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1582B1 - Pet body wastes processing unit - Google Patents
Pet body wastes processing uni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41582B1 KR101141582B1 KR1020090112534A KR20090112534A KR101141582B1 KR 101141582 B1 KR101141582 B1 KR 101141582B1 KR 1020090112534 A KR1020090112534 A KR 1020090112534A KR 20090112534 A KR20090112534 A KR 20090112534A KR 101141582 B1 KR101141582 B1 KR 10114158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e
- excretion
- pet
- washing liquid
- excrement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29142 excre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7
- 210000003608 fece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9000011324 bea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2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5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9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4927 clay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9
- 239000000645 desinfec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3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8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0249 desinf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0871 livestock man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13872 defe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8399 tap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5000020679 tap wa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10000002700 urine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41000282472 Canis lupus familiaris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41000282326 Felis catus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1012 sanit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8314 Echinocereus dasyacanth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5595 Echinocereus dasyacanth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44 anti-bacter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21 anti-sep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395 bree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88 bree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99 deter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50 fe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573 porcelai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52 repet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9 tra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303 wrinkles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07—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07—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 A01K1/011—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with means for removing excrement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07—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 A01K1/0114—Litter boxes with screens for separating excrement from litt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애완동물 배설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몸체의 내부에 구비되는 배설판이 애완동물의 배설물을 하부방향으로 배출시켜 상기 몸체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애완동물의 배설물을 보다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슬부재가 상기 배설판에 일정간격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기 때문에 상기 배설판의 상부에 위치한 애완동물의 배설행위를 보다 용이하게 유도할 수 있는 애완동물 배설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t waste treatment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because the excretory plate provided inside the body to be discharged in the downward direction of the pet waste to be accommodated in the interior of the body feces Not only can be more easily handled, because the bead member is rotatably provid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excrement plate pet waste treatment that can more easily induce the excretion of pets located on the top of the excretion plate Relates to a device.
몸체, 배설판, 구슬부재 Body, Drain Board, Bead Member
Description
본 발명은 애완동물의 배설물을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음은 물론, 애완동물의 배설행위를 보다 용이하게 유도할 수 있는 애완동물 배설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t waste treatment apparatus that can easily wash the feces of the pet, as well as more easily induce the excretion of the pet.
일반적으로, 강아지, 고양이 등 다양한 종류의 애완동물을 사육하는 가정이 최근들어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고, 특히 애완견에 대하 사람들의 관심과 애정이 날로 증가되고 있다.In general, families breeding various kinds of pets such as dogs and cats are increasing rapidly in recent years, and people's interest and affection for pets are increasing day by day.
하지만, 훈련되지 않은 애완견은 이불, 침대 등 실내 아무 곳에나 배설행위를 행하게 된다.However, untrained pets will be excreted anywhere in the room, such as a blanket or bed.
따라서, 실내에서 청결하고, 불편없이 애완동물을 사육하기 위해서는 애완동물이 일정한 장소에서 배설행위를 행할 수 있도록 반드시 반복훈련이 요구된다.Therefore, in order to clean pets indoors without any inconvenience, repetitive training is required so that pets can perform excretion in a certain place.
이로 인해 강아지, 고양이 등의 애완동물의 배설물을 처리하기 위해 애완동물용 간이변기가 다양하게 제안되고 있다.For this reason, a variety of pet toilet bowls have been proposed to treat feces of pets such as dogs and cats.
한편, 종래의 애완동물용 간이변기는 대게, 애완동물의 소변을 하부로 배출 할 수 있도록 격자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양측에는 손잡이가 구비되고, 상기 손잡이의 하부에는 결합부재를 형성한 망체와 상기 망체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망체를 통해 하부로 배출되는 애완동물의 소변이 수용되도록 하며, 상기 손잡이의 하부에 구비된 결합부재가 원터치로 결합되는 상부만이 개방된 배변받침대로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the conventional simple toilet for pets is usually made of a lattice shape so as to discharge the urine of the pet to the bottom, the handle is provided on both sides, the lower portion of the handle and the mesh formed the coupling member and the network It is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pet to be discharged to the urine discharged through the lower body is received, the upper portion of the coupling member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handle is combined with one touch is made of an open bowel support.
그러나, 종래의 애완동물용 간이변기는 애완동물이 배설의 욕구를 느낄 때마다 스스로 상기 애완동물용 간이변기로 이동하여 배설행위를 행할 수 있도록 하는 훈련이 선행되어야 하고, 배설행위를 행한 경우 사육자가 배설물을 수거하여 양변기 등에 처리한 후 양변기를 세척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However, conventional pet toilet bowls should be trained to allow the pets to move themselves to the pet toilet bowl whenever they feel the need for excretion, and the breeder should have been excreted. There is a hassle to wash the toilet after collecting excrement and treatment in the toilet.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애완동물용 간이 변기에 있어서, 내부에 애완동물의 배설물을 수용할 수 있게 상부가 열린 분뇨수납실을 갖는 본체와; 상기 분뇨수납실의 바닥면과 이격된 상태로 상기 분뇨수납실을 개폐시키되 상기 분뇨수납실을 개방시키는 위치로 이동시에는 경사지게 승강될 수 있게 상기 본체에 설치된 배변판과; 상기 배변판을 상기 분뇨수납실의 개폐방향을 따라 승하강 구동할 수 있게 상기 본체에 설치된 승하강 구동부와; 상기 배변판에 애완동물의 탑승유무를 검출할 수 있도록 설치된 센서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세척에 필요한 세척수를 저수하는 급수통과; 상기 급수통과 연통되게 연결되어 저수된 세척수를 상기 배변판에 선택적으로 토출할 수 있게 설치된 토출부와; 상기 센서의 출력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배변판에 배설물이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세척수에 의해 세척되어 상기 분뇨수납실내로 저장되도록 상기 승하강 구동부 및 상기 토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간이 변기(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598034호)가 제안된 바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pet toilet bowl, the main body having a manure storage room is opened at the top to accommodate the feces of the pet inside; A defecation plate installed in the main body to be opened and closed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manure storage chamber so as to be inclinedly elevated when moved to a position for opening the manure storage chamber; A lifting and lowering driving unit installed on the main body to drive the bowel movement along the opening and closing direction of the manure storage chamber; A sensor installed on the defecation board to detect whether a pet is present; A water supply tank installed in the main body to store washing water for washing; A discharge unit connected to the water container so as to selectively discharge the wash water stored in the defecation plate;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elevating drive unit and the discharge unit to be washed by the washing water and stored in the manure storage chamber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excrement in the defecation plate using the output signal of the sensor. A simple toilet bowl for domestic use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0598034) has been proposed.
