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8487B1 - 약액분사대 - Google Patents

약액분사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8487B1
KR101358487B1 KR1020130105241A KR20130105241A KR101358487B1 KR 101358487 B1 KR101358487 B1 KR 101358487B1 KR 1020130105241 A KR1020130105241 A KR 1020130105241A KR 20130105241 A KR20130105241 A KR 20130105241A KR 101358487 B1 KR101358487 B1 KR 1013584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emical liquid
chemical
hole
cylindrical shape
screw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5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진섭
구기현
Original Assignee
구기현
구진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기현, 구진섭 filed Critical 구기현
Priority to KR10201301052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84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84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84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89Regulating or controll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03Atomisers or mist blowers
    • A01M7/0007Atomisers or mist blowers mounted on a frame and guided by hand; Atomiser barr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3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influence the nature of flow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produce swirl
    • B05B1/3405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influence the nature of flow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produce swirl to produce swir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02Manually-actuated controlling means, e.g. push buttons, levers or trig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60Arrangements for mounting, supporting or holding spraying apparatus
    • B05B15/62Arrangements for supporting spraying apparatus, e.g. suction cup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약액분사대에 관한 것으로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손으로 파지 가능하도록 다수개의 돌부가 형성되는 핸들과, 상기 핸들의 전방에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연결 구비되며,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격되어 외측으로 돌출된 제1수나사부가 형성되는 약액조절봉과, 상기 약액조절봉의 제1수나사부 후방에 내측이 관통형성된 볼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끼움 결합 구비되며, 전방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제2수나사부가 형성되는 풀림방지구와, 상기 약액조절봉의 제1수나사부 및 풀림방지구의 제2수나사부가 원통형으로 형성되어진 후방 내측에 각각 이격되어 전방에서 후방으로 형성되는 제1암나사부 및 제2암나사부에 순차적으로 결합되며, 전방 내측에는 제3암나사부가 형성되고, 제3암나사부의 후방에는 원통형의 공간을 갖는 안착부가 형성되며, 안착부 및 제1암나사부 사이에는 외측으로 연장형성되어 외부로부터 약액을 공급받는 약액연결부가 형성되는 결속구와, 상기 결속구의 안착부에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삽입 구비되며, 외주면에는 내측으로 내입 형성되는 나선형의 와류홈이 형성되고, 내측에는 관통 형성되는 통공을 갖는 와류구와, 상기 와류구의 전방에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구비되며, 후방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제1결합부가 형성되어 결속구의 제3암나사부와 결합되고, 전방 내측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2결합부가 형성되며, 제1결합부 및 제2결합부 사이에는 약액이 이동할 수 있도록 관통형성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제1결합부의 내측에는 전방측으로 내입 형성되는 수용부를 갖는 지지구와, 상기 지지구의 제2결합부에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후방측이 결합 구비되며, 내측은 관통되어 약액이 후방에서 전방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약액이송관과, 상기 약액이송관의 전방에 후방측이 결합 구비되며, 내측에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관통형성되어 약액이 배출되도록 형성된 배출공을 갖는 배출구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약액분사대{Medicinal fluid spryer}
본 발명은 약액분사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핸들의 전방에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연결 구비되는 약액조절봉과, 약액조절봉이 내측에 결합되고 외부로부터 약액을 공급받는 약액연결부가 구비되는 원통형의 결속구와, 결속구의 내측에 삽입되며 외주면에 내측으로 내입 형성되는 나선형의 와류홈이 형성되고, 내측에는 관통 형성되는 통공을 갖는 와류구가 구비되어 핸들의 조작에 따라 약액조절봉이 와류구의 통공 전후로 조작되어 외부에서 공급되는 약액의 원거리 분사 또는 근거리 확산 분사가 가능하도록 하면서도 약액조절봉의 길이를 짧게 형성하여 경량화함으로써 작업자가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약액분사대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약액분사대는 고압분무기에서 약액이 고압으로 조성되면 이를 약액호스를 거쳐 약액분사대를 통하여 분사가 이루어지게 되고, 약액분사대를 작업자가 가지고 이동하면서 농작물의 병충해를 방제하게 된다.
