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2188B1 - 에어컨용 에어넷 - Google Patents

에어컨용 에어넷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2188B1
KR101142188B1 KR1020110137729A KR20110137729A KR101142188B1 KR 101142188 B1 KR101142188 B1 KR 101142188B1 KR 1020110137729 A KR1020110137729 A KR 1020110137729A KR 20110137729 A KR20110137729 A KR 20110137729A KR 101142188 B1 KR101142188 B1 KR 1011421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air conditioner
net
main body
c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7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도영
Original Assignee
김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도영 filed Critical 김도영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21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21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F24F13/084Grilles, registers or guards with mounting arrangements, e.g. snap fasteners for mounting to the wall or 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컨에서 배출되는 냉기가 인체에 직접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풍향을 조절하거나 냉기의 속도를 감속시키는 에어컨용 에어넷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용 에어넷은 건축구조물에 설치되는 냉난방기 본체 또는 상기 냉난방기 본체가 설치되는 상기 건축구조물의 천장이나 벽체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지지되며 상기 냉난방기 본체에서 냉풍 또는 온풍이 토출되는 토출구측에 위치하여 상기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냉풍 또는 온풍이 충돌하는 네트부를 구비하며, 상기 네트부는 상기 냉풍 또는 온풍이 일부는 반사되어 풍향이 바뀌고, 일부는 상기 네트부를 통과할 수 있도록 다수의 통풍홀이 형성된 것이다.
상기 냉난방기 본체는 천장에 매립되는 천장 매립형이며, 상기 네트부는 상기 냉난방기 본체의 중앙에 형성된 공기흡입구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된 제1 프레임부재와, 상기 제1 프레임부재와 소정간격 이격되어 제1 프레임부재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 프레임부재와, 상기 제1, 제2 프레임부재를 상호 연결하도록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공기흡입구로 유입되는 공기와 상기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상호 구획하는 구획부재와, 상기 제2 프레임부재로부터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온풍 또는 냉풍이 충돌하며 상기 통풍홀이 형성되어 있는 통풍시트와, 상기 통풍시트의 외측가장자리를 지지하는 제3 프레임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에어컨용 에어넷 {Air-net for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에어컨용 에어넷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에어컨에서 배출되는 냉기가 인체에 직접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풍향을 조절하거나 냉기의 속도를 감속시키는 에어컨용 에어넷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사무실, 빌딩 등의 실내에는 냉방 또는 냉난방을 목적으로 에어컨이 설치되어 있는데, 공간 활용성이 좋다는 점과 실내의 내부 공간이 보다 빨리 냉방될 수 있다는 점 등의 장점으로 인해 본체가 천정에 내장되는 형태인 천정형 에어컨 또는 벽체에 본체가 장착되는 벽걸이 에어컨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인 천정형 에어컨은 천정벽에 매달려 설치된 본체의 하측면에는 본체가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판넬이 고정되고, 상기 본체는 그 내부 중앙에는 그 하측에서 공기를 흡입하도록 블로워가 설치되고, 상기 블로워의 외측에는 흡입된 공기를 열교환하도록 열교환기가 설치되며, 상기 본체의 하측면에는 공기가 유입되는 장방형의 토출구가 천정형 에어컨의 네 변에 각각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각각의 토출구를 통하여 냉기가 토출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천정형 에어컨의 경우 냉방시 냉풍이 바로 아래로 떨어지게 되어 에어컨에 가까이 있는 사람은 매우 추워서 냉방병이나 감기 등이 걸리거나 추워서 긴 옷을 입게 되는 등의 고통이나 불편이 따르고, 에어컨 본체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사람은 상대적으로 냉기가 전달되지 않아 불편함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난방시 온풍이 도달하는 거리가 짧아 온풍이 나오는 곳 근처에 있는 사람에게는 직접 바람이 닿아 건조함과 두통의 원인이 되고 멀리 있는 사람은 계속적으로 추워서 불쾌한 상태가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에어컨 본체의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냉풍 또는 온풍이 인체에 빠른 속도로 충돌하는 것을 차단하고, 냉풍 또는 온풍의 순환이 더욱 용이하게 하는 에어컨용 에어넷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용 에어넷은 건축구조물에 설치되는 냉난방기 본체 또는 상기 냉난방기 본체가 설치되는 상기 건축구조물의 천장이나 벽체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지지되며 상기 냉난방기 본체에서 냉풍 또는 온풍이 토출되는 토출구측에 위치하여 상기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냉풍 또는 온풍이 충돌하는 네트부를 구비하며, 상기 네트부는 상기 냉풍 또는 온풍이 일부는 반사되어 풍향이 바뀌고, 일부는 상기 네트부를 통과할 수 있도록 다수의 통풍홀이 형성된 것이다.
