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2544B1 - 자동차 프론트 엔드 모듈 이송용 팔레트 - Google Patents

자동차 프론트 엔드 모듈 이송용 팔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2544B1
KR101142544B1 KR1020100073765A KR20100073765A KR101142544B1 KR 101142544 B1 KR101142544 B1 KR 101142544B1 KR 1020100073765 A KR1020100073765 A KR 1020100073765A KR 20100073765 A KR20100073765 A KR 20100073765A KR 101142544 B1 KR101142544 B1 KR 1011425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predetermined position
end module
base plate
bracke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37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1709A (ko
Inventor
전병길
Original Assignee
길엔지니어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길엔지니어링(주) filed Critical 길엔지니어링(주)
Priority to KR10201000737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2544B1/ko
Publication of KR201200117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17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25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2544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allet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프론트 엔드 모듈 이송용 팔레트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프론트 엔드 모듈 이송용 팔레트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 소정 위치에 서로 대칭되게 마련된 한 쌍의 브라켓과, 상기 한 쌍의 브라켓의 상부면 일측 소정 위치에 서로 대칭되게 마련된 한 쌍의 제 1 지지수단과 제 2 지지수단 및 상기 한 쌍의 브라켓의 상부면 타측 소정 위치에 서로 대칭되게 마련된 한 쌍의 안착편을 포함하되, 상기 제 2 지지수단은 상기 제 1 직경부와 제 2 직경부로 이루어진 하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내부에 삽입 설치된 상부프레임과, 상기 제 2 직경부의 외주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슬리브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차 프론트 엔드 모듈 이송용 팔레트{PALLET FOR TRANSPORTING FRONT END MODULE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 프론트 엔드 모듈(FEM: Front End Module) 이송용 팔레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며, 다양한 차종의 프론트 엔드 모듈(FEM)을 공용화하여 이송할 수 있는 자동차 프론트 엔드 모듈 이송용 팔레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차체는 자동차의 외형을 이루는 부분으로서 자동차의 실내, 엔진룸, 트렁크 룸 및 펜더 등으로 구성되며, 이러한 차체는 자동차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방차체와 중심차체 및 후방차체로 구분된다.
여기서, 전방차체는 헤드램프, 라디에이터, 콘덴서, 범퍼 등이 조립되기 위한 캐리어(Carrier)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캐리어(Carrier)는 전술한 헤드램프, 라디에이터, 콘덴서, 범퍼 등과 차체패널을 하나로 조립하여 현장에서 조립성을 향상시키고, 조립대상 부품 수를 감소시켜 조립시간을 단축하며, 제품의 조립 정도를 확보하기 위한 프론트 엔드 모듈(FEM)이 사용된다.
이러한 프론트 엔드 모듈(FEM)을 이송할 때에는 이송용 팔레트에 프론트 엔드 모듈(FEM)을 적재한 후에 이송을 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프론트 엔드 모듈 이송용 팔레트는 차종에 따라 팔레트를 차종에 맞게 각각 제작하여야 했기 때문에 팔레트 제작비용이 증가하였다.
또한, 차종별로 제작된 여러 종류의 팔레트를 보관하여야 하기 때문에 공장부지 활용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다양한 차종의 프론트 엔드 모듈에 공용화할 수 있는 자동차 프론트 엔드 모듈 이송용 팔레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및 기타 본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 소정 위치에 서로 대칭되게 마련된 한 쌍의 브라켓과, 상기 한 쌍의 브라켓의 상부면 일측 소정 위치에 서로 대칭되게 마련된 한 쌍의 제 1 지지수단과 제 2 지지수단 및 상기 한 쌍의 브라켓의 상부면 타측 소정 위치에 서로 대칭되게 마련된 한 쌍의 안착편을 포함하되, 상기 제 2 지지수단은 상기 제 1 직경부와 제 2 직경부로 이루어진 하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내부에 삽입 설치된 상부프레임과, 상기 제 2 직경부의 외주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슬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프론트 엔드 모듈 이송용 팔레트가 제공된다.
삭제
상기 제 2 직경부의 일단부 외주면에는 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나사부에는 플랜지가 착탈 가능하게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리브의 내주면 소정 위치에 원주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프론트 엔드 모듈 이송용 팔레트.
