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4118B1 - 공기분사장치 - Google Patents

공기분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4118B1
KR101144118B1 KR1020110142719A KR20110142719A KR101144118B1 KR 101144118 B1 KR101144118 B1 KR 101144118B1 KR 1020110142719 A KR1020110142719 A KR 1020110142719A KR 20110142719 A KR20110142719 A KR 20110142719A KR 101144118 B1 KR101144118 B1 KR 1011441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opening
closing
passage
flow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2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태헌
박순영
Original Assignee
박순영
노태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순영, 노태헌 filed Critical 박순영
Priority to KR10201101427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41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41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41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e.g. blowing-out cavit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3/00Cleaning footwear
    • A47L23/22Devices or implements resting on the floor for removing mud, dirt, or dust from footw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1Spray pistols, discharge devices

Landscapes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분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압축공기가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분사방향 각도에 따라 압축공기의 분사를 제어하여 안전사고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저렴한 설치 및 유지 비용으로 신발이나 옷 등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공기분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기분사장치에 있어서, 공기를 압축하여 공급하는 공기공급수단과: 공기공급수단에 연결되는 연결호스: 및 연결호스가 장착되고, 내부에 연결호스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유로를 이루는 공기유로가 형성된 몸체; 몸체의 말단에 장착되어 압축공기가 외부로 분사되도록 하는 노즐; 공기유로에 대해 축방향이 수직 또는 수직에 가까운 각도로 연결되고,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압축공기의 분사방향에 대해 축방향이 평행 내지 45도보다 작은 예각으로 형성되는 개폐통로; 및 개폐통로 내에 배치되어 동작되고, 압축공기가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분사방향 각도에 따라 자중에 의해 공기유로를 개폐하여 압축공기의 분사를 제어하는 개폐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에어건: 을 포함하는 공기분사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공기분사장치{APPARATUS FOR BLOWING AIR}
본 발명은 공기분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압축공기가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분사방향 각도에 따라 압축공기의 분사를 제어하여 안전사고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저렴한 설치 및 유지 비용으로 신발이나 옷 등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공기분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학교나 어린이 시설 등지에서는 어린이들이 외부에서 놀이기구 등을 이용하여 놀이를 하다가 실내로 들어오게 된다. 이때, 신발이나 옷 등에 묻어 있는 흙이나 잔디,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들이 실내에 같이 유입되므로 환경적으로나 건강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다.
통상, 축구장 등지에서는 신발 등에 묻은 잔디나 먼지 등을 공기분사장치, 예를 들어 컴프레서에 의해 압축된 공기를 단속하여 분사하는 에어건(Air gun)을 통해 제거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공기분사장치는 사용자, 특히 어린이가 장난을 치다가 다른 사람의 얼굴, 특히 눈이나 코, 귀 등을 향해 공기를 분사하여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
이에, 한국 특허공개번호 제10-2010-0114142호 "몸과 신발에 붙어있는 이물질 분리제거장치" 등과 같은 장치를 이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전술한 "몸과 신발에 붙어있는 이물질 분리제거장치" 등과 같은 종래의 기술은 설치비용이나 유지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공기분사장치에서 기인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압축공기가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분사방향 각도에 따라 압축공기의 분사를 제어하여 안전사고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공기분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저렴한 설치 및 유지 비용으로 신발이나 옷 등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공기분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공기분사장치에 있어서, 공기를 압축하여 공급하는 공기공급수단과: 공기공급수단에 연결되는 연결호스: 및 연결호스가 장착되고, 내부에 연결호스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유로를 이루는 공기유로가 형성된 몸체; 몸체의 말단에 장착되어 압축공기가 외부로 분사되도록 하는 노즐; 공기유로에 대해 축방향이 수직 또는 수직에 가까운 각도로 연결되고,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압축공기의 분사방향에 대해 축방향이 평행 내지 45도보다 작은 예각으로 형성되는 개폐통로; 및 개폐통로 내에 배치되어 동작되고, 압축공기가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분사방향 각도에 따라 자중에 의해 공기유로를 개폐하여 압축공기의 분사를 제어하는 개폐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에어건: 을 포함하는 공기분사장치를 제공한다.