상기 애완동물용 간이 변기는 상기 배변판에 애완동물의 탑승유무를 검출하는 상기 센서가 출력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부가 상기 승하강 구동부 및 상기 토출부를 제어하여 상기 배변판에 있는 배설물을 세척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The simple toilet for the pet may wash the excrement in the bowel plate by controlling the lifting and lowering drive unit and the discharge unit in accordance with a signal output by the sensor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pets on the bowel plate. But to ensure that
상기 배변판에 있는 배설물을 세척할 경우 세척수의 흐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배변판의 상면이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구동하는 상기 승하강 구동부에 의해 경사진 상태가 되지만, 상기 배변판의 상면이 경사진 상태만으로는 상기 배변판 뿐만 아니라 상기 배변판에 있는 배설물을 용이하게 세척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애완동물의 배설행위를 용이하게 유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In order to facilitate the flow of washing water when washing the feces in the bowel plate, the upper surface of the bowel plate is inclined by the elevating drive unit driven by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the upper surface of the bowel plate Not only the inclined state can not easily wash the feces in the bowel plate as well as the bowel plate has a problem that can not easily induce the excretion of the pet.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애완동물의 배설물을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음은 물론, 애완동물의 배설행위를 보다 용이하게 유도할 수 있는 애완동물 배설물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s possible to easily wash the feces of the pet, as well as to provide a pet feces processing apparatus that can more easily induce the excretion of the pet. For that purpos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부에 위치한 애완동물의 배설물을 하부방향으로 배출시켜 상기 몸체의 내부에 애완동물의 배설물이 수용될 수 있도록 하는 배설판과; 상기 배설판에 일정간격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배설판의 상부에 위치한 애완동물의 배설행위를 유도하는 구슬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배설물 처리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nd the body; An excretory plate provided inside the body and discharging the excretion of the pet located in the lower direction so that the excretion of the pet can be accommodated inside the body; It is provided rotatably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excretion plate bead member to induce excretion of the pet located on the top of the excretion plate; provides a pet waste treatment apparatus comprising a.
여기서, 상기 배설판은 상기 몸체의 내부 일측 상부에 축결합되는 일측 배설판과; 상기 몸체의 내부 타측 상부에 축결합되는 타측 배설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몸체의 내부에는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신장되어 상기 일측 배설판의 타측과 상기 타측 배설판의 일측을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시키는 실린더;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excretion plate and the one side excretion plate coupled to the inner one side upper portion of the body; The other side of the body axially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upper side; consisting of, the length of the body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elongated to rotate the other side and one side of the other side of the excretory plate in the vertical direction Cylinder; is preferably provided.
그리고, 상기 몸체에는 상기 배설판으로 세척액을 분사하는 세척액분사부가 구비되고, 상기 세척액분사부는 상기 배설판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몸체의 내부 상측에 전후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전후이동판과; 상기 전후이동판의 타측 하부와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하여 상기 전후이동판을 전후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키는 트래버스가이드와; 상기 트래버스가이드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전후이동판의 저면에 일정간격으로 구비되어 상기 배설판으로 세척액을 분사하는 분사하는 노즐과; 상기 노즐로 세척액을 공급하는 공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And, the body is provided with a washing liquid spraying unit for spraying the washing liquid to the excretion plate, the washing liquid spraying unit and the front and rear movable plate which is provided to be moved back and forth on the inner upper side of the body so as to be located above the excretion plate; A traverse guide which rotates in the state coupled with the other lower portion of the front and rear movable plate to reciprocate the front and rear movable plat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A drive motor for rotating the traverse guide; A nozzle which is provid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ront and rear movable plate to inject a washing liquid into the excretion plate;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supply unit for supplying a washing liquid to the nozzle.
아울러, 상기 배설판의 상부에 위치한 애완동물을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상기 감지센서의 감지유지시간과 기설정된 기준시간을 비교하는 판단부가 구비되고, 상기 판단부의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실린더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a pet located on the top of the excretory plate; A determination unit for comparing the detection holding time and the predetermined reference time of the detection sensor is provided,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cylinder according to the output signal of the determination unit;
또한, 상기 몸체의 내부에는 상기 몸체의 내부에 수용된 애완동물의 배설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수중펌프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inside of the body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n underwater pump for discharging the excretion of the pet contained in the interior of the body to the outside.
그리고, 상기 몸체의 일측 상부 및 후측 상부에는 배설행위를 행하는 애완동물이 들어올린 다리와 접하는 지지판이 각각 수직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upport plates in contact with the legs lifted by the pets performing the excretion are vertically formed on one side upper part and the rear upper part, respectively.
아울러, 상기 몸체의 타측면에는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가능하게 회전이동판이 축결합되고, 상기 회전이동판을 통해 애완동물이 상기 배설판의 상부로 보다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other side of the body is rotatably coupled to the rotary plate to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pet is more easily mov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excretion plate through the rotary plate.
더불어, 상기 구슬부재는 점토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bead member is preferably made of a clay material.
본 발명은 몸체의 내부에 구비되는 배설판이 애완동물의 배설물을 하부방향으로 배출시켜 상기 몸체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애완동물의 배설물을 보다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슬부재가 상기 배설판에 일정간격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기 때문에 상기 배설판의 상부에 위치한 애완동물의 배설행위를 보다 용이하게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because the excretion plate provided in the interior of the body to be discharged in the downward direction to be accommodated inside the body to discharge the feces of the pet as well as more easily to handle the feces of the pet as well as the bead member Since the excretory plate is rotatably provid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here is an effect that can more easily induce excretion of the pet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excretory plate.
그리고, 일측 및 타측 배설판을 실린더가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신장됨과 동시에 상기 일측 및 타측 배설판의 타측 및 일측을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시키기 때문에 애완동물의 배설물을 보다 용이하게 하부방향으로 배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excrement plate is extend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t the same time the other side and one side of the excretion plate rotates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feces of the pet can be discharged in the lower direction more easily It has an effect.
나아가, 상기 몸체에는 상기 배설판으로 세척액을 분사하는 세척액분사부가 구비되고, 상기 세척액분사부는 전후이동판, 트래버스가이드, 구동모터, 노즐 및 공급부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배설판과 상기 배설판의 상부에 위치한 애완동물의 배설물을 보다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urther, the body is provided with a washing liquid spraying unit for spraying the washing liquid to the excretion plate, the washing liquid spraying portion is composed of the front and rear movable plate, traverse guide, drive motor, nozzle and supply portion on the top of the excretion plate and the excretion plat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more easily wash the excrement of the pet located.
아울러, 감지센서와, 상기 감지센서의 감지유지시간과 기설정된 기준시간을 비교하는 판단부의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실린더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되기 때문에 상기 판단부의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일측 및 타측 배설판의 타측 및 일단을 상하방향으로 보다 용이하게 회전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sensor and th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cylinder according to the output signal of the determination unit for comparing the detection holding time and the predetermined reference time of the detection sensor is provided with the one side and the other side excretion plate in accordance with the output signal of the determination unit. The other side and one end of the has an effect that can be moved more easily in the vertical direction.
