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5071B1 - 풍속 감쇄기 - Google Patents

풍속 감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5071B1
KR102295071B1 KR1020210031211A KR20210031211A KR102295071B1 KR 102295071 B1 KR102295071 B1 KR 102295071B1 KR 1020210031211 A KR1020210031211 A KR 1020210031211A KR 20210031211 A KR20210031211 A KR 20210031211A KR 102295071 B1 KR102295071 B1 KR 1022950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 speed
frame
attenuator
air conditioner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1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형일
Original Assignee
정형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형일 filed Critical 정형일
Priority to KR10202100312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50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50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5071B1/ko
Priority to PCT/KR2022/003213 priority patent/WO202219155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공기 조화기의 토출구에 장착되어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풍속을 저감하는 풍속 감쇄기로서, 상기 토출구에 대응되는 크기와 형상을 가지고 내부가 개방되며, 토출구의 외주부 또는 내주면에 장착 가능한 프레임; 및 프레임의 개방된 부분을 막으면서 고정된 미세 그물을 구비하여, 프레임이 토출구의 외주부 또는 내주면에 밀착하여 장착되면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가 미세 그물을 통과함으로써 풍속이 감쇄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풍속 감쇄기는 기존의 공기 조화기의 토출구에 간단히 장착함으로써 기존의 공기 조화기를 이른바 무풍 공기 조화기로 만들 수 있다.

Description

풍속 감쇄기{Wind Speed Reduction Device}
본 발명은 풍속을 저감시키는 풍속 감쇄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 조화기의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풍속을 저감시키는 풍속 감쇄기에 관한 것이다.
냉난방기, 공기 정화기, 제습기, 가습기, 환풍기 등의 공기 조화기는, 흡입구를 통해 흡입한 공기에 대해 원하는 처리(열교환, 필터링, 제습/가습 등)를 한 후 또는 별도의 처리를 하지 않고 단순히 토출구로 토출하게 된다. 이때, 공기 조화기는 송풍팬을 구비하여,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는 소정의 풍속을 가지게 되고, 공기 조화기가 사용되는 공간, 전형적으로는 실내 공간에 대류 현상을 일으켜 원하는 공기 조화의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
그런데, 토출구를 나온 차갑거나 뜨거운 공기가 직접 피부에 닿으면 불쾌감을 느끼는 사용자가 있다. 또한, 최근에 유행하고 있는 코로나 19 바이러스와 같이 감염원이 비말이나 에어로졸과 같은 형태로 바람을 통해 전파되거나 공기를 통해 전파되는 경우, 이러한 대류 방식의 공기 조화기를 밀폐된 공간, 특히 학교나 식당, 지하철 등의 대중 교통시설과 같이 다중이 밀집하는 공간에서 사용하는 것은 감염병의 확산을 촉진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그러나, 그렇다고 하여 무더운 여름이나 추운 겨울에 공기 조화기를 사용하지 않을 수도 없는 현실이다.
한편, 근래에 이른바 '무풍 에어컨'이라 불리는 공기 조화기가 출시되어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무풍 에어컨도 송풍기를 사용하는 대류 방식의 공기 조화기로서 풍속이 0(zero)은 아니다. 즉, '무풍'이란 통상적인 공기 조화기에 비해 현저하게 풍속이 감소된, 예컨대 초속 0.15m 이하의 풍속을 가지는 경우를 말한다. 무풍 에어컨은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것과 같이, 토출부 에 다수의 미세홀을 형성함으로써 풍속을 현저하게 저하시키고 있다.
학교의 교실이나 대중 교통수단의 객실에 이러한 무풍 에어컨을 이용하면 사용자의 불쾌감이나 바이러스와 같은 감염원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기존의 일반 에어컨을 모두 무풍 에어컨으로 교체하는 것은 막대한 비용과 시간을 필요로 한다.
