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3534B1 - 기밀성을 향상시킨 파형강관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저류조 - Google Patents
기밀성을 향상시킨 파형강관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저류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43534B1 KR101143534B1 KR1020100009841A KR20100009841A KR101143534B1 KR 101143534 B1 KR101143534 B1 KR 101143534B1 KR 1020100009841 A KR1020100009841 A KR 1020100009841A KR 20100009841 A KR20100009841 A KR 20100009841A KR 101143534 B1 KR101143534 B1 KR 10114353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rrugated steel
- steel pipe
- bent portion
- steel sheet
- spir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02—Rigid pipes of metal
- F16L9/06—Corrugated pip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37/00—Manufacture of metal sheets, bars, wire, tubes or like semi-manufactured produ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e of tubes of special shape
- B21C37/06—Manufacture of metal sheets, bars, wire, tubes or like semi-manufactured produ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e of tubes of special shape of tubes or metal hoses; Combined procedures for making tubes, e.g. for making multi-wall tubes
- B21C37/12—Making tubes or metal hoses with helically arranged seams
- B21C37/124—Making tubes or metal hoses with helically arranged seams the tubes having a special shape, e.g. with corrugated wall, flexible tub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16—Rigid pipes wound from sheets or strip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
- F16L9/165—Rigid pipes wound from sheets or strip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 of metal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밀성을 향상시킨 파형강관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저류조에 관한 것으로, 파형강판이 나선형으로 감겨져 형성되는 파형강관에 있어서, 상기 파형강판의 일측 가장자리에 일정각도로 절곡된 제1 절곡부를 형성하고, 상기 파형강판의 다른 일측 가장자리에 상기 제1 절곡부의 반대방향으로 절곡된 제2 절곡부를 형성하며, 상기 파형강판을 나선형으로 감으면서, 상기 제1 절곡부와 제2 절곡부 사이에 누수방지용 밀봉부재를 삽입한 후, 상기 밀봉부재가 삽입된 제1 절곡부와 제2 절곡부를 가압하여 밀봉부재가 삽입된 락심(Lock seam)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밀봉부재는 수분 또는 습기와 접촉하면 부피가 증가하는 수팽창지수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성을 향상시킨 파형강관과, 이를 제조하는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저류조에 관한 것으로, 제작과 운반 및 시공이 간편하고, 누수에 따른 지반침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기밀성을 향상시킨 것이다.
따라서, 토목건축분야, 특히 침수방지 및 산사태방지 구조물분야 대한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토목건축분야, 특히 침수방지 및 산사태방지 구조물분야 대한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기밀성을 향상시킨 파형강관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저류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파형강관을 제조함에 있어, 파형강관이 이어져 연결되는 락심(Lock seam)에 수팽창지수재를 삽입하여 기밀성을 향상시킴으로써, 무게가 가벼우면서도 충분한 강도를 보장할 수 있는 파형강관을 이용하여 저류조를 시공할 수 있음은 물론, 이러한 저류조를 통하여 침수피해 및 산사태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기밀성을 향상시킨 파형강관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저류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발생되는 강우의 가장 큰 특성 중 하나는 강우패턴의 변화에 따른 강우의 불균형으로, 이러한 불균형은 연간 강우량이 증가한 것은 물론 홍수기 강우집중도가 더욱 심화되어 문제가 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강우패턴에 의하여 침수피해 등이 발생할 우려가 높아지고 있어, 새로운 하수관리방식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하수관의 침수는 유입되는 빗물의 양이 기존의 하수관거의 통수 용량보다 클 경우에 발생하게 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하수관 등의 원형관에서는 유량이 관내부를 모두 채워서 흐를 때 보다 원형관내 수심의 94%정도 찬 상태에서 흐를 때 유량이 더 많다. 이는 수심이 만관 근처일 때 마찰력으로 인해 오히려 유량이 감소하기 때문이다.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유속의 경우에도 최대가 되는 수심은 원형관 직경의 81%일 때이며, 역시 수심이 만관 근처일 때 유속이 감소한다.
