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0905B1 - Defecation plate for animal companion - Google Patents

Defecation plate for animal compan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0905B1
KR102330905B1 KR1020190155621A KR20190155621A KR102330905B1 KR 102330905 B1 KR102330905 B1 KR 102330905B1 KR 1020190155621 A KR1020190155621 A KR 1020190155621A KR 20190155621 A KR20190155621 A KR 20190155621A KR 102330905 B1 KR102330905 B1 KR 1023309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excrement
unit
companion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562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66409A (en
Inventor
조성경
Original Assignee
조성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성경 filed Critical 조성경
Priority to KR10201901556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0905B1/en
Publication of KR202100664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640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09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090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07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 A01K1/011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with means for removing excremen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3/00Manure or urine pouches
    • A01K23/005Manure or urine collecting devices used independently from the animal, i.e. not worn by the animal but operated by a pers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배변판은 다수의 통공이 구비된 제1 플레이트, 상기 제 1 플레이트 하부에 배치되며, 반려동물의 배설물의 이동시키는 관통 홀을 포함하는 제2 플레이트 및 상기 제 2 플레이트의 상기 관통 홀로부터 이동된 반려동물 배설물을 수거하는 제3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배설물 수거 유닛과, 상기 배설물 수거 유닛의 무게를 감지하여 전원을 연결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제어 유닛과, 상기 제어 유닛의 전원이 연결되면, 상기 배설물 수거 유닛에 세척액을 분사하는 토출구를 포함하는 분사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bowel movement plate for companion anim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plate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 second plate disposed under the first plate, and a through hole for moving the excrement of companion animals, and the A control unit comprising: a feces collection unit including a third plate for collecting companion animal excrement moved from the through hole of a second plate; and a switch unit for connecting power by sensing the weight of the excrement collection unit; When the power of the unit is connecte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praying unit including a discharge port for spraying the washing liquid to the excrement collection unit.

Description

반려동물용 배변판 {DEFECATION PLATE FOR ANIMAL COMPANION}DEFECATION PLATE FOR ANIMAL COMPANION}

본 발명은 반려동물용 배변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반려동물이 배변을 한 후 자동으로 세척액을 분사하여 배변판을 세척하는 구성을 제공하는 반려동물용 배변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ilet plate for companion animals, and more particularly, to a toilet plate for companion animals that provides a configuration for washing the toilet plate by automatically spraying a washing liquid after the companion animal has a bowel movement.

과거에 비해 핵가족화가 심화되고 국민소득이 증대되면서, 반려 동물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으며, 실제로 개나 고양이 및 각종 파충류 등을 반려 동물로 기르는 이가 늘어났다. 반려 동물은 먹을 것에서부터 입고, 자고, 꾸미는 것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 대상으로, 많은 시간과 노력을 필요로 하는 대상이다.Compared to the past, as the nuclear family has become more severe and national income has increased, interest in companion animals has increased. A companion animal is an object that needs attention from food to wearing, sleeping, and decorating, and requires a lot of time and effort.

일반적으로, 집에서 기르는 개와 같은 반려 동물은 주인의 반복적인 교육을 통해 물로 쉽게 세척될 수 있는 목욕탕이나 화장실 등에서만 배설하도록 훈련되거나, 거실에서는 단순한 형태의 플라스틱 쟁반에 배설하도록 훈련한다.In general, a companion animal such as a domestic dog is trained to excrete only in a bathroom or toilet that can be easily washed with water through repeated education of the owner, or is trained to excrete on a simple plastic tray in the living room.

반려 동물의 배설물에서 악취를 유발할 뿐 아니라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주기 때문에 반려 동물의 배설물을 방치할 경우 건강한 생활 환경에 위험 요소가 되므로 반려 동물의 배설물은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It is very important to manage the excrement of companion animals as it not only causes bad odor but also has a harmful effect on the human body.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주인이 일일이 따라 다니면서 배설물을 치우거나 또는 정 위치에 배설하는지 지켜 보아야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주인이 장시간 외출하는 경우에는 반려동물의 배설물로 인해 불결한 환경이 제공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this method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owner must follow one by one to remove the excrement or to observe whether the excretion is in place. In addition, when the owner goes out for a long time, there is a problem that an unclean environment may be provided due to the excrement of the companion animal.

공개특허 제2003-0084567호는 일측면에는 회전손잡이가 형성되어 있고 상면 양측 모서리에는 전원부의 전원공급에 의해 작동되는 감지센서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일측에 형성된 감지센서 가까이에는 멜로디 스피커부가 형성되어 있고 내측 양면에는 다수개의 체결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 일측에는 전원부의 전원공급에 의해 구동되는 모터가 형성되어 있는 프레임과, 상기 다수개의 체결홈에 각각 체결되어 있고 끝단부에는 기어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다수개의 철망과, 상기 철망의 끝단부에 형성된 기어중 어느하나의 기어는 상기 모터의 구동에 의해 90도 각도로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모터와 치합되어 있으며 다른 어느하나의 기어는 상기 회전손잡이 끝단부에 형성된 회전기어에 치합되어 있고 상기 기어들 사이에는 상기 모터의 구동 또는 회전손잡이의 회전에 의해 일체로 회동 가능하도록 교호로 다수개의 아이들기어가 치합된 구동부와, 상기 프레임상부에는 중앙에 손잡이가 형성된 덮개부와, 상기 프레임과 철망 하부에 착탈가능하도록 구비된 용변 용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Patent Publication No. 2003-0084567 discloses that a rotating handle is formed on one side, and a detection sensor operated by the power supply of the power supply is formed at both corners of the upper surface, and a melody speaker unit is formed near the detection sensor formed on the one side, A plurality of fastening groove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inner side, and a frame in which a motor driven by the power supply of the power supply is formed on one side, each fastened to the plurality of fastening grooves, and a gear is integrally formed at the end A plurality of wire mesh and any one of the gears formed at the end of the wire mesh is meshed with the motor so that it can be rotated at a 90 degree angle by driving the motor, and the other gear is at the end of the rotary handle. A driving part meshed with the formed rotation gear and having a plurality of idle gears meshed alternately so as to be able to rotate integrally by driving the motor or rotation of a rotation handle between the gears, and a cover having a handle formed in the center on the upper part of the fram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toilet container provided to be detachable from the part and the lower part of the frame and the wire mesh.

