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4646B1 - 전장품의 조립설치 및 배선작업이 편리한 공기압축기용 제어반 - Google Patents

전장품의 조립설치 및 배선작업이 편리한 공기압축기용 제어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4646B1
KR101144646B1 KR1020100082490A KR20100082490A KR101144646B1 KR 101144646 B1 KR101144646 B1 KR 101144646B1 KR 1020100082490 A KR1020100082490 A KR 1020100082490A KR 20100082490 A KR20100082490 A KR 20100082490A KR 101144646 B1 KR101144646 B1 KR 1011446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control panel
wiring
air compressor
elect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2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2006A (ko
Inventor
성갑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코핸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코핸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코핸즈
Priority to KR10201000824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4646B1/ko
Priority to CN 201010590042 priority patent/CN102072140B/zh
Publication of KR201200220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20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46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4646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or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압축기의 제어용으로 사용하는 전자개폐기, 오버로드스위치, 압력스위치, 전원등, 운전등, 아우어메터 따위의 많은 전장품을 제어반에 편리하게 조립설치함은 물론 주변의 간섭없이 배선작업을 더욱 편리하게 시행하면서도 상기 제어반의 전체적인 구조를 간소화하는 전장품의 조립설치 및 배선작업이 편리한 공기압축기용 제어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사방이 개방된 멀티베이스의 상부에 전자개폐기 등과 같은 전장품의 조립설치 및 배선작업을 리시버탱크와 분리된 별도의 작업장에서 간섭현상 없이 편리하게 시행하도록 하고, 상기 전장품의 조립설치 및 배선이 완료된 멀티베이스를 리시버탱크에 부착된 전장베이스에 안착상태로 조립 설치하는 간단한 방법으로 공기압축기용 제어반을 구현할 수 있음을 발명의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장품의 조립설치 및 배선작업이 편리한 공기압축기용 제어반{Control panel for air compressor easy to installation and wiring of eiectronic parts}
본 발명은 공기압축기의 제어용으로 사용하는 전자개폐기, 오버로드스위치, 압력스위치, 전원등, 운전등, 아우어메터 따위의 많은 전장품을 제어반에 편리하게 조립설치함은 물론 주변의 간섭없이 배선작업을 더욱 편리하게 시행하면서도 상기 제어반의 전체적인 구조를 간소화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압축공기를 생산하기 위한 일반적인 피스톤식 공기압축기는 수평으로 배치된 리시버탱크 상에 압축펌프와 상기 압축펌프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를 조립설치하고, 상기 공기압축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반을 장착시킨 어셈블리의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한 공기압축기용 제어반은 전자개폐기, 오버로드스위치, 압력자동스위치, 전원등, 운전등, 아우어메터 따위의 전장품을 한 곳에 집중하여 설치한 것으로, 현재 가장 보편화 된 공기압축기용 제어반은 도 8과 같이 공기압축기(1)의 리시버탱크(1a) 상부에 부착된 제어반 장착대(1b)에 철재 또는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제작한 전면이 개방된 함체(2)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함체(2)의 전면에는 힌지축(2a)을 매개로 전면커버(2b)가 개폐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함체(2) 내부의 후면에는 전자개폐기(3), 접속단자반(4), 트랜스포머 등의 전장품이 설치되고, 상기 전면커버(2b)에는 내, 외부를 관통하여 셀렉터스위치(5), 각종 램프(6), 아우어메터 등과 같은 부가기능을 제공하는 부속 전장품이 설치되며, 상기 리시버탱크(1a) 상에 설치된 압력스위치는 압력에 의하여 제일 먼저 전원을 정지시키는 작동을 하므로 반드시 상기 셀렉터스위치(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이 셀렉터스위치(5)는 접속단자반(4)을 거쳐 전자개폐기(3)의 단속계자코일로 연결된다.