상기 냉난방기 본체는 천장에 매립되는 천장 매립형이며, 상기 네트부는 상기 냉난방기 본체의 중앙에 형성된 공기흡입구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된 제1 프레임부재와, 상기 제1 프레임부재와 소정간격 이격되어 제1 프레임부재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 프레임부재와, 상기 제1, 제2 프레임부재를 상호 연결하도록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공기흡입구로 유입되는 공기와 상기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상호 구획하는 구획부재와, 상기 제2 프레임부재로부터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온풍 또는 냉풍이 충돌하며 상기 통풍홀이 형성되어 있는 통풍시트와, 상기 통풍시트의 외측가장자리를 지지하는 제3 프레임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네트부는 상기 제1 프레임부재와 제3 프레임부재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제3 프레임부재가 하방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는 견인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고, 상기 제2 프레임부재와 제1 프레임부재를 연결하도록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서포트부재를 더 구비하며, 상기 서포트부재는 상기 제1 프레임부재와 제2 프레임부재가 상호 인접할 수 있도록 중간 일측에 힌지축이 설치되어 있고 이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부와 하부가 회전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프레임부재는 상기 공기흡입구의 크기에 상관없이 설치가 용이하도록 상호 나란하게 연장되는 두 개의 제1 로드와, 상기 제1 로드의 단부를 각각 연결하는 방향으로 나란하게 연장되는 두 개의 제2 로드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프레임부재는 상기 제1 로드와 제2 로드의 단부를 상호 연결하도록 상기 제1 로드의 단부가 끼워지는 제1 삽입홀과, 상기 제2 로드의 단부가 끼워지는 제2 삽입홀이 형성된 커넥터를 더 구비하되, 상기 커넥터는 상기 제1 로드와 제2 로드가 삽입되는 삽입길이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냉난방기 본체에 고정되는 제1 장착부재와, 상기 커넥터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장착부재와 결합되는 제2 장착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제2 장착부재가 자력결합되록 상기 제1 장착부재 또는 제2 장착부재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는 자석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용 에어넷은 에어컨 본체로부터 토출되는 냉풍 또는 온풍의 풍속을 낮춰 신체에 충돌하는 냉기 또는 온기에 의한 불쾌감을 최소화하며, 냉풍 및 온풍이 실내의 전 영역에 고루 퍼져 냉방 및 난방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용 에어넷의 제1 실시예가 에어컨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에어컨용 에어넷의 부분절단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에어컨용 에어넷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에어컨용 에어넷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부분발췌 사시도,
도 5는 벽걸이형 에어컨에 장착되는 에어컨용 에어넷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6은 에어컨용 에어넷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에어컨용 에어넷의 제5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에어컨용 에어넷의 단면도,
도 9는 에어컨용 에어넷의 제6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고정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발췌 사시도,
도 11은 에어컨용 에어넷의 제7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도 11에서 테두리부에 관통홀이 형성된 형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실시예에서 통풍구별도 분할 설치하도록 된 에어컨용 에어넷을 도시한 사시도,
도 14는 에어컨용 에어넷의 제8 실시예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15는 에어컨용 에어넷의 제9 실시에를 도시한 사시도,
도 16은 고정부용 고정바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부분절단 사시도,
도 17은 고정부용 고정바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8은 도 17의 장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9는 고정부용 고정바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용 에어넷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는 본 발명의 에어컨용 에어넷(100)의 제1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에어컨용 에어넷(100)은 냉난방기 본체(10)에 설치되어 토출되는 냉풍 또는 온풍의 진행방향을 조절하거나 풍속을 감소시키기 위한 것이다.
에어컨용 에어넷(100)은 고정부(110)와, 네트부(120)를 구비한다.
고정부(110)는 냉난방기 본체(10)에 설치되어 네트부(120)를 장착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본 실시예의 경우 고정부(110)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냉난방기 본체(10)의 하면에 양면스티커에 의해 부착된 후크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네트부(120)는 제1 프레임부재(121)와 제2 프레임부재(124), 제3 프레임부재(125) 및 제1, 제2 프레임부재(121,124)를 연결하는 구획부재(130)와, 제2, 제3 프레임부재(124,125)를 연결하는 통풍시트(132)를 포함한다.