공개특허 제2018-0061641호는 장방형의 판상으로 이루는 동체에 배뇨 처리를 위한 수거통이 서랍방식으로 구비되어 반려동물의 용변을 처리시키도록 하는 변기로서, 상기 동체의 상면 폭 방향에서 양분되어 산과 골을 반복적으로 연이어 이룬 파상의 발판들; 상기 발판들 각기의 골들에서 중앙으로 가며 낮아지는 기울기를 가지고 구비되어 상기 배뇨를 거두는 분지로들; 및 상기 발판들의 분기점에 상기 동체 길이방향에서의 일 점으로 낮아지는 기울기를 가지고 구비되어 상기 양 분지로들로부터 상기 배뇨를 수거해 상기 수거통 측으로 저수되게 하는 줄기로를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Patent Publication No. 2018-0061641 discloses a toilet in which a container for urination treatment is provided in a drawer-type body in a rectangular plate-shaped body to dispose of a companion animal's poop, and is bisect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to remove acids and bones undulations of repeated successive waves; Basin branches that are provided with a lowering inclination toward the center in the valleys of each of the scaffolds to collect the urination; and a stem passage that is provided with a slope that is lowered to one poi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at the branch points of the footrests to collect the urine from both branches and store it toward the container.

공개특허 제2003-0084567호Patent Publication No. 2003-0084567 공개특허 제2018-0061641호Patent Publication No. 2018-0061641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반려동물용 배변판에 관한 것으로, 세척액을 분사하여 반려동물의 배설물을 세척하고, 세척액과 함께 세척된 배설물 수거 유닛에 수거하여 실내에서 악취의 발생을 방지하고, 반려동물의 몸에 배설물이나 이물질이 묻지 않아 실내 공간을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ilet plate for companion animals, which sprays a washing solution to wash the excrement of the companion animal, and collects the excrement collecting unit washed with the washing solution to prevent the generation of odor in the room, and It is intended to provide a device that can keep the indoor space clean by not having excrement or foreign substances on the body of the pers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반려동물용 배변판에 관한 것으로, 세척액과 함께 세척된 배설물이 별도의 덮개가 부착된 배설물 수거 유닛에 수거됨에 따라 배설물이 외부로 흐르지 않고 수거되며, 배설물을 수거하는 수거 유닛을 분리한 후 처리 시 배설물이 유닛에서 넘치지 않게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ool plate for companion animals, and as the excrement washed with the washing liquid is collected in the excrement collection unit with a separate cover attached, the excrement is collected without flowing to the outside, and the excrement is collected It is intended to provide a device that can safely move the excrement from the unit when it is disposed of after separating the uni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배변판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통공이 구비된 제1 플레이트, 상기 제 1 플레이트 하부에 배치되며, 반려동물의 배설물의 이동시키는 관통 홀을 포함하는 제2 플레이트 및 상기 제 2 플레이트의 상기 관통 홀로부터 이동된 반려동물 배설물을 수거하는 제3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배설물 수거 유닛과, 상기 배설물 수거 유닛의 무게를 감지하여 전원을 연결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제어 유닛과, 상기 제어 유닛의 전원이 연결되면, 상기 배설물 수거 유닛에 세척액을 분사하는 토출구를 포함하는 분사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o a toilet plate for companion anim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plat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 second plate disposed under the first plate, and including a through hole for moving the excrement of the companion animal A control unit including a plate and a third plate for collecting companion animal excrement moved from the through hole of the second plate, and a switch unit for connecting power by sensing the weight of the excrement collecting unit , When the power of the control unit is connecte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praying unit including a discharge port for spraying the washing liquid to the excrement collection unit.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제2 플레이트는 바닥면에 대해 일정 각도 경사진 형태로 배치되며, 상기 제 2 플레이트의 경사진 일단에 상기 관통 홀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are dispos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and the through hole is provided at the inclined end of the second plate.

상기 제1 플레이트 일단에 상기 스위치부와 인접한 확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반려동물용 배설물 수거 유닛에 반려동물이 올라가면 상기 반려동물의 무게에 의해 상기 확장부가 하강하면서 상기 스위치부에 전원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t further includes an extension part adjacent to the switch part at one end of the first plate, and when the companion animal is mounted on the excrement collecting unit for companion animals, the power is connected to the switch part while the extension part is lowered by the weight of the companion animal characterized.