그러나 상기한 제어반은 도 8과 같이 전면커버(2b)를 개방하더라도 함체(2)는 전면이 개방될 뿐 사방이 막혀 배선작업에 필요한 공간이 매우 비좁고 협소함으로써 작업자가 함체(2)의 내부에 손을 넣어 전자개폐기에 필요한 배선을 연결하고 마무리하는 복잡한 배선작업을 하기에는 많은 힘이 들고 어려움이 따르는 것이었다.
또한, 전면커버에 추가기능을 제공하는 부속 전장품(셀렉터스위치, 램프 등의 옵션기능)을 설치하지 않는 경우에도 전면커버(2b)는 함체(2)를 밀폐하기 위한 목적으로 반드시 필요하며, 이외에도 함체(2)를 고정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제어반 장착대(1b)를 리시버탱크(1a)에 반드시 설치하여야만 함으로써 불필요한 부품이 많이 소요되어 제작에 따른 코스트가 높은 문제점이 야기된다.
또한, 상기 전면커버에 부착된 여러 종류의 부속 전장품(셀렉터스위치, 램프 등)과 함체(2)에 설치된 접속단자반(4)이 여러 가닥의 제어선(7)으로 연결됨으로써 내부 점검을 위해 전면커버를 열어 놓더라도 상기 제어선(7)의 중량이 많이 나가고 길이가 짧은 이유로 인해 전면커버(2b)가 완전하게 개방되지 않고 제어선(7)이 당겨지면서 전면커버가 자동으로 닫히게 되어 점검, 수리, 보수작업이 어렵고 불편한 문제점이 야기된다.
이러한 현실을 감안하여 상기 전자개폐기에 필요한 전선을 외부에서 미리 연결하는 배선작업을 완료한 후 상기 전자개폐기를 함체(2)에 설치하는 방법이 일부 제안되고 있으나, 이는 극히 제한적인 것이었다.
즉 모터연결선과 전원공급선(220V~380V)은 반드시 함체(2)의 내, 외부를 통과하여야만 하는데 모터연결선의 끝 부분이나 상기 전원공급선의 끝에 형성된 코드는 함체의 바닥면에 형성된 전선통공을 통과하여 내부로 인입한 후 협소한 곳을 통과하면서 90°각도로 2회 이상 구부려서 각 전선연결구에 연결하기가 어려워 그 실효성이 없거나 반감되는 것이었다.
따라서, 공기압축기의 제어용으로 사용하는 전자개폐기, 오버로드스위치, 압력자동스위치, 셀렉터스위치, 전원램프, 운전램프 따위의 전장품을 간편하게 조립설치함은 물론 배선작업을 어떠한 간섭 없이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제어반이 당 업계에서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공기압축기용 제어반이 내포하고 있는 제반 문제점을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사방이 개방된 멀티베이스의 상부에 전자개폐기 등과 같은 전장품의 조립설치 및 배선작업을 리시버탱크와 분리된 별도의 작업장에서 간섭현상 없이 편리하게 시행하도록 하고, 상기 전장품의 조립설치 및 배선이 완료된 멀티베이스를 리시버탱크에 부착된 전장베이스에 안착상태로 조립 설치하는 간단한 방법으로 공기압축기용 제어반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함을 발명의 해결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멀티베이스의 전면판에 셀렉터스위치, 램프(전원표시등, 운전표시등)를 복합적으로 설치하는 간단한 방법으로 기능과 경제적 요구에 부합하는 고품질의 제어반을 편리하게 설치하면서도 전체적으로 콤팩트한 구조화를 이룩할 수 있도록 함을 발명의 해결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장베이스의 상부에 제어반 커버를 마감 설치하는 방법으로 전자개폐기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함을 발명의 해결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판 및 전?후면판에 연속하여 개방된 전선통로가 함몰 형성된 전장베이스를 리시버탱크 상에 일체화 부착하고, 상기 전장베이스에 안착상태로 조립 설치되는 멀티베이스를 리시버탱크와 분리된 별도의 단품으로 제작하되 상기 멜티베이스의 상판에는 상하로 관통하는 다수의 배선통공을 형성하며, 상기 멀티베이스의 상부에 전자개폐기를 조립설치하는 기술을 강구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멀티베이스의 전면판에 각종 부속 전장품 설치하고, 상기 멀티베이스의 배선통공을 통과시킨 전자개폐기의 접점에 연결된 제어선과 상기 부속 전장품을 자유롭게 연결하는 기술을 강구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전자개폐기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전자개폐기를 감싸면서 보호하는 제어반 커버를 멀티베이스의 상단에 안착 설치하는 기술을 강구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방이 개방된 멀티베이스가 리시버탱크와 분리된 별도의 단품으로 제작됨으로써 