등록특허 제10-1698842호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일반적인 대류 방식의 공기 조화기에 간단히 장착함으로써 토출되는 공기의 풍속을 저감시켜 이른바 무풍 공기 조화기로 만들 수 있는 풍속 감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풍속 감쇄기는, 공기 조화기의 토출구에 장착되어 상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풍속을 저감하는 풍속 감쇄기로서, 상기 토출구에 대응되는 크기와 형상을 가지고 내부가 개방되며, 상기 토출구의 외주부 또는 내주면에 장착 가능한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개방된 부분을 막으면서 고정된 미세 그물을 구비하여, 상기 프레임이 상기 토출구의 외주부 또는 내주면에 밀착하여 장착되면 상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가 상기 미세 그물을 통과함으로써 풍속이 감쇄되도록 구성된다.
실시예에 따르면, 풍속 감쇄기는 상기 토출구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풍속 감쇄기는 상기 프레임이 상기 토출구의 내주면에 접하도록 끼움 결합됨으로써 장착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풍속 감쇄기는 상기 공기 조화기의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토출구를 덮으면서 장착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풍속 감쇄기는 상기 토출구를 덮으면서 상기 공기 조화기의 하우징 외부에 장착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토출구에 개폐가능한 토출 가이드가 있는 경우, 상기 프레임은 상기 토출 가이드가 최대한 열렸을 때 상기 미세 그물과 접촉하지 않는 높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풍속 감쇄기는 상기 미세 그물과 함께 상기 프레임을 사출 성형하는 인서트 사출 성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세 그물은, 상기 프레임과 상기 미세 그물에 의해 형성된 내부 공간의 압력이 소정 압력 이상일 때 적어도 일부가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풍속 감쇄기는, 타워형 공기 조화기의 토출구를 감싸서 상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풍속을 저감하는 풍속 감쇄기로서, 상기 토출구를 포함하여 상기 공기 조화기의 일부를 덮어 씌울 수 있는 주머니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공기 조화기의 일부를 덮어 씌웠을 때 상기 토출구에 대응되는 부분에 개방부가 형성된 커버 본체; 상기 커버 본체의 개방부를 막으면서 결합된 미세 그물; 및 상기 커버 본체로 상기 공기 조화기의 일부를 덮어 씌웠을 때 상기 커버 본체의 하단부가 상기 공기 조화기의 하우징과 밀착하도록 조이는 조임 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미세 그물이 상기 토출구와 대향하도록 상기 커버 본체로 상기 공기 조화기의 일부를 덮어 씌우고, 상기 조임 수단으로 조였을 때, 상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가 상기 미세 그물을 통과함으로써 풍속이 감쇄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커버 본체는 상기 미세 그물보다 공기 투과도가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미세 그물은 합성수지제 직포를 한 장 또는 두 장 이상 겹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합성수지제 직포의 메시 수가 50 내지 300이거나, 상기 합성수지제 직포의 공기 투과도가, KS K ISO 9237에 준거하여 20cm2의 면적, 200Pa의 압력 조건에서 측정했을 때 3000 내지 30000mm/s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미세 그물에는 항균 물질이 함유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풍속 감쇄기는 미세 그물과 프레임이라는 단순한 구조를 가지고, 기존의 공기 조화기의 토출구에 간단히 장착함으로써 기존의 대류형 공기 조화기를 이른바 무풍 공기 조화기로 만들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풍속 감쇄기를 사용하면 공기 조화기의 센 바람에 의한 불쾌감을 저감하고, 감염병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르면, 풍속 감쇄기를 착탈 가능하게 함으로써, 풍속 감쇄기 및 공기 조화기의 유지보수성과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외에도 본 발명은 다른 다양한 효과를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효과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통상적인 천장형 공기 조화기에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풍속 감쇄기를 적용하는 경우의 일부 분해 하방 사시도이다.
도 2는 제1실시예 및 그 변형예에 따른 풍속 감쇄기를 도시한 상방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천장형 에어컨에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풍속 감쇄기를 적용하는 경우의 일부 분해 하방 사시도이다.
도 4는 통상적인 타워형 공기 조화기에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풍속 감쇄기를 적용하는 경우의 전방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풍속 감쇄기를 도시한 하방 사시도이다.
