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1630B1 - 이동 목욕기 - Google Patents

이동 목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1630B1
KR101141630B1 KR1020090080261A KR20090080261A KR101141630B1 KR 101141630 B1 KR101141630 B1 KR 101141630B1 KR 1020090080261 A KR1020090080261 A KR 1020090080261A KR 20090080261 A KR20090080261 A KR 20090080261A KR 101141630 B1 KR101141630 B1 KR 1011416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h
storage unit
water
tub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0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2808A (ko
Inventor
허승환
Original Assignee
허승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승환 filed Critical 허승환
Priority to KR10200900802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1630B1/ko
Publication of KR201100228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28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16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16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02Baths
    • A47K3/06Collapsible baths, e.g. inflatable; Movable bath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001Accessories for baths, not provided for in other subgroups of group A47K3/00 ; Insertions, e.g. for babies; Tubs suspended or inserted in baths; Security or alarm devices; Protecting linings or coverings;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baths; Bath ins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05Means for bathing bedridden pers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4/00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 E04H4/0018Easily movable or transportable swimming pools
    • E04H4/0025Easily movable or transportable swimming pools with inflatable par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누워서 지내야만 하는 환자 등을 목욕시키기 위하여, 보호자 내지 간병인 혼자서 목욕의 준비, 환자의 목욕, 목욕 후 장치의 청소 등을 혼자서 원활히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부로 형성되는 욕조벽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공기 주입시 상부가 개방된 목욕공간을 형성하는 튜브형 욕조 ; 상부에 목욕물 저장부와 오수 저장부가 함께 마련되며, 하부에 이동형 바퀴들이 마련되어 이동이 가능한 이동형 물탱크 ; 상기 목욕물 저장부에 저장된 물을 상기 목욕공간으로 공급하기 위한 목욕물 공급용 배관부 ; 상기 목욕공간에 저장된 물을 상기 오수 저장부로 배출하기 위한 오수 배출용 배관부 ; 상기 튜브형 욕조에 공기를 주입하거나 상기 튜브형 욕조에 주입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하여 마련되는 공기 주입 및 배출용 배관부 ;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 목욕기{MOVING TYPE APPARATUS FOR BATH}
본 발명은 누워서 지내야만 하는 환자를 목욕시키기 위하여 이동형으로 제안되는 목욕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목욕을 하기 위하여는 목욕탕 내지 목욕용 욕조에 들어가 목욕을 하게 된다.
한편, 공간활용도를 높이기 위하여 공기를 주입하여 사용하는 목욕용 튜브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공기 주입용 목욕용 튜브는 사용자가 스스로 목욕을 할 수 있다는 전제하에서, 단지 사용을 하지 않을 경우 접어서 보관할 수 있다는 점만을 이용하였다.
한편, 최근 급속한 고령화로 인하여 노인 인구가 늘고 있으며, 이와 같은 노약자는 물론이며 사고 등으로 인하여 거동이 거의 불가능한 환자들이 늘어가고 있으며, 이와 같이 거동이 거의 불가능한 환자 등은 누워서 지낼 수 밖에 없다. 이들 환자들은 거동이 불편하여 스스로 자신이 목욕을 할 수 없기 때문에 보호자 내지 간병인의 도움을 받아 목욕을 할 수 있다.
그러나 보호자 혼자서 거동이 불가능한 환자를 침상에서 욕조로 이동시키는 것은 매우 어렵다. 특히 환자가 스스로 전혀 움직일 수 없는 상태인 경우 환자를 목욕시키는 것은 더욱 어렵다.
