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3967B1 - 개구부의 개폐 기구 - Google Patents

개구부의 개폐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3967B1
KR101143967B1 KR1020107013846A KR20107013846A KR101143967B1 KR 101143967 B1 KR101143967 B1 KR 101143967B1 KR 1020107013846 A KR1020107013846 A KR 1020107013846A KR 20107013846 A KR20107013846 A KR 20107013846A KR 101143967 B1 KR101143967 B1 KR 1011439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lid member
support shaft
cl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38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3802A (ko
Inventor
시로 타케다
Original Assignee
유겐가이샤 타케다 부라시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겐가이샤 타케다 부라시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유겐가이샤 타케다 부라시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001038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38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39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39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0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 A46B5/0033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bending or stretching or collapsing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7/00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 A46B7/02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in an expanding or articulating manner
    • A46B7/023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in an expanding or articulating manner where the bristle carrier retracts or collapses, i.e. for storag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A45D40/26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45D40/26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movable within the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46Brush used for applying cosmetic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스프링 부재 등을 필요로 하지 않고, 적은 부품점수로 간단한 기구에 의해 간단하고 확실하게 개구부의 개폐 동작을 행할 수 있고, 또한 개구부를 폐쇄하고 있는 폐쇄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개구부의 개폐 기구를 제공한다. 개구부가 폐쇄되어 있는 상태로부터, 개폐 부재의 선단측이 개구부로부터 돌출함으로써, 개폐 부재의 선단이 덮개 부재의 개구부 내측을 향하는 면에 맞닿고, 덮개 부재를 회전 지지축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일방의 단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켜, 개구부를 폐쇄되어 있는 상태로부터 개방시키고, 개폐 부재의 선단측이 개구부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상태로부터 개구부 내에 몰입할 때에, 개폐 부재 돌출부가 덮개 부재 권착부의 선단에 걸어맞춰지고, 덮개 부재를 회전 지지축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일방의 단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켜, 개구부를 개방되어 있는 상태로부터 폐쇄되어 있는 상태로 한다.

Description

개구부의 개폐 기구{MECHANISM FOR OPENING AND CLOSING OPENING}
본 발명은 개구부를 개폐하는 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덮개 부재에 의해 개폐되는 개구부를 형성하는 외측 프레임의 내측에 당해 개구부로부터 출몰하도록 슬라이드되는 내측 부재가 배비(配備)되는 구조체에 있어서의 개구부의 개폐 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개구부의 개폐는 당해 개구부를 개폐하는 덮개 부재를 개구부를 형성하는 본체부에 힌지나 암수의 나사 등을 통하여 부착하여 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개폐 동작을 행하기 위해서 스프링 등의 탄성체를 사용하고 있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일본 실용신안 공개 소62-073807호 공보
상기 서술한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스프링체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덮개를 닫을 때에는 소정의 힘이 필요하며, 또 부품수도 많아지기 때문에 제조 비용이 그 만큼 증가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개폐시에는 양손으로 조작할 필요가 있는 것이 대부분이며, 한손 조작을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종래 알려져 있던 개구부를 개폐하는 기구에 개량을 가하여, 스프링 부재 등을 필요로 하지 않고 적은 부품점수로 간단한 기구에 의해 간단하고 확실하게 개구부의 개폐 동작을 행할 수 있고, 또한 개구부를 폐쇄하고 있는 폐쇄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개구부의 개폐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이 제안하는 개구부의 개폐 기구는 다음과 같은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개구부의 개폐 기구는 외측 프레임의 외벽 부재에 의해 개구부가 형성되고, 당해 개구부가 덮개 부재에 의해 개폐되는 개구부의 개폐 기구이다.
본 발명에 의한 개구부의 개폐 기구에 있어서는, 상기 외벽 부재의 상기 개구부에 면하는 단부의 외측에 회전 지지축이 배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덮개 부재의 일방의 단부측에는 상기 회전 지지축에 권착(卷着)되는 덮개 부재 권착부가 구비되어 있고, 당해 덮개 부재 권착부가 상기 회전 지지축을 둘러싸고 상기 덮개 부재의 일방의 단부가 상기 회전 지지축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덮개 부재의 타방의 측에서 상기 개구부를 폐쇄한다.