도 6은 통상적인 타워형 공기 조화기에 적용 가능한 본 발명이 제5실시예에 따른 풍속 감쇄기를 도시한 전방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 또는 그 구성요소를 이루는 특정 부분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따라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러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결합', '장착', '고정' 또는 '연결'이라는 용어는, 하나의 부재와 다른 부재가 직접 결합, 장착, 고정 또는 연결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의 부재가 중간 부재를 개재하여 다른 부재에 간접적으로 결합, 장착, 고정 또는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통상적인 천장형 공기 조화기에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풍속 감쇄기를 적용하는 경우의 일부 분해 하방 사시도이고, 도 2는 제1실시예 및 그 변형예에 따른 풍속 감쇄기를 도시한 상방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에 따른 풍속 감쇄기는 천장형 공기 조화기(1)에 장착된다. 특히, 본 실시예의 풍속 감쇄기는 공기 조화기(1)의 토출구(3)를 덮으면서 공기 조화기의 하우징(2), 즉 천장에 노출되는 커버의 외부에 장착된다.
도 1과 도 2의 (a)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풍속 감쇄기는 토출구(3)에 대응되는 크기와 형상을 가지고 내부가 개방되며, 공기 조화기의 하우징(2) 외부, 토출구의(3) 외주부에 장착 가능한 프레임(10) 및 프레임(10)의 개방된 부분을 막으면서 고정된 미세 그물(20)을 구비한다.
프레임(10)은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프레임(10)에서 공기 조화기 하우징(2)의 외면과 접하는 부분은 하우징(2) 외면이 곡면인 경우에도 양호하게 밀착될 수 있도록 플렉서블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프레임(10)은 알루미늄과 같이 상대적으로 가벼운 금속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에도 프레임(10)에서 공기 조화기 하우징(2)의 외면과 접하는 부분은 하우징(2)의 외면 형상에 쉽게 추종하여 휠 수 있도록 충분히 얇은 두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프레임(10)은 양면 접착 테이프(30)나 접착제에 의해 토출구(3)의 외주부를 따라 하우징(2)의 외부(외면)에 접착되어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프레임(10)은 토출구(3)의 외주부에서 하우징(2)의 외부(외면)에 밀착하여 장착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구(3)에는 개폐 또는 회동함으로써 풍향을 조절하는 토출 가이드(4)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토출 가이드(4)가 최대한 열렸을 때 후술하는 미세 그물(20)과 부딪혀 미세 그물(20)이 찢어지거나 미세 그물(20)에 의해 토출 가이드(4)의 회동이 억제되어 토출 가이드(4)를 구동하는 모터(도시 생략)에 과부하가 걸리는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프레임(10)은 토출 가이드(4)가 최대한 열렸을 때 토출 가이드(4)가 미세 그물과 직접 접촉하지 않는 높이(h) 또는 두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세 그물(20)은 프레임(10)의 개방부를 막으면서, 본 실시예와 같이 프레임(10)이 전술한 높이(h)를 가지는 경우에는 프레임(10)에서 하우징(2)에 접착되지 않는 쪽에 고정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토출구(3)에 토출 가이드(4)가 구비된 경우, 토출 가이드(4)가 최대한 열려도 미세 그물(20)과 접촉하지 않게 된다.
미세 그물(20)은 본 발명에서 풍속 감쇄 역할을 하는 부재로서, 테프론(등록상표), PET와 같은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등의 합성수지제 직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등으로 이루어지는 합성섬유(필라멘트)를 위사와 경사로 하여 직조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미세 그물(20)의 재질이나 제조 방식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과 같은 물성을 가진 방진망 등의 시판품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즉, 미세 그물(20)이 일반적인 공기 조화기의 토출구(3)로 토출되는 공기를 통과는 시키되 사용자가 바람으로 느끼지 못할 정도의 풍속으로 저감시키기 위해서는, 메시 수(mesh number)가 예컨대 50 내지 30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미세 그물(20)은 공기 투과도가, 예컨대 KS K ISO 9237에 준거하여 20cm2의 면적, 200Pa의 압력 조건에서 측정했을 때 3000 내지 30000mm/s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미세 그물(20)은 이러한 물성을 만족하도록 합성수지제 직포를 한 장만으로 또는 두 장 이상 겹쳐서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미세 그물(20)을 프레임(10)에 고정하는 방법은, 미세 그물(20)과 프레임(10)의 재질에 따라, 프레임(10)의 일면에 미세 그물(20)을 접착, 융착, 봉제 등으로 고정하는 방법, 또는 2장의 프레임 판재 사이에 미세 그물을 끼우고 2장의 프레임 판재를 접착, 융착, 봉제, 리벳팅, 볼팅 등으로 고정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또는, 미세 그물(20)과 프레임(10)이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미세 그물(20)의 융점이 프레임(10)의 사출 성형시 온도보다 높은 경우, 예컨대, 미세 그물(20)이 PET와 같은 폴리에스테르나 나일론으로 이루어지고 프레임(10)이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진 경우, 미세 그물(20)을 프레임(10)의 사출성형 틀 안에 넣고 프레임(10)을 사출 성형하는 인서트 사출 성형에 의해 풍속 감쇄기를 제조할 수 있다.