상기 제3 플레이트는 상기 배설물 수거 유닛으로부터 탈착이 가능하며, 일정 부피의 배설물이 수거된 경우, 알림 기능을 수행하는 알람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third plate is detachable from the excrement collection unit, and when a predetermined volume of excrement is collect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alarm unit for performing a notification function.

상기 제3 플레이트의 일정 영역에 배설물을 추가로 수거할 수 있는 추가 수거 유닛의 탈착이 가능한 확장 어댑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detachable extension adapter of the additional collection unit that can additionally collect excrement in a certain area of the third plate.

상기 제3 플레이트는 덮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덮개부는 자동 개폐가 가능하여, 상기 관통 홀을 통해 배설물이 유입되는 시점에만 개방되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hird plate includes a cover portion, and the cover portion is capable of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characterized in that it is opened only when excrement is introduced through the through hole.

상기 분사 유닛의 동작 시점 및 동작 시간을 조절하는 타이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timer for adjusting the operation time and operation time of the injection unit.

상기 토출구와 연결된 급수 공급통을 더 포함하며, 상기 급수 공급통은 상기 세척액의 배출양을 조절하는 조절 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further comprises a water supply tube connected to the discharge port, the water supply tub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ontrol valve for controlling the discharge amount of the washing liquid.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The disclosed technology may have the following effects. However, this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should include all of the following effects or only the following effects, so the scope of the disclosed technology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hereb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배변판은 세척액을 분사하여 반려동물의 배설물을 세척하고, 세척액과 함께 세척된 배설물 수거 유닛에 수거하여 실내에서 악취의 발생을 방지하고, 반려동물의 몸에 배설물이나 이물질이 묻지 않아 실내 공간을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다.The toilet plate for companion anim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prays a washing solution to wash the excrement of companion animals, and collects the excrement collecting unit washed with the washing solution to prevent the generation of bad odors in the room, and the body of the companion animal It is possible to keep the indoor space clean as there is no excrement or foreign substances on the insid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배변판은 세척액과 함께 세척된 배설물이 별도의 덮개가 부착된 배설물 수거 유닛에 수거됨에 따라 배설물이 외부로 흐르지 않고 수거되며, 배설물을 수거하는 수거 유닛을 분리한 후 처리 시 배설물이 넘치지 않게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다.In the litter box for companion anim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excrement washed with the washing liquid is collected in the excrement collection unit with a separate cover, the excrement is collected without flowing to the outside, and the collection unit for collecting the excrement After separation, it can be safely moved so that excrement does not overflow during treatmen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배변판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배변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배변판의 분사 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배변판의 배설물 수거 유닛을 도시한 사시도들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배변판의 배설물 수거 유닛의 덮개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bowel movement plate for companion anim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owel movement plate for companion anim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jection unit of the toilet plate for companion anim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to 6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excrement collecting unit of the toilet plate for companion anim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ver portion of the excrement collecting unit of the toilet plate for companion anim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Since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erely an embodiment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 embodiment described in the text. That is, since the embodiment may have various changes and may have various form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equivalents capable of realizing the technical idea. In addition, since the object or effect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should include all of them or only such effects, it should not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hereby.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meaning of the terms describ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for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and the scope of righ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termed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termed a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mentioned that a certai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other element does not exist in the middle. Meanwhile, other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s, that is, “between” and “immediately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adjacent to”, etc., should be interpreted similarly.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singular expression is to be understood to include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and terms such as "comprises" or "have" refer to the embodied feature, number, step, action, component, part or these It is intended to indicate that a combination exist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Identifiers (eg, a, b, c, etc.) in each step are us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the identification code does not describe the order of each step, and each step clearly indicates a specific order in context. Unless otherwise specified, it may occur in a different order from the specified order. That is, each step may occur in the same order as specified,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or may be performed in the reverse order.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All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Terms defined in general used in the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cannot be interpreted as having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배변판을 도시한 단면도 및 사시도이다.1 and 2 are cross-sectional and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bowel movement plate for companion anim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반려동물용 배변판(100)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로 반려동물용 배변판(100)은 배설물 수거 유닛에서(110), 제어 유닛(130) 및 분사 유닛(150)을 포함한다. 1 and 2, it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bowel movement plate 100 for companion animals. 150).

먼저, 배설물 수거 유닛(110)은 다수의 통공이 구비된 제1 플레이트(112), 반려동물의 배설물의 이동을 유도하는 관통 홀(114)을 포함하는 제2 플레이트(116) 및 반려동물 배설물을 수거하는 내부 공간이 구비된 제3 플레이트(118)로 구성된다.First, the excrement collecting unit 110 includes a first plate 112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 second plate 116 including a through hole 114 for inducing movement of excreta of companion animals, and companion animal excrement. Consists of a third plate 118 provided with an inner space for collecting.

제1 플레이트(112)는 바닥면에 대해 일정 각도 경사진 형태로 배치되며, 일단에 일정 길이 및 선폭을 갖는 확장부(112a)를 더 포함한다. 제1 플레이트(112)는 반려동물이 용변을 하고자 올라가는 발판이 된다. The first plate 112 is dispos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and further includes an extension portion 112a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line width at one end thereof. The first plate 112 serves as a footrest for the companion animal to go to the toilet.

반려동물이 용변을 위해 제1 플레이트(112)에 올라가면 반려동물의 무게에 의해 제1 플레이트(112) 일단의 확장부(112a)가 하강하면서 전원부(140)의 스위치를 누르게 된다. 스위치가 온(On) 상태가 되어 전원이 연결되면 전원부(140)에 전원이 공급된다. When the companion animal climbs on the first plate 112 for defecation, the extended part 112a of one end of the first plate 112 descends by the weight of the companion animal and presses the switch of the power supply unit 140 . When the switch is turned on and power is connected, power is supplied to the power supply unit 140 .