그리고, 상기 몸체의 내부에는 상기 몸체의 내부에 수용된 애완동물의 배설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수중펌프가 구비되기 때문에 상기 세척액분사부에 의해 상기 몸체의 내부에 수용된 애완동물의 배설물을 외부로 보다 더욱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nd, since the inside of the body is provided with a water pump for discharging the excrement of the pet contained in the inside of the body to the outside more easily to the outside of the pet excretion contained in the body by the washing liquid spraying unit to the outside It can be discharged quickly.
또한, 상기 몸체의 일측 상부 및 후측 상부에 배설행위를 행하는 애완동물이 들어올린 다리와 접하는 지지판이 각각 수직형성되기 때문에 배설행위를 행할 때 다리를 들고 배설행위를 행하는 습성이 있는 애완동물이 보다 용이하게 배설행위를 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 plate contacting the leg lifted by the pet to perform the excretion on the upper side and the upper side of the body, respectively, is vertically formed, so that the habitable pet carrying the excrement when lifting the leg is easier It is effective to perform excretion.
아울러, 상기 몸체의 타측면에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가능하게 회전이동판이 축결합되고, 상기 회전이동판을 통해 애완동물이 상기 배설판의 상부로 보다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체구가 작은 애완동물도 보다 용이하게 배설행위를 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rotating plate is axially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body so as to be rotat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pet is small because the pet can easily move to the upper portion of the excretory plate through the rotating plat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more easily perform excretion.
더불어, 상기 구슬부재가 점토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배설행위를 행할 때 땅을 파는 습성이 있는 애완동물이 보다 용이하게 배설행위를 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교체 또한 편리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bead member is made of a clay material, the pet having a habit of digging when excrement is not only able to easily excrete, but also replaceabl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Of cours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xamples,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애완동물 배설물 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et waste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애완동물 배설물 처리장치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몸체(10), 배설판(30) 및 구슬부재(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Pet excrement processing apparatus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s 1 and 2, largely comprises a
먼저, 상기 몸체(10)는 건축물의 실내 또는 실외에 설치되는 것이다.First, the
상기 몸체(10)는 도자기재질 또는 플라스틱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다음으로, 상기 배설판(30)은 상부에 위치한 강아지, 고양이를 포함한 애완동물의 배설물(도 5의 8)을 하부방향으로 배출시켜 상기 몸체(10)의 내부에 애완동물의 배설물(8)이 수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Next, the
상기 배설판(30)은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의 내부에 구비된다.The
그리고, 상기 배설판(30)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판부(30a)와, 돌출 부(30b)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1, the
상기 판부(30a)의 상부에는 좌우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형성된 상기 돌출부(30b)가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상측으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An upper portion of the
또한, 상기 판부(30a)에는 상기 돌출부(30b) 사이에 위치하도록 좌우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형성되는 슬릿형상의 관통구(30c)가 일정간격으로 복수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상기 관통구(30c)를 통해 상기 배설판(30)의 상부에 위치한 애완동물의 배설물(8)이 하부방향으로 보다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The
다음으로, 상기 구슬부재(50)는 상기 배설판(30)의 상부에 위치한 애완동물의 배설행위를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Next, the
상기 구슬부재(50)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배설판(30)의 돌출부(30b)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된 상태로 구비된다.The
도 3은 일측 배설판(310)의 타측과 타측 타설판(330)의 일측이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하고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other side of the one
여기서, 상기 배설판(30)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의 내부 일측 상부에 축결합되는 일측 배설판(310)과; 상기 몸체(10)의 내부 타측 상부에 축결합되는 타측 배설판(330);으로 구성되는 것이 좋다.Here, the
그리고, 상기 몸체(10)의 내부에는 도 2 및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하방향 으로 길이가 신장되어 상기 일측 배설판(310)의 타측과 상기 타측 배설판(330)의 일측을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시키는 실린더(110);가 구비되는 것이 좋다.The length of the
이때, 상기 실린더(110)의 상단에는 도 3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평바(111)가 수평방향으로 용접고정될 수 있다.In this case, as shown in a of FIG. 3, the
상기 수평바(111)의 일단과 상기 일측 배설판(310)의 타단 사이에는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신장되는 상기 실린더(110)에 의해 상기 일측 배설판(310)의 타측을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시키는 일측 회전이동바(112)가 구비될 수 있다.Between the one end of the
그리고, 상기 수평바(111)의 타단과 상기 타측 배설판(330)의 일단 사이에는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신장되는 상기 실린더(110)에 의해 상기 타측 배설판(330)의 일측을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시키는 타측 회전이동바(113)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between the other end of the
이때, 상기 일측 회전이동바(112)의 상단은 상기 일측 배설판(310)의 타단에 축고정되고, 하단은 상기 수평바(111)의 일단에 축고정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upper end of the one-
그리고, 상기 타측 회전이동바(113)의 상단은 상기 타측 배설판(330)의 일단에 축고정되고, 하단은 상기 수평바(111)의 타단에 축고정될 수 있다.In addition, an upper end of the other side of the
이와 같이 상기 일측 및 타측 배설판(310, 330)을 상기 실린더(110)가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신장됨과 동시에 상기 일측 및 타측 배설판(310, 330)의 타측 및 일측을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시키기 때문에 애완동물의 배설물(8)을 보다 용이하게 하부방향으로 배출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length of the
도 4는 세척액분사부(130)가 배설판(30)으로 세척액(도 5의 9)을 분사하고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5는 세척액분사부(130)가 배설판(30)으로 세척액(9)을 분사하고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4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washing
여기서, 상기 몸체(10)에는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배설판(30)으로 세척액(9)을 분사하는 세척액분사부(130)가 구비되는 것이 좋다.Here, the
상기 세척액분사부(130)는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전후이동판(131), 트래버스가이드(132), 구동모터(133), 노즐(134) 및 공급부(도 6의 136)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washing
상기 전후이동판(131)은 상기 배설판(3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몸체(10)의 내부 상측에 전후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The front and
상기 트래버스가이드(132)는 공지된 것으로써, 상기 전후이동판(131)의 타측 하부와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하여 상기 전후이동판(131)을 전후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킬 수 있다.As the
상기 구동모터(133)는 상기 트래버스가이드(132)를 회전시킬 수 있다.The
상기 노즐(134)은 상기 전후이동판(131)의 저면에 일정간격으로 구비되어 상기 배설판(30)으로 세척액(9)을 스프레이방식으로 분사할 수 있다.The
상기 공급부(136)는 상기 노즐(134)로 세척액(9)을 공급할 수 있다.The
이때, 상기 트래버스가이드(132)는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타측 배설판(330)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몸체(10)의 내부 타측 상부에 후단부가 관통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그리고, 상기 일측 및 타측 배설판(310, 330)의 상측에 위치하는 상기 몸체(10)의 내부의 양측 상부에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전후이동판(131)의 전후이동을 안내하는 일측 및 타측 가이드바(141, 142)가 구비될 수 있다.And, on both sides of the upper portion of the inside of the
상기 구동모터(133)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트래버스가이드(132)의 후단부와 인접한 거리에 위치하도록 상기 몸체(10)의 후측 외부의 상부에 구비되고, 정방향으로만 회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the driving