또, 상기 덮개 부재에 의한 상기 개구부의 개폐는, 선단측이 상기 개구부를 형성하는 외측 프레임의 외벽 부재의 내측을 상기 개구부로부터 출몰이 자유롭게 슬라이드하는 개폐 부재에 의해 행해진다.
그리고, 상기 덮개 부재 권착부의 상기 회전 지지축을 둘러싼 선단은, 상기 덮개 부재가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고 있을 때에 상기 외측 프레임의 외벽 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개구부의 내측방향을 향하여, 상기 회전 지지축의 중심축이 존재하는 위치보다 상기 개구부의 내측방향에 가까운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다.
또, 상기 개폐 부재는 상기 개구부로부터 출몰하는 선단부의 상기 외측 프레임에 대향하는 측의 외벽에 개폐 부재 돌출부를 가지고, 당해 개폐 부재 돌출부는 상기 외측 프레임의 외벽 부재의 내측으로부터 외측방향을 향하는 선단을 구비하고 있다.
이것에 있어서, 상기 덮개 부재에 의해 상기 개구부가 폐쇄되어 있을 때에, 상기 덮개 부재 권착부의 선단과, 상기 개폐 부재 돌출부의 선단이 근접하여 대향하도록 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하에서, 상기 개구부가 폐쇄되어 있는 상태로부터, 상기 개폐 부재의 선단측이 상기 개구부로부터 돌출함으로써, 상기 개폐 부재의 선단이 상기 덮개 부재의 개구부 내측을 향하는 면에 맞닿고, 상기 덮개 부재를 상기 회전 지지축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일방의 단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켜, 상기 개구부를 폐쇄되어 있는 상태로부터 개방시키고,
상기 개폐 부재의 선단측이 상기 개구부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상태로부터 상기 개구부 내에 몰입할 때에, 상기 개폐 부재 돌출부가 덮개 부재 권착부의 선단에 걸어맞춰지고, 상기 덮개 부재를 상기 회전 지지축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일방의 단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켜, 상기 개구부를 개방되어 있는 상태로부터 폐쇄되어 있는 상태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프링 부재 등을 필요로 하지 않고, 적은 부품점수로 간단한 기구에 의해 간단하고 확실하게 개구부의 개폐 동작을 행할 수 있고, 또한 개구부를 폐쇄하고 있는 폐쇄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개구부의 개폐 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개구부의 개폐 기구를 설명하는 측면도로서, (a)는 개구부가 폐쇄되어 있는 상태를 설명하는 일부를 생략한 측면도, (b)는 도 1(a)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덮개 부재가 회전하기 시작하여 개구부의 개방이 개시된 상태를 설명하는 일부를 생략한 측면도, (c)는 도 1(b)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더 개구부의 개방이 진행되어, 개구부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를 설명하는 일부를 생략한 측면도, (d)는 도 1(c)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덮개 부재에 의한 개구부의 폐쇄 동작이 진행되는 도중의 상태를 설명하는 일부를 생략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개구부의 개폐 기구가 화장용 브러시에 응용되어 있는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a)는 화장용 브러시의 측면도, (b)는 화장용 브러시의 평면도, (c)는 브러시부가 나와 화장용 브러시로서 사용되는 상태를 설명하는 측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한 화장용 브러시의 개략 구조를 설명하는 분해 사시도로서, (a)는 개폐 부재에 상당하는 중공의 통형상체의 사시도, (b)는 개구부를 형성하는 외측 프레임의 개구부에 덮개 부재가 부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의 사시도, (c)는 외측 프레임의 개구부에 덮개 부재가 부착된 상태의 사시도, (d)는 덮개 부재의 표면을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 (e)는 덮개 부재의 이면을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외측 프레임(30)의 외벽 부재(3)에 의해 개구부(40)가 형성되고, 개구부(40)가 덮개 부재(1)에 의해 개폐되는 개구부의 개폐 기구의 일례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개구부의 개폐 기구에 있어서는, 도 1(a) 내지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벽 부재(3)의 개구부(40)에 면하는 단부의 외측에 회전 지지축(7)이 배비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한 실시형태에서는, 외벽 부재(3)의 개구부(40)에 면하는 단부의 외측에 형성되어 있는 지지통(6)의 중앙의 구멍(6a) 내에 회전 지지축(7)이 장입되어 배비된다.