제2 플레이트(116)는 제1 플레이트(112) 하부에 위치하며, 바닥면에 대해 일정 각도 경사진 형태로 배치된다. 관통 홀(114)은 제 2 플레이트(116)의 경사진 일단 즉, 높이가 제일 낮은 부분에 위치하여 반려동물의 배설물이 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The second plate 116 is positioned under the first plate 112 and is dispos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The through hole 114 is located at the inclined end of the second plate 116 , that is, at the lowest height, so that the excrement of the companion animal can be easily moved.

제3 플레이트(118)는 제2 플레이트(116) 하부에 위치하며, 제2 플레이트(116)의 관통 홀(114)로부터 이동된 반려동물 배설물을 수거하는 내부 공간이 구비된다. 제3 플레이트(118)는 배설물 수거 유닛(110)으로부터 탈착이 가능하여 일정 양의 배설물이 수거되면 제3 플레이트(118)를 분리하여 수거된 배설물을 처리할 수 있다. The third plate 118 is located under the second plate 116 and has an internal space for collecting the companion animal excrement moved from the through hole 114 of the second plate 116 . The third plate 118 is detachable from the excrement collecting unit 110, so that when a certain amount of excrement is collected, the third plate 118 may be separated to process the collected excrement.

또한, 제3 플레이트(118)의 일정 영역에는 덮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덮개부는 자동 개폐가 가능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덮개부는 일반적으로는 닫혀진 상태를 유지하고, 제2 플레이트(116)의 관통 홀(114)을 통해 배설물이 유입되는 시점에만 개방된다. 평소에는 제3 플레이트(118)의 상기 덮개부가 닫혀진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실내에서 악취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a cover portion is included i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third plate 118 , and the cover portion can be automatically opened and closed. More specifically, the cover portion generally maintains a closed state, and is opened only when excrement is introduced through the through hole 114 of the second plate 116 . Normally, as the cover part of the third plate 118 maintains a closed state, it is possible to prevent odor from being generated in the room.

제어 유닛은 전원부가 구비되며, 전원부는 스위치(140) 및 타이머를 포함한다. 반려동물이 용변을 위해 제1 플레이트(112)에 올라가면 반려동물의 무게에 의해 제1 플레이트가 하강하면서 스위치(140)가 동작하게 되고, 스위치(140)의 동작을 감지하여 상기 전원부에 전원이 공급된다. The control unit is provided with a power supply, and the power supply includes a switch 140 and a timer. When the companion animal climbs on the first plate 112 to urinate, the switch 140 operates as the first plate descends by the weight of the companion animal, and power is supplied to the power supply unit by sensing the operation of the switch 140 . do.

상기 타이머는 상기 전원부에 전원이 공급된 시점을 판단하여 분사 유닛(150)의 구동 모터(180)를 동작시키는 시점 또는 구동 모터(180)를 동작하는 시간 등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타이머는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설정값을 다르게 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스위치(140)가 동작한 후 20초 후에 구동 모터를 동작시켜 20 초동안 세척액을 분사하도록 설정할 수 있으며, 일정 간격을 가지고 여러 번 세척액을 분사하도록 설정할 수 도 있다. The timer determines 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power supply unit and controls the time of operating the driving motor 180 of the injection unit 150 or the operating time of the driving motor 180 . The timer can be se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For example, the driving motor may be operated 20 seconds after the switch 140 operates to spray the cleaning solution for 20 seconds, or it may be set to spray the cleaning solution several times at regular intervals.

분사 유닛(150)은 급수 공급통(160), 배설물 수거 유닛(110)에 세척액을 분사하는 토출구(170) 및 세척액을 분사하기 위한 구동 모터(180)를 포함한다. 토출구(170)는 다수의 통공을 포함하여 스프레이 형태로 분사가 가능하다. 급수 공급통(160)은 하부가 오목하게 들어간 형상으로 형성되며, 오목하게 들어간 부분에 스위치(140)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스위치(140) 상부에 제1 플레이트(112) 확장부(112a)가 위치하도록 하여 공간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The spraying unit 150 includes a water supply tank 160 , a discharge port 170 for spraying the cleaning liquid to the excrement collecting unit 110 , and a driving motor 180 for spraying the cleaning liquid. The discharge port 170 includes a plurality of through-holes and can be sprayed in the form of a spray. The water supply tube 160 is formed in a shape having a concave lower portion, and a switch 140 may be disposed in the concave portion. In addition, the first plate 112 extended portion 112a is positioned above the switch 140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space.