상기 트래버스가이드(132)의 후단과 상기 구동모터(133)의 회전축(133a)의 후단에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각 풀리(132a, 133b)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풀리(132a, 133b)는 고무재질의 벨트 등과 같은 연결부재(135)로 연결되어 상기 트래버스가이드(132)가 상기 구동모터(133)의 회전축(133a)의 정방향 회전을 따라 정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Each of the
도 6은 세척액 수용통(137a)과 소독액 수용통(137b)으로부터 세척액(9)과 소독액(미도시)이 공급되고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7은 제어부(170)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FIG. 6 is a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ashing solution 9 and the sanitizing solution (not shown) are supplied from the
그리고, 상기 공급부(136)는 수돗물의 수압에 의해 상기 노즐(134)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수돗물을 공급하는 상수도관(미도시)일 수 있겠으나,In addition, the
바람직하게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와 인접한 거리에 위치하도록 상기 몸체(10)의 외부에 구비되는 별도의 세척액 및 소독액 공급부재(137) 일 수도 있다.Preferably, as shown in Figure 6 may be a separate cleaning solution and
상기 세척액 및 소독액 공급부재(137)의 내부에는 상기 일측 및 타측 배설판(310, 330)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액(9)이 수용되는 세척액 수용통(137a)과 상기 일측 및 타측 배설판(310, 330)을 소독하기 위한 소독액(미도시)이 수용되는 소독액 수용통(137b)이 구비될 수 있다.Inside the washing liquid and the disinfecting
상기 세척액 및 소독액 공급부재(137)와 인접한 거리에 위치하는 상기 몸체(10)의 외부에는 상기 세척액 및 소독액 수용통(137a, 137b)에 수용된 세척액(9) 및 소독액(미도시)을 상기 노즐(134)로 공급하기 위한 펌프(120)가 구비될 수 있다.On the outside of the
상기 세척액 및 소독액 수용통(137a, 137b)과 상기 펌프(120) 사이에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펌프(120)가 후술되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구동하여 세척액(9) 및 소독액(미도시)을 상기 노즐(134)로 공급하기 위한 세척액 공급관(138)과 소독액 공급관(139)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6, the
그리고, 상기 세척액 공급관(138)의 후단과 상기 소독액 공급관(139)의 후단 사이에는 유입관(121)의 전단부 양측이 연통된 상태로 구비되고, 상기 유입관(121)의 후단부는 상기 펌프(120)의 유입구(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between the rear end of the cleaning
아울러, 상기 세척액 공급관(138) 및 소독액 공급관(139)에는 상기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세척액 공급관(138) 및 상기 소독액 공급관(139)을 개폐시키는 솔레노이드밸브 등의 개폐밸브(138a, 139a)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washing
상기 세척액(9)으로는 상기 상수도관(미도시)을 통해 공급되는 수돗물을 사 용하거나 상기 세척액 수용통(137a)에 수용된 물이나 상기 세척액 수용통(137a)에 수용된 물과 세제가 혼합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As the washing liquid (9), using tap water supplied through the tap water pipe (not shown) or mixing water contained in the washing liquid container (137a) or water contained in the washing liquid container (137a) with a detergent Can be used.
그리고, 상기 소독액(미도시)으로는 변기 등을 소독할 시 사용하는 락스 등을 사용할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he disinfectant (not shown) may be used as a lax to disinfect the toilet, etc.,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나아가, 상기 펌프(120)와 상기 노즐(134) 사이에는 도 4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세척액 수용통(137a)에 수용된 세척액(9) 및 상기 소독액 수용통(137b)에 수용된 소독액(미도시)을 상기 노즐(134)로 공급하는 제 1공급관(140)이 구비될 수 있다.Furthermore, between the
상기 제 1공급관(140)의 외주연에는 상기 전후이동판(131)이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상기 공급부(136)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액(9)을 상기 배설판(30)으로 보다 용이하게 분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주름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At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그리고, 상기 일측 및 타측 배설판(310, 330)의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몸체(10)의 내부에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일측 및 타측 배설판(310, 330)의 상부에 위치한 애완동물의 배설물(8)이 하부방향으로 배출될 경우 애완동물의 배설물(8)이 수용될 수 있도록 하는 배설물 수용판(143)이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side of the
아울러, 상기 배설물 수용판(143)의 전측과 인접한 거리에 위치하는 상기 몸체(10)의 내부 전측에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배설물 수용판(143)으로 상기 세척액 수용통(137a)에 수용된 세척액(9) 및 상기 소독액 수용통(137b)에 수용된 소독액(미도시)을 스프레이방식으로 분사하는 분사노즐(150)이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washing liquid contained in the washing
상기 펌프(120)와 상기 분사노즐(150) 사이에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 기 세척액 수용통(137a)에 수용된 세척액(9) 및 상기 소독액 수용통(137b)에 수용된 소독액(미도시)을 상기 분사노즐(150)로 공급하는 제 2공급관(151)이 구비될 수 있다.Between the
그리고, 상기 제 1공급관(140)의 전단과 상기 제 2공급관(151)의 전단 사이에는 배출관(122)의 후단부 양측이 연통된 상태로 구비되고, 상기 배출관(122)의 전단부는 상기 펌프(120)의 배출구(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between the front end of the
또한,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공급관(140) 및 제 2공급관(151)에는 상기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 1공급관(140) 및 제 2공급관(151)을 개폐시키는 솔레노이드밸브 등의 제 1 및 제 2개폐밸브(140a, 151a)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6, the
이와 같이 상기 몸체(10)에는 상기 배설판(30)으로 세척액(9)을 분사하는 상기 세척액분사부(130)가 구비되고, 상기 세척액분사부(130)는 전후이동판(131), 트래버스가이드(132), 구동모터(133), 노즐(134) 및 공급부(136)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배설판(30)과 상기 배설판(30)의 상부에 위치한 애완동물의 배설물(8)을 보다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us, the
여기서,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배설판(30)의 상부에 위치한 애완동물을 감지하는 감지센서(152)와; 상기 감지센서(152)의 감지유지시간과 기설정된 기준시간을 비교하는 판단부(160)가 구비되고, 전원공급부(7)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판단부(160)의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실린더(110)를 제어하는 제어 부(170);가 구비되는 것이 좋다.Here, as shown in Figure 5 and the
상기 감지센서(152)는 상기 배설판(30)의 상부에 위치한 애완동물을 보다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몸체(10)의 내부 전측 상부 및 후측 상부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The
한편, 상기 감지센서(152)로는 적외선센서 및 포토센서를 사용할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배설판(30)의 상부에 위치한 애완동물을 감지할 수 있는 것이라면 모두 사용할 수 있다.Meanwhile, although the infrared sensor and the photo sensor may be used as the
아울러, 상기 풀리(132a)의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트래버스가이드(132)의 후단부에는 상기 트래버스가이드(132)의 회전수를 연산한 후 연산된 값을 상기 제어부(170)로 출력하는 인코더(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t the rear end of the
그리고,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인코더(미도시)가 출력한 상기 트래버스가이드(132)의 회전수를 연산한 값과 상기 제어부(170)에 기설정된 기준회전수값을 비교하게 된다.In addition, the
이때, 상기 인코더(미도시)가 출력한 상기 트래버스가이드(132)의 회전수가 연산된 값이 상기 제어부(170)에 기설정된 기준회전수값을 초과한 경우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세척액 공급관(138)의 개폐밸브(138a)가 상기 세척액 공급관(138)을 폐쇄하도록 제어하게 된다.At this time, when the value of the rotation speed of the
이와 동시에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소독액 공급관(139)의 개폐밸브(139a)가 상기 소독액 공급관(139)을 개방하도록 제어하게 된다.At the same time, the
그리고,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제 1공급관(140)의 제 1개폐밸브(140a)가 상기 제 1공급관(140)을 개방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 2공급관(151)의 제 2개폐밸브(151a)가 상기 제 2공급관(151)을 개방하도록 제어하게 된다.The
더불어,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펌프(120)를 구동시켜 상기 소독액 수용통(137b)에 수용된 소독액(미도시)이 상기 소독액 공급관(139), 상기 유입관(121), 상기 배출관(122), 상기 제 1공급관(140) 및 상기 제 2공급관(151)을 통해 상기 노즐(134) 및 상기 분사노즐(150)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이때, 상기 노즐(134) 및 상기 분사노즐(150)이 상기 소독액 공급관(139), 상기 유입관(121), 상기 배출관(122), 상기 제 1공급관(140) 및 상기 제 2공급관(151)을 통해 공급받은 소독액(미도시)을 상기 일측 및 타측 배설판(310, 330)과 상기 배설물 수용판(143)으로 스프레이방식으로 분사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이로 인해 상기 일측 및 타측 배설판(310, 330)과 상기 배설물 수용판(143)을 소독할 수 있게 된다.Due to this it is possible to disinfect the one side and the other side excretion plate (310, 330) and the excretion receiving plate (143).