작업환경이 우수한 전용 작업장에서 상기 멀티베이스에 전자개폐기 등과 같은 각종 전장품을 주변이 개방된 상태에서 어떠한 간섭현상 없이 편리하게 조립설치 및 배선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고, 특히 이와 같은 전장품을 멀티베이스에 조립설치 및 배선하는 작업을 대량화, 신속화함과 동시에 생산성을 향상하면서도 이에 따른 노동력과 시간을 획기적으로 절감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아울러 상기 전장품의 조립설치 및 배선이 완료된 멀티베이스를 리시버탱크에 부착된 전장베이스에 안착상태로 조립 설치함으로써 최종적인 공기압축기용 제어반을 매우 신속하고 편리하게 구현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멀티베이스의 전면판에 설치한 각종 부속 전장품(스위치, 램프 등)과 상기 전자개폐기의 접점과 연결된 제어선을 더욱 간편하게 연결하면서도 상기 멀티베이스에 전자개폐기 및 각종 부속 전장품을 동시에 수용함으로써 제어반의 전체적인 구조가 매우 간소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전자개폐기의 외측을 감싸도록 제어반 커버를 멀티베이스의 상단에 마감 설치함으로써 전자개폐기를 외력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공기압축기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전장품이 조립설치된 멀티베이스가 전장베이스에 조립설치되는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전장품이 조립설치된 멀티베이스가 전장베이스에 조립설치되는 상태의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전장베이스 및 멀티베이스의 분리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전장품이 조립설치된 멀티베이스가 전장베이스에 조립설치된 상태의 확대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전장품이 조립설치된 멀티베이스가 전장베이스에 조립설치된 상태의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멀티베이스에 제어반 커버가 안착 조립된 상태의 종단면도
도 8은 종래 공기압축기용 제어반의 설치상태 일 예시도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의 해결수단을 보다 구체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체적인 기술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공기압축기(1)의 리시버탱크(1a) 상에 일체화 설치된 전장베이스(10)와; 상기 전장베이스(10)의 상단에 안착상태로 조립설치되되, 상판(21)의 전후에 상하로 관통하는 다수의 배선통공이 형성된 멀티베이스(20)와; 상기 멀티베이스(20)의 상판(21)에 조립설치되는 전자개폐기(30)의 유기적인 결합구성으로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이하, 상기 개략적인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을 실시 용이하도록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전자개폐기(30)를 포함하는 각종 전장품을 우선적으로 단품으로 제작된 멀티베이스(20)에 편리하게 1차적으로 조립설치 및 배선을 완료한 후 상기 멀티베이스(20)를 전장베이스(10)의 상단에 2차적으로 조립설치하는 간단한 방법으로 공기압축기용 제어반을 신속하게 구현할 수 있음을 발명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공기압축기(1)는 리시버탱크(1a)의 상부에 압축펌프(8) 및 이 압축펌프(8)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9)가 조립 설치되고, 상기 공기압축기(1)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개폐기(30), 셀렉터스위치(5) 및 전원등, 운전등과 같은 각종 램프(6), 아우어메터 따위의 모든 전장품을 집중 설치한 제어반이 구비된 어셈블리의 형태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공기압축기(1)의 리시버탱크(1a) 상부에는 용접작업 등을 통해 전장베이스(10)가 일체화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전장베이스(10)는 각종 전장품의 조립설치 및 배선작업이 완료된 멀티베이스(20)를 전용으로 조립설치하기 위한 매개체이다.