상기 제 2 직경부의 외주면에 삽입되어 일단부가 상기 플랜지의 일단부를 지되고 타단부가 상기 슬리브의 일단부에 지지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프레임의 외주면 일측에 상기 상부프레임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직경부는 외주면 소정 위치 길이 방향을 따라 절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 직경부의 외주면 소정 위치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홈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홈에는 볼이 자유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한 쌍의 안착편의 상부면 소정 위치에는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에는 고정부재가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절개부에 힌지결합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부 일측면 소정 위치에 수평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고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의 양측면에 서로 평행하게 한 쌍의 돌기부가 대칭되게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돌기부 사이에는 고정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면 일측 소정 위치에는 상기 한 쌍의 브라켓을 사이에 두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두께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두께조절부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두께조절부재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면 일측 소정 위치에 결합된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상부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판을 포함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차종을 프론트 엔드 모듈을 하나의 팔레트에 공용화하여 이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양한 차종의 프론트 엔드 모듈을 하나의 팔레트를 이용하여 이송하는 것이 가능하여 공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차종의 프론트 엔드 모듈을 이송하기 위해 각 차종별로 팔레트를 제작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프론트 엔드 모듈 이송용 팔레트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 2 지지수단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 2 지지수단의 부분단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 2 지지수단의 작동상태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고정부재의 작동상태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프론트 엔드 모듈 이송용 팔레트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프론트 엔드 모듈 이송용 팔레트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 2 지지수단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 2 지지수단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 2 지지수단의 작동상태도이며,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고정부재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프론트 엔드 모듈 이송용 팔레트(10)는 베이스 플레이트(20)와, 베이스 플레이트(20)의 상부 소정 위치에 마련된 한 쌍의 브라켓(30)과, 한 쌍의 브라켓(30) 상부면 일측에 마련된 한 쌍의 제 1 지지수단(40) 및 제 2 지지수단(50)과, 한 쌍의 브라켓(30) 상부면 타측에 마련된 한 쌍의 안착편(70)을 포함한다.
베이스플레이트(20)는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지게차 등에 의해 자동차 프론트 엔트 모듈 팔레트 자체를 용이하게 이송할 수 있게 스틸 등의 재료로 제조된다.
또한, 베이스플레이트(20)의 하부면 네 모서리 소정 위치에는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팔레트 이송용 바퀴를 설치하여 작업자가 손쉽게 팔레트를 원하는 장소로 이송가능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베이스플레이트(20)의 상부면 가장자리 소정 위치에는 알루미늄으로 압출성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파일(22)을 볼트, 너트 등을 사용하여 마련함으로써, 베이스플레이트(20)의 변형방지, 충격분산 및 중량을 감소할 수 있다.
아울러, 베이스플레이트(20)의 상부면 일측 소정 위치에는 한 쌍의 브라켓(30)을 사이에 두고 베이스플레이트(20)의 두께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두께조절부재(80)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두께조절부재(80)는 베이스플레이트(20)의 상부면 일측 소정 위치에 결합된 고정판(82)과, 고정판(82)의 상부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판(84)을 포함한다.
브라켓(30)은 베이스플레이트(20)의 상부 소정 위치에 서로 대칭되게 마련되며, 이 브라켓(30)의 상부면에는 후술하는 한 쌍의 제 1 및 제 2 지지수단(40, 50)과 안착편(70)이 마련된다.
제 1 지지수단(40) 및 제 2 지지수단(50)은 브라켓(30)의 상부면 일측 소정 위치에 서로 대칭되게 마련되며, 제 1 및 제 2 지지수단(40, 50)의 상단부에는 후술하는 지지편(44, 54)이 마련되어 이송하고자 하는 프론트 엔드 모듈이 이송도중 팔레트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프론트 엔드 모듈을 상부를 지지한다.
여기서, 제 2 지지수단(50)은 제 1 지지수단(40)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하여 마련된다.
제 1 지지수단(40)은 일단이 브라켓(30)의 상부면 소정 위치에 결합되는 수직포스트(42)와, 수직포스트(42)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지지편(44)으로 이루어진다.
제 2 지지수단(50)은 제 1 지지수단(40)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하여 일단이 브라켓(30)의 상부면 소정 위치에 결합되며 제 1 직경부(52a)와 제 2 직경부(52b)로 이루어진 하부프레임(52)과, 하부프레임(5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내부에 삽입 설치되는 상부프레임(56)과, 제 2 직경부(52b)의 길이방향을 따라 외주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슬리브(58)로 이루어지며, 상부프레임(56)의 상단부에는 지지편(54)이 결합된다.