이와 달리 상기 인코더(미도시)가 출력한 상기 트래버스가이드(132)의 회전수가 연산된 값이 상기 제어부(170)에 기설정된 기준회전수값 보다 미만인 것으로 비교된 경우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세척액 공급관(138)의 개폐밸브(138a)가 상기 세척액 공급관(138)을 개방하도록 제어하게 된다.On the contrary, when the calculated value of the rotation speed of the
이와 동시에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소독액 공급관(139)의 개폐밸브(139a)가 상기 소독액 공급관(139)을 폐쇄하도록 제어하게 된다.At the same time, the
그리고,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제 1공급관(140)의 제 1개폐밸브(140a)가 상기 제 1공급관(140)을 개방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 2공급관(151)의 제 2개폐밸 브(151a)가 상기 제 2공급관(151)을 개방하도록 제어하게 된다.The
아울러,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펌프(120)를 구동시켜 상기 세척액 수용통(137a)에 수용된 세척액(9)이 상기 세척액 공급관(138), 상기 유입관(121), 상기 배출관(122), 상기 제 1공급관(140) 및 상기 제 2공급관(151)을 통해 상기 노즐(134) 및 상기 분사노즐(150)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이때, 상기 노즐(134) 및 상기 분사노즐(150)이 상기 세척액 공급관(138), 상기 유입관(121), 상기 배출관(122), 상기 제 1공급관(140) 및 상기 제 2공급관(151)을 통해 공급받은 세척액(9)을 상기 일측 및 타측 배설판(310, 330)과 상기 배설물 수용판(143)으로 스프레이방식으로 분사하게 된다.In this case, the
이로 인해 상기 일측 및 타측 배설판(310, 330)과 상기 배설물 수용판(143)을 세척할 수 있게 된다.Due to this it is possible to wash the one side and the other side excretion plate (310, 330) and the excrement receiving plate (143).
이와 같이 상기 감지센서(152)와, 상기 감지센서(152)의 감지유지시간과 기설정된 기준시간을 비교하는 상기 판단부(160)의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실린더(110)를 제어하는 상기 제어부(170)가 구비되기 때문에 상기 판단부(160)의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일측 및 타측 배설판(310, 330)의 타측 및 일단을 상하방향으로 보다 용이하게 회전이동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As such, th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나아가, 상기 몸체(10)의 내부 타측 하부에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의 내부에 수용된 애완동물의 배설물(8)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수중펌프(180)가 구비되는 것이 좋다.Furthermore, it is preferable that an
이와 같이 상기 몸체(10)의 내부에는 상기 몸체(10)의 내부에 수용된 애완동물의 배설물(8)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상기 수중펌프(180)가 구비되기 때문에 상기 세척액분사부(130)에 의해 상기 몸체(10)의 내부에 수용된 애완동물의 배설물(8)을 외부로 보다 더욱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As such, because the
이하, 상기 일측 및 타측 배설판(310, 330)과 배설물 수용판(143)이 상기 세척액분사부(130)와 분사노즐(150)에 의해 세척되는 과정을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process in which the one side and the other
보다 구체적으로, 애완동물이 상기 일측 및 타측 배설판(310, 330)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일측 및 타측 배설판(310, 330)의 상부에 배설행위를 행한 후 상기 몸체(10) 이외의 다른 장소로 이동할 시,More specifically, the pet is located in the upper side of the one and the other side of the
상기 감지센서(152)는 상기 일측 및 타측 배설판(310, 330)에 일정시간 동안 위치한 애완동물을 감지하게 된다.The
상기 판단부(160)는 상기 감지센서(152)가 출력하는 감지유지시간과 상기 제어부(170)에 기설정된 기준시간을 비교하여 그 신호를 상기 제어부(170)로 출력하게 된다.The
상기 제어부(170)에 기설정된 기준시간이 12초라 가정한 상태에서, 상기 감지센서(152)의 감지유지시간이 상기 제어부(170)에 기설정된 기준시간 12초를 초과할 경우 상기 판단부(160)는 애완동물이 상기 일측 및 타측 배설판(310, 330)에 배설행위를 행한 것으로 판단하여 그 신호를 상기 제어부(170)로 출력하게 된다.In the state where the reference time preset in the
이때, 상기 제어부(170)는 도 3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수평바(111)가 상단에 수평방향으로 용접고정된 상태의 상기 실린더(110)를 도 3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부방향으로 길이가 수축되도록 제어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이때, 상기 수평바(111)가 도 3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부방향으로 길이가 수축되는 상기 실린더(110)에 의해 하부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그리고, 상기 수평바(111)의 양단에 하단이 축고정된 상태의 상기 일측 및 타측 회전이동바(112, 113)가 도 3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부방향으로 길이가 수축되는 상기 실린더(110)에 의해 하부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In addition, the
이로 인해 상기 일측 및 타측 회전이동바(112, 113)의 상단이 각각 도 3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수평바(111)의 양단 외측 방향으로 회전이동하게 된다.As a result, upper ends of the one side and the other
이때, 상기 일측 회전이동바(112)의 상단이 타단에 축고정된 상기 일측 배설판(310)의 타측과 상기 타측 회전이동바(113)의 상단이 일단에 축고정된 타측 배설판(330)의 일측이 도 3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의 내부방향으로 일정각도 하향경사지도록 회전이동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other side of the
이로 인해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일측 및 타측 배설판(310, 330)의 상부에 위치한 애완동물의 배설물(8) 중 소변은 상기 일측 및 타측 배설판(310, 330)의 관통구(30c)를 통해 하부방향으로 배출된다.As a result, as shown in FIGS. 4 and 5, the urine in the
그리고, 대변은 상기 몸체(10)의 내부방향으로 일정각도 하향경사지도록 회전이동한 상태의 상기 일측 및 타측 배설판(310, 330)의 경사면을 따라 하부방향으로 배출되어 상기 배설물 수용판(143)에 수용되게 된다.The feces are discharged downward along the inclined surfaces of the one and the other
이때, 상기 제어부(170)는 도 6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판단부(160)의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세척액 공급관(138)의 개폐밸브(138a)를 개방시켜 상기 세척액 수용통(137a)에 수용된 세척액(9)이 상기 세척액 공급관(138)과 상기 유입관(121)을 통해 상기 펌프(120)로 공급되도록 한다.In this case, the
또한,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제 1개폐밸브(140a)를 개방시킴과 동시에 상기 펌프(120)를 구동시켜 상기 세척액 공급관(138)과 상기 유입관(121)을 통해 상기 펌프(120)로 공급된 세척액(9)을 상기 배출관(122)과 상기 제 1공급관(140)을 통해 상기 노즐(134)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이와 동시에 상기 구동모터(133)가 상기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정방향으로 구동하게 된다.At the same time, the
이때, 상기 구동모터(133)의 회전축(133a)의 후단에 구비된 풀리(133b)와 상기 트래버스가이드(132)의 후단에 구비된 풀리(132a)에 연결된 상기 연결부재(135)가 상기 구동모터(133)의 구동에 의해 정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이로 인해 상기 트래버스가이드(132) 또한, 정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As a result, the