통상적으로 천장 매립형 냉난방기의 본체는 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중앙에는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흡입구(11)가 형성되고, 가장자리측에 냉풍 또는 온풍이 토출되는 토출구(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프레임부재(121)는 상기 공기흡입구(11)의 형상에 대응하게 형성되는데, 공기흡입구(11)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는 사각틀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물론 제1 프레임부재(121)의 형상 및 크기는 상기 공기흡입구(11)의 가장자리 형상 및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상기 제2 프레임부재(124)는 제1 프레임부재(121)의 하부에 제1 프레임부재(121)와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있는데,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2 프레임부재(124)는 제1 프레임부재(121)와 동일한 형태와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획부재(130)는 제1 프레임부재(121)와 제2 프레임부재(124)를 상호 연결하는 것으로 내측면과 외측면 사이의 공기의 이동이 가능하지 않은 가죽 또는 천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획부재(130)는 공기흡입구(11)로 흡입되는 흡입 공기와 토출구(12)에서 토출되는 토출공기가 혼합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통풍시트(132)에 의해 진행방향이 바뀐 온풍 또는 냉풍이 공기흡입구(11)로 바로 재흡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구획부재(130)의 상부에는 상기 고정부(110)가 끼워질 수 있도록 고정홀(131)이 형성되어 있어서 네트부(120)가 고정부(110)에 의해 냉난방기 본체(10)에 고정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물론 본 실시예와는 달리 상기 제1 프레임부재(121)에 고정부(110)가 걸릴 수 있는 별도의 고리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3 프레임부재(125)는 제2 프레임부재(124)와 동일 높이에 형성되는데, 상기 제2 프레임부재(124)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어 있다. 제3 프레임부재(125)를 형성하는 각각의 로드들은 제2 프레임부재(124)를 형성하는 각각의 로드들과 나란하게 연장되되 외측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지점에서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3 프레임부재(125)를 제2 프레임부재(124)에 대하여 지지하기 위해 제2 프레임부재(124)의 각 모서리와 제3 프레임부재(125)의 각 모서리를 연결하는 모서리 연결부재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제2 프레임부재(124)로부터 이격된 제3 프레임부재(125)의 이격거리는 상기 토출구(12)에서 토출되는 냉풍 또는 온풍이 통과하는 영역을 커버할 수 있을 정도가 되어야 한다.
상기 통풍시트(132)는 제2 프레임부재(124)와 제3 프레임부재(125)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상하면을 관통하는 다수의 통풍홀(133)들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통풍홀(133)은 통풍시트(132)를 구성하는 섬유사들이 상호 교차하도록 직조되는 과정에서 섬유사들이 소정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하여 섬유사들 사이에 형성되게 한다.
통풍시트(132)는 통풍홀(133)이 형성되어 있기는 하지만 상기 토출구(12)에서 토출되는 냉풍 또는 온풍이 유입되는 양보다 통풍홀(133)을 통과하는 공기의 양이 더 작게 함으로써 통풍홀(133)을 통과하지 못하는 냉풍 또는 온풍은 다시 천장쪽으로 반사된 후 냉난방기 본체(10)로부터 멀리 이격된 영역으로 냉풍과 온풍이 전달되어 냉방효과 또는 난방효과가 더 높아지게 한다.
그리고 통풍홀(133)을 통과해 냉난방기 본체(10) 인근의 하부로 불어오는 바람도 상기 통풍홀(133)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속도가 줄어들고, 또 난류유동이 유도되어 바람이 상호 교차되는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상호 충돌하여 그 속도가 현저하게 낮아지게 한다.
이렇게 통풍시트(132)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냉풍 및 온풍의 속도가 현저하게 줄어들게 되므로 냉난방기 본체(10) 인근의 사람이 냉풍이나 온풍이 신체에 직접 충돌하면서 느끼는 불쾌함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통풍시트(132)가 천연섬유 또는 합성수지 섬유를 직조한 천 소재로 형성된 것이나, 이와는 달리 소정두께의 판재에 다수의 통풍홀(133)이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천공되어 통풍시트(132)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통풍홀(133)을 천공하는 과정에서 통풍홀(133)이 연장되는 연장방향을 수직상에서 소정각도 경사지게 하여 통풍홀(133)을 통과하는 냉풍 또는 온풍이 상호 충돌하도록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는 에어컨용 에어넷(100)의 제2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1 프레임부재(121)와 제2 프레임부재(124)를 연결하는 수직상의 서포트부재(128)가 더 구비되어 있다.
상기 서포트부재(128)는 금속재로 형성되어 있으며, 제1 프레임부재(121)와 제2 프레임부재(124) 사이의 이격거리를 용이하게 유지시키고 상기 구획부재(130)의 장착 편의성을 높인다. 아울러 상기 서포트부재(128)의 상단에는 제3 프레임부재(125)의 단부 모서리와 견인부재(129)로 연결될 수 있도록 고리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견인부재(129)가 서포트부재(128)와 제3 프레임부재(125)를 연결하여 제3 프레임부재(125)가 하방으로 처지지 않도록 지지한다.