제어 유닛(130)의 전원부(14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 모터(180)가 구동하고, 구동 모터(180)가 구동되면 급수 공급통(160)에 저장된 세척액이 토출구(170)를 통해 분사 된다.The driving motor 180 is driven by receiving power from the power supply unit 140 of the control unit 130 , and when the driving motor 180 is driven, the washing liquid stored in the water supply tank 160 is sprayed through the outlet 170 . .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배변판의 분사 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jection unit of the toilet plate for companion anim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분사 유닛(300)은 급수 공급통(310), 배설물 수거 유닛(도 1의 '110')에 세척액을 분사하는 토출구(340) 및 세척액을 분사하기 위한 구동 모터(36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3 , the spray unit 300 includes a water supply tank 310 , a discharge port 340 for spraying a cleaning solution to the excrement collection unit (‘110’ in FIG. 1 ), and a driving motor 360 for spraying the cleaning solution. includes

급수 공급통(310)은 세척액을 저장하고, 필요 시 토출구(340)를 통해 세척액을 분사하는 역할을 한다. 급수 공급통(310)은 세척액을 공급할 수 있는 공급구(320) 가 구비된다. 공급구(320)는 수동 개폐가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토출구(340)의 일부 영역에는 세척액의 배출양을 조절하는 조절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세척액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수돗물, 생수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수거된 배설물의 농도를 낮추어 냄새를 저감시키는 희석수 또는 악취 발생을 방지하는 물질등을 추가한 액체를 사용할 수 있다. The water supply tank 310 serves to store the washing solution and spray the washing solution through the outlet 340 when necessary. The water supply tube 310 is provided with a supply port 320 capable of supplying a washing solution. The supply port 320 is formed to enable manual opening and closing. A control valve for controlling the discharge amount of the washing liquid may be further included in a portion of the discharge port 340 . As the cleaning liquid, tap water or bottled water, etc. which are generally used, can be used, and diluted water that reduces the odor by lowering the concentration of the collected excrement or a liquid added with a substance that prevents odor generation can be used.

구동 모터(360) 급수 공급통(310)과 연결되며, 제어 유닛(도 1의 '130')의 전원부(도 1의 '140')와 연결된다. 구동 모터(360)는 상기 제어 유닛의 상기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며, 구동 모터(360)가 구동되면 급수 공급통(310)에 저장된 세척액이 토출구(340)를 통해 분사 된다. The drive motor 360 is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tube 310 and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140' in FIG. 1) of the control unit ('130' in FIG. 1). The driving motor 360 is driven by receiving power from the power supply of the control unit, and when the driving motor 360 is driven, the washing liquid stored in the water supply container 310 is sprayed through the outlet 340 .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배변판의 배설물 수거 유닛을 도시한 사시도들이다. 상기 배설물 수거 유닛은 3단 플레이트 적층구조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플레이트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4 to 6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excrement collecting unit of the toilet plate for companion anim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crement collecting unit is configured in a three-stage plate laminate structure, and each plat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배설물 수거 유닛의 최상단에 위치한 제1 플레이트를 도시한 것으로, 제1 플레이트(400)는 반려동물이 용변을 하고자 올라가는 발판의 역할을 한다. First, referring to FIG. 4 , the first plate located at the uppermost end of the excrement collection unit is shown, and the first plate 400 serves as a footrest for the companion animal to go to the toilet.

제1 플레이트(400)는 바닥면에 대해 일정 각도 기울어진 형태로 배치되며, 반려동물이 올라가면 반려동물의 무게에 의해 제1 플레이트(400)의 일단이 하강하여 바닥면에 평행한 상태가 되고, 반려동물이 내려오면 원복하여 바닥면에 대해 기울어진 상태가 된다.The first plate 400 is disposed in a form inclined at a certain angle with respect to the floor surface, and when the companion animal is raised, one end of the first plate 400 is lowered by the weight of the companion animal to be in a state parallel to the floor surface, When the pet descends, it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and is inclined to the floor.

제1 플레이트(400) 일단에는 일정 길이 및 선폭을 갖는 확장부(410)를 포함한다. 반려동물이 용변을 위해 제1 플레이트(400)에 올라가면 반려동물의 무게에 의해 제1 플레이트(400)와 동시에 확장부(410)가 하강하면서 전원부(도 1의 '140')의 스위치를 누르게 된다. 확장부(410)는 아래로 구부러진 곡면을 갖는 형태로 형성할 수 있고, 평면을 갖는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One end of the first plate 400 includes an extension 410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line width. When the companion animal climbs on the first plate 400 for defecation, the expansion unit 410 descends simultaneously with the first plate 400 due to the weight of the companion animal, and the switch of the power supply unit ('140' in FIG. 1) is pressed. . The extension 410 may be formed in a shape having a curved surface bent downward, or may be formed in a shape having a flat surface.

또한, 제1 플레이트(400)는 다수의 통공(420)이 구비된다. 반려동물이 배변을 하면 분사 유닛(도 3의 '300')에 의해 세척액이 분사되고, 분사된 세척액과 함께 배설물이 세척되어 다수의 통공(410)들 사이로 낙하한다. 이후, 세척액과 배설물은 제1 플레이트(400) 하부의 제2 플레이트(도1 의 '116')로 흘러 내려간다. In addition, the first plate 40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420). When the companion animal defecates, the washing liquid is sprayed by the spray unit ('300' in FIG. 3 ), and the excrement is washed together with the sprayed washing liquid and falls between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410 . Thereafter, the washing liquid and excrement flow down to the second plate ('116' in FIG. 1) under the first plate 400.