개폐통로는, 바닥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공기유로를 향해 갈수록 내부 단면적이 점차 넓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개폐통로에는, 개폐수단이 공기유로를 폐쇄하도록 닫힘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개폐수단에 의해 탄성력을 비축하고, 개폐수단이 공기유로를 개방하도록 열림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비축된 탄성력에 의해 개폐수단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탄성부재가 더 포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개폐통로는 다수가 상호 떨어져 형성되고, 개폐통로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은, 공기유로에 대해 축방향이 수직 또는 수직에 가까운 각도로 연결되고,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압축공기의 분사방향에 대해 축방향이 45도보다 작은 예각으로 형성되며, 개폐통로 중 다른 하나 또는 둘은, 공기유로에 대해 축방향이 수직 또는 수직에 가까운 각도로 연결되고,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압축공기의 분사방향에 대해 축방향이 수직 또는 수직에 가까운 각도로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개폐수단은, 구체, 막대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인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개폐수단에는 막대가 포함되고, 막대에는 공기유로와 축방향이 평행한 공기공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분사장치에 의하면, 압축공기가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분사방향 각도에 따라 압축공기의 분사를 제어하여 안전사고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저렴한 설치 및 유지 비용으로 신발이나 옷 등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기분사장치를 나타낸 도이다.
도 2의 (a) 내지 (k)는 본 발명의 제2 내지 제12 실시예에 따른 공기분사장치를 나타낸 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13 및 제14 실시예에 따른 공기분사장치를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기분사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도 6의 (a) 내지 (k)는 본 발명의 제2 내지 제12 실시예에 따른 공기분사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14 실시예에 따른 공기분사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도면은 예시적인 목적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기분사장치를 나타낸 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기분사장치는 크게 공기공급수단(100)과 연결호스(200) 및 에어건(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공기공급수단(100)은 공기를 압축하여 공급하는 구성요소이며, 통상 사용되는 컴프레서(Compressor)가 사용될 수 있다.
연결호스(200)는 공기공급수단(100)에 연결되어 압축된 공기를 하기에 서술하는 에어건(300)에 전달하는 구성요소이다.
에어건(300)은 연결호스(200)에 연결되어 공기공급수단(100)으로부터 압축공기를 공급받아 분사하는 구성요소이며,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에어건(300)은 크게 몸체(310)와 트리거(320), 노즐(330), 개폐통로(340) 및 개폐수단(3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몸체(310)는 하부측과 상부측으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연결호스(200)가 장착되며 사용자가 손으로 잡기 쉽도록 형성되는 손잡이부(312)와, 손잡이부(312)에 대해 일정한 각도를 이루도록 손잡이부(312)의 상측에 연결되고, 하기에 서술하는 노즐(330)이 결합되는 노즐결합부(314)로 구성된다. 이러한 몸체(310)의 내부에는 연결호스(200)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유로를 이루는 공기유로(316)가 형성된다.
트리거(Trigger, 320)는 몸체(310)에 힌지 결합되고, 공기유로(316)를 개폐하여 압축공기의 분사를 제어하는 부분으로, 일종의 방아쇠라고 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손가락 등을 이용하여 트리거(320)를 몸체(310)측 방향으로 당기면 공기유로(316)가 열리게 되어 압축공기가 분사될 수 있게 되고, 당겨진 트리거(320)를 놓으면 원위치로 복귀하면서 공기유로(316)가 닫혀 압축공기의 분사를 막게 된다.
노즐(330)은 몸체(310), 특히 노즐결합부(314)의 말단에 장착되어 압축공기가 외부로 분사되도록 하는 부분이다.
