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4105B1 - 휘발성 유기화합물 분리 회수용 중공사막 - Google Patents

휘발성 유기화합물 분리 회수용 중공사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4105B1
KR101144105B1 KR1020090053570A KR20090053570A KR101144105B1 KR 101144105 B1 KR101144105 B1 KR 101144105B1 KR 1020090053570 A KR1020090053570 A KR 1020090053570A KR 20090053570 A KR20090053570 A KR 20090053570A KR 101144105 B1 KR101144105 B1 KR 1011441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low fiber
volatile organic
membrane
fiber membrane
organic compoun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35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5105A (ko
Inventor
최휘문
하성용
고형철
이충섭
임지원
Original Assignee
(주)에어레인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어레인,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에어레인
Priority to KR10200900535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4105B1/ko
Publication of KR201001351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51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41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41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08Hollow fibre memb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diffusion
    • B01D53/228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diffusion characterised by specific memb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7/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 B01D67/0002Organic membrane manufacture
    • B01D67/0006Organic membrane manufacture by chemical rea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10Supported membranes; Membrane supports
    • B01D69/107Organic support material
    • B01D69/1071Woven, non-woven or net mes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30Polyalkenyl halides
    • B01D71/32Polyalkenyl halides containing fluorine atoms
    • B01D71/34Polyvinylidene fluor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70Polymers having silicon in the main chai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70Polymers having silicon in the main chai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 B01D71/701Polydimethylsilox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70Organic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01D2257/00 - B01D2257/602
    • B01D2257/708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preparation
    • B01D2323/12Specific ratios of components u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preparation
    • B01D2323/30Cross-link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포함하는 혼합 가스로부터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효과적으로 분리 및 회수할 수 있는 중공사막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중공사 지지체에 폴리디메틸실록산 및 메타크릴레이트기를 포함하는 실란을 코팅한 후 가교시킴으로써,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팽윤도를 감소시켜 지지체와의 박리현상을 줄여 막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선택적 투과성능을 향상시킨 중공사막에 관한 것이다.
중공사 지지체, 폴리디메틸실록산, 메타크릴레이트, 실란, 휘발성 유기화합물, 중공사막

Description

휘발성 유기화합물 분리 회수용 중공사막{Hollow fiber membrane for volatile organic compounds separation and recovery}
본 발명은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분리 및 회수하기 위한 중공사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휘발성 유기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이하 VOCs)이란 석유화학공장, 정유공장, 도료공장, 인쇄공장, 세탁공장, 정밀화학공장 등의 제조공정 및 저장시설로부터 발생되며, 증기압이 높아 대기 중으로 쉽게 증발되고 대기 중에서 질소 화합물들과 광화학 반응을 일으켜 광화학 스모그를 유발시키는 물질로 대기 중의 오존층을 파괴하고 인체에 아주 유해한 물질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VOCs를 처리하는 기술에는 소각(열산화, 촉매산화), 흡착, 냉각 응축, 흡수, 바이오 필터, 자외선 산화, 플라즈마, 분리막 기술, 막을 통한 증기 투과법 및 투과 증발법 등의 회수법이 있으며, 이와 같은 기술들은 안전성, 성능, 조작비용, 장치비 등 각각의 장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중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VOCs처리 기술은 소각기술과 흡착기술이다. 소각기술의 경우 VOCs의 방출규제가 시작된 이후 1998년경부터 공단지역의 대규모 회사들에 설치되어 가동 중에 있다. 그러나 이 기술은 초기설치비가 많이 들고 유입부의 VOCs의 농도가 낮은 경우에는 보조연료를 사용해야 하므로 운영비도 많이 들어서 처리효율은 높지만 경제성 면에서 불리한 기술이다. 흡착기술도 대기 중으로 방출되는 VOCs를 가장 쉽게 처리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여러 공정에 적용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시간에 따른 효율의 급격한 감소가 가장 큰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응축과 흡수기술도 여러 제한조건들 때문에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많이 적용되고 있지 않다.