이때, 상기 약액분사대는 과수 또는 벼 등의 경우에는 원거리 분사가 요구되고 각종 채소 등의 경우에는 근거리 확산 분사가 요구되며, 또한 고른 분포로 약액을 분사시키기 위하여 사용자가 약액 분사기를 파지한 상태에서 휴대하여 분사상태를 조절하고 이동하면서 약액을 분사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약액의 원거리 분사 및 근거리 확산 분사를 위해 종래의 약액 분사대는 약액호스연결부를 구비하는 약액분사대 몸통과 중앙지점에는 약액공급관을, 선단에는 노즐부몸통으로 구성하고, 손잡이에는 분사조절대를 연결하고 일측에는 약액분사대몸통 체결나사를 형성하고 선단에는 와류형성구를 구비한 조절대를 약액분사대 내에 끼워 체결나사로 약액분사대몸통의 나선홈과 결합하는 통상의 약액분사대에 있어서 조절대를 구성하는 분사조절대의 일지점 또는 수개의 지점에 지지공과 지지면 및 유통부가 구비된 지지구의 지지공을 끼워 용착하고, 분사조절대 선단의 나선홈에 결합할 수 있도록 후부에는 나선축을, 전후에는 원뿔면을, 후부의 원뿔면에는 스크류홈을 구비한 와류형성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기술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2073805호에서와 같이 공지된바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기술은 약액의 원거리 분사 및 근거리 확산 분사를 위해 형성되는 분사조절대가 길게 형성되어 제작이 따른 비용이 상승할 뿐만 아니라 근래에 농촌 등에서 주로 농업에 종사하는 나이가 많은 농민들이 사용하기에는 제품의 무게가 무거운 문제점이 있었으며, 분사조절대의 길이가 길어 조작시에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기술은 약액의 분사를 중지하기 위해 고압분무기의 작동을 멈추거나 약액호스에 구비되는 밸브를 차단하여야만 약액의 분사를 중지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한 약액분사대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7380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종래에 약액의 원거리 분사 및 근거리 확산 분사를 위해 형성되는 분사조절대가 길게 형성되어 제작이 따른 비용이 상승할 뿐만 아니라 근래에 농촌 등에서 주로 농업에 종사하는 나이가 많은 농민들이 사용하기에는 제품의 무게가 무거운 문제점이 있었으며, 분사조절대의 길이가 길어 조작시에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고, 약액의 분사를 중지하기 위해 고압분무기의 작동을 멈추거나 약액호스에 구비되는 밸브를 차단하여야만 약액의 분사를 중지할 수 있었던 것을 핸들의 전방에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연결 구비되는 약액조절봉과, 약액조절봉이 내측에 결합되고 외부로부터 약액을 공급받는 약액연결부가 구비되는 원통형의 결속구와, 결속구의 내측에 삽입되며 외주면에 내측으로 내입 형성되는 나선형의 와류홈이 형성되고, 내측에는 관통 형성되는 통공을 갖는 와류구가 구비되어 핸들의 조작에 따라 약액조절봉이 와류구의 통공 전후로 조작되어 외부에서 공급되는 약액의 원거리 분사 또는 근거리 확산 분사가 가능하도록 하면서도 약액조절봉의 길이를 짧게 형성하여경량화함으로써 작업자가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약액의 분사를 중지할 때에는 핸들에 구비된 약액조절봉을 전방으로 조작하여 약액의 분사를 용이하게 중지할 수 있도록 하는 약액분사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손으로 파지 가능하도록 다수개의 돌부가 형성되는 핸들과, 상기 핸들의 전방에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연결 구비되며,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격되어 외측으로 돌출된 제1수나사부가 형성되는 약액조절봉과, 상기 약액조절봉의 제1수나사부 후방에 내측이 관통형성된 볼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끼움 결합 구비되며, 전방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제2수나사부가 형성되는 풀림방지구와, 상기 약액조절봉의 제1수나사부 및 풀림방지구의 제2수나사부가 원통형으로 형성되어진 후방 내측에 각각 이격되어 전방에서 후방으로 형성되는 제1암나사부 및 제2암나사부에 순차적으로 결합되며, 전방 내측에는 제3암나사부가 형성되고, 제3암나사부의 후방에는 원통형의 공간을 갖는 안착부가 형성되며, 안착부 및 제1암나사부 사이에는 외측으로 연장형성되어 외부로부터 약액을 공급받는 약액연결부가 형성되는 결속구와, 상기 결속구의 안착부에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삽입 구비되며, 외주면에는 내측으로 내입 형성되는 나선형의 와류홈이 형성되고, 내측에는 관통 형성되는 통공을 갖는 와류구와, 상기 와류구의 전방에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구비되며, 후방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제1결합부가 형성되어 결속구의 제3암나사부와 결합되고, 전방 내측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2결합부가 형성되며, 제1결합부 및 제2결합부 사이에는 약액이 이동할 수 있도록 관통형성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제1결합부의 내측에는 전방측으로 내입 형성되는 수용부를 갖는 지지구와, 상기 지지구의 제2결합부에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후방측이 결합 구비되며, 내측은 관통되어 약액이 후방에서 전방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약액이송관과, 상기 약액이송관의 전방에 후방측이 결합 구비되며, 내측에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관통형성되어 약액이 배출되도록 형성된 배출공을 갖는 배출구로 이루어지는 