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1773B1 - 액체 분사노즐 장치 - Google Patents

액체 분사노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1773B1
KR101761773B1 KR1020150098181A KR20150098181A KR101761773B1 KR 101761773 B1 KR101761773 B1 KR 101761773B1 KR 1020150098181 A KR1020150098181 A KR 1020150098181A KR 20150098181 A KR20150098181 A KR 20150098181A KR 101761773 B1 KR101761773 B1 KR 1017617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liquid
flow
coupler
ma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8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6863A (ko
Inventor
오창욱
예창우
Original Assignee
(주)오씨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오씨티 filed Critical (주)오씨티
Priority to KR10201500981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1773B1/ko
Publication of KR201700068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68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17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17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5Special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he spraying or distributing parts, e.g. adaptations or mounting of the spray booms, mounting of the nozzles, protection shiel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5Special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he spraying or distributing parts, e.g. adaptations or mounting of the spray booms, mounting of the nozzles, protection shields
    • A01M7/006Mounting of the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3/00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 B05B3/18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elements moving in a straight line, e.g. along a track; Mobile sprinkl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체 분사노즐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암커플러와 숫커플러가 상호 결합될 경우 암,숫커플러 내부로 액체가 흐르게 되고, 상호 분리될 경우 액체가 암커플러 내부에 머물러 물의 흐름이 차단되도록 하는 액체 분사노즐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액체 분사노즐 장치는, 액체저장조(10)의 선단에 연결되는 호스(30)와 상기 호스(30)의 말단에 연결되어 호스(30)를 통해 액체저장조(10) 내의 액체(50)를 공급받는 암커플러(100); 상기 암커플러(100)에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하되, 상기 암커플러(100)에 결합될 경우, 암커플러(100)에 공급된 액체(50)가 외부로 분사되도록 하고, 암커플러(100)에서 분리될 경우 암커플러(100)에 공급된 액체(50)가 외부로 분사되는 것이 차단되도록 하는 숫커플러(200); 상기 암커플러(100)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숫커플러(200)의 가압에 따라 연동되어 유동되면서 암커플러(100) 내의 액체(50)의 흐름을 제어하는 액체유동제어부(300); 및 상기 암커플러(100)와 연결되는 상기 호스(30)가 부양된 상태로 유동될 수 있도록 하는 호스유동안내부(4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액체 분사노즐 장치{EQUIPMENT OF LIQYID INJECTION NOZZLE}
본 발명은 액체 분사노즐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암커플러와 숫커플러가 상호 결합될 경우 암,숫커플러 내부로 액체가 흐르게 되고, 상호 분리될 경우 액체가 암커플러 내부에 머물러 물의 흐름이 차단되도록 하는 액체 분사노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체를 분사시키도록 구성된 노즐은 산업 설비의 전반에 유용하게 사용되는데, 일 예로 농산물의 생산 및 증산을 위해서 병해충 방제를 하면서 액체 분사 노즐이 사용되게 된다.
이러한, 액체 분사노즐의 경우 병해충 방제작업을 위해 동력분무기를 이용하여 작업자가 노즐대를 들고 하우스나 과수원 등에서 피 분사 대상물인 농산물에 분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농산물의 생산 및 증산을 위해서 농산물에 물의 공급 또는 농약을 공급할 경우에도 이러한 액체 분사노즐이 사용되게 되는데, 병충해 방재를 위해 과잉살포를 자제하고 소량 이나 미량을 살포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액체 분사노즐은 주로 과수원이나 비닐 하우스 내에서 주로 사용되는데, 특히 비닐 하우스 내에서 사용될 경우, 사용자가 비닐하우스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된 물 또는 농약 저장조의 분사 밸브를 열고 이동한 후 액체 분사노즐을 통해 물이나 농약을 분사 대상물에 분사해야하는 살포의 동선이 번거롭고, 분사노즐에 연결되는 호스를 끌고 다녀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불어, 분사 대상물에 물 또는 농약의 분사가 완료된 후 다시 물 또는 농약 저장조의 분사 밸브를 닫으로 이동하는 동안 액체 분사노즐에서 원하지 않은 장소에 물이나 농약이 살포되는 사용상의 어려움이 있었다.