또한 종래의 공기 주입용 목욕용 튜브를 이용하는 이러한 환자를 목욕시킨다고 가정하여도, 환자의 침상은 물이 공급되는 공간으로부터 상당히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공기 주입용 목욕용 튜브에 물을 공급하고 또한 목욕이 끝난 후 그 물을 배출하여 목욕용 튜브를 청소를 한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누워서 지내야만 하는 환자 등을 목욕시키기 위하여, 보호자 내지 간병인 혼자서 목욕의 준비, 환자의 목욕, 목욕 후 장치의 청소 등을 혼자서 원활히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부로 형성되는 욕조벽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공기 주입시 상부가 개방된 목욕공간을 형성하는 튜브형 욕조 ; 상부에 목욕물 저장부와 오수 저장부가 함께 마련되며, 하부에 이동형 바퀴들이 마련되어 이동이 가능한 이동형 물탱크 ; 상기 목욕물 저장부에 저장된 물을 상기 목욕공간으로 공급하기 위한 목욕물 공급용 배관부 ; 상기 목욕공간에 저장된 물을 상기 오수 저장부로 배출하기 위한 오수 배출용 배관부 ; 상기 튜브형 욕조에 공기를 주입하거나 상기 튜브형 욕조에 주입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하여 마련되는 공기 주입 및 배출용 배관부 ;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튜브형 욕조의 바닥부는, 공기 주입시 평평한 매트 형상을 가지는 바닥 튜브와, 상기 바닥 튜브의 하부에 마련되어 공기 주입시 경사판 형상을 가지는 경사판 튜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바닥 튜브의 상부에 마련되어 공기 주입시 사용자의 등을 부분적으로 지지하여 사용자 등 부위의 물의 배수를 원활히 하는 등 지지용 튜브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욕조벽부는, 상기 바닥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속하여 마련되는 욕조벽용 튜브와, 상기 욕조벽용 튜브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마련되되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어 수직으로 입설되되 그 가장자리가 상기 욕조벽용 튜브의 내측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형태유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의 목욕물 저장부와 오수 저장부는 하나의 저장조가 유연성 격막에 의하여 구분됨으로써 형성되어, 상기 목욕물 저장부의 부피와 상기 오수 저장부의 부피가 상기 유연성 격막에 의하여 서로 변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오수 저장부에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수직판이 수직으로 마련되어, 상기 오수 저장부가 상기 저장조의 벽체와 상기 수직판에 의하여 형성되는 고정 공간과 상기 수직판, 상기 저장조의 벽체 및 상기 유연성 격막에 의하여 형성되는 가변 공간으로 구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여, 누워서 지내야만 하는 환자 등을 목욕시키기 위하여, 보호자 내지 간병인 혼자서 본 장치에 목욕물을 받은 후, 본 장치를 환자 가 누워있는 장소까지 이동시킨 후, 환자의 아래에 본 튜브형 욕조를 배치시켜 환자를 목욕공간에 위치시키고, 본 튜브형 욕조에 공기를 주입시켜 목욕공간을 형성하고, 목욕공간에 이동형 물탱크의 물을 공급하여 환자를 목욕시키거나 샤워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목욕이 완료된 후 목욕공간의 물을 이동형 물탱크로 배출하고, 튜브형 욕조로부터 공기를 배출시킨 후 튜브형 욕조를 환자로부터 이탈시키고, 본 장치를 하수구 등으로 이동시킨 후 이동형 물탱크의 물을 하수구 등으로 배출하는 것을 혼자서 원활히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의 개념도이며, 도 2는 도 1의 주요 배관 구성도이며, 도 3은 도 1의 튜브형 욕조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일부 절개 분리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의 측면도이며, 도 6은 도 1의 이동형 물탱크의 목욕 물 저장부와 오수 저장부의 수위 변화에 따른 상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의 사용상태 사시도이다.
본 이동 목욕기는 크게 튜브형 욕조(100), 이동형 물탱크(200), 중간 연결호스(300)로 이루어진다.
튜브형 욕조(100)는 공기 주입 및 공기 배출에 의하여 팽창 및 수축하는 튜브형태로 제작된다. 이는 욕조의 이동성을 보장하고 아울러 환자가 누워있는 자리에 본 튜브형 욕조(100)를 배치하기 위함이다.
통상적으로 튜브형 욕조(100)는 공기가 배출된 상태에서 이동된다.