도 5를 참조하면, 제1 플레이트 하부에 위치한 제2 플레이트를 도시한 것으로, 제2 플레이트(500)는 제1 플레이트(도 4의 '400')과 같이 바닥면에 대해 일정 각도 경사진 형태로 배치된다. 제2 플레이트(500)는 반려동물의 배설물의 이동을 유도하는 관통 홀(510)을 포함한다. 관통 홀(510)은 제2 플레이트(500)의 경사진 일단 즉, 높이가 제일 낮은 부분에 위치하여 세척액과 함께 반려동물의 배설물이 쉽게 이동되도록 한다. 관통 홀(510)은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으며, 여기서는 원형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배설물의 이동이 용이한 형태라면 어떤 형태로 형성되어도 무관하다. Referring to FIG. 5 , a second plate located under the first plate is shown, and the second plate 500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like the first plate ( '400' in FIG. 4 ). are placed The second plate 500 includes a through hole 510 for inducing movement of the companion animal's excrement. The through hole 510 is located at the inclined end of the second plate 500 , that is, at the lowest height, so that the excrement of the companion animal is easily moved together with the washing liquid. One or more through-holes 510 may be provided, and only a circular shape is shown here, but as long as it is a shape that facilitates the movement of excrement, it may be formed in any shape.

도 6을 참조하면, 제2 플레이트 하부에 위치한 제3 플레이트를 도시한 것으로, 제 3 플레이트(600)는 제2 플레이트(도 5의 '500')의 관통 홀(도 5의 '510')로부터 이동된 반려동물 배설물을 수거하는 내부 공간(610)이 구비된다(도 6 (i) 참조.). Referring to FIG. 6 , a third plate positioned under the second plate is shown, and the third plate 600 is formed from a through hole ( '510' in FIG. 5 ) of the second plate ( '500' in FIG. 5 ). An internal space 610 for collecting the moved companion animal excrement is provided (see FIG. 6 (i).).

제3 플레이트(600)는 배설물 수거 유닛(도 1의 '110')으로부터 탈착이 가능하여 일정 양의 배설물이 수거되면 상기 배설물 수거 유닛으로부터 제3 플레이트(600)를 분리하여 수거된 배설물을 처리할 수 있다. The third plate 600 is detachable from the excrement collecting unit ('110' in FIG. 1), so when a certain amount of excrement is collected, the third plate 600 is separated from the excrement collecting unit to process the collected excrement. can

제3 플레이트(600)는 일정 양의 배설물이 수거된 경우, 알림 기능을 수행하는 알람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3 플레이트(600)의 부피의 50% 이상이 세척액 및 배설물로 채워지는 경우 알림 기능이 수행되도록 설정 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조정할 수 있다. The third plate 600 may further include an alarm unit that performs a notification function when a certain amount of excrement is collected. For example, when 50% or more of the volume of the third plate 600 is filled with washing liquid and excrement, a notification function may be set to be performed, which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user's preference.

또한, 제3 플레이트(600)는 일정 영역에 배설물을 추가로 수거할 수 있는 추가 수거 유닛(640)의 탈착이 가능한 확장 어댑터(630)를 포함한다(도 6(ii) 참조.). 반려동물의 배설물을 장기간 처리하지 못하거나, 여러 마리의 반려동물을 키우는 경우, 추가 수거 유닛(640)을 부착하여 제3 플레이트(600)로 흘러들어오는 세척액 및 배설물을 추가적으로 수거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hird plate 600 includes a detachable extension adapter 630 of the additional collection unit 640 that can additionally collect excrement in a certain area (see Fig. 6(ii)). When the excrement of companion animals cannot be treated for a long period of time or when several companion animals are raised, an additional collection unit 640 may be attached to additionally collect the washing liquid and excrement flowing into the third plate 600 .

확장 어댑터(630)는 제3 플레이트(600)의 일측면에 형성할 수 있으며, 제3 플레이트(600)의 바닥면으로부터 50 ~ 70% 높이의 지점에 위치하도록 한다. 확장 어탭터(630)는 외주면의 크기 조절 가능한 형태로 형성되며, 외주면의 크기가 조절 가능함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추가 수거 유닛을 부착할 수 있다. The expansion adapter 630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third plate 600 and positioned at a height of 50 to 70%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third plate 600 . The expansion adapter 630 is formed in an adjustable shape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various types of additional collection units may be attached as the siz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adjustable.

또한, 제3 플레이트(600)의 일측에는 덮개부(620)를 포함하며, 덮개부(620)는 자동 개폐가 가능하도록 형성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덮개부(620)는 일반적으로는 닫혀진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상기 관통 홀을 통해 배설물이 유입되는 시점에만 개방된 상태가 된다. In addition, one side of the third plate 600 includes a cover portion 620 , and the cover portion 620 is formed to enable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More specifically, the cover portion 620 generally maintains a closed state, and is in an open state only when excrement is introduced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second plate.

평소에는 제3 플레이트의 덮개부(620)가 닫혀진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실내에서 악취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덮개부(620)의 형태는 후술되는 도 7을 통해 더욱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Normally, as the cover part 620 of the third plate maintains a closed state, it is possible to prevent odor from being generated in the room. The shape of the cover part 62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7 to be described later.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배변판의 배설물 수거 유닛의 제3 플레이트에 구비된 덮개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ver provided on the third plate of the excrement collecting unit of the toilet plate for companion anim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덮개부(700)는 원형의 프레임(710)이 구비되고, 프레임(710) 내측에 자동 개폐가 가능한 원형 플레이트(720)가 구비된다. Referring to FIG. 7 , the cover part 700 is provided with a circular frame 710 , and a circular plate 720 that can be automatically opened and closed is provided inside the frame 710 .