특허문헌 등록특허공보 10-1230739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액체 분사노즐 장치는, 사용자가 필요시 간편하게 액체 분사노즐에서 물이나 농약이 분사 대상물에 분사될 수 있도록 하고, 간편하게 액체 분사노즐의 분사를 종료할 수 있는 액체 분사노즐 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액체 분사노즐 장치는, 사용자가 행거와 호스걸이봉을 이용하여 물 또는 농약 저장조와 액체 분사노즐을 연결하는 호스를 간편하게 이동시켜 사용자가 원활하게 호스 및 액체 분사노즐을 이동시키면서 물이나 농약을 분사할 수 있는 액체 분사노즐 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액체 분사노즐 장치는, 액체저장조(10)의 선단에 연결되는 호스(30)와 상기 호스(30)의 말단에 연결되어 호스(30)를 통해 액체저장조(10) 내의 액체(50)를 공급받는 암커플러(100); 상기 암커플러(100)에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하되, 상기 암커플러(100)에 결합될 경우, 암커플러(100)에 공급된 액체(50)가 외부로 분사되도록 하고, 암커플러(100)에서 분리될 경우 암커플러(100)에 공급된 액체(50)가 외부로 분사되는 것이 차단되도록 하는 숫커플러(200); 상기 암커플러(100)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숫커플러(200)의 가압에 따라 연동되어 유동되면서 암커플러(100) 내의 액체(50)의 흐름을 제어하는 액체유동제어부(300); 및 상기 암커플러(100)와 연결되는 상기 호스(30)가 부양된 상태로 유동될 수 있도록 하는 호스유동안내부(400);를 포함하고, 상기 암커플러(100)는, 상기 액체유동제어부(300)의 일측이 배치되고 내부에 상기 액체저장조(10)에서 공급되는 액체(50)가 저장되는 큰지름관(110)과, 상기 큰지름관(110) 보다 작은 내경을 갖으며 상기 액체유동제어부(300)의 타측이 배치되는 작은지름관(120)과, 상기 큰지름관(110)과 작은지름관(120)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큰지름관(110)과 작은지름관(120) 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 단턱(130)과, 상기 액체유동제어부(300)는, 상기 큰지름관(110)의 내부에 안착되어 큰지름관(110)에서 작은지름관(120)의 형성방향으로 탄성을 발휘하는 암스프링(310)과, 상기 암스프링(310)에 연결되면서 상기 단턱(130)을 폐쇄하여 암커플러(100) 내부의 액체(50)가 외부로 분사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패킹(320)과, 상기 차단패킹(320)에 연장형성되고 상기 단턱(130)을 관통하여 배치되면서 단턱(130)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 관통봉(330)과, 상기 관통봉(330)에 연결되고 상기 단턱(130)의 내경보다 큰 지름을 갖고 상기 작은지름관(120)에 외주연이 밀착된 채로 내부가 중공되어 내부로 상기 암커플러(100)의 액체(50)가 유동될 수 있도록 하는 유로관(340)과, 상기 관통봉(330)에서 연장형성되면서 상기 유로관(340) 내부와 연결고정되면서 유로관(340)의 중공 부위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핀(350)을 포함한다.
삭제
상기 숫커플러(200)는, 상기 암커플러(100)의 작은지름관(120)에 진입되어 상기 유로관(340)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차단패킹(320)이 단턱(330)에서 이격되도록 하여 상기 암커플러(100)의 큰지름관(110)에 저장되는 액체(50)가 상기 유로관(340)을 통해 작은지름관(120)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가압하고 내부가 중공되는 가압관(210)과, 상기 가압관(210)에서 연장형성되고 내부가 중공되는 중공관(220)과, 상기 중공관(220)의 외면을 감싸면서 형성되는 숫몸체(230)와, 상기 숫몸체(230)에 내부에 안착되면서 상기 중공관(220)에 연결되어 상기 중공관(220)이 가압관(210)의 형성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탄성을 발휘하는 숫스프링(240)과, 상기 숫몸체(230)에 형성되어 상기 암커플러(100)로부터 공급되어 가압관(210)을 지나 중공관(220)으로 유입되는 액체(50)가 상기 숫커플러(200)의 외부로 분사되도록 하는 분사구(250)를 포함한다.