또한 환자가 목욕공간(150)에 들어가도록 튜브형 욕조(100)를 배치하기 위하여, 누워있는 환자를 어느 일측으로 등이 보이도록 돌린다. 다음으로 공기가 배출된 상태의 튜브형 욕조(100)를 비어있는 환자의 타측에 배치한 후, 환자를 다시 그 타측으로 등이 보이도록 돌린 후 공기가 배출된 상태의 튜브형 욕조(100)의 나머지 절반을 환자의 일측에 배치시키면, 환자가 튜브형 욕조(100)의 중간부, 즉 목욕공간(150)에 위치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튜브형 욕조(100)에 공기를 주입하면 튜브형 욕조(100)가 팽창하여 욕조의 형태를 가지게 된다.
튜브형 욕조(10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바닥 튜브(110), 욕조벽용 튜브(120), 경사판 튜브(130), 등 지지용 튜브(140)의 4개의 독립된 튜브로서 이루어진다.
바닥 튜브(110)는 목욕공간(150)의 바닥면을 구성하게 되며, 공기 주입시 평 평한 매트 형상을 가지게 되며, 경사판 튜브(130) 및 등 지지용 튜브(140)와 함께 튜브형 욕조(100)의 바닥부를 이루게 된다.
바닥 튜브(110)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부로 욕조벽부가 형성된다.
욕조벽부는 바닥 튜브(110)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속하여 마련되어 폐곡선 형태를 이루게 되는 욕조벽용 튜브(120)와, 욕조벽용 튜브(120) 내부에 마련되는 다수의 형태유지부재(121)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도 4 참조).
욕조벽용 튜브(120)는 공기 주입에 의하여 바닥 튜브(110)와 함께 상부가 개방된 목욕공간(150)을 형성하게 된다. 즉 목욕공간(150)의 측면은 욕조벽용 튜브(120)에 의하여 둘러쌓이고, 목욕공간(150)의 하부는 바닥 튜브(110)에 의하여 밀폐된다.
한편, 튜브에 공기가 충진되면 공기의 압력은 골고루 튜브 내측을 외측으로 밀기 때문에 별도의 구조가 없다면 튜브는 원형을 이루게 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침대 등에 누워있는 환자를 목욕시키고자 할 경우 침대 위에 본 튜브형 욕조(100)를 설치하여야 하며, 이 경우 욕조벽용 튜브(120)가 수평방향으로 팽창한다면 그 수평방향으로 팽창한 부피만큼 환자가 목욕을 할 수 있는 공간, 즉 목욕공간(150)이 감소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욕조벽용 튜브(120) 내부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형태유지부재(121)가 서로 이격되어 마련된다. 형태유지부재(121)의 가장자리는 욕조벽용 튜브(120)의 내측과 결합되어 고정된다.
형태유지부재(121)는 수직으로 입설되되 다수의 통공(121a)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욕조벽용 튜브(120)는 그 형태유지부재(121)의 형태를 따라 팽창하여 폭이 좁으면서 높이가 높은 욕조벽 형태를 가지게 된다. 이에 의하여 매우 넓은 목욕공간(150)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형태유지부재(121)에는 다수의 통공(121a)이 형성되어, 욕조벽용 튜브(120)의 한 부위로 주입된 공기는 형태유지부재(121)의 다수의 통공(121a)을 지나 욕조벽용 튜브(120) 전체로 주입되게 된다.
이와 같이 바닥 튜브(110)와 욕조벽용 튜브(120)는 환자의 목욕을 위하여 팽창되는 부위이다.
이에 반하여 경사판 튜브(130)와 등 지지용 튜브(140)는 환자의 목욕시에는 팽창되지 않는다. 즉 공기가 주입되지 않는다.
경사판 튜브(130)와 등 지지용 튜브(140)는 본 튜브형 욕조(100)로부터 오수를 배출할 때 공기가 주입되어 팽창되는 부위이다.