한편, 미세 그물(20)에는 은 나노 입자나 구리 이온을 함유하는 물질 등의 항균 물질이 함유되어 있을 수 있다. 미세 그물(20)에 이러한 항균 물질을 함유시키는 방법으로는 미세 그물(20)을 이루는 합성섬유를 방사하기 위한 합성수지 원료 용액에 항균 물질 입자를 분산시켜 첨가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의 풍속 감쇄기의 프레임(10)을 토출구(3)의 외주부에 밀착하여 장착(본 실시예에서는 접착)하면, 토출구(3)로 토출되는 공기의 출구는 미세 그물(20)로 제한되고, 사용자에게 바람으로 느껴지지 않을 정도로 풍속이 저감된다.
이어서, 도 2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풍속 감쇄기에 대해 설명한다.
도 2의 (b)를 참조하면, 풍속 감쇄기는 나사못(31)에 의해 하우징(2) 외부에서 토출구의(3) 외주부에 장착된다. 이를 위해 프레임(11)의 상방 테두리에는 횡방향으로 연장된 플랜지부(11a)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나사못(31)은 토출구(3)의 외주부를 따라 적당한 간격을 두고 복수 개가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고무나 실리콘과 같은 재질의 가스켓(도시 생략)을 개재하여 프레임(11)과 하우징(2) 외면 사이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2의 (b)에 도시된 변형예의 풍속 감쇄기는 토출구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다. 따라서, 필요시 분리하여 풍속 감쇄기를 세척하는 등의 유지보수를 쉽게 행할 수 있다.
한편, 도 2의 (a) 및 (b)에 도시된 본 실시예 및 변형예의 풍속 감쇄기는 각각의 토출구(3)에 하나씩 대응하도록 장착되는 반면, 도 2의 (c)에 도시된 풍속 감쇄기는 복수 개(도 1에 도시된 예에서는 4개)의 토출구(3) 모두를 한번에 커버하도록 장착할 수 있다. 즉, 도 2의 (c)에 도시된 풍속 감쇄기는 도 1 또는 도 2의 (a) 및 (b)에 도시된 개별 풍속 감쇄기의 프레임(10, 11)을 연결부(12a)를 통해 연결하여 통합된 프레임(12)으로 만들고, 각 토출구(3)에 대응되는 부분에 미세 그물(20)을 배치한 것이다.
도 2의 (c)에 도시된 풍속 감쇄기도 도 2의 (a) 및 (b)에 도시된 풍속 감쇄기와 마찬가지로, 양면 접착 테이프(30), 접착제 또는 나사못(31)를 이용하여 하우징(2) 외부에서 토출구의(3) 외주부에 장착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천장형 에어컨에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풍속 감쇄기를 적용하는 경우의 일부 분해 하방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제2실시예에 따른 풍속 감쇄기에 대해 설명한다. 다만, 전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유사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풍속 감쇄기가 전술한 제1실시예의 풍속 감쇄기와 다른 점은, 천장형 공기 조화기의 하우징(2)의 내부, 즉 커버를 분리하고 노출되는 조화기 프레임(5)에 형성된 토출구(3') 내부 또는 외주부에 장착된다는 점이다.