상기 암커플러(100)는, 상기 작은지름관(120)의 내면에 음각형성되는 암볼홈(160)과, 상기 암볼홈(160)에 배치되어 상기 가압관(210)이 작은지름관(120)에 진입시, 상기 가압관(210)이 상기 유로관(340)을 가압한 상태로 상기 가압관(210)이 작은지름관(120) 내에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볼(170)을 포함하고, 상기 숫커플러(200)는, 상기 가압관(210)의 외면에 음각형성되고 상기 고정볼(170)이 그 음각형서된 부위로 부분적으로 진입되어 상기 가압관(210)이 작은지름관(120) 내부에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숫볼홈(260)을 포함한다.
상기 암스프링(310)과 숫스프링(240)은, 상기 고정볼(170)이 암볼홈(160)과 숫볼홈(260)에 동시에 진입될 경우, 동시에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고, 외압에 의해 상기 숫볼홈(260)을 포함하는 가압관(210)이 상기 고정볼(170)에서 이격될 경우, 상기 암스프링(310)과 숫스프링(240)은, 상기 가압관(210)이 상기 작은지름관(120)에서 이탈되는 것을 보조하기 위해 동시에 팽창되면서 탄성을 발휘한다.
상기 액체유동제어부(300)는, 상기 고정핀(350)에서 연장형성되되 상기 고정핀(350)과 같이 상기 유로관(340)의 중공 부위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 상기 가압관(210)의 내경에 결합되어 상기 가압관(210)이 상기 유로관(340)을 가압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보조핀(360)을 포함한다.
상기 호스유동안내부(400)는, 지면에서 상방향으로 세워진 다수 개의 지지기둥(410)과, 상기 지지기둥(410)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연결되는 유동안내봉(420)과, 상기 유동안내봉(420)의 외면에 다수 개가 배치되되, 상기 유동안내봉(420)상에서 유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유동편(430)과, 상기 유동편(430)에서 하 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호스(30)가 부양될 수 있도록 갈고리 형태로 형성되는 호스걸이(4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액체 분사노즐 장치는, 사용자가 액체 분사노즐을 통해 분사 대상물에 물이나 농약을 간편하게 분사한 후 분사를 종료할 수 있는 사용상의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액체 분사노즐 장치는, 액체 분사노즐을 연결하는 호스를 간편하게 이동시켜 사용자가 원활하게 호스 및 액체 분사노즐을 이동시키면서 물이나 농약을 분사함으로써 분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액체 분사노즐 장치의 행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분사노즐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액체 분사노즐 장치의 분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액체 분사노즐 장치의 결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액체 분사노즐 장치 내부의 액체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 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하며, 길이 및 면적, 두께 등과 그 형태는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일 예로 암커플러와 숫커플러가 상호 결합될 경우 암,숫커플러 내부로 액체가 흐르게 되고, 상호 분리될 경우 액체가 암커플러 내부에 머물러 물의 흐름이 차단되도록 하는 액체 분사노즐 장치 [특히, ]의 기술적 구성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액체 분사노즐 장치의 행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분사노즐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액체 분사노즐 장치는, 내부에 액체(50)가 공급되어 저장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암커플러(100)와, 상기 암커플러에 결합 또는 분리되면서 암커플러(100)에 공급된 액체(50)가 외부로 분사될 수 있도록 하는 숫커플러(200)와, 상기 숫커플러(200)의 가압에 따라 연동되면서 암커플러(100) 내의 액체(50)의 흐름을 제어하는 액체유동제어부(300)와, 상기 호스(30)가 부양된 상태로 유동될 수 있도록 하는 호스유동안내부(400)를 포함한다.
