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4237B1 - 고분해능 질량분석법과 약리활성검사를 이용한 천연물의 약리 활성물질 발굴 방법 - Google Patents

고분해능 질량분석법과 약리활성검사를 이용한 천연물의 약리 활성물질 발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4237B1
KR101144237B1 KR1020090133083A KR20090133083A KR101144237B1 KR 101144237 B1 KR101144237 B1 KR 101144237B1 KR 1020090133083 A KR1020090133083 A KR 1020090133083A KR 20090133083 A KR20090133083 A KR 20090133083A KR 101144237 B1 KR101144237 B1 KR 1011442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ivity
mass
profile
pharmacologically active
active sub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30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76385A (ko
Inventor
박규환
김현식
권경훈
유종신
Original Assignee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Priority to KR10200901330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4237B1/ko
Priority to PCT/KR2010/008988 priority patent/WO2011081329A2/en
Priority to CN201080062812.9A priority patent/CN102741689B/zh
Priority to EP10841161.2A priority patent/EP2519816B1/en
Priority to JP2012546993A priority patent/JP5800831B2/ja
Publication of KR201100763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63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42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4237B1/ko
Priority to US13/538,273 priority patent/US8518712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eparation into components using adsorption, absorption or similar phenomena or using ion-exchange, e.g. chromatography or field flow fractionation
    • G01N30/02Column chromatography
    • G01N30/62Detecto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1N30/72Mass spectro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eparation into components using adsorption, absorption or similar phenomena or using ion-exchange, e.g. chromatography or field flow fractionation
    • G01N30/02Column chromatography
    • G01N30/04Preparation or injection of sample to be analysed
    • G01N30/06Pr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5/00Separating processes involving the treatment of liquids with solid sorbents; Apparatus therefor
    • B01D15/08Selective adsorption, e.g. chromatograph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eparation into components using adsorption, absorption or similar phenomena or using ion-exchange, e.g. chromatography or field flow fractionation
    • G01N30/02Column chromatography
    • G01N30/86Signal analysis
    • G01N30/8675Evaluation, i.e. decoding of the signal into analytical information
    • G01N30/8686Fingerprinting, e.g. without prior knowledge of the sample compon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15Medicinal preparations ; Physical properties thereof, e.g. dissolubilit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6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 G01N33/6803General methods of protein analysis not limited to specific proteins or families of proteins
    • G01N33/6848Methods of protein analysis involving mass spectrometr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eparation into components using adsorption, absorption or similar phenomena or using ion-exchange, e.g. chromatography or field flow fractionation
    • G01N30/02Column chromatography
    • G01N30/88Integrated analysis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groups G01N30/04 - G01N30/86
    • G01N2030/8809Integrated analysis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groups G01N30/04 - G01N30/86 analysis specially adapted for the sampl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eparation into components using adsorption, absorption or similar phenomena or using ion-exchange, e.g. chromatography or field flow fractionation
    • G01N30/02Column chromatography
    • G01N30/88Integrated analysis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groups G01N30/04 - G01N30/86
    • G01N2030/8809Integrated analysis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groups G01N30/04 - G01N30/86 analysis specially adapted for the sample
    • G01N2030/8813Integrated analysis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groups G01N30/04 - G01N30/86 analysis specially adapted for the sample biological materi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500/00Screening for compounds of potential therapeutic valu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eparation into components using adsorption, absorption or similar phenomena or using ion-exchange, e.g. chromatography or field flow fractionation
    • G01N30/9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eparation into components using adsorption, absorption or similar phenomena or using ion-exchange, e.g. chromatography or field flow fractionation using ion-exchan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36/00Chemistry: analytical and immunological testing
    • Y10T436/17Nitrogen containing
    • Y10T436/173845Amine and quaternary ammonium
    • Y10T436/174614Tertiary ami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36/00Chemistry: analytical and immunological testing
    • Y10T436/24Nuclear magnetic resonance, electron spin resonance or other spin effects or mass spectrometr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36/00Chemistry: analytical and immunological testing
    • Y10T436/25Chemistry: analytical and immunological testing including sample prepa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36/00Chemistry: analytical and immunological testing
    • Y10T436/25Chemistry: analytical and immunological testing including sample preparation
    • Y10T436/25375Liberation or purification of sample or separation of material from a sample [e.g., filtering, centrifuging, etc.]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Microbi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ther Investigation Or Analysis Of Materials By Electrical Mean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시료에 포함되어 있는 약리활성성분을 고속으로 발굴하기 위해서, 복수의 시료의 약리활성을 검사하여 활성도 프로파일을 작성하는 단계, 상기 시료를 질량 분석법으로 분석하여 얻어진 질량스펙트럼을 기초로 하여 질량 프로파일을 작성하는 단계, 및 상기 활성도 프로파일과 질량 프로파일을 비교, 분석하여 약리 활성 물질의 분자량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천연물의 약리 활성물질 발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고분해능 질량분석기를 사용하여 천연물 추출물 시료에 포함된 수많은 구성 화합물의 분자식을 고분해능 질량스펙트럼으로부터 결정함과 동시에 활성검사 자료와 비교함으로써 빠르게 약리활성물질을 발굴할 수 있으며, 이때 수집된 천연물의 약리 활성물질 활성도 데이터에 의한 활성의 강약에 대한 정보로 천연물의 효율적인 이용이 가능하다.