따라서, 강우시 하수관이 꽉 차서 흐르기 전에 하수의 유입량을 줄이거나 지체시키는 것이 도시 침수 방지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기존에 설치된 하수관을 대형하수관으로 교체하거나 하수관의 수를 늘리는 방법들이 있으나, 하수관의 교체 자체가 불가능한 지역에서는 침수피해에 노출될 수밖에 없다.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최근에는 저류조 등의 빗물저장시설을 설치하여, 한계에 부딪힌 기존의 하수관거 용량을 키우지 않고도 경제적으로 도시의 침수를 막을 수 있는 방법들이 제시되고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저류조는 통상 콘크리트 구조물에 의해 시공되는바, 콘크리트 구조물은 그 무게가 크기 때문에, 현장에서 직접 시공해야 하는데, 콘크리트는 일정시간동안 양생을 해야 하기 때문에, 시공기간이 길어지게 되므로, 공사기간에 따른 교통체증이 불가피하다.
또한, 부분구조물을 제작하여 설치장소까지 운반한 후, 저류조를 시공하는 방법을 사용하게 되면, 부분구조물의 결합부위에 누수가 발생하여, 저류조가 시공되는 지역의 지반을 약화시킬 우려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제작과 운반 및 시공이 간편하고, 누수에 따른 지반침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저류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무게가 가벼우면서도 충분한 강도를 보장할 수 있는 파형강관을 이용하여 저류조를 시공함으로써, 제작과 운반을 용이하게 함은 물론, 시공기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저류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파형강관의 연결부에서 발생되는 누수를 방지하도록 함으로써, 누수에 따른 지반침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기밀성을 향상시킨 파형강관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저류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기밀성을 향상시킨 파형강관은, 파형강판이 나선형으로 감겨져 형성되는 파형강관에 있어서, 상기 파형강판의 일측 가장자리에 일정각도로 절곡된 제1 절곡부를 형성하고, 상기 파형강판의 다른 일측 가장자리에 상기 제1 절곡부의 반대방향으로 절곡된 제2 절곡부를 형성하며, 상기 파형강판을 나선형으로 감으면서, 상기 제1 절곡부와 제2 절곡부 사이에 누수방지용 밀봉부재를 삽입한 후, 상기 밀봉부재가 삽입된 제1 절곡부와 제2 절곡부를 가압하여 밀봉부재가 삽입된 락심(Lock seam)이 형성되며, 상기 밀봉부재는 수분 또는 습기와 접촉하면 부피가 증가하는 수팽창지수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수팽창지수재는, 나선으로 감겨질 파형강판의 일측단부와 나선으로 감겨진 파형강판의 제2 절곡부 사이에서부터, 상기 제1 절곡부와 제2 절곡부 사이를 거쳐, 상기 나선으로 감겨질 파형강판의 제1 절곡부와 나선으로 감겨진 파형강판의 다른 일측단부 사이까지 이어지도록 지그재그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팽창지수재는, 나선으로 감겨질 파형강판의 일측단부와 나선으로 감겨진 파형강판의 제2 절곡부 사이와, 상기 제1 절곡부와 제2 절곡부 사이 및 상기 나선으로 감겨질 파형강판의 제1 절곡부와 나선으로 감겨진 파형강판의 다른 일측단부 사이 중 적어도 하나의 사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밀봉부재가, 수분 또는 습기와 접촉하면 부피가 증가하는 수팽창지수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기밀성을 향상시킨 파형강관의 제조방법은, a) 언코일러(Uncoiler)에 감겨진 강판을 일정한 속도로 공급하는 언코일링단계; b) 상기 공급되는 강판을 파형으로 성형한 후, 양측 가장자리를 서로 반대반향으로 절곡하는 파형성형 및 락심부 절곡단계; c) 상기 성형된 파형강판을 나선형으로 감으면서 수팽창지수재가 삽입되도록 하여 락심(Lock seam)을 형성하는 파형강관 형성단계; 및 d) 상기 형성된 파형강관을 일정길이로 절단하는 절단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단계 c)는, c-1) 상기 절곡된 부분에 수팽창지수재를 삽입하는 과정; c-2) 파형강판을 나선형으로 감으면서 상기 수팽창지수재가 삽입된 절곡부분이 맞물려지도록 끼우는 락심형성과정; 및 c-3) 상기 락심형성부분을 압착하여 파형강관을 형성하는 락심가압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기밀성을 향상시킨 파형강관을 이용한 저류조는, 상기와 같은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파형강관의 길이방향 양측단부에 측벽을 형성하고, 상기 파형강관의 상부에 유입구를 형성하며, 상기 파형강관의 하부에 배출구를 형성한 후, 외부로부터 유입구로 유입되는 우수가 파형강관 내부에 저장된 