또한 서포트부재(128)는 회전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된 두 개의 회동로드로 이루어져 있다. 이는 운반 및 보관 편의성을 높이기 위한 것인데, 운반 또는 보관을 위해서는 상기 서포트부재(128)의 상단과 하단이 상호 인접하도록 회동시켜 제1 프레임부재(121)와 제2 프레임부재(124)가 상호 근접한 위치에 놓일 수 있도록 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운반 및 보관중 네트부(120)재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고정부(110)는 냉난방기 본체(10)에 고정되는 제1 장착부재(111)를 포함하는데, 상기 제1 장착부재(111)는 양면테잎을 통해 냉난방기 본체(10)에 고정되고, 하단에는 자석이 장착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서포트부재(128)는 자성체인 금속재로 형성되어 있어서 자석이 부착된 제1 장착부재(111)의 하단에 자력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서포트부재(128)를 제1 장착부재(111)의 하단에 붙이거나 떼어낼 수 있다.
상기 서포트부재(128)를 스테인리스와 같은 비자성체로 형성하는 경우, 서포트부재(128)의 상단에 자성체로 형성된 별도의 제2 장착부재(112)를 설치하여 제1 장착부재(111)와 자력결합이 이루어지게 할 수도 있다.
도 5는 벽걸이형 에어컨에 장착되는 에어컨용 에어넷(200)의 제3 실시예이다.
벽걸이형 에어컨의 경우에는 주로 하부에 냉풍이 토출되는 토출구(12)가 형성되고, 상부에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가 형성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에어컨용 에어넷(200)은 에어컨 본체의 하부에 양면테잎을 통해 부착되는 지지부재(210)와, 이 지지부재(210)의 하부에 고정되고 벽체로부터 소정길이 돌출되도록 연장되는 네트부(220)를 구비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6에는 에어컨용 에어넷(100)의 제4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에어컨용 에어넷(100)은 제1 프레임부재(121)가 상호 분리되어 있는 제1, 제2 연장로드(122,123)로 이루어져 있다.
제1 연장로드(122)와 제2 연장로드(123)는 각각 나란하게 연장되는 두 개의 로드로 이루어져 있으며, 제2 연장로드(123)가 제1 연장로드(122)의 단부를 상호 연결하도록 연장되어 사각의 테두리 형태를 이루게 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1 프레임부재(121)가 이렇게 상호 분리된 네 개의 로드부재(126)로 이루어짐으로써 공기흡입구(11)의 크기에 상관없이 용이하게 설치가 가능하다.
공기흡입구(11)의 크기가 크더라도 상기 제1 연장로드(122)들과 제2 연장로드(123)들이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격되게 하여 공기가 흡입되는 입구의 면적을 넓힐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이 경우 상기 벌어진 제1 연장로드(122)와 제2 연장로드(123)의 이격된 사이 공간에는 보조구획부재(137)를 장착하여 벌어진 부분이 메꿔지도록 한다.
도 7 및 도 8에는 에어컨용 에어넷(100)의 제5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에어컨용 에어넷(100)은 제1 프레임부재(121)가 제4 실시예와 같이 상호 분리되어 있는 제1, 제2 연장로드(122,123)로 형성되어 있으나, 상기 제1, 제2 연장로드(122,123)를 상호 연결하는 커넥터(134)를 더 구비한다.
커넥터(134)는 제1 연장로드(122)의 단부와 제2 연장로드(123)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홀(135)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삽입홀(135)로 삽입되는 제1, 제2 연장로드(122,123)의 삽입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하여 공기흡입구(11)의 크기에 대응하여 제1 프레임부재(121)의 입구 영역을 넓히거나 좁힐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커넥터(134)의 상단에는 자성체인 금속으로 형성된 제2 장착부재(112)가 마련되어 있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냉난방기 본체(10)에 자석이 부착된 제1 장착부재(111)가 고정되어 있어서 네트부(120)재를 냉난방기 본체(10)에 고정할 수 있다.
아울러 제3 프레임부재(125)도 통풍시트(132)의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부에 끼워지는 복수개의 로드부재(126)로 이루어진다. 상기 각각의 로드부재(126)를 체결부에 끼운 상태에서 각 로드부재(126)의 단부에 보조커넥터(136)를 끼워 제3 프레임부재(125)가 사각틀 형태가 되게 한다.
상기 제2 프레임부재(124)는 일자형 원통부재를 절곡해 만든 사각링 형태이며, 상기 제1 프레임부재(121)의 형성 후 제1 프레임부재(121)가 제2 프레임부재(124)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끼운다.