Figure R1020090133083
천연추출물, 분취, 활성검사, 고분해능 질량분석기, 분자식, 약리활성물질

Description

고분해능 질량분석법과 약리활성검사를 이용한 천연물의 약리 활성물질 발굴 방법 {METHOD FOR DISCOVERING PHARMACOLOGICALLY ACTIVE SUBSTANCE OF NATURAL PRODUCTS USING HIGH RESOLUTION MASS SPECTROMETRY AND PHARMACOLOGICALLY ACTIVE TEST}
천연물에서의 약리활성물질을 발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식물자원으로부터 얻어지는 추출물에는 수많은 성분들이 혼합되어 있고 그 중에는 많은 약리활성물질들도 포함되어 있다. 진통제 아스피린은 버드나무에서, 항암제 탁솔은 주목에서 얻어졌듯이 식물추출물은 약리활성물질의 보고이다. 지금까지 식물추출물에서 약리활성물질을 발굴하는 데 있어 중요한 과정 2가지는 성분분리와 활성검사법이었다. 고도의 혼합물인 식물추출물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먼저 혼합도를 낮추는 분취, 분리과정을 순차적으로 수행하여 궁극적으로는 하나의 성분을 분리하였다. 즉, 각 분취 단계에서 얻어지는 분취물들 각각에 대해 활성검사를 실시하여 가장 활성이 높은 분취물을 선택하고 선택된 분취물은 추가의 분취단계와 활성검사를 반복적으로 적용하여 유효성분을 발굴하였다.
이때 추출물의 분취물은 여전히 혼합물 상태이고, 활성검사법은 분취물에 포 함된 개별 성분의 활성을 검사하는 것이 아니라 혼합상태인 분취물의 전체 활성도를 측정하기 때문에 분취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성분분리가 완료되기 전까지는 특정 성분에 대한 정보를 전혀 얻을 수가 없고, 따라서 추출물을 여러 단계로 분취, 분리 정제하는 오랜 시간과 노력을 투입한 후에야 원하는 물질을 얻을 수 있었다.
추출물 분석에 있어서 위와 같이 복잡한 분리과정이 요구되기 때문에, 혼합물의 개별 성분에 대한 정보를 추출함으로써 원하는 물질을 발굴하는 시간과 노력을 단축할 필요성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천연물의 약리 활성 물질 발굴방법으로서, 고분해능 질량분석기를 이용하여 복수의 시료 안의 개별 성분에 대한 정보를 얻어서, 약리 활성 물질을 발굴하는 시간과 노력을 단축하는 천연물의 약리 활성 물질 발굴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한가지 실시형태는 복수의 시료를 약리활성을 검사하여 활성도 프로파일을 작성하는 단계; 상기 시료를 질량 분석기로 분석하여 얻어진 질량스펙트럼을 기초로 하여 질량 프로파일을 작성하는 단계; 및 상기 활성도 프로파일과 질량 프로파일을 비교, 분석하여 약리 활성 물질의 분자량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천연물의 약리 활성물질 발굴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한가지 실시형태는 상기 질량 프로파일을 기초로 하여 약리 활성물질의 분자식을 결정하는 단계를 추가하는 천연물의 약리 활성물질 발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천연물의 약리 활성물질 발굴 방법은 천연물의 추출물 또는 이들의 각 분취물의 약리활성물질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얻어진 약리활성물질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보다 효율적인 분리과정을 설계함으로써 원하는 물질을 신속히 분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발굴된 활성 물질들이 갖는 활성의 강약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천연물의 효율적인 이용이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한가지 실시형태는 복수의 시료를 약리활성을 검사하여 활성도 프로파일을 작성하는 단계; 상기 시료를 고분해능 질량 분석기로 분석하여 얻어진 질량스펙트럼을 기초로 하여 질량 프로파일을 작성하는 단계; 상기 활성도 프로파일과 질량 프로파일을 비교, 분석하여 약리 활성 물질의 분자량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질량 프로파일을 기초로 하여 약리 활성물질의 분자식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천연물의 약리 활성물질 발굴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시료는 약리 활성물질을 발굴할 수 있는 물질이면 종류를 불문하고 본 발명의 발굴 방법을 사용할 수 있고,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한가지 실시형태에서 상기 시료는 천연 추출물 또는 그의 혼합물일 수 있다. 천연 추출물은 천연물의 추출물을 말하며, 천연물이란 사람의 힘을 가하지 아니한 천연 그대로의 물질을 말한다. 천연 추출물은 천연물의 추출물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비제한적인 예로 식물추출물, 동물추출물, 미생물 추출물 또는 광물 추출물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한가지 실시형태에서 상기 시료는 천연 추출물의 분취물일 수 있다. 천연 추출물은 수많은 화합물을 포함하고 있어서 활성성분을 발굴하기 위해 추출물을 여러 개의 분취물로 분취하는 작업이 선행될 수 있다.