지지편(54)은 제 1 및 제 2 지지수단(40, 50)의 상단부에 결합되며, 프론트 엔드 모듈을 지지편(44, 54)에 안착하거나 꺼낼 때, 프로트 엔트 모듈의 표면에 스크래치 등과 품질 문제가 발생되지 않도록 폴리우레탄 등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 2 직경부(52b)의 상단부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나사부(60)가 형성되고, 이 나사부(60)에는 플랜지(62)가 착탈가능하게 나사결합된다. 이는, 후술하는 슬리브(58) 및 탄성부재(68)가 반복되는 사용에 의해 마모 및 파손되었을 경우 교체하기 위함이다.
또한, 제 1 직경부(52a)의 외주면 소정 위치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절개홈(52c)이 길쭉하게 형성되는데, 이는 후술하는 상부프레임(56)이 하부프레임(5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내부에 삽입 설치되어 이동될 때 상부프레임(56)이 하부프레임(52)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부프레임(56)의 외주면 일측에 이탈방지부재(100)를 설치하기 위함이다.
이탈방지부재(100)는 볼트 등과 같은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제 2 직경부(52b)의 외주면 소정 위치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홈(64)이 형성되고, 이 관통홈(64)에는 볼(66)이 자유회전 가능하게 마련된다.
이때, 제 2 직경부(56b)에 형성된 관통홈(64)에 자유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볼(66)은 하부프레임(5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내부에 삽입 설치되어 이동되는 상부프레임(56)을 후술하는 슬리브(58)의 작동에 따라 상부프레임(56)이 슬라이딩 이동되거나 이동되지 못하게 한다.
슬리브(58)는 하부프레임(52)의 제 2 직경부(52b) 길이 방향을 따라 회동가능하게 외주면에 결합되며, 내주면 소정 위치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홈(58a)이 형성된다.
걸림홈(58a)은 슬리브(58)가 제 2 직경부(52b)의 길이 방향을 따라 회동할 때 함께 회동하여 제 2 직경부(52b)의 외주면 소정 위치에 원주 방향을 따라 자유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볼(66)을 수용한다.
따라서, 볼(66)이 슬리브(58)의 걸림홈(58a)에 수용될 경우에는 상부프레임(56)의 외주면에 가해지는 압력이 해지되어 상부프레임(56)이 자중에 의해 하방향으로 이동되게 되고, 볼(66)이 슬리브(58)의 내주면에 위치할 경우에는 상부프레임(56)의 외주면에 압력이 가해져 상부프레임(56)이 이동되지 못하게 된다.
탄성부재(68)는 제 2 직경부(52b)의 외주면에 삽입되어 일단부가 플랜지(62)의 일단부를 지지하고 타단부가 상기 슬리브(58)의 일단부를 지지하도록 결합되어 슬리브(58)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안착편(70)은 브라켓(30)의 상부면 타측 소정 위치에 서로 대칭되게 마련되며, 전술한 지지편(44, 54)과 마찬가지로 프론트 엔드 모듈의 하단부가 안착편(70)에 안착되거나 꺼낼 때, 프로트 엔트 모듈의 표면에 스크래치 등과 품질 문제가 발생되지 않도록 폴리우레탄 등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안착편(70)의 상부면 소정 위치에는 절개부(72)가 형성되고, 이 절개부(72)에는 고정부재(90)가 회동 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프론트 엔드 모듈의 측면을 고정할 수 있게 설치되며, 이는 전술한 제 1 지지수단(40)과 제 2 지지수단(50)으로 지지할 수 없는 프론트 엔드 모듈을 이송하고자 할 때 사용된다.
고정부재(90)는 절개부(72)에 힌지결합되는 몸체부(92)와, 몸체부(92)의 상부 일측면 소정 위치에 수평 방향으로 돌출형성된 고정부(94)로 이루어진다.
또한, 고정부(94)의 양측면에는 서로 평행하게 한 쌍의 돌기부(96)가 대칭되게 형성되며, 돌기부(96) 사이에는 고정홈(98)이 형성된다.
이하,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자동차 프론트 엔드 모듈 이송용 팔레트에 다양한 차종의 프론트 엔드 모듈을 고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제 1 지지수단(40)에 지지하여 이송하고자 하는 프론트 엔드 모듈의 경우에는 프론트 엔드 모듈의 하단부를 브라켓(30)의 상부면 일측에 마련된 안착편(70)에 안착시키고, 상단부를 수직프레임(42)의 상단부에 마련된 지지편(44)에 안착시켜 고정되도록 하여 이송하면 된다.