경사판 튜브(130)는 바닥 튜브(110)의 하부에 마련되어 공기 주입시 경사판 형상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경사판 튜브(130)에 공기가 주입되면 경사판 형태로 변화되며, 아울러 그 상부에 마련된 바닥 튜브(110) 또한 경사판 튜브(130)에 지지되어 경사진 형태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바닥 튜브(110)의 상부에 저장된 물은 바닥 튜브(110)의 경사진 형태를 따라 어느 일측으로 흘러내려가 오수의 원활한 배출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등 지지용 튜브(140)는 바닥 튜브(110)의 상부에 마련되어 사용자의 등 부위와 직접 접촉하게 된다.
아울러 등 지지용 튜브(140)에 공기가 주입되면 등 지지용 튜브(140)는 사용자의 등을 부분적으로 지지하는 형태로 변화된다.
이에 의하여 오수가 배출될 때 사용자의 등 하부에 잔존하는 물들도 완전히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등 지지용 튜브(140)가 사용자의 등을 선 형태로 지지하여 선과 선 사이에는 물이 흘러내려갈 수 있는 공간, 즉 배수로가 형성된다.
물론 실시예에 따라서는 등 지지용 튜브(140)에 공기가 주입되면 다수의 점 형태로 환자의 등을 지지하도록 하여 물이 흘러내려갈 수 있는 공간, 즉 배수로를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튜브형 욕조(100)는 중간 연결 호스(300)를 매개로 이동형 물탱크(200)에 연결된다.
이동형 물탱크(200)는, 하부의 장치 실장부(210)와, 장치 실장부(210)의 상부에 마련되는 저장조(220)로 구분될 수 있다.
장치 실장부(210)에는 냉수 펌프 등의 물 펌프 내지 공기 펌프 등의 장치 및 주변 배관들이 내장되며, 그 하부에는 다수의 이동용 바퀴(211)들이 마련된다(도 1 참조).
따라서 본 이동형 물탱크(211)는 이동용 바퀴(211)에 의하여 원하는 위치로 쉽게 이동할 수 있다.
장치 실장부(210)에 내장된 각종 장치들은 추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저장조(220)가 마련되며, 저장조(220)의 내부는 유연성 격막(221)에 의하여 구분됨으로써 그 구분된 공간에 목욕물 저장부(222)와 오수 저장부(223)가 각각 형성된다.
결과적으로 목욕물 저장부(222)와 오수 저장부(223)는 이동형 물탱크(200)에 함께 마련되며, 하나의 저장조(220)를 공유하게 된다.
유연성 격막(221)이란 막 형태로 형성되되 그 형태가 자유롭게 변형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목욕물 저장부(222)에 물이 차면 유연성 격막(221)은 목욕물 저장부(222)의 공간이 늘어나도록 변형되며, 오수 저장부(223)에 물이 차면 유연성 격막(221)은 오수 저장부(223)의 공간이 늘어나도록 변형된다.
따라서 목욕물 저장부(222)의 부피와 오수 저장부(223)의 부피는 서로 조합되어 변동가능하다. 즉 목욕물 저장부(222)의 부피가 늘어나면 오수 저장부(223)의 부피가 감소하고, 오수 저장부(223)의 부피가 늘어나면 목욕물 저장부(222)의 부피가 감소하는 관계를 가진다.
이와 같이 유연성 격막(221)에 의하여 목욕물 저장부(222)와 오수 저장부(223)가 함께 형성되며, 또한 그 부피가 서로 조합되어 변동되는 형태이므로, 전체적인 이동형 물탱크(200)의 부피를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즉, 목욕물 저장부(222)는 환자를 목욕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물을 미리 받아두는 공간이며, 목욕물 저장부(222)에 저장된 물은 환자의 목욕시에 사용된다.