덮개 부재(1)의 일방의 단부측(도 1(a) 중, 우단측)에는 회전 지지축(7)에 권착되는 덮개 부재 권착부(4)가 구비되어 있다.
덮개 부재 권착부(4)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 지지축(7)을 둘러싸고 덮개 부재(1)의 일방의 단부(도 1(a) 중, 우단)가 회전 지지축(7)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덮개 부재(1)의 타방의 측(도 1(a) 중, 좌측, 도 1(c), (d) 중, 상측)에서 개구부(40)를 폐쇄한다.
덮개 부재(1)에 의한 개구부(40)의 개폐는 선단측(도 1(a) 내지 (d) 중, 상측)이 개구부(40)를 형성하는 외측 프레임(30)의 외벽 부재(3)의 내측(도 1(c), (d) 중, 외벽 부재(3)의 좌측)을 개구부(40)로부터 출몰이 자유롭게 슬라이드하는 개폐 부재(2)에 의해 행해진다.
개폐 부재(2)는 개구부(40)로부터 출몰하는 선단부의 외측 프레임(30)에 대향하는 측의 외벽에 개폐 부재 돌출부(5)를 구비하고 있다. 이 개폐 부재 돌출부(5)의 선단(5a)은 개구부(40)를 형성하는 외측 프레임(30)의 외벽 부재(3)의 내측으로부터 외측방향(도 1(a) 중, 좌측으로부터 우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외측 프레임(30)의 외벽 부재(3)의 내측으로부터 외측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편, 덮개 부재 권착부(4)의 회전 지지축(7)을 둘러싼 선단(4a)은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 부재(1)가 개구부(40)를 폐쇄하고 있을 때에, 외측 프레임(30)의 외벽 부재(3)에 의해 형성되는 개구부(40)의 내측방향을 향하여(도 1(a) 중, 우측으로부터 좌측을 향하여), 회전 지지축(7)의 중심축(7a)이 존재하는 위치보다 개구부(40)의 내측방향에 가까운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다.
그래서,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 부재(1)에 의해 개구부(40)가 폐쇄되어 있을 때에, 덮개 부재 권착부(4)의 선단(4a)과 개폐 부재 돌출부(5)의 선단(5a)은 근접하여 대향한다.
이 결과,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 부재(1)에 의해 개구부(40)가 폐쇄되어 있는 경우, 덮개 부재(1)(도 1(a) 중, 좌단부(도시하지 않음))를 잡고, 회전 지지축(7)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덮개 부재(1)의 일방의 단부(도 1(a) 중, 우단)를 중심으로 하여 화살표 21(도 1(a)) 방향으로 덮개 부재(1)를 회전운동시켜 개구부(40)를 개방하고자 해도, 덮개 부재 권착부(4)의 선단(4a)이 개폐 부재 돌출부(5)의 선단(5a)에 맞닿아, 덮개 부재(1)의 화살표 21 방향으로의 회전을 막으므로 개구부(40)가 개방되는 일은 없다.
개구부(40)가 폐쇄되어 있는 상태로부터, 개폐 부재(2)가 화살표 20(도 1(a), (b))의 방향으로 이동하여, 개폐 부재(2)의 선단측이 개구부(40)로부터 돌출함으로써, 개폐 부재(2)의 선단(도 1(a), (b) 중, 상단)이 덮개 부재(1)의 개구부(40)의 내측을 향하는 면(1a)에 맞닿는다.
이것에 의해, 덮개 부재(1)는 회전 지지축(7)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일방의 단부(도 1(a) 중, 우단)를 중심으로 하여 화살표 21로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하고, 개구부(40)를 폐쇄되어 있는 상태(도 1(a))로부터 도 1(b), (c), (d)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개방한다.