여기서, 수직프레임(42)의 상단부에 마련된 지지편(44)에 안착되어 지지되는 프론트 엔드 모듈의 상단부가 제 2 지지수단(50)의 상부프레임(56)에 간섭을 받지 않도록 작업자가 제 2 지지수단(50)의 제 2 직경부(52b)의 외주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슬리브(58)를 손으로 파지한 후 상측방향으로 회동시켜 제 2 직경부(52b)의 외주면에 자유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볼(66)이 슬리브(58)의 내주면 소정 위치에 형성된 걸림홈(58a)에 수용되도록하여 볼(66)에 의해 압력을 받고 있던 상부프레임(56)의 압력을 해제하여 상부프레임(56)이 하부프레임(52)의 내부로 자중에 의해 하강되도록 하여 프론트 엔드 모듈의 상단부가 제 2 지지수단(50)의 상부프레임(56)에 간섭받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프론트 엔드 모듈을 제 1 지지수단(40)에 안착시켜 지지하여 이송할 수 없는 경우에는 제 2 지지수단(50)에 프론트 엔드 모듈을 안착시켜 지지한 후 이송할 수 있다.
이때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지지수단(40)에 안착되는 프론트 엔드 모듈의 상단부가 제 2 지지수단(50)의 상부프레임(56)에 간섭되지 않도록 하부프레임(52)의 내부로 하강되어 있는 상부프레임(56)를 작업자가 손으로 잡아당겨 상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한 후에 프론트 엔드 모듈을 안착시켜 지지시킨 후 이송하면 된다.
아울러, 프론트 엔드 모듈의 하단부가 안착편(70)에 안착은 되나 상단부가 제 1 및 제 2 지지수단(40, 50)의 상단부에 마련된 지지편(44, 54)에 안착되지 않아 지지되지 못하는 경우에는 베이스플레이트(20)의 상부면 소정 위치에 마련된 두께조절부재(80)의 회동판(84)을 일측방향으로 회동시켜 베이스플레이트(20)의 두께를 조절한 후 프론트 엔드 모듈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각각 제 1 및 제 2 지지수단(40, 50)의 상단부에 마련된 지지편(44, 54)과 안착편(70)에 안착시켜 지지시킨 후 이송하면 된다.
한편, 제 1 및 제 2 지지수단(40, 50)에 프론트 엔드 모듈이 지지되지 못해 이송할 수 없는 경우에는 안착편(70)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결합된 고정부재(90)의 고정홈(98)이 프론트 엔드 모듈의 측면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 고정하여 이송할 수 있다.
아울러, 팔레트로부터 프론트 엔드 모듈을 꺼내고자 할 때에는 작업자가 고정부재(90)의 고정부(94)를 손으로 파지한 후 고정부재(90)를 일측방향으로 회동시켜 고정을 해제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은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20: 베이스플레이트 70: 안착편
30: 브라켓 80: 두께조절부재
40: 제 1 지지수단 82: 고정판
42: 수직프레임 84: 회동판
50: 제 2 지지수단 90: 고정부재
52: 하부프레임 92: 몸체부
56: 상부프레임 94: 고정부
58: 슬리브 96: 돌기부
60: 나사부 98: 고정홈
62: 플랜지
64: 관통홈
66: 볼
68: 탄성부재

Claims (13)

  1.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 소정 위치에 서로 대칭되게 마련된 한 쌍의 브라켓;
    상기 한 쌍의 브라켓의 상부면 일측 소정 위치에 서로 대칭되게 마련된 한 쌍의 제 1 지지수단과 제 2 지지수단; 및
    상기 한 쌍의 브라켓의 상부면 타측 소정 위치에 서로 대칭되게 마련된 한 쌍의 안착편을 포함하되,
    상기 제 2 지지수단은,
    상기 제 1 직경부와 제 2 직경부로 이루어진 하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내부에 삽입 설치된 상부프레임과, 상기 제 2 직경부의 외주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슬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프론트 엔드 모듈 이송용 팔레트.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2 직경부의 일단부 외주면에는 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나사부에는 플랜지가 착탈 가능하게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프론트 엔드 모듈 이송용 팔레트.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의 내주면 소정 위치에 원주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프론트 엔드 모듈 이송용 팔레트.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 2 직경부의 외주면에 삽입되어 일단부가 상기 플랜지의 일단부를 지되고 타단부가 상기 슬리브의 일단부에 지지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프론트 엔드 모듈 이송용 팔레트.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의 외주면 일측에 상기 상부프레임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프론트 엔드 모듈 이송용 팔레트.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직경부는 외주면 소정 위치 길이 방향을 따라 절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프론트 엔드 모듈 이송용 팔레트.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2 직경부의 외주면 소정 위치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홈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홈에는 볼이 자유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프론트 엔드 모듈 이송용 팔레트.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안착편의 상부면 소정 위치에는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에는 고정부재가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프론트 엔드 모듈 이송용 팔레트.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절개부에 힌지결합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부 일측면 소정 위치에 수평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프론트 엔드 모듈 이송용 팔레트.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양측면에 서로 평행하게 한 쌍의 돌기부가 대칭되게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돌기부 사이에는 고정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프론트 엔드 모듈 이송용 팔레트.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면 일측 소정 위치에는 상기 한 쌍의 브라켓을 사이에 두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두께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두께조절부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프론트 엔드 모듈 이송용 팔레트.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두께조절부재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면 일측 소정 위치에 결합된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상부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프론트 엔드 모듈 이송용 팔레트.
