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1363B1 - 주소록 관리 시스템 및 관리방법 - Google Patents

주소록 관리 시스템 및 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1363B1
KR101141363B1 KR1020100012593A KR20100012593A KR101141363B1 KR 101141363 B1 KR101141363 B1 KR 101141363B1 KR 1020100012593 A KR1020100012593 A KR 1020100012593A KR 20100012593 A KR20100012593 A KR 20100012593A KR 101141363 B1 KR101141363 B1 KR 1011413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dress book
public information
phone number
use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2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2901A (ko
Inventor
김정언
Original Assignee
김정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언 filed Critical 김정언
Priority to KR10201000125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1363B1/ko
Publication of KR201100929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29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13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13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53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providing data content
    • H04M1/275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providing data content by data transmission, e.g. downloa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무선 통신망을 기반으로 하여 전화번호와 대응시켜 공개 가능한 정보를 등록시켜 관리할 수 있도록 하고,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수신되는 전화번호 또는 발신되는 전화번호를 원클릭으로 등록시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전화번호에 매칭되는 공개정보를 수신받아 전화번호와 함께 저장시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주소록 관리 시스템 및 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전화번호에 대응되어 저장되고, 다른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공개용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PC와, 수신자 전화번호 또는 발신자 전화번호를 원클릭을 통해 저장될 수 있도록 하고, 저장 시 전화번호에 대응되어 저장된 공개용 정보를 다운로드받아 전화번호와 함께 저장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로 이루어진 사용자 단말기; 사용자가 웹을 통해 온라인 접속을 이룬 후 다른 사용자에게 제공될 전화번호 및 공개용 정보를 저장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주소록 DB를 생성하는 제 1 주소록 관리 서버; 및 상기 주소록 관리 서버에 등록된 전화번호 및 공개용 정보를 제공받아 주소록 DB를 갱신하고, 사용자가 원할 경우 공개용 정보를 전화번호에 매칭시켜 제공하는 제 2 주소록 관리 서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주소록 관리 시스템 및 관리방법{Address fil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주소록 관리 시스템 및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무선 통신망을 기반으로 하여 전화번호와 대응시켜 공개 가능한 정보를 등록시켜 관리할 수 있도록 하고,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수신되는 전화번호 또는 발신되는 전화번호를 원클릭으로 등록시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전화번호에 매칭되는 공개정보를 수신받아 전화번호와 함께 저장시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주소록 관리 시스템 및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단말기의 보급이 확산 되고 이용이 보편화 됨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의 부가서비스를 유용하게 이용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또한, 이동통신단말기는 전 세계적인 폭발적인 수요에 힘입은 활발한 연구활동의 결과로 그 기능이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는 추세이다. 즉, 단말기의 외형에 있어서는 휴대를 편리하게 하기 위해 단말기의 크기는 작아지고 무게 또한 가볍게 개선되고 있으며, 단말기의 내적 기능에 있어서는 일반적인 음성통화뿐만 아니라 인터넷 검색, 무선 데이터 통신, 전자수첩 기능 등 매우 다양한 기능이 구현되어 사용자들에게 편리함을 제공하였다.
한편,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통화를 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자주 사용하는 전화번호 등을 단말기의 전화번호부에 저장하여 두는 것이 보통이다. 이렇게 전화번호를 전화번호부 상에 등록해 놓으면, 사용자가 일일이 전화번호를 기억하거나 적어두지 않아도 편리하게 검색하여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다.