먼저, 조화기 프레임(5)에 형성된 토출구(3') 내부에 장착하는 경우, 풍속 감쇄기의 프레임(13)은,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구(3')의 내주면 형상을 따라 형성된다. 또한, 프레임(13)의 하방 테두리에는 횡방향으로 연장된 플랜지부(13a)가 형성되어 있어, 풍속 감쇄기를 하방에서 상방으로 토출구(3') 안으로 끼워넣을 때에 토출구(3') 주위에 걸려 적정한 깊이까지 끼워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풍속 감쇄기는 전술한 제1실시예와 같이 접착 등의 방법으로 아래로 떨어지지 않도록 반드시 고정하지 않아도 된다. 이는, 풍속 감쇄기를 토출구(3')의 내주면에 접하도록 끼워넣은 후 하우징(2), 즉 커버로 프레임(13)의 플랜지부(13a)를 가압하여 커버를 조화기 프레임(5)에 고정시키면 되기 때문이다.
물론, 이 경우에도 풍속 감쇄기를 토출구(3')의 내주면에 삽입한 후 하우징(2)의 조립 전에 풍속 감쇄기가 낙하하거나, 공기 조화기(1)의 유지보수를 위해 하우징(3)을 분리하는 순간 풍속 감쇄기가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접착제 또는 나사못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는, 프레임(13)의 측면에 실리콘이나 고무, 발포 합성수지와 같은 연질 재료를 코팅하여 프레임(13)의 외경을 토출구(3')의 내경보다 약간 크게 하여 억지끼움 방식으로 삽입함으로써 쉽게 낙하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풍속 감쇄기가 하우징(2) 내부에 장착되지만, 도 3의 (b)와 같이 토출구(3')의 내주면에 끼워지지 않고 토출구(3') 외주부에서 토출구(3')를 덮으면서 장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풍속 감쇄기는 조화기 프레임(5)(구체적으로 토출구(3')의 외주부)과 하우징(2) 사이에 끼워져 장착되게 된다. 따라서, 풍속 감쇄기의 프레임(14)은 도 3의 (a)의 프레임(13)에 비해 훨씬 얇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경우에는 양면 접착 테이프(30)나 접착제로 토출구(3') 외주부 또는 하우징(2) 내면의 토출구(3')에 대응되는 위치에 프레임(14)을 부착한 후 하우징(2)을 조화기 프레임(5)에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2)의 외부에 풍속 감쇄기를 부착한 제1실시예에 비해, 풍속 감쇄기가 하우징(2) 내부에 장착됨으로써 하우징(2)에 가려 보이지 않으므로 미관상 좋다.
도 4는 통상적인 타워형(또는 스탠드형) 공기 조화기(1')에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풍속 감쇄기를 적용하는 경우의 전방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제3실시예에 따른 풍속 감쇄기에 대해 설명한다. 다만, 전술한 제1 및 제2 실시예와 동일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유사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풍속 감쇄기가 전술한 제1 및 제2 실시예의 풍속 감쇄기와 다른 점은, 타워형(또는 스탠드형) 공기 조화기(1')에 적용된다는 점이다. 이를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풍속 감쇄기의 프레임(10)은 토출구(3)의 외주면 형상을 따라 형성된다. 또한, 미세 그물(20)은 프레임(10)의 개방부를 막으면서, 프레임(10)에서 하우징(2)에 부착되지 않는 쪽에 고정된다. 이렇게 구성되는 본 실시예의 풍속 감쇄기는 양면 접착 테이프(30)에 의해 하우징(2)의 외부에서 토출구(3) 외주부에 장착될 수 있다.
결국, 본 실시예의 풍속 감쇄기는 전술한 제1실시예의 풍속 감쇄기와 크기와 형상, 장착 방향을 제외하고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전술한 제1실시예에서와 같이, 토출구(3)에 개폐 또는 회동함으로써 풍향을 조절하는 토출 가이드(4)가 구비되는 경우, 토출 가이드(4)와 미세 그물(20)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두께(전술한 제1실시예에서 프레임(10)의 높이(h)에 대응)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풍속 감쇄기도 접착제나 나사못(31)에 의해 하우징(2)의 외부에 장착될 수 있다.
한편, 별도의 도시와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지만, 타워형 공기 조화기(1')에 대해서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2실시예와 같이 풍속 감쇄기를 하우징(2) 내부에 장착할 수 있다.