상기 분취물로 분취하는 방법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추출물을 분취하는 방법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비제한적인 예로 크로마토그래피 분리법, 용해도 차이를 이용한 분액분리법, 비중 차이를 이용한 분리법, 밀도 차이를 이용한 원심 분리법, 고체시료추출법 및 색상 차이를 이용한 분리법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을 사용하여 분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크로마토그래피 분리법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크로마토그래피 분리법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비제한적인 예로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종이 크로마토그래피, 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 얇은 막 크로마토그래피, 분배 크로마토그래피, 친화도 크로마토그래피, 기체크로마토그래피, 흡착크로마토그래피, 겔침투 크로마토그래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가지 실시형태에서 상기 활성도 프로파일을 작성하는 단계에서 약리 활성 검사는 생리 활성 조절 작용 또는 질병에 대한 예방 및 치료 작용을 정량화할 수 있다.
생리활성이란 생물이 삶을 영위함에 있어서 생체의 기능을 증진시키거나 억제시키는 것을 말하며, 생리활성 조절이란 생체 내에서 기능 조절에 관여하는 물질의 결핍이나 과도한 분비에 의해 비정상적인 병태를 보일 때 이를 바로잡아 주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에서 생리 활성 조절 작용을 정량화할 수 있는 약리 활성 검사라면 무방하며,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질병에 대한 예방 및 치료 작용을 정량화할 수 있는 약리 활성 검사라 면 질병의 종류를 불문하고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약리활성 검사는 비제한적인 예시로서, 항산화 활성 검사, 항암 검사, 항염증 검사 및 항균 검사 중에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한가지 실시형태에서 상기 약리활성 검사 결과로 활성도 프로파일을 작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가지 실시형태에서 상기 질량 프로파일은 고분해능 질량 분석기로 구성 성분의 분자량과 그 함량을 분석하여 얻어진 질량 스펙트럼을 기초로 하여 작성할 수 있다.
분자의 성질 중에서 가장 안정적이고, 주위 환경 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는 것은 분자의 질량이다. 따라서 복잡한 화합물의 구성 화합물을 분석할 때 가장 많이 활용되는 것이 질량분석기이다. 질량분석기를 활용하면 천연추출물에 포함된 구성성분들의 동시 분석이 가능하게 된다. 다만, 혼합물 시료의 경우 질량 분석 신호의 중첩에 의한 정확한 분석이 곤란하므로, 신호의 중첩을 피할 수 있는 충분한 분해능을 갖춘 고분해능 질량분석기인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질량 분석기이면 무방하고,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고분해능 질량분석기로 천연 추출물 또는 분취물을 측정하면 함유된 각각의 구성성분의 분자량 측정은 물론이고 상대적인 함량도 동시에 측정되어, 하나의 질량스펙트럼에 나타나게 되고, 이를 그 분취물의 질량 프로파일 이라고 한다. 질량 프로파일로부터 개별 성분의 분취물별 함유량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한가지 실시형태에서 상기 질량 프로파일과 활성도 프로파 일의 비교, 분석에 의해 약리 활성 물질의 분자량을 결정하여 하나 또는 복수의 약리 활성 물질을 발굴할 수 있다.
상기 천연 추출물 또는 그의 혼합물 중에 포함되어 있는 어느 한 성분이 발굴하고자 하는 활성성분이라면 활성도가 높은 천연 추출물에는 많이 함유되어 있을 것이고 활성도가 낮은 천연 추출물에는 적게 함유되어 있을 것이다. 또한 천연 추출물의 분취물들 중에 포함되어 있는 어느 한 성분이 발굴하고자 하는 활성성분이라면 활성도가 높은 분취물에는 많이 함유되어 있을 것이고 활성도가 낮은 분취물에서는 적게 함유되어 있을 것이다. 즉, 그 성분의 질량 프로파일의 모양은 활성도 프로파일의 모양과 일치하게 되는 것이다. 유효한 약리 활성 성분이 복수개인 경우도 마찬가지로 그 성분들의 질량 프로파일의 모양이 활성도 프로파일의 모양과 일치하게 된다.
이때 동일분자량을 갖는 성분들의 분취물별 함유량을 나타내는 질량 프로파일들로부터 약리 활성 프로파일과 유사한 패턴을 갖는 프로파일을 결정하는 방법은 본 발명에서 새로이 개발한 상관계수 비교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자가 새로이 개발한 상기 상관계수는 하기 수학식 1로 표기될 수 있다.
<수학식 1>
C j =
Figure 112009081322717-pat00001
(a 0 k x m 0 kj )
j : 질량 스펙트럼을 일정 질량값 간격의 채널로 분류할 때 j 번째 채널.
a 0 k : k번째 분취물의 활성도를 정규화(normalize)한 값.
m 0 kj : k번째 분취물의 j번째 채널 피크 위치에서의 강도(intensity)를 정규화한 값.