냉각 응축법은 저온으로 냉각을 하므로 에너지 소모가 매우 많고 유기 화합물의 농도가 낮으면 사용할 수 없다는 단점을 가진다. 또한, 폐수내의 유기물을 산화시키는 방법은 장치의 규모가 크고 에너지가 많이 드는 단점을 가진다.
분리막을 이용한 VOCs의 분리방법은 근래에 개발된 방법으로, 주로 고무상고분자로 이루어진 분리막이 VOCs를 포함한 기체혼합물 중에서 VOCs에 대하여 보다 우수한 선택투과를 나타내는 것을 원리로 가능하게 되며, 시설규모/투자비에서 가장 저렴할 뿐만 아니라 2차 오염원을 방출하지 않으며 회수된 고가의 유기물의 재사용이 가능한 친환경적인 공정이므로 에너지절약에 의한 온실기체의 저감 효과가 있고, 환경오염 방지에 대한 인식이 갈수록 높아지는 현 시점에서 환경 및 에너지에 기반을 둔 가장 적합한 공정이라 할 수 있고, 연속적인 운전이 가능한 장점을 지니고 있어 많은 연구개발이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여기에서, 상기 분리막이란 2상 사이에서 물질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기능을 갖는 고분자 재질의 계면(Interphase)으로 볼 수 있다. 막을 이용한 기체분리는 막에 대한 선택적인 가스투과원리에 의하여 진행된다. 즉, 기체혼합물이 막 표면에 접촉하였을 때 기체성분은 막 속으로 용해, 확산하게 되는데 이때 각각의 기체성분의 용해도와 투과도는 막 물질에 대하여 서로 다르게 나타나게 된다. 예를 들면 고무상고분자로 이루어진 분리막의 경우 벤젠, 톨루엔, 자일렌과 같은 VOCs 기체 등은 쉽게 투과하는 성분들이고 반면에 산소, 질소 등은 느리게 투과하는 기체성분들이다. 이것이 VOCs를 포함한 혼합기체중에서 VOCs를 막을 이용하여 분리할 수 있는 이유가 된다. 특히 분리막을 이용한 막분리 공정은 상(Phase)변화가 없고 에너지 소모가 적은 장점 때문에 여러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응용되고 있다.
분리막을 이용한 VOCs 분리 방법에 사용되는 막 소재는 자유부피가 크고 VOCs에 대한 친화성이 높은 폴리디메틸실록산(Polydimethylsiloxane, PDMS)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의 연구결과를 보면 폴리실록산계 고분자막의 경우 유기용매의 농도가 높아지면 지나친 팽윤이나 지지체와의 박리현상이 생기며, 폐수내의 유기물 정제의 경우 유분 덩어리 및 미생물 등이 부착되는 경우 막의 오염이 생겨 막 성능이 떨어지므로 사용공정 과정에 세심한 주의를 하지 않으면 막이 손상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이에 따라 새로운 막재료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불소계 단량체를 부가하여 유기용매에 대한 안정성이 높은 화학구조를 도입하는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아직 막의 팽윤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그의 예로 MTR사는 2000년 DOE의 지원아래 내 유기용매 특성, 방오성이 우수 한 새로운 전불소계 막 재료(TFE-dioxole ; Hyflon Ad)를 이용한 막의 개발 및 이를 이용한 휘발성 유기용매분리, 기체분리 및 투과증발 막 공정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여 특허를 출원하였다[미국특허 등록 제6,572,68호, 미국특허 등록 제6, 361,582 B1호, 미국특허 등록 제6,579,341 B2호, 미국특허 등록 제6,544,316 B2호]. 그러나, 이러한 전불소계 막 재료는 광통신분야에서 개발된 재료로, 재료의 가격이 아주 비싸고 제막과정에서 고가이며 유해한 불소계 유기용매를 사용하므로 작업환경이 아주 나쁜 것이 단점으로 지적된다.