한편, 공기 조화기(1, 1')를 장기간 사용하게 되면,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풍속 감쇄기의 미세 그물(20)에는 미세 먼지가 부착하여, 공기 조화기의 팬(도시 생략)을 구동하는 모터(도시 생략)에 과부하가 걸릴 수 있다. 이에 제4실시예에서는, 프레임(10)과 미세 그물(20)에 의해 형성된 내부 공간의 압력이 소정 압력 이상일 때 미세 그물(20)의 적어도 일부가 프레임(10)으로부터 분리되도록 구성되어, 팬 구동 모터의 과부하를 방지한다.
이하, 제4실시예에 따른 풍속 감쇄기에 대해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전술한 실시예들과 동일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유사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천장형 공기 조화기(1)의 토출구(3)에 장착되는 제4실시예에 따른 풍속 감쇄기를 도시한 하방 사시도로서, (a)는 제4실시예의 풍속 감쇄기가 장착되어 사용되는 상태, (b)는 미세 그물(20')의 일부(일측)가 프레임(15)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들의 미세 그물(20)이 프레임(10, 11, 12)에 직접 고정되었던 것과 달리, 본 실시예의 풍속 감쇄기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시 프레임(21)에 메시부(22)가 고정되어 미세 그물(20')이 이루어지고, 메시 프레임(21)이 경첩(25) 등의 고정 수단에 의해 미세 그물(20')이 풍속 감쇄기의 프레임(15)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의 메시부(22)는 전술한 실시예들의 미세 그물(20)과 동일한 기능, 즉 풍속 감쇄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메시 프레임(21)의 고정 수단(25)과 반대측의 외주면에는 볼 플런저(21a)가 소정의 탄성계수를 가지는 내장 스프링(도시 생략)에 의해 탄성을 가지고 돌출되어 있고, 볼 플런저(21a)에 대응되는 위치의 프레임(15)의 내주면에는 볼 플런저(21a)가 삽입되는 홈(15a)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풍속 감쇄기가 공기 조화기(1)에 장착되어 정상적으로 사용되면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세 그물(20')이 프레임(15)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지만, 공기 조화기(1)를 장기간 사용함에 따라 미세 그물(20')의 메시부(22)에 먼지 등이 부착하면 프레임(15)과 미세 그물(20')에 의해 형성된 내부 공간의 압력이 상승하여 볼 플런저(21a)와 홈(15a)에 의한 고정력을 초과하게 되고, 미세 그물(20')은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 플런저(21a)가 홈(15a)에서 이탈함으로써 프레임(15)으로부터 분리되고, 팬 구동 모터의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미세 그물(20')이 프레임(15)으로부터 분리되는 소정의 압력, 즉 고정력은, 사전 실험에 의해 볼 플런저(21a)의 내장 스프링의 탄성계수를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설정할 수 있다.
미세 그물(20')이 도 5의 (b)와 같이 프레임(15)으로부터 분리되면, 사용자는 미세 그물(20') 또는 풍속 감쇄기 전체를 분리하여 메시부(22)의 먼지 등을 세척하여 제거한 다음 도 5의 (a)와 같이 다시 장착하여 사용하면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내부 공간의 압력의 상승에 의한 미세 그물(20')의 분리는 볼 플런저(21a)와 홈(15a)으로 구현했지만, 예컨대 적절한 탄성력을 가지고 메시 프레임(21)을 프레임(15)에 고정하는 후크와 같은 수단에 의해 구현할 수도 있다.
또한,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실시예는 도 2의 (a)에 도시된 풍속 감쇄기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실시예는 도 2의 (b)나 (c)에 도시된 풍속 감쇄기에도 적용가능하며, 나아가 도 4에 도시된 타워형 공기 조화기(1')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 6은 제5실시예에 따른 풍속 감쇄기를 도시한 전방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풍속 감쇄기는, 도 4에 도시된 타워형 공기 조화기(1')에 적용 가능한 것으로서, 공기 조화기(1')의 토출구(3)를 포함하여 상부를 감싸는 커버와 같은 형태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풍속 감쇄기는, 커버 본체(16), 미세 그물(20) 및 조임 수단(16a)을 구비한다.