또한 오수 저장부(223)는 목욕이 끝난 후 목욕공간(150)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저장하는 공간으로서, 오수 저장부(223)에 저장된 오수는 본 이동형 물탱크(200)를 하수구로 이동시킨 후 배출시키게 된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목욕물 저장부(222)와 오수 저장부(223)를 동시에 사용하는 경우는 거의 발생하지 않으므로, 유연성 격막(221)에 의하여 저장조(220)를 주로 목욕물 저장부(222)로 사용하거나 혹은 주로 오수 저장부(223)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오수 저장부(223)에는 수직판(224)이 수직으로 마련되며, 수직판(224)에는 다수의 관통공(224a)이 형성되어 있다.
수직판(224)은 오수 저장부(223)를 고정 공간(223a)과 가변 공간(223b)으로 구획하는 역할을 한다.
고정 공간(223a)은 저장조(220)의 벽체와 수직판(224)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으로서 그 부피가 고정되어 있는 공간이다.
가변 공간(223b)은 수직판(224)과, 저장조(220)의 벽체와, 유연성 격막(221)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으로서, 유연성 격막(221)의 형태 변화에 따라 그 부피가 가변되는 공간이다.
물론 수직판(224)에는 다수의 관통공(224a)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고정 공간(223a)과 가변 공간(223b)의 물은 서로 유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직판(224)을 두는 이유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유연성 격막(221)을 이용하므로, 만일 수직판(224)이 없는 상태 에서 목욕물 저장부(222)에 물을 채우면 유연성 격막(221)은 저장조(220) 전체가 목욕물 저장부(222)로 이용되도록 그 형태가 변형될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목욕물 저장부(222)에 저장된 물을 일부만 사용한 후 즉 목욕물 저장부(222)에 상당량의 물이 차 있는 상태에서 목욕공간(150)의 오수를 오수 저장부(223)로 배출한다면, 오수 저장부(223)의 물이 유연성 격막(221)을 밀어내지 못하여 목욕물 저장부(222)가 하부에 남아있는 상태에서 오수 저장부(223)의 물은 유연성 격막(221)의 상부에 적체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오수 저장부(223)의 물을 배출하고자 할 때 오수 저장부(223)의 물이 하부로 원활히 배출되지 못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오수 저장부(223)의 물이 물의 압력을 이용하여 유연성 격막(221)을 효과적으로 밀어낼 수 있도록 수직판(224)에 의하여 보호되는 고정공간(223a)을 형성한 것이다.
고정공간(223a)에 물이 차게 되면 고정공간(223a)에 찬 물들은 물의 압력으로 유연성 격막(221)을 밀어내어 가변공간(223b)의 부피를 확장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상황은 도 6에 의하여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이동 목욕기의 각종 배관부들을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먼저 목욕물 저장부(223)에 저장된 깨끗한 물을 목욕공간(150)으로 공급하기 위한 목욕물 공급용 배관부(400)가 마련된다.
목욕물 공급용 배관부(400)는 목욕물 저장부(223)에 각각 연결되는 냉수 펌 프(401)와 온수 펌프(402), 온수 펌프(402)와 목욕물 저장부(223) 사이에 마련되는 온수용 히터(40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목욕물 공급용 배관부(400)는 냉수 펌프(40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냉수 배관부와, 온수용 히터(403) 및 온수 펌프(40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온수 배관부로 이루어진다.
냉수 펌프(401), 온수 펌프(402), 온수용 히터(403)는 장치 실장부(210)에 실장된다.
목욕물 공급용 배관부(400)는 중간 연결호스(300)를 지나 튜브형 욕조(100)의 목욕공간(150)까지 연장된다.
즉 목욕물 공급용 배관부(400)의 단부는 목욕공간(150)에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위치에 마련된다.
401a는 냉수용 개폐 밸브이며, 402a는 온수용 개폐 밸브이다.
아울러 목욕공간(150)에 저장된 물, 즉 오수를 오수 저장부(223)로 배출하기 위한 오수 배출용 배관부(500)가 마련된다.
오수 배출용 배관부(500)는 오수 펌프(50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오수 펌프(401)를 사이에 두고 목욕공간(150)과 오수 저장부(223)가 연결된다.