상기 암커플러(100)는, 액체저장조(10)의 선단에 연결되는 호스(30)와 상기 호스(30)의 말단에 연결되어 호스(30)를 통해 액체저장조(10) 내의 액체(50)를 공급받은 상태로 액체(50)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폐쇄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숫커플러(200)는, 상기 암커플러(100)에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하되, 상기 암커플러(100)에 결합될 경우, 암커플러(100)에 공급된 액체(50)가 외부로 분사되도록 하고, 암커플러(100)에서 분리될 경우 암커플러(100)에 공급된 액체(50)가 외부로 분사되는 것이 차단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더불어, 상기 액체유동제어부(300)는, 상기 암커플러(100)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숫커플러(200)의 가압에 따라 연동되어 유동되면서 암커플러(100) 내의 액체(50)의 흐름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암커플러(100)와 숫커플러(200) 및 액체유동제어부(300)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하기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호스유동안내부(400)는, 상기 암커플러(100)와 연결되는 상기 호스(30)가 부양된 상태로 유동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즉, 상기 호스유동안내부(400)는, 물 또는 농약의 액체(50)를 대상 분사물에 분사하기 위해 사용자가 호스(30)를 들어가 끌고 다니지 않으면서도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호스(30)가 부양된 채로 유동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호스유동안내부(400)는, 지면에서 상방향으로 세워진 다수 개의 지지기둥(410)과, 상기 지지기둥(410)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연결되는 유동안내봉(420)을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호스유동안내부(400)는, 상기 유동안내봉(420)의 외면에 다수 개가 배치되되, 상기 유동안내봉(420)상에서 유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유동편(430)과, 상기 유동편(430)에서 하 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호스(30)가 부양될 수 있도록 갈고리 형태로 형성되는 호스걸이(4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기둥(410)은, 상기 유동안내봉(420)이 수평방향으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유동안내봉(420)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유동안내봉(420)은, 사용자의 동선을 따라 상기 지지기둥(410)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배치되면서, 상기 유동편(430)이 유동되는 것을 안내하게 된다.
상기 유동편(430)은, 상기 유동안내봉(420) 상에 다수 개가 유동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호스걸이(440)가 견고하게 호스를 부양한 채로 유동될 수 있도록, 상기 유동안내봉(420) 상에서 유동되게 된다.
상기 호스걸이(440)는, 상기 호스(30)가 부양될 수 있도록 갈고리 형태로 형성되고, 다수 개의 상기 유동편(430)에 연결되어 상기 호스(30)가 부양된 채로 상기 유동안내봉(420)에 안내되면서 유동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호스유동안내부(400)는, 사용자가 호스(30)를 직접 들거나 끌지 않고서도 원활하게 유동될 수 있도록 보조하여, 사용자가 분사대상물에 물 또는 농약의 액체(50)를 원활하게 분사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여, 분사대상물의 생장효율을 증가시키도록 하게 되고, 관리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액체 분사노즐 장치의 분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액체 분사노즐 장치의 결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액체 분사노즐 장치 내부의 액체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도 3 내지 도 5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액체 분사노즐 장치는, 내부에 액체(50)가 공급되어 저장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암커플러(100)와, 상기 암커플러에 결합 또는 분리되면서 암커플러(100)에 공급된 액체(50)가 외부로 분사될 수 있도록 하는 숫커플러(200)와, 상기 숫커플러(200)의 가압에 따라 연동되면서 암커플러(100) 내의 액체(50)의 흐름을 제어하는 액체유동제어부(300)와, 상기 호스(30)가 부양된 상태로 유동될 수 있도록 하는 호스유동안내부(4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암커플러(100)는, 상기 액체유동제어부(300)의 일측이 배치되고 내부에 상기 액체저장조(10)에서 공급되는 액체(50)가 저장되는 큰지름관(110)과, 상기 큰지름관(110) 보다 작은 내경을 갖으며 상기 액체유동제어부(300)의 타측이 배치되는 작은지름관(12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암커플러(100)는, 상기 큰지름관(110)과 작은지름관(120)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큰지름관(110)과 