이 때, 덮개 부재 권착부(4)의 선단(4a)은 도 1(a)의 상태로부터 도 1(b)의 상태로 덮개 부재(1)가 회전하면, 도 1(c)에 도시한 상태가 된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덮개 부재 권착부(4)의 회전 지지축(7)을 둘러싼 선단(4a)은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 부재(1)가 개구부(40)를 폐쇄하고 있을 때에, 외측 프레임(30)의 외벽 부재(3)에 의해 형성되는 개구부(40)의 내측방향을 향하여(도 1(a) 중, 우측으로부터 좌측을 향하여), 회전 지지축(7)의 중심축(7a)이 존재하는 위치보다 개구부(40)의 내측방향에 가까운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개폐 부재(2)가 화살표 22(도 1(d))의 방향으로 이동하여, 개폐 부재(2)의 선단측(도 1(a) 내지 (d) 중, 상측)이 도 1(b), (c), (d)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개구부(40)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상태로부터, 개구부(40) 내로 몰입할 때에, 도 1(d)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 부재 돌출부(5)가 덮개 부재 권착부(4)의 선단(4a)에 걸어맞춰진다.
그리고, 그 후 또한 개폐 부재(2)가 화살표 22(도 1(d)) 방향으로의 이동을 계속하여 개구부(40) 내로 몰입하면, 덮개 부재(1)는 회전 지지축(7)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일방의 단부(도 1(a) 중, 우단)를 중심으로 하여 화살표 23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한다. 이렇게 하여 도 1(c),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구부(40)가 개방되어 있는 상태로부터, 도 1(a)에 도시한 폐쇄되어 있는 상태까지 덮개 부재(1)가 회전하고, 개구부(40)는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 부재(1)에 의해 폐쇄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개구부의 개폐 기구에 의하면, 스프링 부재 등을 필요로 하지 않고, 적은 부품점수로 간단한 기구에 의해 간단하고 확실하게 개구부의 개폐 동작을 행할 수 있고, 또한 개구부(40)를 폐쇄하고 있는 폐쇄 상태(도 1(a))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 2, 도 3은 도 1을 사용하여 이상에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한 개구부의 개폐 기구가 화장용 브러시로 구체화되어 있는 일례를 설명하는 것이다.
외측 프레임(30)의 외벽 부재(3)에 의해 개구부(40)가 형성되고, 이 개구부(40)는 덮개 부재(1)에 의해 개폐된다. 외벽 부재(3)의 내측에는 외벽 부재(3) 내를 개구부(40)로부터 출몰이 자유롭게 슬라이드하는 중공의 통형상체(개폐 부재(2)에 상당함)가 배비되어 있고, 또한 중공의 통형상체(개폐 부재(2)에 상당함)의 내측에는, 중공의 통형상체(개폐 부재(2)에 상당함)의 개구부로부터 출몰이 자유롭게 슬라이드하고, 선단측에 브러시부(10)를 유지하는 유지부(10a)가 배비되어 있다.
화장용 브러시로서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브러시부(10)의 선단이 도 2(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 프레임(30)의 외벽 부재(3)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개구부(40) 내로 몰입하고, 개구부(40)가 덮개 부재(1)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 화장용 브러시로서 사용할 때에, 도 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러시부(10)가 개구부(40)로부터 돌출하는 것이다.
또한, 도 2, 도 3에 있어서, 도 1에 도시하여 설명한 부재와 공통되는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외측 프레임(30)의 외벽 부재(3)의 개구부(40)에 면하는 단부의 외측에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통(6)이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40)를 개폐하는 덮개 부재(1)의 일방의 단부에는 덮개 부재 권착부(4, 4)가 배비되어 있고, 덮개 부재(1)를 도 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벽 부재(3)의 개구부(40)에 면하는 단부에 부착하고, 회전 지지축(7)을 덮개 부재 권착부(4, 4)에 구비되어 있는 구멍(4b, 4b) 및 지지통(6)의 중앙의 구멍(6a) 내에 장입하여, 외벽 부재(3)의 개구부(40)에 면하는 단부의 외측에 회전 지지축(7)을 배비한다.