커버 본체(16)는, 토출구(3, 도 4 참조)를 포함하여 타워형 공기 조화기(1')의 적어도 일부(전형적으로 상부)를 덮어 씌울 수 있는 크기의 주머니 형태로 이루어진다. 커버 본체(16)는 공기 조화기의 일부를 덮어 씌웠을 때 토출구(3)에 대응되는 부분에 개방부가 형성되어 있고, 미세 그물(20)이 이 개방부를 막으면서 결합된다. 커버 본체(16)는 공기 조화기(1')에 씌워졌을 때 토출구(3)에서 토출된 공기가 커버 본체(16)보다는 미세 그물(20)로 집중되도록 미세 그물(20)보다 공기 투과도가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커버 본체(16)는 공기가 투과되지 않는 방수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미세 그물(20)은 커버 본체(16)의 개방부에 접착, 융착, 봉제 등의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조임 수단(16a)은 커버 본체(16)의 하단부에 마련되어, 커버 본체(16)로 공기 조화기(1')의 상부를 덮어 씌웠을 때 커버 본체(16)의 하단부가 공기 조화기(1')의 하우징과 밀착하도록 조인다. 이에 따라, 토출구(3)를 통해 토출된 공기가 커버 본체(16)의 하단부와 공기 조화기(1')의 하우징 사이로 누설되는 것을 막아, 토출구(3)에서 토출된 공기가 미세 그물(20)로 집중되도록 한다. 조임 수단(16a)의 구체적인 예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끈이나 고무줄, 스냅 단추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이상의 설명에서는 공기 조화기의 예로서 천장형과 타워형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벽걸이형 공기 조화기나, 중앙 공기조화 방식과 같이 천장에 공기 토출구만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도 적용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 1': 공기 조화기
2: 공기 조화기 하우징
3, 3': 토출구
4: 토출 가이드
5: 조화기 프레임
10, 11, 12, 13, 14, 15: 풍속 감쇄기 프레임
16: 커버 본체
20, 20': 미세 그물
21: 메시 프레임
21a: 볼 플런저
22: 메시부
25: 경첩
30: 양면 접착 테이프
31: 나사못

Claims (14)

  1. 공기 조화기의 외부로 노출된 토출구에 장착되어 상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풍속을 저감하는 풍속 감쇄기로서,
    상기 토출구에 대응되는 크기와 형상을 가지고 내부가 개방되며, 상기 토출구의 외주부 또는 내주면에 장착 가능한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개방된 부분을 막으면서 고정된 미세 그물을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이 상기 토출구의 외주부 또는 내주면에 밀착하여 장착되면 상기 토출구를 완전히 밀폐하여, 상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가 상기 미세 그물을 통해서만 외부로 토출됨으로써 풍속이 감쇄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공기 조화기에만 고정되어 장착되도록 구성된 풍속 감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풍속 감쇄기는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속 감쇄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이 상기 토출구의 내주면에 접하도록 끼움 결합됨으로써 장착 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속 감쇄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풍속 감쇄기는 상기 공기 조화기의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토출구를 덮으면서 장착 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속 감쇄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풍속 감쇄기는 상기 토출구를 덮으면서 상기 공기 조화기의 하우징 외부에 장착 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속 감쇄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에 개폐가능한 토출 가이드가 있는 경우, 상기 프레임은 상기 토출 가이드가 최대한 열렸을 때 상기 미세 그물과 접촉하지 않는 높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속 감쇄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풍속 감쇄기는 상기 미세 그물과 함께 상기 프레임을 사출 성형하는 인서트 사출 성형에 의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속 감쇄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그물은, 상기 프레임과 상기 미세 그물에 의해 형성된 내부 공간의 압력이 소정 압력 이상일 때 적어도 일부가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되어 사용자가 시인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속 감쇄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그물은, 상기 내부 공간의 압력이 소정 압력 이상일 때 일측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일측과 대향하는 타측이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속 감쇄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조화기는 복수 개의 토출구를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복수 개의 토출구 모두를 커버하도록 연결부를 통해 연결된 통합 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미세 그물은 상기 복수 개의 토출구 각각에 대응하여 상기 통합 프레임에 고정되는 복수 개의 미세 그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속 감쇄기.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그물은 합성수지제 직포를 한 장 또는 두 장 이상 겹쳐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속 감쇄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제 직포의 메시 수가 50 내지 3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속 감쇄기.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제 직포의 공기 투과도가 KS K ISO 9237에 준거하여 20cm2의 면적, 200Pa의 압력 조건에서 측정했을 때 3000 내지 30000mm/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속 감쇄기.