약액분사대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약액분사대는 핸들의 전방에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연결 구비되는 약액조절봉과, 약액조절봉이 내측에 결합되고 외부로부터 약액을 공급받는 약액연결부가 구비되는 원통형의 결속구와, 결속구의 내측에 삽입되며 외주면에 내측으로 내입 형성되는 나선형의 와류홈이 형성되고, 내측에는 관통 형성되는 통공을 갖는 와류구가 구비되어 핸들의 조작에 따라 약액조절봉이 와류구의 통공 전후로 조작되어 외부에서 공급되는 약액의 원거리 분사 또는 근거리 확산 분사가 가능하며, 약액조절봉의 길이가 짧게 형성되어 제품이 경량화되고, 핸들을 조작하여 약액조절봉의 선단이 지지구에 닿도록 하여 약액의 분사를 용이하게 중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약액분사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약액분사대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약액분사대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약액분사대의 분해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약액분사대의 약액조절봉이 약액의 원거리 분사를 위해 조작된 모습을 보여주는 부분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약액분사대의 약액조절봉이 약액의 근거리 확산 분사를 위해 조작된 모습을 보여주는 부분확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약액분사대가 잠겨져 있는 모습을 보여주는 부분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의한 약액분사대(2)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손으로 파지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핸들(10)과, 상기 핸들(10)의 전방에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약액조절봉(20)과, 상기 약액조절봉(20)의 제1수나사부(22) 후방에 내측이 관통형성된 볼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끼움 결합 구비되는 풀림방지구(30)와, 상기 약액조절봉(20) 및 풀림방지구(30)가 내측에 순차적으로 결합되는 결속구(40)와, 상기 결속구(40)의 내측에 삽입 구비되는 와류구(50)와, 상기 와류구(50)의 전방에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구비되는 지지구(60)와, 상기 지지구(60)의 전방에 결합되는 약액이송관(70)과, 상기 약액이송관(70)의 전방에 후방측이 결합되는 배출구(80)로 이루어진다.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손으로 파지 가능하도록 다수개의 돌부(12)가 형성되는 핸들(1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핸들(10)은 합성수지재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다수개의 돌부(12)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핸들(10)의 전방에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연결 구비되며,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격되어 외측으로 돌출된 제1수나사부(22)가 형성되는 약액조절봉(2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약액조절봉(20)은 후술되는 결속구(40)에 형성된 제1암나사부(41)에 체결되는 것이며, 약액조절봉(20)과 연결된 핸들(10)의 조작에 따라 약액조절봉(20)이 전후진 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약액조절봉(20)의 제1수나사부(22) 후방에 내측이 관통형성된 볼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끼움 결합 구비되며, 전방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제2수나사부(32)가 형성되는 풀림방지구(3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풀림방지구(30)는 관통된 내주연이 약액조절봉(20)의 외주연과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약액조절봉(20)이 핸들(10)의 조작에 의해 전후로 조작될 시에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풀림방지구(30)의 제2수나사부(32)는 후술되는 결속구(40)의 제2암나사부(42)에 체결되는 것이며, 핸들(10)의 조작에 의해 약액조절봉(20)이 후방으로 이동될 시에 약액조절봉(20)이 결속구(4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약액조절봉(20)의 제1수나사부(22) 및 풀림방지구(30) 사이에는 한 쌍의 와셔(34)가 약액조절봉(20)에 끼움 결합 구비되고, 한 쌍의 와셔(34) 사이에는 오링(36)이 끼움 결합 된다.
이때, 상기 와셔(34) 및 오링(36)은 약액조절봉(20)의 제1수나사부(22) 및 풀림방지구(30) 사이에 구비되어 후술되는 결속구(40)에 약액이 공급될 시에 약액이 풀림방지구(30)의 후방측으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며, 각각 한 쌍이 구비되어 사용됨이 바람직한 것이나 오링(36)만을 사용하여 약액의 누수를 방지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와셔(34)는 오링(36)과 함께 약액이 누수 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나 그 외에도 풀림방지구(30)가 후술되는 결속구(40)에 체결될 시에 오링(36)이 풀림방지구(30)가 결속구(40)에 체결되는 체결 압력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하는 것이다.