하지만 일정기간 동안 수신 및 발신이 없는 전화번호를 삭제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일일이 검색하여 삭제하여야 하기 때문에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으며, 일정기간 동안 착발신 이력이 없는 전화번호라고 할지라도 전화번호부에 저장되어있으므로 저장공간을 차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유무선 통신망을 기반으로 하여 전화번호와 대응시켜 공개 가능한 정보를 등록시켜 관리할 수 있도록 하고,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수신되는 전화번호 또는 발신되는 전화번호를 원클릭으로 등록시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전화번호에 매칭되는 공개정보를 수신받아 전화번호와 함께 저장시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주소록 관리 시스템 및 관리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유무선 통신망을 포함하고 있으며,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들이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관리하고자 하는 전화번호 및 사용자 정보를 등록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주소록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가 전화번호에 대응되어 저장되고, 다른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공개용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PC와, 수신자 전화번호 또는 발신자 전화번호를 원클릭을 통해 저장될 수 있도록 하고, 저장 시 전화번호에 대응되어 저장된 공개용 정보를 다운로드받아 전화번호와 함께 저장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로 이루어진 사용자 단말기; 사용자가 유선 통신망을 통해 온라인 접속을 이룬 후 다른 사용자에게 제공될 전화번호 및 공개용 정보를 저장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주소록 DB를 생성하는 제 1 주소록 관리 서버; 및 상기 제 1 주소록 관리 서버에 등록된 전화번호 및 공개용 정보를 제공받아 주소록 DB를 갱신하고, 사용자가 원할 경우 공개용 정보를 전화번호에 매칭시켜 제공하는 제 2 주소록 관리 서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선 데이터 통신망은 웹이고, 상기 무선 통신망은 왑, 와이파이(Wi-Fi)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는,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을 포함하고 있으며,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들이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관리하고자 하는 전화번호 및 사용자 정보를 등록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주소록 관리 방법에 있어서, (1)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인 PC를 이용하여 제 1 주소록 서버에 온라인 접속을 이룬 후 발신자 전화번호 및 공개용 정보를 입력하고, 입력된 발신자 전화번호 및 공개정보를 이용하여 주소록 DB를 생성하는 단계; (2)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수신 전화번호 또는 발신 전화번호를 저장시키고자 하는 경우 제 2 주소록 서버는 공개용 정보가 존재하는 지를 체크하는 단계; (3) 공개용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제 2 주소록 서버는 공개용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메시지를 송출하는 단계; 및 (4) 제 2 주소록 서버는 메시지에 대응하여 공개용 정보 요청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해당 공개용 정보를 제공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종료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작용 그리고 바람직한 실시예를 가지는 본 발명은 유선 통신망을 기반으로 하여 전화번호와 대응시켜 공개 가능한 정보를 등록시켜 관리할 수 있도록 하고,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수신되는 전화번호 또는 발신되는 전화번호를 원클릭으로 등록시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전화번호에 매칭되는 공개정보를 수신받아 전화번호와 함께 저장시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주소록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선 통신망 기반에서의 주소록 등록 루틴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망 기반에서의 주소록 갱신 루틴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주소록 관리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주소록 관리 시스템은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들이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관리하고자 하는 전화번호 및 사용자 정보를 등록 관리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 시스템으로서, 첨부 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전화번호에 대응되어 저장되고, 다른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공개용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PC(110)와 수신자 전화번호 또는 발신자 전화번호를 원클릭을 통해 저장될 수 있도록 하고, 저장 시 전화번호에 대응되어 저장된 공개용 정보를 다운로드받아 전화번호와 함께 저장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120)로 이루어진 사용자 단말기(100)와,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200)과, 사용자가 유선 통신망을 통해 온라인 접속을 이룬 후 다른 사용자에게 제공될 전화번호 및 공개용 정보를 저장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주소록 DB를 생성하는 제 1 주소록 관리 서버(300)와, 상기 제 1 주소록 관리 서버(300)에 등록된 전화번호 및 공개용 정보를 제공받아 주소록 DB를 갱신하고, 사용자가 원할 경우 공개용 정보를 전화번호에 매칭시켜 제공하는 제 2 주소록 관리 서버(400)로 구성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의 이동통신 단말기(120)는 수신자 또는 발신자 번호 및 그에 대응하는 공개용 정보를 제공받아 저장할 수 있는 별도의 버튼을 확보하고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기존의 키버튼중 특정 키버튼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버튼을 조합하여 공개용 정보를 제공받기 위한 수락요청신호를 제 2 주소록 서버(400)로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의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수신자 또는 발신자 번호 및 그에 대응하는 공개용 정보를 제공받아 저장할 수 있도록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고, 상기 안내메시지를 통해 공개용 정보 수락신호를 제 2 주소록 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 2 주소록 서버(400)는 발신자 번호를 전송될 때 발신자 번호에 매칭되는 공개용 정보가 있는지를 체크하여, 통화 종료버튼이 선택된 경우 발신자 번호에 매칭되어 있는 공개용 정보를 제공받을지의 여부를 묻는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한다. 이에, 사용자가 상기 메시지에 수락신호를 입력하는 경우 발신자 번호에 매칭되어 있는 공개용 정보를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120)로 제공하여, 사용자가 확인하고 저장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유선 데이터 통신망은 웹이고, 상기 무선 통신망은 왑, 와이파이(Wi-Fi) 중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주소록 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주소록 관리 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첨부 도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주소록 관리 서버(300)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100)인 PC(110)를 이용하여 제 1 주소록 서버(300)에 온라인 접속을 이룬 후 발신자 전화번호 및 공개용 정보를 입력(S110)하고, 입력된 발신자 전화번호 및 공개정보를 이용하여 주소록 DB를 생성한다(S120).