개폐통로(340)는 하기에 서술하는 개폐수단(350)과 함께 본 발명에서 가장 특징을 이루는 부분으로, 제1 실시예의 경우 개폐통로(340)는 손잡이부(312)의 내부를 지나는 공기유로(316)에 대해 축방향이 수직 또는 수직에 가까운 각도로 연결되고, 노즐(330)을 통해 분사되는 압축공기의 분사방향에 대해 축방향이 평행하게 형성된다.
개폐수단(350)은 개폐통로(340) 내에 배치되어 동작되는 부분으로, 압축공기가 노즐(330)을 통해 분사되는 분사방향 각도에 따라 자중에 의해 공기유로(316)를 개폐하여 압축공기의 분사를 제어하는 구성요소이다.
도 2의 (a) 내지 (k)는 본 발명의 제2 내지 제12 실시예에 따른 공기분사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각각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에어건 중 일부를 확대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의 (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로써, 개폐통로(340)가 노즐(330)을 통해 분사되는 압축공기의 분사방향에 대해 축방향이 평행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개폐통로(340)에 대해 손잡이부(312)의 내부를 지나는 공기유로(316)가 축방향이 수직인 각도로 연결되게 된다.
즉, 제1 실시예의 경우 손잡이부(312)의 내부를 지나는 공기유로(316)가 도면상 대각선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에 비해, 제2 실시예에서는 공기유로(316)가 도면상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도 2의 (b) 및 도 2의 (c)는 본 발명의 제3 및 제4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제1 실시예와 유사하게 구성된다.
이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제3 및 제4 실시예의 경우 제1 실시예와 다른 부분은 개폐통로(340)가 일정한 각도, 즉 노즐(330)을 통해 분사되는 압축공기의 분사방향에 대해 축방향이 45도보다 작은 예각으로 형성된다는 점이다.
이와 같이 개폐통로(340)가 일정 각도를 갖도록 형성함에 따라 개폐수단(350)이 자중에 의해 공기유로(316)를 개폐하게 되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2의 (d)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로써, 개폐통로(340)의 형상에서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기분사장치와 차이가 있다. 즉, 제 5 실시예에서는 개폐통로(340)의 내부 단면적이 공기유로(316)를 향해 갈수록 점차 넓어지도록 바닥이 경사진 경사면(340a)을 갖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개폐통로(340)에 배치된 개폐수단(350)이 좀 더 원활하게 개폐통로(340)를 따라 이동하여 공기유로(316)를 개폐할 수 있게 된다.
도 2의 (e)에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의 (e)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공기분사장치 또한 제1 실시예와 유사하게 구성되나, 개폐통로(340)에 탄성부재(342)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탄성부재(342)는 압축공기가 노즐(330)을 통해 분사되는 분사방향 각도에 따라 자중에 의해 개폐수단(350)이 이동하게 되면 탄성력을 비축하거나, 또는 개폐수단(350)이 복귀하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도 2의 (f) 내지 도 2의 (i)는 본 발명의 제7 내지 제10 실시예로써,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개폐통로(340)가 사용되며, 다만 제1 내지 제6 실시예에서는 개폐수단(350)으로 구슬이나 공과 같은 구체가 사용되지만 제7 내지 제10 실시예에서는 막대가 개폐수단(350)으로 사용된다.
이 중에서 도 2의 (g)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의 경우 개폐수단(350)으로 사용되는 막대가 공기유로(316)를 지나도록 배치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압축공기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막대를 관통하여 공기공(352)이 형성된다. 즉, 공기공(352)은 개폐통로(340)가 연결된 공기유로(316)의 축과 동일하도록, 즉 축방향이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2의 (h)와 도 2의 (i)에 나타나는 본 발명의 제9 및 제10 실시예는 개폐수단(350)으로 사용되는 막대의 단면 형상이 원형인 것을 나타낸 것이다.