후,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파형강관의 길이방향 양측단부에 측벽을 형성하고, 상기 측벽이 형성된 다수개의 파형강관을 병렬로 위치시키고, 상기 다수개의 파형강관을 각각 연결관으로 연결하며, 상기 다수개의 파형강관 중 일측 단부에 위치한 파형강관의 상부에 유입구를 형성하고, 상기 다수개의 파형강관 중 다른 일측 단부에 위치한 파형강관의 하부에 배출구를 형성한 후,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우수가 일측 단부에 위치한 파형강관의 유입구로 유입되어 다수의 파형강관 내부에 저장된 후, 다른 일측 단부에 위치한 파형강관의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수개의 파형강관을 계단형으로 경사지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해결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무게가 가벼우면서도 충분한 강도를 보장할 수 있는 파형강관을 이용하여 저류조를 시공함으로써, 제작과 운반을 용이하게 함은 물론, 비용절감 및 시공기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파형강관의 연결부에서 발생되는 누수를 방지하도록 함으로써, 누수에 따른 지반침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하상구배가 큰 계곡 등에서는 상기와 같은 불균형한 강우패턴으로 인해 유량이 급격하게 증가하게 되면, 토사가 흘러 내려가면서 산사태가 발생된다.
이러한 지역에 본 발명에 의한 기밀성을 향상시킨 파형강관을 이용한 저류조를 시공하고, 빗물을 저장하게 되면 토사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어, 산사태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토목건축분야, 특히 침수방지 및 산사태방지 구조물분야 대한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기밀성을 향상시킨 파형강관의 제조방법의 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예를 나타낸 공정도이다.
도 3a는 도 1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다른 예를 나타낸 공정도이다.
도 3b은 도 3a의 주요공정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3c 및 3d는 파형강판이 연결되는 락심의 형성과정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도 2의 공정으로 제조된 기밀성을 향상시킨 파형강관의 연결부에 대한 예를 나타낸 부분확대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의한 기밀성을 향상시킨 파형강관을 이용한 저류조의 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예를 나타낸 공정도이다.
도 3a는 도 1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다른 예를 나타낸 공정도이다.
도 3b은 도 3a의 주요공정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3c 및 3d는 파형강판이 연결되는 락심의 형성과정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도 2의 공정으로 제조된 기밀성을 향상시킨 파형강관의 연결부에 대한 예를 나타낸 부분확대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의한 기밀성을 향상시킨 파형강관을 이용한 저류조의 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밀성을 향상시킨 파형강관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저류조에 대한 예는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기밀성을 향상시킨 파형강관의 제조방법의 예를 나타낸 흐름도로서, 도 2 및 도 3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코일형태로 감겨진 강판(11)을 풀기 위한 언코일러(Uncoiler, 10)를 통해 일정한 속도로 강판(11)이 공급되면(S10), 성형롤러(20)를 이용하여 공급되는 강판(11)을 파형강판(21)으로 성형한다(S20).
여기서, 강판(11)을 파형강판(21)으로 성형함에 있어, 강판(11)을 한번에 파형강판(21)으로 성형할 경우, 중앙부와 측면부의 동시성형에 따라 파형강판(21)에 어긋남이나 변형 등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성형롤러(20)는 도 3b에 나타난 바와 같이 다단으로 구성되며, 강판의 중심부분부터 파형으로 형성하여 점차 양측면으로 확장되도록 하고, 최종적으로 양측 가장자리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절곡하여 파형강판(21)을 제작한다.
상기와 같이 성형된 파형강판(21)은 도 3b에 나타난 바와 같이 나선형으로 감기면서 파형강관(A)이 된다(S30).
