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7078B1 - 파형강관 및 이를 제조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파형강관 및 이를 제조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7078B1
KR101407078B1 KR1020120115003A KR20120115003A KR101407078B1 KR 101407078 B1 KR101407078 B1 KR 101407078B1 KR 1020120115003 A KR1020120115003 A KR 1020120115003A KR 20120115003 A KR20120115003 A KR 20120115003A KR 101407078 B1 KR101407078 B1 KR 1014070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t
water
groove
solid
be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50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8723A (ko
Inventor
배승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중원
주식회사 호남스틸
(주)제철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중원, 주식회사 호남스틸, (주)제철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중원
Priority to KR10201201150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7078B1/ko
Publication of KR201400487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87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70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70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16Rigid pipes wound from sheets or strip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
    • F16L9/165Rigid pipes wound from sheets or strip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 of 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37/00Manufacture of metal sheets, bars, wire, tubes or like semi-manufactured produ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e of tubes of special shape
    • B21C37/06Manufacture of metal sheets, bars, wire, tubes or like semi-manufactured produ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e of tubes of special shape of tubes or metal hoses; Combined procedures for making tubes, e.g. for making multi-wall tubes
    • B21C37/12Making tubes or metal hoses with helically arranged seams
    • B21C37/124Making tubes or metal hoses with helically arranged seams the tubes having a special shape, e.g. with corrugated wall, flexible tu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Abstract

파형강관 및 이를 제조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파형강관은 관체 및 락심부를 포함한다. 관체는 중앙부에 폭 방향으로 복수의 파형부들을 갖는 강판이 나선으로 감겨서 형성된다. 락심부는 강판의 어느 한쪽 변에 일 방향으로 절곡된 제1 절곡부에 의해 한정된 제1 절곡 홈에 점탄성 고분자 물질로 이루어진 수밀재가 삽입되고, 강판이 나선으로 감기면서 강판의 다른 쪽 변에 제1 절곡부와 반대 방향으로 절곡되어 제2 절곡 홈을 한정하는 제2 절곡부가 제1 절곡 홈에 삽입됨과 아울러 제1 절곡부가 제2 절곡 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수밀재와 함께 제1,2 절곡 홈이 압착되어 형성된다.

Description

파형강관 및 이를 제조하는 장치{Corrugated steel pipe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오폐수관, 생활용수 또는 산업용수 공급을 위한 급수관등으로 사용되는 파형강관 및 이를 제조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형강관은 외압강도, 구조적 안정성, 경제성 및 시공성이 우수한 특징을 지니고 있어 오폐수관, 생활용수 또는 산업용수 공급을 위한 급수관등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파형강관은 강판에 파형(wave shape)의 굴곡을 성형한 후, 성형된 강판을 나선으로 감으면서 강판의 좌우 변부를 접어서 결속시킴으로써, 관의 형상을 갖도록 제조된다. 이렇게 제조된 파형강관에서 강판의 좌우 변부가 접혀 결속된 부위는 락심(lock seam)부를 형성하게 된다.