작은지름관(120) 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 단턱(130)을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액체유동제어부(300)는, 상기 큰지름관(110)의 내부에 안착되어 큰지름관(110)에서 작은지름관(120)의 형성방향으로 탄성을 발휘하는 암스프링(310)과, 상기 암스프링(310)에 연결되면서 상기 단턱(130)을 폐쇄하여 암커플러(100) 내부의 액체(50)가 외부로 분사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패킹(32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차단패킹(320)은 상기 암스프링(310)의 탄성에 의해 상기 단턱(130)에 밀착되면서, 상기 액체저장조(10)에서 호스(30)를 통해 상기 암커플러(100)의 큰지름관(110) 내부로 공급되는 액체(50)가 상기 작은지름관(120)으로 유동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차단패킹(320)은 액체(50)의 밀폐율을 높이기 위해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액체유동제어부(300)는, 상기 차단패킹(320)에 연장형성되고 상기 단턱(130)을 관통하여 배치되면서 단턱(130)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 관통봉(330)과, 상기 관통봉(330)에 연결되고 상기 단턱(130)의 내경보다 큰 지름을 갖고 상기 작은지름관(120)에 외주연이 밀착된 채로 내부가 중공되어 내부로 상기 암커플러(100)의 액체(50)가 유동될 수 있도록 하는 유로관(3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액체유동제어부(300)는, 상기 관통봉(330)에서 연장형성되면서 상기 유로관(340) 내부와 연결고정되면서 유로관(340)의 중공 부위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핀(350)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숫커플러(200)는, 상기 암커플러(100)의 작은지름관(120)에 진입되어 상기 유로관(340)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차단패킹(320)이 단턱(330)에서 이격되도록 하여 상기 암커플러(100)의 큰지름관(110)에 저장되는 액체(50)가 상기 유로관(340)을 통해 작은지름관(120)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가압하고 내부가 중공되는 가압관(2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숫커플러(200)는, 상기 가압관(210)에서 연장형성되고 내부가 중공되는 중공관(220)과, 상기 중공관(220)의 외면을 감싸면서 형성되는 숫몸체(230)와, 상기 숫몸체(230)에 내부에 안착되면서 상기 중공관(220)에 연결되어 상기 중공관(220)이 가압관(210)의 형성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탄성을 발휘하는 숫스프링(24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숫스프링(240)은 상기 숫커플러(200)의 가압관(210)이 상기 암커플러(100)의 작은지름관(120)에서 외압에 의해 이탈될 경우, 상기 가압관(210)이 작은지름관(120)에서 신속하게 반출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더불어, 상기 숫커플러(200)는, 상기 숫몸체(230)에 형성되어 상기 암커플러(100)로부터 공급되어 가압관(210)을 지나 중공관(220)으로 유입되는 액체(50)가 상기 숫커플러(200)의 외부로 분사되도록 하는 분사구(2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암커플러(100)는, 상기 작은지름관(120)의 내면에 음각형성되는 암볼홈(160)과, 상기 암볼홈(160)에 배치되어 상기 가압관(210)이 작은지름관(120)에 진입시, 상기 가압관(210)이 상기 유로관(340)을 가압한 상태로 상기 가압관(210)이 작은지름관(120) 내에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볼(170)을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숫커플러(200)는, 상기 가압관(210)의 외면에 음각형성되고 상기 고정볼(170)이 그 음각형서된 부위로 부분적으로 진입되어 상기 가압관(210)이 작은지름관(120) 내부에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숫볼홈(26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암스프링(310)과 숫스프링(240)은, 상기 고정볼(170)이 암볼홈(160)과 숫볼홈(260)에 동시에 진입될 경우, 동시에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고, 외압에 의해 상기 숫볼홈(260)을 포함하는 가압관(210)이 상기 고정볼(170)에서 이격될 경우, 상기 암스프링(310)과 숫스프링(240)은, 상기 가압관(210)이 상기 작은지름관(120)에서 이탈되는 것을 보조하기 위해 동시에 팽창되면서 탄성을 발휘한다.
더불어, 상기 액체유동제어부(300)는, 상기 고정핀(350)에서 연장형성되되 상기 고정핀(350)과 같이 상기 유로관(340)의 중공 부위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 상기 가압관(210)의 내경에 결합되어 상기 가압관(210)이 상기 유로관(340)을 가압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보조핀(36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물 또는 농약과 같은 액체(50)가 저장되는 상기 액체저장조(10)에서 상기 호스(30)를 통해 액체저장조(10) 내의 액체(50)가 암커플러(100)의 큰지름관(110)으로 공급되게 된다.