KR1020100073765A 2010-07-30 2010-07-30 자동차 프론트 엔드 모듈 이송용 팔레트 KR1011425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3765A KR101142544B1 (ko) 2010-07-30 2010-07-30 자동차 프론트 엔드 모듈 이송용 팔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3765A KR101142544B1 (ko) 2010-07-30 2010-07-30 자동차 프론트 엔드 모듈 이송용 팔레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1709A KR20120011709A (ko) 2012-02-08
KR101142544B1 true KR101142544B1 (ko) 2012-05-08

Family

ID=45835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3765A KR101142544B1 (ko) 2010-07-30 2010-07-30 자동차 프론트 엔드 모듈 이송용 팔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254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85678A (ja) * 1998-12-22 2000-07-04 Toyota Motor Corp フロントモジュール一体搭載パレット
JP2002019615A (ja) * 2000-07-07 2002-01-23 Sumitomo Chem Co Ltd ハンドパレットトラック
KR100683203B1 (ko) * 2005-12-09 2007-02-1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동차의 프론트 엔드 모듈용 대차
KR100949536B1 (ko) * 2009-08-19 2010-03-25 (주)코리아피앤시 차량의 모듈부품 조립용 범용 지그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85678A (ja) * 1998-12-22 2000-07-04 Toyota Motor Corp フロントモジュール一体搭載パレット
JP2002019615A (ja) * 2000-07-07 2002-01-23 Sumitomo Chem Co Ltd ハンドパレットトラック
KR100683203B1 (ko) * 2005-12-09 2007-02-1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동차의 프론트 엔드 모듈용 대차
KR100949536B1 (ko) * 2009-08-19 2010-03-25 (주)코리아피앤시 차량의 모듈부품 조립용 범용 지그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1709A (ko) 2012-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4936981U (zh) 车辆用自行车托架
US8801058B2 (en) Adjustable modular automotive grille guard assembly
US20220024528A1 (en) Adjustable spare tire carrier
US8272683B2 (en) Vehicle roof assembly
US10259414B2 (en) Adjustable truck frame side guard assembly
US9783118B2 (en) Mounting device for attaching a high lift jack to a vehicle
KR101142544B1 (ko) 자동차 프론트 엔드 모듈 이송용 팔레트
CN104044830B (zh) 用于运输摩托车的固定架
US9539872B2 (en) Mounting unit of shock absorber for vehicle
US20070034655A1 (en) Pre-runner truck rack
US20110084508A1 (en) Vehicle Protection System
US6038984A (en) Tool tray
CN1105048C (zh) 行李推车
CN103946103B (zh) 用于机动车辆的前端模块
US20160031277A1 (en) Refurbishment assembly for heavy duty chassis and method
KR102137834B1 (ko) 차량용 스트럿바
CN218198438U (zh) 一种注塑件转运装置
US1761969A (en) Export shipping device
CN108248683B (zh) 转向节及车辆
CN216636507U (zh) 一种重复利用率高便于拆卸的汽车部件转运工装
CN219904552U (zh) 一种不锈钢车内备胎固定架总成
JP6578583B2 (ja) 交換部品用ラックおよび交換部品用ラックの使用方法
KR102490023B1 (ko) 다단 절첩식 적재장치
CN213676734U (zh) 一种汽车后桥支架的反作用杆生产用存储运输装置
KR20240024447A (ko) 상용차 전면 프론트 조립체 조립 지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