파형강관이 매립지 등에 시공된 초기에는 락심부에서 누수가 발생되지 않는다. 그러나, 파형강관이 시공된 이후 활하중과 부동침하 등으로 인하여 파형강관이 변형되거나 회복될 경우, 락심부에 미세한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도로 포장을 하고 난 이후에도 포장면 아래에서는 활하중에 의한 진동 및 부동침하 등으로 많은 움직임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락심부에 미세한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락심부에 미세한 변형이 발생하게 되면, 변형으로 인한 틈새로 파형강관의 내부에서 외부로 누수가 되거나 외부에서 파형강관의 내부로 지하수 또는 침출수와 같은 외부수가 유입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매립지나 지하수위가 높은 지역 등에서는, 토압에 의해 파형강관의 외부는 파형강관의 내부보다 높은 압력을 가짐으로 인해 파형강관의 외부보다 상대적으로 압력이 낮은 파형강관 내부로 외부수의 유입이 가속화될 수 있다. 이 경우, 지하수위가 낮아지고, 토사층의 수분량이 줄어들면 토사의 밀도가 낮아져 지반이 침하하는 현상이 발생하며, 이로 인해 지하수위가 일정수위 이하로 될 때까지 부동침하가 지속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부동침하가 발생하는 연약지반의 경우에는, 일정한 외압에 의해 파형강관 전체가 침하되는 것이 아니라 파형강관 중 일부가 침하되거나 변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파형강관은 다른 파형강관과 접속되는 접속부에서 부분적인 부정합이 발생됨으로 인해 틈새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접속부의 틈새를 통한 누수, 외부수의 유입과 같은 2차적인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락심부를 통해 누수가 발생되면, 파형강관 내부의 압력이 높을 경우 장기간에 걸쳐 외부로 누수가 진행될 수 있다. 그러면, 파형강관의 외부를 감싸고 있는 흙 또는 모래 등과 같은 뒷채움재가 지하에 형성된 공극으로 흘러 들어 부동침하를 발생시키고, 이로 인해 표토층 또는 포장층의 하단부에 공동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그 결과, 지반 침하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락심부를 통한 누수, 외부수의 유입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819208호(2008.04.02 공고)
본 발명의 과제는 관체의 변형이 발생되더라도 관체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누수되는 현상과 관체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오염수가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파형강관 및 이를 제조하는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파형강관은, 중앙부에 폭 방향으로 복수의 파형부들을 갖는 강판이 나선으로 감겨서 형성된 관체; 및 상기 강판의 어느 한쪽 변에 일 방향으로 절곡된 제1 절곡부에 의해 한정된 제1 절곡 홈에 점탄성 고분자 물질로 이루어진 수밀재가 삽입되고, 상기 강판이 나선으로 감기면서 상기 강판의 다른 쪽 변에 상기 제1 절곡부와 반대 방향으로 절곡되어 제2 절곡 홈을 한정하는 제2 절곡부가 상기 제1 절곡 홈에 삽입됨과 아울러 상기 제1 절곡부가 상기 제2 절곡 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수밀재와 함께 상기 제1,2 절곡 홈이 압착되어 형성된 락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파형강관 제조장치는, 일 방향으로 강판을 공급하는 강판 공급유닛; 상기 강판 공급유닛으로부터 공급되는 강판의 중앙부에 폭 방향으로 복수의 파형부들을 성형하며, 강판의 어느 한쪽 변에 상방으로 절곡되어 제1 절곡 홈을 한정하는 제1 절곡부를 성형하며, 강판의 다른 쪽 변에 하방으로 절곡되어 제2 절곡 홈을 한정하는 제2 절곡부를 성형하는 파형부 성형유닛; 상기 파형부 성형유닛에 의해 성형된 강판에서 상기 제1 절곡 홈에 점탄성 고분자 물질로 이루어진 수밀재를 공급하는 수밀재 공급유닛; 및 상기 수밀재 공급유닛에 의해 수밀재가 공급된 강판을 나선으로 감으면서 상기 제2 절곡부를 상기 제1 절곡 홈에 삽입시킴과 아울러 제1 절곡부를 상기 제2 절곡 홈에 삽입시킨 후 상기 수밀재와 함께 상기 제1,2 절곡 홈을 압착시켜 락심부를 성형하는 락심부 성형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관체의 변형이 발생되더라도, 점탄성을 갖고 락심부 내에 삽입된 수밀재에 의해 관체의 내부와 외부가 완전히 차단될 수 있으므로, 관체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누수되는 현상과 관체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오염수가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형강관에 대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있어서, 락심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3 내지 5는 락심부의 변형예들을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도 1의 파형강관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에 대한 구성도.
도 7은 도 6의 파형부 성형유닛에 의해 성형된 강판에 대한 단면도.
도 8은 도 6의 수밀재 공급유닛에 대한 사시도.
도 9 및 도 10은 도 6의 락심부 성형유닛에 의해 락심부를 성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수밀재 공급유닛의 다른 예에 의해 수밀재를 공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하며,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형강관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어서, 락심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파형강관(100)은 관체(110) 및 락심부(120)를 포함한다.