상기와 같이 주소록 DB를 생성하고 상기 주소록 DB에 새로운 공개용 정보가 등록되거나, 기존의 공개용 정보가 갱신되는 경우 제 2 주소록 서버(400)로 전송하여 제 2 주소록 서버(400)에 등록된 공개용 정보가 갱신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첨부 도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100)인 이동통신 단말기(120)를 이용하여 수신 전화번호 또는 발신 전화번호를 저장시키고자 제 2 주소록 서버(400)로 공개용 정보 다운로드 요청신호를 출력하고(S210), 제 2 주소록 서버(400)는 사용자에 의해 다운로드 요청된 수신 전화번호 또는 발신 전화번호에 매칭되어 저장되어 있는 공개용 정보가 존재하는 지를 체크(S220)한다.
상기 S220 단계의 판단 결과 공개용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제 2 주소록 서버(400)는 공개용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메시지를 송출(S230)한다.
제 2 주소록 서버(400)는 메시지에 대응하여 공개용 정보 요청신호가 수신되는지를 판단(S240)하고, 공개용 정보 요청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해당 공개용 정보를 제공(S250)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종료한다.
이때, 제 2 주소록 서버(400)는 발신자 번호를 전송될 때 발신자 번호에 매칭되는 공개용 정보가 있는지를 체크하여, 통화 종료버튼이 선택된 경우 발신자 번호에 매칭되어 있는 공개용 정보를 제공받을지의 여부를 묻는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시스템을 구현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 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지만,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포함되는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
100 : 사용자 단말기
110 : PC
120 : 이동통신 단말기
200 : 유무선 통신망
300 : 제 1 주소록 관리 서버
400 : 제 2 주소록 관리 서버

Claims (7)

  1. 유무선 통신망을 포함하고 있으며,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들이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관리하고자 하는 전화번호 및 사용자 정보를 등록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주소록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가 전화번호에 대응되어 저장되고, 다른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공개용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PC와, 수신자 전화번호 또는 발신자 전화번호를 원클릭을 통해 저장될 수 있도록 하고, 저장 시 전화번호에 대응되어 저장된 공개용 정보를 다운로드받아 전화번호와 함께 저장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로 이루어진 사용자 단말기;
    사용자가 유선 통신망을 통해 온라인 접속을 이룬 후 다른 사용자에게 제공될 전화번호 및 공개용 정보를 저장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주소록 DB를 생성하는 제 1 주소록 관리 서버; 및
    상기 제 1 주소록 관리 서버에 등록된 전화번호 및 공개용 정보를 제공받아 주소록 DB를 갱신하고, 사용자가 원할 경우 공개용 정보를 전화번호에 매칭시켜 제공하는 제 2 주소록 관리 서버로 이루어지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수신자 또는 발신자 번호 및 그에 대응하는 공개용 정보를 제공받아 저장할 수 있는 별도의 버튼을 확보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소록 관리 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수신자 또는 발신자 번호 및 그에 대응하는 공개용 정보를 제공받아 저장할 수 있도록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소록 관리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주소록 서버는,
    발신자 번호를 전송될 때 발신자 번호에 매칭되는 공개용 정보가 있는지를 체크하여, 통화 종료버튼이 선택된 경우 발신자 번호에 매칭되어 있는 공개용 정보를 제공받을지의 여부를 묻는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소록 관리 시스템.
