(153b)에는 일면이 평탄하게 형성되는 제1평탄면(D1)이 형성되고, 체결부(185)에는 일측 연결부(153b)의 제1평탄면(D1)의 형상에 대응하는 제2평탄면(D2)이 형성된다.
연결부(153a 또는 153b)의 제1평탄면(D1)이 체결부(185)의 제2평탄면(D2)에 접촉된 후, 체결부재(184) 등에 의해 관통되어 연결부(153b)와 체결부(185)가 결합된다. 체결부재(184)는 스크류로 실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체결홀(H')에서 탈착이 가능하게 형성된다.
체결부재(184)가 탈거되면 연결부(153a 또는 153b)와 체결부(185)의 체결이 해제된다. 체결부(185)와 타측 연결부(153b)가 결합된 상태에서, 모터부(186)가 회전하면, 구동력이 폴리부를 통해 체결부(185)로 전달되고, 체결부(185)가 회전되어 연결부(153b)를 회전시켜 회전형 조리장치(150)가 회전되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은 한정되어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30 : 디스플레이부 140 : 조작부
120 : 콘트롤 패널 150 : 회전형 조리장치
170 : 지지부 102 : 조리실
103 : 하우징 105 : 도어
107 : 글라스 110 : 가열부
180 : 구동부 101 : 캐비닛
153a 내지 153b : 연결부 151a 내지 151b : 회전 플레이트
155 : 조리 플레이트 157 : 연결 로드
O : 조리물 171 : 가이드부
172 : 안착부 173 : 몸체
184 : 체결부재 185 : 체결부
181 : 폴리부 181-1 : 제1폴리
181-2 : 제2폴리 181-3 : 벨트
186 : 모터부 D1 : 제1평탄면
D2 : 제2평탄면

Claims (10)

  1. 조리실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조리실에 열을 공급하는 가열부; 및
    상기 조리실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내부에 조리물이 수용되는 회전형 조리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형 조리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개의 회전 플레이트;
    상기 복수개의 회전 플레이트의 사이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각각의 회전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연결 로드; 및
    상기 회전 플레이트 사이에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연결 로드가 관통되어 상기 회전 플레이트와 함께 회전되는 복수개의 조리 플레이트;
    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플레이트는 상기 일측면에 수직한 직선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되는 조리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조리 플레이트는 이격되어 배치되어, 상기 복수개의 조리물이 상기 조리 플레이트의 사이에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하는 조리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 플레이트는, 상기 조리물이 조리되어 부피가 변화되면 상기 조리물의 부피변화에 의해 상기 각각의 조리 플레이트 사이의 간격이 변화되도록, 상기 연결 로드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조리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조리 플레이트는 복수개의 홀이 형성되어 상기 가열부에서 공급되는 열이 상기 조리물로 전달되도록 하는 조리기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조리 플레이트는 알루미늄 재질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조리기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회전 플레이트는 돌출되어 형성되는 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는 상기 연결부와 탈착되고 상기 연결부를 회전시켜 상기 회전 플레이트를 회전시키는 구동부가 더 구비되는 조리기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회전 플레이트에는 돌출되어 형성되는 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는 상기 연결부가 탈착되고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회전 시 상기 회전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지지부가 더 구비되는 조리기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로드는 복수개가 구비되어 상기 각각의 회전 플레이트에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각각의 연결 로드는 이격되어 배치되어, 상기 조리 플레이트를 관통된 지점이 이격되도록 하는 조리기기.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구동력을 발생하는 모터부; 및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연결부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모터부에서 발생하는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연결부를 회전시키는 체결부;
    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20100079448A 2010-08-17 2010-08-17 조리기기 KR1011448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9448A KR101144814B1 (ko) 2010-08-17 2010-08-17 조리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9448A KR101144814B1 (ko) 2010-08-17 2010-08-17 조리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6914A KR20120016914A (ko) 2012-02-27
KR101144814B1 true KR101144814B1 (ko) 2012-05-11

Family

ID=45839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9448A KR101144814B1 (ko) 2010-08-17 2010-08-17 조리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481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52199U (ko) 1987-03-25 1988-10-06
KR20030015985A (ko) * 2001-08-20 2003-02-26 (주)케이.씨.씨 훈연 및 직화구이 겸용 조리장치
KR20030019704A (ko) * 2001-08-30 2003-03-07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전자렌지용 바베큐 회전장치
KR200309453Y1 (ko) 2002-12-30 2003-04-03 김계용 기름 배출구조를 갖는 육류 구이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52199U (ko) 1987-03-25 1988-10-06
KR20030015985A (ko) * 2001-08-20 2003-02-26 (주)케이.씨.씨 훈연 및 직화구이 겸용 조리장치
KR20030019704A (ko) * 2001-08-30 2003-03-07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전자렌지용 바베큐 회전장치
KR200309453Y1 (ko) 2002-12-30 2003-04-03 김계용 기름 배출구조를 갖는 육류 구이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6914A (ko) 2012-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81702B2 (en) Cooking apparatus
US20150297029A1 (en) Cooking appliance using thin-film heating element
US20080257169A1 (en) Kitchen electrical appliance
KR101192349B1 (ko) 조리기기
KR101144814B1 (ko) 조리기기
CN103549887B (zh) 一种烤箱
CN105686691A (zh) 一种多功能早餐机
KR20120016917A (ko) 조리기기
KR101804887B1 (ko) 오븐 제빵기
KR101233212B1 (ko) 조리기기
KR101233211B1 (ko) 조리기기
KR20120016919A (ko) 조리기기
KR101192351B1 (ko) 조리기기
KR101192352B1 (ko) 조리기기
CN101469875A (zh) 具有烤箱的微波炉
KR101233213B1 (ko) 조리기기
KR101203577B1 (ko) 조리기기
CN100414177C (zh) 具备烤鸡蛋装置的电子微波炉
CN203828757U (zh) 烤箱
CN203634026U (zh) 一种烤箱
KR101176130B1 (ko) 조리기기
KR200390575Y1 (ko) 전자레인지의 회전식 히터시스템
KR102348573B1 (ko) 멀티 가열방식의 회전 그릴장치
CN206729718U (zh) 食品烹饪和烘烤设备
KR101415710B1 (ko) 간이 오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