이와 함께 새로운 초유리상(super-glassy)고분자인 폴리아세틸렌계 재료에 관심이 집중[미국특허 제6,879,431호, 미국특허 제5,688,307호]되고 있는데, 즉 폴리트리메틸실릴프로핀 또는 폴리메틸펜틴[Journal of Membrane Science 1996, 121, 243-250]등 막소재의 경우 커다란 자유부피 및 용매친화성으로 인해 유기물/기체 또는 유기물/물의 선택도가 아주 높고 투과특성도 아주 높은 것[Journal of Membrane Science 2001, 186, 205-217]으로 알려졌지만, 사용 시간에 따른 투과특성의 급격한 감소[Macromolecular 2000, 33, 3747-3751]와 기계적 강도가 약화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아세틸렌에 플로로알킬그룹을 도입[Journal of Applied Polymer Science, 1991, 34, 1227-1232]하여 중합을 하거나 불소표면처리를 하는 방법[Gas Sep. Purif., 1888, 2, 162-174], 다분기(hyperbranched)를 가진 폴리아세틸렌과 비스아크릴 아자이드(bisacryl azide)의 도입을 통한 가교[Journal of Polymer Science, Part B, 1998, 36, 959-068], 폴리아세틸렌계의 고분자소재의 메틸기에 폴리실록산 아민기를 그라프트시키거나, PDMS 막소재에 하이드록시기를 말단에 가진 PDMS막을 복합시키는 막을 개발하는 연구가 이루어졌는데[Membrane Journal, Korea. 1999, 9(2), 114-125; Journal of Applied Polymer Science 1994, 53, 317], 이에 따라 막투과 특성의 시간에 따른 안정성의 문제를 해결하고 있지만 아직 상업화에는 적용되지 못하고 있다.
분리막을 이용한 VOCs분리 공정은 환경에 대한 인식이 앞서 있는 미국, 독일, 일본을 중심으로 활발히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Jay M. S., Henis and Mary K. Tripodi, "The developing technology of gas separating membranes", Science, 220, 11(1983)]. 특히, VOCs 및 올레핀계 탄화수소의 분리농축용 막 분리 장치를 상업화하여 판매하고 있는 미국의 MTR사, 독일의 GKSS사, 일본의 Nitto Denko사 등 구미, 일본의 유수한 기업들은 VOCs 및 유물질의 혼합가스를 분리, 농축하기 위한 막 분리 시스템에 대하여 다년간 연구하여 왔다.
미국의 MTR사는 미국 에너지국(DOE)의 지원 아래 1998년에 올레핀/질소, 탄화수소/공기, VOCs/공기 등의 분리특성이 뛰어난 실록산계 고분자막, 나권형 모듈을 개발하고, 관련플랜트를 상업화하였으며 나권형 막모듈 제조 및 응용공정의 특허를 100편 출원했다. 이외에도 트리메틸실릴프로판(PTMSP)막, 은이온 함유 촉진 수송막, 나노입자함유 폴리메틸펜텐 소재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여 관련된 공정을 특허 출원하는 등 관련 막 분리 기술의 전세계 시장을 독점하기 위한 소재에 관한 원천기술의 확보에 전력을 기술이고 있다. 일본의 Nitto Denko사 등은 1990년대 초반에 나권형 막 기술을 개발하여 유럽과 공동으로 일본의 VOCs관련 플랜트 시장을 전개 중이다[Kenji Matsumoto, Katsumi Ishii, Toshikazu Kuroda, Kenichi Inoue and Akio Iwama, "Membrane process for organic vapor recovery from air", Polymer. J., 23, 491 (1991)]. 독일의 GKSS사는 비슷한 시기에 자사에서 개발된 옥틸 계통의 실록산고분자를 적용하여 막분리 플랜트를 개발하고 있다[D. Fritsch, K.-V. Peinemann and R.-D. Behling, "Silicone/non-silicone grafted blend composite membranes for air/vapor separation", Desalination, 90, 235 (1993)].