다시 말해서, 전술한 제8 실시예의 경우 개폐수단(350)인 막대의 단면 형상이 원형일 경우 막대가 개폐통로(340) 내에서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제자리 회전하여 공기유로(316)와 공기공(352)이 서로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제8 실시예의 경우 막대의 단면 형상이 사각형 등과 같은 다각형이나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제자리 회전하지 않는 형상으로 형성되어야 한다.
이에 반해, 제9 및 제10 실시예에서는 막대의 단면 형상이 원형으로 형성되어 제자리 회전하더라도 공기유로(316)와 공기공(352)이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제9 실시예에서는 막대에 다수의 공기공(352)이 서로 떨어져 형성되고, 막대에서 공기공(352)이 형성된 부분은 내부가 비어있도록 구성되어 압축공기가 막대를 통과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다수의 공기공(352)은 막대가 제자리 회전하더라도 압축공기가 원활하게 막대를 통과할 수 있도록 공기유로(316)의 폭보다 큰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제2 실시예와 같이 공기유로(316)가 도면상 수직방향으로 형성될 경우 공기유로(316)의 폭과 공기공(352)의 길이가 동일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2의 (i)과 같이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는 막대에서 공기유로(316) 내에 위치하는 부분이 다른 부분에 비해 얇게 형성되어 압축공기가 막대에 의해 막히지 않고 지나갈 수 있게 된다.
도 2의 (j) 및 도 2의 (k)는 본 발명의 제11 및 제12 실시예로써, 제1 내지 제6 실시예에서 개폐수단(350)으로 사용되는 구체와, 제7 내지 제10 실시예에서 개폐수단(350)으로 사용되는 막대가 함께 개폐수단(350)으로 사용된다. 즉, 제1 내지 제10 실시예에는 개폐수단(350)으로 사용되는 구체나 막대 자체가 무게가 무거운 것으로 볼 수 있고, 제11 및 제12 실시예에서는 개폐수단(350)으로 사용되는 막대는 상대적으로 무게가 가볍고, 구체의 무게가 무거운 것으로 볼 수 있다.
우선, 도 2의 (j)는 본 발명의 제11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개폐수단(350)이 도 1에 도시된 제1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구체와, 도 2의 (g)에 도시된 제8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막대가 함께 배치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된다.
다음, 도 2의 (k)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2 실시예의 경우 본 발명의 제11 실시예에 더하여 도 2의 (e)에서 나타나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 즉 탄성부재(342)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한편,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13 및 제14 실시예에 따른 공기분사장치를 나타낸 도이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3 실시예에 따른 공기분사장치는 전술한 제1 내지 제12 실시예에 따른 공기분사장치와 유사하게 구성되나, 개폐통로(340)의 위치가 다르게 구성된다.
즉, 제13 실시예에서는 개폐통로(340)가 손잡이부(312)가 아닌 노즐결합부(314)의 내부를 지나는 공기유로(316), 특히 개폐통로(340)가 트리거(320) 전에 배치되어 있는 제1 실시예와는 다르게 트리거(320) 다음에 개폐통로(340)가 배치되어 공기유로(316)에 연결된다.
이때, 노즐결합부(314) 내부의 공기유로(316)는 개폐통로(340)와 연결되는 부분이 휘어지게, 즉 개폐통로(340)가 공기유로(316)에 대해 축방향이 수직 또는 수직에 가까운 각도로 연결될 수 있도록 휘어져서 형성된다.
다음,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4 실시예에 따른 공기분사장치는, 전술한 실시예들과는 다르게 공기유로(316)에 연결되는 개폐통로(340)가 상호 떨어져 다수로 형성되며, 마치 나무의 줄기에서 뻗어나온 다수의 가지와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본 발명의 제14 실시예에서는 개폐통로(340)가 4개 사용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내지 제4 개폐통로(340-1, 340-2, 340-3, 340-4)로 지칭한다.