N : 분취물의 갯수.
활성도의 정규화는 각 분취물 활성도의 제곱값을 모두 더한 값의 제곱근으로 나누는 방법이며, 질량분석 강도의 정규화는 각 분취물에서 j번째 채널 피크에서의 강도의 제곱값들을 모두 더한 값의 제곱근으로 나누는 방법으로 수학식 2와 같다.
<수학식 2>
m 0 kj = m kj /{ (m 1j )2 + (m 2j )2 + (m 3j )2 + (m 4j )2 + … + ( m kj )2}1/2
여기서 상기 상관계수가 최대일 때 활성도 프로파일과 가장 유사한 패턴을 가지는 질량 프로파일 채널로 약리활성성분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활성도 프로파일과 질량 프로파일을 비교, 분석하여 약리 활성 물질의 분자량을 결정하는 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N개의 분취물 { f 1 , f 2 , f 3 ,, ... f N } 중 i 번째 분취물 f i 를 질량분석기로 분석하여 얻은 질량스펙트럼을 예를 들어, 1 Da 씩 100 Da ~ 2000 Da 까지 1900 개의 채널로 분류하여 각 채널에서의 피크 강도(peak intensity)를 {m i1 , m i2 , m i3 , ... m i1900 } 으로 표시하면, m ij 는 i번째 분취물의 질량스펙트럼에서 m/z = (100+j) Da 인 피크(peak) 위치에서의 강도(intensity) 값이다.
이때, V j = {m 1j , m 2j , m 3j , ... m Nj } (j=1,..., 1900) 인 벡터를 j 번째 채널의 질량 프로파일 값이라 정의한다. 활성도의 각 분취물에서의 프로파일을 A = {a 1 , a 2 , a 3 , ..., a N } 이라 할 때에, {A, V 1 , V 2 , V 3 , ..., V 1900 } 의 1901 개 벡터로 이루어진 데이터에서 각각의 벡터의 구성 성분을, 수학식 2와 같은 방법으로, 각 구성성분 제곱의 합의 제곱근으로 나누었을 때 Vi 최대값이 1이 되도록 정규화(Normalize) 한 뒤에 상관계수를 비교하여 상관계수가 높은 채널을 활성도와 더욱 유사한 패턴을 보이는 질량채널로 선택한다.
이때 본 발명에서 새로 개발한 상관계수 비교방법을 사용하여 활성도 프로파일과 질량 프로파일을 비교, 분석하여 선택한 질량채널에 의해 약리 활성 물질의 분자량을 결정한다.
상기 본 발명에서 새로 개발한 상관계수 비교방법을 사용해서 활성도 프로파일 벡터와 질량채널의 강도(intensity) 벡터를 정의할 때에, 정규화(Normalize)한 벡터값들을 각각 V 0 j = {m 0 1j , m 0 2j , m 0 3j , ... m 0 Nj }, A 0 = {a 0 1 , a 0 2 , a 0 3 , ..., a 0 N } 라 표시하기로 한다. 이때, A 0 V 0 j 간의 상관계수를 상기 수학식 1이라고 정의하면, 가장 유사한 패턴을 보이는 채널은 C j 가 최대값인 j 로 결정한다.
상기 활성도 프로파일과 질량 프로파일을 비교, 분석하여 약리 활성 물질의 분자량을 결정하는 단계에서, 동일분자량을 갖는 성분들의 분취물별 함유량을 나타내는 질량 프로파일들로부터 약리활성 프로파일과 유사한 패턴을 갖는 프로파일을 결정하는 방법은 상기 본 발명에서 새로 개발한 상관계수 비교방법 이외에 클러스터링 알고리즘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클러스터링 알고리즘은 비제한적인 예로 프린서플 컴포넌트 애널리시스(Principal Component Analysis) 또는 서포트 벡터 머쉰(Support Vector Machine)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서 새로 개발한 상관계수 비교방법 이외에 프린서플 컴포넌트 애널리시스(Principal Component Analysis) 또는 서포트 벡터 머쉰(Support Vector Machine) 과 같은 클러스터링 알고리즘을 사용하면 천연물의 유효한 약리 활성 물질을 발굴하는 데에 있어 가시적인 분해능 개선 및 분석 시간의 단축이 가능할 수 있다. 약리활성도와 질량 프로파일의 벡터들 {A, V 1 , V 2 , V 3 , ..., V 1900 } 에 대하여 클러스터링 알고리듬을 적용하면 약리활성도 벡터와 유사한 질량 프로파일들의 그룹을 판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한가지 실시형태는 상기 질량 프로파일을 기초로 하여 약리 활성물질의 분자식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분해능에 의해 측정 정확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고분해능 질량분석기에 의한 개별성분의 분자량 측정에서는 분자량 측정만으로도 