개폐 부재(2)를 구성하는 중공의 통형상체의 내부에는 브러시부(10)를 유지하는 유지부(10a)가 배비되어 있다.
개폐 부재(2)를 구성하는 중공의 통형상체의 탄성재로 이루어지는 후단부의 상측에는 걸음 돌기(8)가 형성되어 있다.
유지부(10a)의 탄성재로 이루어지는 후단부의 상측에 형성되어 있는 돌기편(11)이 외측 프레임(30)의 외벽 부재(3)에 형성되어 있는 홈(9)으로부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이 돌기편(11)을 밀어, 도 2 중, 화살표 20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유지부(10a)와, 개폐 부재(2)를 구성하는 중공의 통형상체가 화살표 20 방향으로 이동하고, 개폐 부재(2)를 구성하는 중공의 통형상체의 선단이 덮개 부재(1)의 내측면에 맞닿으며, 덮개 부재(1)를 화살표 21 방향으로 회전시켜 개구부(40)를 개방한다.
계속해서 돌기편(11)을 밀어, 도 2 중 화살표 20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개폐 부재(2)를 구성하는 중공의 통형상체의 탄성재로 이루어지는 후단부의 상측에 형성되어 있는 걸음 돌기(8)는 홈(9)에 형성되어 있는 걸음 홈(9a)에 걸어맞춰져, 이후의 이동을 중지하고, 그 후에는 브러시부(10)를 유지하는 유지부(10a)만이 화살표 20 방향으로 이동하고, 최종적으로 돌기편(11)이 홈(9)에 형성되어 있는 걸음 홈(9b)에 걸어맞춰져 도 2(c)에 도시한 상태가 된다.
이 도 2(c)에 도시한 상태에서 화장 브러시로서의 사용을 행한 후, 돌기편(11)과 걸음 홈(9b)의 걸어맞춤을 해제하여 돌기편(11)을 밀어, 도 2 중 화살표 22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브러시부(10)의 선단(도 2(c) 중, 좌단)이 개폐 부재(2)를 구성하는 중공의 통형상체의 개구부 내로 몰입하고, 계속해서 걸음 돌기(8)의 걸음 홈(9a)으로의 걸어맞춤이 해제되며, 또한 화살표 22 방향으로 개폐 부재(2)를 구성하는 중공의 통형상체 및 유지부(10a)가 이동함으로써 개폐 부재(2)를 구성하는 중공의 통형상체로 형성되어 있는 개폐 부재 돌출부(5, 5)가 덮개 부재 권착부(4, 4)의 선단(4a, 4a)에 걸어맞춰지고, 그 후, 또한 개폐 부재(2)가 화살표 22 방향으로의 이동을 계속하여 개구부(40) 내로 몰입하면, 덮개 부재(1)는 회전 지지축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일방의 단부(도 2(a), (b) 중, 하측단)를 중심으로 하여 화살표 23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하고, 개구부(40)는 도 2(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 부재(1)에 의해 폐쇄된다.
이 상태에서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덮개 부재 권착부(4, 4)의 선단(4a, 4a)과, 개폐 부재 돌출부(5, 5)의 선단(5a, 5a)이 근접하여 대향하므로, 덮개 부재(1)(도 2(a) 중 상단)를 잡고, 회전 지지축(7)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덮개 부재(1)의 일방의 단부(도 2(a) 중, 하단)를 중심으로 하여 화살표 21(도 2(c)) 방향으로 덮개 부재(1)를 회전운동시켜 개구부(40)를 개방하고자 해도, 덮개 부재 권착부(4)의 선단(4a)이 개폐 부재 돌출부(5)의 선단(5a)에 맞닿아, 덮개 부재(1)의 화살표 21 방향으로의 회전을 막아, 개구부(40)가 개방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스프링 부재 등을 사용할 필요가 없어, 적은 부품점수, 간단한 기구로 선단측에 브러시부(10)를 유지하는 유지부(10a) 및 외벽 부재(3)의 내측에 배비되어 있는 중공의 통형상체(개폐 부재(2)에 상당함)를 개구부(40)로부터 출몰시키는 것만으로 덮개 부재(1)에 의한 개구부(40)의 개폐를 간단히 행할 수 있고, 게다가 덮개 부재(1)에 의해 개구부(40)를 폐쇄하고 있을 때에는 그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 돌기편(11)을 밀어 이동시킨다는 한손의 조작으로 간단히 개구부(40)의 개폐를 행할 수 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개구부의 개폐 기구는 덮개 부재에 의해 개폐되는 개구부를 형성하는 외측 프레임의 내측에 당해 개구부로부터 출몰하도록 슬라이드하는 내측 부재가 배비되는 구성의 것이면, 예를 들어 완구, 창호 등, 모든 종류의 것에 적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한 개구부의 개폐 기구를 도 2, 도 3을 사용하여 설명한 구조의 화장용 브러시로 구체화하면 이하에 서술한 이점이 발휘된다.