이때, 나선형으로 감기는 파형강판(21)이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연결부에는 락심(Lock seam)이 형성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먼저, 도 2에 나타난 성형롤러(20)를 이용하여 도 3c 및 도 3d의 상부에 나타난 바와 같이 파형강판(21)의 양측 가장자리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절곡하여 제1 절곡부(21a)와 제2 절곡부(21b)를 형성한다(S20).
이하 설명함에 있어, 도 3c는 액상의 수팽창지수재를 이용한 경우를 나타낸 것이고, 도 3d는 판형의 수팽창지수재를 이용한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액상의 수팽창지수재는 일정한 점성을 갖으며, 이러한 점성으로 인해 액상의 수팽창지수재가 제1 절곡부(21a)와 제2 절곡부(21b)의 바깥으로 흘러나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 후, 도 3c 및 도 3d 의 중앙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절곡된 파형강판(21)이 파형강관(A)으로 형성되는 과정에서, 나선으로 감겨질 파형강판(21)의 제1 절곡부(21a)와 나선으로 감겨진 파형강판(21')의 제2 절곡부(21b) 사이에 밀봉부재(31)를 삽입한다(S31).
여기서, 상기 밀봉부재(31)는 액상 또는 판형(Plate)의 수팽창지수재를 말하며, 액상의 수팽창지수재인 경우,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밀봉부재공급장치(30)인 지수액저장탱크의 노즐(32)을 통해 공급되며, 파형강관(A)의 관경 변화 또는 락심의 크기 변화에 따라 노즐(32)을 개폐정도를 제어하여 주입되는 액상의 수팽창지수재의 투입양을 조절한다.
그리고, 판형의 수팽창지수재(31')인 경우, 도 3a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밀봉부재 공급롤러(30')로부터 공급된다.
이때, 밀봉부재(31)가 고체상태의 수팽창지수재(31')인 경우, 도 3d의 하부에 나타난 바와 같이, 나선으로 감겨질 파형강판(21)의 제1 절곡부(21a)와 나선으로 감겨진 파형강판(21')의 제2 절곡부(21b)가 맞물려지도록 끼워진 후(S32), 도 2에 나타난 가압롤러(50)에 의해 상하부로 가압되면, 도 4a에 나타난 바와 같은 락심(50)이 형성된다(S33).
만약, 상기 액상의 수팽창지수재를 밀봉부재(31)로 사용한 경우, 밀봉부재(31)가 주입되어 공기중에 노출되면 점차적으로 경화된다.
따라서, 도 4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밀봉부재(31)는, 나선으로 감겨질 파형강판(21)의 일측단부와 나선으로 감겨진 파형강판(21')의 제2 절곡부(21b) 사이에서부터, 제1 절곡부(21a)와 제2 절곡부(21b) 사이를 거쳐, 상기 나선으로 감겨질 파형강판(21)의 제1 절곡부(21a)와 나선으로 감겨진 파형강판(21')의 다른 일측단부 사이까지 이어지도록 지그재그로 삽입되어, 파형강판(21)의 결합부위인 락심(50)의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밀봉부재(31)의 재질인 수팽창지수재는, 저류조 내부의 수분 또는 습기와 접촉하면 부피가 증가하는 것으로, 상기와 같은 수팽창지수재를 사용함으로써, 파형강관(A)의 기밀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도 4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일체형의 밀봉부재(31)를 지그재그로 삽입하는 방법뿐만 아니라, 도 4b에 나타난 바와 같이, 나선으로 감겨질 파형강판(21)의 일측단부와 나선으로 감겨진 파형강판(21')의 제2 절곡부(21b) 사이와, 상기 제1 절곡부(21a)와 제2 절곡부(21b) 사이 및 상기 나선으로 감겨질 파형간판(21)의 제1 절곡부(21a)와 나선으로 감겨진 파형강판(21')의 다른 일측단부 사이에 삽입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서로 다른 밀봉부재(31)로 삽입할 경우, 각 밀봉부재(31)의 사이에 여유공간이 발생되므로, 밀봉부재(31)가 팽창하더라도 락심(50)의 구조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파형강관(A)의 락심(50)에서 발생되는 누수를 방지하도록 함으로써, 누수에 따른 지반침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제조된 파형강관(A)은, 도 5a에 나타난 바와 같이, 길이방향 양측단부에 측벽(63)을 형성하고, 상기 파형강관(A)의 일측 측벽 상부에 유입구(61)를 형성하며, 상기 파형강관(A)의 하부에 배출구(62)를 형성하며, 파형강관(A)의 일측 상부에는 내부를 확인할 수 있는 점검구(64)를 형성한다.