이때, 상기 액체(50)는 상기 큰지름관(110) 내에 공급되어 저장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상기 암스프링(310)이 팽창된 채로 차단패킹(320)에 탄성을 발휘하여, 상기 차단패킹(320)이 단턱(130)에 밀착되면서 큰지름관(110)을 폐쇄하여 큰지름관(110) 내부의 액체(50)가 작은지름관(120)으로 유동되는 것이 견고하게 차단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상기 숫커플러(200)의 가압관(210)이 상기 작은지름관(120)으로 진입되어 상기 차단패킹(320)을 가압하면서 상기 암볼홈(160)에 배치되는 고정볼(170)이 숫볼홈(260)에 진입되어 상기 가압관(210)이 차단패킹(320)을 가압한 채로 상기 암커플러(100)와 숫커플러(200)가 상호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가압관(210)은 보조핀(360)에 연결된 채로 상기 차단패킹(320)을 가압하게 되고, 상기 암스프링(310)과 숫스프링(240)은 각각 수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럴 경우, 상기 큰지름관(110) 내의 액체(50)는 상기 단턱(130)과 관통봉(330)의 외면과 상기 유로관(340)의 중공된 내부를 지나면서 상기 유로관(350) 내부에 핀 형태로 형성되는 상기 고정핀(350)의 외면을 타고 상기 작은지름관(120)에 배치되면서 내부가 중공된 가압관(210)의 내부로 유입되게 된다.
특히,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핀(350)이 유로관(340)의 내부 중앙에 핀 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큰지름관(110) 내의 액체(50)가 상기 작은지름관(120) 내부에 결합된 상기 가압관(210)의 중공된 내부로 관통되어 흐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상기 보조핀(360) 역시 상기 고정핀(350)에서 연장형성되면서 고정핀(350)의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큰지름관(110) 내의 액체(50)가 상기 작은지름관(120) 내부에 결합된 상기 가압관(210)의 중공된 내부로 유동되는 것에 간섭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어서, 상기 가압관(210)의 내부로 유입된 액체(50)는 가압관(210)과 연결되면서 중공된 상기 중공관(220)의 내부를 거쳐 상기 분사구(250)를 통해 분사대상물에 분사될 수 있게 된다.
반대로, 상기 액체(50)가 분사구(250)를 통해 분사대상물에 분사되는 작업을 종료할 경우, 사용자가 상기 숫몸체(230)의 외면을 파지하여 상기 작은지름관(120) 내부에 진입된 가압관(210)이 작은지름관(120)의 외부로 반출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가압관(210)의 숫볼홈(260)이 상기 고정볼(170)에서 이탈되고, 상기 차단패킹(320)을 가압하던 가압관(210)이 차단패킹(320)에서 이격되게 된다.
이렇게, 상기 가압관(210)이 차단패킹(320)에서 이격되게 되면, 상기 암스프링(310)이 팽창되면서 상기 차단패킹(320)이 이동되어 상기 단턱(130)에 다시 밀착되도록 하면서 상기 차단패킹(320)에 의해 상기 큰지름관(110) 내의 액체(50)는 더이상 작은지름관(120) 방향으로 유동되지 못하고 차단되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분사구(250)를 통해 분사대상물에 분사되던 액체(50)는 상기 숫커플러(200)가 암커플러(100)와 분리됨과 동시에 더이상 분사되지 않고 상기 암커플러(100)의 큰지름관(110) 내부에 저장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액체(50)의 분사가 간편하게 종료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액체 분사노즐 장치는, 사용자가 액체 분사노즐을 통해 분사 대상물에 물이나 농약을 간편하게 분사한 후 분사를 종료할 수 있는 사용상의 효과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더불어, 액체 분사노즐을 연결하는 호스를 간편하게 이동시켜 사용자가 원활하게 호스 및 액체 분사노즐을 이동시키면서 물이나 농약을 분사함으로써 분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적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 액체저장조 30 : 호스
50 : 액체
100 : 암커플러 110 : 큰지름관
120 : 작은지름관 130 : 단턱
160 : 암볼홈 170 : 고정볼
200 : 숫커플러 210 : 가압관
220 : 중공관 230 : 숫몸체
240 : 숫스프링 250 : 분사구
260 : 숫볼홈
300 : 액체유동제어부 310 : 암스프링
320 : 차단패킹 330 : 관통봉
340 : 유로관 350 : 고정핀
400 : 호스유동안내부 410 : 지지기둥
420 : 유동안내봉 430 : 유동핀
440 : 호스걸이

Claims (7)

  1. 액체저장조(10)의 선단에 연결되는 호스(30)와 상기 호스(30)의 말단에 연결되어 호스(30)를 통해 액체저장조(10) 내의 액체(50)를 공급받는 암커플러(100);