여기에서 상기 전장베이스(10)의 상부면(11) 및 전?후면(12)(13)의 중앙에 연속하여 개방된 전선통로(15)가 함몰 형성되고, 상기 전선통로(15)의 양측 상부면(11)의 전후에는 각각 나사체결공(16)이 형성된다.
상기 전선통로(15)는 멀티베이스(20)에 조립설치한 전자개폐기(30)의 접점에 연결되는 모터연결선(9a), 제어선(7) 등이 멀티베이스(20)의 배선통공(24)을 통과한 후 꺾이거나 접히면서 단선되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플렉시블한 상태로 위치할 수 있는 충분한 안전공간을 제공함은 물론 특히 상기 모터연결선(9a)을 원활하게 모터(9)로 연결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한다.
상기 전장베이스(10)의 상단에 안착상태로 조립설치되는 멀티베이스(20)는 리시버탱크(1a)와 분리된 별도의 단품으로 제작됨으로써 냉,난방이 이루어지는 작업여건이 우수한 별도의 작업장(실내공간 등)에서 각종 전장품을 상기 멀티베이스(20)에 1차적으로 조립설치 및 배선하는 작업을 대량화, 신속화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며, 상기 전장품이 완비된 멀티베이스(20)를 리시버탱크(1a)의 전장베이스(10)에 조립하는 간단한 방법으로 공기압축기용 제어반을 완성할 수 있는 특별한 효과를 제공한다.
이를 위한 멀티베이스(20)는 상판(21) 전후에 다수의 배선통공(24)이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되고, 이 상판(21)의 전후 양단에는 하향으로 절곡된 전?후면판(22)(23)이 형성된다.
상기 배선통공(24)은 모터연결선(9a), 전원공급선 등과 같은 각종 제어용 전선 및 전자개폐기(30)의 접점과 연결되는 각종 제어선(7)이 자유롭게 통과할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멀티베이스(20)에 각종 전장품을 조립설치한 후 배선작업을 원활하게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전기적인 회로구성이 가능해진다.
이때 상기 멀티베이스(20)의 배선통공(24)은 상기 멀티베이스(20)의 상판(21) 중앙부가 도 6과 같이 전장베이스(10)에 안착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전장베이스(10)의 전?후면(12)(13)보다 외측에 위치함으로써 전장베이스(10)의 상판(21)과 중첩되면서 배선통공(24)이 막히는 현상을 방지하며, 상기 전장베이스(10)의 전면(12)과 멀티베이스(20) 전면판(22)의 사이 및 상기 전장베이스(10)의 후면(13)과 멀티베이스(20) 후면판(23)의 사이에는 각각 셀렉터 스위치(5), 램브(6) 등과 같은 부속 전장품이 배치될 수 충분한 부속 전장품 배치공간(25)이 마련된다.
아울러 상기 멀티베이스(20)의 상판(21)에는 상기 전장베이스(10)의 나사체결공(16)과 동심축을 이루는 관통공(26)이 양측에 각각 형성됨에 따라 상기 관통공(26)을 체결부재(27)가 관통한 후 나사체결공(16)에 일체로 체결됨으로써 상기 멀티베이스(20) 및 전장베이스(10)는 상호 일체화 조립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멀티베이스(20)의 상판(21)에는 태핑나사를 이용하여 전자개폐기(30)를 우선적으로 조립 설치한다.
따라서, 상기 전자개폐기(30)는 멀티베이스(20)에 고정 설치됨에도 상부 및 사방이 완전 개방되어 충분한 작업공간을 확보함으로써 어떠한 간섭도 받지 않고 배선작업을 간편하게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노동력 감소의 효과는 매우 크다.
한편, 상기 멀티베이스(20)의 상단에는 도 7과 같이 전자개폐기(30)의 외측을 감싸도록 제어반 커버(40)를 안착상태로 부착 설치한다.