이외에도 캐나다의 Petrosep사는 중공사 형태의 막 모듈의 개발을 활발히 추진하여 폴리스틸렌 배가스의 모노머 회수공정을 개발하고 있다. 이와 같이, 수 년 이내에 환경 관련산업에 국외의 선두기업들이 한국을 포함한 전세계 시장을 장악할 것으로 예측된다. 2002년에 삼성종합화학에 MTR제품이 2기 설치되고, 주유/저유소의 가솔린회수, 도장산업의 VOCs분리 막 분리 기술의 시장을 위한 MTR사의 전세계 대리점이 등장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연구 노력한 결과, 기존의 팽윤 및 지지체와의 박리 현상 문제를 해결하여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포함하는 혼합 가스로부터 막의 손상이 없이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분리 및 회수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중공사 지지체에 폴리디메틸실록산 및 메타크릴레이트기를 포함하는 실란을 코팅 및 가교시킨 휘발성 유기화합물 분리 회수용 중공사막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팽윤도를 감소시켜 지지체와의 박리현상을 줄여 막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며, 선택적 투과성능이 크게 향상된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대해서 더욱 자세하게 설명을 하겠다.
본 발명은 중공사 지지체에 폴리디메틸실록산 및 메타크릴레이트기를 포함하는 실란을 함께 코팅한 후 가교 시켜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효과적으로 분리 및 회수할 수 있는 중공사막에 관한 것이다.
상기 중공사 지지체는 통상적인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고, 이를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으며, 이의 구성 재질로는 폴리에테르이미드(polyetherimide) 또는 폴리비닐리덴플로라이드(polyvinylidene fluoride, PVDF)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중 폴리비닐리덴플로라이드가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메타크릴레이트기를 포함하는 실란은 감마메타크릴록시프로필트리메톡기 실란(gamma-methacryloxypropyltrimethoxysilane)을 사용하며, 본 발명에서는 가수분해를 통해 실라놀기가 되어 자기 축합반응에 의해 PDMS와 중공사 지지체간의 결합을 높여주는 코팅첨가제의 역할을 한다. 또한, PDMS 내의 자유용적을 감소시켜 질소와 산소 등의 기체투과도는 감소하나 소수성의 증가로 인해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용해도와 투과도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메타크릴레이트기를 포함하는 실란은 상기 PDMS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 10 중량부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실란의 함량이 1 중량부 미만이면 그 첨가 효과가 부족하였고, 10 중량부를 초과하면 PDMS 가 파손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상기 중공사 지지체에 코팅되는 PDMS는 소수성이기 때문에 휘발성 유기화합물과의 친화도가 높으며, 높은 자유용적을 지니고 있어서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확산을 용이하게 한다.
이하, 본 발명은 다음 실시예 및 시험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겠는바,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 2 : 휘발성 유기화합물 분리 회수용 중공사막 제조.
다음 표 1과 같이 중공사 지지체로 폴리비닐리덴플로라이드(PVDF)를 사용하였으며, 코팅용액으로 폴리디메틸실록산(PDMS)과 감마메타크릴록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을 첨가한 후 교반하여 준비하였다. 상기 코팅용액을 중공사 지지체에 딥(Dip) 코팅한 후 80 ℃ 오븐에서 1 시간 건조 후 100 ℃ 오븐에서 3 시간 동안 가교하여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분리 회수하기 위한 중공사막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 중공사막 제조.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게 제조하되, 다음 표 1 의 조성물 함량으로 중공사막을 제조하였다.
구분
(중량부)
실시예 비교예 1
1 2
중공사 지지체 PVDF PVDF PVDF
폴리디메틸실록산(PDMS) 10 10 10
감마메타크릴록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0.3 0.7 -
헥산 100 100 100
[시험예]
시험예 1 ~ 3 : 기체투과 특성과 팽윤도 측정.
상기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에서 제조한 중공사막을 유효면적이 500 cm2가 되도록 모듈을 제조하여 기체투과 특성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다음 표 2에 나타내었다.