가장 높은 위치에 배치된 제1 개폐통로(340-1)와 가장 낮은 위치에 배치된 제4 개폐통로(340-4)는 공기유로(316)에 대해 축방향이 수직 또는 수직에 가까운 각도로 연결되고, 노즐(330)을 통해 분사되는 압축공기의 분사방향에 대해 축방향이 45도보다 작은 예각으로 형성된다. 다시 말해서, 제1 개폐통로(340-1)와 제4 개폐통로(340-4)는 각각 제3 실시예, 제4 실시예에서 나타나는 개폐통로(340)와 마찬가지로 노즐(330)을 통해 분사되는 압축공기의 분사방향에 대해 축방향이 45도보다 작은 예각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특히, 제1 개폐통로(340-1)와 제4 개폐통로(340-4)는 가상의 축방향 연장선이 서로 교차되도록 형성된다.
한편, 제1 개폐통로(340-1)와 제2 개폐통로(340-2) 사이에 위치하는 제2 및 제3 개폐통로(340-2, 340-3)는 공기유로(316)에 대해 축방향이 수직 또는 수직에 가까운 각도로 연결되고, 노즐(330)을 통해 분사되는 압축공기의 분사방향에 대해 축방향이 수직 또는 수직에 가까운 각도로 형성된다. 즉, 제2 개폐통로(340-2)와 제3 개폐통로(340-3)는 제1 실시예에서 나타나는 개폐통로(340)를 회전시킨 형상, 다시 말해서 개폐통로(340)가 연결된 부분의 공기유로(316) 축에 대해 90도로 회전시킨 것과 같은 형상을 갖게 된다. 또한, 제2 개폐통로(340-2)와 제3 개폐통로(340-3)는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이처럼 제14 실시예에서는 제2 개폐통로(340-2)와 제3 개폐통로(340-3)가 상호 떨어져 반대방향을 향하게 형성되나, 제2 개폐통로(340-2)와 제3 개폐통로(340-3)를 하나로 합쳐 한쪽말단과 다른쪽말단이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는 하나의 개폐통로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공기분사장치의 사용상태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도 5 내지 도 9에 도시된 도면들은 사용자가 트리거를 몸체측 방향으로 당기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기분사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도 5를 살펴보면, 사용자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기분사장치 중 에어건(300)을 위로 들어올리는 상태가 나타나 있다.
다시 말하자면, 사용자가 에어건(300)의 손잡이부(312)를 지면을 향하도록 하면서 노즐(330)은 지면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상태로 조작한 경우(노즐을 위로 들어올린 경우)로써, 예를 들어 어린이들이 에어건(300)을 손으로 들고 장난을 치다가 다른 어린이의 눈을 향해 조작한 상태를 나타낸다.
이러한 조작상태가 되면, 개폐수단(350)으로 사용되는 구체가 자중에 의해 개폐통로(340)를 따라 이동하여 공기유로(316)를 닫게 되며, 에어건(300)이 압축공기를 분사하도록 트리거(320)가 조작되더라도 공기유로(316)를 닫고 있는 개폐수단(350)에 의해 압축공기의 분사가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즉, 사용자가 노즐(330)을 들어올리지 않은 상태에서만 압축공기의 분사가 수행되므로 안전사고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6의 (a) 내지 (k)는 본 발명의 제2 내지 제12 실시예에 따른 공기분사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이며, 각각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에어건 중 일부를 확대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의 (a) 내지 (d)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 내지 제5 실시예에 따른 공기분사장치의 사용상태는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기분사장치의 사용상태와 유사하다. 즉, 본 발명의 제4 및 제5 실시예의 경우 에어건(300)의 노즐(330)을 지면을 향하도록 하면서 손잡이부(312)를 지면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킨 상태(노즐을 아래로 내린 상태)에서 압축공기의 분사가 수행되는 것을 제외하면 거의 동일하게 사용된다.
그리고, 도 6의 (e)에 나타나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는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기분사장치의 사용상태와 거의 유사하다.