관체(110)는 강판이 나선으로 감겨서 형성된다. 여기서, 강판은 중앙부에 폭 방향으로 복수의 파형부(111)들을 가짐에 따라, 관체(110)는 나선으로 감긴 파형부(111)들을 구비한다. 그리고, 강판은 어느 한쪽 변에 일 방향으로 절곡되어 제1 절곡 홈(122)을 한정하는 제1 절곡부(121)를 가지며, 다른 쪽 변에 제1 절곡부(121)와 반대 방향으로 절곡되어 제2 절곡 홈(124)을 한정하는 제2 절곡부(123)를 갖는다.
락심부(120)는 제1 절곡 홈(122)에 점탄성 고분자 물질로 이루어진 수밀재(125)가 삽입되고, 강판이 나선으로 감기면서 제2 절곡부(123)가 제1 절곡 홈(122)에 삽입됨과 아울러 제1 절곡부(121)가 제2 절곡 홈(124)에 삽입된 상태에서, 수밀재(125)와 함께 제1,2 절곡 홈(122)(124)이 압착되어 형성된다.
예컨대, 제1 절곡 홈(122)의 저면에 수밀재(125)가 삽입된 상태에서, 제1 절곡 홈(122)에 제2 절곡부(123)가 삽입됨과 아울러 제2 절곡 홈(124)에 제1 절곡부(121)가 삽입된 후, 제1,2 절곡 홈(122)(124)이 함께 압착되면, 수밀재(125)도 압착되면서 제1 절곡 홈(122)의 저면 쪽 공간으로부터 제2 절곡부(123)의 양쪽 공간으로 신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수밀재(125)는 탄성을 지니므로, 압착에 따른 변형으로부터 복원되려는 탄성력을 발생시킨다. 이에 따라, 수밀재(125)는 탄성력에 의해 제1 절곡 홈(122)과 제2 절곡부(123)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락심부(120) 내의 수밀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수밀재(125)는 점성을 지니므로, 관체(110)의 변형이 발생하더라도 관체(110)의 변형에 따라 수밀재(125)가 자유롭게 변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체(110)의 내부와 외부가 수밀재(125)에 의해 완전히 차단될 수 있으므로, 관체(110)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누수되는 현상과 관체(110)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오염수가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수밀재(125)는 고상의 점탄성 고분자 물질, 예컨대 고체 상태인 고무, 실리콘, 에폭시 등으로 이루어져, 제1 절곡 홈(122)의 저면 쪽 공간과 제2 절곡부(123)의 양쪽 공간에 걸쳐 삽입된 형태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수밀재(125)는 액상의 점탄성 고분자 물질, 예컨대 액체 상태인 실리콘, 에폭시, 우레탄 등으로 제1 절곡 홈(122)의 저면 쪽 공간과 제2 절곡부(123)의 양쪽 공간에 걸쳐 삽입되어 고상화된 형태일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락심부(220) 내의 수밀재(225)는 도 2에 도시된 수밀재(125)와 비교해서 제1 절곡부(121)와 제2 절곡부(123) 사이로 더 연장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수밀재(225)는 도 2에 도시된 수밀재(125)보다 많은 부피를 가지며 제1 절곡 홈(122)의 저면 쪽 공간으로부터 제1 절곡부(121) 쪽으로 치우쳐 삽입된 상태에서 제1,2 절곡 홈(122)(124)과 함께 압착되면, 전술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락심부(320) 내의 수밀재(325)는 제1 절곡 홈(122)의 저면 쪽 공간으로부터 제1 절곡부(121)와 제2 절곡부(123) 사이의 공간을 거쳐 제2 절곡 홈(124)의 저면 쪽 공간까지 이어진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수밀재(325)가 제1 절곡부(121)의 내측면에 배치되고 제2 절곡부(123)가 수밀재(325)를 사이에 두고 제1 절곡부(121)와 마주하게 제1 절곡 홈(122)에 삽입된 상태에서, 수밀재(325)가 제1,2 절곡 홈(122)(124)과 함께 압착되면, 전술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락심부(420) 내의 수밀재(425)는 고상의 수밀재(425a)와 액상의 수밀재(425b)가 혼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고상의 수밀재(425a)는 제1 절곡 홈(122)의 저면 쪽 공간과 제2 절곡부(123)의 양쪽 공간에 걸쳐 삽입되어 배치된다. 그리고, 고상의 수밀재(425a)는 제1 절곡 홈(122)과 마주하는 부위에 홈들이 형성되며, 이 홈들에 액상의 수밀재(425b)가 채워져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절곡 홈(12)의 저면 쪽 공간에 액상의 수밀재(425b)가 먼저 삽입되고, 액상의 수밀재(425b) 위에 고상의 수밀재(425a)가 배치된 후, 고상의 수밀재(425a)와 액상의 수밀재(425b)가 제1,2 절곡 홈(122)(124)과 함께 압착되면, 전술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액상 수밀재(425b)는 점착성을 지님으로써, 고상의 수밀재(425a)와 제1 절곡 홈(122)의 내면과 보다 끈끈하게 부착될 수 있다.