따라서, 타측 하부가 상기 트래버스가이드(132)와 결합된 상태의 상기 전후이동판(131)이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정방향으로 회전하는 상기 트래버스가이드(132)에 의해 전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Accordingly, the front and rear
그리고, 상기 전후이동판(131)의 저면에 일정간격으로 구비되는 상기 노즐(134)이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측방향으로 이동하는 상기 전후이동판(131)을 따라 전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Then, the
이와 동시에 상기 노즐(134)이 상기 공급부(136)로부터 공급받은 세척액(9)을 상기 일측 및 타측 배설판(310, 330)으로 분사하여 상기 일측 및 타측 배설판(310, 330)을 세척하게 된다.At the same time, the
이때, 상기 전후이동판(131)이 전측방향 즉, 상기 트래버스가이드(132)의 전측 단부에 도달한 경우 상기 전후이동판(131)이 상기 트래버스가이드(132)의 전측 단부에서 리턴하여 다시 상기 트래버스가이드(132)의 후측방향으로 이동하여 원위치로 돌아오게 된다.At this time, when the front and rear moving
이로 인해 상기 전후이동판(131)이 상기 트래버스가이드(132)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왕복이동할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the front and rear
상기 전후이동판(131)이 후측방향으로 이동하여 원위치로 돌아온 경우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제 1개폐밸브(140a)를 폐쇄시킴으로써, 상기 전후이동판(131)이 후측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 중에는 상기 노즐(134)이 세척액(9)을 분사하지 않도록 한다.When the front and rear
이와 동시에 상기 제어부(170)는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2개폐밸브(151a)를 개방시켜 상기 세척액 수용통(137a)에 수용된 세척액(9)이 상기 세척액 공급관(138)과 상기 유입관(121)을 통해 상기 펌프(120)로 공급되도록 한다.At the same time, the
또한,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펌프(120)를 구동시켜 상기 세척액 공급관(138)과 상기 유입관(121)을 통해 상기 펌프(120)로 공급된 세척액(9)을 상기 배출관(122)과 상기 제 2공급관(151)을 통해 상기 분사노즐(150)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그리고,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분사노즐(150)이 애완동물의 배설물(8)과 상기 노즐(134)로부터 분사된 세척액(9)이 수용된 상태의 상기 배설물 수용판(143)으로 세척액(9)을 분사하도록 제어한다.In addition, the
이로 인해 상기 배설물 수용판(143)에 수용된 상태의 애완동물의 배설물(8)과 상기 노즐(134)로부터 분사된 세척액(9)이 상기 몸체(10)의 내부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As a result, the
이와 동시에 상기 제어부(170)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수중펌프(180)를 구동시키게 된다.At the same time, the
이로 인해 상기 몸체(10)의 내부방향으로 이동한 애완동물의 배설물(8)과 상기 노즐(134)로부터 분사된 세척액(9)이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수중펌프(180)의 유입구(180a)와 배출구(180b) 및 상기 배출구(180b)와 연통된 배출관(182)을 통해 상기 몸체(10)의 외부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the
상기 수중펌프(180)에 의해 애완동물의 배설물(8)과 상기 노즐(134)로부터 분사된 세척액(9)이 배출된 경우 상기 제어부(170)는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세척액 공급관(138)의 개폐밸브(138a)를 폐쇄시켜 상기 세척액 수용통(137a)에 수용된 세척액(9)이 상기 세척액 공급관(138)과 상기 유입관(121)을 통해 상기 펌프(120)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한다.When the
그리고,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펌프(120)의 구동을 정지시킴과 동시에 상기 제 2개폐밸브(151a)를 다시 폐쇄시켜 상기 세척액 수용통(137a)에 수용된 세척액(9)이 상기 배출관(122)과 상기 제 2공급관(151)을 통해 상기 분사노즐(150)로 공급되지 못하게 한다.In addition, the
이로 인해 상기 분사노즐(150)이 상기 배설물 수용판(143)으로 세척액(9)을 분사하지 못함으로써, 상기 일측 및 타측 배설판(310, 330)의 세척과 애완동물의 배설물(8)의 배출을 완료할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the
이와 달리, 상기 감지센서(152)의 감지유지시간이 상기 제어부(170)에 기설정된 기준시간 12초 미만인 상기 판단부(160)는 애완동물이 상기 일측 및 타측 배설판(310, 330)에 배설행위를 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그 신호를 상기 제어부(170)로 출력하게 된다.In contrast, the
이때, 상기 제어부(170)는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판단부(160)의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실린더(110), 구동모터(133), 펌프(120)가 작동되지 않도록 제어하고, In this case, the
세척액 공급관(138)의 개폐밸브(138a), 상기 제 1공급관(140)의 제 1개폐밸브(140a), 상기 제 2공급관(151)의 제 2개폐밸브(151a)를 폐쇄상태로 제어하여 상기 일측 및 타측 배설판(310, 330)과 상기 배설물 수용판(143)으로 세척액(9)을 분사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세척액(9)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 on / off
아울러, 상기 몸체(10)에는 상기 일측 및 타측 배설판(310, 330)의 상부에 위치한 애완동물의 배설물(8)의 냄새를 감지하는 냄새감지센서(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상기 냄새감지센서(미도시)는 상기 일측 및 타측 배설판(310, 330)의 상부에 위치한 애완동물의 배설물(8)의 양에 따라 즉, 대변 또는 소변에 따라 발생하는 배설물(8)의 냄새의 강약을 감지한 후 감지한 신호를 상기 제어부(170)로 출력한다.The odor sensor (not shown) is an odor of the excrement (8) generat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feces (8) of the pet located on the upper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excreta (310, 330) After detecting the strength and weakness of the signal is output to the
그리고,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냄새감지센서(미도시)의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세척액 공급관(138)의 개폐밸브(138a) 및 상기 제 1공급관(140)의 제 1개폐밸브(140a)를 부분개방 또는 완전개방시키게 된다.In addition, the
이로 인해 상기 일측 및 타측 배설판(310, 330)의 상부에 위치한 애완동물의 배설물(8)의 양에 따라 즉, 대변 또는 소변에 따라 상기 세척액 수용통(137a)에 수용된 세척액(9)이 상기 노즐(134) 및 분사노즐(150)로 공급되는 양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This causes the washing liquid 9 accommodated in the
도 8은 몸체(10)의 내부 타측 하부에 수중펌프(180)와 배출관(182)이 구비되지 않은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8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한편, 상기 몸체(10)가 건축물의 실내에 설치될 경우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노즐(134) 및 분사노즐(150)에 의해 상기 몸체(10)의 내부로 이동된 상태의 애완동물의 배설물(8)과 세척액(9)이 상기 건축물의 실내에 미리 설치된 배출관(60)을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수중펌프(180) 및 배출관(182)이 구비되지 않은 상태로 설치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도 9는 몸체(10)의 일측 상부 및 후측 상부에 지지판(183)이 각각 수직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9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여기서, 상기 몸체(10)의 일측 상부 및 후측 상부에는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배설행위를 행하는 애완동물이 들어올린 다리와 접하는 지지판(183)이 각각 수직형성되는 것이 좋다.Here, the