  14.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그물에는 항균 물질이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속 감쇄기.
KR1020210031211A 2021-03-10 2021-03-10 풍속 감쇄기 KR1022950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1211A KR102295071B1 (ko) 2021-03-10 2021-03-10 풍속 감쇄기
PCT/KR2022/003213 WO2022191552A1 (ko) 2021-03-10 2022-03-07 풍속 감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1211A KR102295071B1 (ko) 2021-03-10 2021-03-10 풍속 감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5071B1 true KR102295071B1 (ko) 2021-08-26

Family

ID=77465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1211A KR102295071B1 (ko) 2021-03-10 2021-03-10 풍속 감쇄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95071B1 (ko)
WO (1) WO202219155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91552A1 (ko) * 2021-03-10 2022-09-15 정형일 풍속 감쇄기
WO2024019068A1 (ja) * 2022-07-20 2024-01-25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導風装置および環境調整システム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8080Y1 (ko) * 2000-11-04 2001-03-15 현상숙 길이 조절이 가능한 벽걸이형 에어컨 커버
JP2001349603A (ja) * 2000-06-02 2001-12-21 Midori Anzen Co Ltd 緩流吹出構造及び空気清浄装置
JP2007155313A (ja) * 2005-11-09 2007-06-21 Shii I Shii:Kk インテリアカーテンダクト装置
KR101142188B1 (ko) * 2011-11-03 2012-05-15 김도영 에어컨용 에어넷
KR20130086896A (ko) * 2012-01-26 2013-08-05 김도영 에어컨용 윈드웨이
KR101698842B1 (ko) 2015-07-17 2017-01-23 삼성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5071B1 (ko) * 2021-03-10 2021-08-26 정형일 풍속 감쇄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49603A (ja) * 2000-06-02 2001-12-21 Midori Anzen Co Ltd 緩流吹出構造及び空気清浄装置
KR200218080Y1 (ko) * 2000-11-04 2001-03-15 현상숙 길이 조절이 가능한 벽걸이형 에어컨 커버
JP2007155313A (ja) * 2005-11-09 2007-06-21 Shii I Shii:Kk インテリアカーテンダクト装置
KR101142188B1 (ko) * 2011-11-03 2012-05-15 김도영 에어컨용 에어넷
KR20130086896A (ko) * 2012-01-26 2013-08-05 김도영 에어컨용 윈드웨이
KR101698842B1 (ko) 2015-07-17 2017-01-23 삼성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91552A1 (ko) * 2021-03-10 2022-09-15 정형일 풍속 감쇄기
WO2024019068A1 (ja) * 2022-07-20 2024-01-25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導風装置および環境調整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91552A1 (ko) 2022-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5071B1 (ko) 풍속 감쇄기
KR101598756B1 (ko) 미세먼지 차단용 필터
US11009239B2 (en) Fresh air dehumidification device and packaged terminal air conditioner using same
CN202402369U (zh) 换气扇
KR200401049Y1 (ko) 방충망
KR20100051470A (ko) 공기조화기
US9333450B2 (en) HVAC register filter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CN206176696U (zh) 过滤网装置及空气调节设备
KR100797894B1 (ko) 창틀 부설형 에어필터
US20050092544A1 (en) Fan unit air flow control
CN208475590U (zh) 一种防尘空调通风口
CN101178202B (zh) 空气调节器
CN212358749U (zh) 内循环双层呼吸式幕墙
US20100251893A1 (en) HVAC Register Filter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JP5684940B1 (ja) 扇風機用ならびに室内クーラー用の微風生成ネット
KR101995119B1 (ko) 창문설치형 공기청정기
KR102393029B1 (ko) 에어컨의 토출구 필터장치
CN213178659U (zh) 一种易清理的窗式自然通风器
CN210891904U (zh) 一种风口装置及空调设备
CN108979467A (zh) 一种具有通风功能的房门
CN213020233U (zh) 一种便捷调节的进风格栅
CN215774006U (zh) 一种防尘防水plc柜
CN215909374U (zh) 导风板结构及具有其的空调器
CN215809065U (zh) 新风装置及空调
CN106322725A (zh) 过滤网装置及空气调节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