그리고, 저류조가 설치되는 지역으로 이동시킨 후, 상기 유입구(61)는 도로의 측구 등과 연결하고, 상기 배출구(62)는 하수관 등과 연결함으로써, 외부로부터 유입구(61)로 유입되는 빗물 등의 우수가 파형강관(A) 내부에 저장된 후, 배출구(6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빗물 등이 하수관으로 유입되는 것을 일정시간 지연시킴으로써, 하수관거 용량을 키우지 않고도 경제적으로 도시의 침수를 막을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한 기밀성이 향상된 파형강관(A)은 콘크리트 구조물에 비하여 무게가 가볍기 때문에, 운반이 용이함은 물론 빠른 시공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한편, 저류조가 설치되는 지역의 유입량이 타 지역에 비하여 큰 경우, 도 5b와 같이 다수개를 병렬로 설치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측벽(63)이 형성된 다수개의 파형강관(A)을 병렬로 위치시키고, 상기 다수개의 파형강관(A)을 각각 연결관(65)으로 연결하며, 상기 다수개의 파형강관(A) 중 일측 단부에 위치한 파형강관(도 5b에서는 우측단부의 파형강관)의 상부에 유입구(61)를 형성하고, 상기 다수개의 파형강관(A) 중 다른 일측 단부에 위치한 파형강관(도 5b에서는 좌측단부의 파형강관)의 하부에 배출구(62)를 형성한 후,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우수가 일측 단부에 위치한 파형강관(A)의 유입구(61)로 유입되어 다수의 파형강관(A) 내부에 저장된 후, 다른 일측 단부에 위치한 파형강관(A)의 배출구(6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도 5c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산사태가 발생하는 지역에 대해서는 다수개의 파형강관(A)을 계단형으로 경사지도록 설치함으로써, 빗물에 의한 토사유출을 방지함을 물론, 오수가 저장된 파형강관(A)의 자중에 의한 영향으로 산사태지역의 지반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한 파형강관(A)을 이용하여 제작되는 저류조는, 저장된 빗물(우수)을 조경용수나 소방용수 및 화장실용수 등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파형강관(A)으로 제작된 저류조에 조경용수나 소방용수 및 화장실용수 등으로 사용하기 위한 배관을 이어서 설치하고, 상기 저류조와 배관 사이에 펌프(미도시)를 설치한 후, 상기 펌프에 의해 저류조에 저장된 우수를 배관으로 공급하여, 배관을 통해 이동된 우수가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기밀성을 향상시킨 파형강관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저류조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러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는 것이므로,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언코일러 11 : 강판
20 : 성형롤러 21 : 파형강판
30 : 밀봉부재공급장치 31 : 밀봉부재
40 : 가압롤러
20 : 성형롤러 21 : 파형강판
30 : 밀봉부재공급장치 31 : 밀봉부재
40 : 가압롤러
Claims (10)
- 파형강판이 나선형으로 감겨져 형성되는 파형강관에 있어서,
상기 파형강판의 일측 가장자리에 일정각도로 절곡된 제1 절곡부를 형성하고,
상기 파형강판의 다른 일측 가장자리에 상기 제1 절곡부의 반대방향으로 절곡된 제2 절곡부를 형성하며,
상기 파형강판을 나선형으로 감으면서, 상기 제1 절곡부와 제2 절곡부 사이에 누수방지용 밀봉부재를 삽입한 후,
상기 밀봉부재가 삽입된 제1 절곡부와 제2 절곡부를 가압하여 밀봉부재가 삽입된 락심(Lock seam)이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밀봉부재는 수분 또는 습기와 접촉하면 부피가 증가하는 수팽창지수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성을 향상시킨 파형강관.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팽창지수재는,
나선으로 감겨질 파형강판의 일측단부와 나선으로 감겨진 파형강판의 제2 절곡부 사이에서부터, 상기 제1 절곡부와 제2 절곡부 사이를 거쳐, 상기 나선으로 감겨질 파형간판의 제1 절곡부와 나선으로 감겨진 파형강판의 다른 일측단부 사이까지 이어지도록 지그재그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성을 향상시킨 파형강관.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팽창지수재는,