그리고 상기 제3 프레임부재(125)와 제1 프레임부재(121)를 견인부재(129)를 통해 연결하면, 상기 제2 프레임부재(124)의 자중에 의해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통풍시트(132)는 수평상태를 유지하고, 구획부재(130)는 수직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에어컨용 에어넷(100)은 상기 제1 프레임부재(121)가 분리될 수 있으므로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구획부재(130)들이 상호 포개지도록 정리할 수 있으며, 통풍시트(132) 역시 상기 로드부재(126)를 체결부에서 인출한 뒤 접을 수 있다.
분리된 로드부재(126)가 상기 커넥터(134) 및 보조커넥터(136)와 제2 프레임부재(124)를 분리된 상태로 포장하면 포장박스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어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해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용 에어넷(100)은 온풍 및 냉풍이 통풍홀(133)이 형성된 통풍시트(132)에 의해 일부는 상방으로 반사되고, 통풍홀(133)을 통과한 일부는 감속된 상태로 인체에 도달하여 불쾌감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도 9에는 에어컨용 에어넷(100)의 제6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에어컨용 에어넷(100)은 상호 분리되어 있는 네 개의 네트부(150)가 하나의 세트를 이루도록 되어 있다. 각각의 네트부(150)는 각각 고정부(151)를 통해 에어컨의 본체에 고정되는데, 본 실시예의 고정부(151)는 두 개의 고정바(152)와, 상기 고정바(152)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바(153)와, 고정바(152)들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연결바(153)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보조지지로드(154)로 이루어져 있다.
두 개의 고정바(152)에는 각각 상단에 양면테이프가 부착된 접착부(155)가 형성되어 있으며, 고정바(152)가 연결바(153)의 하방으로 소정길이 돌출되어 있어서 고정바(152)의 하단 및 상기 보조지지로드(154)의 하단이 네트부(150)를 관통해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고, 네트부(150)의 하부에서 돌출된 고정바(152)와 보조지지로드(154)에 너트(156)가 체결되어 네트부(150)를 고정부(151)와 결합시키게 된다.
그리고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고정부(151)가 네트부(150)의 하부에서 상방으로 관통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연결바(153)가 네트부(150)의 하면을 지지하게 되며, 네트부(150)를 관통해 상방으로 돌출된 보조지지로드(154)에 너트(156)를 체결하여 고정부(151)와 네트부(150)를 상호 결합시킬 수 있다.
도 11에는 본 발명의 에어컨용 에어넷(100)의 제7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에어컨용 에어넷(100)은 다수의 통풍홀들이 형성되어 있는 통풍시트(160)를 고정하는 테두리부(161)가 구비되어 있는데, 테두리부(161)는 하부부재(162)와 상부부재(163)로 이루어져 있는데, 하부부재(162)에는 통풍시트(160)의 가장자리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면이 형성되어 있고, 이 안착면 상에 상부부재(163)가 결합되어 통풍시트(160)를 고정시킨다.
그리고 상기 상부부재(163)에 에에컨 본체에 테두리부(161)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바(164)가 설치되어 있어서 고정바(164)의 상단에 마련된 양면테이프를 통해 테두리부(161)를 에어컨 본체에 고정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에어컨 본체로 공기가 유입되는 중앙부도 통풍시트(160)에 의해 막혀있으나, 도 12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하부부재(162)와 상부부재(163)에 각각 에어컨 본체의 토출구와 대응하는 위치에 구멍(165)이 형성되어 있고, 통풍시트(160)가 중앙이 뚫려 있는 사각 테두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바람만 막을 수 있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도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테두리부(161)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바(164)가 상부부재(163) 또는 하부부재(162)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3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각각의 테두리부의 크기가 하나의 토출구를 차단할 수 있는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되어 분할된 구조를 갖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4에는 에어컨용 에어넷(100)의 제8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에어컨용 에어넷(100)은 네트부(170)를 파지하기 위한 고정부(171)가 에어컨 본체에 부착되는 고정바(172)와, 고정바(172)의 하단에 형성되며, 네트부(170)를 감싸는 클램퍼(173)를 포함한다.
상기 클램퍼(173)는 네트부(170)의 폭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으며, 양 단부가 네트부(170)의 하면을 소정길이 감싸도록 절곡되어 있다. 그리고 클램퍼(173)는 탄성변형이 가능하도록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어서 클램퍼(173)의 양단부가 네트부(170)의 하면을 상방으로 가압하여 클램퍼(173)의 하면으로 밀착시켜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15는 에어컨용 에어넷(100)의 제9 실시예이다.
본 실시예의 에어컨용 에어넷(100)은 네트부(180)를 고정하는 고정부(181)가 네트부(180)의 폭방향 양측 가장자리에 상방으로 연장되는 스커트부(182)와, 이 스커트부(182)의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접착부(183)를 포함한다.