분자식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질량 프로파일은 천연 추출물 또는 분취물을 구성하고 있는 복수의 화 합물들에 대한 분자량과 함량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활성도 프로파일과 비교 분석하여 발굴한 약리 활성 물질을 질량 프로파일의 정보를 기초로 하여 분자식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나아가 그의 화합물을 결정할 수 있는 중요한 정보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천연물에서 발굴된 약리활성물질들이 갖는 활성의 강약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천연물의 효율적인 이용이 가능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천연 추출물을 복수의 분취물로 분취
식물 황기 200g 의 에탄올 추출물을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분리법을 이용하여 11개의 분취물로 분취하였다. 사용된 고정상은 컬럼에 충진된 C18 미세입자들이고, 이동상은 증류수와 에탄올을 사용하였다. 이동상의 조성변화에 사용된 용매구배법은 10분간 100% 증류수 적용후, 100분간 100% 증류수에서 100% 에탄올로 조성을 변화시켰다. 용출액을 각 10분마다 분취하여 11개의 분취물을 얻었다. (도 1)
<실시예 2> 활성도 프로파일 작성
각 분취물의 항산화활성을 평가하기 위해 DPPH (1,1-Diphenyl-2-picrylhydrazyl) 항산화검사법을 실시하였다. 체내의 활성라디칼을 없애는 기능을 갖는 항산화물질의 활성도는 DPPH 활성라디칼 소거활성 측정으로 평가할 수 있다. 우선 각 분취물을 동결건조시켜 얻은 추출물 분말에 50%에탄올을 첨가하여 농도 100 ug/mL의 시료용액 1mL를 각 분취물 별로 1개씩 모두 11개 제조하였다. 11개의 시료용액을 에탄올로 2배 희석한 각 시료용액에 60uM DPPH용액 100uL를 가한다. 30분 방치 후, 각 시료용액에서 소거된 DPPH를 자외선흡광검출기로 517nm에서의 흡광도로 측정하였다. 검증을 위한 기준물질로 클로로겐산(chlorogenic acid)을 사용하였다. 측정된 결과는 아래 표 1에 나타내었고, 도 2에 도시하였다.
샘플 농도 저해율(%) 환산율
클로로겐산 25ug/mL 93.5 122.5
분취물 1 2 배 희석 3.87 5.1
분취물 2 2 배 희석 1.526 2.0
분취물 3 2 배 희석 3.252 4.3
분취물 4 2 배 희석 2.329 3.1
분취물 5 2 배 희석 3.875 5.1
분취물 6 2 배 희석 76.3 100.0
분취물 7 2 배 희석 6.174 8.1
분취물 8 2 배 희석 1.726 2.3
분취물 9 2 배 희석 2.492 3.3
분취물 10 2 배 희석 0.763 1.0
분취물 11 2 배 희석 0.031 0.0
(-)DPPH 100 131.1
(+)DPPH 0 0.0
<실시예 3> 질량 프로파일 작성
고분해능 질량분석기 (Apex-Qe 15T FT-ICR MS: Bruker Daltonics사 제품)를 사용하여 분취한 11개의 분취물을 측정하여 질량스펙트럼을 얻었다. 각 분취물의 질량측정시 평균분해능은 400,000 이었고, 평균 질량측정 오차는 1 ppm 이내였다. 이 질량스펙트럼을 기초로 각각의 분취물을 구성하고 있는 물질들의 분자량과 상대적인 함량을 표시하는 질량 프로파일을 작성하였다. (도 3)
<실시예 4> 프로파일의 비교, 분석
11개의 분취물 { f 1 , f 2 , f 3 ,, ... f 11 } 중 i 번째 분취물 f i 를 질량분석기로 분석하여 얻은 질량스펙트럼에 276.204 Da ~ 295.227 Da 까지 23 개의 채널로 분류하였다. 이때, 각 채널에서의 피크 강도(peak intensity)를 {m i1 , m i2 , m i3 , ... m i34 } 으로 표시하면, m ij 는 i번째 분취물의 질량스펙트럼에서 m/z 을 오름차순 정리했을 때, j 번째인 피크(peak) 위치에서의 강도(intensity) 값이다. 또한, V j = {m 1j , m 2j , m 3j , ... m 11j } (j=1,..., 23 ) 인 벡터를 j 번째 채널의 질량분석 프로파일 값이라 정의하였다.
활성도의 각 분취물에서의 프로파일을 A = {a 1 , a 2 , a 3 , ..., a 11 } 이라 할 때, {A, V 1 , V 2 , V 3 , ..., V 34 } 의 23 +1 개 벡터로 이루어진 데이터에서 각각의 벡터의 구성 성분 제곱의 합의 제곱근으로 정규화(Normalize) 한 뒤에 본 발명에서 새로 개발한 상관계수 비교법을 적용하여 활성도와 유사한 패턴을 보이는 질량스펙트럼 채널을 결정하였다.