한편,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고상의 수밀재는 제1 절곡 홈(122)과 마주하는 부위에 돌기들이 형성되며, 돌기들 사이의 공간에 액상의 수밀재가 채워져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밖에도, 수밀재는 락심부의 수밀성을 높일 수 있는 범주에서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6은 전술한 파형강관을 제조하는 제조장치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7은 도 6의 파형부 성형유닛에 의해 성형된 강판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수밀재 공급유닛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도 6의 락심부 성형유닛에 의해 락심부를 성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파형강관 제조장치(1000)는 강판 공급유닛(1100), 파형부 성형유닛(1200), 수밀재 공급유닛(1300), 및 락심부 성형유닛(1400)을 포함한다.
강판 공급유닛(1100)은 일 방향으로 강판(101)을 공급한다. 강판 공급유닛(1100)은 권취된 강판(101)을 푸는 언코일러를 구비할 수 있다. 언코일러는 강판(101)의 양면이 위아래를 향하게 강판(101)을 풀어서 파형부 성형유닛(1200)으로 공급할 수 있다.
파형부 성형유닛(1200)은 강판 공급유닛(1100)으로부터 공급되는 강판(101)의 중앙부에 폭 방향으로 복수의 파형부(111)들을 성형한다. 그리고, 파형부 성형유닛(1200)은 강판(101)의 어느 한쪽 변에 상방으로 절곡되어 제1 절곡 홈(122)을 한정하는 제1 절곡부(121)를 성형하며, 강판(101)의 다른 쪽 변에 하방으로 절곡되어 제2 절곡 홈(124)을 한정하는 제2 절곡부(123)를 성형한다. 그러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판(101)은 파형부(111)들과 제1,2 절곡부(121)(123) 및 제1,2 절곡 홈(122)(124)을 갖도록 성형된다.
예컨대, 파형부 성형유닛(1200)은 파형부 성형롤러들과, 절곡부 성형롤러들을 포함할 수 있다. 파형부 성형롤러들은 강판(101)의 중앙부에 대응되게 배치되고 상하로 이격된 사이로 강판(101)을 통과시킴에 따라 강판(101)의 중앙부에 파형부(111)를 성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파형부 성형롤러들은 강판(101)의 진행 방향을 따라 단계적으로 증가되게 배치됨으로써, 강판(101)에 파형부(111)들을 점진적으로 성형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절곡부 성형롤러들은 강판(101)의 양쪽 변들에 각각 대응되게 배치되고 상하로 이격된 사이로 강판(101)을 통과시킴에 따라 강판의 양쪽 변들에 제1,2 절곡부(121)(123)를 성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수밀재 공급유닛(1300)은 파형부 성형유닛(1200)에 의해 성형된 강판(101)에서 제1 절곡 홈(122)에 점탄성 고분자 물질로 이루어진 수밀재를 공급한다. 도 2에 도시된 락심부(120)를 제조하는 것을 예로 들면, 수밀재 공급유닛(1300)은 고상의 점탄성 고분자 물질로 이루어진 수밀재(125)를 제1 절곡 홈(122)에 공급하는 고상 수밀재 공급부(1310)를 포함할 수 있다. 수밀재(125)는 일정 단면적을 갖고 길게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상 수밀재 공급부(1310)는 수밀재 공급 릴(1311)과, 인입 롤러(1312)를 구비할 수 있다.