스커트부(182)는 공기의 유출입이 거의 차단되는 면재로 형성되어 에어컨 본체의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와 에어컨 본체로 유입되는 공기가 상호 구획될 수 있게 한다.
접착부(183)는 접착제를 포함하고 있어서 에어컨 본체의 하면에 바로 접착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스커트부(182)는 가죽 또는 합성수지 섬유로 된 천 소재를 이용해 플렉시블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접착부(183) 사이의 이격거리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어 에어컨의 종류에 상관없이 장착 편의성이 증가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용 에어넷(100)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살펴보았다.
아울러 도 16 내지 도 19에는 네트부(120)를 에어컨 본체에 고정하는 고정부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16에 도시된 실시예의 고정부(210)는 에어컨 본체에 부착되는 접착부(211)와, 이 접착부(211)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고 하단에 볼부재(212a)가 형성되어 있는 제1 연결부재(212)와, 상기 제1 연결부재(212)의 볼부재(212a)와 결합되는 링크하우징(213)과, 링크하우징(213)의 하단에 연결되는 볼부재(214a)를 갖는 제2 연결부재(214)와, 제2 연결부재(214)의 하부에 형성된 길이조절부(215)와, 이 길이조절부(215)와 네트부(120)을 연결하는 보조링크하우징(218)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의 고정부(210)는 볼부재와 링크하우징 사이의 회전 가능한 결합을 통해 네트부(120)의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길이조절부(215)가 원통바디(216)와 이 원통바디(216)에 나사결합되어 인출되는 인출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제3 연결부재(217)를 포함하고 있어서, 네트부(120)가 에어컨 본체로부터 이격되는 이격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고정부(220)의 다른 실시예는 네트부(120)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221)와, 연장부(221)의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부(222)를 구비한다.
상기 걸림부(222)는 연장부(221)의 상단에서 직각으로 절곡되어 있으며, 도 18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걸림부(222)가 에어컨 본체(10)와 천장마감재(1) 사이의 공간으로 진입하여 고정이 이루어진다.
도 19은 고정부(230)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본 실시예의 고정부(230)는 네트부(120)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며, 상단에 본체의 토출구를 개폐하는 개폐판(2)의 회전축(3)에 끼워질 수 있도록 체결홈(23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체결홈(231)은 회전축(3)의 크기 및 형상에 대응하되 단부가 벌어질 수 있도록 탄성변형이 가능하도록 하여 탈부착이 가능하며, 상기 회전축(3)에 장착된 상태로 토출구의 하부에 네트부(120)를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에어컨용 에어넷
110; 고정부
120; 네트부
121; 제1 지지프레임 124; 제2 지지프레임
125; 제3 지지프레임 128; 서포트부재
129; 견인부재 130; 구획부재
132; 통풍시트

Claims (13)

  1. 삭제
  2. 건축구조물에 설치되는 냉난방기 본체(10) 또는 상기 냉난방기 본체(10)가 설치되는 상기 건축구조물의 천장이나 벽체에 고정되는 고정부(110)와;
    상기 고정부(110)에 지지되며 상기 냉난방기 본체에서 냉풍 또는 온풍이 토출되는 토출구(12)측에 위치하여 상기 토출구(12)에서 토출되는 냉풍 또는 온풍이 충돌하는 네트부(120);를 구비하며,
    상기 네트부(120)는 상기 냉풍 또는 온풍이 일부는 반사되어 풍향이 바뀌고, 일부는 상기 네트부(120)를 통과할 수 있도록 다수의 통풍홀(133)이 형성되어 있고,
    냉난방기 본체(10)는 천장에 매립되는 천장 매립형이며,
    상기 네트부(120)는 상기 냉난방기 본체(10)의 중앙에 형성된 공기흡입구(11)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된 제1 프레임부재(121)와, 상기 제1 프레임부재(121)와 소정간격 이격되어 제1 프레임부재(121)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 프레임부재(124)와, 상기 제1, 제2 프레임부재(121,124)를 상호 연결하도록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공기흡입구(11)로 유입되는 공기와 상기 토출구(12)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상호 구획하는 구획부재(130)와, 상기 제2 프레임부재(124)로부터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토출구(12)에서 토출되는 온풍 또는 냉풍이 충돌하며 상기 통풍홀(133)이 형성되어 있는 통풍시트(132)와, 상기 통풍시트(132)의 외측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제3 프레임부재(12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용 에어넷(100).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부(120)는 상기 제1 프레임부재(121)와 제3 프레임부재(125)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제3 프레임부재(125)가 하방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는 견인부재(129)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용 에어넷(100).