상기 약액조절봉(20)의 제1수나사부(22) 및 풀림방지구(30)의 제2수나사부(32)가 원통형으로 형성되어진 후방 내측에 각각 이격되어 전방에서 후방으로 형성되는 제1암나사부(41) 및 제2암나사부(42)에 순차적으로 결합되며, 전방 내측에는 제3암나사부(43)가 형성되고, 제3암나사부(43)의 후방에는 원통형의 공간을 갖는 안착부(44)가 형성되며, 안착부(44) 및 제1암나사부(41) 사이에는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약액을 공급받는 약액연결부(45)가 형성되는 결속구(4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결속구(40)의 제1암나사부(41)에는 약액조절봉(20)의 제1수나사부(22)가 체결되어 핸들(10)의 조작에 따라 약액조절봉(20)이 전후로 이동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결속구(40)의 약액연결부(45) 타측에는 상부로 연장형성되며, 일측에서 이격된 내측에는 관통된 걸림공(47)을 갖는 걸고리부(46)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걸고리부(46)는 본 발명인 약액분사대(2)를 사용하지 않을 시에 걸고리부(46)에 형성되는 걸림공(47)을 이용하여 약액분사대(2)를 걸어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결속구(40)의 안착부(44)에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삽입 구비되며, 외주면에는 내측으로 내입 형성되는 나선형의 와류홈(52)이 형성되고, 내측에는 관통 형성되는 통공(53)을 갖는 와류구(5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와류구(50)의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와류홈(52)은 약액이 결속구(40)에 형성된 약액연결부(45)를 통하여 공급될 시에 약액이 와류홈(52)으로 공급되어 전방으로 와류 되면서 분사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며, 핸들(10)과 연결된 약액조절봉(20)이 와류구(50)의 통공(53)에 삽입되면 와류구(50)의 통공(53)으로 이동되지 못하는 약액이 와류홈(52)으로 공급되어 약액의 근거리 확산분사가 가능해지는 것이다.
한편, 상기 와류구(50)의 통공(53)에 약액조절봉(20)이 삽입되지 않을 시에는 약액이 와류구(50)의 통공(53)을 통해서 이동되게 되며, 이때는 약액이 원거리 분사되는 것이다.
상기 와류구(50)의 전방에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구비되며, 후방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제1결합부(61)가 형성되어 결속구(40)의 제3암나사부(43)와 결합되고, 전방 내측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2결합부(62)가 형성되며, 제1결합부(61) 및 제2결합부(62) 사이에는 약액이 이동할 수 있도록 관통형성되는 관통공(63)이 형성되고, 제1결합부(61)의 내측에는 전방측으로 내입 형성되는 수용부(64)를 갖는 지지구(6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지지구(60)의 제1결합부(61)는 결속구(40)의 제3암나사부(43)에 결합되면서도 제1결합부(61)의 후방측이 와류구(50)의 일측면을 지지토록 하여 와류구(50)가 결속구(40)의 안착부(44)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지구(60)에 형성되는 수용부(64)는 와류홈(52)을 통하여 이동되는 약액이 지지구(60)의 관통공(63)으로 원활히 공급되도록 형성되는 것이며, 직경이 와류구(50)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한편, 상기 지지구(60)에 형성되는 관통공(63)은 직경이 약액조절봉(20)의 직경 보다 작게 형성되어 약액조절봉(20)이 핸들(10)의 조작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될 시에 약액조절봉(20)의 선단부가 지지구(60)의 관통공(63) 후방 단부에 닿으면 약액이 지지구(60)의 전방으로 이동되지 못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지지구(60)의 제2결합부(62)에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후방측이 결합 구비되며, 내측은 관통되어 약액이 후방에서 전방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약액이송관(70)이 구비된다.
한편, 상기 약액이송관(70)에는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약액이송관(70)의 외주면에서 이격되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손잡이(14)가 구비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손잡이(14)는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용이하게 분리 가능하도록 일측과 타측으로 나누어져서 각각이 결합 되는 것이다.