또한, 상기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에서 제조한 코팅용액을 유리 패트리디쉬에 50 ml 따른 후 80 ℃ 오븐에서 1 시간 건조하고, 100 ℃ 오븐에서 3 시간 가교하여 필름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필름은 일정크기 5 × 5 cm 크기로 자른 후 벤젠, 톨루엔 용액에 침적하여 1 주일 뒤의 길이변화를 측정하여 팽윤도를 다음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시험예
1 2 3
시편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기체투과도
(GPU)
질소 24.1 22.9 25.6
산소 48.5 45.8 51.2
벤젠 713.4 696.2 540.2
톨루엔 559.1 558.8 465.9
기체투과선택도 벤젠/질소 29.6 30.4 21.1
톨루엔/질소 23.2 24.4 18.2
산소/질소 2.0 2.0 2.0
팽윤도
(%)
벤젠 12.3 1.5 42.1
톨루엔 15.4 7.0 53.2
* GPU =10-6×cm3/cm2?sec?cmHg
기체투과도 측정결과, PDMS만을 코팅한 비교예 1 보다 감마메타크릴록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을 첨가하여 코팅한 실시예 1과 실시예 2에서 휘발성 유기화합물인 벤젠과 톨루엔의 투과도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팽윤도 측정 결과 본 발명의 조성물로 제조된 실시예 1과 실시예 2가 비교예에 비해 크게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하여 기존에 해결하지 못하던 지나친 팽윤으로 인한 막 손상의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효과적으로 분리할 수 있었다.

Claims (4)

  1. 중공사 지지체에 폴리디메틸실록산 및 감마메타크릴록시프로필트리메톡시 실란을 함께 코팅한 후 가교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 분리 회수용 중공사막.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사 지지체는 폴리비닐리덴플로라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 분리 회수용 중공사막.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디메틸실록산 100 중량부에 대하여 메타크릴레이트기를 포함하는 실란을 1 ~ 10 중량부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 분리 회수용 중공사막.
KR1020090053570A 2009-06-16 2009-06-16 휘발성 유기화합물 분리 회수용 중공사막 KR1011441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3570A KR101144105B1 (ko) 2009-06-16 2009-06-16 휘발성 유기화합물 분리 회수용 중공사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3570A KR101144105B1 (ko) 2009-06-16 2009-06-16 휘발성 유기화합물 분리 회수용 중공사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5105A KR20100135105A (ko) 2010-12-24
KR101144105B1 true KR101144105B1 (ko) 2012-05-24

Family

ID=43509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3570A KR101144105B1 (ko) 2009-06-16 2009-06-16 휘발성 유기화합물 분리 회수용 중공사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410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24861A (zh) * 2012-09-12 2012-12-19 齐齐哈尔大学 聚甲基丙烯酰氧乙氧基三甲基硅烷/聚偏氟乙烯复合膜
CN104014255A (zh) * 2014-06-05 2014-09-03 北京工业大学 一种自组装改性硅橡胶/无机粒子优先透醇杂化膜的制备方法
KR20180138268A (ko) * 2017-06-20 2018-12-31 한국화학연구원 휘발성유기화합물 농축기,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휘발성유기화합물 농도측정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2626B1 (ko) * 2010-05-31 2012-05-10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고투과성 중공사 지지체 분리막의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37983A (ja) * 1991-11-18 1993-06-01 Nitto Denko Corp 選択性気体透過膜
JPH0693990B2 (ja) * 1986-03-19 1994-11-24 東レ株式会社 気体分離用複合膜
KR100620612B1 (ko) 2004-12-24 2006-09-13 한국화학연구원 불소그룹을 함유한 신규의 폴리실록산계 고분자막과 이의 제조방법
KR100869857B1 (ko) * 2008-05-09 2008-11-21 주식회사 삼우티씨씨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분리 및 회수용 하이브리드 복합막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3990B2 (ja) * 1986-03-19 1994-11-24 東レ株式会社 気体分離用複合膜