    상기 암커플러(100)에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하되, 상기 암커플러(100)에 결합될 경우, 암커플러(100)에 공급된 액체(50)가 외부로 분사되도록 하고, 암커플러(100)에서 분리될 경우 암커플러(100)에 공급된 액체(50)가 외부로 분사되는 것이 차단되도록 하는 숫커플러(200);
    상기 암커플러(100)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숫커플러(200)의 가압에 따라 연동되어 유동되면서 암커플러(100) 내의 액체(50)의 흐름을 제어하는 액체유동제어부(300); 및
    상기 암커플러(100)와 연결되는 상기 호스(30)가 부양된 상태로 유동될 수 있도록 하는 호스유동안내부(400);를 포함하고,
    상기 암커플러(100)는,
    상기 액체유동제어부(300)의 일측이 배치되고 내부에 상기 액체저장조(10)에서 공급되는 액체(50)가 저장되는 큰지름관(110)과,
    상기 큰지름관(110) 보다 작은 내경을 갖으며 상기 액체유동제어부(300)의 타측이 배치되는 작은지름관(120)과,
    상기 큰지름관(110)과 작은지름관(120)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큰지름관(110)과 작은지름관(120) 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 단턱(130)과,
    상기 액체유동제어부(300)는,
    상기 큰지름관(110)의 내부에 안착되어 큰지름관(110)에서 작은지름관(120)의 형성방향으로 탄성을 발휘하는 암스프링(310)과,
    상기 암스프링(310)에 연결되면서 상기 단턱(130)을 폐쇄하여 암커플러(100) 내부의 액체(50)가 외부로 분사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패킹(320)과,
    상기 차단패킹(320)에 연장형성되고 상기 단턱(130)을 관통하여 배치되면서 단턱(130)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 관통봉(330)과,
    상기 관통봉(330)에 연결되고 상기 단턱(130)의 내경보다 큰 지름을 갖고 상기 작은지름관(120)에 외주연이 밀착된 채로 내부가 중공되어 내부로 상기 암커플러(100)의 액체(50)가 유동될 수 있도록 하는 유로관(340)과,
    상기 관통봉(330)에서 연장형성되면서 상기 유로관(340) 내부와 연결고정되면서 유로관(340)의 중공 부위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핀(350)을 포함하는 액체 분사노즐 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숫커플러(200)는,
    상기 암커플러(100)의 작은지름관(120)에 진입되어 상기 유로관(340)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차단패킹(320)이 단턱(330)에서 이격되도록 하여 상기 암커플러(100)의 큰지름관(110)에 저장되는 액체(50)가 상기 유로관(340)을 통해 작은지름관(120)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가압하고 내부가 중공되는 가압관(210)과,
    상기 가압관(210)에서 연장형성되고 내부가 중공되는 중공관(220)과,
    상기 중공관(220)의 외면을 감싸면서 형성되는 숫몸체(230)와,
    상기 숫몸체(230)에 내부에 안착되면서 상기 중공관(220)에 연결되어 상기 중공관(220)이 가압관(210)의 형성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탄성을 발휘하는 숫스프링(240)과,
    상기 숫몸체(230)에 형성되어 상기 암커플러(100)로부터 공급되어 가압관(210)을 지나 중공관(220)으로 유입되는 액체(50)가 상기 숫커플러(200)의 외부로 분사되도록 하는 분사구(250)를 포함하는 액체 분사노즐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암커플러(100)는,
    상기 작은지름관(120)의 내면에 음각형성되는 암볼홈(160)과,
    상기 암볼홈(160)에 배치되어 상기 가압관(210)이 작은지름관(120)에 진입시, 상기 가압관(210)이 상기 유로관(340)을 가압한 상태로 상기 가압관(210)이 작은지름관(120) 내에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볼(170)을 포함하고,
    상기 숫커플러(200)는,
    상기 가압관(210)의 외면에 음각형성되고 상기 고정볼(170)이 그 음각형서된 부위로 부분적으로 진입되어 상기 가압관(210)이 작은지름관(120) 내부에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숫볼홈(260)을 포함하는 액체 분사노즐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암스프링(310)과 숫스프링(240)은,