  4. 제 2항 또는 제 3항 중 선택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레임부재(124)와 제1 프레임부재(121)를 연결하도록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서포트부재(128)를 더 구비하며,
    상기 서포트부재(128)는 상기 제1 프레임부재(121)와 제2 프레임부재(124)가 상호 인접할 수 있도록 중간 일측에 힌지축이 설치되어 있고 이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부와 하부가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용 에어넷(100).
  5. 제 2항 또는 제 3항 중 선택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부재(121)는 상기 공기흡입구(11)의 크기에 상관없이 설치가 용이하도록 상호 나란하게 연장되는 두 개의 제1 로드(122)와, 상기 제1 로드(122)의 단부를 각각 연결하는 방향으로 나란하게 연장되는 두 개의 제2 로드(12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용 에어넷(100).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부재(121)는 상기 제1 로드(122)와 제2 로드(123)의 단부를 상호 연결하도록 상기 제1 로드(122)의 단부와 제2 로드(123)의 단부가 끼워지는 삽입홀(135)이 형성된 커넥터(134)를 더 구비하되,
    상기 커넥터(134)는 상기 제1 로드(122)와 제2 로드(123)가 삽입되는 삽입길이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부(110)는 상기 냉난방기 본체(10)에 고정되는 제1 장착부재(111)와, 상기 커넥터(134)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장착부재(111)와 결합되는 제2 장착부재(11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용 에어넷(100).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장착부재(111,112)가 자력결합되록 상기 제1 장착부재(111) 또는 제2 장착부재(112)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는 자석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용 에어넷.
  8. 건축구조물에 설치되는 냉난방기 본체(10) 또는 상기 냉난방기 본체(10)가 설치되는 상기 건축구조물의 천장이나 벽체에 고정되는 고정부(151)와;
    상기 고정부(151)에 지지되며 상기 냉난방기 본체(10)에서 냉풍 또는 온풍이 토출되는 토출구(12)측에 위치하여 상기 토출구(12)에서 토출되는 냉풍 또는 온풍이 충돌하는 네트부(150);를 구비하며,
    상기 네트부(150)는 상기 냉풍 또는 온풍이 일부는 반사되어 풍향이 바뀌고, 일부는 상기 네트부(150)를 통과할 수 있도록 다수의 통풍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부(151)는 하단이 상기 네트부(150)를 관통해 하방으로 연장되고 너트에 의해 체결되는 고정바(15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용 에어넷(100).
  9. 건축구조물에 설치되는 냉난방기 본체(10) 또는 상기 냉난방기 본체(10)가 설치되는 상기 건축구조물의 천장이나 벽체에 고정되는 고정부(151)와;
    상기 고정부(151)에 지지되며 상기 냉난방기 본체(10)에서 냉풍 또는 온풍이 토출되는 토출구(12)측에 위치하여 상기 토출구(12)에서 토출되는 냉풍 또는 온풍이 충돌하는 네트부(150);를 구비하며,
    상기 네트부(150)는 상기 냉풍 또는 온풍이 일부는 반사되어 풍향이 바뀌고, 일부는 상기 네트부(150)를 통과할 수 있도록 다수의 통풍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부(151)는 상기 네트부(150)의 양측 단부를 관통하여 상방으로 연장되는 고정바(152)와, 상기 네트부(150)의 하면에서 상기 고정바(152)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바(153)와, 상기 고정바(152)들 사이에서 연결바(153)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네트부(150)를 관통하며 네트부(120)로부터 돌출된 상부에 너트가 체결되는 보조지지로드(15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용 에어넷(100).
  10. 건축구조물에 설치되는 냉난방기 본체(10) 또는 상기 냉난방기 본체(10)가 설치되는 상기 건축구조물의 천장이나 벽체에 고정되는 고정부(161)와;
    상기 고정부(161)에 지지되며 상기 냉난방기 본체(10)에서 냉풍 또는 온풍이 토출되는 토출구(12)측에 위치하여 상기 토출구(12)에서 토출되는 냉풍 또는 온풍이 충돌하는 네트부(160);를 구비하며,
    상기 네트부(160)는 상기 냉풍 또는 온풍이 일부는 반사되어 풍향이 바뀌고, 일부는 상기 네트부(160)를 통과할 수 있도록 다수의 통풍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부(161)는 상기 네트부(160)의 가장자리가 안착될 수 있도록 안착면이 형성되어 있고, 테두리 형상으로 형성되는 하부부재(163)와, 상기 하부부재(163)의 상부에서 상기 안착면에 안착된 네트부(160)를 고정하도록 상기 하부부재(163)에 결합되는 상부부재(162)와, 상기 하부부재(163) 또는 상부부재(162)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에어컨 본체 또는 건축구조물의 천장이나 벽체에 고정되는 고정바(16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용 에어넷(100).