JPH05137983A (ja) * 1991-11-18 1993-06-01 Nitto Denko Corp 選択性気体透過膜
KR100620612B1 (ko) 2004-12-24 2006-09-13 한국화학연구원 불소그룹을 함유한 신규의 폴리실록산계 고분자막과 이의 제조방법
KR100869857B1 (ko) * 2008-05-09 2008-11-21 주식회사 삼우티씨씨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분리 및 회수용 하이브리드 복합막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24861A (zh) * 2012-09-12 2012-12-19 齐齐哈尔大学 聚甲基丙烯酰氧乙氧基三甲基硅烷/聚偏氟乙烯复合膜
CN102824861B (zh) * 2012-09-12 2014-07-02 齐齐哈尔大学 聚甲基丙烯酰氧乙氧基三甲基硅烷/聚偏氟乙烯复合膜
CN104014255A (zh) * 2014-06-05 2014-09-03 北京工业大学 一种自组装改性硅橡胶/无机粒子优先透醇杂化膜的制备方法
CN104014255B (zh) * 2014-06-05 2016-04-13 北京工业大学 一种自组装改性硅橡胶/无机粒子优先透醇杂化膜的制备方法
KR20180138268A (ko) * 2017-06-20 2018-12-31 한국화학연구원 휘발성유기화합물 농축기,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휘발성유기화합물 농도측정방법
KR101948212B1 (ko) * 2017-06-20 2019-04-30 한국화학연구원 휘발성유기화합물 농축기,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휘발성유기화합물 농도측정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5105A (ko) 2010-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67211B2 (ja) 空気分離のための高パーミアンスポリイミド膜
CA3063825C (en) Co-cast thin film composite flat sheet membranes
KR100445869B1 (ko) 중공형 화이버 증기투과막 및 모듈
WO2014081550A1 (en) Cross-linked polyimide membranes for separations
US10569218B2 (en) Multiple membrane separation process using glassy polymeric membrane and rubbery polymeric membrane
Liang et al. Ultrahigh flux composite hollow fiber membrane via highly crosslinked PDMS for recovery of hydrocarbons: Propane and propene
KR101144105B1 (ko) 휘발성 유기화합물 분리 회수용 중공사막
Zhang et al. Effective separation of water-DMSO through solvent resistant membrane distillation (SR-MD)
Wang et al. Dynamic layer‐by‐layer self‐assembly of organic–inorganic composite hollow fiber membranes
Bolto et al. New generation vapour permeation membranes
CA3043466A1 (en) High flux, cross-linked, fumed silica reinforced polyorganosiloxane membranes for separations
KR100693361B1 (ko) 기체 및 증기상의 유기 화합물 분리용 중공사형 복합막
Uragami et al. Removal of dilute benzene in water through ionic liquid/poly (vinyl chloride) membranes by pervaporation
CA3058381A1 (en) Rubbery polymeric membranes for separation
Javaid et al. Solubility-based gas separation with oligomer-modified inorganic membranes: Part II. Mixed gas permeation of 5 nm alumina membranes modified with octadecyltrichlorosilane
US10537853B2 (en) Method of removing volatile compounds from emulsions
JP2001038159A (ja) 有機液体混合物用分離膜
KR100620612B1 (ko) 불소그룹을 함유한 신규의 폴리실록산계 고분자막과 이의 제조방법
EP3197853A1 (en) Asymmetric integrally-skinned flat sheet membranes for h2 purification and natural gas upgrading
Othman et al. Synthetic polymer-based membranes for the removal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from water
KR100516208B1 (ko) 유기화합물 분리, 회수용 고분자 신규 복합막과 이의제조방법
JP3872605B2 (ja) 有機液体混合物用分離膜
CN108714372B (zh) 用于煤化工废水的处理方法
WO2020257348A1 (en) Chlorine resistant membrane with sericin cross-linked graphen oxide compound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JP2001038157A (ja) 有機液体混合物用分離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