나선으로 감겨질 파형강판의 일측단부와 나선으로 감겨진 파형강판의 제2 절곡부 사이와, 상기 제1 절곡부와 제2 절곡부 사이 및 상기 나선으로 감겨질 파형간판의 제1 절곡부와 나선으로 감겨진 파형강판의 다른 일측단부 사이 중 적어도 하나의 사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성을 향상시킨 파형강관. - 삭제
- a) 언코일러(Uncoiler)에 감겨진 강판을 일정한 속도로 공급하는 언코일링단계;
b) 상기 공급되는 강판을 파형으로 성형한 후, 양측 가장자리를 서로 반대반향으로 절곡하는 파형성형 및 락심부 절곡단계;
c) 상기 성형된 파형강판을 나선형으로 감으면서 수팽창지수재가 삽입되도록 하여 락심(Lock seam)을 형성하는 파형강관 형성단계; 및
d) 상기 형성된 파형강관을 일정길이로 절단하는 절단단계를 포함하는 기밀성을 향상시킨 파형강관의 제조방법.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는,
c-1) 상기 절곡된 부분에 상기 수팽창지수재를 삽입하는 과정;
c-2) 파형강판을 나선형으로 감으면서 상기 수팽창지수재가 삽입된 절곡부분이 맞물려지도록 끼우는 락심형성과정; 및
c-3) 상기 락심형성부분을 압착하여 파형강관을 형성하는 락심가압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성을 향상시킨 파형강관의 제조방법. - 삭제
- 청구항 6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파형강관의 길이방향 양측단부에 측벽을 형성하고,
상기 파형강관의 상부에 유입구를 형성하며,
상기 파형강관의 하부에 배출구를 형성한 후,
외부로부터 유입구로 유입되는 우수가 파형강관 내부에 저장된 후,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성을 향상시킨 파형강관을 이용한 저류조. - 청구항 6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파형강관의 길이방향 양측단부에 측벽을 형성하고, 상기 측벽이 형성된 다수개의 파형강관을 병렬로 위치시키고,
상기 다수개의 파형강관을 각각 연결관으로 연결하며,
상기 다수개의 파형강관 중 일측 단부에 위치한 파형강관의 상부에 유입구를 형성하고,
상기 다수개의 파형강관 중 다른 일측 단부에 위치한 파형강관의 하부에 배출구를 형성한 후,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우수가 일측 단부에 위치한 파형강관의 유입구로 유입되어 다수의 파형강관 내부에 저장된 후, 다른 일측 단부에 위치한 파형강관의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성을 향상시킨 파형강관을 이용한 저류조. -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파형강관은 계단형으로 경사지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성을 향상시킨 파형강관을 이용한 저류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09841A KR101143534B1 (ko) | 2010-02-03 | 2010-02-03 | 기밀성을 향상시킨 파형강관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저류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09841A KR101143534B1 (ko) | 2010-02-03 | 2010-02-03 | 기밀성을 향상시킨 파형강관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저류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90196A KR20110090196A (ko) | 2011-08-10 |
KR101143534B1 true KR101143534B1 (ko) | 2012-05-09 |
Family
ID=44928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09841A KR101143534B1 (ko) | 2010-02-03 | 2010-02-03 | 기밀성을 향상시킨 파형강관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저류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43534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80749B1 (ko) * | 2013-05-10 | 2013-07-04 | (주)다은 | 밀봉재를 주입하는 수밀성 파형강관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파형강관. |
KR101359101B1 (ko) * | 2013-08-08 | 2014-02-06 | (주) 보원건설산업 | 락심부 용접을 한 고내식성 리브 및 파형강관을 이용한 비점오염 저감장치 |
KR101407078B1 (ko) | 2012-10-16 | 2014-06-12 | 주식회사 중원 | 파형강관 및 이를 제조하는 장치 |