수밀재 공급 릴(1311)은 수밀재(125)를 권취하며 권취된 수밀재(1250)를 강판(101)이 공급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공급한다. 여기서, 수밀재 공급 릴(1311)에 의한 수밀재(125)의 공급 속도는 언코일러에 의한 강판(101)의 공급 속도와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 수밀재 공급 릴(1311)은 릴 지지브래킷(1313)에 지지될 수 있다. 릴 지지브래킷(1313)은 파형부 성형유닛(1200)의 롤러 지지프레임(1210)에 장착되어 지지될 수 있다.
인입 롤러(1312)는 수밀재 공급 릴(1311)로부터 공급되는 수밀재(125)를 제1 절곡 홈(122)으로 인입시킨다. 인입 롤러(1312)는 제1 절곡 홈(122)의 입구에 대응되게 배치되어 릴 지지브래킷(1313)에 지지될 수 있다. 강판(101)의 이동에 의해 제1 절곡 홈(122)이 락심부 성형유닛(1400)으로 이동할 때 수밀재(125)는 인입 롤러(1312)에 의해 제1 절곡 홈(122)을 따라 인입될 수 있다. 수밀재(125)는 제1 절곡 홈(122)에 인입되는 형태에 따라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락심부(120)(220)(320) 내에 다양하게 배치될 수 있는데, 인입 롤러(1312)는 수밀재(125)를 원하는 형태로 제1 절곡 홈(122)에 인입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고상 수밀재 공급부(1310)는 수밀재 공급 릴(1311)로부터 공급되는 수밀재(125)를 인입 롤러(1312)로 안내하기 위한 복수의 가이드 롤러(1314)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락심부 성형유닛(1400)은 수밀재 공급유닛(1300)에 의해 수밀재(125)가 공급된 강판(101)을 나선으로 감는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락심부 성형유닛(1400)은 강판(101)을 감으면서 제2 절곡부(123)를 제1 절곡 홈(122)에 삽입시킴과 아울러 제1 절곡부(121)를 제2 절곡 홈(124)에 삽입시킨다. 이어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락심부 성형유닛(1400)은 수밀재(130)와 함께 제1,2 절곡 홈(122)(124)을 압착시켜 락심부(120)를 성형한다.
락심부 성형유닛(1400)은 굴곡용 롤러(1410)들과, 압착용 롤러(1420)들을 구비할 수 있다. 굴곡용 롤러(1410)들은 강판(101)을 나선으로 감아서, 수밀재(125)가 삽입된 제1 절곡 홈(122)에 제2 절곡부(123)를 삽입시킴과 아울러 제2 절곡 홈(124)에 제1 절곡부(121)를 삽입시키도록 유도한다. 이 상태에서, 압착용 롤러(1420)들은 제1,2 절곡부(121)(123)가 겹쳐진 강판(101) 부위를 삽입시켜 수밀재(125)와 함께 제1,2 절곡 홈(122)(124)을 압착시킨다. 락심부 성형유닛(1400)을 거쳐 제조된 파형강관은 설정 길이가 되면 절단되어 배출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밀재 공급유닛(1300)은 강판(101)의 이동 방향을 기준으로 고상 수밀재 공급부(1310)보다 앞쪽에 배치된 액상 수밀재 공급부(13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락심부(420)를 제조하는 것을 예로 들면, 액상 수밀재 공급부(1320)는 액상의 점탄성 고분자 물질로 이루어진 액상 수밀재(425b)를 제1 절곡 홈(122)에 공급한다.