도 2, 도 3을 사용하여 설명한 구조의 화장용 브러시의 개구부(40)를 개폐하는 덮개 부재(1)의 개폐 동작에 스프링 등의 탄성체를 사용하는 경우, 이와 같은 화장용 브러시는 일반적으로 여성이 사용하는 것인데, 특히, 스프링 등의 탄성체에 의한 힘이 덮개 부재(1)를 닫는 방향으로 작용할 때에 이 탄성력에 저항하여 여성의 손끝의 힘으로 브러시부(10)를 밀어, 덮개 부재(1)를 여는 것은 간단하지 않다.
이것에 대해, 본 발명에 의한 개구부의 개폐 기구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화장용 브러시로 구체화되어 있는 경우에는 스프링 부재 등이 사용되고 있지 않고, 간단한 기구로 개폐 동작을 행할 수 있으므로, 여성이 한손으로 조작하며 그 손끝의 힘으로 가볍게 조작하는 것만으로 간단히 덮개 부재(1)를 열어 브러시부(10)를 밀어내고, 또 브러시부(10)를 몰입시켜 덮개 부재(1)를 닫을 수 있다.
또, 도 2, 도 3을 사용하여 설명한 구조의 화장용 브러시의 경우, 화장중이나, 상품판매?전시시에 도 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러시부(10)를 돌출시키고 있는 상태에서 화장대상에 화장용 브러시를 두는 경우가 있다.
도 2, 도 3을 사용하여 설명한 구조의 화장용 브러시의 개구부(40)를 개폐하는 덮개 부재(1)의 개폐 동작에 스프링 등의 탄성체를 사용하는 경우, 특히 스프링 등의 탄성체에 의한 힘이 덮개 부재(1)를 닫는 방향으로 작용하고 있는 경우,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브러시부(10)를 돌출시키고 있는 상태가 장시간 계속되면, 스프링 등의 탄성체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덮개 부재(1)를 개방해둔 상태가 되므로, 탄성력이 쇠약해지거나 장기간에 걸친 덮개 부재(1)의 개폐 동작에 의해 스프링 등의 탄성체가 사용에 견디지 못하게 된다는 문제가 생긴다.
본 발명에 의한 개구부의 개폐 기구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스프링 부재 등을 사용할 필요가 없고, 적은 부품점수, 간단한 기구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장기에 걸친 반복 사용을 행해도 안정적인 개폐 동작, 안정적인 폐쇄 상태의 유지를 행할 수 있다.