KR101875069B1 (ko) * | 2017-08-25 | 2018-07-05 | 서상모 | 락심 결합력이 강화된 파형강관 및 이의 제조방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86523B1 (ko) * | 1995-03-08 | 2001-05-02 | 쿠르트 브루너 | 나선형으로 감겨진 고정 이음관을 제조하는 방법 및 장치, 이러한 고정이음관 |
KR20060081960A (ko) * | 2005-01-11 | 2006-07-14 | 주식회사성호철관 | 걸고리식 파형관 및 그의 제조장치 |
-
2010
- 2010-02-03 KR KR1020100009841A patent/KR10114353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86523B1 (ko) * | 1995-03-08 | 2001-05-02 | 쿠르트 브루너 | 나선형으로 감겨진 고정 이음관을 제조하는 방법 및 장치, 이러한 고정이음관 |
KR20060081960A (ko) * | 2005-01-11 | 2006-07-14 | 주식회사성호철관 | 걸고리식 파형관 및 그의 제조장치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07078B1 (ko) | 2012-10-16 | 2014-06-12 | 주식회사 중원 | 파형강관 및 이를 제조하는 장치 |
KR101280749B1 (ko) * | 2013-05-10 | 2013-07-04 | (주)다은 | 밀봉재를 주입하는 수밀성 파형강관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파형강관. |
KR101359101B1 (ko) * | 2013-08-08 | 2014-02-06 | (주) 보원건설산업 | 락심부 용접을 한 고내식성 리브 및 파형강관을 이용한 비점오염 저감장치 |
KR101875069B1 (ko) * | 2017-08-25 | 2018-07-05 | 서상모 | 락심 결합력이 강화된 파형강관 및 이의 제조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90196A (ko) | 2011-08-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43534B1 (ko) | 기밀성을 향상시킨 파형강관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저류조 | |
KR101006403B1 (ko) | 보강토 옹벽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 |
CN116732942A (zh) | 基于土工膜的坝体防护结构及其应用方法 | |
JP5090203B2 (ja) | フィルダムの止水構造および造成方法 | |
KR101510612B1 (ko) | 법면 보강용 블럭의 고정구 | |
KR20080045600A (ko) | 튜브가 추가된 플라스틱 연직배수재 및 연약지반 개량공법 | |
KR100326868B1 (ko) | 배수판 및 배수판을 이용한 건물 지하 배수방법 | |
CN212506441U (zh) | 用于地下室外墙的防水系统 | |
JP6184252B2 (ja) | 利水および治水システムならびにその製造方法 | |
CN111997163A (zh) | 一种堤路合一工程电缆沟排水结构及其排水方法 | |
KR101371151B1 (ko) | 밸브실 | |
CN203546713U (zh) | H型支护桩连接结构 | |
CN207749487U (zh) | 一种横拉式钢闸门水闸结构 | |
KR20170091829A (ko) | 지하외벽용 복합강관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지하외벽의 시공방법 | |
JP4286277B2 (ja) | 雨水幹線の施工方法 | |
CN109306720B (zh) | 取水构筑物 | |
KR101297151B1 (ko) | 결속대가 형성된 옹벽용 블럭 | |
KR20210028525A (ko) | 흙막이벽 열교환파일 및 흙막이벽 | |
RU101141U1 (ru) | Противофильтрационный экран для металлических гофрированных труб | |
JP6104138B2 (ja) | 河川内構造物の改修方法 | |
KR101280749B1 (ko) | 밀봉재를 주입하는 수밀성 파형강관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파형강관. | |
KR102399054B1 (ko) | 유량 분배 지중열교환기를 이용하여 에너지 절약이 가능한 개방형 지열 시스템 및 설치 공법 | |
CN215408759U (zh) | 隧道洞身防排水系统 | |
KR101367937B1 (ko) | 투수성 포장재의 침투량 증대장치 | |
KR20140048723A (ko) | 파형강관 및 이를 제조하는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322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10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