다만, 제6 실시예에서는 에어건(300)의 노즐(330)을 위로 들어올린 상태가 되면 개폐수단(350)이 자중에 의해 개폐통로(340)를 따라 이동하면서 탄성부재(342)에 접하여 밀게 되고, 개폐수단(350)에 의해 공기유로(316)가 닫힌 상태가 되면 탄성부재(342)가 최대한 탄성력을 비축한 상태가 된다.
이후, 노즐(330)을 아래로 내리게 되면 개폐수단(350)이 자중에 의해 공기유로(316)를 열도록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탄성부재(342)에 비축되어 있던 탄성력에 의해 개폐수단(350)이 좀 더 원활하게 복귀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게 된다.
도 6의 (f)에 도시된 제7 실시예에서는, 에어건(300)의 노즐(330)을 위로 들어올린 상태가 되면 개폐수단(350)으로 사용되는 막대가 자중에 의해 개폐통로(340)를 따라 이동하고, 막대의 말단이 공기유로(316)을 닫아 압축공기의 분사가 수행되지 않도록 하게 된다.
도 6의 (g) 및 (h)에는 본 발명의 제8 및 제9 실시예의 사용상태가 나타나는데, 노즐(330)을 위로 들어올린 상태가 되면 개폐수단(350)으로 사용되는 막대의 공기공(352)과 공기유로(316)가 어긋나게 되어 압축공기의 분사가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또한, 도 2의 (i)에 나타나는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의 경우 개폐수단(350)으로 사용되는 막대에서 다른 부분에 비해 얇게 형성되는 부분이, 노즐(330)을 위로 들어올린 상태에서는 공기유로(316)와 어긋나게 되므로 압축공기의 분사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그리고, 도 2의 (j) 및 도 2의 (k)에서 나타나는 본 발명의 제11 및 제12 실시예는 각각 전술한 실시예들을 결합한 것으로, 그 사용상태가 유사하므로 제11 및 제12 실시예에 대한 사용상태의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3 실시예도 제1 실시예의 사용상태와 유사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14 실시예에 따른 공기분사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먼저, 도 7에서는 사용자가 에어건(300)을 정립시킨 상태, 즉 제1 내지 제13 실시예와 같이 일반적으로 에어건(300)을 통해 압축공기의 분사를 수행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제4 개폐통로(340-4)의 개폐수단(350)이 자중에 의해 개폐통로(340)를 따라 이동하여 공기유로(316)를 닫게 되어 압축공기의 분사가 이루어지지 않게 되며, 노즐(330)을 아래로 내린 상태에서 압축공기의 분사가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에어건(300)의 노즐(330)을 위로 들어올린 상태가 되면 제1 개폐통로(340-1)의 개폐수단(350) 또한 공기유로(316)를 닫게 되므로 결국 노즐(330)을 아래로 내린 상태에서만 압축공기의 분사가 수행되는 것이다.
다음, 도 8에서는 사용자가 에어건을 도립시킨 상태, 즉 사용자가 에어건을 거꾸로 뒤집어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은 사용상태에서는 제1 개폐통로(340-1)의 개폐수단(350)이 공기유로(316)를 닫아 압축공기의 분사가 수행되지 않게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에어건(300)의 노즐(330)을 위로 들어올리게 되면 들어올린 각도에 따라 제4 개폐통로(340-4)의 개폐수단(350) 또한 공기유로(316)를 닫게 된다.
따라서, 에어건(300)을 도립시켜 사용하더라도 노즐(330)을 아래로 내린 상태에서만 압축공기의 분사가 수행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앞에서 설명하지는 않았으나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에서도 에어건(300)을 도립시켜 사용할 경우 에어건(300)의 노즐(330)을 위로 들어올리게 되면 개폐수단(350)이 공기유로(316)를 닫아 압축공기의 분사가 수행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9에서는 사용자가 에어건(300)을 옆으로 눕혀서 사용하는 상태가 나타나 있다.
이러한 경우 또는 도 9와는 반대로 에어건(300)을 옆으로 눕혀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제2 또는 제3 개폐통로(340-2, 340-3)의 개폐수단이 공기유로(316)를 닫게 되어 압축공기의 분사가 수행되지 않게 된다.