이때, 활성도 프로파일 벡터와 질량채널의 강도(intensity) 벡터를 정규화(Normalize)하여 각각 V 0 j = {m 0 1j , m 0 2j , m 0 3j , ... m 0 11j }, A 0 = {a 0 1 , a 0 2 , a 0 3 , ..., a 0 11 } 라고 표시하였다. 이때, A 0 V 0 j 간의 상관계수를
C j =
Figure 112009081322717-pat00002
(a 0 k x m 0 kj ) , N = 11
라 정의하고, C j 가 최대값인 j 를 가장 유사한 패턴을 보이는 채널로 결정하였다.
실시예에서는 각 분취물마다 여러 성분의 피크가 검출되어 채널의 수가 34개였고, C j 값을 표 2에 정리하였다.
Figure 112009081322717-pat00003
상기 표 2에서 볼 수 있듯이 분자량 285.0755의 성분과 동위원소인 분자량 286.0762의 성분이 C j 가 최대값을 보이므로, 활성성분으로 발굴되었다. 여기서, 동위원소 피크도 함께 확인되므로 발굴결과의 정확성을 보다 높일 수 있었다.
또한, 표 2에 정리된 정규화 된 값들을 이용하여 프린서플 컴포넌트 애널리시스(Principal Component Analysis)를 하여 도 4의 결과를 얻었다. 도 4에서 보인 바와 같이 활성도 프로파일과 유사한 패턴을 갖는 성분들을 프린서플 컴포넌트 애널리시스(Principal Component Analysis)을 통하여 활성도 벡터와 가장 가까운 거리의 질량채널 벡터를 선택함으로써 상관관계가 큰 질량값을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5> 약리 활성 물질의 분자식 및 화합물 결정.
활성도 프로파일과 동일한 패턴을 보이는 분자량 285.0755 Da 성분이 활성성분임을 발굴하였고, 분자식은 C16H12O5 으로 즉각적으로 결정할 수 있었다. 표준품을 이용한 질량분석법과 항산화활성도 실험으로 발굴된 화합물은 biochanin A로 확인되었다 (도 5).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황기추출물이 분취단계를 통해 복수의 분취물로 나누어진 것이다.
도 2는 분취물들의 항산화 활성평가에 의해 제작된 항산화 활성도 프로파일이다.
도 3은 분취물들의 구성성분들을 고분해능 질량분석기로 분석하여 얻어진 질량스펙트럼들 및 일부 구간을 확대하여 개별 성분이 신호중첩 없이 분석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질량스펙트럼들이다.
도 4는 정규화된 측정값들을 이용하여 프린서플 컴포넌트 애널리시스를 한 결과이다. 적색으로 표시된 활성도 성분과 유사한 패턴은 활성도 위치에 가까운 측정값으로 성분의 분자량이 285.076 Da과 286.076 Da 임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도 5는 분취물들에 대한 도 2의 항산화 활성도 프로파일과 도 3의 질량 프로파일들을 동일한 그래프에 표기하여 프로파일들의 패턴 연관성을 직접 비교, 분석한 것이다.

Claims (13)

  1. 복수의 시료의 약리활성을 검사하여, 생리 활성 조절 작용 또는 질병에 대한 예방 및 치료 작용을 정량화하여 활성도 프로파일을 작성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시료를 질량 분석기로 각각 분석하여 얻어진 질량스펙트럼들을 기초로 하여 질량 프로파일들을 작성하는 단계; 및
    상기 활성도 프로파일과 상기 질량 프로파일들의 상관 관계를 통계적으로 정량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물의 약리 활성물질 발굴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질량 프로파일을 기초로 하여 발굴된 천연물의 약리 활성물질의 분자식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천연물의 약리 활성물질 발굴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료는 천연 추출물 또는 그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물의 약리 활성물질 발굴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료는 천연 추출물의 분취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물의 약리 활성물질 발굴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분취물은 크로마토그래피 분리법, 용해도 차이를 이용한 분액분리법, 비중 차이를 이용한 분리법, 밀도 차이를 이용한 원심 분리법, 고체시료추출법(SPE; Solid Phase Extraction) 및 색상 차이를 이용한 분리법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을 사용하여 분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물의 약리 활성물질 발굴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마토그래피 분리법은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종이 크로마토그래피, 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 얇은 막 크로마토그래피, 분배 크로마토그래피, 친화도 크로마토그래피, 기체크로마토그래피, 흡착크로마토그래피, 겔침투 크로마토그래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물의 약리 활성물질 발굴 방법.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도 프로파일과 상기 질량 프로파일의 상관 관계를 통계적으로 정량화하는 단계는, 클러스터링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물의 약리 활성물질 발굴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스터링 알고리즘은 프린서플 컴포넌트 애널리시스(Principal Component Analysis) 또는 서포트 벡터 머쉰(Support Vector Machin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물의 약리 활성물질 발굴 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관 관계를 정량화하는 상관 계수는 하기 수학식 1로 표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물의 약리 활성물질 발굴 방법.