오수 펌프(401)는 장치 실장부(210)에 실장되어 있다.
501a는 오수용 개폐 밸브로서 튜브형 욕조(110) 측에 마련된다.
아울러 501b는 잔물 제거용 개폐 밸브이다. 오수 펌프(501)가 가동될 때 잔물 제거용 개폐 밸브(501b)를 개방하면 목욕물 공급용 배관부(400)에 잔류하는 잔 물이 오수 펌프(401)에 의하여 오수 저장부(223)로 배출되어 목욕물 공급용 배관부(400)에 잔류하는 물이 없어지게 된다.
튜브형 욕조(100)에 공기를 주입하거나 튜브형 욕조(100)에 주입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하여 공기 주입 및 배출용 배관부(600)가 마련된다.
공기 주입 및 배출용 배관부(600)는 장치 실장부(210)에 실장된 공기 펌프(601)에 의하여 4개의 튜브, 즉 바닥 튜브(110), 욕조벽용 튜브(120), 경사판 튜브(130), 등 지지용 튜브(140) 각각에 공기를 주입할 수 있다.
통상 바닥 튜브(110) 및 욕조벽용 튜브(120)에 공기가 동시에 주입되며, 경사판 튜브(130)와 등 지지용 튜브(140)에 공기가 동시에 주입된다.
이는 목욕을 위하여 바닥 튜브(110) 및 욕조벽용 튜브(120)에 공기가 주입되어야 하며, 아울러 목욕 후 목욕공간(150)에 저장된 물을 원활하게 배출하기 위하여 경사판 튜브(130)와 등 지지용 튜브(140)에 공기가 주입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목욕공간(150)에 저장된 물의 배출 후 4개의 튜브(110, 120, 130, 140)에 주입된 공기의 배출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공기 펌프(601)로서 기어 펌프를 사용하여 기어 펌프의 정회전과 역회전을 이용하여 공기의 주입과 배출을 하나의 장치로서 수행하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공기 주입용 펌프와 공기 배출용 펌프를 별도로 마련할 수 있다.
602, 603, 604, 605는 공기 주입용 개폐 밸브이며, 606, 607은 공기 배출용 개폐 밸브이다.
아울러 608, 609는 공기압에 의하여 개폐되는 체크 밸브이다.
체크 밸브(608)는 공기 배출시 튜브(110, 120, 130, 140)에 주입된 공기의 압력에 의하여 공기가 외부로 곧바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며, 체크 밸브(609)는 공기 배출시에만 개방되도록 설계되어 공기 펌프(601)에 의하여 각 튜브(110, 120, 130, 140)의 공기가 배출되도록 한 것이다.
목욕물 공급용 배관부(400), 오수 배출용 배관부(500), 공기 주입 및 배출용 배관부(600)의 단부가 튜브형 욕조(100)에서 고정된 위치에 고정되도록, 튜브형 욕조(100)에는 배관 고정대(160)가 고정 마련된다.
즉 배관 고정대(160)에는 목욕물 공급용 배관부(400), 오수 배출용 배관부(500), 공기 주입 및 배출용 배관부(600)의 각각의 단부가 마련된다.
아울러 배관 고정대(160)에 그 일단이 마련된 목욕물 공급용 배관부(400)에는 샤워기(700)가 착탈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환자의 목욕을 위하여 목욕공간(160)에 물을 채우는 것은 물론이며, 샤워기(700)를 이용하여 환자의 몸에 물을 뿌리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튜브형 욕조(100)에 마련된 배관 고정대(160)에는 목욕공간(150)의 수온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가온기(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가온기(미도시)는 전열 히터이거나 혹은 목욕물 공급용 배관부(400)의 온수용 히터(403)를 거친 온수에 의하여 목욕공간(150)의 물을 가열시키는 열교환기일 수 있다.