상기 약액이송관(70)의 전방에 후방측이 결합 구비되며, 내측에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관통형성되어 약액이 배출되도록 형성된 배출공(82)을 갖는 배출구(8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배출구(80)의 배출공(82)은 후방보다 전방이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약액이 약액이송관(70) 내에서 와류 되면서 전방으로 이동될 시에 가해지는 압력을 더욱 상승시켜줌으로써 약액이 배출구(80)를 통하여 분사될 시에 약액이 더욱 멀리 분사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배출구(80)는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약액이 전방으로 분사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로 형성된 것이라면 어떠한 형태로 제작된 배출구(80)라도 약액이송관(70)의 일측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배출구(80)의 전방에는 원통형으로 형성된 후방이 삽입되어 결합 구비되며, 내측은 약액이 분사될 수 있도록 관통 형성되는 노즐팁(90)이 구비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노즐팁(90)은 배출구(80)에 비해 작게 형성되어 본 발명에 의한 약액분사대(2)의 내측에 이물질 등이 삽입되어 약액이 원활하게 분사되지 않을 시에 용이하게 배출구(80)로부터 분리하여 배출구(80) 내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며, 배출구(80)의 전방에 결합 되어 사용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약액분사대(2)의 작동은 하기와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약액분사대(2)에 형성되는 약액연결부(45)를 통해 고압의 약액이 공급되며, 고압의 약액은 약액조절봉(20)이 연결된 핸들(10)의 사용자 조작에 따라 약액조절봉(20)이 와류구(50)에서 후방으로 이격되어 있을 시에는 약액이 와류구(50)의 통공(53)을 통하여 전방으로 이동되게 되며 이때는 약액이 원거리 분사되고, 약액조절봉(20)이 와류구(50)의 통공(53)에 삽입되었을 시에는 약액이 와류구(50)의 와류홈(52)을 따라 와류되면서 약액이송관(70)으로 공급됨으로써 약액이 근거리 확산 분사되게 된다.
또한, 상기 약액조절봉(20)의 선단부가 지지구(60)의 관통공(63) 후방 단부에 닿으면 약액이 지지구(60)의 전방으로 이동되지 못하여 약액의 이동이 중지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약액이송관(70)을 지나는 약액은 배출구(80)로 공급되게 되며, 약액은 배출구(80)의 내측에 경사지게 형성된 배출공(82)를 통해 다시 한번 가압 되어 외부로 분사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약액분사대(2)는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약액의 근거리 확산 분사, 원거리 분사 및 약액의 분사를 차단할 수 있으며,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2 : 약액분사대 10 : 핸들
12 : 돌부 14 : 손잡이
20 : 약액조절봉 22 : 제1수나사부
30 : 풀림방지구 32 : 제2수나사부
34 : 와셔 36 : 오링
40 : 결속구 41 : 제1암나사부
42 : 제2암나사부 43 : 제3암나사부
44 : 안착부 45 : 약액연결부
46 : 걸고리부 47 : 걸림공
50 : 와류구 52 : 와류홈
53 : 통공 60 : 지지구
61 : 제1결합부 62 : 제2결합부
63 : 관통공 64 : 수용부
70 : 약액이송관 80 : 배출구
82 : 배출공 90 : 노즐팁

Claims (5)

  1.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손으로 파지 가능하도록 다수개의 돌부(12)가 형성되는 핸들(10);
    상기 핸들(10)의 전방에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연결 구비되며,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격되어 외측으로 돌출된 제1수나사부(22)가 형성되는 약액조절봉(20);
    상기 약액조절봉(20)의 제1수나사부(22) 후방에 내측이 관통형성된 볼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끼움 결합 구비되며, 전방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제2수나사부(32)가 형성되는 풀림방지구(30);
    상기 약액조절봉(20)의 제1수나사부(22) 및 풀림방지구(30)의 제2수나사부(32)가 원통형으로 형성되어진 후방 내측에 각각 이격되어 전방에서 후방으로 형성되는 제1암나사부(41) 및 제2암나사부(42)에 순차적으로 결합되며, 전방 내측에는 제3암나사부(43)가 형성되고, 제3암나사부(43)의 후방에는 원통형의 공간을 갖는 안착부(44)가 형성되며, 안착부(44) 및 제1암나사부(41) 사이에는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약액을 공급받는 약액연결부(45)가 형성되는 결속구(40);
    상기 결속구(40)의 안착부(44)에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삽입 구비되며, 외주면에는 내측으로 내입 형성되는 나선형의 와류홈(52)이 형성되고, 내측에는 관통 형성되는 통공(53)을 갖는 와류구(50);
    상기 와류구(50)의 전방에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구비되며, 후방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제1결합부(61)가 형성되어 결속구(40)의 제3암나사부(43)와 결합되고, 전방 내측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2결합부(62)가 형성되며, 제1결합부(61) 및 제2결합부(62) 사이에는 약액이 이동할 수 있도록 관통형성되는 관통공(63)이 형성되고, 제1결합부(61)의 내측에는 전방측으로 내입 형성되는 수용부(64)를 갖는 지지구(60);