  11. 제 8항 내지 제 10항 중 선택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바는 상단과 하단이 각각 에어컨 본체 및 네트부와 연결되어 있고, 그 사이에 볼부재가 마련되어 소정각도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용 에어넷.
  12. 건축구조물에 설치되는 냉난방기 본체(10) 또는 상기 냉난방기 본체(10)가 설치되는 상기 건축구조물의 천장이나 벽체에 고정되는 고정부(220)와;
    상기 고정부(220)에 지지되며 상기 냉난방기 본체(10)에서 냉풍 또는 온풍이 토출되는 토출구(12)측에 위치하여 상기 토출구(12)에서 토출되는 냉풍 또는 온풍이 충돌하는 네트부(120);를 구비하며,
    상기 네트부(120)는 상기 냉풍 또는 온풍이 일부는 반사되어 풍향이 바뀌고, 일부는 상기 네트부(120)를 통과할 수 있도록 다수의 통풍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부(220)는 상기 네트부(120)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221)와,
    상기 연장부(221)의 상단에 연장부(221)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며, 에어컨 본체와 건축구조물의 천장 또는 벽체 사이의 이격공간으로 진입하여 고정되는 걸림부(22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용 에어넷(100).
  13. 건축구조물에 설치되는 냉난방기 본체(10) 또는 상기 냉난방기 본체(10)가 설치되는 상기 건축구조물의 천장이나 벽체에 고정되는 고정부(230)와;
    상기 고정부(230)에 지지되며 상기 냉난방기 본체(10)에서 냉풍 또는 온풍이 토출되는 토출구(12)측에 위치하여 상기 토출구(12)에서 토출되는 냉풍 또는 온풍이 충돌하는 네트부(120);를 구비하며,
    상기 네트부(120)는 상기 냉풍 또는 온풍이 일부는 반사되어 풍향이 바뀌고, 일부는 상기 네트부(120)를 통과할 수 있도록 다수의 통풍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부(230)는 상기 네트부(120)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며 상단에 에어컨 본체의 토출구(12)를 개폐하고 풍향을 조절하는 회전팬(2)의 회전축(3)이 끼워질 수 있도록 하방으로 인입된 체결홈(23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용 에어넷(100).
KR1020110137729A 2011-11-03 2011-12-19 에어컨용 에어넷 KR1011421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4082 2011-11-03
KR20110114082 2011-11-0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2188B1 true KR101142188B1 (ko) 2012-05-15

Family

ID=46271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7729A KR101142188B1 (ko) 2011-11-03 2011-12-19 에어컨용 에어넷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218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9731B1 (ko) 2012-12-18 2014-04-29 센트럴공조(주) 공기 조화 설비용 풍향 안내 장치
KR102295071B1 (ko) * 2021-03-10 2021-08-26 정형일 풍속 감쇄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97042A (ja) 1997-01-10 1998-07-31 Kyoritsu Air Tech Inc 空気調和設備
JP2005090851A (ja) 2003-09-17 2005-04-07 Takenaka Komuten Co Ltd 吹出口装置の支持構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97042A (ja) 1997-01-10 1998-07-31 Kyoritsu Air Tech Inc 空気調和設備
JP2005090851A (ja) 2003-09-17 2005-04-07 Takenaka Komuten Co Ltd 吹出口装置の支持構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9731B1 (ko) 2012-12-18 2014-04-29 센트럴공조(주) 공기 조화 설비용 풍향 안내 장치
KR102295071B1 (ko) * 2021-03-10 2021-08-26 정형일 풍속 감쇄기
WO2022191552A1 (ko) * 2021-03-10 2022-09-15 정형일 풍속 감쇄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8330131B2 (en) Ceiling-type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US10900229B2 (en) Hanger profile and ceiling assembly
EP3686509B1 (en) Ceiling type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101142188B1 (ko) 에어컨용 에어넷
KR102285835B1 (ko) 천장형 공기 조화기
KR101348303B1 (ko) 에어컨용 윈드웨이
KR20180113711A (ko) 천장형 공기 조화기
KR102629027B1 (ko) 공기조화기
KR101153592B1 (ko) 천정형 에어컨
KR102262738B1 (ko)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
CN217178727U (zh) 天花机空调器
CN220506961U (zh) 一种空调室内机
CN115244341B (zh) 吊顶式空调室内机
JP2023095403A (ja) 空調機及びこれを用いた放射空調装置
KR20220006050A (ko) 공조기 및 이것을 이용한 방사 공조 장치
JPH10292924A (ja) 空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