  5. 삭제
  6. 유무선 통신망을 포함하고 있으며,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들이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관리하고자 하는 전화번호 및 사용자 정보를 등록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주소록 관리 방법에 있어서,
    (1)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인 PC를 이용하여 제 1 주소록 서버에 온라인 접속을 이룬 후 발신자 전화번호 및 공개용 정보를 입력하고, 입력된 발신자 전화번호 및 공개정보를 이용하여 주소록 DB를 생성하는 단계;
    (2)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수신 전화번호 또는 발신 전화번호를 저장시키고자 하는 경우 제 2 주소록 서버는 공개용 정보가 존재하는 지를 체크하는 단계;
    (3) 공개용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제 2 주소록 서버는 공개용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메시지를 송출하는 단계;
    (4) 제 2 주소록 서버는 메시지에 대응하여 공개용 정보 요청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해당 공개용 정보를 제공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종료하는 단계; 및
    (5) 상기 제 2 주소록 서버는 발신자 번호를 전송될 때 발신자 번호에 매칭되는 공개용 정보가 있는지를 체크하여, 통화 종료버튼이 선택된 경우 발신자 번호에 매칭되어 있는 공개용 정보를 제공받을지의 여부를 묻는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하는 단계;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소록 관리 방법.
  7. 삭제
KR1020100012593A 2010-02-11 2010-02-11 주소록 관리 시스템 및 관리방법 KR1011413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2593A KR101141363B1 (ko) 2010-02-11 2010-02-11 주소록 관리 시스템 및 관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2593A KR101141363B1 (ko) 2010-02-11 2010-02-11 주소록 관리 시스템 및 관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2901A KR20110092901A (ko) 2011-08-18
KR101141363B1 true KR101141363B1 (ko) 2012-05-03

Family

ID=44929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2593A KR101141363B1 (ko) 2010-02-11 2010-02-11 주소록 관리 시스템 및 관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136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7297B1 (ko) * 2015-01-29 2017-02-16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보안 주소록의 제공을 위한 단말, 서버, 및 방법
KR102001713B1 (ko) * 2015-11-12 2019-07-18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주소록 관리를 위한 장치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4221A (ko) * 2000-04-04 2001-10-31 홍순호 통신망의 로그정보를 이용한 인맥정보 수집 방법
KR20030010838A (ko) * 2001-07-27 2003-02-0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개인 정보 변경을 안내하는 방법
KR20080017228A (ko) * 2006-08-21 2008-02-26 양경희 전화관리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4221A (ko) * 2000-04-04 2001-10-31 홍순호 통신망의 로그정보를 이용한 인맥정보 수집 방법
KR20030010838A (ko) * 2001-07-27 2003-02-0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개인 정보 변경을 안내하는 방법
KR20080017228A (ko) * 2006-08-21 2008-02-26 양경희 전화관리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2901A (ko) 2011-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3574B1 (ko) 이동전화단말기를위한벨소리다운로드서비스방법및그시스템
JP2002344652A (ja) 移動通信端末装置及び電子メールによる応答方法
JP2006524962A (ja) 動的カスタマイズ可能なスマート電話帳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KR20150040567A (ko) 휴대 기기에서 연관 정보 표시 방법 및 장치
KR101141363B1 (ko) 주소록 관리 시스템 및 관리방법
US8700004B2 (en) Phone number encapsulation using token based framework
KR10109523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선택적 스팸 전화 차단 방법
US20120309367A1 (en) Communication terminal, communication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having communication program stored therein
KR101094612B1 (ko) 모바일 음성변조 시스템 및 음성변조가 가능한 단말
KR20010058752A (ko) 이동 통신망에서의 전자 명함 관리 방법
JP2004274256A (ja) 管理サーバ及び通信システム
JP4667148B2 (ja) 通信システム、端末装置、アドレス帳管理サーバ、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030068264A (ko) 통화내역을 기반으로 하는 캐릭터 육성방법
US20060030340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a destination in a mobile radio
JP2003244280A (ja) 携帯電話機
KR100645765B1 (ko)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통화 목록 자동 갱신 방법
KR20020022460A (ko)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자정보 관리시스템
KR20020063376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메시지 전송방법
KR20040009155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파일 공유방법
KR100713449B1 (ko) 휴대용 이동 전화기의 벨소리 변경방법
JP7228893B2 (ja) 電話営業用ctiシステム
KR100539843B1 (ko) 단말기를 이용한 음악 동영상 메일 전송 방법
KR20010099066A (ko) 이동 전화기의 전화 번호 관리를 위한 네트웍 서비스
US20060148473A1 (en) Method for assigning an representing data to be used by a remote end
KR100779586B1 (ko) 통신 단말기의 컨텐츠 다운로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2

Year of fee payment: 9