마찬가지로, 에어건(300)을 눕힌 상태에서 에어건(300)의 노즐(330)을 위로 들어올리게 되면 제1 및 제4 개폐통로(340-1, 340-4)의 개폐수단(350) 또한 공기유로(316)를 닫게 되므로 에어건(300)을 눕혀서 사용하더라도 노즐(330)을 아래로 내린 상태에서만 압축공기의 분사가 수행될 수 있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제14 실시예에 따른 공기분사장치는 사용자가 에어건(300)을 정립시킨 상태나 도립시킨 상태, 옆으로 눕힌 상태와 같이 자세를 변경하여 사용하더라도 노즐(330)을 위로 들어올린 상태에서는 압축공기의 분사가 수행되지 않게 되어 좀 더 안전하게 공기분사장치를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신발이나 옷 등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공기분사장치를 공기공급수단(100)과 연결호스(200) 및 에어건(300)으로 이루어지는 단순한 구성으로 사용함으로써 설치 및 유지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공기공급수단 200: 연결호스
300: 에어건 310: 몸체
312: 손잡이부 314: 노즐결합부
316: 공기유로 320: 트리거
330: 노즐
340, 340-1, 340-2, 340-3, 340-4: 개폐통로 340a: 경사면
342: 탄성부재 350: 개폐수단
352: 공기공

Claims (9)

  1. 공기분사장치에 있어서,
    공기를 압축하여 공급하는 공기공급수단과:
    상기 공기공급수단에 연결되는 연결호스: 및
    상기 연결호스가 장착되고, 내부에 상기 연결호스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유로를 이루는 공기유로가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말단에 장착되어 압축공기가 외부로 분사되도록 하는 노즐; 상기 공기유로에 대해 축방향이 수직 또는 수직에 가까운 각도로 연결되고, 상기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압축공기의 분사방향에 대해 축방향이 평행 내지 45도보다 작은 예각으로 형성되는 개폐통로; 및 상기 개폐통로 내에 배치되어 동작되고, 압축공기가 상기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분사방향 각도에 따라 자중에 의해 상기 공기유로를 개폐하여 압축공기의 분사를 제어하는 개폐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에어건:
    을 포함하는 공기분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통로는,
    바닥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공기유로를 향해 갈수록 내부 단면적이 점차 넓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분사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통로에는,
    상기 개폐수단이 상기 공기유로를 폐쇄하도록 닫힘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개폐수단에 의해 탄성력을 비축하고,
    상기 개폐수단이 상기 공기유로를 개방하도록 열림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비축된 탄성력에 의해 상기 개폐수단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탄성부재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분사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통로는 다수가 상호 떨어져 형성되고,
    상기 개폐통로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은,
    상기 공기유로에 대해 축방향이 수직 또는 수직에 가까운 각도로 연결되고, 상기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압축공기의 분사방향에 대해 축방향이 45도보다 작은 예각으로 형성되며,
    상기 개폐통로 중 다른 하나 또는 둘은,
    상기 공기유로에 대해 축방향이 수직 또는 수직에 가까운 각도로 연결되고, 상기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압축공기의 분사방향에 대해 축방향이 수직 또는 수직에 가까운 각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분사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통로는 다수가 상호 떨어져 형성되고,
    상기 개폐통로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은,
    상기 공기유로에 대해 축방향이 수직 또는 수직에 가까운 각도로 연결되고, 상기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압축공기의 분사방향에 대해 축방향이 45도보다 작은 예각으로 형성되며,
    상기 개폐통로 중 다른 하나 또는 둘은,
    상기 공기유로에 대해 축방향이 수직 또는 수직에 가까운 각도로 연결되고, 상기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압축공기의 분사방향에 대해 축방향이 수직 또는 수직에 가까운 각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분사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은,
    구체, 막대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분사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은,
    구체, 막대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분사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에는 막대가 포함되고,
    상기 막대에는 상기 공기유로와 축방향이 평행한 공기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분사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에는 막대가 포함되고,
    상기 막대에는 상기 공기유로와 축방향이 평행한 공기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분사장치.