이 경우, 제1 절곡 홈(122)의 저면에 액상 수밀재(425b)가 먼저 공급된 후, 액상 수밀재(425b) 위에 고상 수밀재(425a)가 공급될 수 있다. 이후, 액상 수밀재(425b)와 고상 수밀재(425a)는 락심부 성형유닛(1400)에 의해 락심부(420) 내에 압착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액상 수밀재 공급부(1320)는 액상 수밀재(425b)를 담은 저장용기(1321)와, 저장용기(1321)로부터 제1 절곡 홈(122)으로 액상 수밀재(425b)를 주사하는 노즐(1322)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수밀재 공급유닛(1300)은 고상 수밀재 공급부(1310)가 생략되고 액상 수밀재 공급부(1320)만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파형강관 110..관체
120,220,320,420..락심부 125,225,325,425..수밀재
1100..강판 공급유닛 1200..파형부 성형유닛
1300..수밀재 공급유닛 1310..고상 수밀재 공급부
1320..액상 수밀재 공급부 1400..락심부 성형유닛

Claims (5)

  1. 중앙부에 폭 방향으로 복수의 파형부들을 갖는 강판이 나선으로 감겨서 형성된 관체; 및
    상기 강판의 어느 한쪽 변에 일 방향으로 절곡된 제1 절곡부에 의해 한정된 제1 절곡 홈에 점탄성 고분자 물질로 이루어진 수밀재가 삽입되고, 상기 강판이 나선으로 감기면서 상기 강판의 다른 쪽 변에 상기 제1 절곡부와 반대 방향으로 절곡되어 제2 절곡 홈을 한정하는 제2 절곡부가 상기 제1 절곡 홈에 삽입됨과 아울러 상기 제1 절곡부가 상기 제2 절곡 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수밀재와 함께 상기 제1,2 절곡 홈이 압착되어 형성된 락심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밀재는 고상의 점탄성 고분자 물질로 이루어진 고상 수밀재와, 액상의 점탄성 고분자 물질로 이루어진 액상 수밀재를 포함하며;
    상기 고상 수밀재는 상기 제1 절곡 홈의 저면 쪽 공간과 상기 제2 절곡부의 양쪽 공간에 삽입되고 상기 제1 절곡 홈과 마주하는 부위에 복수의 홈들이 형성되며;
    상기 액상 수밀재는 상기 고상 수밀재의 홈들에 채워져 상기 제1 절곡 홈의 내면에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관.
  2. 삭제
  3. 일 방향으로 강판을 공급하는 강판 공급유닛;
    상기 강판 공급유닛으로부터 공급되는 강판의 중앙부에 폭 방향으로 복수의 파형부들을 성형하며, 강판의 어느 한쪽 변에 상방으로 절곡되어 제1 절곡 홈을 한정하는 제1 절곡부를 성형하며, 강판의 다른 쪽 변에 하방으로 절곡되어 제2 절곡 홈을 한정하는 제2 절곡부를 성형하는 파형부 성형유닛;
    상기 파형부 성형유닛에 의해 성형된 강판에서 상기 제1 절곡 홈에 액상의 점탄성 고분자 물질로 이루어진 액상 수밀재를 공급하는 액상 수밀재 공급부와, 상기 액상 수밀재 공급부에 의해 상기 제1 절곡 홈에 액상 수밀재가 공급된 상태에서 고상의 점탄성 고분자 물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절곡 홈과 마주하는 부위에 홈들이 형성된 고상 수밀재를 상기 제1 절곡 홈에 공급하는 고상 수밀재 공급부를 포함하는 수밀재 공급유닛; 및
    상기 수밀재 공급유닛에 의해 상기 액상 수밀재 및 고상 수밀재가 공급된 강판을 나선으로 감으면서 상기 제2 절곡부를 상기 제1 절곡 홈에 삽입시킴과 아울러 제1 절곡부를 상기 제2 절곡 홈에 삽입시킨 후 상기 액상 수밀재 및 고상 수밀재와 함께 상기 제1,2 절곡 홈을 압착시켜 락심부를 성형하는 락심부 성형유닛;
    을 포함하는 파형강관 제조장치.