한편 목욕공간(150)에 환자를 입욕시킬 경우 환자가 팔 또는 다리 수술로 깁스를 하고 있는 경우 일반적으로 목욕을 할 수 없다. 이 경우 도 7과 같이 보조튜 브(800)가 깁스 부위를 감싸도록 장착한 후 그 개방부를 밀폐시킴으로써 환자의 목욕이 가능하다.
도 2에서 부호 223c는 오수 저장조(223)의 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용 밸브이다.
또한 도 2 및 도 7에서 부호 222a는 목욕물 저장부(222)에 물을 받기 위한 물받이 호스이다.
본 실시예에서 각종 밸브, 펌프 등은 이동형 물탱크(200) 상단에 마련된 컨트롤박스에서 자동제어되거나 사용자에 의하여 수동제어될 수 있다.
또한 목욕공간(150)에 찬 물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 등이 마련되어 목욕공간(150)의 수온을 적절히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각 튜브(110, 120, 130, 140)에 연결되는 공기 주입 및 배출용 배관부(600)에는 압력계가 마련되어 압력계에 의하여 각 밸브 및 공기 펌프(601)가 자동 정지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튜브형 욕조(100)와 이동형 물탱크(200)를 서로 연결하기 위하여 중간 연결 호스(300)를 착탈가능하게 마련하고, 중간 연결 호스(300)를 따라 각종 전기선은 물론이며, 목욕물 공급용 배관부(400), 오수 배출용 배관부(500), 공기 주입 및 배출용 배관부(600)가 지나가도록 설계하였다.
아울러 본 실시예의 각종 배관부는 하나의 예일 뿐이며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일 뿐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누워서 지내는 환자 등을 목욕시키기 위하여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의 개념도이며, 도 2는 도 1의 주요 배관 구성도이며, 도 3은 도 1의 튜브형 욕조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일부 절개 분리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의 측면도이며, 도 6은 도 1의 이동형 물탱크의 목욕물 저장부와 오수 저장부의 수위 변화에 따른 상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의 사용상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튜브형 욕조
110 : 바닥 튜브 120 : 욕조벽용 튜브
130 : 경사판 튜브 140 : 등 지지용 튜브
150 : 목욕공간 160 : 배관 고정대
200 : 이동형 물탱크 210 : 장치 실장부
211 : 이동용 바퀴 220 : 저장조
221 : 유연성 격막 222 : 목욕물 저장부
223 : 오수 저장부 224 : 수직판
300 : 중간 연결호스
400 : 목욕물 공급용 배관부
500 : 오수 배출용 배관부
600 : 공기 주입 및 배출용 배관부

Claims (6)

  1.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부로 형성되는 욕조벽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공기 주입시 상부가 개방된 목욕공간을 형성하는 튜브형 욕조 ;
    상부에 목욕물 저장부와 오수 저장부가 함께 마련되며, 하부에 이동형 바퀴들이 마련되어 이동이 가능한 이동형 물탱크 ;
    상기 목욕물 저장부에 저장된 물을 상기 목욕공간으로 공급하기 위한 목욕물 공급용 배관부 ;
    상기 목욕공간에 저장된 물을 상기 오수 저장부로 배출하기 위한 오수 배출용 배관부 ;
    상기 튜브형 욕조에 공기를 주입하거나 상기 튜브형 욕조에 주입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하여 마련되는 공기 주입 및 배출용 배관부 ;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물탱크의 목욕물 저장부와 오수 저장부는 하나의 저장조가 유연성 격막에 의하여 구분됨으로써 형성되어, 상기 목욕물 저장부의 부피와 상기 오수 저장부의 부피가 상기 유연성 격막에 의하여 서로 변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목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형 욕조의 바닥부는, 공기 주입시 평평한 매트 형상을 가지는 바닥 튜브와, 상기 바닥 튜브의 하부에 마련되어 공기 주입시 경사판 형상을 가지는 경사판 튜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목욕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튜브의 상부에 마련되어 공기 주입시 사용자의 등을 부분적으로 지지하여 사용자 등 부위의 물의 배수를 원활히 하는 등 지지용 튜브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목욕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욕조벽부는, 상기 바닥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속하여 마련되는 욕조벽용 튜브와, 상기 욕조벽용 튜브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마련되되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어 수직으로 입설되되 그 가장자리가 상기 욕조벽용 튜브의 내측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형태유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목욕기.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수 저장부에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수직판이 수직으로 마련되어, 상기 오수 저장부가 상기 저장조의 벽체와 상기 수직판에 의하여 형성되는 고정 공간과 상기 수직판, 상기 저장조의 벽체 및 상기 유연성 격막에 의하여 형성되는 가변 공간으로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목욕기.