KR1020110142719A 2011-12-26 2011-12-26 공기분사장치 KR1011441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2719A KR101144118B1 (ko) 2011-12-26 2011-12-26 공기분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2719A KR101144118B1 (ko) 2011-12-26 2011-12-26 공기분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4118B1 true KR101144118B1 (ko) 2012-05-21

Family

ID=46271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2719A KR101144118B1 (ko) 2011-12-26 2011-12-26 공기분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411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94440A (zh) * 2016-12-20 2017-05-24 重庆淳祥电子科技有限公司 带入门自动除尘装置的无尘室
KR101744521B1 (ko) * 2015-06-24 2017-06-12 주식회사 한라지엔씨 안전 에어건
KR20200003628A (ko) 2018-07-02 2020-01-10 (주)케맥스 에어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0651Y1 (ko) 2001-07-14 2001-11-17 장만동 에어건
KR200348770Y1 (ko) 2004-01-19 2004-04-30 김성구 에어건
KR200383497Y1 (ko) 2005-02-18 2005-05-03 이정훈 에어건의 밸브유니트 구조
KR20100021073A (ko) * 2008-08-14 2010-02-24 이성식 피스톤 방식 에어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0651Y1 (ko) 2001-07-14 2001-11-17 장만동 에어건
KR200348770Y1 (ko) 2004-01-19 2004-04-30 김성구 에어건
KR200383497Y1 (ko) 2005-02-18 2005-05-03 이정훈 에어건의 밸브유니트 구조
KR20100021073A (ko) * 2008-08-14 2010-02-24 이성식 피스톤 방식 에어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4521B1 (ko) * 2015-06-24 2017-06-12 주식회사 한라지엔씨 안전 에어건
CN106694440A (zh) * 2016-12-20 2017-05-24 重庆淳祥电子科技有限公司 带入门自动除尘装置的无尘室
KR20200003628A (ko) 2018-07-02 2020-01-10 (주)케맥스 에어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4118B1 (ko) 공기분사장치
KR100752130B1 (ko) 분수용 안전 노즐
KR101118557B1 (ko) 배드민턴 연습장치
US5683314A (en) Water activated hopscotch game
US20210197071A1 (en) Gaming apparatus for spinning top toy game
DE102006057722B4 (de) Gerät zum Üben eines Bewegungsablaufs beim Golfschwung
KR20150128033A (ko) 일정 각도로 회전하는 헤드를 구비한 스프링클러
US20150165308A1 (en) Ball game instrument
US20070037629A1 (en) Configurable single platform mini golf course
KR200428984Y1 (ko) 분수용 안전 노즐
WO2008084049A3 (en) Irrigation apparatus particularly for gardens or the like
CN206715274U (zh) 一种台面折叠锁止保护机构以及乒乓球台
KR20140074106A (ko) 분무기
JP5408755B2 (ja) 農薬散布用ホース案内具
US20100267459A1 (en) Game apparatus
CN112889644A (zh) 农业浇灌用喷洒设备
CN205163979U (zh) 设有拉手杆的手提灭火器
KR102569453B1 (ko) 모듈 이동설치식 텐트형 스크린 골프용 부스
KR102664504B1 (ko) 제1 브러시 부재, 제2 브러시 부재, 제3 브러시 부재, 이들을 포함하는 당구대 청소 솔, 이들의 제조 방법 및 이들의 사용 방법
CN204034201U (zh) 一种捡球器
KR200487974Y1 (ko) 테이블 게임기구
KR101761773B1 (ko) 액체 분사노즐 장치
CN105363190A (zh) 一种方便搬移的桌球台
JP6899073B2 (ja) エアゾール装置
TWM536977U (zh) 防摔斷噴水槍把柄之結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