1…덮개 부재
1a…덮개 부재의 개구부의 내측을 향하는 면
30…외측 프레임
2…개폐 부재
3…외벽 부재
4…덮개 부재 권착부
4a…덮개 부재 권착부의 선단
5…개폐 부재 돌출부
5a…개폐 부재 돌출부의 선단
7…회전 지지축
7a…회전 지지축의 중심축
40…개구부

Claims (1)

  1. 외측 프레임의 외벽 부재에 의해 개구부가 형성되고, 당해 개구부가 덮개 부재에 의해 개폐되는 개구부의 개폐 기구로서,
    상기 외벽 부재의 상기 개구부에 면하는 단부의 외측에 회전 지지축이 배비되고,
    상기 덮개 부재의 일방의 단부측에는 상기 회전 지지축에 권착되는 덮개 부재 권착부가 구비되어 있고, 당해 덮개 부재 권착부가 상기 회전 지지축을 둘러싸고 상기 덮개 부재의 일방의 단부가 상기 회전 지지축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덮개 부재의 타방의 측에서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고,
    상기 덮개 부재에 의한 상기 개구부의 개폐는, 선단측이 상기 개구부를 형성하는 외측 프레임의 외벽 부재의 내측을 상기 개구부로부터 출몰이 자유롭게 슬라이드하는 개폐 부재에 의해 행해지고,
    상기 덮개 부재 권착부의 상기 회전 지지축을 둘러싼 선단은, 상기 덮개 부재가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고 있을 때에 상기 외측 프레임의 외벽 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개구부의 내측방향을 향하여, 상기 회전 지지축의 중심축이 존재하는 위치보다 상기 개구부의 내측방향에 가까운 위치까지 연장되고,
    상기 개폐 부재는 상기 개구부로부터 출몰하는 선단부의 상기 외측 프레임에 대향하는 측의 외벽에 개폐 부재 돌출부를 가지고, 당해 개폐 부재 돌출부는 상기 외측 프레임의 외벽 부재의 내측으로부터 외측방향을 향하는 선단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덮개 부재에 의해 상기 개구부가 폐쇄되어 있을 때에, 상기 덮개 부재 권착부의 선단과, 상기 개폐 부재 돌출부의 선단이 근접하여 대향하고,
    상기 개구부가 폐쇄되어 있는 상태로부터, 상기 개폐 부재의 선단측이 상기 개구부로부터 돌출함으로써, 상기 개폐 부재의 선단이 상기 덮개 부재의 개구부 내측을 향하는 면에 맞닿고, 상기 덮개 부재를 상기 회전 지지축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일방의 단부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켜, 상기 개구부를 폐쇄되어 있는 상태로부터 개방시키고,
    상기 개폐 부재의 선단측이 상기 개구부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상태로부터 상기 개구부 내로 몰입할 때에, 상기 개폐 부재 돌출부가 덮개 부재 권착부의 선단에 걸어맞춰지고, 상기 덮개 부재를 상기 회전 지지축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일방의 단부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켜, 상기 개구부를 개방되어 있는 상태로부터 폐쇄되어 있는 상태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구부의 개폐 기구.
KR1020107013846A 2008-02-13 2009-01-14 개구부의 개폐 기구 KR1011439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031302 2008-02-13
JP2008031302 2008-02-13
PCT/JP2009/050352 WO2009101832A1 (ja) 2008-02-13 2009-01-14 開口部の開閉機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3802A KR20100103802A (ko) 2010-09-28
KR101143967B1 true KR101143967B1 (ko) 2012-05-07

Family

ID=40956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3846A KR101143967B1 (ko) 2008-02-13 2009-01-14 개구부의 개폐 기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181820B2 (ko)
EP (1) EP2156764B1 (ko)
JP (1) JP4352157B2 (ko)
KR (1) KR101143967B1 (ko)
CN (1) CN101917883B (ko)
CA (1) CA2695536C (ko)
WO (1) WO2009101832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45972A1 (en) 2001-05-15 2003-08-07 Steele Robert C. Process for recovering sand and bentonite clay used in a foundry
JP2004024716A (ja) 2002-06-28 2004-01-29 Katsushika:Kk 棒状化粧料繰り出し容器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73999A (en) * 1934-06-08 1937-03-16 Charles N Coryell Holder for stick material
US2951584A (en) * 1959-01-12 1960-09-06 Bauer Herbert Hermann One hand operated lipstick
JPS60126111U (ja) * 1984-02-06 1985-08-24 株式会社吉野工業所 繰出容器