  4. 삭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상 수밀재 공급부는,
    고상 수밀재를 권취하며 권취된 고상 수밀재를 상기 강판이 공급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공급하는 수밀재 공급 릴, 및
    상기 수밀재 공급 릴로부터 공급되는 고상 수밀재를 상기 제1 절곡 홈으로 인입시키는 인입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관 제조장치.
KR1020120115003A 2012-10-16 2012-10-16 파형강관 및 이를 제조하는 장치 KR1014070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5003A KR101407078B1 (ko) 2012-10-16 2012-10-16 파형강관 및 이를 제조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5003A KR101407078B1 (ko) 2012-10-16 2012-10-16 파형강관 및 이를 제조하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8723A KR20140048723A (ko) 2014-04-24
KR101407078B1 true KR101407078B1 (ko) 2014-06-12

Family

ID=50654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5003A KR101407078B1 (ko) 2012-10-16 2012-10-16 파형강관 및 이를 제조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70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7869B1 (ko) * 2018-07-18 2018-10-17 (주)다은 수밀성 파형강관을 이용한 저류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7743B1 (ko) 2021-11-30 2022-08-29 황진국 이중파형강관 및 그 제조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1960A (ko) * 2005-01-11 2006-07-14 주식회사성호철관 걸고리식 파형관 및 그의 제조장치
KR20110090196A (ko) * 2010-02-03 2011-08-10 주식회사 픽슨 기밀성을 향상시킨 파형강관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저류조
KR20110138637A (ko) * 2010-06-21 2011-12-28 서명호 파형강관의 연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1960A (ko) * 2005-01-11 2006-07-14 주식회사성호철관 걸고리식 파형관 및 그의 제조장치
KR20110090196A (ko) * 2010-02-03 2011-08-10 주식회사 픽슨 기밀성을 향상시킨 파형강관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저류조
KR101143534B1 (ko) 2010-02-03 2012-05-09 주식회사 픽슨 기밀성을 향상시킨 파형강관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저류조
KR20110138637A (ko) * 2010-06-21 2011-12-28 서명호 파형강관의 연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7869B1 (ko) * 2018-07-18 2018-10-17 (주)다은 수밀성 파형강관을 이용한 저류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8723A (ko) 2014-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15884C2 (ru) Коаксиальный геотермальный зонд и способ его монтажа под землей
KR101407078B1 (ko) 파형강관 및 이를 제조하는 장치
JP2009150076A (ja) 取水システム及び淡水貯留取水システム
US7862713B2 (en) Reservoir water filtration system
KR101465959B1 (ko) 신축형 오일펜스
US9022696B2 (en) Device and method for introducing a filling material
KR101143534B1 (ko) 기밀성을 향상시킨 파형강관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저류조
WO2004040068A1 (ja) 軟弱地盤の改良工法及び改良装置
US9394661B2 (en) Maintainable soil drain
US10294640B2 (en) Storage tank and method for constructing same
JP2003055951A (ja) 軟弱地盤の改良工法及び改良装置
KR101843799B1 (ko) 수평배수재
JP2008190196A (ja) 雨水貯留システム
KR20180009528A (ko) 반전튜브를 이용한 관로구조물의 그라우팅 포밍 공법
JP3168683U (ja) 水田用暗渠排水桝と水田水位調整システム
JP2009097151A (ja) 透水構造
JP2013040481A (ja) 造成地盤における竪集水ますの埋め戻し処理方法
CN103726515A (zh) 岩土基面液体储存池hdpe膜防渗结构
CN203821457U (zh) 岩土基面液体储存池hdpe膜防渗结构
KR101754930B1 (ko) 드레인 보드의 코어재
KR20150086063A (ko) 트렌치
JP2010255190A (ja) サイホン式地下水位制御装置
CN213358768U (zh) 尾矿库回水井取水装置
CN216108575U (zh) 一种具有回灌功能的止水结构
KR20190043978A (ko) 친환경 물막이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