원형 플레이트(720)는 원형 프레임(710) 내측의 일부 영역에서만 결합되어 세척액과 배설물의 이동시에만 부드럽게 개방된다(도 7 (i) 참조.). 세척액과 배설물이 이동한 후에는 자동으로 닫힌 상태가 유지된다(도 7 (ii) 참조.). The circular plate 720 is coupled only in a partial area inside the circular frame 710 and is gently opened only when the washing liquid and excrement are moved (see FIG. 7 (i).). After the washing liquid and excrement are moved, the closed state is maintained automatically (see Fig. 7 (ii).).

이에 따라, 제3 플레이트(도 6의 '600') 내의 배설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악취를 차단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여기서는 원형의 덮개부(700)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자동 개폐가 가능한 덮개라면 그 형태를 제한하지 않는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excrement in the third plate ( '600' in FIG. 6 ) from leaking to the outside, and to obtain the effect of blocking the odor. Here, only the circular cover part 700 is illustrated, but the shape is not limited as long as the cover can be automatically opened and closed.

설명한 바와 같이, 반려동물용 배변판은 반려동물이 배설물 수거 유닛에 용변을 하기 위해 올라가면, 반려동물의 무게에 의해 스위치가 동작한다. 스위치의 동작에 의해 세척액이 분사되고, 세척액과 함께 배설물이 수거됨에 따라 실내에서 악취의 발생을 방지하고, 반려동물의 몸에 배설물이나 이물질이 묻지 않아 실내 공간을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companion animal climbs to the toilet in the excrement collection unit, the switch is operated by the weight of the companion animal. As the cleaning liquid is sprayed by the operation of the switch, and excrement is collected together with the cleaning liqui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generation of odors in the room, and to keep the indoor space clean as there is no excrement or foreign substances on the body of the companion animal.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You will understand that it can be done.

100 : 반려동물용 배변판 110 : 배설물 수거 유닛
112, 400 : 제1 플레이트 112a, 410 : 확장부
114, 510 : 관통 홀 116, 500 : 제2 플레이트
118, 600 : 제3 플레이트 130: 제어 유닛
140 : 스위치 150, 300 : 분사 유닛
160, 310 : 급수 공급통 170, 340 : 토출구
180, 360 : 구동 모터 320 : 공급구
330 : 배출구 420 : 통공
610 : 내부 공간 620, 700 : 덮개부
630 : 확장 어댑터 640 : 추가 수거 유닛
710 : 프레임 720 : 플레이트
100: feces for pets 110: excrement collection unit
112, 400: first plate 112a, 410: extended part
114, 510: through hole 116, 500: second plate
118, 600: third plate 130: control unit
140: switch 150, 300: injection unit
160, 310: water supply tube 170, 340: outlet
180, 360: drive motor 320: supply port
330: outlet 420: through hole
610: inner space 620, 700: cover part
630: extension adapter 640: additional collection unit
710: frame 720: plate

Claims (8)

다수의 통공이 구비되고 반려동물이 용변을 하고자 올라가는 발판이 되는 제1 플레이트, 상기 제 1 플레이트 하부에 배치되며, 반려동물의 배설물의 이동시키는 관통 홀을 포함하는 제2 플레이트 및 상기 제 2 플레이트의 상기 관통 홀로부터 이동된 반려동물 배설물을 수거하는 내부 공간이 구비된 제3 플레이트가 적층 구조로 구성되는 배설물 수거 유닛;
상기 배설물 수거 유닛의 무게를 감지하여 전원을 연결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제어 유닛; 및
세척액을 저장하는 급수 공급통, 다수의 통공을 포함하여 스프레이 형태로 상기 배설물 수거 유닛에 세척액을 분사하는 토출구 및 상기 급수 공급통에 저장된 세척액을 상기 토출구를 통해 분사하기 위한 구동 모터를 포함하는 분사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배설물 수거 유닛에서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제2 플레이트는 바닥면에 대해 일정 각도 경사진 형태로 배치되며, 상기 제1 플레이트 일단에 상기 스위치부와 인접한 확장부를 포함하여 반려동물이 올라가면 상기 반려동물의 무게에 의해 상기 확장부가 하강하면서 상기 스위치부에 전원이 연결되고, 상기 제 2 플레이트의 경사진 저부에 상기 관통 홀이 구비되어 상기 다수의 통공으로 낙하하는 세척액과 배설물의 이동을 유도하고,
상기 제3 플레이트는 상기 배설물 수거 유닛으로부터 탈착이 가능하며, 일정 부피의 배설물이 수거된 경우, 알림 기능을 수행하는 알람부를 포함하고,
상기 분사 유닛에서
상기 급수 공급통은 하부가 오목하게 들어간 형상으로 형성되어 오목하게 들어간 부분에 상기 스위치부가 배치되어 상기 스위치부 상부에 상기 확장부가 위치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배변판.
A first plat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holes and serving as a footrest for the companion animal to go to a toilet, a second plate disposed under the first plate and including a through-hole for moving the excrement of the companion animal, and the second plate an excrement collecting unit in which a third plate having an internal space for collecting the companion animal excrement moved from the through hole has a stacked structure;
a control unit including a switch unit for connecting power by sensing the weight of the excrement collection unit; and
A water supply container for storing the cleaning liquid, a discharge port for spraying the cleaning liquid to the excrement collection unit in the form of a spray includ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nd a drive motor for spraying the cleaning liquid stored in the water supply tube through the discharge unit Injection unit comprising including,
in the waste collection unit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are dispos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and include an extension part adjacent to the switch part at one end of the first plate. Power is connected to the switch unit while the sub is descending, and the through-hole is provided at the inclined bottom of the second plate to induce the movement of washing liquid and excrement falling into the plurality of through-holes,
The third plate is detachable from the excrement collecting unit, and includes an alarm unit that performs a notification function when a certain volume of excrement is collected,
in the spray unit
The water supply tube is formed in a concave shape with a lower portion, and the switch portion is disposed in the concave portion, so that the expanded portion is loc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witch por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설물 수거 유닛은
상기 제3 플레이트의 일정 영역에 배설물을 추가로 수거할 수 있는 추가 수거 유닛의 탈착이 가능한 확장 어댑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배변판.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xcrement collecting unit is
The toilet plate for companion animal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detachable extension adapter of the additional collection unit capable of additionally collecting excrement in a certain area of the third plat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설물 수거 유닛에서
상기 제3 플레이트는 덮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덮개부는 자동 개폐가 가능하여, 상기 관통 홀을 통해 배설물이 유입되는 시점에만 개방되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배변판.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in the waste collection unit
The third plate includes a cover portion, and the cover portion is capable of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and is opened only when excrement is introduced through the through hol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분사 유닛의 동작 시점 및 동작 시간을 조절하는 타이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배변판.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is
The toilet plate for companion animal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timer for adjusting the operation time and operation time of the injection unit.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 유닛에서
상기 급수 공급통은 상기 세척액의 배출양을 조절하는 조절 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배변판.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in the injection unit
The water supply tube is a bowel movement plate for companion animal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ontrol valve for controlling the discharge amount of the washing liquid.
KR1020190155621A 2019-11-28 2019-11-28 Defecation plate for animal companion KR10233090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5621A KR102330905B1 (en) 2019-11-28 2019-11-28 Defecation plate for animal compan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5621A KR102330905B1 (en) 2019-11-28 2019-11-28 Defecation plate for animal compan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6409A KR20210066409A (en) 2021-06-07
KR102330905B1 true KR102330905B1 (en) 2021-11-25