JPH0325688Y2 (ko) 1985-10-25 1991-06-04
JPH08217116A (ja) * 1995-02-10 1996-08-27 Nifco Inc 容器用キャップ
CN2343868Y (zh) * 1998-06-15 1999-10-20 蔡志勇 改进的可单手作动的口红盒
JP3974267B2 (ja) * 1998-07-29 2007-09-12 鈴野化成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式棒状化粧材繰出容器
JP3696437B2 (ja) * 1998-08-18 2005-09-21 株式会社壽 印鑑
US6446307B2 (en) * 1999-02-22 2002-09-10 Electromechanical Research Laboratories, Inc. Manway lid lifter
US6671920B2 (en) * 2000-01-24 2004-01-06 Jay C. Pearlman Pop-out toothbrush and enclosure therefore
DE60112417T2 (de) * 2000-04-04 2006-06-01 Takeda, Shiro Schminkset und aufbewahrungsetui für kosmetika
US7225943B2 (en) * 2000-12-22 2007-06-05 Simplehuman Llc Trash can assembly and improvements thereto
US7559433B2 (en) * 2004-04-19 2009-07-14 Simplehuman Llc Trash can assembly with locking lid
US7604142B2 (en) * 2005-12-08 2009-10-20 Rexam Beauty And Closures, Inc. Container system
US7870862B2 (en) * 2006-04-21 2011-01-18 Yoshida Industry Co., Ltd. Vanity case
US20080179323A1 (en) * 2007-01-25 2008-07-31 Helen Of Troy Limited Closable container for personal items
US8215857B2 (en) * 2007-10-16 2012-07-10 Craig Carroll Retractable substance dispenser
US8118040B2 (en) * 2009-06-09 2012-02-21 Rexam Beauty And Closures, Inc. Sifter device for contain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45972A1 (en) 2001-05-15 2003-08-07 Steele Robert C. Process for recovering sand and bentonite clay used in a foundry
JP2004024716A (ja) 2002-06-28 2004-01-29 Katsushika:Kk 棒状化粧料繰り出し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695536C (en) 2016-10-04
EP2156764A4 (en) 2015-02-25
EP2156764B1 (en) 2018-03-14
CA2695536A1 (en) 2009-08-20
CN101917883A (zh) 2010-12-15
EP2156764A1 (en) 2010-02-24
JPWO2009101832A1 (ja) 2011-06-09
US8181820B2 (en) 2012-05-22
CN101917883B (zh) 2012-09-05
US20100314392A1 (en) 2010-12-16
JP4352157B2 (ja) 2009-10-28
WO2009101832A1 (ja) 2009-08-20
KR20100103802A (ko) 2010-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7899B1 (ko) 사물함 손잡이
KR100489751B1 (ko) 화장용구의 수납 기능을 갖는 화장품케이스
US6929882B1 (en) Integrated battery cover and movable handle
CN111629627B (zh) 棒状化妆品收纳容器
KR20100082221A (ko) 핸드백용 잠금장치
US20040148735A1 (en) Removable door check device
US20200146428A1 (en) Brush apparatus for make up
KR101143967B1 (ko) 개구부의 개폐 기구
CN110505820B (zh) 自动打开/关闭的密封模块和使用密封模块的化妆品盒
JP2008132307A (ja) コンパクト容器
EP1272241B1 (en) Safety device for use with a vial
US6293719B1 (en) Cartridge type bar-shaped cosmetic material delivery container
US20100258473A1 (en) Torsion biasing assembly
KR101071478B1 (ko) 거울이 구비된 화장품 용기
JP6754256B2 (ja) ヒンジ
KR200389159Y1 (ko) 립스틱 용기의 여닫이 구조
JP2005261729A (ja) 化粧料コンパクト容器
KR200369903Y1 (ko) 화장품 용기
JP6192368B2 (ja) 塗装ローラ用支持軸の軸受構造
JPH08107809A (ja) 化粧品容器
JPS6026728Y2 (ja) コンパクト容器
KR0113430Y1 (ko) 냉장고 도어
KR200354444Y1 (ko) 캠 구동형 힌지조립체를 갖는 화장품 콤팩트
JP2009247618A (ja) 化粧用コンパクトケース
KR200322302Y1 (ko) 화장품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