KR1020090080261A 2009-08-28 2009-08-28 이동 목욕기 KR1011416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0261A KR101141630B1 (ko) 2009-08-28 2009-08-28 이동 목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0261A KR101141630B1 (ko) 2009-08-28 2009-08-28 이동 목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2808A KR20110022808A (ko) 2011-03-08
KR101141630B1 true KR101141630B1 (ko) 2012-05-21

Family

ID=43931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0261A KR101141630B1 (ko) 2009-08-28 2009-08-28 이동 목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163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1806A (ko) * 2014-04-22 2015-10-30 신흥식 다용도 이동식 목욕장치
KR20190025427A (ko) 2017-09-01 2019-03-11 (주)에어박스 노약자용 욕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1872B1 (ko) * 2018-06-04 2020-03-20 박천국 욕조 겸용 침대
US11877966B2 (en) * 2021-08-25 2024-01-23 Onwai, LLC Personal hygienic shower, system, and method of us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78737A (ja) * 1997-12-19 1999-07-06 Katsuo Ebara 携帯用風呂
JP2001169954A (ja) * 1999-12-16 2001-06-26 Twinbird Corp 簡易シャワー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78737A (ja) * 1997-12-19 1999-07-06 Katsuo Ebara 携帯用風呂
JP2001169954A (ja) * 1999-12-16 2001-06-26 Twinbird Corp 簡易シャワー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1806A (ko) * 2014-04-22 2015-10-30 신흥식 다용도 이동식 목욕장치
KR101597422B1 (ko) * 2014-04-22 2016-03-07 신흥식 다용도 이동식 목욕장치
KR20190025427A (ko) 2017-09-01 2019-03-11 (주)에어박스 노약자용 욕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2808A (ko) 2011-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471302A (en) Collapsible bathtub
KR101141630B1 (ko) 이동 목욕기
US755747A (en) Bath-tub.
JP5711799B2 (ja) 浴槽
US20020125179A1 (en) Air cushion bed with water-draining device
JP6890869B1 (ja) 介護用浴槽及びその使用方法
WO2017027941A1 (pt) Aperfeiçoamento introduzido em aparelho para banhos de leito
JP5266553B2 (ja) 介護用入浴装置
RU159069U1 (ru) Гибкая ванна-комбинезон
JP2006014854A (ja) 入浴装置
KR20150019824A (ko) 간병용 침대
US11877966B2 (en) Personal hygienic shower, system, and method of use
JP3741988B2 (ja) 介護用浴槽装置
JPH10290823A (ja) 据置使用の介護用伸縮浴槽及びそのユニット
JP5380568B2 (ja) 省エネルギ多機能浴室
JP6816061B2 (ja) 浴槽内昇降装置
CN109497866B (zh) 一种用于儿科护理用的新式清洗器
CN210170560U (zh) 一种可折叠恒温坐浴盆
KR20190000240U (ko) 이동식 샤워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식 샤워장치 시스템
CN209662315U (zh) 一种妇科冲洗装置
KR20160008765A (ko) 목욕 장치
JP2004173969A (ja) 入浴・洗髪装置
JPH09327412A (ja) 入浴用器具
KR200250538Y1 (ko) 거동이 불편한 자를 위한 간이 욕조
JP2007209581A (ja) 介護用入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