상기 제어반 커버(40)는 저면을 제외한 전 부위가 밀폐됨으로써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하면서 전자개폐기(30)를 감싼 상태로 멀티베이스(20)의 상단에 안착될 수 있으며, 마주하는 전후 양면에는 고정스커트(41)가 일체로 연장 설치되고, 상기 고정스커트(41)는 멀티베이스(20)의 전?후면판(22)(23)에 각각 밀착된 상태에서 체결부재(42)로 관통하여 전?후면판(22)(23)에 간단한 방법으로 부착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멀티베이스(20)에 제어반 커버(40)를 직접 설치하는 간단한 방법으로 전자개폐기(30)를 보호함으로써 구조가 매우 간소하여 제작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한다.
1: 공기압축기 1a: 리시버탱크
3, 30: 전자개폐기 5: 셀렉터 스위치
6: 램프 10: 전장베이스
11: 상부면 15: 전선통로
16: 나사체결공 20: 멀티베이스
21: 상판 24: 배선통공
25: 부속 전장품 배치공간 27, 42: 체결부재
40: 제어반 커버 41: 고정스커트

Claims (6)

  1. 공기압축기(1)의 리시버탱크(1a) 상에 일체화 설치된 전장베이스(10)와;
    상기 전장베이스(10)의 상단에 안착상태로 조립설치되되, 상판(21)의 전후에 상하로 관통하는 다수의 배선통공이 형성된 멀티베이스(20)와;
    상기 멀티베이스(20)의 상판(21)에 조립설치되는 전자개폐기(3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장품의 조립설치 및 배선작업이 편리한 공기압축기용 제어반.
  2. 제 1항에 있어서,
    멀티베이스(20)의 배선통공은 상기 멀티베이스(20)의 상판(21) 중앙부가 전장베이스(10)에 안착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전장베이스(10)의 전?후면(12)(13)보다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전장베이스(10)의 전면(12)과 멀티베이스(20) 전면판(22)의 사이 및 상기 전장베이스(10)의 후면(13)과 멀티베이스(20) 후면판(23)의 사이에는 각각 부속 전장품이 배치될 수 부속 전장품 배치공간(25)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장품의 조립설치 및 배선작업이 편리한 공기압축기용 제어반.
  3. 제 1항에 있어서,
    전장베이스(10)는 상부면(11) 및 전?후면(12)(13)의 중앙에 연속하여 개방된 전선통로(15)가 함몰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장품의 조립설치 및 배선작업이 편리한 공기압축기용 제어반.
  4. 제 3항에 있어서,
    전선통로(15)의 양측 상부면(11)에 나사체결공(16)이 형성되고, 상기 멀티베이스(20)의 상판(21)에는 상기 나사체결공(16)과 동심축을 이루는 관통공(26)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26)을 관통한 체결부재(27)는 나사체결공(16)에 일체로 체결되어 상기 멀티베이스(20) 및 전장베이스(10)가 일체화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장품의 조립설치 및 배선작업이 편리한 공기압축기용 제어반.
  5. 제 1항에 있어서,
    멀티베이스(20)는 전면판(22)에 셀렉터스위치(5), 램프(6)와 같은 각종 부속 전장품이 내, 외부를 관통하여 추가로 설치되고, 상기 부속 전장품의 접점과 연결된 제어선(7)은 배선통공(24)을 통과하여 전자개폐기(30)의 접점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장품의 조립설치 및 배선작업이 편리한 공기압축기용 제어반.
  6. 제 1항에 있어서,
    멀티베이스(20)의 상단에는 전자개폐기(30)의 외측을 감싸는 제어반 커버(40)가 안착되되, 상기 제어반 커버(40)의 전후 양면에는 고정스커트(41)가 연장 설치되며, 상기 고정스커트(41)는 각각 멀티베이스(20)의 전?후면판(22)(23)에 체결부재(42)로 관통하여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장품의 조립설치 및 배선작업이 편리한 공기압축기용 제어반.