    <수학식 1>
    Cj =
    Figure 112011081220267-pat00004
    (a0 k x m0 kj )
    j : 질량 스펙트럼을 일정 질량값 간격의 채널로 분류할 때 j 번째 채널.
    a0 k : k번째 분취물의 활성도를 정규화(normalize )한 값.
    m0 kj : k번째 분취물의 j번째 채널 피크 위치에서의 강도(intensity)를 정규화한 값.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도 프로파일을 작성하는 단계에서 약리 활성 검사는 생리 활성 조절 작용 또는 질병에 대한 예방 및 치료 작용을 정량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천연물의 약리 활성물질 발굴 방법.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도 프로파일을 작성하는 단계에서 약리 활성 검사는 항산화활성 검사, 항암 검사, 항염증 검사 및 항균 검사 중에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물의 약리 활성물질 발굴 방법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질량 프로파일을 작성하는 단계에서 질량 프로파일은 고분해능 질량 분석기로 구성 성분의 분자량과 그 함량을 측정하여 얻어진 질량 스펙트럼을 기초로 하여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물의 약리 활성물질 발굴 방법.
KR1020090133083A 2009-12-29 2009-12-29 고분해능 질량분석법과 약리활성검사를 이용한 천연물의 약리 활성물질 발굴 방법 KR1011442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3083A KR101144237B1 (ko) 2009-12-29 2009-12-29 고분해능 질량분석법과 약리활성검사를 이용한 천연물의 약리 활성물질 발굴 방법
PCT/KR2010/008988 WO2011081329A2 (en) 2009-12-29 2010-12-15 Method for discovering pharmacologically active substance of natural products using high resolution mass spectrometry and pharmacological activity test
CN201080062812.9A CN102741689B (zh) 2009-12-29 2010-12-15 利用高分辨率质谱和药理学活性测试发现天然产物的药理学活性物质的方法
EP10841161.2A EP2519816B1 (en) 2009-12-29 2010-12-15 Method for discovering pharmacologically active substance of natural products using high resolution mass spectrometry and pharmacological activity test
JP2012546993A JP5800831B2 (ja) 2009-12-29 2010-12-15 高分解能質量分析法と薬理活性検査を利用した天然物の薬理活性物質発掘方法
US13/538,273 US8518712B2 (en) 2009-12-29 2012-06-29 Method for discovering pharmacologically active substance of natural products using high resolution mass spectrometry and pharmacological activity tes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3083A KR101144237B1 (ko) 2009-12-29 2009-12-29 고분해능 질량분석법과 약리활성검사를 이용한 천연물의 약리 활성물질 발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6385A KR20110076385A (ko) 2011-07-06
KR101144237B1 true KR101144237B1 (ko) 2012-05-11

Family

ID=44226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3083A KR101144237B1 (ko) 2009-12-29 2009-12-29 고분해능 질량분석법과 약리활성검사를 이용한 천연물의 약리 활성물질 발굴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518712B2 (ko)
EP (1) EP2519816B1 (ko)
JP (1) JP5800831B2 (ko)
KR (1) KR101144237B1 (ko)
CN (1) CN102741689B (ko)
WO (1) WO2011081329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90094B (zh) * 2018-03-30 2020-10-02 福建省农业科学院农业工程技术研究所 一种同时测定柑橘果实中22种黄酮和酚酸类物质的方法
AU2020245603A1 (en) * 2019-03-28 2021-09-02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Concurrent analysis of multiple analytes
CN113109280B (zh) * 2021-04-08 2023-09-15 新疆师范大学 一种不同产地骆驼蓬植物抗氧化活性的分析方法
CN116165320B (zh) * 2023-04-21 2023-07-21 保定市食品药品检验所 养血安神片的中药指纹图谱检测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37420A1 (en) * 2000-03-06 2004-07-15 Akikazu Yasuda Method for analysis of substances in tissue or in cells
US20060147913A1 (en) 2002-06-28 2006-07-06 Tadashi Okamoto Method of analyzing substance on substrate by mass spectrometry
US20070020180A1 (en) 2003-09-05 2007-01-25 Mei Wang Method for determining the impact of a multicomponent natural product mixture on the biological profile of a disease within a group of living systems and the developement and quality control of natural product based medicine
KR20090115930A (ko) * 2006-12-26 2009-11-10 브라이엄 영 유니버시티 혈청 단백질체학 시스템 및 관련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63450A (en) * 1993-08-17 1997-09-02 Cv Therapeutics Macrophage lipid chemoattractant
US6579720B1 (en) * 1999-05-13 2003-06-17 Bdc Pharma Llc Method for activity profiling compound mixtures
JP2005504958A (ja) * 2001-06-27 2005-02-17 ユニゲン・ファーマシューティカルス・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治療剤発見のために、天然産物ライブラリーを作製、スクリーニングおよびデレプリケーションする方法
US6873914B2 (en) * 2001-11-21 2005-03-29 Icoria, Inc. Methods and systems for analyzing complex biological systems
US7329353B2 (en) * 2004-01-23 2008-02-12 Amgen Inc. LC/MS method of analyzing high molecular weight proteins
US20110159118A1 (en) * 2004-12-08 2011-06-30 Villoo Morawala Patell Screening Method (Metabolite Grid) for Therapeutic Extracts and Molecules for Diabetes
GB0611669D0 (en) * 2006-06-13 2006-07-19 Astrazeneca Uk Ltd Mass spectrometry biomarker assay
CN101210914A (zh) * 2006-12-27 2008-07-02 中国科学院大连化学物理研究所 一种抗微管蛋白的中药活性成分筛选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37420A1 (en) * 2000-03-06 2004-07-15 Akikazu Yasuda Method for analysis of substances in tissue or in cells
US20060147913A1 (en) 2002-06-28 2006-07-06 Tadashi Okamoto Method of analyzing substance on substrate by mass spectrometry