    상기 고정볼(170)이 암볼홈(160)과 숫볼홈(260)에 동시에 진입될 경우, 동시에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고, 외압에 의해 상기 숫볼홈(260)을 포함하는 가압관(210)이 상기 고정볼(170)에서 이격될 경우, 상기 암스프링(310)과 숫스프링(240)은, 상기 가압관(210)이 상기 작은지름관(120)에서 이탈되는 것을 보조하기 위해 동시에 팽창되면서 탄성을 발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사노즐 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유동제어부(300)는,
    상기 고정핀(350)에서 연장형성되되 상기 고정핀(350)과 같이 상기 유로관(340)의 중공 부위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 상기 가압관(210)의 내경에 결합되어 상기 가압관(210)이 상기 유로관(340)을 가압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보조핀(360)을 포함하는 액체 분사노즐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유동안내부(400)는,
    지면에서 상방향으로 세워진 다수 개의 지지기둥(410)과,
    상기 지지기둥(410)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연결되는 유동안내봉(420)과,
    상기 유동안내봉(420)의 외면에 다수 개가 배치되되, 상기 유동안내봉(420)상에서 유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유동편(430)과,
    상기 유동편(430)에서 하 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호스(30)가 부양될 수 있도록 갈고리 형태로 형성되는 호스걸이(440)를 포함하는 액체 분사노즐 장치.
KR1020150098181A 2015-07-10 2015-07-10 액체 분사노즐 장치 KR1017617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8181A KR101761773B1 (ko) 2015-07-10 2015-07-10 액체 분사노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8181A KR101761773B1 (ko) 2015-07-10 2015-07-10 액체 분사노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6863A KR20170006863A (ko) 2017-01-18
KR101761773B1 true KR101761773B1 (ko) 2017-07-26

Family

ID=57992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8181A KR101761773B1 (ko) 2015-07-10 2015-07-10 액체 분사노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177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7155Y1 (ko) * 2003-03-25 2003-06-25 나인수 비닐하우스용 액상물 살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0739B1 (ko) 2010-04-27 2013-02-07 김복수 분무와 운반기능을 가진 자동 무인방제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7155Y1 (ko) * 2003-03-25 2003-06-25 나인수 비닐하우스용 액상물 살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6863A (ko) 2017-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3293B1 (ko) 비닐하우스용 약제살포기의 약제살포관 지지장치
US20100282866A1 (en) Chemical injector for spray device
KR200481961Y1 (ko) 무인 방제장치
US9561516B2 (en) Liquid sprayer for plants
KR101675516B1 (ko) 공사현장용 살수장치
KR101634243B1 (ko) 약액 분사장치
KR200484036Y1 (ko) 다목적 약액 분사기
KR101761773B1 (ko) 액체 분사노즐 장치
KR102091926B1 (ko) 물안개 분무 장치용 노즐 구조체
KR100758704B1 (ko) 방사형 분사장치
KR101872800B1 (ko) 건설차량 청소용 공기 분사장치
JP2010527861A5 (ko)
KR200418909Y1 (ko) 약액 분사 장치
CN101733223A (zh) 储压式农用喷药装置
KR200464492Y1 (ko) 분사노즐
CN209663532U (zh) 一种便携式可移动灌溉喷头
JP5408755B2 (ja) 農薬散布用ホース案内具
CN203692273U (zh) 一种低植株农作物电动喷雾机后喷式多喷头装置
KR101358487B1 (ko) 약액분사대
CN210364394U (zh) 一种工字型植保无人机
KR101397917B1 (ko) 물 분배기 및 이를 이용한 물 살포기
KR101312413B1 (ko) 트리거식 분무장치
CN110800719B (zh) 一种石榴病虫害防治用喷雾器喷雾杆
CN102648706B (zh) 喷雾器喷枪的调压、稳压装置
JP5767942B2 (ja) ノズルホルダおよびこのノズルホルダを備えたブームスプレー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