    상기 지지구(60)의 제2결합부(62)에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후방측이 결합 구비되며, 내측은 관통되어 약액이 후방에서 전방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약액이송관(70);
    상기 약액이송관(70)의 전방에 후방측이 결합 구비되며, 내측에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관통형성되어 약액이 배출되도록 형성된 배출공(82)을 갖는 배출구(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분사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80)의 전방에는 원통형으로 형성된 후방이 삽입되어 결합 구비되며, 내측은 약액이 분사될 수 있도록 관통 형성되는 노즐팁(90)이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분사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구(40)의 약액연결부(45) 타측에는 상부로 연장형성되며, 일측에서 이격된 내측에는 관통된 걸림공(47)을 갖는 걸고리부(46)가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분사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액이송관(70)의 외주면에서 이격되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 되는 손잡이(14)가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분사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액조절봉(20)의 제1수나사부(22) 및 풀림방지구(30) 사이에는 한 쌍의 와셔(34)가 약액조절봉(20)에 끼움 결합 구비되고, 한 쌍의 와셔(34) 사이에는 오링(36)이 끼움 결합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분사대.
KR1020130105241A 2013-09-03 2013-09-03 약액분사대 KR1013584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5241A KR101358487B1 (ko) 2013-09-03 2013-09-03 약액분사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5241A KR101358487B1 (ko) 2013-09-03 2013-09-03 약액분사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8487B1 true KR101358487B1 (ko) 2014-02-06

Family

ID=50269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5241A KR101358487B1 (ko) 2013-09-03 2013-09-03 약액분사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84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4068A (ko) * 2016-10-21 2018-05-02 전은수 약액 분사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4764A (ko) * 1999-05-03 1999-08-05 구진섭 농약 분사대에 연결되는 약액이송관
KR20040027560A (ko) * 2004-02-12 2004-04-01 편민현 장대형 약액분사대
EP1425235B1 (en) 2001-09-14 2005-01-26 S. C. Johnson & Son, Inc. Apparatus for spraying a remote target or area
KR20090035389A (ko) * 2007-10-05 2009-04-09 (주)온니케이 약액 분사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4764A (ko) * 1999-05-03 1999-08-05 구진섭 농약 분사대에 연결되는 약액이송관
EP1425235B1 (en) 2001-09-14 2005-01-26 S. C. Johnson & Son, Inc. Apparatus for spraying a remote target or area
KR20040027560A (ko) * 2004-02-12 2004-04-01 편민현 장대형 약액분사대
KR20090035389A (ko) * 2007-10-05 2009-04-09 (주)온니케이 약액 분사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4068A (ko) * 2016-10-21 2018-05-02 전은수 약액 분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7493903U (zh) 具有触发器锁的喷枪和用于喷枪的触发器锁
CN102026730B (zh) 喷射装置器械
CN105980065B (zh) 分配装置
US20100282866A1 (en) Chemical injector for spray device
KR101617943B1 (ko) 광범위 약제 분사기
US3113725A (en) Valve controlled spraying device for a chemical intermixed with water
US8590814B2 (en) Nozzle for a pressure washer
CN204261240U (zh) 一种消防用喷枪
KR101358604B1 (ko) 약액분사대
KR101358487B1 (ko) 약액분사대
JP4796773B2 (ja) 塗装用スプレーガン
JP2014200737A (ja) 流体噴出ガン
CN201768651U (zh) 无动力吸液式喷枪
CN202479078U (zh) 背负式可伸缩自动喷雾器
KR101455651B1 (ko) 이물질 배출수단을 갖는 농업용 분사장치
JP2016168531A (ja) 液体噴射装置
CN2930249Y (zh) 多功能农用喷枪
CN104906726A (zh) 一种直流喷雾水枪
KR20090035389A (ko) 약액 분사기
US3708124A (en) Cement spray gun
CN202263678U (zh) 农用喷雾器
KR101887370B1 (ko) 물뿌리개
KR200425847Y1 (ko) 분무기
CN104001639B (zh) 一种具有延长手柄的快卸式喷枪
US188909A (en) Improvement in hose-nozz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