US20070020180A1 (en) 2003-09-05 2007-01-25 Mei Wang Method for determining the impact of a multicomponent natural product mixture on the biological profile of a disease within a group of living systems and the developement and quality control of natural product based medicine
KR20090115930A (ko) * 2006-12-26 2009-11-10 브라이엄 영 유니버시티 혈청 단백질체학 시스템 및 관련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518712B2 (en) 2013-08-27
CN102741689A (zh) 2012-10-17
JP5800831B2 (ja) 2015-10-28
EP2519816B1 (en) 2018-10-17
EP2519816A2 (en) 2012-11-07
CN102741689B (zh) 2014-12-17
KR20110076385A (ko) 2011-07-06
EP2519816A4 (en) 2014-04-16
WO2011081329A2 (en) 2011-07-07
WO2011081329A3 (en) 2011-11-17
US20120322160A1 (en) 2012-12-20
JP2013515965A (ja) 2013-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izpurua-Olaizola et al. Identification and quantification of cannabinoids in Cannabis sativa L. plants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Liu et al. An integrated approach combining HPLC, GC/MS, NIRS, and chemometrics for the geographical discrimination and commercial categorization of saffron
Taamalli et al. Classification of ‘Chemlali’accessions according to the geographical area using chemometric methods of phenolic profiles analysed by HPLC–ESI-TOF–MS
Tiwari et al. TLC densitometric quantification of picrosides (picroside‐I and picroside‐II) in Picrorhiza kurroa and its substitute Picrorhiza scrophulariiflora and their antioxidant studies
KR101144237B1 (ko) 고분해능 질량분석법과 약리활성검사를 이용한 천연물의 약리 활성물질 발굴 방법
Zhou et al. Varietal classifica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prediction of Osmanthus fragrans Lour. flowers using UPLC–PDA/QTOF–MS and multivariable analysis
Avula et al. Targeted and non-targeted analysis of annonaceous alkaloids and acetogenins from Asimina and Annona species using UHPLC-QToF-MS
Matei et al. Analysis of phenolic compounds in some medicinal herbs by LC–MS
Laguerre et al. Characterization of olive-leaf phenolics by ESI-MS and evaluation of their antioxidant capacities by the CAT assay
Zhou et al. UPLC/Q-TOFMS/MS as a powerful technique for rapid identification of polymethoxylated flavones in Fructus aurantii
EA200600346A1 (ru) Множественные протеомные свойства сыворотки, полученные с помощью спектрометрии с высоким разрешением, для выявления рака яичников
Hakeem Said et al. Metabolome comparison of bioactive and inactive Rhododendron extracts and identification of an antibacterial cannabinoid (s) from Rhododendron collettianum
Sun et al. Characterization and identification of the chemical constituents in the root of Lindera reflexa Hemsl. using ultra-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coupled with linear trap quadrupole orbitrap mass spectrometry
Flores et al. High-resolution magic angle spinning nuclear magnetic resonance (HR-MAS NMR) as a tool in the determination of biomarkers of Passiflora-based herbal medicines
Maldini et al. Profiling and simultaneous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anthocyanins in wild Myrtus communis L. berries from different geographical areas in sardinia and their comparative evaluation
Xing et al. Rapid screening for cyclo‐dopa and diketopiperazine alkaloids in crude extracts of Portulaca oleracea L. using liquid chromatography/tandem mass spectrometry
Xin et al. Mass spectrometry-based strategies for screening of bioactive natural products
Upadhyay et al.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bioactive 4-hydroxy-α-tetralone, tetralone-4-O-β-D-glucopyranoside and ellagic acid in Ammannia baccifera (Linn.) by reversed-phase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Liao et al.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es of active constituents in Trollius ledebourii
Joshi et al. Advances of Ion Mobility Platform for Plant Metabolomics
Bertolini et al. A novel liquid chromatography method using diode-array detector for the determination of oleuropein in dietary supplements
Arun et al. Structural characterizations of lead anticancer compounds from the methanolic extract of Jatropha tanjorensis
Tuzimski Use of thin-layer chromatography in combination with diode-array scanning densitometry for identification of fenitrothion in apples
Bertrand et al. HPLC Profiling with At‐line Microdilution Assay for the Early Identification of Anti‐fungal Compounds in Plants from French Polynesia
Roldán et al. Identification of active compounds in vegetal extracts based on correlation between activity and HPLC–MS dat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8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