Family

ID=76374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5621A KR102330905B1 (en) 2019-11-28 2019-11-28 Defecation plate for animal compan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0905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8558B1 (en) 2022-04-11 2022-11-18 박범석 Feces and urine separation and discharge defecation device for companion animals
KR102468557B1 (en) 2022-01-12 2022-11-18 박용국 A toilet cleaning device for pets to prevent the smell of defeca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36580A1 (en) * 2022-01-12 2023-07-20 박범석 Pet toilet device and toilet device for separating and discharging urine and feces
ES1287514Y (en) * 2022-02-14 2022-05-23 Salinas Maria Elena Sanchez HYGIENIC TRAY FOR PETS
KR102535854B1 (en) * 2022-10-28 2023-05-30 박요셉 Indoor potty system for a petdogs
KR102598328B1 (en) * 2023-06-08 2023-11-07 주식회사 펫케어랩 A defecation plate for pet and a system comprising the sam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22662A1 (en) * 2008-11-18 2010-05-20 Brandon Kennington Animal toilet
KR101572631B1 (en) * 2013-09-24 2015-12-11 이재범 An excrement prop for a pet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4567A (en) 2002-04-23 2003-11-01 (주)주주웍스 Rest room of pet animal
KR101723616B1 (en) * 2014-12-31 2017-04-18 박현석알버트 Sanitizing pot for pets
KR20180061641A (en) 2016-11-30 2018-06-08 장보민 Toilet of companion animal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22662A1 (en) * 2008-11-18 2010-05-20 Brandon Kennington Animal toilet
KR101572631B1 (en) * 2013-09-24 2015-12-11 이재범 An excrement prop for a pe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8557B1 (en) 2022-01-12 2022-11-18 박용국 A toilet cleaning device for pets to prevent the smell of defecation
KR102468558B1 (en) 2022-04-11 2022-11-18 박범석 Feces and urine separation and discharge defecation device for companion anima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6409A (en) 2021-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0905B1 (en) Defecation plate for animal companion
US8863693B2 (en) Animal toilet
KR101305387B1 (en) Automatic excretion cleaner of pet
US3949429A (en) Animal commode
US443743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ining cats to use a toilet bowl
KR101674270B1 (en) Dog toilet having automatic washing and sterilizing function
US3757738A (en) Animal commode
KR20130142858A (en) An excrement prop for a pet
WO2018059196A1 (en) Novel pet cage
US7258076B1 (en) Circular animal toilet enclosure
US20190357495A1 (en) Multifunctional pet house
KR101849043B1 (en) Excrement prop for a pet
EP3571927A1 (en) Multifunctional pet house
KR102112815B1 (en) Toilet bowl detachable type pet's excretions auto removal apparatus
KR102372625B1 (en) Excrement disposal apparatus of companion dog
KR101141582B1 (en) Pet body wastes processing unit
KR101353093B1 (en) A toilet for a pet with automatic removing excretion
US20120012063A1 (en) Pet Toilet
KR102468558B1 (en) Feces and urine separation and discharge defecation device for companion animals
KR102468557B1 (en) A toilet cleaning device for pets to prevent the smell of defecation
CN210017385U (en) Pet toilet
KR101738630B1 (en) Flush type excrement prop for pet
KR20110135527A (en) Paws - free pet toilet
KR101282200B1 (en) Eco-friendly cleaning device for evacuating apparatus for pet
CN213881300U (en) Deodorant cat lavato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