KR1020100082490A 2010-08-25 2010-08-25 전장품의 조립설치 및 배선작업이 편리한 공기압축기용 제어반 KR1011446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2490A KR101144646B1 (ko) 2010-08-25 2010-08-25 전장품의 조립설치 및 배선작업이 편리한 공기압축기용 제어반
CN 201010590042 CN102072140B (zh) 2010-08-25 2010-12-16 易于安装电子零件和布线作业的空气压缩机用控制面板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2490A KR101144646B1 (ko) 2010-08-25 2010-08-25 전장품의 조립설치 및 배선작업이 편리한 공기압축기용 제어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2006A KR20120022006A (ko) 2012-03-09
KR101144646B1 true KR101144646B1 (ko) 2012-05-11

Family

ID=44030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2490A KR101144646B1 (ko) 2010-08-25 2010-08-25 전장품의 조립설치 및 배선작업이 편리한 공기압축기용 제어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44646B1 (ko)
CN (1) CN102072140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08745A (zh) * 2013-03-29 2013-07-17 国家电网公司 一种空气小开关防护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64579U (ko) * 1987-04-16 1988-10-26
JPH06159248A (ja) * 1992-11-19 1994-06-07 Tokico Ltd 空気圧縮機
KR200422128Y1 (ko) 2006-04-28 2006-07-24 이상윤 공기압축기용 응축수 자동 배수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1474U (ja) * 1992-01-27 1993-08-13 三菱電機株式会社 冷媒圧縮機の端子箱
CN1154212C (zh) * 2001-09-18 2004-06-16 钱根良 电气连接装置
JP2008184947A (ja) * 2007-01-29 2008-08-14 Toyota Industries Corp 電動コンプレッサ
CN201381975Y (zh) * 2008-09-12 2010-01-13 上海宏赛自动化电气有限公司 空压机综合智能控制设备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64579U (ko) * 1987-04-16 1988-10-26
JPH06159248A (ja) * 1992-11-19 1994-06-07 Tokico Ltd 空気圧縮機
KR200422128Y1 (ko) 2006-04-28 2006-07-24 이상윤 공기압축기용 응축수 자동 배수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08745A (zh) * 2013-03-29 2013-07-17 国家电网公司 一种空气小开关防护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072140A (zh) 2011-05-25
CN102072140B (zh) 2013-09-04
KR20120022006A (ko) 2012-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99478B (zh) 电动马达
US20170205086A1 (en)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CN101511153A (zh) 带印刷电路板的电子装置外壳和制造电子装置外壳的方法
KR101512907B1 (ko) 전기 자동차용 전기 기기
KR101144646B1 (ko) 전장품의 조립설치 및 배선작업이 편리한 공기압축기용 제어반
JP5126280B2 (ja) 空調機
KR20140087423A (ko) 자동차용 박스
JP7112163B2 (ja) 空気調和装置の室外機
EP3660307B1 (en) Compressor and out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CN106612597A (zh) 电控盒与空调器
CN205772992U (zh) 一种电动绞盘
KR100804614B1 (ko) 냉난방 겸용 에어컨의 제어부 조립 장치
KR20180024142A (ko) 전장품의 조립설치 및 배선작업이 편리한 공기압축기용 제어반
CN206759925U (zh) 一种自动化控制箱
CN207471314U (zh) 安检指示灯及安检机
CN104421902A (zh) 防爆灯具
CN215343625U (zh) 矿卡发动机用控制柜
KR20110130873A (ko) 배선작업이 용이한 바로탑재형 공기압축기용 제어반
KR20070012078A (ko) 천정배선 분기구
CN217508458U (zh) 壳体、控制器、电机、电动空气压缩机和商用车
CN214314394U (zh) 一种煤矿机电用接线箱
CN218510950U (zh) 一种烹饪器具
CN220078247U (zh) 电梯功能柜及电梯
CN209948592U (zh) 一种户外端子箱密封结构
CN220510506U (zh) 一种具有防触电保护的低压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