예를 들어, 배설행위를 행할 때 뒷다리 중 한쪽 다리를 들고 배설행위를 행하는 습성이 있는 애완동물이 상기 일측 및 타측 배설판(310, 330)의 상부에 배설행위를 행하고자 할 경우 뒷다리 중 한쪽 다리를 상기 지지판(183)의 상단에 걸친 상태로 안착시킨 후 배설행위를 행할 수 있게 된다.For example, when a pet having a habit of holding one of the hind legs and performing excretion when performing excretion attempts to perform excretion on the upper side of the one and the other
한편, 상기 지지판(183)은 플라스틱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On the other hand, the
이와 같이 상기 몸체(10)의 일측 상부 및 후측 상부에 배설행위를 행하는 애완동물이 들어올린 다리와 접하는 상기 지지판(183)이 각각 수직형성되기 때문에 배설행위를 행할 때 다리를 들고 배설행위를 행하는 습성이 있는 애완동물이 보다 용이하게 배설행위를 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도 10은 몸체(10)의 타측면에 회전이동판(184)이 축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10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여기서, 상기 몸체(10)의 타측면에는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가능하게 회전이동판(184)이 축결합되는 것이 좋다.Here, the other side of the
그리고, 상기 회전이동판(184)을 통해 예를 들어, 치와와 등과 같이 체구가 작은 애완동물이 상기 배설판(30)의 상부로 보다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는 것이 좋다.And, through the
이때, 상기 회전이동판(184)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상측을 상기 몸체(10)의 내부로부터 상기 몸체(10)의 외부로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시킬 수 있도록 전단 및 후단이 상기 몸체(10)의 타측 내부 전단 및 후단에 축결합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이와 같이 상기 몸체(10)의 타측면에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가능하게 상기 회전이동판(184)이 축결합되고, 상기 회전이동판(184)을 통해 애완동물이 상기 배설판(30)의 상부로 보다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체구가 작은 애완동물도 보다 용이하게 배설행위를 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아울러, 상기 구슬부재(50)는 예를 들어, 항균기능이 있는 점토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In addition, the
한편, 상기 구슬부재(50)가 반드시 점토재질로 이루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며, 플라스틱재질 또는 구형상의 투명 플라스틱 재질의 내부에 구운 흙 등을 충진시킨 상태로 이루어질 수 있는 등 애완동물의 배설행위를 용이하게 유도할 수 있는 재질이라면 모두 사용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그리고, 상기 구슬부재(50)가 반드시 구 형상으로 이루어져야 하는 것은 아 니며, 애완동물의 배설행위를 보다 더욱 용이하게 유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다각형 형상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the
이와 같이 상기 구슬부재(50)가 점토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배설행위를 행할 때 땅을 파는 습성이 있는 애완동물이 보다 용이하게 배설행위를 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교체 또한 편리한 이점이 있다.Since the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몸체(10)의 내부에 구비되는 상기 배설판(30)이 애완동물의 배설물(8)을 하부방향으로 배출시켜 상기 몸체(1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애완동물의 배설물(8)을 보다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구슬부재(50)가 상기 배설판(30)에 일정간격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기 때문에 상기 배설판(30)의 상부에 위치한 애완동물의 배설행위를 보다 용이하게 유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애완동물 배설물 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et waste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도 3은 일측 배설판의 타측과 타측 타설판의 일측이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하고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3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other side of the one side excrement plate and one side of the other side placing plate are rot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도 4는 세척액분사부가 배설판으로 세척액을 분사하고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4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ashing liquid spraying unit is spraying the washing liquid to the discharge plate;
도 5는 세척액분사부가 배설판으로 세척액을 분사하고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5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ashing liquid spraying unit is spraying the washing liquid to the discharge plate;
도 6은 세척액 수용통과 소독액 수용통으로부터 세척액과 소독액이 공급되고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6 is a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ashing solution and the disinfecting solution are supplied from the washing solution container and the disinfecting solution container;
도 7은 제어부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고,7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trol state of a controller;
도 8은 몸체의 내부 타측 하부에 수중펌프와 배출관이 구비되지 않은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8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submersible pump and the discharge pipe are not provided in the lower inner side of the body;
도 9는 몸체의 일측 상부 및 후측 상부에 지지판이 각각 수직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9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plates are vertically formed on one side upper part and the rear upper part, respectively,
도 10은 몸체의 타측면에 회전이동판이 축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10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otary plate is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body.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
7; 전원공급부, 8; 배설물,7; A
9; 세척액, 10; 몸체,9; Washing liquid, 10; Body Part,
110; 실린더, 111; 수평바,110;
112; 일측 회전이동바, 113; 타측 회전이동바,112; One-side rotation bar, 113; Other side rotation bar,
120; 펌프, 121; 유입관,120; Pump, 121; Inlet Tube,
130; 세척액분사부, 131; 전후이동판, 130; Washing liquid spraying unit, 131; Forward and backward plate,
132; 트래버스가이드, 132a,133b; 풀리, 132; Traverse guides, 132a and 133b; Pulley,
133; 구동모터, 133a; 회전축, 133; Drive motor, 133a; Rotation axis,
134; 노즐, 135; 연결부재, 134; Nozzle, 135; Connecting Member,
136; 공급부, 137; 세척액 및 소독액 공급부재,136;
137a; 세척액 수용통, 137b; 소독액 수용통, 137a; Wash liquor reservoir, 137b; Disinfectant container,
138; 세척액 공급관, 138a,139a; 개폐밸브, 138; Wash liquor feed lines, 138a, 139a; Valve,
139; 소독액 공급관, 140; 제 1공급관, 139; Antiseptic solution supply pipe, 140; The first supply pipe,
140a; 제 1개폐밸브, 141; 일측 가이드바, 140a; A first open /
142; 타측 가이드바, 143; 배설물 수용판, 142; The other guide bar, 143; Feces receiving plate,
150; 분사노즐, 151; 제 2공급관, 150; Spray nozzle, 151; Second supply pipe,
151a; 제 2개폐밸브, 152; 감지센서, 151a; A second open / close valve, 152; Sensor,
160; 판단부, 170; 제어부, 160;
180; 수중펌프, 180a; 유입구, 180; Submersible pump, 180a; Inlet,
180b; 배출구, 183; 지지판, 180b; Outlet, 183; Support Plate,
184; 회전이동판, 30; 배설판, 184; Rotary plate, 30; Dung,
30a; 판부, 30b; 돌출부, 30a;
30c; 관통구, 310; 일측 배설판, 30c; Through hole, 310; One side fecal plate,
330; 타측 배설판, 50; 구슬부재, 330; Other excretory plate, 50; Beads,
60,122,182; 배출관60,122,182; discharge pipe
Claims (8)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12534A KR101141582B1 (en) | 2009-11-20 | 2009-11-20 | Pet body wastes processing uni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12534A KR101141582B1 (en) | 2009-11-20 | 2009-11-20 | Pet body wastes processing uni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55911A KR20110055911A (en) | 2011-05-26 |
KR101141582B1 true KR101141582B1 (en) | 2012-05-17 |
Family
ID=44364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112534A KR101141582B1 (en) | 2009-11-20 | 2009-11-20 | Pet body wastes processing uni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41582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4007497A1 (en) * | 2012-07-02 | 2014-01-09 | Lee Jae Beom | Pet toilet |
KR101423739B1 (en) | 2012-06-19 | 2014-07-31 | 이재범 | An excrement prop for a pet |
KR102351325B1 (en) * | 2021-07-26 | 2022-01-14 | 이우영 | Excrement treatment device for companion animals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15871B1 (en) * | 2012-10-19 | 2014-07-04 | 오다예 | An excrement prop for a pet |
KR101864080B1 (en) * | 2017-06-13 | 2018-06-01 | 김미경 | Toilet for pets |
CN108372987B (en) * | 2018-03-17 | 2019-12-31 | 王冰建 | Pet environmental protection treatment facility |
KR200492146Y1 (en) * | 2018-10-04 | 2020-08-18 | 박병욱 | Defecation plate cleaning device for pet |
KR102475031B1 (en) * | 2020-10-14 | 2022-12-07 |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 Apparatus for cleaning excretion of pet of buil-in typ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188988A (en) * | 1998-12-28 | 2000-07-11 | Noriko Sato | Toilet for pet |
KR200311240Y1 (en) | 2003-01-14 | 2003-04-23 | 장원 | Treadmills with rotating squeezing rods |
KR100609506B1 (en) | 2005-02-07 | 2006-08-08 | 허정림 | Evacuation cleaning apparatus for pet |
KR20090089779A (en) * | 2008-02-19 | 2009-08-24 | 김영민 | The apparatus for automatic excrement of pet |
-
2009
- 2009-11-20 KR KR1020090112534A patent/KR101141582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188988A (en) * | 1998-12-28 | 2000-07-11 | Noriko Sato | Toilet for pet |
KR200311240Y1 (en) | 2003-01-14 | 2003-04-23 | 장원 | Treadmills with rotating squeezing rods |
KR100609506B1 (en) | 2005-02-07 | 2006-08-08 | 허정림 | Evacuation cleaning apparatus for pet |
KR20090089779A (en) * | 2008-02-19 | 2009-08-24 | 김영민 | The apparatus for automatic excrement of pet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23739B1 (en) | 2012-06-19 | 2014-07-31 | 이재범 | An excrement prop for a pet |
WO2014007497A1 (en) * | 2012-07-02 | 2014-01-09 | Lee Jae Beom | Pet toilet |
KR102351325B1 (en) * | 2021-07-26 | 2022-01-14 | 이우영 | Excrement treatment device for companion animal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55911A (en) | 2011-05-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41582B1 (en) | Pet body wastes processing unit | |
KR101423739B1 (en) | An excrement prop for a pet | |
US8863693B2 (en) | Animal toilet | |
KR102330905B1 (en) | Defecation plate for animal companion | |
KR102240245B1 (en) | Flush toilet for pets with enhanced urine odor prevention function | |
KR101788704B1 (en) | An excrement prop for a pet) | |
KR101849043B1 (en) | Excrement prop for a pet | |
KR101353093B1 (en) | A toilet for a pet with automatic removing excretion | |
KR20190128819A (en) | Apparatus for excrement of pet | |
KR101796113B1 (en) | Auto disposal apparatus for pet excrements | |
CN118510389A (en) | Defecation device for companion animals and defecation device for separating and discharging feces | |
KR101282200B1 (en) | Eco-friendly cleaning device for evacuating apparatus for pet | |
KR101415871B1 (en) | An excrement prop for a pet | |
KR102468557B1 (en) | A toilet cleaning device for pets to prevent the smell of defecation | |
KR101738630B1 (en) | Flush type excrement prop for pet | |
KR20210102756A (en) | Toilet for Pet | |
KR20110135527A (en) | Paws - free pet toilet | |
JP3636551B2 (en) | Stilt type small animal container with cleaning mechanism | |
KR200463634Y1 (en) | toilet for pet dog | |
KR101176412B1 (en) | Eco-friendly cleaning device for evacuating apparatus for pet | |
JP2005176720A (en) | Toilet for pet | |
KR100693495B1 (en) | Simplicity bedpan, and method thereof | |
CN211430491U (en) | Deodorization pet toilet | |
JP2017209091A (en) | Flush toilet for pet | |
CN110419453B (en) | Pig foot injury prevention type water-soaked manure breeding house with flushing func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